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622A - 위치기반 유씨씨 생성 방법,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유씨씨 생성 방법,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622A
KR20090001622A KR1020070043435A KR20070043435A KR20090001622A KR 20090001622 A KR20090001622 A KR 20090001622A KR 1020070043435 A KR1020070043435 A KR 1020070043435A KR 20070043435 A KR20070043435 A KR 20070043435A KR 20090001622 A KR20090001622 A KR 20090001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cc
user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진
이정환
민동순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622A/ko
Publication of KR2009000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 유씨씨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특정 지역을 파악하며, 특정 지역을 포함하는 맵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맵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POI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파악한 후 파악한 위치좌표를 사용자가 선택한 UCC(User Created Contents) 이미지에 부가하여 UCC를 생성한다.
위치정보, UCC, 촬영, 이미지

Description

위치기반 유씨씨 생성 방법,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Method, service server and user terminal for creating UCC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CC 서비스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OI(Point Of Interest)를 선택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위치기반 UCC(User Created Contents) 생성 방법 및 UCC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 동영상 등을 촬영한 촬영위치를 맵 정보에 표시된 POI(Point Of Interest)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이를 좌표 정보로 변환한 후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에 상기 좌표 정보를 합성하여 UCC를 생성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UCC는 사용자가 직접 만든 컨텐츠로서, 이때 컨텐츠는 웹이나 왑에서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컨데, UCC는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 또는 사용자가 제작한 음악, 이미지 등 일 수 있다. 웹 상에 올라오는 UCC의 대부분은 이미지 계열의 컨텐츠 즉, 사진이나 동영상이다.
현재 사용자가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시의 촬영위치를 이미지나 동영상에 부가하여 저장한 후, 웹이나 타인에게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진이나 동영상에 부가되는 촬영위치는 이동 단말기 또는 카메라 등에 내장된 GPS 모듈을 통해 얻어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동 단말기 또는 카메라가 GPS 모듈을 탑재하고 있지 않거나 GPS 음영 지역에서는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에 촬영 시의 촬영위치를 부가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사진이나 동영상에 촬영 위치를 부가하는 방법은 촬영 직후 자동으로 파악되는 현재의 위치를 사진이나 동영상에 부가하기 때문에, 촬영 위치가 부가되지 않은 채 저장되어 있는 사진이나 동영상(예; 다운받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사진이나 동영상)에 대해서는 촬영 위치를 부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GPS 모듈을 탑재하지 않거나 GPS 음영 지역에서도 UCC 이미지(촬영 위치가 부가되는 사진이나 동영상)에 정확한 촬영위치를 부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UCC 이미지에 대하여 언제 어디에서든지 촬영 위치를 부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예; 핸드폰, 카메라, 노트북, PDA 등) 및 고정 단말기(데스크탑 컴퓨터 등)에서도 촬영 위치가 부가된 UCC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상에 표시된 맵 정보- 하나 이상의 POI 포함-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UCC 이미지에 상기 파악한 위치좌표가 부가된 UCC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좌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특정 지역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또는/및,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지역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지역을 포함하는 상기 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UCC 생성 이벤트가 발생된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GPS 위치 정보로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UCC 생성 이벤트가 발생된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이동통신망의 HLR/VLR을 통해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UCC(User Created Contents) 생성 이벤트 발생에 따라 사용자에게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특정 지역을 포함하는 맵 정보-하나 이상의 POI 포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맵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를 서비 스 서버에 제공하여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시 선택된 UCC 이미지에 상기 위치좌표를 부가하여 생성한 UCC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사체 촬영을 감지하는 단계, 음영모드-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영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가장 최근에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맵 정보- 하나 이상의 POI 포함-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맵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여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 촬영에 의해 촬영된 UCC 이미지에 상기 위치좌표를 부가하여 생성한 UCC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UCC 생성 이벤트가 발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POI(Point Of Interest)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파악하는 위치좌표 파악부, 및 상기 위치좌표 파악부에 의해 파악된 위치좌표를 사용자가 선택한 UCC(User Created Contents) 이미지에 부가하여 UCC를 생성하는 UCC 생성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면 특정 지역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제1 촬영위치 파악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의 맵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 지역을 포함하는 맵 정보-하나 이상의 POI 포함-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POI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기지국 영역을 이동통신망의 HLR/VLR를 통해 파악하고, 상기 기지국 영역을 포함하는 특정 지역의 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제2 촬영위치 파악부, 상기 UCC 생성 이벤트가 발생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GPS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지역의 맵 정보-하나 이상의 POI 포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3 촬영위치 파악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맵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POI에 대응된 고유의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가 UCC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데이터망에 무선 접속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통신부; 사용자가 UCC 생성을 위해 제1 UCC 이미지를 선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UCC 이미지에 관련된 POI(Point Of Interest)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위치 지정부;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위치 지정부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수신한 위치 좌표를 상기 제1 UCC 이미지에 부가하여 UCC를 생성하는 