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735U - Band cable - Google Patents

Band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735U
KR20090001735U KR2020070013772U KR20070013772U KR20090001735U KR 20090001735 U KR20090001735 U KR 20090001735U KR 2020070013772 U KR2020070013772 U KR 2020070013772U KR 20070013772 U KR20070013772 U KR 20070013772U KR 20090001735 U KR20090001735 U KR 200900017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re harness
fastening
band
band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7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근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3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735U/en
Publication of KR20090001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73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패널의 설치공에 조립되는 고정헤드부와, 상기 고정헤드부 상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는 밴드부와, 상기 결합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를 고정할 수 있도록 크기 변형이 가능한 클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밴드 케이블로 다양한 규격의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를 고정할 수 있어 밴드 케이블이 소요량이 감소하고, 규격별로 밴드 케이블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밴드 케이블의 자제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개발 품목이 감소하여 개발비가 절감되며, 공용화가 가능하여 여러 차종에 적용할 수 있는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cable, and more particularly, a fixed head portion assembled to an installation hole of a vehicle body panel, a support plate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fixed head portion to support the fixed head portion, and a coupling formed on the support plate.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a ban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body to fix the wire harness, and a clip portion tha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and can be modified in size so as to fix wire harnesses or tubes of various sizes. Band cables can be fixed with various cable harnesses, which reduces the requirements for band cables, an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band cables for each standard. Band cabl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models due to the low cost and common use It's about

자동차, 차체패널, 와이어 하네스, 튜브 Automotive, Body Panels, Wire Harnesses, Tubes

Description

밴드 케이블 {Band cable}Band cable {Band cable}

본 고안은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밴드 케이블에 다양한 규격의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밴드 케이블이 소요량을 감소시키고, 규격별로 밴드 케이블을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밴드 케이블의 자제 관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개발 품목을 감소시켜 개발비를 절감하고, 공용화를 가능하게 하여 여러 차종에 적용할 수 있는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cable, so that wire harnesses or tubes of various sizes can be fixed to one band cable, thereby reducing the requirement of the band cable and eliminating the necessity of having a band cable for each standard. It is related to a band cable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vehicles by not only facilitating easy, but also by reducing development items, thereby reducing development costs and enabling common us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를 비롯한 많은 전장 부품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 케이블, 와이어어 하네스 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고정한다.In general, many electrical components including various sensors are included in an engine room of a vehicle. Most of the sensors in the engine room are attached to the engine or transmission so that the wire harnesses are aligned using support members such as various band cables and wire harness fixing plates until the wire harnesses reach their respective positions. Fix it.

여기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한다. 또한, 자동차의 각 전장품은 전력 구동 력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켜 놓지 않으면 차량의 주행 진동으로 인하여 와이어 하네스가 심하게 유동된다.Here, the wire harness refers to wires that conduct electricity in an automobile or various electric devices. In addition, each electronics of the car is connected by wire harness to the battery or the generator which is the power driving power. If the wire harness is not fixed as described above, the wire harness is severely flown due to the driving vibration of the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밴드 케이블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다른 밴드 케이블은 고정헤드부(30)와, 지지판(40)과, 밴드부(60)로 크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largely composed of a fixed head portion 30, a support plate 40, and a band portion 60.

먼저, 상기 고정헤드부(30)는 차체패널(10)의 설치공(12)에 조립되도록 형성된다.First, the fixed head portion 30 is formed to be assembled to the installation hole 12 of the vehicle body panel 10.

상기 고정헤드부(30)는 지지축(32)과, 지지축(32) 둘레에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후크부재(34)로 이루어진다.The fixed head part 30 is formed around the support shaft 32 and the support shaft 32, and comprises a hook member 34 having elasticity.

