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479U -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 Google Patents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479U
KR20090000479U KR2020080009192U KR20080009192U KR20090000479U KR 20090000479 U KR20090000479 U KR 20090000479U KR 2020080009192 U KR2020080009192 U KR 2020080009192U KR 20080009192 U KR20080009192 U KR 20080009192U KR 20090000479 U KR20090000479 U KR 200900004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ntenna
antennas
piec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준
유창완
고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두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두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두잇
Priority to KR2020080009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479U/ko
Publication of KR20090000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479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01Q1/1264Adjusting different parts or elements of an aerial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two co-ordinates of the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한 쌍의 안테나를 설치위치에 고정하며 각 안테나의 방위각, 앙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제1지지유니트와, 제1지지유니트와 각 안테나 사이에 설치되며 각 안테나의 방위각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제2지지유니트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위성방송신호를 수신한는 복수의 안테나를 하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브라켓의 개수 감소에 따라 원가를 절감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SUPPORT BRACKET FOR SATELLITE ANTENNA}
본 고안은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상이한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위성방송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의 방위각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위성통신은 지표상공에 떠있는 인공위성(우주국)을 이용하여 지구상의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방식으로서, 4~8GHz의 C밴드나, 12.5~ 18GHz의 Ku 밴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각종 통신 서비스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위성통신을 이용하면, 통신 서비스나 방송 서비스를 위한 통신신호를 지구상의 특정지역내의 일반 대중에게 직접 방송할 수 있으며, 위성에는 중계기가 탑재되어 일반 대중의 단말기로 직접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위성통신 중 위성방송에서는 주파수는 지상국에서 위성으로는 14GHz, 위성에서 지상으로는 12GHz(8채널)를 사용한다. 대단히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지상에서 수신하는 전파도 대단히 약하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지향성이 강한 파라볼라 안테나나 여러 개의 작은 안테나 소자를 집합시킨 평면 안테나를 사용한다
한편, 세계 각국의 위성방송은 개별수신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나라마다 구비하고 있는 위성의 종류는 갯수는 상이하다. 이때, 한 나라에 통신 서비스 또는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위성이 여러 개이고, 각 위성의 위치가 하나의 안테나로 커버할 수 없을 만큼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안테나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민간통신위성의 JCSAT와 Super Bird가 12GHz의 방송위성과는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TV방송과 음악방송을 내보내고 있다. 그리고 이들 통신위성의 위치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방송위성과도 상당히 멀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수신 안테나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이렇게 방송위성과 통신위성으로부터 각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할 경우,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해 비교적 넓은 공간이 필요함은 물론이고, 부가의 안테나 구입으로 인해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안테나 설치로 인한 공간적 비용적 소모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의 안테나의 방위각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용 지지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한 쌍의 안테나를 설치위치에 고정하며, 상기 각 안테나의 방위각, 앙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제1지지유니트; 상기 제1지지유니트와 상기 각 안테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각 안테나의 방위각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제2지지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유니트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유니트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각 안테나가 상기 지지판에 접근 및 이격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각 안테나를 연결하는 복수의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각 안테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긴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각 지지부의 중앙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부의 양 단부에는 상기 각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양측부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조절부재와 결합되는 지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에는 상기 지지편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조절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는 직각변과 상기 직각변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완만하게 형성된 경사변을 갖는 거의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공은 상기 경사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완만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안테나에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의 양단부로부터 절곡 및 연장되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편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편의 조절공에 삽입되는 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위성방송신호를 수신한는 복수의 안테나를 하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지지브라켓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안테나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용 지지브라켓이 안테나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상호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제1지지유니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2지지유니트의 지지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지지판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지지판의 저면도,
도 7은 도 1의 안테나용 지지브라켓의 측면사시도이다.
후술할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안테나를 지지하는 구성의 지지브라켓을 도시하고 이를 설명하나, 본 지지브라켓의 구조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안테나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용 지지브라켓이 안테나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용 지지브라켓(1)에 결합되는 안테나는 한 쌍의 평면형 위성 안테나로 구성되며, 각 평면형 위성 안테나는 상이한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상이한 방위각을 갖게 된다.
본 지지브라켓(1)은, 각 안테나(5)를 일정한 고정위치에 고정시키며 각 안테나(5)의 앙각과 방위각을 조절하는 제1지지유니트(10)와, 각 안테나(5)와 제1지지유니트(10) 사이에 결합되어 각 안테나(5)의 방위각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제2지지유니트(5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은 상호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제1지지유니트의 사시도이다.
제1지지유니트(10)는, 방위각을 조절하기 위한 방위각 조절부재(20)와, 앙각을 조절하기 위한 앙각 조절부재(30)를 포함한다.
