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231A -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231A
KR20090000231A KR1020070011938A KR20070011938A KR20090000231A KR 20090000231 A KR20090000231 A KR 20090000231A KR 1020070011938 A KR1020070011938 A KR 1020070011938A KR 20070011938 A KR20070011938 A KR 20070011938A KR 20090000231 A KR20090000231 A KR 20090000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control
security
visitor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응주
강성준
Original Assignee
포제이씨 주식회사
연응주
강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제이씨 주식회사, 연응주, 강성준 filed Critical 포제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231A/ko
Publication of KR2009000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통제지역 내에 있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방문자의 임시출입을 허가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온라인 솔루션을 통해 상품, 서비스를 주문 또는 예약할 경우에, 이 주문 또는 예약에 관련하여 방문자의 출입이 필요하게 되면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에서 출입구에 마련되는 출입구 보안단말로 방문정보를 제공하고, 방문자는 방문정보와 일치하는 제공된 보안카드 또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출입통제지역을 임시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상가의 상품,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출입통제지역 내에 있는 사용자에게 배달, 방문하는데 있어, 주문 또는 예약을 받은 방문자가 별도의 승인과정 없이 출입통제지역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및 방문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방문자의 출입허가에 있어 개별적으로 임시출입이 가능한 횟수, 시간을 지정하거나, 특정 출입문을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감시인의 동행이나 관리 없이도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출입통제, 보안

Description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도 1은 기존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온라인 쇼핑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과정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IPTV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출입구 보안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카드발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인터넷 20 : 출입통제 관리서버
201 : 주문관리 처리부 202 : 출입통제 처리부
203 : 보안카드 발급부 204 : e-카달로그 DB
205 : 보안 DB 206 : 예약방문 처리부
207 : 예약방문 DB 30 : IPTV
30' : PC 40 : 출입구 보안단말
50 : 상점 60 : 쇼핑몰
70 : 보안데스크 장비 80 : 보안카드
90 : 키오스크
본 발명은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을 통한 전자상거래에 대응하여 상품의 배달 및 방문 서비스의 허용 뿐만 아니라 예약방문을 허용할 수 있도록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보호를 받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방문자에게 출입권한을 부여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거환경에 있어 보안이 점차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데, 이런 추세의 결과로써 공동주택이나 사무실, 공공시설에 대한 보안시스템의 적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또한, 정보화사회가 발전할수록 기업은 내부에 있는 정보나 자산을 지키기 위해 보안시스템을 적용하여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안시스템은 인가된 사용자만 출입이 자유로울 뿐 방문자의 출입은 복잡한 승인과정을 거쳐야만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간단한 상품의 배달, 방문 서비스를 받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방문자는 복잡한 보안 승인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경우, 전자상거래가 일반화되어 온라인을 통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검색, 주문 및 결제는 손쉽게 이뤄지지만 실제 오프라인의 상품 배달 또는 방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방문자의 출입과정에서 사용자가 보안시스템 관리자에게 별도로 보안승인을 요청해야 하고, 방문자는 복잡한 보안승인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써, 전자상거래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동주택의 보안시스템 강화로 인하여 배달 또는 방문 서비스가 제한되고 있으며, 특히 오프라인 주변상가의 배달 또는 방문 서비스는 더욱 제한되게 됨으로 인해, 보안시스템이 갖춰진 공동주택내 사용자에게도 불편함을 초래하였고, 주변상가의 매출 감소도 초래하였다.
한편, 사무실, 공공시설 등에서는 방문자 출입시 임시 보안카드를 제공하고 귀가시 이를 회수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사용자는 보안시스템 관리자에게 방문시점마다 특정 방문자에 대한 보안승인을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더구나 일회성이 아닌 특정 기간동안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인 방문이 필요할 경우 에 방문자는 매번 보안시스템 관리자에게 복잡한 보안승인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면, 여기서 기존의 보안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기존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온라인 쇼핑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과정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PC(1) 또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2)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PC(1) 또는 IPTV(2)는 인터넷(3)에 연결되어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4) 또는 쇼핑몰(5)과 접속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PC(1) 또는 IPTV(2)를 통해 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전자상거래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 이에 전자상거래를 통해 결재 내역을 확인한 상점(4) 또는 쇼핑몰(5)에서는 주문 내역에 따라 해당 상품을 배송업체(6)를 통해 배송하거나 또는 직접 배송하게 된다.