UCC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위치 지정부는,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제1 지역을 포함하는 맵 정보-하나 이상의 POI 포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맵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POI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알린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성으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위치 지정부는 사용자가 상기 제1 UCC 이미지를 선택하면, 상기 GPS 위치정보로 파악되는 제1 위치좌표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제1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특정 지역의 맵 정보-하나 이상의 POI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맵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POI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맵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POI에 대응된 고유의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UCC(User Created Contents)를 생성할 수 있게 하고 고정 위치에서 사용되는 고정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 고정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데이터망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통신부, UCC 이미지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가 UCC 생성을 위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UCC 이미지를 선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UCC 이미지에 관련된 POI(Point Of Interest)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위치 지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위치 지정부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수신한 위치 좌표를 상기 제1 UCC 이미지에 부가하여 UCC를 생성하는 UCC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및 서비스 서버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CC 서비스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기(100), UCC 서비스 서버(200),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버(300), 응용 서버(500) 및 수신 단말기(6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서비스 네트워크는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 HLR(홈위치등록기)/VLR(방문자위치등록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데이터망에 접속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예컨데, 이동성 여부에 따라 구분하면 이동 단말기(101)와 고정단말기(102)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1)는 휴대가 가능하며 데이터망(예: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을 총칭한다. 예컨데, 이동 단말기(101)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망에 접속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무선랜을 통해 데이터망에 접속하는 노트북, 와이브로 단말기, PDA, 디지털카메라 등일 수 있다. 고정단말기(102)는 고정 위치에 사용되면서 데이터망에 접속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을 총칭한다. 예컨데, 고정단말기(102)는 데스크탑 컴퓨터, 네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UCC 생성을 요구에 따른 이벤트 발생시, POI 선택 기능을 수행하는 POI 선택 장치 또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UCC 생성 요구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이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선택하여 UCC 생성을 요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에서 POI 선택 기능은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된 맵 정보(POI, 지도 포함)에서 자신이 원하는 지점(즉,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 지점)의 POI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POI 선택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100)가 맵 정보를 탑재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는 경우에 따라 크게 2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제1 형태의 POI 선택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100)가 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 대응되며, 이벤트 발생시 특정 지역(예컨데, 해당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한 촬영 지역)의 맵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화면 상에 표시된 맵 정보에서 사용자가 POI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제2 형태의 POI 선택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100)가 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아 UCC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맵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에 대응되며, 이벤트 발생시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특정 지역의 맵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화면 상에 표시된 맵 정보에서 사용자가 POI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POI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선택할 POI를 포함하는 맵 정보에 대응된 특정 지역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정 지역을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데, 사용자로부터 특정 지역의 정보를 얻는 제1 지역파악방법과, 자동으로 특정 지역을 파악하는 제2 지역파악방법이 있다.
제1 지역파악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사용자에게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도 4 참조)를 제공하여 특정 지역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특정 지역을 파악하는 방법이고, 제2 지역파악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공한 GPS 위치정보 즉, 좌표정보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보관된 HLR/VLR(400)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100)이 위치한 특정 지역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제2 지역파악방법은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 이때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기지국을 이용하는 단말기이거나 GPS 모듈이 탑재된 단말기이다.
제1 지역파악방법은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곳(사용자 단말기 또는 UCC 서비스 서버)이 수행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POI 선택 장치 또는 프로그램은 UCC 서비스 서버(200)가 제2 방법 및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1 지역파악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는 POI 선택 기능과 더불어,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를 UCC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하는 POI 전송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UCC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위치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UCC 생성 기능 즉, UCC 이미지와 촬영 위치를 합성하는 UCC 생성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UCC 서비스 서버(200)는 데이터망(예: 인터넷망)에 위치하며, 이벤트가 발생한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최소한 사용자가 POI를 선택할 수 있도록 특정 지역의 맵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UCC 서비스 서버(200)는 LBS 서버(300)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맵 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UCC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POI 정보로부터 해당하는 위치 좌표를 파악한다. 이때 위치 좌표 파악은 LBS 서버(300)를 이용한다.