상기 고정헤드부(30)의 지지축(32)이 차체패널(10)의 설치공(12)에 삽입시 후크부재(34)가 오므라졌다가 탄성적으로 펴지면서 설치공(12) 주변부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지지축(32)의 삽입 반대 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support shaft 32 of the fixed head portion 3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2 of the body panel 10, the hook member 34 is lifted and elastically unfolded so as to be caught in the periphery of the installation hole 12. The fixing prevents the deviation of the support shaft 32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nsertion.

그리고, 상기 지지판(40)은 고정헤드부(30) 상측부에 형성되어 고정헤드부(3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4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head part 30 to support the fixed head part 30.

상기 지지판(40)은 고정헤드부(30)를 차체패널(10)의 설치공(12)에 조립시 하측면이 차체패널(10)의 상측면과 접하여 고정헤드부(30)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고정헤드부(30)의 삽입 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The support plate 40 prevents the flow of the fixed head part 30 by lower surface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nel 10 when assembling the fixed head part 30 to the installation hole 12 of the body panel 10. In addition, the fixing head portion 3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또한, 상기 밴드부(60)는 지지판(40)에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미도시)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and portion 60 i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40 is formed to fix the wire harness (not shown).

상기 밴드부(60)는 지지판(40)에 형성되는 결합부(62)와, 와이어 하네스를 감아서 결합부(62)에 삽입 결합되는 스트랩부재(64)로 이루어진다.The band part 60 includes a coupling part 62 formed on the support plate 40 and a strap member 64 wound around the wire harness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62.

즉, 상기 와이어 하네스는 밴드부(60)의 결합부(62)에 안착되어 스트랩부재(6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That is, the wire harness is fixed to the coupling part 62 of the band part 60 and fixed by the strap member 64.

종래 기술에 따른 밴드 케이블은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의 규격별로 밴드 케이블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밴드 케이블의 소요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자제 관리가 번거롭고, 규격별로 개발 품목이 발생하기 때문에 개발비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공용화가 불가능하여 차종별로 밴드 케이블을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o have a band c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re harness or the tube, not only the requirement of the band cable is increased, but also the maintenance control is cumbersome, and the development item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develop a band cable for each model.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olve this problem.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밴드 케이블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밴드 케이블로 다양한 규격의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규격별로 밴드 케이블을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밴드 케이블의 자제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개발 품목을 감소시켜 개발비를 절감하고, 공용화를 가능하게 하여 여러 차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밴드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view of such a point, it is possible to fix the wire harness or tube of various specifications with one band cable,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band cable for each band cabl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and cable that can be easily managed, reduces development items, reduces development costs, and enables common use.

상기한 목적은 차체패널의 설치공에 조립되는 고정헤드부와, 상기 고정헤드부 상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는 밴드부와, 상기 결합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를 고정할 수 있도록 크기 변형이 가능한 클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밴드 케이블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 fixed head part which is assembled to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vehicle body panel, a support plate which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head portion to support the fixed head portion, a coupling body formed on the support plate, and one side of the coupling body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band cable that is formed to include a band portion for fixing the wire harness, and a clip portion tha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to be capable of fixing the wire harness or tube of various sizes.

또한, 상기 밴드부는 상기 결합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일측에 결합돌기를 갖는 삽입구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감아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구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일측면에 걸림돌기를 갖는 스트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nd portion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coupling body, the insertion member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on one side, and the strap member having a locking protrusion on one side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wound around the wire harness and 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insertion hole. It is preferable to have a.

또한, 상기 클립부는 상기 결합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의 일측을 잡아주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의 사이즈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를 상기 고정대와의 사이에 고정시키는 이동고정대와, 상기 이동고정대를 상기 고정대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대와 상기 이동고정대의 체결부위에 형성되는 가변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lip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is fixed to hold the one side of the wire harness or tube, and fastened so as to be movable to the holder, the wire harness or tube is mov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re harness or It is preferable to have a moving fastening station for fixing the tube between the fixing bar, and a variable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ixing bar and the moving fixing table to fasten the movable fixing bar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xing bar.

