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302A -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 Google Patents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302A
KR20090000302A KR1020070064266A KR20070064266A KR20090000302A KR 20090000302 A KR20090000302 A KR 20090000302A KR 1020070064266 A KR1020070064266 A KR 1020070064266A KR 20070064266 A KR20070064266 A KR 20070064266A KR 20090000302 A KR20090000302 A KR 20090000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dule
refrigerant
medium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127B1 (ko
Inventor
하진웅
양희국
윤종문
강달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6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12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대형 전지팩으로서, 수직으로 냉매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전지모듈들을 측면방향으로 상호 접하도록 배열한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배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 어셈블리에서 최외각 전지모듈을 각각 감싸고 있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들; 상기 측면 지지부재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팩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지모듈의 냉각을 위한 냉매는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쪽에 위치한 냉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각 전지모듈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냉매 유입구 방향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하단쪽에 위치한 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Pack of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의 투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팩 하우징을 제외한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Y형 측면 보강부재가 장착된 부위를 확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우측 부위를 확대한 부분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유입구에 인접한 부위에 비드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를 가진 중대형 전지팩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비드의 깊이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를 가진 중대형 전지팩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중대형 전지팩의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 직으로 냉매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배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재와 연결부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팩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지모듈의 냉각을 위한 냉매는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쪽에 위치한 냉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각 전지모듈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냉매 유입구 방향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하단쪽에 위치한 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중대형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잇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중대형 전지모듈이 소정의 장치 내지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출력 및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직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하고 외력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고출력 대용량 이차전지는 충방전 과정에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키는 바,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한 단위전지의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면, 열축적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단위전지의 열화를 촉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 또는 폭발의 위험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인 차량용 전지팩에는 그것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들을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선행기술은 냉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의 중대형 전지모듈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등록특허 제3355958호에는 차량 등의 한정된 공간에 다수의 전지셀들을 적층한 구조의 중대형 전지모듈에서, 냉매가 1 군의 적층 전지군을 통과하여 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다른 군의 적층 전지군을 연속하여 통과하는 경우에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매용 유로를 형성하는 돌기를 전지셀의 외면에 형성하고, 냉매가 전지군들 사이로 유입된 후 적층된 전지군을 통과하면서 전지셀들을 냉각시키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에서, 전지셀은 니켈-수소 이차전지 등과 같은 알칼리 전지로서, 그 자체로 높은 기계적 강성을 가지도록 외형을 형성해야 하므로, 다수의 전지셀들을 중첩한 상태에서 양면에 플레이트를 맞대고 이를 밴드로 고정하여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 효율성을 일부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높은 기계적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외형 구성으로 인해 부피 및 중량이 매우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수의 전지셀들로 구성된 중대형 전지팩에서, 일부 전지셀의 성능 저하는 전체 전지팩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성능 불균일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는 전지셀 간의 냉각 불균일성에 의한 것이므로, 냉매의 유동시 냉각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따라서, 전지팩 내부에서는 냉매의 유로 구조에 따라서 냉각의 효율성이 크게 차이가 나므로, 보다 콤팩트하며 안정적인 구조와 함께 냉매를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함으로써 냉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대형 전지팩에 관한 기술의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과정이 간소하고, 콤팩트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전지셀들 사이의 유로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전지셀의 충방전시에 발생한 열을 균일한 냉매의 유동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냉각 효율성이 높은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은, 수직으로 냉매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전지모듈들을 측면방향으로 상호 접하도록 배열한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배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 어셈블리에서 최외각 전지모듈을 각각 감싸고 있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들; 상기 측면 지지부재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팩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지모듈의 냉각을 위한 냉매는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쪽에 위치한 냉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각 전지모듈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냉매 유입구 방향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하단쪽에 위치한 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은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전지모듈 다수 개가 적층되어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이루고 있고, 이러한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탑재하고, 양 측면을 측면 지지부재들로 감싸며, 측면 지지부재들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 및 전지모듈 외면을 감싸는 팩 하우징에 의해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체적으로 조립 과정이 간소하며, 콤팩트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의 중대형 전지팩에 장착되는 전지모듈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전지셀들을 높은 밀집도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며, 충방전시에 발생한 열을 제 거할 수 있도록 인접한 전지셀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적층한다. 