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506U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506U
KR20090000506U KR2020070011572U KR20070011572U KR20090000506U KR 20090000506 U KR20090000506 U KR 20090000506U KR 2020070011572 U KR2020070011572 U KR 2020070011572U KR 20070011572 U KR20070011572 U KR 20070011572U KR 20090000506 U KR20090000506 U KR 200900005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ball
slider
front panel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희
정의문
이승재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1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506U/ko
Publication of KR20090000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5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본체와, 공기조화기 본체를 개폐시키기 위해 공기조화기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판넬과, 공기조화기 본체에 설치되어 전면판넬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레일과, 전면판넬을 슬라이드 이동하지 못하도록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를 포함하고, 슬라이드레일은 공기조화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전면판넬과 결합되고 가이드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본체를 개폐시키는 전면판넬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전면판넬이 공간적인 제약이나 기구적인 필요에 따라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없는 경우에 전면판넬을 쉽게 개폐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 전면판넬, 미닫이, 슬라이드레일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판넬의 개폐 구조가 개선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시키는 장치로, 외관을 이루는 공기조화기 본체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구와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토출구가 구비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 본체의 내부에는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나 필터링장치와,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 벽면에 고정되는 벽걸이형과, 실내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형과, 실내 바닥에 세워지는 스탠드형 등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모향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설치된다. 최근에는 제품의 외관 디자인이 제품의 중요한 개발 인자로 떠오르면서 공기흡입구나 공기토출구가 공기조화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하는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07-44294호에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측면에 구비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가 공기조화기 본체의 하부 양 측면에 구비되고, 공기토출구는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부 전면 및 상부 양 측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면에는 전면판넬이 결합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공기조화기 본체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기, 열교환기, 배관 등의 부품을 수리하거나 교체해야 할 목적으로 개방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면판넬은 공기조화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래 공기조화기의 전면판넬은 공기조화기 본체에 후크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고, 분리시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방으로 당겨 분리하는 여닫이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공간적인 제약이나 기구적인 필요에 따라서 전면판넬을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시키기 어려울 때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면판넬을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하기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전면판넬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본체와,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판넬과,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판넬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레일과, 상기 전면판넬을 슬라이드 이동하지 못하도록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드레일은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전면판넬과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볼구름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볼구름장치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에 각각 접하는 복수의 볼과, 상기 복수의 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구름장치에는 상기 슬라이더에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억제시키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구름장치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볼구름장치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각 볼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볼의 바깥쪽 일부를 수용하는 제 1 볼구름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에는 상기 각 볼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볼의 안쪽 일부를 수용하는 제 2 볼구름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상기 볼구름장치에 접하여 상기 볼구름장치의 슬라이드 이동을 억제시키는 걸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의 열림 방향 전방에 구비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는 록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본체를 개폐시키는 전면판넬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전면판넬이 공간적인 제약이나 기구적인 필요에 따라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없는 경우에 전면판넬을 쉽게 개폐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이루는 공기조화기 본체(10)와, 공기조화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20)와, 외부의 공기를 공기조화기 본체(10) 내부로 흡입시키고 공기조화기 본체(10) 내부의 공기를 공기조화기 본체(10)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장치(30)와,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전면에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판넬(40)과, 전면판넬(4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레일(50)과, 전면판넬(40)의 슬라이드 이동을 억제시키기 위한 록킹장치(9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20)나 송풍장치(3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전방은 개방된다.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양쪽 측면 각 하부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흡입구(11)가 구비되고,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양쪽 측면 각 상부에는 공기조화기 본체(1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공기토출구(12)가 구비된다. 각 공기토출구(12)에는 토출구커버(1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토출구커버(13)는 모터(14)에 의해 개폐된다.
열교환기(20)는 공기조화기 본체(10)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송풍장치(30)는 공기조화기 본체(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된다. 열교환기(20)는 통상적인 것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고,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미도시)을 포함한다. 송풍장치(30)는 공기유입구(32)를 갖는 팬하우징(31)과, 팬하우징(31)에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팬(33)을 포함한다. 송풍장치(30)의 팬(33)은 원심형팬으로, 팬(33)이 회전하면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고, 공기조화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하우징(31)을 통해 열교환기(20) 쪽으로 상승한 후, 열교환기(20)를 통과하여 공기토출구(1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전면판넬(40)은 공기조화기 본체(10)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기 위해 공기조화기 본체(10) 전방에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면판넬(40)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전면판넬(40)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레일(50)이 설치된다.