그런데 배송과정에 있어, 사용자가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공동주택에 거주할 경우에, 배달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문자는 공동주택 경비실과 같은 보안내 데스크(7)에서 보안승인을 위한 절차를 거쳐야 했고, 또한 공동현관 출입구와 같은 보안 출입구(8)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관리인 또는 사용자가 보안 출입구(8)를 직접 개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주변상가의 배달 또는 방문 서비스를 제한하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주변상가에게는 매출 감소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품 또는 서비스의 배송 및 미팅을 외부에 요청할 경우에 해당 요청정보가 출입통제 관리서버에 제공되며, 이에 출입통제 관리서버에서 특정지역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구 보안단말로 출입승인을 임시적으로 허용하여 상품의 배달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방문하는 방문자가 보안카드 또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임시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방문자에 대하여 예약방문을 요청할 경우에 해당 요청정보가 출입통제 관리서버에 제공되며, 이에 출입통제 관리서버에서 특정지역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구 보안단말로 출입승인을 임시적으로 허용하여 예약된 방문자가 미리 지정된 비밀번호 등을 이용하거나 보안데스크에서 부여된 임시 보안카드를 이용하여 임시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상은, 출입통제지역 내의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상품정보 또는 서비스정보를 출력하고, 발생된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상품정보 또는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처리 및 저장함과 아울러, 출입구 보안단말에 대한 인증처리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출입통제 관리서버; 및 상기 출입통제지역의 경계영역에 마련되는 출입구와 연동되며, 방문자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대응한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와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출입구 보안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에 관계한다. 이때,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용자요청정보 처리부; 상기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에 포함되는 사용자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방문자로부터 제공된 정보와 동일한 승인데이터를 상기 출입구 보안단말로 전달하는 출입통제 처리부;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상품정보 또는 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제공 DB; 및 상기 사용자정보 및 승인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출입구 보안단말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안 DB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양상은, a. 출입통제지역 내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출입통제 관리서버에서 수신하여 처리 및 저장함과 아울러, 방문자에 대한 인증처리를 위해 상기 출입통제지역의 경계영역에 마련되는 출입구 보안단말에 승인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출입구 보안단말에서 방문자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대응하여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방법에 관계한다.
이와 같이, 출입통제지역을 출입하려는 상점 및 서비스 제공자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웹사이트에 판매 상품 및 서비스를 등록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문관리 처리부는 상기 웹사이트와 출입통제 처리부를 연동하고, 출입통제 처리부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동주택의 출입구 보안단말과 연동한다. 또한 보안시스템 관리자는 상기 상점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별도의 과정을 통해 고유한 키 값을 갖는 각각의 보안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보안카드가 지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단말을 통해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출입통제지역 내에 있는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주문관리 처리부와 연계되어 있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검색하고 주문한다. 사용자의 주문정보는 사용자의 주소정보와 더불어 주문관리 처리부를 통해 출입통제 처리부에 전달되며, 동시에 해당 상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웹, 휴대폰, 전용단말기 및 이동단말 등을 통해 전달된다.
먼저 출입통제 처리부에서는 주문이 이루어진 해당 상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발급한 보안카드의 고유한 키 값을 추출하거나 실시간으로 임시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주소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거주하는 곳의 보안시스템 관리자와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출입구 보안단말에 해당 보안카드 키 값 또는 비밀번호가 임시적으로 출입승인 되었음을 알린다. 이때, 주문관리 처리부에서 전달한 주문정보를 토대로 미리 약정된 값에 따라 출입횟수(시간) 및 출입지역을 제한한다.
배달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문자는 보안시스템 관리자로부터 미리 발급받은 보안카드를 소지하거나 방문자의 이동단말에 전달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보 안시스템이 적용된 출입구 보안단말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소지한 보안카드를 접촉 또는 비접촉하면 임시 출입허가가 이루어지고, 별도의 보안승인절차 없이 방문자의 목적지에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종료되면 임시 출입허가 과정에 따른 정보이용료를 해당 상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과금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실시예를 구분하는 것은 단지 하나의 예를 제시하는 것이지 이들을 각각 구분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이 서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즉, 기본적으로 보안카드를 이용한 인증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과정이 보안카드 인증과정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은 크게 사용자가 거주하는 영역을 정의하는 출입통제지역(A)과, 이 출입통제지역(A)을 네트워크(인터넷(10))로 접속하여 출입통제를 수행하는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출입통제지역(A)은 사용자들의 주택이 위치하며, 사용자들은 사용자단말을 갖는데, 일례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30)를 각각 마련하고 있으며, 이 IPTV(30)는 인터넷(10)을 통해 출입통제 관리서버(20)에 연결되어 있 다. 한편, 출입통제지역(A)의 공동현관 등의 입구에는 출입구 보안단말(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출입구 보안단말(40)은 출입통제에 관한 제어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출입통제 관리서버(20)에 접속되어 있다.
