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076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076A
KR20030083076A KR1020020021459A KR20020021459A KR20030083076A KR 20030083076 A KR20030083076 A KR 20030083076A KR 1020020021459 A KR1020020021459 A KR 1020020021459A KR 20020021459 A KR20020021459 A KR 20020021459A KR 20030083076 A KR20030083076 A KR 20030083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closing
guid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2223B1 (ko
Inventor
김종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2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83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구 개폐부재의 개폐동작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의 개선을 통해 흡입구 개폐동작시 개폐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의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개폐동작을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개폐부재를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안내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며 외면에 소정의 구배를 구비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내공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면이 상기 안내부재와 대응하는 구배로 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구 개폐부재의 개폐동작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의 개선을 통해 흡입구 개폐동작시 개폐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공기의 유입과 토출을 위한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며, 실내기 본체의 내부에 실내공기의 강제 순환을 위한 송풍수단과 순환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통상의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또한 최근의 공기조화기 중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6706호에 개시된 것으로,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흡입구 쪽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본체의 전면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 흡입구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전후방향으로 진퇴하면서 본체(1) 전면의 흡입구(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와, 이 개폐부재(3)의 진퇴동작 안내를 위해 개폐부재(3)로부터 돌출되며 그릴부재(4)에 형성된 안내홀(4a)에 삽입되는 복수의 안내돌기(3a)와, 자력발생을 통해 개폐부재(3)를 진퇴시키도록 상호 대응하는 위치의 개폐부재(3)와 본체(1)의 그릴부재(4)에 각각 설치되는 제1전자석(5a)과 제2전자석(5b)을 포함한다. 또한 종래 공기조화기는 개폐부재(3)의 개폐가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랙(6)과 피니언(7)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전자석(5a)과 제2전자석(5b)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척력에 의해 개폐부재(3)가 흡입구(2)의 전방과 후방으로 진퇴할 때 복수의 안내돌기(3a)와 안내홀(4a)을 통해 개폐부재(3)의 진퇴동작이 안내되면서 흡입구(2)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는 개폐부재(3)의 진퇴동작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a)와 안내홀(4a) 사이에 이격된 틈이 존재하기 때문에 개폐부재(3)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서 개폐부재(3)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흡입구 개폐장치는 안내돌기(3a)와 안내홀(4a) 사이의 마찰 또는 외부의 힘이 작용할 경우 개폐부재(3)의 사방테두리와 흡입구(2) 사이의 이격정도가 불균일해지지 등 흡입구(2)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구가 개폐될 때 개폐부재의 중심이 자동 조절되어 개폐부재의 개폐가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폐부재의 개폐시 충격이 완화되고 개폐부재의 사방테두리 개폐정도가 균일해 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폐부재 동작을 위한 안내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폐부재 동작을 위한 안내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개폐부재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폐부재 동작을 위한 안내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개폐부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11: 후면패널,
12: 전면패널,13: 흡입구,
14: 토출구,15; 송풍수단,
16: 열교환기,20: 개폐부재,
30: 구동수단,31: 랙,
32: 피니언,33: 구동모터,
40: 안내수단,41: 안내부재,
43: 지지부,44: 커버부재,
45: 탄성부재,46: 수용홈,
47: 탄성부재 고정부,48: 고정나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의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개폐동작을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개폐부재를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안내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며 외면에 소정의 구배를 구비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내공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면이 상기 안내부재와 대응하는 구배로 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개폐부재의 열림을 제한하면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면을 덮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그 내면이 상기 지지부의 외면과 대응하는 구배를 갖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의 복수 개소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개폐부재를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개폐부재를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홈에 설치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탄성부재 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그 내면과 외면이 상기 안내부재의 외면과 상기 커버부재의 내면에 대응하는 구배를 갖춘 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그 내면이 상기 지지부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컵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개폐부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기어부가 형성된 하나이상의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구동시켜 상기 랙을 진퇴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흡입구(13)와 토출구(14)가 형성된 본체(10)와, 실내공기의 강제순환 및 열교환을 위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수단(15)과 통상의 열교환기(16)를 포함한다.
