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732U - 저울겸용 알람시계 - Google Patents

저울겸용 알람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732U
KR20090000732U KR2020070012006U KR20070012006U KR20090000732U KR 20090000732 U KR20090000732 U KR 20090000732U KR 2020070012006 U KR2020070012006 U KR 2020070012006U KR 20070012006 U KR20070012006 U KR 20070012006U KR 20090000732 U KR20090000732 U KR 200900007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larm
unit
user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영
Original Assignee
안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영 filed Critical 안태영
Priority to KR2020070012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732U/ko
Publication of KR20090000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7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3Alarm signal stop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울겸용 알람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유닛과,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알람을 작동시키며 체중 측정유닛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체중이 측정되는 경우 상기 알람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알람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일어나서 저울겸용 알람시계로 이동하여 체중을 측정하는 동안 사용자가 잠에서 완전히 깰 수 있도록 도와준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중을 저장하여 체중의 추이를 관찰하고, 체중의 증가시에는 사용자에게 경고성 멘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체중에 신경을 써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알람시계, 저울, 체중 측정유닛, 알람유닛, 디폴트 체중

Description

저울겸용 알람시계{ALARM CLOCK HAVING WEIGHING MACHINE}
본 고안은 저울겸용 알람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람이 울렸을 때 사용자가 체중을 측정해야 알람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확실하게 깨울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체중 관리도 할 수 있도록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에 관한 것이다.
알람시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각에 알람을 울리는 기능을 갖는 시계로서,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취침하기 전 알람시각을 셋팅하고 알람이 울리면 기상하게 된다. 알람으로는 미리 저장된 소리, 예를 들면, 부저, 음성, 음악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러한 알람소리 이외에 라디오를 턴온시켜 라디오방송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알람을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알람시계는 디지털 방식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아날로그 방식인 경우에는 알람시계의 후면에 현재시간 및 알람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와, 알람기능의 작동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 등이 구비되어 있고, 디지털 방식인 경우에는 알람시계의 전면이나 상부에 알람시각을 설정하거나 알람기능의 작동을 온/오프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알람시계는 사용자의 머리맡 등 사용자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는 알람이 울리면 잠에서 덜 깬 무의식중인 상태에서도 알람기능의 온/오프 스위치를 손쉽게 찾아 스위치나 버튼을 눌러 알람기능을 오프(Off)시킨 후, 다시 잠을 청하게 되므로써, 설정된 기상시간에 취침중인 사용자를 잠에서 완전히 깨우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는 알람시계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상시각에 알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알람시계가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알람시계의 알람기능을 용이하게 오프시키지 못하게 한다거나, 알람기능을 정지시키려면 간단한 수학식을 풀어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수학식을 푸는 동안 사용자가 잠을 깰 수 있도록 하는 알람시계 등이 있다.
그러나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알람시계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동수단을 구비함에 따른 원가의 상승과 알람시계의 이동범위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별 효과가 없으며, 수학식을 풀어야 되는 알람시계는 수학식을 풀 수 없는 사람은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확실히 기상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체중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유닛;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알람을 작동시키며, 상기 체중 측정유닛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체중이 측정되는 경우 상기 알람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알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체중 측정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올라서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체중을 측정하는 저울부; 상기 저울부에서 측정된 체중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중 측정유닛은, 상기 저울부에서 측정한 체중 및 그 추이를 소정 기간동안 저장하는 체중저장부; 상기 체중저장부에 체중 및 그 추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인출하는 저울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중저장부에 저장된 체중 및 그 추이를 외부의 표시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접속포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울제어부는 상기 접속포트에 상기 표시장치의 접속시 상기 체중저장부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체중저장부에 저장된 체중 및 그 추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저울제어부는 상기 표시버튼을 통한 선택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체중 및 그 추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울제어부는 상기 알람의 작동시, 상기 저울부를 통해 체중이 측정되면, 상기 알람유닛으로 상기 알람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체중을 저장하는 디폴트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울제어부는 상기 알람의 작동시, 상기 저울부에서 측정된 체중이 상기 디폴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체중에 대해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알람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상기 알람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체중저장부에 저장된 체중의 추이가 증가하는 추세일 때,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경고성 멘트를 저장하는 음성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울제어부는 상기 저울부에서 측정된 체중이 일정 이상 비율 증가하면 상기 음성저장부로부터 상기 경고성 멘트를 인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람유닛은, 상기 알람의 셋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셋팅부; 알람소리를 출력하는 알람출력부; 상기 셋팅부를 통해 셋팅된 알람시각에 알람을 울리고, 상기 저울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알람을 중지시키는 알람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저울겸용 알람시계는, 사용자가 일어나서 저울겸용 알람시계로 이동하여 체중을 측정하는 동안 사용자가 잠에서 완전히 깰 수 있도록 도와준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중을 저장하여 체중의 추이를 관찰하고, 체중의 증가시에는 사용자에게 경고성 멘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체중에 신경을 써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원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울겸용 알람시계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울겸용 알람시계(1)는, 알람이 울리는 동안 사용자가 체중을 측정해야만 알람이 꺼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잠에서 깰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저울겸용 알람시계(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울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는 사각판상의 본체(10)를 갖는다.