IPTV(30)는 통상의 TV 기능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부터 광고 등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출입구 보안단말(40)은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부터 직접적인 승인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출입구 보안단말(40)의 제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용선(이더넷)을 이용하여 서로 직접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출입구 보안단말(40)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출입통제 관리서버(20)는, 사용자가 IPTV(30)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정보를 요청하거나 배송 및 미팅을 요청하는 요청데이터를 발생시키면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주문요구데이터에 대응하여 주문처리를 수행하는 주문관리 처리부(201)와,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요청데이터에 대응하여 해당 상점(50) 또는 쇼핑몰(60)에 부여된 해당 보안카드에 대한 임시출입을 허용하는 승인데이터를 출입구 보안단말(40)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보안카드의 사용상황을 관리하는 출입통제 처리부(202)와, 상기 상점(50) 또는 쇼핑몰(60)에서 출입통제지역(A)의 출입을 위한 보안카드를 요청할 경우에 고유코드를 갖는 보안카드를 상점(50) 또는 쇼핑몰(60)에 발급하는 보안카드 발급부(203)와,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 는 e-카달로그 DB(Data Base)(204)와, 상기 상점(50) 또는 쇼핑몰(60)에 발급된 보안카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며, 보안카드 사용상태를 저장하는 보안 DB(205)로 구성되어 있다.
상점(50) 또는 쇼핑몰(60)은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부터 주문요구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례로서 각각 네트워크(인터넷(10))에 접속된 통상의 PC(Personal Computer)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점(50)이 갖는 PC 또는 쇼핑몰(60)이 갖는 PC에 대해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상점(50) 또는 쇼핑몰(60)이라고 표기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에 기존에 존재하였던 공동주택 경비실과 같이 관리인에 의해 제어되는 보안데스크 장비(70)를 출입구 보안단말(40)과 함께 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운용된다.
사용자가 댁내에서 IPTV(30)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댁내까지 배달이나 방문을 요청하면, 출입통제 관리서버(20)의 주문관리 처리부(201)는 사용자의 주문내역과 주소지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상점(50) 또는 쇼핑몰(60)에 제공하고, 동시에 출입통제 처리부(202)에 사용자의 주문사실과 해당 상점(50) 또는 쇼핑몰(60)의 정보를 전달한다.
출입통제 처리부(202)는 전달받은 정보를 참조하여 보안 DB(205)에서 해당 상점(50) 또는 쇼핑몰(60)에게 발급한 보안카드의 고유한 키 값을 추출하여 보안데스크 장비(70)와 출입구 보안단말(40)에 키 값을 전달하여 주문으로 인해 해당 상점(50) 또는 쇼핑몰(60)의 배달원 또는 방문자가 사용자의 세대현관까지 방문할 것을 알린다. 이때, 출입통제 처리부(202)는 해당 상점(50) 또는 쇼핑몰(60)의 업종이나 특성을 고려하여 임시 출입허가 횟수 및 허용시간을 미리 약정한 바에 따라 부여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상점(50) 또는 쇼핑몰(60)이 주문관리 처리부(201)로부터 주문내역을 확인한 후 단말을 이용하여 출입통제 처리부(202)에게 임시 출입허가를 요청할 수도 있다.
해당 상점(50) 또는 쇼핑몰(60)의 배달원 또는 방문자가 보안카드를 소지하고 보안데스크 장비(70) 및 출입구 보안단말(40)을 통과하면, 각 출입구 보안단말(40)에서는 보안카드의 키 값과 매칭하여 임시 출입허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출입문을 개폐하여 세대현관 앞까지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공동주택의 온라인 예약 또는 주문에 대해 각 상점(50) 또는 쇼핑몰(60)이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을 통해 발급받은 보안카드를 소지하고 있을 경우,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별도의 승인 없이도 임시 출입허가를 통해 사용자의 세대현관 앞까지 배달 또는 방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IPTV(30)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IPTV(30)는 인증 및 과금에 관련된 기 능 뿐만 아니라 출입통제 관리서버(20)와의 접속을 위한 장비가 부가되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IPTV(30)가 갖는 셋탑박스(301)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301-1)와, 수신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를 복원하는 복조기(301-2)와, 복원된 신호에 대한 수신제한 여부 및 인증에 관련된 암호화를 수행하는 제한부(301-3)와, 제한부(30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301-4)를 포함한 통상의 장비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 또는 PC로부터 발생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301-5)와, 전송되거나 수신되는 신호를 변복조하는 모뎀(301-6)을 더 형성시키고 있다. 이 모뎀(301-6)은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부터 전송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해 디코더(301-4)와 접속되어 있으며, 외부 이더넷망과의 접속을 위한 이더넷 스위치(302)와 접속되어 있다. 