본체(10)는 그 상부와 하부 및 양쪽 측방에 토출구(14)가 형성된 후면패널(11)과, 후면패널(11)의 개방된 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중앙부에 실내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13)가 형성된 전면패널(12)로 구성된다.
본체(10) 내부의 열교환기(16)는 흡입구(13)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흡입구(13)와 인접하는 전면패널(12)의 내측에 설치되고, 송풍수단(15)은 열교환기(16)를 거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4) 쪽으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열교환기(16) 후방의 본체(10) 내부에 설치된다.
송풍수단(15)은 후면패널(11) 내측 중앙에 고정되는 구동모터(17)와, 구동모터(17)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7)의 회전축에 설치된 송풍팬(18)으로 구성된다. 이때 송풍팬(18)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통상의 원심형 터보팬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열교환기(16)의 후방으로부터 송풍팬(18) 쪽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송풍팬(18)의 반경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14) 쪽으로 원활하게 송풍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열교환기(16)의 후방과 송풍팬(18) 사이에는 열교환기(16)를 거친 공기가 송풍팬(18)의 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송풍팬(18)의 입구 크기와 대응하는 송풍안내공(19a)이 형성된 구획판(19)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가 동작될 때 흡입구(13)가 열리고 동작이 종료될 때 흡입구(13)가 닫힘으로써 본체(10)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이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구 개폐장치를 구비한다.
이 흡입구 개폐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13)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전면패널(12)의 흡입구(13) 전방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개폐부재(20)와, 개폐부재(20)를 전후방향으로 진퇴시켜 흡입구(13)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구동수단(30), 그리고 개폐부재(20)의 전후방향 진퇴를 안내하는 안내수단(40)을 포함한다.
구동수단(30)은 일단이 개폐부재(20)의 양측 이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패널(12)을 관통하여 전면패널(12) 내측으로 연장되며, 그 일면에 기어부(31a)가 형성된 랙(31)과, 랙(31)에 치합되는 피니언(32), 그리고 피니언(32)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3)로 이루어진다. 구동모터(33)는 전면패널(12)의 내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구동모터(33)가 동작할 때 개폐부재(20)와 결합된 랙(31)이 흡입구(13)의 전후방향으로 진퇴함으로써 흡입구(13)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원활하기 위해서는 구동수단(30)이 개폐부재(20)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상하 중앙에 각각 마련되며 양측의 구동수단(30)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진퇴를 안내하는 안내수단(4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20)의 안정적인 지지와 진퇴동작을 위해 개폐부재(20)의 사방모서리 내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안내수단은 개폐부재(20)의 이면으로부터 전면패널(12) 쪽으로 돌출하도록 소정길이 연장된 복수의 안내부재(41)와, 이 안내부재(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패널(12)의 양쪽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안내공(42)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수단(40)은 안내공(42)으로 삽입되는 안내부재(41)의 안정적인 진퇴동작으로 위해 전면패널(12)의 내면 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부(43)와, 개폐부재(20)의 열림을 제한하면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43)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지지부(43)를 통과한 안내부재(41)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44), 그리고 개폐부재(20)를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하기 위해 통상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안내부재(41)와 지지부(43)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45)를 포함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재(41)는 개폐부재(20)의 내면으로부터 전면패널(12) 쪽으로 연장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가 되도록 외면에 소정의 구배(θ)를 갖는 사각의 막대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부재(41)를 지지하는 지지부(43)는 그 내면과 외면이 안내부재(41)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구배(θ)를 갖는 사각의 관 형상으로 마련되며, 커버부재(44)는 지지부(43)의 외면을 덮을 수 있도록 그 내면이 지지부(43)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구배(θ)를 갖는 사각의 컵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 안내부재(41)의 단부에는 탄성부재(45)가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깊이의 수용홈(46)이 형성되고, 지지부(43)의 단부에는 수용홈(46)에 설치된 탄성부재(45)의 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 고정부(47)가 마련된다. 이를 위해 안내부재(41)의 단부는 중앙의 수용홈(46)을 통해 상부와 하부로 분기되며, 탄성부재 고정부(47)는 안내부재(41)가 진퇴할 때 안내부재(41)의 단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수용홈(46)의 위치와 대응하는 지지부(43) 후단의 상하 중앙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커버부재(44)는 지지부(43)를 통과하는안내부재(41)의 분기된 단부에 고정나사(48)의 체결을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수용홈(46)에 내장된 탄성부재(45)가 각 안내부재(41)를 개폐부재(20)의 열림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탄성부재(45)의 탄성에 의해 개폐부재(20)의 사방테두리부 열림이 균일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탄성부재(45)의 탄성력을 이기고 개폐부재(2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동모터(33)의 구동력이 탄성부재(45)의 탄성력보다 커야한다.