또한, 상기 가변체결부는 상기 결합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쐐기 형상의 체결돌기를 갖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을 삽입하여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고정대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ariabl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piece having a wedge-shaped fastening protrusion, and having a fixing part formed on the movement fixing base to insert the insertion piece so as to be movable.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편을 삽입하는 체결구와, 상기 삽입편의 체결돌기와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에 대칭되는 형상의 고정돌기를 갖는 탄성체결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for inserting the insertion piec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insertion piece to be elastically coupled, and having a fixing protrusion of the shape symmetrical to the fastening protrus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fastening piece.

또한, 상기 삽입편의 체결돌기는 상기 이동고정대가 상기 고정대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높이가 낮은 부분이 상기 고정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insertion piece is preferably such that the portion of the lower height to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older so as to prevent the moving stopper from being sepa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older.

본 고안에 따른 밴드 케이블은 하나의 밴드 케이블로 다양한 규격의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를 고정할 수 있어 밴드 케이블이 소요량이 감소하고, 규격별로 밴드 케이블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밴드 케이블의 자제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개발 품목이 감소하여 개발비가 절감되며, 공용화가 가능하여 여러 차종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wire harnesses or tubes of various sizes with a single band cable, which reduces the amount of band cables, and does not require a band cable for each standard, making it easy to manage the band cable. In addition, the development cost is reduced by reducing the development item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a number of vehicles because it can be used in comm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밴드 케이블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 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우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케이블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이다.Firs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nd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band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케이블은 고정헤드부(130), 지지판(140), 결합몸체(150), 밴드부(160), 클립부(170)로 크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to 4, the band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xed head portion 130, the support plate 140, the coupling body 150, the band portion 160, the clip portion 170 It is composed largely.

먼저, 상기 고정헤드부(130)는 차체패널(110)의 설치공(112)에 조립되도록 형성된다.First, the fixed head 130 is formed to be assembled to the installation hole 112 of the vehicle body panel 110.

상기 고정헤드부(130)는 지지축(132)과, 지지축(132) 둘레에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후크부재(134)로 이루어진다.The fixed head 130 is formed around the support shaft 132, the support shaft 132, and comprises a hook member 134 having elasticity.

상기 후크부재(134)는 지지축(132)을 차체패널(110)의 설치공(112)에 삽입시 오므라졌다가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설치공(112) 주변부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지지축(132)의 삽입 반대 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The hook member 134 is collapsed when the support shaft 132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12 of the vehicle body panel 110 and is elastically opened so as to be hung on the periphery of the installation hole 112 to support the shaft 132. Insertion of the to prevent the devi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그리고, 상기 지지판(140)은 고정헤드부(130) 지지축(132)의 상측부에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차체패널(110)에 고정헤드부(130) 고정시 차체패널(110)의 상측면에 접하여 고정헤드부(130)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헤드부(130)의 삽입 방향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헤드부(130)가 차체패널(110)에 견고하게 고정 되도록 해준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1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head portion 130, the support shaft 132, the top of the body panel 110 when fixing the fixed head portion 130 to the body panel 110. The fixed head 13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to prevent the flow of the fixed head portion 130, and also prevents the deviation of the fixed head portion 130 in the insertion direction to ensure that the fixed head 130 is firmly fixed to the body panel 110.

또한, 상기 결합몸체(150)는 지지판(130)의 상측면에 형성되며, 측면에 와이어 하네스(120)를 안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body 15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30, it is provided to seat the wire harness 120 on the side.

그리고, 상기 밴드부(160)는 결합몸체(15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120)를 고정하게 된다.The band unit 16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upling body 150 to fix the wire harness 120.

여기서, 상기 밴드부(160)는 결합몸체(15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일측에 결합돌기(163)를 갖는 삽입구(162)와, 와이어 하네스(120)를 감아 삽입구(162)에 삽입되어 삽입구(162)의 결합돌기(163)와 결합되도록 일측면에 다수개의 걸림돌기(165)를 갖는 스트랩부재(164)를 구비한다.Here, the band portion 160 is form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coupling body 150, the insertion hole 162 and the wire harness 120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163 on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62 A strap member 164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65 on one side thereof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63 of the insertion hole 162.