이 셋탑박스(301)는 주변장치와 다양한 접속방법(USB, PCI 등등)으로 접속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출입구 보안단말(40)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출입구 보안단말(40)은, 출입통제 관리서버(20)와 중계기를 통해 무선 연결되어 제어신호 및 제어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401)와, 출입통제 관리서버(20)를 통해 이더넷을 포함하여 유선 연결되어 제어신호 및 제어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유선 인터페이스부(402)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401) 및 유선 인터페이스부(402) 중 어느 하나가 사용불가인 경우에 사용가능한 인터페이스부로 자동절환이 이루어지는 스위칭 제어부(403)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401)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부(402)로부터 전송된 출입통제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함과 아울러, 출입구 보안단말(4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 전달하는 CPU(404)와, 출입구 보안단말(40)의 운용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405)과,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부터 전달된 승인데이터 및 출입구 보안단말(40) 자체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임시저장하는 RAM(406)과, 비밀번호 등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및 방문자 등에게 지원되는 입력부(407)와, 방문자 등이 소지하는 보안카드의 접촉 또는 비접촉시 보안카드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카드판독부(408)와,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시스템 구동에 관여하는 센서(40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407)는 출입자가 직접 입력하는 비밀번호 등의 입력에 사용되며, 카드판독부(408)는 RF통신, 적외선통신, 마그네틱 카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는 장비를 의미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웃하는 상점(50)과 출입통제지역(A)간 온라인 쇼핑에 따른 상품 배달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카드발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IPTV(30)에 정보를 등재하기 위해서는 상점(50)에서 출입 통제 관리서버(20), 즉 주문관리 처리부(201)로 해당 상점(50)의 정보등재를 요청한다(S101). 이에 주문관리 처리부(201)에서는 규정에 의한 심의를 거친 후에 정보등재를 결정하고(S103∼S105), 정보등재 결과를 상점(50)에 통보한다(S107). 정보등재가 가능한 경우에는 e-카달로그 DB(204)에 전달하여(S109) e-카달로그 DB(204)에 데이터베이스화가 이루어진다. 이와 별도로 해당 상점(50)이 배달 또는 방문을 위해 보안카드 발급을 요청할 경우 보안카드 발급부(203)에서는 해당 상점(50)에 대한 고유정보가 저장된 보안카드 발급하고 보안 DB(205)에 발급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S111∼S113). 발급된 보안카드는 해당 상점(50)에 배송이 이루어지면 카드발급 과정이 완료된다(S115).
여기서, 상기 해당 상점(50)의 정보등재 요청시, 업종, 상호 등 상점(50)정보와 판매하려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 이때 등록한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e-카달로그 DB(204)에 저장된다. 만약, 특정 상점(50)이 이미 온라인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고 해당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링크를 통해 주문관리 처리부(201)와 연동시킴으로써 정보등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유의 키 값을 갖는 보안카드 발급과 관련하여 해당 상점(50)의 정보와 보안카드 정보는 보안 DB(205)에 저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IPTV(30)를 이용하여 상품 검색을 수행하 면(S201) 출입통제 관리서버(20)의 주문관리 처리부(201)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e-카달로그 DB(204)에서 독출하여(S203) IPTV(30)로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쿠폰과 같은 이벤트 정보를 전달한다(S205). 이에 사용자는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S207) 원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일 경우에 주문을 수행하게 된다(S209). 이 주문에 따른 결재 역시 IPTV(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IPTV(30)는 본 발명의 출입통제 관리서버(20) 뿐만 아니라 온라인 뱅킹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주문관리 처리부(201)에서는 IP주소 또는 회원정보를 참조하여 추출한 배달주소와 함께 주문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해당 상점(50)에 전달한다. 이어서, 주문관리 처리부(201)는 해당 주문내역 정보를 보안 DB(205)에 데이터베이스화함과 아울러 해당 상점(50)에 온라인 주문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정보이용료를 정산한다(S211∼S213). 이어서, 해당 상점(50)에 대한 정보를 출입통제 처리부(202)로 전달하면, 이에 출입통제 처리부(202)에서는 해당 상점(50)의 보안카드 키 값을 추출(독출)하여(S215) 이를 출입구 보안단말(40)로 전송한다(S217). 이때, 보안카드 키 값은 보안카드 고유코드일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변환하는 변환코드일 수도 있다. 만약, 변환코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부터 전달된 변환코드를 보안카드 접촉을 통해 변환코드를 보안카드에 저장하는 입력장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출입구 보안단말(40)에서는 출입통제 처리부(202)로부터 전달된 키 값을 저장한다(S219). 저장된 키 값의 저장시간은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정보와 연관된 시간 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즉석 배달인 경우에는 그 시간이 실제적으로 1시간 이내 정도로 한정되며, 특정 시간이 지정된 경우에는 해당 특정 시간의 종료시간이 저장시간이 되는 것이다. 물론, 임시출입을 허가할 횟수 또는 시간은 미리 약정한 바에 따르거나 해당 상점(50)의 요청에 따를 수 있다.