예를 들어, 전지셀 자체를 별도의 부재 없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기계적 강성이 낮은 전지셀의 경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카트리지 등에 내장하고 이러한 카트리지들을 다수 개 적층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적층된 전지셀들 또는 전지모듈들 사이에는 축적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냉매의 유로가 전지셀들 또는 전지모듈들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전면 및 후면 상단을 가압하는 1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은 냉매의 유동을 전지모듈의 상단쪽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팩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 지지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1 쌍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전면 및 후면 상단을 각각 가압함과 동시에 팩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으로 유입된 냉매를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전지모듈을 수직 하향으로 관통한 뒤 냉매가 유입된 방향의 팩 하우징 하단으로 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연결부재는 측면 지지부재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역할과, 냉매가 전지모듈의 측면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전지모듈의 수직 하부 방향으로 냉매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더욱이, 한 개의 부재가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전지팩을 제조하는 데 소요되는 부품 수와 전지팩의 제조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중대형 전지팩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전면과 후면은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를 측면으로 하여 설정된 위치이다. 따라서, 그러한 위치는 설정 기준에 따라서는 좌측과 우측의 위치로 변경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전지모듈들이 연속적으로 접하면서 배열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작용을 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매 유입구 및 냉매 배출구는 전지셀들의 충방전에 따른 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유동 공간으로서, 팩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형성된 유동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에서는, 냉매 유입구가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에 위치하고 냉매 배출구가 냉매 유입구의 방향으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하단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지만, 그와 반대 구조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구조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냉매 유입구의 단면적이 냉매 배출구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으면 유량이 유입구 근처의 전지모듈 사이의 유로에 많이 유입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유입구로부터 먼 쪽의 전지모듈들 사이의 유로에는 유량이 많이 감소하여 전지모듈들 간의 균일한 냉각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은 냉매 배출구의 수직 단면적보다 작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는 종래의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이 냉매 배출구의 수직 단면적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와 비교하여, 전지셀들 사이의 유로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전지셀의 충방전시에 발생한 열을 균일한 냉매의 유동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냉각 효율성이 높아지고 전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은 냉매 배출구의 수직 단면적을 기준으로 30 내지 90%의 크기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냉매의 유동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이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너무 큰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냉매 유량의 전지모듈간 균일한 분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팩 하우징은 전지모듈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가 전지모듈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냉매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매는 전지모듈들의 상면과 팩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긴 냉매 유동 공간을 흐르면서 각각의 전지모듈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냉매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팩 하우징의 상단 내면에는 뒤틀림, 진동 등과 같은 외력에 대해 우수한 내구성 또는 구조적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폭 대비 길이가 큰 요철 형상의 다수의 비드들이 팩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비드들은 팩 하우징의 내측으로 만입된 구조로 이루어진 만입형 비 드,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형 비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만입형 비드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비드의 만입 높이는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그것의 깊이가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냉매의 유동이 비드로부터 받는 영향은 냉매 유입구 부근에서 가장 크므로, 냉매 유입구 부근의 비드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냉매 유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순차적으로 비드의 깊이를 증가시키는 구조를 사용한다. 따라서, 냉매 유입구 쪽의 비드의 깊이를 낮게 형성시키는 구조를 사용하여 비드가 냉매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돌출형 비드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비드의 돌출 높이는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그것의 높이가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효과는 상기 만입형 비드의 경우와 대략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조들은, 팩 하우징의 구조적 안정성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전지모듈들 사이의 유량 분배 균일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냉매 유입구쪽 비드의 깊이 또는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냉매 유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비드의 깊이 또는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소정의 깊이 또는 높이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킨 후 다음 특정 비드부터 원래의 비드 깊이 또는 높이를 유지하는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 경우, 깊이 또는 높이가 변하는 비드의 개수는 비드 깊이 조정에 따른 팩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결 정할 수 있다.
냉매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비드 구조와 관련한 또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냉매 유입구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비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드들은 전지모듈의 폭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 유입구에 인접한 부위에는 비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조일 수 있다.
