KR20090002022A -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022A
KR20090002022A KR1020070053802A KR20070053802A KR20090002022A KR 20090002022 A KR20090002022 A KR 20090002022A KR 1020070053802 A KR1020070053802 A KR 1020070053802A KR 20070053802 A KR20070053802 A KR 20070053802A KR 20090002022 A KR20090002022 A KR 2009000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ocessing
closing member
clos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운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신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운 filed Critical 신경운
Priority to KR102007005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022A/ko
Publication of KR2009000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피처리체를 처리하는 처리수단과, 피처리체용 처리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으로부터 처리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와, 판독기에 의해서 판독된 처리정보에 따라서 처리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갖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는 소정 크기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벽체에 의해서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분리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제1공간에는 처리수단이 장착되고, 제2공간에는 판독기가 장착되어 있음-; 벽체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개폐부재; 개구가 개폐될 수 있도록 제1개폐부재를 개폐동작시키는 제1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개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처리정보유닛과 판독기 사이의 비접촉방식 통신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밀폐된 공간에서 피처리체를 처리하는 동안 피처리체에 대한 처리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가 처리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생성되는 처리매체 또는 부산물에 오염되거나 또는 다른 처리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처리체용 처리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판독기, 처리정보유닛, 제어모듈, 벽체, 구동수단

Description

피처리체용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OBJECT TO BE TRE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처리체용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처리하고자 하는 피처리체가 하우징의 제1공간으로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하우징의 제1공간에 수용된 피처리체가 처리수단에 의해서 처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2 : 벽체
12a : 개구
20 : 판독기
30 : 제어모듈
40 : 처리수단
50 : 제1개폐부재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08256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11277호
본 발명은 피처리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 처리하고자 하는 피처리체와 함께 수용공간에 수용된 처리정보유닛으로부터 비접촉방식 통신을 통해서 상기 피처리체에 대한 처리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기를 상기 수용공간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 또는 전기오븐렌지와 같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식품조리기구, 다양한 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 반도체 웨이퍼를 가공하기 위한 식각장치 또는 플라즈마 장치 등과 같이 음식물, 식기류 또는 반도체 웨이퍼 등과 같은 피처리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치는 상기 피처리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피처리체를 적절한 처리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처리수단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예를 들어, 상기 처리수단이 동작하도록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의 하우징에는 상기 피처리체가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 로 유입되는 개구, 즉 유입구와 상기 피처리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 즉 배출구를 갖는다. 상기 유입구 및/또는 배출구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하나의 개구가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로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처리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피처리체를 유입시킨 후에, 상기 도어를 닫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피처리체는 상기 처리수단의 동작에 의해서 처리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처리장치에 있어서, 피처리체를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매번 조작패널을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피처리체를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이 상기 피처리체에 제공되고, 상기 처리정보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를 비접촉방식 통신을 통해서 판독할 수 있는 판독기를 구비한 처리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08256호에는 식품 포장재와 함께 제공되는 식품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식품정보에 기초하여 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식품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식품조리기구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판독할 수 있는 알에프 모듈; 상기 식품조리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조리기구 구동모듈; 및 상기 알에프 모듈과 상기 조리기구 구동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품조리기구는 (1) 상기 알에프 모듈을 통해 상기 식품 포장재와 함께 제공되는 식품정보유닛과 비접촉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식품정보유닛으로부터 상기 식품정보를 판독하고, (2) 상기 식품정보로부터 상기 식품조리기구에 대응하는 제어시퀀스 정보를 획득하고, (3) 상기 제어시퀀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기구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조리기구가 개시되어 있습니다.