본체(10)의 상면에는, 시간과 체중을 표시하는 표시부(21)와, 디폴트 체중의 입력을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23)와, 알람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셋팅부(31)와, 알람 및 경고성 멘트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29)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1), 입력부(23), 셋팅부(31)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저울겸용 알람시계의 구성블럭도이다.
본 저울겸용 알람시계(1)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유닛(20)과,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알람유닛(30)을 포함한다.
후술할 실시예에서는 체중 측정유닛(20)과 알람유닛(30)이 각각 디지털 방식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체중 측정유닛(20)과 알람유닛(30)이 모두 아날로그 방식인 경우나, 체중 측정유닛(20)과 알람유닛(30) 중 하나는 아날로그 방식이 고 다른 하나는 디지털 방식인 경우에도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중 측정유닛(20)은, 표시부(21), 저울부(22), 입력부(23), 음성저장부(24), 디폴트 저장부(25), 저울제어부(26), 체중저장부(27), 접속포트(28)를 포함한다.
표시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되며, 디지털 방식인 경우, 표시부(21)의 일측에는 현재 시각이 표시되고, 타측에는 체중이 표시된다. 표시부(21)는 세븐세그먼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LCD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1)는, 저울 제어부(26)의 제어하에,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된 사용자 리스트를 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체중측정유닛(20)에 올라섰을 때, 저울 제어부(26)의 제어하에,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된 사용자 리스트를 표시한다.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된 사용자가 한 명 뿐일 경우는, 표시부(21)는 사용자 리스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21)에 표시된 사용자 리스트에서, 자신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도 3의 23a, 23b, 및 23c의 버튼을 이용해서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나, 별도로 마련된 버튼(미 도시)을 이용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도 3의 23a, 23b, 및 23c의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선택하는 경우, 도 3의 23a, 23b, 및 23c 버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1)가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된 사용자 리스트를 표시하였을 때는 도 3의 버튼 23b와 23c은 해당하는 사용자를 가선택하는데 사용되고, 23a을 누르면 가선택된 사용자를 최종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디폴트 저장부(25)에 사용자 체중을 셋팅하는 동안에는 도 3의 23a, 23b, 및 23c의 버튼은 사용자 체중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저울부(22)는 본체(10)의 상면에 사용자가 올라서면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며, 체중의 측정이 가능하다면 그 방법이나 구성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 입력을 선택하기 위한 체중입력버튼(23a), 체중을 셋팅하기 위한 상승버튼(23b) 및 하강버튼(23c)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을 입력하기 위해 체중입력버튼(23a)을 선택하면, 표시부(21)의 체중을 표시하는 숫자가 깜빡거리고, 사용자가 상승버튼(23b)을 누르면 체중을 표시하는 숫자가 증가한다. 사용자는 숫자가 자신의 체중에 도달하면 체중입력버튼(23a)을 다시 한번 누르고, 입력된 체중은 사용자의 체중으로 후술할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된다.