방위각 조절부재(20)는, 안테나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위치, 예를 들면, 벽이나 바닥 또는 별도의 안착물에 결합되며, 안테나를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방위각을 조절한다.
방위각 조절부재(20)는 안착위치에 접하는 판상의 안착판(21)과, 앙각 조절부재(30)를 지지하기 위한 결합체(25)를 포함한다.
안착판(21)은, 일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일단부에는 일정한 곡률을 가진 반원 형상의 방위각 조절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방위각 조절공(22)에는 각도를 표시하는 다수의 눈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지지유니트(10)가 안착되는 안착위치에는 방위각 조절공(22) 내에 삽입되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방위각 조절공(22)내의 돌기의 위치에 따라 방위각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방위각 조절공(22)의 곡률반경에 대한 중심점에는 방위각 조절부재(20)를 안착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결합공(23)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체(25)는 속이 빈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결합체(25)의 양측벽에는 앙각 조절부재(30)에 의해 조절되는 앙각이 눈금으로 표시되어 있고, 앙각 조절부재(30)의 앙각 조절공(34)에 삽입되는 앙각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앙각 조절부재(30)는, 안테나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며, 제2지지유니트(50)에 결합되는 제1결합판(31)과, 제1결합판(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부로부터 절곡된 다음 연장되어 결합체(25)의 양측벽에 접하는 제2결합판(33)을 포함한다.
제1결합판(31)의 일단부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일단부에는 일정한 곡률을 가진 각도 조절공(32)이 형성되어 있다. 각도 조절공(32)의 연부에는 각도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각도 조절공(32)에는 나사가 관통되어 제1결합판(31)과 제2지지유니트(50)를 상호 유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각도 조절공(32)의 하부에는 도시않은 나사공이 형성되어 각도 조절공(32)에 삽입된 나사가 각도 조절공(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결합판(31)과 제2지지유니트(50)를 결합한다.
제2결합판(33)에는 앙각 조절부재(30)를 결합체(25)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35)과, 앙각 조절부재(3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형성된 앙각 조절공(34)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결합판(33)의 일측에는 결합체(25)에 형성된 눈금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편(36)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지지유니트(10)는, 방위각 조절부재(20)의 방위각 조절공(22)을 따라 제1지지유니트(10)가 회동함에 따라, 안테나(5)가 좌우로 회동가능하며, 이에 따라 방위각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앙각 조절부재(30)의 앙각 조절공(34)을 따라 안테나(5)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이에 따라 앙각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앙각 조절부재(30)의 각도 조절공(32)을 따라 안테나(5)가 회동가능함에 따라 평면형 안테나의 경우 평면방향을 따라 안테나(5)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2지지유니트의 지지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지판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지지판의 저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과, 도 1을 참조하여 제2지지유니트(5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지지유니트(5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제1지지유니트(10)에 결합되는 지지판(60)과, 지지판(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조절부재(70)를 포함한다.
지지판(60)은, 각 안테나(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긴 판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이한 안테나(5)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부(61,62)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지지부(61,62)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지지부(61,62)의 중앙영역에는 각 지지부(61,6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60)은 'H'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안테나(5)를 조절하기 위해 한 쌍의 지지부(61,62)를 형성하였으나, 안테나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지지부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부(63)에는 제1지지유니트(10)의 앙각 조절부재(3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공(67)과, 각도 조절공(32)에 의해 조절되는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지지부(61,62)의 양 단부에는 제1 및 제2지지부(61,62)의 길이방향의 양측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편(6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지지부(61)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편(65)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62)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도 각각 한 쌍의 지지편(65)이 형성된다.
각 지지편(65)은 조절부재(70)와 결합되며, 제1 및 제2지지부(61,62)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는 직각변과, 직각변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완만하게 형성된 경사변을 갖는 거의 직각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지지부(6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된 각 지지편(65)은 경사변이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편(65)에는 지지편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조절공(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공(66)은 경사변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때, 각 지지편(65)의 경사변이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각 지지편(65)에 형성된 조절공(66)도 경사방향이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각 조절공(66)은 길이방향을 따라 완만한 곡률을 가지고 형성된다.