상기 식품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 모듈에 의해서 판독된 식품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조리기구 구동모듈이 구동하여 식품을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알에프 모듈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상술된 바와 같이 식품이 처리되는 동안, 다른 식품정보가 상기 알에프 모듈에 의해서 판독되면 상기 조리기구 구동모듈이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11277호에는 세척실 내로 투입되는 각 식기의 정보를 비접촉방식 통신을 통해서 취득하고, 그 정보에 따라 최적의 식기 세척 운전을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각 식기의 자동 세척을 위한 세척실을 가지는 본체; 해당 식기에 관련된 각종 정보가 기억된 각 식기의 정보 태그로부터 세척관련정보를 취득하는 판독부; 그리고, 상기 판독부로부터 세척실 내로 투입된 전체 식기의 세척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세척 운전 진행을 위한 각 구성의 동작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설정된 내용을 기준으로 세척 운전이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그러나, 상기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각 식기가 세척실에서 세척되는 동안 발생되는 오염물질 등에 의해서 상기 세척실에 노출되어 있는 판독부는 오염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식기세척과정이 반복됨에 따라서 판독부의 오염상태가 심각하게 되면, 추후의 판독과정에서 상기 판독부의 판독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처리장치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음식물, 식기류 또는 반도체 웨이퍼 등과 같은 피처리체를 적절한 처리방식에 의해서 처리하는 동안 상기 피처리체에 대한 처리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으로부터 비접촉방식 통신을 통해서 상기 처리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기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판독기와 상기 처리정보유닛 사이의 비접촉방식 통신을 차단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한 피처리체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처리장치의 수용공간으로 피처리체가 수용되는 동안 상기 피처리체를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으로부터 상기 처리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판독기를 개방시키는 반면에 상기 수용공간에서 피처리체가 처리되는 동안 발생되는 오염물질 또는 상기 피처리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매체, 예를 들어 플라즈마, 열 또는 고주파 등과 같은 처리매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판독기를 폐쇄시킬 수 있는 개폐부재를 구비한 피처리체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피처리체를 처리하는 처리수단과, 상기 피처리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으로부터 비접촉방식 통신을 통해서 상기 처리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와, 상기 판독기에 의해서 판독된 처리정보에 따라서 상기 처리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갖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는 소정 크기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벽체에 의해서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분리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상기 제1공간에는 상기 처리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제2공간에는 상기 판독기가 장착되어 있음-과; 상기 벽체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개폐부재와; 상기 개구가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폐부재를 개폐동작시키는 제1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처리정보유닛과 판독기 사이의 비접촉방식 통신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피처리체가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공된 유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2개폐부재와, 상기 유입구가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개폐부재를 개폐동작시키는 제2구동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모듈은 제1구동수단과 제2구동수단 또는 이들중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의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개폐부재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서 상기 제1개폐부재가 개폐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개폐부재의 개폐동작시간과 상기 제1개폐부재의 개 폐동작시간 사이에 시간차가 존재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시간지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개폐부재의 개폐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2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감지수단 및 상기 제2개폐부재의 개폐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2제어부에 제공하는 제2감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처리체용 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처리하고자 하는 피처리체가 하우징의 제1공간으로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하우징의 제1공간에 수용된 피처리체가 처리수단에 의해서 처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처리체용 처리장치는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10)을 갖는다.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는 소정크기의 개구(12a)가 형성되어 있는 벽체(12)가 설치된다. 상기 내부공간은 벽체(12)에 의해서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으로 분리되고,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은 개구(12a)를 통해서 소통하게 된다. 제1공간(S1)에는 피처리체(1)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수단(40)과 피처리체(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16)가 제공되고, 제2공간(S2)에는 하기에 설명되는 판독기(20)가 장착된다.
하우징(10)에는 피처리체(1)가 외부로부터 제1공간(S1)으로 유입할 수 있는 유입개구로 작용하는 유입구(10a)가 제공된다. 이때, 하우징(10)에는 피처리체(1) 를 제1공간(S1)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개구로 작용하는 배출구(미도시)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유입구(10a)에는 유입구(10a)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2개폐부재(14)가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출구에도 개폐도어(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피처리체용 처리장치에 따라서 하나의 개구가 유입구(10a)와 상기 배출통로로 작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개구는 하나의 도어, 예를 들어 제2개폐부재(14)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제2개폐부재(14)는 유입구(10a)를 개폐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부재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하우징(10)의 벽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 하우징(10)의 벽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재(상기 판상부재에는 원형 또는 반원형 등의 구멍이 천공될 수도 있음) 또는 복수장의 부채모양 날개로 구성되어 섹터 링의 왕복회전운동이나 전자석과 스프링의 작용으로 방사선상으로 동시에 여닫힐 수 있는 셔터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피처리체용 처리장치는 제2개폐부재(14)를 개폐동작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수단은 제2개폐부재(14)를 개폐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 수단으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작업자의 손, 구동모터 또는 캠을 이용한 기계적 구동수단, 전기회로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기적 구동수단 또는 상기 기계적 구동수단과 전기적 구동수단의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개폐부재(14)는 상기 기계적 구동수단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폐동작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유입구(10a)는 개폐된다. 또한, 제2개폐부재(14)는 작업자의 손에 의해서 수동으로 개폐동작하게 되며, 그 결과 유 입구(10a)는 개폐된다.