상기 스트랩부재(164)는 결합몸체(150)에 안착되는 와이어 하네스(120) 둘레를 감아서 삽입구(162)에 삽입된다.The strap member 16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62 by wi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re harness 120 seated on the coupling body 150.

또한, 상기 삽입구(162)의 결합돌기(163)는 쐐기 형상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스트랩부재(164)의 걸림돌기(165)는 결합돌기(163)에 대칭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ngaging projection 163 of the insertion hole 162 is formed to have a resilient wedge shape, the locking projection 165 of the strap member 164 is formed in a wedge shape symmetrical to the engaging projection 163.

이때, 상기 삽입구(162)의 결합돌기(163)는 스트랩부재(164) 삽입시 다수개의 걸림돌기(165)에 의해 가압되어 구부러졌다가 스트랩부재(164)의 삽입이 멈추게 되면 걸림돌기(165)와 맞물리게 되어 스트랩부재(164)를 고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163 of the insertion hole 162 is bent by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165 when the strap member 164 is inserted, and when the insertion of the strap member 164 is stopped, the locking protrusion 165 is stopped. It is engaged with the to fix the strap member 164.

그리고, 상기 스트랩부재(164)의 걸림돌기(165)는 다수개로 구비되기 때문에 단계별로 와이어 하네스(1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165 of the strap member 164 is provided in plural, the wire harness 120 may be firmly fixed in stages.

한편, 상기 클립부(170)는 결합몸체(150)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양한 규격의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를 고정할 수 있도록 크기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clip portion 17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150 is provided so that the size can be modified to fix the wire harness 120 or tube 125 of various specifications.

여기서, 상기 클립부(170)는 결합몸체(150)의 타측에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의 일측을 잡아주는 고정대(172)와, 고정대(172)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의 규격에 따라 이동하여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를 고정대(172)와의 사이에 고정시키는 이동고정대(174)와, 이동고정대(174)를 고정대(172)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하기 위해 고정대(172)와 이동고정대(174)의 체결부위에 형성되는 가변체결부(176)를 구비한다.Here, the clip portion 17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150 is fixed to the wire harness 120 or one side of the tube 125 or the fixing stand 172, the fastening plate 172 is movable fastened to , The movement harness 174 for moving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to and from the stator 172 by moving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and the movement stator 174. In order to fasten so as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base 172, the variable fastening unit 176 is formed 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ixed base 172 and the movable fixing unit 174.

먼저, 상기 고정대(172)는 결합몸체(15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의 일측을 잡아주며,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끝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First, the fixture 172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150 to hold one side of the wire harness 120 or tube 125,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wire harness 120 or tube 125 The e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ok.

상기 이동고정대(174)는 고정대(172)와의 사이에 고정할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의 규격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대(172)에 체결되며,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끝단이 갈고리 형성으로 형성된다.The movable fixture 174 is fastened to the holder 172 to be movable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 harness 120 or tube 125 to be fixed between the holder 172, the wire harness 120 or tube 125 The tip is formed by hook formation to prevent the escape of).

그리고, 상기 가변체결부(176)는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의 규격에 따라 이동고정대(176)를 고정대(172)에 체결하여 이동 고정이 가능하도록 고정대(172)와 이동고정대(174)의 체결부위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variable fastening unit 176 is fastened to the fixing fixture 172 and the movable fixing stand to fasten the movable fixing stand 176 to the fixing stand 172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 harness 120 or tube 125 ( 174).

이때, 상기 가변체결부(176)는 결합몸체(150)의 타측에 형성되며, 쐐기 형상 의 체결돌기(179)를 갖는 삽입편(178)과, 삽입편(178)을 삽입하여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이동고정대(174)에 형성되는 고정부(180)를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variable fastening portion 176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150, the insertion piece 178 and the insertion piece 178 having a wedge-shaped fastening protrusion 179 is fixed to be inserted to move. It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180 is formed on the movable fixing table (174).