또한 UCC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지역파악방법을 수행하거나, GPS 위치정보 또는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는 제2 지역파악방법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특정 지역의 맵을 파악한다.
또한, UCC 서비스 서버(200)는 자체적으로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 좌표를 UCC 이미지에 부가하여 UCC를 생성하며, 사용자 단말기(100)가 UCC 생성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0)로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 좌표를 제공하기도 한다.
LBS 서버(300)는 위치 정보 기반의 서비스 서버로서, UCC 서비스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지역의 맵 정보(POI, 지리 정보 포함)와, 각 POI에 대응된 위치 좌표를 제공한다.
응용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및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의 UCC를 수신하고 이용하는 모든 종류의 인터넷 서버를 총칭한다. 그리고 수신 단말기(6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및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의 UCC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기를 총칭한다.
이하, 도 2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UCC 서비스 서버(2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키입력부(110), 데이터통신부(130), 위치지정부(140), UCC 관리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키입력부(110) 조작에 따라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시는 카메라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GPS 신호로부터 현재 위치 좌표를 파악하는 GPS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메뉴 선택, 명령 입력, 문자 입력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데이터 통신부(130)는 데이터망에 접속하여 UCC 서비스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예; 핸드폰)이면 CDMA, GSM, WCDMA 등의 이동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데이터망에 접속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예; 노트북, PDA)이면 무선 랜 카드,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망에 접속하며, 고정 단말기(102)(예; 데스크탑 컴퓨터)이면 유선 랜 카드, 전력선 통신 모듈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망에 접속한다.
위치지정부(140)는 도 1에서 설명한 POI 선택 장치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의 POI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역선택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 POI 선택 기능과 POI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때 지역선택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은 UCC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거나, UCC 서비스 서버(200)가 기지국 정보 또는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자체적으로 파악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 이용된다.
그리고 위치지정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0) 자체에 맵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맵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의 맵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UCC 관리부(15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UCC 이미지 또는 UCC를 사용자가 확인하거나 편집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UCC 관리부(150)는 UCC 생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자체 촬영한 이미지, 자체 생성한 UCC나 UCC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UCC 또는 UCC 이미지를 저장한다.
한편,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기(100)는 UCC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좌표를 UCC 이미지에 부가하여 UCC를 생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UCC 서비스 서버(200)는 회원 관리부(210), 지역정보 제공부(220), 좌표 파악부(230), UCC 생성부(240), UCC 처리부(250), 송신부(260)와 데이터베이스(270)를 포함한다.
회원 관리부(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서비스 등록 및 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 등록은 사용자의 개인신상정보, 사용자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 등을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이를 회원 DB(271)에 등록하는 것이고, 서비스 해제는 회원 DB(271)로부터 서비스 등록시 저장한 각종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다. 회원 관리부(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회원 DB(271)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게 한다.
지역정보 제공부(220)는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에 대응된 맵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지역정보 제공부(220)는 현재위치 파악부(221)와 POI 제공부(222)를 포함한다.
현재위치 파악부(221)는 사용자가 특정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선택 인터페이스(도 4 참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현재위치 파악부(221)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 자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단말기임)의 촬영지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HLR/VLR(4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기지국 정보(즉, 셀 ID)를 획득하고 셀 ID에 대응된 기지국 영역을 파악하며, 이때 파악한 지역을 촬영지역으로 판단한다.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지역을 판단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즉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OI 제공부(222)는 현재위치 파악부(221)로부터 촬영지역 정보를 수신하면, POI 지도 DB(272)를 이용하거나 LBS 서버(300)에 접속하여 촬영지역을 포함하는 맵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그리고 POI 제공부(22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UCC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를 수신한다.
좌표 파악부(230)는 POI 제공부(222)로부터 POI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POI 정보에 대응된 좌표 정보를 POI 좌표 DB(273) 또는 LBS 서버(300)로부터 파악한다. 여기서 POI 정보는 POI명과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역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POI명이 위치한 맵의 식별정보이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POI명이 위치한 행정구역 상의 주소 정보 등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동일한 POI명 중에서 특정된 하나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정보이다. POI명은 맵 정보 중 특정 지점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도 4를 참조). 좌표 파악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좌표 정보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에 송신부(260)를 통해 POI 정보에 대응된 좌표 정보를 제공한다.
UCC 생성부(240)는 POI 제공부(222)에서 수신한 UCC 이미지와 좌표 파악부(230)에서 파악한 좌표 정보가 합성된 UCC를 생성하며, 생성된 UCC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또는 그 밖의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UCC DB(274)에 저장시킨다.