한편, 상점(50)에서는 주문된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의 배달이 이루어지게 되는데(S221), 이때 배달을 수행하는 방문자는 보안카드를 소지하고 배달을 수행하며, 공동현관 등에 마련된 출입구 보안단말(40)에 보안카드를 접촉 또는 비접촉시키면 카드판독부에서 보안단말에 저장된 키 값을 추출하게 된다. 추출된 보안카드 키 값은 출입통제 처리부(202)에서 전달된 키 값과 비교를 수행하게 된다(S223). 이는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된 키 값을 임시저장하는 RAM에 저장된 키 값을 CPU에서 스캐닝함으로써 동일한 키 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수행하거나, 시간별로 분류된 영역을 스캐닝함으로써 동일한 키 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RAM의 저장용량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출입구 보안단말(40)이 전용선을 통해 출입구 보안단말(40)과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키 값을 전달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출입구 보안단말(40)에 RAM의 저장용량을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보안카드에 저장된 키 값과 RAM에 저장된 키 값이 일치할 경우에는 출입을 허가하게 되고(S225), 출입허가에 따른 방문자의 출입상태 역시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 전달되게 된다(S227). 방문자의 출입과 동시에 출입통제 관리서버(20)에 서는 해당 상점(50)에 대한 출입이용료를 정산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된다(S229). 이후, 출입통제 관리서버(20)는 출입이용료를 해당 상점(50)에 청구할 것이다(S231).
이하, 다른 실시예로서 사무실, 공공시설 등에서 사용자가 방문자의 방문 기간 및 지역 등을 지정하여 손쉽게 방문자를 관리할 수 있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기존의 방문자 관리는 출입시 임시 보안카드를 제공하고 귀가시 이를 회수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사용자는 보안시스템 관리자에게 방문시점마다 특정방문자에 대한 보안승인을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방문자 또한 방문목적, 방문지역 기록, 신분증 제출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하였고, 일부 보안이 엄격하게 적용되는 곳에서는 사용자가 인솔을 위해 특정지역까지 마중나와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도면 참조부호에 있어 상기한 도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은 크게 사용자가 근무하는 영역을 정의하는 출입통제지역(A)과, 이 출입통제지역(A)을 네트워크(인터넷(10))로 접속하여 출입통제를 수행하는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출입통제지역(A)은 사용자들의 업무공간이 위치하며, 사용자들은 일례로서 PC(30')를 각각 마련하고 있으며, 이 PC(30')는 인터넷(10)을 통해 출입통제 관리서버(20)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출입통제지역(A)의 출입문 등의 입구에는 출입구 보안단말(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출입구 보안단말(40)은 출입통제에 관한 제어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출입통제 관리서버(20)에 접속되어 있다.
PC(30')는 통상의 업무 기능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예약방문 요청에 대응하여 출입통제 관리서버(20)에서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출입구 보안단말(40)은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부터 직접적인 승인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출입구 보안단말(40)의 제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용선(이더넷)을 이용하여 서로 직접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출입구 보안단말(40)의 구성은 상기한 도 4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출입통제 관리서버(20)는, 사용자가 PC(30')를 이용하여 예약방문 또는 미팅을 요청하는 요청데이터를 발생시키면 해당 예약방문 또는 미팅에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예약방문 처리부(206)와, 상기 예약방문 또는 미팅 요청데이터에 대응하여 해당 방문자에 대해 임시출입을 허용하는 승인데이터를 출입구 보안단말(40)로 전송함과 아울러 방문자에게 임시로 부여된 보안카드(80)의 사용상황을 관리하는 출입통제 처리부(202)와,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예약방문 DB(207)와, 보안카드(80) 사용상태를 저장하는 보안 DB(205)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보안 DB(205)는 방문자의 데이터베이스 기능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방문자가 예약방문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안내 데스 크와 같이 관리인에 의해 제어되는 보안데스크 장비(7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안데스크 장비(70)에서 방문자에게 해당 예약방문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하여 방문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보안카드(80)를 각 출입통제지역(A)별로 이미 공급한 상태에서 방문자에 대한 출입통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한 도 2와 유사한 보안카드(80)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각 출입통제지역(A)별로 공급된 보안카드(80)의 관리가 상기한 관리인에 의해 관리되는 차이점이 있다.
한편, 방문자는 지급된 보안카드(80)를 이용하여 키오스크(90)를 통해 자신의 위치 및 목적지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운용된다.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방문자의 방문목적, 방문지역 및 방문기간 등을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에 등록하고 보안승인을 요청하면, 보안데스크 장비(70)에서 신원을 확인하고 보안카드(80)를 발급한다. 방문자에게 발급된 보안카드(80)에는 고유의 키 값이 있어 각 지역에 설치된 출입구 보안단말(40)에서 승인여부를 확인하고 출입구의 개폐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방문자가 보안카드(80)를 키오스크(90)에 접촉하면 키오스크(90)에서 내부 출입을 위한 안내를 제공하여 이용 가능한 출입구, 출입허용기간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보안카드(80)를 허용된 출입구 보안단말(40)에 접촉하면 출입통제 처리부(202)가 보안카드(80)의 키 값과 대조해 출입문을 개폐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한 도 6의 단계 S201 내지 단계 S207의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예약방문 또는 미팅을 요청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검색과정을 거쳐 단계 S201 내지 단계 S207를 생략하고 직접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 예약방문 및 미팅에 관한 요청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S301).