한편, 체중입력버튼(23a)을 누른 다음, 사용자가 직접 본체(10)에 올라서서 체중을 잰 다음, 다시 체중입력버튼(23a)을 누름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이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는, 상승버튼(23b)나 하강버튼(23c)을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디폴트 저장부(25)는, 사용자가 알람이 울릴 때 직접 체중을 재지않고 다른 물건을 올려 놓아 알람을 오프시키려는 의도를 원천봉쇄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디폴트 저장부(25)에는 입력부(23)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디폴트 체중을 저 장한다. 그리고 후술할 저울제어부(26)는 알람이 울릴 때 저울부(22)에서 측정된 체중과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된 사용자의 체중을 비교하여, 저울부(22)에서 측정된 체중이 디폴트 체중에 대해 일정 오차 범위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체중을 재지않고 다른 물건을 올려놓거나 다른 사람을 대신 올라가게 한 것으로 보아 알람이 꺼지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디폴트 저장부(25)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각각에 대한 디폴트 체중, 각 체중에 따른 오차범위, 측정 인정 범위 등이 저장되어 있다. 디폴트 체중이 무거울수록 체중이 변화할 수 있는 범위가 크므로, 오차범위를 크게 하고, 이 오차범위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측정인정범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경우, 디폴트 체중이 50kg, 오차범위는 ±5%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 A로 인정받을 수 있는 측정인정범위는 47.5~52.5kg이다. 즉, 저울부(22)에 의해 45kg의 체중이 측정된 경우에는 사용자 A라고 인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B의 경우, 디폴트 체중이 80kg이므로 사용자 A보다 체중의 변화범위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B의 오차범위는 ±7%이고, 측정인정범위는 74.4~85.6kg이 된다. 여기서, 오차범위나 측정인정범위는 설계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체중저장부(27)는, 저울부(22)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을 사용자 각각에 대해 날짜별로 저장하고, 체중의 증감 추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둔다. 체중저장부(27)에 저장된 정보는 외부의 표시기기, 예를 들면, 휴대폰, PC, PMP, MP3 등 으로 제공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울겸용 알람시계(1)의 일측에는 USB 등의 매체가 접속하여 외부의 표시기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접속포트(28)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표시부(21)가 LCD로 마련되는 경우, 체중저장부(27)에 저장된 체중의 증감 추이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21)를 통해서도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표시부(21)에 체중의 증감 추이의 표시를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표시버튼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음성저장부(24)는, 저울부(22)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이 증가한 경우, 스피커(29)를 통해 출력할 경고성 멘트를 담은 음성을 저장한다. 음성저장부(24)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중이 1% 이상 증가한 경우, '신경 좀 써야 겠어요', '오늘은 조금만 드세요' 등의 멘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저장하고, 체중이 2% 이상 증가한 경우, '어라? 돼지가 친구하자고 하겠네', '위험합니다' 등의 멘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저울제어부(26)는 알람제어부(32)로부터 알람이 셋팅되었다는 정보가 제공되면, 알람이 울린 후, 저울부(22)에서 측정된 체중과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된 디폴트 체중을 비교하여 저울부(22)에서 측정된 체중이 디폴트 체중의 측정인정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만 알람제어부(32)로 알람을 오프시키는 신호를 제공한다. 이때, 저울부(22)에서 측정된 체중이 측정인정범위에 속하는 경우라도, 체중이 일정 이상 증가한 경우, 저울제어부(26)는 음성저장부(24)로부터 경고성 멘트를 인출하여 스피커(29)로 출력되도록 한다.
저울제어부(26)는 입력부(23)를 통해 입력된 체중을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시키고, 저울부(22)에서 측정된 체중을 체중저장부(27)에 저장한다. 이때, 저울제어부(26)는 저울부(22)에서 측정된 체중이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된 디폴트 체중에 대해 오차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만 측정된 체중을 체중저장부(27)에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울제어부(26)는 저울부(22)에서 측정된 체중이 표시부(2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접속포트(28)를 통해 외부의 표시장치가 접속하면, 체중저장부(27)에 저장된 체중 및 체중의 증감 추이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표시장치로 제공한다.
또한, 저울제어부(26)는 사용자가 체중측정유닛(20)에 올라왔을 때,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된 사용자 리스트를 표시부(21)를 통해서 표시하고, 입력부(23)를 통해서 선택받은 사용자에 대하여 디폴트 저장부(25)에 저장된 체중과 측정된 체중을 비교한다.
한편, 알람유닛(30)은, 셋팅부(31), 알람제어부(32), 알람출력부(33), 시계부(34)를 포함한다.
셋팅부(31)는 알람을 셋팅하기 위해 본체(10)의 상면에 마련된 3개의 버튼을 포함하며, 3개의 버튼은 셋팅선택버튼(31a), 시간설정버튼(31b), 분설정버튼(31c)을 포함한다.
