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521A -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 및검색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 및검색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521A
KR20080114521A KR1020080056877A KR20080056877A KR20080114521A KR 20080114521 A KR20080114521 A KR 20080114521A KR 1020080056877 A KR1020080056877 A KR 1020080056877A KR 20080056877 A KR20080056877 A KR 20080056877A KR 20080114521 A KR20080114521 A KR 20080114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keyword
information keyword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8142B1 (ko
Inventor
박근섭
강인철
Original Assignee
박근섭
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섭, 강인철 filed Critical 박근섭
Priority to PCT/KR2008/00365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02098A1/en
Priority to US12/452,331 priority patent/US20100138292A1/en
Publication of KR20080114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7Calculate past, present or future reven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검색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상기 컨텐츠 전체 또는 소정 부분에 관련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정보 키워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정보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며, 특히 정보 컨텐츠 중에서도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여, 정보 제공 및 광고 효과를 보다 향상시킨다. 또한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는 다수 사용자가 직접 설정, 추가, 수정 그리고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상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구별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정보 키워드 및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키워드, 컨텐츠, 정보 컨텐츠, 광고 컨텐츠

Description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검색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AND SEARCHING INFORMATION KEYWORD AND INFORMATION CONTENTS RELATED TO CONTENTS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정보 키워드/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검색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컨텐츠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관련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와, 정보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검색하는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따라 전 세계의 다양한 정보들을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통상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오디오는 음성, 음악, 음원 등을 포함함) 등의 정보를 "컨텐츠"라고 명명한다. 특히, 인터넷, 디지털카메라, 휴대전화 등 정보통신 분야가 발달함에 따라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기존의 미디어보다 빠르고 의미 있는 정보들을 생산해 내고 있는데, 이를 사용자 직접 제작 컨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 UGC: User Generated Content)라고 한다. 이러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UCC 또는 UGC)는 초기의 단순히 보고 즐기는 글과 사진 위주의 엔터테인먼트 형태에서, 동영상 위주의 정보제공 컨텐츠를 거쳐, 준 전문가 수준의 프로추어(Proteur)들이 제작한 고품질의 UCC인 PCC(Proteur Created Contents)까지 발전하고 있다.
사용자 제작 컨텐츠(UCC)를 포함한 다양한 컨텐츠들이, 다양한 분야의 정보통신 이용자들에 의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을 통하여 제작되고 있으나, 컨텐츠들을 이용한 수익창출은 거의 발생되지 않고 있다. 일례로 이미지로 제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UCC)의 경우에는 별다른 수익모델이나 광고가 제공되고 있지 않으며, 비디오 컨텐츠로 제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UCC)의 경우에도 비디오 컨텐츠 앞뒤에 광고를 삽입하여 제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원치 않는 경우에도 광고를 보아야만 하기 때문에 광고에 대한 반감이 생길 수 있으며, 사용자 제작 컨텐츠(UCC)의 내용과 광고의 연관성이 낮을 경우에 광고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 앞뒤를 생략하고 사용자 제작 컨텐츠(UCC)만 이용하는 등, 광고 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광고 방식으로는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배너(Banner) 광고, 특정 단어를 사용자가 입력하면 이 단어에 연결된 광고 내용을 출력하는 키워드 광고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배너 광고는 실제 광고가 필요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에게 동일한 내용이 출력됨으로써 광고효과가 현저히 낮아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키워드 광고 역시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단어에 부합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목록을 출력하기는 하나, 광고주가 키워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지 출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품이나 서비스의 명칭을 모르면 정확한 내용을 출력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컨텐츠를 이용하는 많은 사용자들이 해당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제에 관련된 동영상 컨텐츠가 재생될 때, 해당 컨텐츠에서 표시되는 특정 장소나 물품 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별도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접속하는 절차 등을 거쳐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해당 컨텐츠에서 표시되는 특정 장소나 특정 물품의 정확한 명칭을 모를 경우 별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련 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이용한 수익창출에 대한 방법이 요구되며, 또한 이러한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관련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관련된 광고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은, 네트워 크를 통하여 시스템이 컨텐츠 관련 정보 키워드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상기 시스템이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정보 키워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를 요청하는 부분을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스템이 인식한 부분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정보 키워드를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정보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보 키워드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키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상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정보 키워드 검색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스템이 컨텐츠 관련 정보 키워드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이 정보 키워드를 검색하는 방법으로, 상기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 키워드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소정 컨텐츠에서 상기 검색된 정보 키워드들에 대응하는 부분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컨텐츠에서 상기 검색된 부분들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구성 부분들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스템이 추출된 컨텐츠의 구성 부분들을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컨텐츠 관련 정보 키워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컨텐츠와 연계되어 출력되는 정보 키워드를 설정 및 관리하는 키워드 관리 서버; 그리고 출력할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가 제공되는 부분을 인식하는 컨텐츠 인식부, 인식된 부분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를 할당하는 키워드 할당부, 그리고 상기 출력할 컨텐츠에 할당된 정보 키워드를 추가시켜,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 처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컨텐츠의 전체 또는 부분에 적합한 정보 키워드 또는/및 정보 컨텐츠를 다수의 사용자가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 키워드 및/또는 정보 컨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들을 다른 부분들과 구별되게 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와 정보 컨텐츠의 존재 유무 및 그 내용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보의 전달성이 보다 향상되고 그에 따른 정보 제공 및 광고 효과 또한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를 수정하거나,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에 대한 검증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이 이루어진다.