먼저, 상기 삽입편(178)은 이동고정대와(174) 체결되기 위해 결합몸체(15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일측면에 쐐기 형상의 체결돌기(179)를 구비한다.First, the insertion piece 178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150 to be fastened with the movable fixing 174, and has a wedge-shaped fastening protrusion 179 on one side.

그리고, 상기 고정부(180)는 삽입편(178)을 삽입하는 체결구(182)와, 삽입편(178)의 체결돌기(179)와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부(18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며, 체결돌기(179)에 대칭되는 형상의 고정돌기(185)를 갖는 탄성체결편(184)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180 is a fastener 182 for inserting the insertion piece 178 and a part of the fixing part 180 to be elastically coupled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179 of the insertion piece 178. It is formed by cutting and has an elastic fastening piece 184 having a fixing protrusion 185 of a shape symmetrical to the fastening protrusion 179.

상기 체결구(182)는 삽입편(178)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부(17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fastener 182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fixing portion 170 to insert the insertion piece 178.

또한, 상기 탄성체결편(184)은 탄성을 갖도록 고정부(17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며, 체결구(182)에 삽입되는 삽입편(178)의 체결돌기(179)와 결합할 수 있도록 끝단에 고정돌기(185)를 돌출 구비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fastening piece 184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70 to have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179 of the insertion piece 178 is inserted into the fastener 182. Protruding fixing protrusion 185 at the end.

상기 삽입편(178)이 체결구(182)에 삽입시 삽입편(178)의 체결돌기(179)가 고정돌기(185)의 경사진면을 따라 삽입된 후 고정돌기(185)와 맞물려 고정되는 것이다.When the insertion piece 178 is inserted into the fastener 182, the fastening protrusion 179 of the insertion piece 178 is insert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185 and then engag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185 to be fixed. will be.

이때, 상기 삽입편(178)의 체결돌기(179)는 이동고정대(174)가 고정대(172)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높이가 낮은 부분이 고정대(172)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astening protrusion 179 of the insertion piece 178 is preferably such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74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older 172 to prevent the moving stand 174 is separat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older 172. Do.

이는, 상기 체결돌기(179)의 높이가 낮은 부분이 고정대(172) 방향을 향하게 되면 이동고정대(174)가 고정대(172) 반대 방향으로는 잘 이동되지만 고정대(172) 방향으로의 이동은 어려워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 고정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This is,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79 toward the fixing stand 172, the movement fixing stand 174 moves well in the direction opposite the fixing stand 172, but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stand 172 is difficult to wire This is becaus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fixing th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그래서, 상기 체결돌기(179)는 높이가 낮은 부분을 고정대(172)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이동고정대(174)가 고정대(172) 측으로의 이동이 용이해져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를 고정하고, 고정대(172)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은 어려워져 고정대(172)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Thus, the fastening protrusion 179 is to move the lower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xing table 172, the movement fixing table 174 is easy to move to the fixing table 172 side wire harness 120 or tube 125 And the mov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older 172 is difficult to escape from the holder 172.

또한, 상기 삽입편(178)의 체결돌기(179)는 다수개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의 규격에 따라 단계별로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179 of the insertion piece 178 may be formed to be fix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케이블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and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헤드부(103)는 차체패널(110)의 설치공(1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fixed head 10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12 of the vehicle body panel 110 is fixed.

상기 고정헤드부(130)는 지지축(132)이 차체패널(110)의 설치공(112)에 삽입됨과 동시에 후크부재(134)가 오므라져서 삽입된 후 지지축(132)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설치공(112)의 주변부에 걸림으로써 차체패널(110)에 고정된다.The fixed head 130 is the support shaft 132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12 of the body panel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 member 134 is retracted and inserted after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shaft 132 is completed While being elastically restored, it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panel 110 by being caught around the periphery of the installation hole 112.