이에 출입통제 관리서버(20)의 예약방문 처리부(206)는 해당 예약방문 또는 미팅 정보를 보안 DB(205)에 데이터베이스화함과 아울러 PC(30')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아 예약방문 또는 미팅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정보이용료를 정산한다(S303∼S305). 이어서, 해당 예약방문 또는 미팅에 대한 정보를 출입통제 처리부(202)로 전달하면, 이에 출입통제 처리부(202)에서는 보안카드(80) 키 값을 생성하여(S307) 이를 출입구 보안단말(40)로 전송함과 아울러 보안데스크 장비(70)로도 전송한다(S309, S309'). 이때, 보안카드(80) 키 값은 보안카드(80) 고유코드일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변환하는 변환코드일 수도 있다.
출입구 보안단말(40)에서는 출입통제 처리부(202)로부터 전달된 키 값을 저장한다(S311, S311').
한편, 예약방문 또는 미팅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할 방문자가 출입통제지역에 방문하면(S313), 안내 데스크와 같이 관리인에 의해 제어되거나 자동으로 제어되는 보안데스크 장비(70)를 통해 보안카드(80)를 지급받는다(S315). 이때, 방문자에게 보안카드(80)를 지급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임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동일한 비밀번호를 방문자가 누름으로써 지급되거나, 방문자가 소지하는 신분증을 스캔하여 방문자를 확인하는 인증과정을 거치거나, 관리인에 의해 지급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문자에게 지급되는 보안카드(80)는 방문자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임시 저장하게 된다.
방문자는 지급된 보안카드(80)를 이용하여 출입구 보안단말(40)을 접촉 또는 비접촉하면(S317) 보안데스크 장비를 통해 보안카드에 저장된 키 값과 출입구 보안단말에 저장된 키 값을 비교하여(S319) 출입하게 된다(S321). 이때, 방문자의 출입에 따른 출입정보는 실시간으로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 전달되게 된다(S323). 이때, 최초에 보안관리자는 지역별 보안등급을 설정함과 아울러 방문자 방문시 동선을 고려하여 임시출입을 허용할 출입구를 선정하고 설정내역을 보안 DB(205)에 저장하며, 방문자의 동선을 유도하는 기능을 출입구 보안단말(40)에 부여한다. 또한, 보안카드(80)는 RFID, 마그네틱 등 정보를 기록하는 매체가 내장되어 있어 키 값을 셋팅하는 방식과 변경할 수 없는 보안카드(80) 고유의 키 값을 이미 갖고 있어 고유의 키 값을 출입구 보안단말(40)에서 대조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방문자가 자신의 위치 및 목적지를 검색하고자 할 경우에는 키오스크(90)에 보안카드(80)를 접촉 또는 비접촉함으로써 자신의 위치 및 목적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 키오스크(90) 사용여부 또한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 전달하여 실 시간으로 방문자의 위치를 검색하도록 한다. 이는 키오스크(90) 위치가 임의의 위치에 고정 설치되게 되며, 각 키오스크(90)별 고유코드를 통해 방문자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방문자가 사용자간 서비스 업무가 완료되어 방문자가 출입통제지역(A)을 나갈 경우에도 보안카드(80) 반납시까지 방문자의 위치 검색이 이루어지며, 모든 정보는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한편, 방문자가 일정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방문할 경우에는 안내 데스크의 확인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보안카드 발급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제시한 것이다. 즉, 하나의 이름을 갖고서 쇼핑몰을 운영하지만 실제로 다수의 판매자 및 운송자가 존재하므로 실질적으로 보안카드 발급은 신용카드와 같은 정보를 가져야 하는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안카드 발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가정하여, 실시간으로 임시 생성된 비밀번호를 방문자의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제안하다. 이 비밀번호가 상기한 보안카드의 고유한 키 값에 대응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IPTV(30) 또는 PC(30')를 이용하여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예약방문 또는 미팅을 요청한다(S401). 이에 출입통제 관리서버(20)는 해당 주문내역 정보 또는 예약방문 정보를 보안 DB(205)에 데이터베이스화함과 아울러 IPTV(30) 또는 PC(30')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아 주문된 상품의 배달, 예약방문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정보이용료를 정산한다(S403∼S305). 이어서, 해당 주문내역 정보 또는 예약방문 정보를 출입통제 처리부(202)로 전달하면, 이에 출입통제 처리부(202)에서는 실시간으로 비밀번호를 생성하여(S407) 이를 출입구 보안단말(40)로 전송한다(S409, S409'). 이 때, 비밀번호 전송에 있어 이동망을 통해 전달할 수도 있다(S409"). 즉, 출입통제 관리서버(20)는 이미 등록되어 있는 방문자들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사용자가 직접 전달한 데이터(이동단말 전화번호)를 바탕으로 하여 비밀번호 생성시 실시간으로 해당 방문자에게 비밀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비밀번호와 동시에 주문내역 또는 예약방문 일정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출입구 보안단말(40) 및 방문자 이동단말에서는 출입통제 처리부(202)로부터 전달된 비밀번호를 각각 저장한다(S411, S411').