UCC 처리부(250)는 UCC DB(274)에 저장된 UCC 이미지 및 UCC를 편집하거나, UCC 이미지 및 UCC를 응용 서버(500)나 수신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UCC 처리부(250)는 UCC DB(274)에 저장된 UCC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시킬 때 지도(맵 정보) 상의 POI와 상기 UCC에 포함된 위치좌표를 매칭시켜 표시되게 한다.
데이터베이스(720)는 기본적으로, 회원 DB(271)와 UCC DB(274)를 포함하며, POI 지도 DB(272)와 POI 좌표 DB(27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회원 DB(271)는 각 회원별 회원 신상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UCC 서비스 서버(200)로 로그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한다. UCC DB(274)는 회원별 UCC 이미지와 UCC를 저장한다.
POI 지도 DB(272)와 POI 좌표 DB(273)는 LBS 서버(30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즉, POI 지도 DB(272)는 각 지역별 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POI 좌표 DB(273)는 POI 정보와 이 POI 정보에 매칭된 맵 정보 상의 좌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은 POI 지도 DB(272)와 POI 좌표 DB(273)를 구축하게 되면, LBS 서버(300)를 이용할 경우에 제공받는 맵 정보와 좌표 정보를 자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촬영 위치가 부가될 UCC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S310)을 가진다. UCC 이미지의 선택은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UCC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촬영 위치를 선택(지정)할 수 있도록 현재 위치(즉, 촬영 위치)를 포함하는 맵 정보를 호출하는 과정(S320)을 가진다. 맵 정보를 호출하는 과정(S320)은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과정과,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지역의 맵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UCC 서비스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한 촬영시 생성된 UCC 이미지에 대응한 촬영 지역(즉, 특정 지역)을 기지국 정보를 통해 파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경우에 S320 과정의 제1 과정은 생략되고, 제2 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없이 특정 지역의 맵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S320 과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특정 지역의 맵 정보가 표시되면, 본 발명은 화면 상에 표시된 맵 정보에서 사용자가 특정 POI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과정(S330)을 가진다. POI 선택 과정(S330)에서 특정 POI를 선택할 수 있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한다.
사용자에 의해 POI가 선택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POI명과 사용자가 선택한 POI명을 포함하는 특정 지역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POI 정보를 생성하고 UCC 서비스 서버(200)에 알리는 과정(S340)을 가진다.
본 발명은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POI 정보를 좌표 정보를 변환시키는 과정(S350)을 가진다. POI 정보는 지도 중 특정 위치좌표에 매칭되어 표시되어 있으며, 위치 좌표 정보는 특정 지역의 식별정보 및 POI명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UCC 서비스 서버(200)는 저장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POI 정보를 좌표 정보로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다.
위치 좌표가 파악되면, 본 발명은 UCC 이미지에 위치 좌표를 합성하여 UCC를 생성하는 과정(S360)을 가진다. 이때 UCC 생성은 위치 좌표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및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치 좌표가 부가된 UCC가 생성되면 UCC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및 UCC 서비스 서버(200)에 저장하는 과정(S370)을 가진다.
한편, UCC 이미지를 선택 방법 중 피사체를 촬영하여 선택하는 방법은 모든과정 중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나, 저장된 UCC를 선택하는 방법은 UCC 이미지와 위치 좌표를 합성하는 과정(S360) 이전에 수행되도록 하면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과정에서 제공되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POI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OI(Point Of Interest)를 선택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4에서 P1은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의 종류이고, P2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한 특정 지역에 대한 맵 정보이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의 종류(P1)로는 1. 지도를 이용하는 방법. 2. 지역 리스트를 이용하는 방법, 3. 주소를 이용하는 방법, 4.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방법, 5. GPS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및 6. 명칭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지도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를 행정구역(특별시/직할시/도, 시/군/구 등)으로 구분된 지도 형상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넓은 범위에서 좁은 범위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지역 리스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UI를 행정구역상의 지역 리스트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넓은 지역에서 좁은 지역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지역 리스트는 텍스트로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주소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특정 지점의 주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대응하여 P2는 해당 주소를 포함하는 맵 정보가 된다.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방법은 전호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대응하여 P2는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주소지를 포함하는 맵 정보가 된다.
GPS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GPS 모듈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100)가 GPS 음영 지역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행하는 방법으로, GPS 음영 지역에 진입하면 GPS 음영 지역에 진입하기 바로 전에 최종 수신된 GPS 정보를 저장한 후 위치부가 이벤트가 발생될 때 저장된 GPS 정보로 파악되는 지점을 포함하는 지역의 맵 정보(P2)를 요청한다.