상기 제2개폐부재(14)가 유입구(10a)를 폐쇄시킴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피처리체(1)에는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2)이 제공될 수 있다. 처리정보유닛(2)은 바람직하게 피처리체(1)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처리정보유닛(2)은 피처리체의 외부면에 예를 들어 절삭, 조각, 각인, 식각 또는 레이저 광선의 조사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표시수단은 2차원 문자 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처리정보유닛(2)은 피처리체(1)와는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처리정보유닛(2)은 예를 들어 RFID 태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정보유닛(2)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독립된 전원을 이용하지 않는 수동형 소자로서 마이크로칩과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칩에는 피처리체(1)를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마이크로칩과 연결되어 있는 안테나 소자로서 상호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과 같은 비접촉방식 통신을 통해서 상기 마이크로칩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를 하기에 설명되는 판독기(20)로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판독기(20)는 처리정보유닛(2)으로부터 비접촉방식 통신을 이용해서 피처리체(1)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1공간(S1)에 제공된 처리수단(40)은 처리 정보유닛(2)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에 근거하여 제1공간(S1)에 수용되어 있는 피처리체(1)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매체, 예를 들어, 플라즈마, 열 또는 고주파 등과 같은 처리매체를 발생시키도록 구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피처리체용 처리장치가 플라즈마 처리장치인 경우에, 상기 처리수단은 플라즈마를 형성하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처리체용 처리장치가 전자렌지인 경우에, 상기 처리수단은 마그네트론이라는 초고주파 발진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처리체용 처리장치가 오븐렌지인 경우에, 상기 처리수단은 열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열기일 수 있다. 상기 피처리체용 처리장치가 식기세척기인 경우에, 상기 처리수단은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일 수 있다.
즉, 처리수단(40)은 밀폐되어 있는 하우징의 제1공간(S1)에서 수용되어 있는 피처리체(1)를 처리정보유닛(2)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에 근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처리체용 처리장치는 하우징(10)의 제2공간(S2)에 장착되어 피처리체(1)에 제공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2)과 비접촉방식 통신이 가능하여 처리정보유닛(2)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20)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판독기(20)는 벽체(12)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2a)를 통해서 제1공간(S1)에 수용되어 있는 피처리체(1)의 표면에 제공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2)[또는 상기 피처리체와는 별도로 제공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과 비접촉방식 통신이 가능하게 제2공간(S2)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판독기(20)는 RFID 판독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독기(20)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처리정보유닛(2)이 소정의 근접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상호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과 같은 비접촉방식 통신을 통하여 처리정보유닛(2)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판독기(20)에서 판독된 처리정보는 판독기(2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된 제어모듈(30)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모듈(30)은 제2공간(S2)에 장착되어 있는 판독기(20) 뿐만 아니라 제1공간(S1)에 설치되어 있는 처리수단(40)과 신호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판독기(20)에 의해서 판독되는 피처리체용 처리정보에 따라서 처리수단(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32)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1공간(S1)에 수용되어 있는 피처리체(1)의 표면에 제공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2)으로부터 피처리체(1)를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정보가 상호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과 같은 비접촉방식 통신을 통해서 판독기(20)로 전송되면, 판독기(20)는 판독된 처리정보를 제어모듈(30)의 제1제어부(32)로 전송하게 된다. 이 후에, 제어모듈(30)의 제1제어부(32)는 처리수단(40)이 적절한 처리매체를 발생시키도록 처리수단(4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10)의 벽체(12)에는 개구(12a)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개폐부재(50)가 제공될 수 있다. 제1개폐부재(50)는 벽체(12)의 개구(12a)를 개폐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부재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벽체(12)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 벽체(1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재(상기 판상부재에는 원형 또는 반원형 등의 구멍이 천공될 수도 있음) 또는 복수장의 부채모양 날개로 구성되어 섹터 링의 왕복회전운동이나 전자석과 스프링의 작용으로 방사선상으로 동시에 여닫힐 수 있는 셔터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피처리체용 처리장치는 제1개폐부재(50)를 개폐동작시키기 위한 제1구동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수단은 제1개폐부재(50)를 개폐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 수단으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구동모터 또는 캠을 이용한 기계적 구동수단, 전기회로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기적 구동수단 또는 상기 기계적 구동수단과 전기적 구동수단의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개폐부재(50)는 상기 전기적 구동수단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폐동작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개구(12a)는 개폐된다.