이러한 각 지지편(65)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지지부(61,62)와 각 안테나(5)를 연결하는 복수의 조절부재(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에 결합되는 결합면(71)과, 결합면(71)의 양단부로부터 절곡 및 연장되는 고정편(73)을 포함한다. 결합면(71)은 사각판상으로 형성되어 안테나(5)의 배면에 고정된다. 고정편(73)은 제1 및 제2지지부(61,62)의 각 지지편(65)을 향해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편(73)의 단부에는 지지편(65)의 조절공(66)에 삽입되는 핀(75)이 마련된다. 핀(75)은 돌기나 나사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돌기인 경우에는 고정편(73)에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인 경우에는 고정편(73)의 단부에 공을 형성하여 결합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제2지지유니트(50)는, 각 조절부재(70)의 핀(75)이 각 지지편(65)의 조절공(66)을 따라 이동가능함에 따라, 각 안테나(5)의 방위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1지지부(61)에 결합된 안테나(5)의 경우, 안테나(5)가 우측으로 기울도록 방위각을 조절하려면, 우측의 조절부재(70)의 핀(75)이 조절공(66)을 따라 제1지지부(61)에 인접하도록 해당 영역의 안테나(5)를 당기고, 좌측의 조절부재(70)의 핀(75)이 조절공(66)을 따라 제1지지부(61)와 이격되도록 해당 영역의 안테나(5)를 가압한다. 그러면,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5)가 우측으로 기울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2지지부(62)에 결합된 안테나(6)가 좌측으로 기울도록 방위각을 조절하려면, 우측의 조절부재(70)의 핀(75)이 조절공(66)을 따라 이동하여 제2지지부(62)로부터 이격되도록 해당 영역의 안테나(6)를 가압하고, 좌측의 조절부재(70)의 핀(75)이 조절공(66)을 따라 이동하여 제2지지부(62)와 인접하도록 해당 영역의 안테나(6)를 당긴다.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6)가 좌측으로 기울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지지유니트(50)를 이용하면, 각 안테나(5,6)의 방위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안테나(5,6)의 방위각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 위성 방송과 같이 복수의 위성을 사용하는 경우, 각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위성방송신호를 모두 송신할 수 있다.

Claims (7)

  1. 적어도 한 쌍의 안테나를 설치위치에 고정하며, 상기 각 안테나의 방위각, 앙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제1지지유니트;
    상기 제1지지유니트와 상기 각 안테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각 안테나의 방위각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제2지지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유니트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유니트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각 안테나가 상기 지지판에 접근 및 이격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각 안테나를 연결하는 복수의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각 안테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긴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각 지지부의 중앙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의 양 단부에는 상기 각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양측부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조절부재와 결합되는 지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에는 상기 지지편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조절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는 직각변과 상기 직각변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완만하게 형성된 경사변을 갖는 거의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공은 상기 경사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완만한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안테나에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의 양단부로부터 절곡 및 연장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편의 조절공에 삽입되는 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KR2020080009192U 2008-07-10 2008-07-10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KR200900004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192U KR20090000479U (ko) 2008-07-10 2008-07-10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192U KR20090000479U (ko) 2008-07-10 2008-07-10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445 Division 2007-07-11 2007-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79U true KR20090000479U (ko) 2009-01-15

Family

ID=4129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192U KR20090000479U (ko) 2008-07-10 2008-07-10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47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515B1 (ko) 2019-12-16 2021-03-23 주식회사 효성앤송성 Lnb 일체형 위성 안테나 설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515B1 (ko) 2019-12-16 2021-03-23 주식회사 효성앤송성 Lnb 일체형 위성 안테나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8172B2 (en) Multi-beam shaped reflector antenna for concurrent communication with multiple satellites
US7659859B2 (en) Antenna element, feed probe; dielectric spacer, antenna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devices
KR20160091090A (ko) 샤크 핀 안테나
JP2004056643A (ja) アンテナ装置
US8655409B2 (en) Antenna with cellular and point-to-point communications capability
EP3627623B1 (en) On-board antenna device
WO2009008601A1 (en) Support bracket for satellite antenna
KR200442840Y1 (ko)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US20200176861A1 (en)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bottom end caps with angled connector ports
KR20090000479U (ko)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US63662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n auxiliary antenna to a reflector antenna
JP3607825B2 (ja) 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
KR20090000480U (ko)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US5859620A (en) Multiband feedhorn mount assembly for ground satellite receiving antenna
KR102031821B1 (ko) 슬롯 어레이 안테나
KR20030065609A (ko) 광대역 특성을 갖는 비대칭 평판형 다이폴 안테나 및 이를이용한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구조
KR20020041771A (ko) 아이엠티2000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어레이 안테나
JP4915216B2 (ja) アンテナ装着用置き台
KR100717296B1 (ko) Dmb방송용 원편파 안테나
KR100663914B1 (ko) 무급전 커플링 다중대역 안테나
US7218902B2 (en) Antenna for communication with a satellite
JP4106303B2 (ja) アンテナ給電部
US20190356037A1 (en) Directional antenna for use behind a tv
JPH0653728A (ja) 送信及び/又は受信アンテナ
Saala et al. Compact circular polarized antenna for mobile reception of radio signals transmitted by geostationary satell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