또한, 상기 고정헤드부(130)는 후크부재(134)가 설치공(112)의 주변부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삽입 반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fixing head 13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hook member 134 is fixed to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112.

상기 고정헤드부(130)는 송곳 또는 드라이버 등의 뾰족한 도구를 사용하여 후크부재(134)를 오므리면 설치공(112)에서의 분리가 가능하다.The fixed head portion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installation hole 112 by pinching the hook member 134 using a sharp tool such as an awl or a screwdriver.

상기 고정헤드부(130)는 차체패널(1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작업 후 발생되는 애프터서비스시 교체가 용이해진다.The fixed head 130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panel 110 to facilitate replacement during after-sales service generated after the work.

그리고, 상기 고정헤드부(130)가 차체패널(110)의 설치공(12)에 고정됨과 아울러 지지판(140)의 하측면이 차체패널(110)의 상측면에 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xing head 130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hole 12 of the vehicle body panel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4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panel 110.

상기 지지판(140)은 차체패널(110)에 밀착됨으로써 고정헤드부(13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헤드부(130)의 삽입 방향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헤드부(130)가 차체패널(1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해준다.The support plate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panel 110 to prevent the fixed head portion 130 from flowing, and prevents the fixed head portion 130 from being deviated from the insertion direction so that the fixed head portion 130 is the body panel ( 110) and firmly fixed to it.

그리고, 상기 결합몸체(150)의 측면에 와이어 하네스(120)를 안착시킨다.Then, the wire harness 120 is seated on the side of the coupling body 150.

이때, 상기 밴드부(160)의 스트랩부재(164)는 와이어 하네스(120)의 둘레를 감아서 삽입구(162)에 삽입된다.At this time, the strap member 164 of the band 160 is wound around the wire harness 1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62.

상기 스트랩부재(164)가 삽입구(162)에 삽입되면서 스트랩부재(164)의 걸림돌기(165)가 결합돌기(163)의 경사진면을 따라 계속 지나게 된다.As the strap member 16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62, the locking protrusion 165 of the strap member 164 continues to pas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63.

그리고, 상기 스트랩부재(164)는 와이어 하네스(120)의 둘레에 밀착됨과 동시에 삽입이 멈추어지고, 걸림돌기(165)가 결합돌기(163)와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결합몸체(150)에 고정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rap member 16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wire harness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insertion stops, the engaging projection 165 is fixed to the coupling body 150 by being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163.

상기 스트랩부재(164)는 송곳 또는 드라이버 등의 뾰족한 도구를 결합돌기(163)와 걸림돌기(165) 사이에 삽입하여 걸림돌기(165)를 들어림으로써 결합몸체(150)에서 분리가 가능하다.The strap member 164 may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body 150 by lifting a locking protrusion 165 by inserting a sharp tool such as an awl or a screwdriver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163 and the locking protrusion 165.

상기 스트랩부재(164)는 결합몸체(15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와이 어 하네스(120)의 교체시 유용한 장점이 있다.The strap member 164 is advantageously useful when replacing the wire harness 120 by being detachably assembled to the coupling body 150.

그리고, 상기 클립부(170)의 고정대(172)에 이동고정대(174)를 이동 가능하게 체결시킨다.Then, the movable fixing stand 174 is fastened to the fixing stand 172 of the clip unit 170 to be movable.

상기 이동고정대(174)는 가변체결부(176)에 의해 고정대(172)에 다양한 규격의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The movable fixing stand 174 is movably fastened to fix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of various sizes to the fixing unit 172 by the variable fastening unit 176.

이때, 상기 가변체결부(176)의 삽입편(178)을 고정부(180)에 형성되는 체결구(182)에 삽입한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piece 178 of the variable fastening portion 176 is inserted into the fastener 182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180.

그리고, 상기 고정대(172)와 이동고정대(174) 사이에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를 안착시킨다.In addition,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is seated between the holder 172 and the movable holder 174.