슬라이드레일(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조화기 본체(10)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60)과, 가이드프레임(6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판넬(40)과 결합되는 슬라이더(70)와, 슬라이더(70)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프레임(60)과 슬라이더(70)의 사이에 설치되는 볼구름장치(80)를 포함한다.
가이드프레임(60)은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70) 및 볼구름장치(80)를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슬라이더(70) 및 볼구름장치(8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레일홈(61)을 갖는다. 가이드프레임(60)의 전후부에는 한 쌍의 제 1 볼구름홈(62)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제 1 볼구름홈(62)은 후술하게 될 볼구름장 치(80)에 구비되는 볼(81)의 일부를 수용하여 볼(81)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레일홈(61)을 따라 가이드프레임(6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가이드프레임(60)의 일측 단부(도 3의 우측 단부)에는 슬라이더(70) 및 볼구름장치(80)를 이탈되지 못하게 막는 이탈방지부(63)가 구비된다. 이탈방지부(63)는 가이드프레임(60)의 레일홈(61)에 설치되는 슬라이더(70) 및 볼구름장치(80)를 막아 슬라이더(70) 및 볼구름장치(80)가 가이드프레임(60)의 일측 단부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가이드프레임(60)의 타측 단부(도 3의 좌측 단부)에는 걸림부재(64) 및 제 1 고정홀(91)이 구비된다. 걸림부재(64)는 레일홈(6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볼구름장치(80)의 열림 방향(도 3의 좌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한다. 걸림부재(64)는 레일홈(61)을 따라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는 볼구름장치(80)를 막아 볼구름장치(80)가 가이드프레임(60)의 타측 단부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제 1 고정홀(91)은 후술하게 될 록킹장치(90)의 록킹부재(93)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가이드프레임(60)은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다. 공기조화기 본체(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설치홈(15)이 구비되고, 가이드프레임(60)은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설치홈(15)에 삽입된다. 가이드프레임(60)을 설치홈(15)에 고정시키기 위해, 가이드프레임(60)을 설치홈(15)에 압입하거나, 설치홈(15)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가이드프레임(60)을 설치홈(15)에 접착시키거나, 가이드프레임(60)을 설치홈(15)에 나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가이드프레임(60)이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본체(10)의 하부를 도시하였으나,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60)도 같은 방법으 로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슬라이더(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판넬(40)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가이드프레임(60)의 레일홈(6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더(70)의 전후부에는 가이드프레임(60)의 제 1 볼구름홈(62)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 2 볼구름홈(71)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구비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더(70)가 가이드프레임(60)에 결합되면 슬라이더(70) 전방의 제 2 볼구름홈(71)은 가이드프레임(60) 전방의 제 1 볼구름홈(62)과 대면하고, 슬라이더(70) 후방의 제 2 볼구름홈(71)은 가이드프레임(60) 후방의 제 1 볼구름홈(62)과 대면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더(70)의 일측 단부(도 3의 우측 방향)에는 걸림부(72)가 구비된다. 걸림부(72)는 후술하게 될 볼구름장치(80)의 스토퍼(84)와 함께 슬라이더(70)가 볼구름장치(80)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걸림부(72)는 슬라이더(70)의 양 단부 중에서 한 쪽에만 구비된다. 그리고, 슬라이더(70)의 안쪽에는 돌기(73)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 구비된다. 돌기(73)는 슬라이더(70)가 닫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볼구름장치(80)의 스토퍼(84)를 밀어 볼구름장치(80)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돌기(73)는 생략될 수 있다.