또한 컨텐츠에 관련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들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정보 키워드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는 중에, 정보 키워드 및 정보 키워드에 대응 되어 있는 정보 컨텐츠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거나 관련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주와 사용자를 연결하여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광고주는 불특정 다수가 아닌, 실제 실수요자에게 서비스 및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제한된 비용으로 높은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거나 관련된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확인하고 바로 선택하여 구매 또는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상품 및 서비스의 검색 및 구매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세분화되고 정확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비스로 인하여 발생된 수익을 광고 키워드를 설정한 사용자와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제공자에게 정당하고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서버", "…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컨텐츠(contents)"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오디오는 음성, 음악, 음원 등을 포함함) 등의 사용자가 시각, 청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이러한 형태들의 조합인 멀티미디어 형태로 제공되는 모든 것들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정보 키워드"는 컨텐츠에 대하여 광고 또는 정보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모든 형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 키워드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오디오는 음성, 음악, 음원 등을 포함함) 등의 형태, 이러한 형태들의 조합인 멀티미디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는,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그리고 컨텐츠를 사용한다는 것은 컨텐츠를 시청하거나 구매하는 등 컨텐츠를 토대로 한 모든 행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 및/또는 정보 컨텐츠 제공을 위한 각 시스템들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정보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이라고 명명함, 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 기(301, 302,...30n-1,30n,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표 번호 "300"을 부여함)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3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직접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컨텐츠, 정보 키워드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연결 상태,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가 네트워크(200) 상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받을 수 있는 연결 상태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인터넷 등의 유무선 통신망, 방송망 또는 전용망 등을 통하여 통신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단말기로서,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카드결제단말기, 전자식금전등록기(POS: Point Of Sale), TV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셋톱박스(Set-Top Box), 창구단말기 및 현금인출기(CD: Cash Dispenser), ATM(ATM: Automatic Teller Machine), 공과금 수납기, 쇼핑센터 등에 설치되는 모니터를 포함한 장치, 키오스크(kiosk),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외부 통신 장치와 입출력장치 및 자체 연산 기능을 가진 모든 컴퓨터 장치를 의미한다.
네트워크(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사이에 유무선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네트워크(200)는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 Telnet, FTP, DNS, SMTP, SNTP, NFS 및 NIS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 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인터넷 뿐만 아니라, 와이브로(Wibro)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초고속 무선데이터 통신망, 방송망(아날로그 방송망, 디지털 방송망, IPTV 방송망, DMB 방송망 등), 전화망이나 이동통신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은, 키워드 관리 서버(10), 컨텐츠 관리 서버(20), 질의 처리 서버(30), 광고 관리 서버(40), 광고 연결 서버(50), 출력 처리 서버(60), 수입 분배 서버(70), 그리고 키워드 검색 서버(8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를 포함한다.
키워드 관리 서버(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와 연계되어 출력되는 정보 키워드를 설정 및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키워드 관리 서버(10)는 컨텐츠들과 연계되어 제공될 정보 키워드들을 설정하는 키워드 설정부(11), 및 정보 키워드들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키워드 검증부(12)를 포함한다.