이때 사방의 안내부재(41)를 가압하는 탄성부재(45)는 하측의 두 안내부재(41)를 가압하는 탄성부재(45)의 탄성력이 상측의 두 안내부재(41)를 가압하는 탄성부재(45)의 탄성력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개폐부재(20)의 자중에 의해 개폐부재(20)가 하방으로 처지면서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개폐부재(20)가 무거울 경우에는 상측의 두 탄성부재(45)를 없애고 하측 두 탄성부재(45)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부재(41), 지지부(43), 커버부재(44)가 상호 대응하는 구배(θ)를 갖도록 한 것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20)가 완전히 닫혔을 때 안내부재(41)의 외면과 지지부(43)의 내면이 밀착되면서 개폐부재(41)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41)가 완전히 열렸을 때는 지지부(43)의 외면과 커버부재(44)의 내면이 상호 밀착되면서 개폐부재(20)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가동되면 송풍팬(18)의 구동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흡입구 개폐장치의 구동모터(33) 동작에 의해 개폐부재(20)가 전면패널(12)의 전방으로 소정량 이동하면서 전면패널(12)의 흡입구(13)가 열린다. 즉 개폐부재(20)의 사방 테두리부가 전면패널(12)로부터 이격되면서 흡입구(13)가 개방된다. 따라서 흡입구(13)로 흡입되는 공기는 열교환기(16)를 거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을 거친 공기는 송풍팬(18)을 통해 반경방향의 토출구(14) 쪽으로 송풍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동작이 종료되면 송풍팬(18)이 멈추고, 개폐부재(20)는 흡입구 개폐장치의 구동모터(33) 동작에 의해 다시 닫힌다.
개폐부재(20)의 개폐동작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17)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32)이 회전할 때, 개폐부재(20)의 내면에 결합된 랙(31)이 피니언(32)의 동작에 의해 전면패널(12)의 전후방향으로 진퇴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개폐부재(20)의 진퇴동작 안내하는 안내부재(41), 전면패널(12)의 지지부(43), 그리고 커버부재(44)가 상호 대응하는 소정량의 구배(θ)를 구비하기 때문에 개폐부재(20)가 완전히 열릴 때와 완전히 닫힐 때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개폐부재(20)가 완전히 열렸을 때 개폐부재(20)의 사방테두리부 열림이 균일한 상태로 유지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20)가 닫힐 때는 안내부재(41)가 전면패널(12)의 지지부(43) 내측으로 진입하는 데, 이때는 상호 대응하는 구배(θ)를 갖는 안내부재(41)의 외면이 지지부(43)의 내면에 밀착 지지되기 때문에개폐부재(20)의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개폐부재(20)가 닫히는 과정에서 각 안내부재(41)의 중심과 각 지지부(43)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되도록 안내되기 때문에 개폐부재(20)의 닫힘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반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20)가 열릴 때는 안내부재(41)가 지지부(43)로부터 소정량 빠져 나오게 되지만 안내부재(41)의 단부에 결합된 커버부재(44)가 안내부재(41)와 함께 이동하면서 지지부(43)의 외면을 덮는다. 이때는 상호 대응하는 구배(θ)를 갖는 지지부(43)의 외면과 커버부재(44)의 내면이 밀착되면서 상호 지지되기 때문에 개폐부재(20)의 흔들림이 방지된 상태로 열리며, 개폐부재(20)의 열림량이 제한된다. 또한 이때는 커버부재(44)의 내면과 지지부(43) 외면을 통해 각 안내부재(41)의 중심과 지지부(43)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안내되기 때문에 개폐부재(20)의 열림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개폐부재(20)의 사방테두리부 열림이 균일해진다.