그리고 명칭을 이용하는 방법은 명칭을 입력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특정 명칭(초성 포함)을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명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덱스(index)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인덱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그러면 이에 대응한 P2는 사용자가 선택한 인덱스의 지역을 포함하는 맵 정보가 된다. 상기에서 명칭은 특정 지역이나 지점을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명칭으로, 서울역, 중구청, 매봉터널, 국립중앙박물관 등이며, POI 명칭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1 내지 5의 지역선택 인터페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지국을 이용한 지역선택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이하에서 도 7을 참조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지역이 선택되면, 특정 지역을 포함하는 맵 정보(P2)가 제공된다. 도 4에서 맵 정보(P2)는 사용자가 "서울특별시 중구"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맵 정보이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맵 정보(P2)는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맵 정보(P2)를 확인용 UI는 특정 지역을 확대 및 축소할 수 있게 하고, 방향키의 조작에 따라 상하좌우로의 스크롤 이동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지역의 맵 정보(P2)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맵 정보(P2)에서 원하는 지점의 POI를 선택한다. 도 4에서 선택된 POI는 그 이름(POI명)이 중구청이다.
이때 POI 선택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는 POI명과 특징 지역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POI 정보를 생성하여 UCC 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설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로서,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LBS 서버(300)를 이용하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UCC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저장된 UCC 이미지를 선택하고(S501), 촬영 또는 선택한 UCC 이미지에 대한 위치좌표 부가를 요청하는 메뉴인 "위치저장 메뉴"를 선택한다(S502).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UCC 서비스 서버(200)로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S503), UCC 서비스 서버(200)는 현재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지역선택 인 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S504).
사용자가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종적으로 특정 지역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에 대한 식별정보를 UCC 서비스 서버(200)에 알려 해당 지역의 맵 정보(P2)를 요구한다(S505).
UCC 서비스 서버(200)는 맵 정보(P2) 요구에 따라 LBS 서버(300)로 해당 지역의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맵 정보(P2)를 요구하고(S506), 획득하여(S507),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한다(S508).
사용자 단말기(100)는 맵 정보(P2)를 수신하면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상에 표시한다(S509). 이에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된 맵 정보(P2)에서 원하는 지점의 POI를 선택하면(510), 사용자 단말기(100)는 POI 정보를 생성하여 UCC 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하여 위치좌표를 요구한다(S511).
그러면 UCC 서비스 서버(200)는 POI 정보에 포함된 특정 지역의 식별정보와 POI명을 LBS 서버(300)에 제공하여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요구하고(S512), 획득한 후(S513),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획득한 위치좌표를 제공한다(S514).
사용자 단말기(100)는 위치좌표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UCC 이미지와 합성하여 UCC를 생성하고(S515), 생성한 UCC를 자체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516).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생성한 UCC를 자체 저장함과 더불어, UCC 서비스 서버(200)에 생성한 UCC를 제공하여 UCC 서비스 서버(200)가 해당 사용자의 UCC를 저장하게 한다(S518).
이렇게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및 UCC 서비스 서버(200)에 저장된 사용자의 UCC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UCC 서비스 서버(200)에 의해 수신 단말기(600) 또는 응용 서버(500)에 제공된다.
이하,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설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로서,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LBS 서버(300)를 이용하며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UCC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저장된 UCC 이미지를 선택하고(S601), 촬영 또는 선택한 UCC 이미지에 대한 위치좌표 부가를 요청하는 메뉴인 "위치저장 메뉴"를 선택한다(S602).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UCC 서비스 서버(200)로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S603), UCC 서비스 서버(200)는 현재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S604). 사용자가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종적으로 특정 지역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에 대한 식별정보를 UCC 서비스 서버(200)에 알려 해당 지역의 맵 정보(P2)를 요구한다(S605).
UCC 서비스 서버(200)는 맵 정보(P2) 요구에 따라 LBS 서버(300)로 해당 지역의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맵 정보(P2)를 요구하고(S606), 획득하여(S607),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한다(S608).
사용자 단말기(100)는 맵 정보(P2)를 수신하면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상에 표시한다(S609). 이에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된 맵 정보(P2)에서 원하는 지점의 POI를 선택하면(S610), 사용자 단말기(100)는 POI 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UCC 이미지와 POI 정보를 UCC 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하여 위치좌표가 부가된 UCC 생성을 요구한다(S611).