여기서, 상기 고정대(172)와 이동고정대(174)는 끝부분이 구부러져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의 이탈을 방지한다.Here, the fixing stand 172 and the movement fixing stand 174 is bent end portion is formed in a hook shap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wire harness 120 or tube 125.

또한, 상기 삽입편(178)이 체결구(182)에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편(178)의 체결돌기(179)가 고정돌기(185)의 경사진면을 따라 계속 지나게 된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iece 178 is inserted into the fastener 182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79 of the insertion piece 178 continues to pas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185.

그리고, 상기 삽입편(178)이 체결구(182)에 삽입될수록 고정대(172)와 이동고정대(174)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이동고정대(174)의 내측면이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의 둘레에 밀착된다.In addition, as the insertion piece 178 is inserted into the fastener 182, the fixing stand 172 and the movement fixing stand 174 are closer to each other,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movement fixing stand 174 is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그와 동시에, 상기 이동고정대(174)의 이동이 멈추어지고, 체결돌기(179)가 탄성체결편(184)의 고정돌기(185)와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고정대(172)와 이동고정대(174)가 체결된다.At the same tim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ixing stand 174 is stopped, and the fixing protrusion 179 is engag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185 of the elastic fastening piece 184, so that the fixing table 172 and the moving fixing table 174 are fastened. do.

즉, 상기 고정대(172)와 이동고정대(174)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그 사이에 안착되는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를 고정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astening rod 172 and the movable fixing rod 174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ix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seated therebetween.

한편, 상기 클립부(170)는 가변체결부(176)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를 이탈시키거나 다른 규격의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로 교체시에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lip unit 170 can be separated by the variable fastening unit 176,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is separated or the wire harness 120 or tube 125 of a different standard Easy to replace

상기 고정부(180)의 탄성체결편(184)을 고정돌기(185)가 돌출된 반대 방향으로 구부려 체결돌기(179)와 고정돌기(185)의 결합을 해체함으로써 이동고정대(174)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elastic fastening piece 184 of the fixing part 180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which the fixing protrusion 185 protrudes to disengage the coupling between the fastening protrusion 179 and the fixing protrusion 185 to freely move the movable fixing table 174. You can.

그리고, 상기 이동고정대(174)를 이동시켜 고정대(172)와 이동고정대(174) 사이가 벌어지면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를 이탈시키거나 다른 규격의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stopper 174 is moved between the holder 172 and the movement stopper 174,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is separated or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of another standard ( 125).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케이블은 하나의 밴드 케이블로 다양한 규격의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를 고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nd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ix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of various sizes with one band cable.

그리고, 본 고안은 하나의 밴드 케이블에 다수개의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를 동시에 고정함으로써 소요량이 감소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requirements by simultaneously fixing a plurality of wire harnesses 120 or tubes 125 to one band cable.

또한,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의 규격별로 밴드 케이블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자제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개발 품목이 감소하여 개발비가 절감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provide a band cabl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it is easy to control the control as well as the development cost is reduced and development costs are reduced.

그리고,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120) 또는 튜브(125)규격에 구애받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어 공용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models because it is not limited to the wire harness 120 or the tube 125, it is possible to use the common.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밴드 케이블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nd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케이블의 사용 상태도이다.3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band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 차체패널 120 : 와이어 하네스110: body panel 120: wire harness

130 : 고정헤드부 140 : 지지판130: fixed head 140: support plate

150 : 결합몸체 160 : 밴드부150: coupling body 160: band portion

170 : 클립부 172 : 고정대170: clip portion 172: holder

174 : 이동고정대 176 : 가변체결부174: mobile fixed station 176: variable fastening

178 : 삽입편 180 : 고정부178: insertion piece 180: fixing part

182 : 체결구 184 : 탄성체결편182: fastener 184: elastic fastener

Claims (6)