슬라이더(70)는 전면판넬(4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70)의 상부에는 나사(S)가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홀(74)이 구비되고, 전면판넬(40)의 하단부에는 나사(S)가 삽입되는 나사홀(41;도4 참조)이 구비된다. 슬라이 더(70)와 전면판넬(40)의 결합 방식은 나사 결합 이외에, 접착제 결합, 후크를 이용한 결합 등 다양한 다른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슬라이더(70)가 전면판넬(40)의 하부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슬라이더(70)의 길이는 전면판넬(40)의 하부 길이부도 다소 길거나 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볼구름장치(8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볼(81)과, 이들 볼(81)을 구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지지부재(82)를 포함한다. 볼지지부재(82)의 전후부에는 복수의 볼결합홀(83)이 각각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동일한 높이로 구비된다. 복수의 볼(81)은 볼지지부재(82)의 각 볼결합홀(83)에 결합된다. 볼결합홀(83)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폭이 조금씩 줄어드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볼(81)은 바깥쪽에서 결합된다. 볼지지부재(82)의 일측 단부(도 3에서 좌측 단부)에는 스토퍼(84)가 돌출 구비된다. 스토퍼(84)는 슬라이더(70)의 걸림부(72)와 함께 슬라이더(70)가 볼구름장치(80)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슬라이더(70)가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다가 그 걸림부(72)가 스토퍼(84)에 걸리면 슬라이더(70)는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여 볼구름장치(80)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볼구름장치(80)는 가이드프레임(60)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레일(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구름장치(80)가 레일홈(6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프레임(60)에 결합되고, 전면판넬(40)과 결합되는 슬라이더(70)는 볼구름장치(80)의 안쪽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구름장치(80)의 볼(81)은 바깥쪽에서 가이드프레임(60)에 접하도록 가이드프레임(60)의 제 1 볼구름홈(62)에 수용되고 안쪽에서 슬라이더(70)에 접하도록 슬라이더(70)의 제 2 볼구름홈(71)에 수용되기 때문에 볼결합홀(83)에서 이탈되지 못한다. 이들 볼은(81)은 볼구름장치(80)가 가이드프레임(60)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때나, 슬라이더(70)가 볼구름장치(80)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때 볼결합홀(83)에서 굴러 슬라이더(70)의 슬라이드 이동을 돕는다.
록킹장치(90)는 슬라이더(70)를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 못하도록 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더(70)의 열림 방향 전방에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고정홀(91)(92)과, 제 1 및 제 2 고정홀(91)(92)에 나사 결합되어 슬라이더(70)를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는 록킹부재(93)를 포함한다. 제 1 고정홀(91)은 가이드프레임(60)에 구비되고, 제 2 고정홀(92)은 제 1 고정홀(91)에 대응하도록 공기조화기 본체(10)에 구비된다. 록킹부재(93)가 제 1 및 제 2 고정홀(91)(92)에 나사 결합되면, 록킹부재(93)는 전면판넬(40) 및/또는 슬라이더(70)에 접하여 슬라이더(70)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없게 한다.
여기에서, 록킹부재(93)는 제 1 및 제 2 고정홀(91)(92)에 나사 결합되지 않고 압입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록킹장치(90)는 이러한 구성이외에 후크나 홈-돌기 등 슬라이더(70)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판넬(40)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판넬(4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록킹부재(93)는 전면판넬(40)의 열림 방향 전방에 설치되어 전면판넬(40)을 슬라이드 이동되지 못하게 막는다. 이때, 볼구름장치(80)는 가이드프레임(6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록킹부재(93)가 제 1 및 제 2 고정홀(91)(92)에서 이탈된 후, 전면판넬(40)이 열림 방향(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볼구름장치(80)는 레일홈(61)을 따라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슬라이더(70)도 볼구름장치(80)와 함께 열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더(70)는 볼구름장치(80)에서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구름장치(80)가 레일홈(6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가이드프레임(60)의 좌측 단부에 도달하면, 볼지지부재(82)의 하부가 레일홈(61)에 돌출 구비되는 걸림부재(64)에 걸려 볼구름장치(80)는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전면판넬(40)이 계속해서 힘을 받으면 슬라이더(70)는 정지된 볼구름장치(80)에서 슬라이드 되어 열림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더(70)의 걸림부(72)가 볼구름장치(80)의 스토퍼(84)에 접하면, 슬라이더(70)는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된다. 이때, 공기조화기 본체(10)의 전방은 완전히 개방된다.