그러면 UCC 서비스 서버(200)는 POI 정보에 포함된 특정 지역의 식별정보와 POI명을 LBS 서버(300)에 제공하여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요구하고(S612), 획득한다(S613). 그리고 UCC 서비스 서버(200)는 획득한 위치좌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UCC 이미지와 합성하여 UCC를 생성하며(S614), 생성한 UCC를 사용자의 식별정보(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UCC DB(274)에 저장한다(S615).
한편, UCC 서비스 서버(200)는 생성한 UCC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UCC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설명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로서, UCC 서비스 서버(200)가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사 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POI를 포함하는 맵 정보(P2)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제3 실시 예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저장된 UCC 이미지를 선택하고(S701), 촬영 또는 선택한 UCC 이미지에 대한 위치좌표 부가를 요청하는 메뉴인 "위치저장 메뉴"를 선택한다(S702).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UCC 서비스 서버(200)로 현재 위치 정보 파악을 요청한다(S703).
이에 UCC 서비스 서버(200)는 이동통신망(100)의 HLR/VLR(400)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예: 이동전화번호)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704).
그러면 HLR/VLR(40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된 현재 위치 정보 즉,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파악하고, 이 셀 ID 정보를 UCC 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한다(S705).
UCC 서비스 서버(200)는 HLR/VLR(400)로부터 셀 ID 정보를 수신하면 기지국별 셀 ID와 지역의 식별정보가 매칭된 테이블(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식별정보를 판단한다(S706).
그런 다음, UCC 서비스 서버(200)는 지역의 식별정보를 LBS 서버(300)에 제공하여 위치좌표를 요구하고(S707), 획득한다(S707).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위치 좌표를 획득하면, 제1 실시 예의 S514 과정 이 수행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UCC를 생성하거나, 제2 실시 예의 S614 과정이 수행되어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UCC를 생성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기지국 정보 대신에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GPS 모듈을 탑재하고 있어야 한다.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변형 실시 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a) 사용자 단말기(100)는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GPS 모듈을 통해 수신한 GPS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현재 위치한 제1 위치 좌표(즉, GPS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UCC 서비스 서버(200)에게 제공한다.
b) UCC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한 제1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특정 지역의 맵 정보를 LBS 서버(300)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획득한 맵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게 제공한다.
c)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상에 표시된 맵 정보 중에서 원하는 POI를 선택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POI 선택에 대응하여 POI 정보를 생성하여 UCC 서비스 서버(200)에게 제공한다.
d) UCC 서비스 서버(200)는 LBS 서버(3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POI에 대응된 제2 위치 좌표를 파악한다.
e)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및 UCC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2 위치 좌표가 부가된 UCC를 생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UCC를 지도 상에 표시할 때 연관성있는 UCC들을 일관성을 가지고 표시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예컨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제1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UCC를 생성하는 경우에 지도 상에 표시되는 제1 위치 좌표를 기반으로 한 UCC는 특정일, 특정 시간대, 특정 지역에서 생성한 UCC일지라도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촬영하게 되면 서로 다른 지점, 특히 지도 상에 POI에 관련없는 지점 여기 저기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특정일, 특정 시간대, 특정 지역에서 생성한 복수의 UCC는 특정일이 아닌 그 외의 날, 특정 지역에서 생성한 복수의 UCC와 구별하여 표시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일, 특정 시간대, 특정 지역에서 생성한 UCC는 POI에 매칭되어 촬영 시간에 따라 번호 매김되므로, 특정일이 아닌 그 외의 날, 특정 지역에서 생성한 복수의 UCC를 다른 형태로 번호 매김하거나 표시하면 사용자가 쉽게 연관성 있는 특정 UCC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사용자 단말기(100)가 GPS 모듈을 탑재한 이동 단말기(101)이고 이동 단말기(101)가 GPS 음영 지역에 진입한 상태일 때 UCC 서비스 서버(200)가 GPS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맵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현재 위치한 지역이 GPS 음영 지역이 아니면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 좌표를 파악한다(S801).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100)가 지하나 건물 등과 같이 GPS 음영 지역에 진입하면, GPS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도달하지 못하며,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렇게 GPS 신호가 수신되지 못하는 상황을 감지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시로 GPS 음영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감지 즉, 판단하고(S802), GPS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면 음영모드를 설정한다(S803). 음영모드가 설정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GPS 신호를 음영모드용 신호로 설정하여 저장한다(S804).