셋팅선택버튼(31a)은 알람의 셋팅을 시작할 때와 알람의 셋팅을 종료할 때 사용되며, 셋팅선택버튼(31a)이 선택되면, 표시부(21)의 시간표시영역의 시간이 깜 박거린다. 시간설정버튼(31b)과 분설정버튼(31c)는 알람시각의 시간과 분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간설정버튼(31b)을 가압하면 시간이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분설정버튼(31c)을 가압하면 분이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시간설정버튼(31b)과 분설정버튼(31c)을 이용하여 알람이 작동하는 시간과 분을 설정하면, 셋팅선택버튼(31a)을 가압하여 셋팅을 완료한다.
알람출력부(33)는 알람을 출력하며, 알람제어부(3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알람의 출력을 온 또는 오프한다.
알람제어부(32)는, 셋팅부(31)에 의해 셋팅된 알람시각에 알람출력부(33)를 작동시켜 알람을 온시키고, 저울제어부(26)로부터 제공된 알람정지신호에 따라 알람출력부(33)의 작동을 해제하여 알람을 오프시킨다. 알람제어부(32)에는 셋팅부(31)에 셋팅된 알람시각까지 알람시각에 대한 정보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한편, 휴대폰의 알람기능과 같이, 매일 같은 알람시각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알람시각을 지속적으로 저장해야 할 뿐만 아니라, 매일 같은 시각에 알람이 울리는 것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시계부(34)는, 현재시간을 저울제어부(26)로 제공하여 표시부(21)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저울겸용 알람시계(1)의 작동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셋팅선택버튼(31a), 시간설정버튼(31b), 분설정버튼(31c)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상하고자 하는 알람시각을 설정한다(S100). 설정된 알람시각이 도 래하면(S110), 알람제어부(32)는 알람출력부(33)를 작동시켜 알람이 울리도록 한다(S120).
사용자는 알람을 정지시키기 위해 본체(10)에 올라서야 하며, 저울제어부(26)는 저울부에서 체중이 측정되었는지 관찰한다(S130). 사용자가 본체(10)에 올라서면 저울부(22)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여 저울제어부(26)로 제공하고, 저울제어부(26)는 체중을 표시부(21)에 표시한다(S140). 이와 동시에 저울제어부(26)는, 디폴트 저장부(25)로부터 각 사용자의 측정인정범위를 인출하여 저울부(22)로부터의 체중과 비교함으로써, 저울부(22)에서 측정된 체중이 사용자의 디폴트 체중의 측정인정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S150). 예를 들어, 40kg의 체중이 측정된 경우, 사용자 A와 사용자 B의 측정인정범위에 속하지 않는 체중이므로, 저울제어부(26)는 알람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지 아니한다. 그러나, 저울부(22)로부터 51kg의 체중이 측정된 경우, 저울제어부(26)는 사용자 A의 측정인정범위인 47.5~52.5kg내에 속하므로, 사용자 A라고 간주하고, 알람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알람유닛(30)의 알람제어부(32)로 제공한다. 그러면, 알람제어부(32)는 알람출력부(33)를 정지시켜 알람을 오프시킨다(S160).
한편, 저울제어부(26)는 사용자의 체중을 디폴트 체중과 비교하고, 사용자의 체중이 디폴트 체중보다 일정 비율이상 증가한 경우(S170), 음성저장부(24)로부터 경고성 멘트를 인출하여 스피커(29)로 제공한다(S180).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A의 디폴트 체중이 50kg이고 저울부(22)로부터 측정된 체중은 51kg이므로, 사용자 A의 체중이 2%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저울제어부(26)는 음성저장부(24)로부터 ' 어라? 돼지가 친구하자고 하겠네'등의 멘트를 인출하여 스피커(29)로 출력한다.
이렇게 저울부(22)로부터 측정된 각 사용자의 체중과, 저울제어부(26)에서 판단된 체중의 증가추이도 체중저장부(27)에 저장된다.
한편, 외부의 표시장치가 접속포트(28)를 통해 접속하면, 저울제어부(26)는 체중저장부(27)에 저장된 체중에 대한 정보를 접속포트(28)를 통해 외부의 표시장치로 제공한다.