상기 제1구동수단의 제1작동에 의해서 제1개폐부재(50)가 개방동작하는 경우에 제2공간(S2)에 장착되어 있는 판독기(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는 벽체(12)의 개구(12a)를 통해서 피처리체(1)에 제공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2)[또는 상기 피처리체와는 별도로 제공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과 비접촉방식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2구동수단의 제2작동에 의해서 제1개폐부재(50)가 폐쇄동작하는 경우에 벽체(12)의 개구(12a)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판독기(20)와 처리정보유닛(2) 사이의 비접촉방식 통신은 제1개폐부재(50)에 의해서 차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모듈(30)은 상기 제1구동수단과 제2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 게, 제어모듈(30)의 제2제어부(34)는 제2개폐부재(14)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서 제1개폐부재(50)가 개폐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처리체용 처리장치는 제1개폐부재(50)의 개폐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제1감지수단(미도시)과 제2개폐부재(14)의 개폐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제2감지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수단과 제2감지수단은 제어모듈(30)의 제2제어부(34)에 신호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들은 제2제어부(34)가 제1개폐부재(50)의 개폐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감지수단이 제2개폐부재(14)의 개폐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2제어부(34)에 전송하면, 제2제어부(34)는 상기 감지된 정보에 의해서 제1개폐부재(5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1개폐부재(50)와 제2개폐부재(14)가 개구(12a)와 유입구(10a)를 폐쇄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수단의 제1작동에 의해서 제2개폐부재(14)가 개방동작하여 유입구(10a)를 개방시키면, 상기 제2감지수단은 제2개폐부재(14)의 개방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제1정보를 제2제어부(34)에 제공한다. 이 후에, 제2제어부(34)는 벽체(12)의 개구(12a)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개폐부재(50)가 개방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동수단의 제1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1개폐부재(50)와 제2개폐부재(14)가 개구(12a)와 유입구(10a)를 개방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수단의 제2작동에 의해서 제2개폐부재(14)가 폐쇄동작하여 유입구(10a)를 폐쇄시키면, 상기 제2감지수단은 제2개 폐부재(14)의 폐쇄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제2정보를 제2제어부(34)에 제공한다. 이 후에, 제2제어부(34)는 벽체(12)의 개구(12a)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개폐부재(50)가 폐쇄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동수단의 제2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1개폐부재(50) 또는 제2개폐부재(14) 각각의 개방동작은 개방개시동작 또는 개방완료동작을 의미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1개폐부재(50) 또는 제2개폐부재(14) 각각의 폐쇄동작은 폐쇄개시동작 또는 폐쇄완료동작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처리체용 처리장치는 제2개폐부재(14)의 개폐동작시간과 제1개폐부재(50)의 개폐동작시간 사이에 시간차가 존재할 수 있도록 시간지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지연부는 예를 들어 제어모듈(30)의 제2제어부(34)와 상기 제1구동수단 사이에 제공되어 제2제어부(34)로부터 제어동작이 시간지연된 상태로 상기 제1구동수단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시간지연부에 의해서 제2개폐부재(14)가 개폐동작을 개시하거나 또는 완료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1개폐부재(50)가 개폐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처리체용 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제1공간(S1)에는 처리수단(40)과 지지대(16)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제2공간(S2)에는 판독기(20)가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유입구(10a)는 제2개폐부재(14)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벽체(12)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2a)는 제1개폐부재(50)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은 밀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하우징(10)의 유입구(10a)의 전방에는 처리하고자 하는 피처리체(1)가 준비된다. 피처리체(1)의 표면에는 피처리체(1)를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2)이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입구(10a)를 폐쇄시키고 있는 제2개폐부재(14)가 상기 제2구동수단(미도시)의 제1작동에 의해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동작하게 되면, 상기 제2감지수단(미도시)은 제2개폐부재(14)의 개방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모듈(30)의 제2제어부(34)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2제어부(34)는 상기 제1구동수단(미도시)이 제1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개폐부재(50)는 개방동작하여 개구(12a)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1구동수단은 상기 시간지연부에 의한 지연작용에 의해서 예를 들어 제2개폐부재(14)가 개방동작을 개시하거나 또는 완료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개방동작할 수 있다.
이 후에, 피처리체(1)는 개방된 유입구(10a)를 통해서 하우징(10)의 제1공간(S1)으로 진입하여 지지대(16)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피처리체(1)에 제공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2)이 소정의 근접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판독기(20)는 개방되어 있는 개구(12a)를 통해서 처리정보유닛(2)으로부터 상호유도방식 또는 전자기판 방식과 같은 비접촉방식 통신을 통해서 처리정보유닛(2)에 저장되어 있는 피처리체(1)에 대한 처리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그리고, 판독기(20)는 판독된 처 리정보를 제어모듈(30)의 제1제어부(32)에 전달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입구(10a)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구동수단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2작동하여 제2개폐부재(14)가 폐쇄동작하게 되면, 제2감지수단은 제2개폐부재(14)의 폐쇄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2제어부(34)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2제어부(34)는 상기 제1구동수단이 제2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개폐부재(50)는 폐쇄동작하여 개구(12a)를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제1구동수단은 상기 시간지연부에 의한 지연작용에 의해서 예를 들어 제2개폐부재(14)가 폐쇄동작을 개시하거나 또는 완료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폐쇄동작할 수 있다.