한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면(S805), 사용자 단말기(100)는 현재 설정 모드가 음영모드인지를 판단한다(S806).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판단(S806)에서 현재 설정 모드가 음영모드가 아니면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S807). 여기서 일반적인 동작이란 GPS 신호를 이용한 현재 위치좌표 파악 및 이 위치좌표를 이용한 UCC 이미지와의 합성이거나, 촬영한 이미지의 저장 등일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판단(S806)에서 현재 설정 모드가 음영모드이면 음영모드용으로 저장된 GPS 신호로부터 현재 위치좌표를 파악하고, 파악한 위치좌표를 UCC 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하여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맵 정보(P2)를 요청한다(S808).
그러면, UCC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한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맵 정보(P2)를 LBS 서버(300)로부터 획득하여(S507, S607),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맵 정보(P2)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맵 정보(P2)에 표시된 POI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GPS 모듈을 탑재하지 않은 사용자 단말기에서도 정확한 촬영위치가 부가된 UCC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GPS 음영 지역에서도 정확한 촬영위치가 부가된 UCC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시점이 아니더라도 언제 어디에서든지 UCC 이미지에 촬영 위치를 부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데스크탑 컴퓨터에서도 촬영 위치가 부가된 UCC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Claims (48)

  1. a)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상에 표시된 맵 정보- 하나 이상의 POI(Point Of Interest) 포함-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파악하는 단계; 및
    d) 사용자가 선택한 UCC(User Created Contents) 이미지에 상기 파악한 위치좌표가 부가된 UCC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좌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특정 지역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맵 정보는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지역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지역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지역을 포함하는 상기 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 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 이벤트가 발생된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GPS 위치 정보로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 이벤트가 발생된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이동통신망의 HLR/VLR을 통해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피사체 촬영에 연동하여 사용자 요청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자체 저장된 UCC 이미지를 호출하는 기능에 연동하여 사용자 요청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는,
    지도를 이용하는 방법, 지역 리스트를 이용하는 방법, 주소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방법, 지역 명칭을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UCC가 생성되도록 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UCC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생성한 UCC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11. a) UCC(User Created Contents) 생성 이벤트 발생에 따라 사용자에게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특정 지역을 포함하는 맵 정보- 하나 이상의 POI(Point Of Interest) 포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맵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여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요구하는 단계; 및
    e) 상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시 선택된 UCC 이미지에 상기 위치좌표를 부가하여 생성한 UCC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 이벤트은
    상기 사용자가 기 저장된 UCC 이미지를 호출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는,
    지도 검색을 이용하는 방법, 지역 리스트를 이용하는 방법, 주소 검색을 이용하는 방법, 전화번호 검색을 이용하는 방법, 명칭 검색을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맵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사용자 요구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생성한 사용자의 UCC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UCC를 생성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19. a) 피사체 촬영을 감지하는 단계;
    b) 음영모드-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모드 -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음영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가장 최근에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d)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맵 정보-하나 이상의 POI(Point Of Interest) 포함-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맵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여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요구하는 단계; 및
    f) 상기 피사체 촬영에 의해 촬영된 UCC(User Created Contents) 이미지에 상기 위치좌표를 부가하여 생성한 UCC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사용자 요구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생성한 사용자의 UCC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UCC를 생성하는 위치기반 UCC 생성 방법.
  22. UCC 생성 이벤트가 발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POI(Point Of Interest)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파악하는 위치좌표 파악부; 및
    상기 위치좌표 파악부에 의해 파악된 위치좌표를 사용자가 선택한 UCC(User Created Contents) 이미지에 부가하여 UCC를 생성하는 UCC 생성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면 특정 지역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제1 촬영위치 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의 맵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 지역을 포함하는 맵 정보-하나 이상의 POI 포함-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POI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UCC 생성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기지국 영역을 이동통신망의 HLR/VLR를 통해 파악하고, 상기 기지국 영역을 포함하는 특정 지역의 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제2 촬영위치 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 이벤트가 발생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GPS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지역의 맵 정보-하나 이상의 POI(Point Of Interest) 포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3 촬영위치 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27. 제23항 또는 제25항 또는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서비스 서버.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 이벤트는 UCC 생성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UCC 이미지를 호출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서비스 서버.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는,
    지도를 이용하는 방법, 지역 리스트를 이용하는 방법, 주소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방법, 지역 명칭을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는 서비스 서버.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부에 의해 생성한 UCC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때, 상기 맵 정보 상에 상기 UCC에 포함된 위치좌표에 매칭된 POI에 위치하여 상기 UCC가 표시되게 하는 UCC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POI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POI의 이름과 이 POI의 이름이 위치한 지역을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지역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32. 맵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POI(Point Of Interest)에 대응된 고유의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가 UCC(User Created Contents)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데이터망에 무선 접속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통신부;