차체패널의 설치공에 조립되는 고정헤드부와;A fixed head unit assembled to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vehicle body panel; 상기 고정헤드부 상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A support plat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fixed head part to support the fixed head part;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결합몸체와;A coupling body formed on the support plate; 상기 결합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는 밴드부와;A band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coupling body to fix the wire harness; 상기 결합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를 고정할 수 있도록 크기 변형이 가능한 클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Band cab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including a clip portion capable of size modification so as to fix the wire harness or tube of various siz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밴드부는 상기 결합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일측에 결합돌기를 갖는 삽입구와;The band portion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coupling body, and the insertion hole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on one side;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감아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구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일측면에 걸림돌기를 갖는 스트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Band cab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trap member having a locking projection on one side of the wire harness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insertion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클립부는 상기 결합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의 일측을 잡아주는 고정대와;The clip un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for holding one side of the wire harness or tube; 상기 고정대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의 사이즈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와이어 하네스 또는 튜브를 상기 고정대와의 사이에 고정시키는 이동고정대와;A movable fixing stand movable to the fixing stand and fix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re harness or tube to fix the wire harness or tube to the fixing stand; 상기 이동고정대를 상기 고정대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대와 상기 이동고정대의 체결부위에 형성되는 가변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Band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riable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astening and the movable fixing to fasten the movable fixing stand relative to the fixing.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가변체결부는 상기 결합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쐐기 형상의 체결돌기를 갖는 삽입편과;The variabl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the insertion piece having a wedge-shaped fastening protrusion; 상기 삽입편을 삽입하여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고정대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Band cab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formed in the movable fixing to insert the insertion piece to be movabl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편을 삽입하는 체결구와;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fastener for inserting the insertion piece; 상기 삽입편의 체결돌기와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부 를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에 대칭되는 형상의 고정돌기를 갖는 탄성체결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Band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so as to be elastically coupled with the fastening projection of the insertion piece, the elastic fastening piece having a fixing projection of the shape symmetrical to the fastening projec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삽입편의 체결돌기는 상기 이동고정대가 상기 고정대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높이가 낮은 부분이 상기 고정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insertion piece is a band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is directe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older so as to prevent the moving stopper from being sepa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older.
KR2020070013772U 2007-08-20 2007-08-20 Band cable KR2009000173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772U KR20090001735U (en) 2007-08-20 2007-08-20 Band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772U KR20090001735U (en) 2007-08-20 2007-08-20 Band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735U true KR20090001735U (en) 2009-02-25

Family

ID=4129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772U KR20090001735U (en) 2007-08-20 2007-08-20 Band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735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235A (en) *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경신 Wiring clip of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235A (en) *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경신 Wiring clip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696068U (en) Fixing device for wiring harness
EP2599405B1 (en) Seat and a cover fixing method of the seat
CN104386005B (en) A kind of automobile controller fixed structure
KR20090001735U (en) Band cable
JP2002225647A (en) Fixing clip
KR200442540Y1 (en) Holding clip for wire harness
KR200442072Y1 (en) Fixing clip for wire harness
CN203172588U (en) Fixing mechanism of safety belt locking tongue
KR101879863B1 (en) Battery pack mounting type protector
KR100637696B1 (en) Wire harness fix clip
KR20090005938U (en) Band cable
KR200378967Y1 (en) Wire harness fix clip
KR200443361Y1 (en) Clip for fixing
US20150175017A1 (en) Cover-integrated clamp for electronic part in eco-friendly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KR101816128B1 (en) Multipurpose band cable
KR200427193Y1 (en) Fixing clip
JP2019170051A (en) Harness clip and holding method thereof
KR200401180Y1 (en) A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Band Cable For Fixing The Wire Harness
JP5533192B2 (en) How to attach the wire harness to the support
CN219406287U (en) Automobile atmosphere lamp, fixing structure and vehicle
KR200389116Y1 (en) Wire harness fix clip
KR200410756Y1 (en) Detachable Wire Harness Fixing Device
KR20190081440A (en) Multipurpose band cable
CN219739496U (en) Mounting and fixing piece for multiple connectors
CN202327371U (en) Wire harness passing-hole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