즉, 냉매의 유동이 비드로부터 받는 영향은 냉매 유입구 부근에서 가장 크므로, 냉매 유입구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곳에서부터 비드를 형성하면, 비드가 냉매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냉매 배출구에는 냉매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전지모듈을 관통한 후 신속하고 원활하게 냉매 배출구로 이동하여 전지팩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흡입 팬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흡입 팬에 의해 발생한 냉매의 유동 구동력에 의해, 좁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는 빠른 유속으로 유입구에서 멀리 떨어진 전지모듈까지 충분히 도달하여, 냉매의 유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균일한 유량 분배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양측 하단부만을 지지하도록 굴곡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과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하면 사이에 냉매 유로가 형성되고, 전지모듈들을 수직으로 관통한 냉매는 상기 냉매 유로를 따라 냉매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전지모듈"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충방전 전지셀들을 기계적으로 체결하고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출력 대용량의 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전지 시스템의 구조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므로, 그 자체로서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거나, 또는 대형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형 전지모듈을 다수 개 연결한 대형 전지모듈의 구성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전지모듈은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판상형 전지셀들 또는 상기 판상형 전지셀 다수를 내장하고 있는 단위모듈들이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판상형'은 폭 대비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직육면체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전지셀은 이차전지로서, 대표적으로 니켈 수소 이차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가 높고 방전 전압이 큰 리튬 이차전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충방전 단위셀로서 형상 면에서는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가 바람직하며, 제조비용이 낮고 중량이 적은 파우치형 전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은 고출력 대용량의 달성을 위해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함으로써, 충방전시 발생하는 고열이 안전성 측면에서 심각하게 대두되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전원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적용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의 투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팩 하우징을 제외한 구조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중대형 전지팩(100)은 다수의 단위모듈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모듈(110), 전지모듈들(110)이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30), 연결부재(140), 및 팩 하우징(1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모듈들(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적층되며, 그것의 상면에는 냉매가 전지모듈(110)을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구들(116)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 지지부재(130)는 최외각 전지모듈들(112, 114)의 외면과 밀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결합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 지지부재(130)는 별도의 판상형 구조체가 아닌 중대형 전지팩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자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는 하나의 측면 지지부재 만이 판상형 구조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측면 지지부재(130)는 그것의 단부에서 돌출된 하단 연장부(135)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탑재부(122)상에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의 체결용 홈(도시하지 않음)과 측면 지지부재(130)의 하단 연장부(135)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체결용 홈(136)을 이용하여 암나사/수나사식 체결구조로 결합한다.
전지모듈들(110)의 적층체 상면에는 한 쌍의 연결부재(140)가 전지모듈 적층체, 즉,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상단 양측 모서리를 가압하면서 측면 지지부재(130)의 양측 상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40)는, 구체적으로, 각각 전지모듈(110) 어셈블리의 전면 및 후면 상단을 가압하는 1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프레임은 냉매의 유동을 전지모듈(110)의 상단쪽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팩 하우징(170)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어서, 전지모듈들(110)을 냉각시키는 냉매가 전지모듈(110) 어셈블리의 측면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냉매는 전지모듈(110) 어셈블리의 전면 일측 상단(A)으로 유입된 후 전지모듈(110)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L)으로 이동하면서 각 전지모듈을 수직 하향으로 관통한 뒤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전면 일측 하단(B)으로 배출된다.
팩 하우징(170)이 전지모듈들(110)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팩 하우징(170)의 연장부(도시하지 않음)를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연장부(125)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팩 하우징(170)에는 외력에 대해 우수한 내구성 또는 구조적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폭 대비 길이가 큰 요철 형상의 다수의 비드들(17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Y형 측면 보강부재가 장착된 부위를 확대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우측 부위를 확대한 부분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팩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밀착되는 연결부재(140) 는, 측면 지지부재들(130)을 상호간 연결함과 동시에 냉매를 전지모듈(110)들의 측면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이는 냉매를 전지모듈들 (110)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관통구들(116)의 수직 하향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냉각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유입구에 인접한 부위에 비드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를 가진 중대형 전지팩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냉매 유입구(174)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방향과 같이 각각의 전지모듈들(110)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전지모듈들(110)을 냉각시킨 후 냉매 배출구(176)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팩 하우징(170A)에는 냉매 유입구(174)에 인접한 부위(S)를 제외하고 만입형 비드들(172)이 냉매 유입구(174)로부터 유체의 진행 방향으로 냉매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폭 대비 길이가 큰 요철 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냉매 유입구(174)의 수직 단면적(a)은 냉매 배출구(176)의 수직 단면적(b)과 비교하여 대략 70%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냉매 유입구(174) 부위의 냉매 유속이 냉매 배출구(176) 부위의 냉매 유속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되어, 냉매 유입구(174)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전지모듈(110R)까지 냉매를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또한, 냉매 유입구(174)에 인접한 부위(S)를 제외한 팩 하우징(170A)의 부위에 만입형 비드들(172)이 형성되어 있어서 냉매 유입구(174)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 전지셀들(110R)까지 냉매를 보다 효율적으로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즉, 냉매 유입구(174)와 전지모듈(110, 110N, 110R) 간의 거리차에 따른 유량차의 차이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비드의 깊이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를 가진 중대형 전지팩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팩 하우징(170B)는 전지셀 적층방향(L)에 대응하는 길이가 전지셀 폭 방향(W)에 대응하는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만입형 비드들(172)은 전지셀의 폭 방향(W)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냉매 유입구(174)에 인접한 부위에서 비드들(172)의 요철 깊이는 냉매 유입구(174)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줄어드는 구조(h1<h2<h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비드(172) 구조로 인해 냉매 유량 분배의 균일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은 전체적으로 조립 과정이 간소하고, 콤팩트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전지모듈어셈블리의 