이 후에, 제어모듈(30)의 제1제어부(32)는 처리수단(40)이 구동하도록 제어동작하고, 그 결과 처리수단(40)은 지지대(16) 상에 지지되어 있는 피처리체(1)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매체(40a)를 발생시킨다. 피처리체(1)는 처리매체(40a)에 의해서 적절하게 처리된다.
이때, 개구(12a)는 제1개폐부재(50)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0)의 제2공간(S2)에 장착되어 있는 판독기(20)는 피처리체(1)에 대한 처리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처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되는 처리매체(40a) 또는 처리작업시 발생되는 부산물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판독기(20)는 하우징(10)의 제2공간(S2)에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상술된 처리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판독기(20)가 새로운 처리정보를 판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후에, 하우징(10)의 제1공간(S1) 내에서 피처리체(1)에 대한 처리작업이 완료되면, 피처리체(1)는 배출된다.
이때, 제2개폐부재(14)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동작하여 유입구(10a)가 개방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동안 제1개폐부재(50)는 상술된 과정을 통해서 개방동작하여 개구(12a)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입구(10a)를 통해서 하우징(10)의 제1공간(S1)으로 후속 피처리체가 유입되면, 판독기(20)는 후속 피처리체에 제공되어 있는 정보처리유닛[또는 상기 후속 피처리체와는 별도로 제공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으로부터 처리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된 공간에서 피처리체를 처리하는 동안 처리정보유닛으로부터 피처리체에 대한 처리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가 처리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생성되는 처리매체 또는 부산물에 오염되거나 또는 다른 처리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피처리체용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피처리체를 처리하는 처리수단과, 상기 피처리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처리정보유닛으로부터 비접촉방식 통신을 통해서 상기 처리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와, 상기 판독기에 의해서 판독된 처리정보에 따라서 상기 처리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갖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벽체에 의해서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분리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상기 제1공간에는 상기 처리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제2공간에는 상기 판독기가 장착되어 있음-과;
    상기 벽체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개폐부재와;
    상기 개구가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폐부재를 개폐동작시키는 제1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처리정보유닛과 판독기 사이의 비접촉방식 통신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체가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공된 유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2개폐부재와, 상기 유입구가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개폐부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동작시키는 제2구동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장치용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의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개폐부재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서 상기 제1개폐부재가 개폐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개폐부재의 개폐동작시간과 상기 제1개폐부재의 개폐동작시간 사이에 시간차가 존재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시간지연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수단의 작동은 상기 제2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장치용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의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개폐부재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서 상기 제1개폐부재가 개폐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개폐부재의 개폐동작시간과 상기 제1개폐부재의 개폐동작시간 사이에 시간차가 존재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시간지연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의 개폐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2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재의 개폐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2제어부에 제공하는 제2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KR1020070053802A 2007-06-01 2007-06-01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KR20090002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802A KR20090002022A (ko) 2007-06-01 2007-06-01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802A KR20090002022A (ko) 2007-06-01 2007-06-01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022A true KR20090002022A (ko) 2009-01-09

Family

ID=4048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802A KR20090002022A (ko) 2007-06-01 2007-06-01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0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9887B1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EP2118800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cooking appliance
US7525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etal placed within a microwave oven
WO2003077604A1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with steam generating function
EP1811814A2 (en)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CN106102478B (zh) 食材容器和食材容器装食材用的加热装置
KR20090002022A (ko) 피처리체용 처리장치
KR20050031903A (ko) 전자레인지
CN113507871A (zh) 感应水壶
JP4000531B2 (ja) 加熱調理器
US20030146208A1 (en) Method of controlling microwave oven
KR102556639B1 (ko) 가전 기기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028043A1 (en) Warewasher with radar-based ware detection
JP2008206909A (ja) 食器洗い機
US20220039219A1 (en) Packaged food product microwave system and method
JP2002372244A (ja) 加熱調理器
JP2016217701A (ja) 加熱調理器
EP2050471B1 (en) Decontamination method and system implementing it
KR100427784B1 (ko) 자외선 살균 램프를 가지는 전자렌지의 살균 방법
KR101791339B1 (ko) 스팀공급이 가능한 전자레인지
US20240099546A1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06200803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0601430B1 (ko) 전자렌지의 에러 처리방법
JP2004333048A (ja) 加熱調理器
JP7233981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