본 저울겸용 알람시계(1)는, 외부의 표시장치에서 체중저장부(27)에 저장된 체중 및 체중의 추이에 대한 정보가 표 또는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도록 별도의 프로그램을 지원하거나, 기존에 사용되는 문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저울겸용 알람시계(1)는, 알람시각에 알람이 온되면, 사용자가 본체(10)에 올라서서 체중을 측정해야만 알람이 오프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어나서 저울겸용 알람시계(1)로 이동하여 체중을 측정하는 동안 사용자가 잠에서 완전히 깰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사용자를 알람시각에 효과적으로 완전히 기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시 취침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중을 저장하여 체중의 추이를 관찰하고, 체중의 증가시에는 사용자에게 경고성 멘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체중에 신경을 써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의 표시장치로 체중 및 그 추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표나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사용자의 체중 및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울겸용 알람시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울겸용 알람시계의 구성블럭도,
도 3은 도 1의 저울겸용 알람시계의 부분확대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디폴트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의 테이블,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저울겸용 알람시계에 의한 알람 설정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9)

  1.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유닛;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알람을 작동시키며, 상기 체중 측정유닛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체중이 측정되는 경우 상기 알람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알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 측정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올라서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체중을 측정하는 저울부;
    상기 저울부에서 측정된 체중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 측정유닛은,
    상기 저울부에서 측정한 체중 및 그 추이를 소정 기간동안 저장하는 체중저장부;
    상기 체중저장부에 체중 및 그 추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인출하는 저 울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저장부에 저장된 체중 및 그 추이를 외부의 표시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접속포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울제어부는 상기 접속포트에 상기 표시장치의 접속시 상기 체중저장부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저장부에 저장된 체중 및 그 추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저울제어부는 상기 표시버튼을 통한 선택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체중 및 그 추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울제어부는 상기 알람의 작동시, 상기 저울부를 통해 체중이 측정되면, 상기 알람유닛으로 상기 알람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
  7.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체중을 저장하는 디폴트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울제어부는 상기 알람의 작동시, 상기 저울부에서 측정된 체중이 상기 디폴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체중에 대해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알람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상기 알람유닛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저장부에 저장된 체중의 추이가 증가하는 추세일 때,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경고성 멘트를 저장하는 음성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울제어부는 상기 저울부에서 측정된 체중이 일정 이상 비율 증가하면 상기 음성저장부로부터 상기 경고성 멘트를 인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유닛은,
    상기 알람의 셋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셋팅부;
    알람소리를 출력하는 알람출력부;
    상기 셋팅부를 통해 셋팅된 알람시각에 알람을 울리고, 상기 저울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알람을 중지시키는 알람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겸용 알람시계.
KR2020070012006U 2007-07-20 2007-07-20 저울겸용 알람시계 KR200900007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006U KR20090000732U (ko) 2007-07-20 2007-07-20 저울겸용 알람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006U KR20090000732U (ko) 2007-07-20 2007-07-20 저울겸용 알람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732U true KR20090000732U (ko) 2009-01-23

Family

ID=4129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006U KR20090000732U (ko) 2007-07-20 2007-07-20 저울겸용 알람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7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4909A (zh) * 2013-10-11 2013-12-18 薛思雨 一种体重计闹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4909A (zh) * 2013-10-11 2013-12-18 薛思雨 一种体重计闹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20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herein
TWI524055B (zh) 喝水量監測裝置及方法
US7547851B1 (en) Advanced buttonless scale
US20220205830A1 (en) Secret scal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6060442B2 (ja) 睡眠特典付与システム、睡眠特典付与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睡眠特典付与プログラム
JP5749121B2 (ja) 睡眠状態評価装置、睡眠状態評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5138844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以及智能手表
US9433297B2 (en) Seat cushion with a prayer reminder system
KR20090000732U (ko) 저울겸용 알람시계
CN106579707B (zh) 智能儿童餐盒及工作方法
CN100501605C (zh) 祈祷时钟
US7072791B2 (en) Pedometer for use with pregnant woman
KR20090000048A (ko) 다이어트 서비스 시스템
JPH0921689A (ja) 体重記憶装置
JPH11316161A (ja) 婦人体温計
US20040125855A1 (en) Electronic water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JPH10300562A (ja) 体重管理計
KR20000012445A (ko) 휴대용 칼로리 측정기
US20130168162A1 (en) Multi-Mode Buttonless Scale
WO2023276317A1 (ja) 排尿量管理システム
JP4297724B2 (ja) 服薬管理支援装置
US20080024291A1 (en) Multi event monitoring and reminder device
US6349074B1 (en) Alarm system for desktop clock
KR200268620Y1 (ko)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
KR200361173Y1 (ko) 다기능 건강관리 체중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