또한 개폐부재(20)는 각 안내부재(41)를 가압하는 탄성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재(20)의 사방이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사방이 균일하게 열리거나 닫힌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개폐부재의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소정의 구배를 구비하기 때문에 개폐부재가 열리거나 닫힐 때 흔들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부재의 개폐가 이루어질 때 소정의 구배를 갖는 안내수단을 통해 개폐부재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안내되기 때문에 개폐부재의 개폐가 정확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부재의 개폐가 이루어질 때 탄성부재를 통해 충격이 완화될 뿐 아니라, 개폐부재의 사방테두리가 균일하게 열리거나 닫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실내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의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개폐동작을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개폐부재를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안내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며 외면에 소정의 구배를 구비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내공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면이 상기 안내부재와 대응하는 구배로 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개폐부재의 열림을 제한하면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면을 덮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그 내면이 상기 지지부의 외면과 대응하는 구배를 갖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의 복수 개소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개폐부재를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개폐부재를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홈에 설치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탄성부재 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그 내면과 외면이 상기 안내부재의 외면과 상기 커버부재의 내면에 대응하는 구배를 갖춘 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그 내면이 상기 지지부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컵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개폐부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기어부가 형성된 하나이상의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피니언을 구동시켜 상기 랙을 진퇴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서 진퇴운동을 하여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개폐부재의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소정의 구배면을 갖는 안내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개페부재의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안내부재의 구배면과 상응하는 구배면을 갖는 안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서 진퇴운동을 하여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마련되며 소정의 구배면을 갖는 안내부재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내면에 상기 안내부재와 대응하는 구배면을 갖고 외면에 소정의 구배면을 갖는 관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안내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 형성된 구배면과 대응하는 구배면을 갖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2-0021459A 2002-04-19 2002-04-19 공기조화기 KR100432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459A KR100432223B1 (ko) 2002-04-19 2002-04-1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459A KR100432223B1 (ko) 2002-04-19 2002-04-1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076A true KR20030083076A (ko) 2003-10-30
KR100432223B1 KR100432223B1 (ko) 2004-05-20

Family

ID=3237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459A KR100432223B1 (ko) 2002-04-19 2002-04-1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22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794B1 (ko) * 2002-10-04 2005-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629528B1 (ko) * 2003-12-15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공조장치의 운전방법
KR101243225B1 (ko) * 2007-08-28 2013-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67272Y1 (ko) * 2007-07-26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02095B1 (ko) * 2008-06-30 2015-03-13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4484612A (zh) * 2022-01-04 2022-05-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WO2023106556A1 (ko) * 2021-12-07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903B1 (ko) 2004-11-05 2008-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67273Y1 (ko) 2007-11-05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794B1 (ko) * 2002-10-04 2005-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629528B1 (ko) * 2003-12-15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공조장치의 운전방법
KR200467272Y1 (ko) * 2007-07-26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243225B1 (ko) * 2007-08-28 2013-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02095B1 (ko) * 2008-06-30 2015-03-13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23106556A1 (ko) * 2021-12-07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4484612A (zh) * 2022-01-04 2022-05-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2223B1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5622B2 (en) Air outlet opening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s
CN105980788B (zh) 空调机
KR100432223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40468A (ko) 공기조화기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JP6116840B2 (ja) 空気調和機
WO2002103249A2 (en) Air conditioner
CN108019835B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0491794B1 (ko) 공기조화기
KR200205341Y1 (ko) 공조기기용 실내기
KR100381156B1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0637670B1 (ko) 공기조화기
KR20040005337A (ko) 공기조화기
KR20010037826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75871B1 (ko) 공기조화기용 셔터이송장치
KR100347954B1 (ko)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개폐 장치
KR100554285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150393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164656Y1 (ko) 에어컨의 공기 순환구 개폐장치
KR2007006557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87664A (ko) 분리형 에어컨의 흡입구 자동개폐장치
KR200462301Y1 (ko) 공기조화기
KR20020036431A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KR100455578B1 (ko) 에어컨의 오토셔터 작동 보조장치
KR20030044456A (ko) 공기조화기의 단차 해소용 도어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