양 측면을 한 쌍의 연결부재가 가압하고 있으므로, 냉매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효율적인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므로 전지의 제조 공정성 및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수직으로 냉매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전지모듈들을 측면방향으로 상호 접하도록 배열한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배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 어셈블리에서 최외각 전지모듈을 각각 감싸고 있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들; 상기 측면 지지부재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팩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지모듈의 냉각을 위한 냉매는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쪽에 위치한 냉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각 전지모듈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냉매 유입구 방향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하단쪽에 위치한 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전면 및 후면 상단을 가압하는 1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은 냉매의 유동을 전지모듈의 상단쪽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팩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은 냉매 배출구의수직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은 냉매 배출구의 수직 단면적을 기준으로 3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팩 하우징은 전지모듈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가 전지모듈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팩 하우징의 상단 내면에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만입형 비드 또는 돌출형 비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형 비드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비드의 만입 높이는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그것의 깊이 또는 높이가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비드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비드의 돌출 높이는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그것의 깊이 또는 높이가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냉매 유입구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비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배출구에는 냉매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전지모듈을 관통한 후 배출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흡입 팬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양측 하단부만을 지지하도록 굴곡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전지모듈 어셈블리 사이에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판상형 전지셀들 또는 상기 판상형 전지셀 다수를 내장하고 있는 단위모듈들이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20070064266A 2007-06-28 2007-06-28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KR100993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266A KR100993127B1 (ko) 2007-06-28 2007-06-28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266A KR100993127B1 (ko) 2007-06-28 2007-06-28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302A true KR20090000302A (ko) 2009-01-07
KR100993127B1 KR100993127B1 (ko) 2010-11-09

Family

ID=4048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266A KR100993127B1 (ko) 2007-06-28 2007-06-28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12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0074A2 (en) * 2009-11-11 2011-05-19 Coda Automotive, Inc.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20130120261A (ko) * 2012-04-25 2013-11-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어셈블리
KR20140021397A (ko) * 2012-08-10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차
US8808887B2 (en) 2010-11-23 2014-08-1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9059446B2 (en) 2010-11-05 2015-06-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CN104813506A (zh) * 2012-12-04 2015-07-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蓄电装置
KR20170065906A (ko) * 2015-12-04 2017-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들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간접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70067240A (ko) *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용 냉각 부재
US10312561B2 (en) 2014-10-29 2019-06-04 Lg Chem, Ltd. Unit cell pack
WO2021137401A1 (ko) * 2020-01-03 2021-07-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선된 결합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1629B2 (ja) 2000-03-31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流体冷却式電池パックシステム
JP4707923B2 (ja) 2002-06-17 2011-06-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0074A2 (en) * 2009-11-11 2011-05-19 Coda Automotive, Inc.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WO2011060074A3 (en) * 2009-11-11 2011-10-06 Coda Automotive, Inc.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9059446B2 (en) 2010-11-05 2015-06-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8808887B2 (en) 2010-11-23 2014-08-1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130120261A (ko) * 2012-04-25 2013-11-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어셈블리
KR20140021397A (ko) * 2012-08-10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차
CN104813506A (zh) * 2012-12-04 2015-07-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蓄电装置
CN104813506B (zh) * 2012-12-04 2017-07-2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蓄电装置
US10312561B2 (en) 2014-10-29 2019-06-04 Lg Chem, Ltd. Unit cell pack
KR20170065906A (ko) * 2015-12-04 2017-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들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간접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70067240A (ko) *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용 냉각 부재
WO2021137401A1 (ko) * 2020-01-03 2021-07-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선된 결합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14402477A (zh) * 2020-01-03 2022-04-26 株式会社Lg新能源 具有改进的联接结构的电池组及包括该电池组的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127B1 (ko)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127B1 (ko)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KR100942985B1 (ko) 냉매 유량의 분배 균일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케이스
KR100938626B1 (ko) 냉매 유량의 분배 균일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케이스
KR101029838B1 (ko) 냉각 효율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KR100951324B1 (ko) 냉매 유량의 분배 균일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케이스
KR100981878B1 (ko) 냉매 유량의 분배 균일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케이스
KR101833526B1 (ko) 수냉식 냉각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143279B1 (ko) 신규한 냉각구조를 가진 전지팩
KR101084972B1 (ko) 냉매 유량의 분배 균일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케이스
KR101218751B1 (ko)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JP5646041B2 (ja) 新規構造を有する電池パックケース
KR101475737B1 (ko) 신규한 공냉식 구조의 전지팩
KR20090129044A (ko) 냉매 유량의 분배 균일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케이스
KR101609232B1 (ko) 냉매 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35795B1 (ko) 공냉식 구조의 전지팩
KR20130122057A (ko) 전지팩 냉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