한편, 주문 상품, 예약방문 서비스를 수행할 방문자가 출입통제지역에 방문하여 비밀번호를 출입구 보안단말(40)의 입력부(407)에 직접 입력하면(S413), 이에 출입구 보안단말(40)에 전송된 비밀번호와 방문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S415) 출입하게 된다(S417). 이때, 단순히 비밀번호만을 입력하는 것으로 인증하는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당 방문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예를 들어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이 이루어지면 출입통제 처리부(202)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방문자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신상정보 중의 어느 하나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2차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문자의 출입에 따른 출입정보는 실시간으로 출입통제 관리서버(20)로 전달되게 된다(S419).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사용자가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지역내에 거주하여 외부에서의 배달 또는 방문이 제한되어 있더라도 복잡한 방문승인 없이 온라인을 이용해 배달 및 방문을 선택적으로 손쉽게 출입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점은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 온라인상의 주문과 배송지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통보 받으며, 보안절차로 인한 지연이나 보안데스크에서의 입증, 주문확인 등이 필요치 않아 잠재고객 및 매출 확대가 가능하다.
또한, 보안시스템을 운영하는 관리자가 보안카드를 지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요청으로 인한 임시허가를 받은 방문자만을 출입통제시스템에서 통과를 허용하므로 안전에 대한 부담감을 덜 수 있고 방문자의 목적 및 신원확인의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그리고, 방문자의 방문에 대해 출입기간, 출입지역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안관리자가 일일이 감시 또는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Claims (23)

  1. 출입통제지역 내의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상품정보 또는 서비스정보를 출력하고, 발생된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상품정보 또는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처리 및 저장함과 아울러, 출입구 보안단말에 대한 인증처리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출입통제 관리서버; 및
    상기 출입통제지역의 경계영역에 마련되는 출입구와 연동되며, 방문자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대응한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와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출입구 보안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용자요청정보 처리부;
    상기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에 포함되는 사용자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방문자로부터 제공된 정보와 동일한 승인데이터를 상기 출입구 보안단말로 전달하는 출입통제 처리부;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상품정보 또는 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제공 DB; 및
    상기 사용자정보 및 승인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출입구 보안단말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안 D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출입통제지역을 출입하는 방문자의 보안카드 요청에 대응하여 보안카드를 발급하는 보안카드 발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요청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구매 데이터를 처리하는 주문관리 처리부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요청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예약방문을 포함하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처리하는 예약방문 처리부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예약방문을 포함하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저장하는 예약방문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보안단말은,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와 접속되어 제어신호 및 제어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처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방문자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CPU;
    시스템운용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승인데이터 및 상기 방문자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임시저장하는 RAM;
    사용자 및 방문자에게 키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및
    방문자가 소지하는 보안카드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카드판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중계기를 통해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와 무선 연결되어 제어신호 및 제어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 및
    이더넷을 포함하여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와 유선 연결되어 제어신호 및 제어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유선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 및 유선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가 사용불가인 경우에 사용가능한 인터페이스부로 자동절환이 이루어지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출입통제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승인데이터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보안카드에 상기 승인데이터를 입력하여 방문자에 제공하는 보안데스크 장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또는 PC(Personal Compu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PTV는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에 접속되는 이더넷 스위치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에 접속되어 송수신되는 신호의 변복조를 수행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과 접속되어 수신되는 신호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를 구성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보안카드 판독을 통해 방문자의 목적지를 안내하는 키오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로부터 제공된 정보는 출입통제 관리서버로부터 이동단말에 전달된 비밀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15. a. 출입통제지역 내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출입통제 관리서버에서 수신하여 처리 및 저장함과 아울러, 방문자에 대한 인증처리를 위해 상기 출입통제지역의 경계영역에 마련되는 출입구 보안단말에 승인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출입구 보안단말에서 방문자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대응하여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b. 단계는,