반대로, 전면판넬(40)이 닫힘 방향(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볼구름장치(80) 및 슬라이더(70)가 레일홈(61)을 따라 닫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슬라이더(70)가 닫힘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슬라이더(70)의 돌기(73)가 볼 구름장치(80)의 스토퍼(84)에 접하면 돌기(73)가 스토퍼(84)를 밀어 볼구름장치(8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본체(10)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시키는 전면판넬(40)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이나 기구적인 필요에 따라서 전면판넬(40)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기 어려울 경우, 전면판넬(40)을 쉽게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특징은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이외에 다른 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슬라이드레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슬라이드레일 설치 부위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판넬이 슬라이드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드레일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판넬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공기조화기 본체 15...설치홈
20...열교환기 30...송풍장치
40...전면판넬 50...슬라이드레일
60...가이드프레임 61...레일홈
62,71...제 1,2 볼구름홈 63...이탈방지부
64...걸림부재 70...슬라이더
72...걸림부 73...돌기
80...볼구름장치 81...볼
82...볼지지부재 83...볼결합홀
84...스토퍼 90...록킹장치
91,92...제 1,2 고정홀 93...록킹부재

Claims (8)

  1. 공기조화기 본체와,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판넬과,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판넬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레일과,
    상기 전면판넬을 슬라이드 이동하지 못하도록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레일은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전면판넬과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볼구름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볼구름장치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에 각각 접하는 복수의 볼과, 상기 복수의 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구름장치에는 상기 슬라이더에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억제시키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구름장치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볼구름장치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각 볼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볼의 바깥쪽 일부를 수용하는 제 1 볼구름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에는 상기 각 볼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볼의 안쪽 일부를 수용하는 제 2 볼구름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상기 볼구름장치에 접하여 상기 볼구름장치의 슬라이드 이동을 억제시키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의 열림 방향 전방에 구비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20070011572U 2007-07-13 2007-07-13 공기조화기 KR200900005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572U KR20090000506U (ko) 2007-07-13 2007-07-1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572U KR20090000506U (ko) 2007-07-13 2007-07-1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06U true KR20090000506U (ko) 2009-01-16

Family

ID=4129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572U KR20090000506U (ko) 2007-07-13 2007-07-1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506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4413A (zh) * 2016-04-15 2016-06-15 中国汽车工业工程有限公司 空调盘管安装结构
WO2019177425A1 (ko) * 2018-03-16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9177413A1 (ko) * 2018-03-16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90108998A (ko) * 2018-03-16 2019-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131019A (ko) * 2019-05-13 2020-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2050453A (zh) * 2020-09-19 2020-12-08 杨华 一种全热交换器的热交换芯体更换门体结构
US11971070B2 (en) 2018-03-16 2024-04-30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4413A (zh) * 2016-04-15 2016-06-15 中国汽车工业工程有限公司 空调盘管安装结构
WO2019177425A1 (ko) * 2018-03-16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9177413A1 (ko) * 2018-03-16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90108998A (ko) * 2018-03-16 2019-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4413339A (zh) * 2018-03-16 2022-04-29 Lg电子株式会社 空调设备的室内机
CN114413339B (zh) * 2018-03-16 2023-11-17 Lg电子株式会社 空调设备的室内机
US11971070B2 (en) 2018-03-16 2024-04-30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US11971178B2 (en) 2018-03-16 2024-04-30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KR20200131019A (ko) * 2019-05-13 2020-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2050453A (zh) * 2020-09-19 2020-12-08 杨华 一种全热交换器的热交换芯体更换门体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0506U (ko) 공기조화기
US10047972B2 (en)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KR102217011B1 (ko) 공기조화기
US9222684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necting refrigerant pipe thereof
US10197298B2 (en)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EP2752625A1 (en) Air conditioner
KR101716135B1 (ko) 포터블 공기조화기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KR101484037B1 (ko) 공기조화기
KR102302440B1 (ko)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KR100624169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KR20070044743A (ko) 공기조화기
KR20030083076A (ko) 공기조화기
JP6053410B2 (ja) 空気調和機
KR101502095B1 (ko) 공기조화기
JP6035179B2 (ja) 空気調和機
KR100381156B1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100027305A (ko) 공기조화기
KR101195883B1 (ko) 공기조화기
JP727876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00056584A (ko) 공기 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 장치
KR101716134B1 (ko) 포터블 공기조화기
KR20100085686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460A (ko) 공기조화기
KR101716137B1 (ko) 포터블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