    사용자가 UCC 생성을 위해 제1 UCC 이미지를 선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UCC 이미지에 관련된 POI(Point Of Interest)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위치 지정부;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부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수신한 위치 좌표를 상기 제1 UCC 이미지에 부가하여 UCC를 생성하는 UCC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부는,
    사용자가 상기 제1 UCC 이미지를 선택하면,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제1 지역을 포함하는 맵 정보-하나 이상의 POI 포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맵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POI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알리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는
    지도를 이용하는 방법, 지역 리스트를 이용하는 방법, 주소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방법, 지역 명칭을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 중 하나에서 제공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맵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 중 하나에서 제공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CC 이미지 선택은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제1 UCC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며, 이때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 이미지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CC 이미지 선택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UCC 이미지를 호출하는 것인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40.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위치 지정부는,
    사용자가 상기 제1 UCC 이미지를 선택하면, 상기 GPS 위치정보로 파악되는 제1 위치좌표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제1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특정 지역의 맵 정보-하나 이상의 POI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맵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POI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알리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부의 동작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GPS 음영지역에 위치할 때 수행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제공되는 GPS 위치정보는 가장 최근에 수신한 GPS 정보 로 파악된 GPS 위치정보인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43. 맵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POI(Point Of Interest)에 대응된 고유의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UCC(User Created Contents)를 생성할 수 있게 하고 고정 위치에서 사용되는 고정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데이터망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통신부;
    UCC 이미지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가 UCC 생성을 위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UCC 이미지를 선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UCC 이미지에 관련된 POI(Point Of Interest)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위치 지정부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단말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부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POI 정보에 대응된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수신한 위치 좌표를 상기 제1 UCC 이미지에 부가하여 UCC를 생성하는 UCC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단말기.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부는,
    사용자가 상기 제1 UCC 이미지를 선택하면,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제1 지역을 포함하는 맵 정보-하나 이상의 POI 포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맵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POI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알리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단말기.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는
    지도를 이용하는 방법, 지역 리스트를 이용하는 방법, 주소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방법, 지역 명칭을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단말기.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선택 인터페이스는 상기 고정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 중 하나에서 제공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단말기.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맵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 중 하나에서 제공하는 위치기반 UCC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단말기.
KR1020070043435A 2007-05-04 2007-05-04 위치기반 유씨씨 생성 방법,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KR20090001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435A KR20090001622A (ko) 2007-05-04 2007-05-04 위치기반 유씨씨 생성 방법,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435A KR20090001622A (ko) 2007-05-04 2007-05-04 위치기반 유씨씨 생성 방법,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22A true KR20090001622A (ko) 2009-01-09

Family

ID=4048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435A KR20090001622A (ko) 2007-05-04 2007-05-04 위치기반 유씨씨 생성 방법,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6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324A (ko) * 2009-09-02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태깅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324A (ko) * 2009-09-02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태깅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8941B2 (en) Imaging devic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in which an acquired image and associated information are held on a display
US9582937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an indication of an object within a current field of view
US96993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location information and/or camera pose information according to a global coordinate system
US7474959B2 (en)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using image, location data, and annotations
US8416309B2 (en) Camera-fitted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JP5412627B2 (ja) 個人ウェブページでの地理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6103268A (ja) モバイル機器及びモバイル機器と情報を送受信するサーバ
KR20060083102A (ko) 위치정보를 가지는 이미지파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휴대용 단말기
JP2005100353A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位置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US20070167044A1 (en) Sharing meta information media file
KR101810933B1 (ko) 위치 기반형 현장영상 제공시스템
JP6607987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2011242989A (ja) 投稿情報制御装置、投稿情報制御システム及び投稿情報制御方法
JP2009134333A (ja) デジタル写真共有システム装置
KR20090132485A (ko) 지리정보 확인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이동단말기
KR100853379B1 (ko) 위치기반 이미지 파일 변환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서버
JP5562814B2 (ja) 地図情報提供装置、地図情報提供システム、地図情報提供方法および地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090001622A (ko) 위치기반 유씨씨 생성 방법,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JP2015026105A (ja) 画像評価サーバ
KR101461590B1 (ko) 위치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JP2007233702A (ja) 管理システム、これに用いる管理サーバ及び情報処理端末、管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916022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6178804A (ja) 被写体オブジェクト情報提供方法および被写体オブジェクト情報提供サーバ
JP6508950B2 (ja) 端末装置
JP628186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ポータブ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