    상기 출입통제 관리서버에서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에 포함되는 사용자정보를 바탕으로 승인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생된 승인데이터를 보안 DB에 저장함과 아울러 출입구 보안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데이터는 출입통제 관리서버로부터 이동단말에 전달된 보안카드 고유의 키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승인데이터는 보안데스크 장비로 전달하여 보안데스크 장비에서 보안카드에 기록되어지고, 상기 보안카드가 방문자에게 지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데이터는 출입통제 관리서버와 이동망을 선택적으로 연계시켜 이동단말에 전달된 비밀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센서 구동에 대응하여 출입구 보안단말의 기동이 이루어지는 단계;
    카드판독부로부터 상기 보안카드의 승인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승인데이터와 출입구 보안단말에 임시 저장된 승인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승인데이터들이 일치할 경우에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출입구 개방상황을 출입통제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점 또는 쇼핑몰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보안카드 발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 데이터 또는 서비스요청 데이터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또는 PC(Personal Computer)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키오스크에서의 보안카드 판독을 통해 방문자의 목적지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 보안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070011938A 2007-02-06 2007-02-06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90000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938A KR20090000231A (ko) 2007-02-06 2007-02-06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938A KR20090000231A (ko) 2007-02-06 2007-02-06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231A true KR20090000231A (ko) 2009-01-07

Family

ID=4048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938A KR20090000231A (ko) 2007-02-06 2007-02-06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23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616A (ko)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라이온시큐리티 후불제 e-lock 장치를 이용한 과금 시스템 및 과금 방법
CN109991941A (zh) * 2019-03-14 2019-07-09 深圳易元安全技术有限公司 有限空间作业在线监控方法及系统
KR102177478B1 (ko) * 2019-10-02 2020-11-11 엄주형 보안 개폐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주문 및 배송 관리 시스템
KR20200139528A (ko) 2019-06-04 2020-12-14 박재석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통합 인증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KR102197293B1 (ko) * 2020-08-07 2020-12-31 주식회사 시냅틱웨이브 스마트 도어락 기반 임시출입키를 이용한 출입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59921B1 (ko) * 2020-10-15 2021-06-03 조경호 공동현관문 출입통제 에코시스템
KR20220021426A (ko) * 2020-08-13 2022-02-22 손라성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및 이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
KR20220041411A (ko) * 2020-09-25 2022-04-01 (주) 듀얼아이 출입통제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616A (ko)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라이온시큐리티 후불제 e-lock 장치를 이용한 과금 시스템 및 과금 방법
CN109991941A (zh) * 2019-03-14 2019-07-09 深圳易元安全技术有限公司 有限空间作业在线监控方法及系统
KR20200139528A (ko) 2019-06-04 2020-12-14 박재석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통합 인증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KR102177478B1 (ko) * 2019-10-02 2020-11-11 엄주형 보안 개폐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주문 및 배송 관리 시스템
KR102197293B1 (ko) * 2020-08-07 2020-12-31 주식회사 시냅틱웨이브 스마트 도어락 기반 임시출입키를 이용한 출입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21426A (ko) * 2020-08-13 2022-02-22 손라성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및 이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
KR20220041411A (ko) * 2020-09-25 2022-04-01 (주) 듀얼아이 출입통제장치 및 방법
KR102259921B1 (ko) * 2020-10-15 2021-06-03 조경호 공동현관문 출입통제 에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0968B2 (en) Authenticated scannable code system
KR101078173B1 (ko) 휴대폰 모바일을 이용한 안심 결제시스템 및 그 결제시스템을 이용한 결제방법
KR20090000231A (ko) 출입통제 보안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627911B1 (ko) 스마트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숙박업소 객실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302622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based vehicle registration and transactions
WO2011074500A1 (ja) モバイル認証代行システム及びモバイル認証代行方法
US20130066660A1 (en) Event reservation system
WO2013058867A1 (en) Bobile remote payment systems
KR20210145199A (ko) 키 금고 및 키 액세스 시스템
KR102331159B1 (ko)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통합 인증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US6769610B2 (en) Credit card double authentication system
KR102380398B1 (ko)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문차량 관리방법
JP2002197495A (ja) 交通機関利用情報を用いた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方法、サービス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80043057A (ko) 음성통화를 이용한 휴대폰 결제 방법
JP6616587B2 (ja) 施設利用者管理装置および施設利用者管理システム
JP7455541B2 (ja) 宿泊施設支払システム
SG192986A1 (en) Secure pay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KR20010100748A (ko) 사용자 번호가 자동으로 갱신되는 인증/결제 카드 및 이를이용한 인증/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338098A (ja) イベントチケットの予約販売システム及び予約販売方法
NL2025889B1 (en) Systems,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nterfaces for controlling authorizations to access and/or use a physical space by a person, and spaces controlled thereby
KR102654496B1 (ko) 모바일 체크-인 방법, 장치 및 서버
KR102654495B1 (ko) 모바일 호텔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JP7096941B1 (ja) 飲食店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22185543A1 (ja) サーバ装置、認証端末、システム、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499676B1 (ko) 적외선 및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티켓 예약/구매 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