키워드 설정부(11)는 컨텐츠와 연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정보 키워드 목록 리스트를 생성 및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정보 키워드의 추가, 수정, 삭제 등을 수행한다. 정보 키워드의 추가, 수정, 삭제에 대한 과정은 추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키워드 설정부(11)는 생성되는 정보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들을 생성 및 관리한다. 키워드 설정부(11)는 정보 키워드들이 생성 또는 수정 또는 삭제 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에 저장되는 정보 키워드들에 대한 목록을 갱신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목록들을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들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컨텐츠 제작자, 또는 광고주들이 직접 정보 키워드들을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다.
키워드 검증부(12)는 생성되는 정보 키워드들이 적합한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키워드 설정부(11)로 제공한다. 따라서 키워드 설정부(11)는 키워드 검증부를 통하여 적합한 것으로 인증된 키워드들만을 선별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 키워드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 검증부(12)는 정보 키워드의 내용이 해당 컨텐츠의 내용과 적합하지 않거나, 저작권 침해 소지가 있거나 또는 해당 정보 키워드가 선정성, 폭력성, 인종 차별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을 경우, 정보 키워드로서의 설정 불가를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설정 불가에 따른 이유를 정보 키워드를 설정한 주체, 컨텐츠를 유통시키는 주체나 또는 키워드를 관리하는 주체 측으로 신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키워드 검증은 정보 키워드와 검증을 위한 기준과 관련된 정보들을 비교하여, 정보 키워드들이 상기 기준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 정보 키워드가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정보 키워드 검증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정보 키워드와 결합되는 컨텐츠들을 또는 별도의 시스템 또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들과의 연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구 체적으로,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컨텐츠들에 대하여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한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와 연동하여 새로운 컨텐츠 추가가 발생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목록을 갱신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목록들을 갱신한다. 이외에도, 각각의 컨텐츠에 대하여 일정시간 이상 마우스의 방향 지시키가 움직이지 않거나 머무르는 마우스 오버(Mouse-over)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선택하는 행위가 발생하거나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관련 이미지 및 메시지를 추가로 저장하고 그 목록들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추가로 저장되는 이미지 및 메시지들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각각의 컨텐츠의 제공자 및 제작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하고 그에 따른 목록들을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이 적어도 하나의 제휴 시스템(예를 들어, 웹사이트와 같이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연계하여 정보 키워드를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휴 시스템과 연동하여 컨텐츠 목록 및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정보 키워드와 결합되는 컨텐츠들이 제휴 시스템에서 저장 및 관리되면, 컨텐츠 관리 서버(20)는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지 않고, 제휴 시스템에 있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연결정보만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연결 정보를 토대로 제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와 결합되는 정보 키워드가 제공된다.
질의 처리 서버(30)는 컨텐츠와 관련된 질의를 처리하고 그에 따른 답변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질의 처리 서버(30)는 소정 컨텐츠에 대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질의가 입력되면 이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제2의 다수 사용자들의 단말기들이나 또는 추후 접속하는 제3 사용자들의 단말기로 통보하는 질의 접수부(31), 질의 통보에 따라 제2의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3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그에 따른 답변이 입력되면 이를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 통보하는 답변부(32), 그리고 입력되는 질의 및 그에 대한 답변을 저장하는 저장부(33)를 포함한다. 질의 및 답변 과정은 추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광고 관리 서버(40)는 컨텐츠를 통하여 광고를 하고자 하는 광고주와의 연계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광고 관리 서버(40)는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정보 키워드들 및 관련된 컨텐츠들에 대한 목록을 검색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광고 검색부(41), 그리고 광고주의 상품/서비스 리스트와 정보 키워드들을 비교하고, 상품/서비스 리스트와 매핑되는 정보 키워드가 있는 경우에 이를 광고주에게 통보하는 광고 유치부(42)를 포함한다.
광고 유치부(42)는 광고주로부터 소정 정보 키워드 또는/ 및 컨텐츠에 광고 컨텐츠를 연결하는 광고 컨텐츠 연결 처리 요청이 있으면, 해당 정보 키워드 또는/및 컨텐츠 그리고 연결할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 출력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이 때, 광고 출력과 관련된 비용, 기간, 독점 여부 등에 관련된 광고 게재 조건도 함께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는 정보 컨텐츠 중에서도 광고주에 의하여 제공되는 광고를 목적으로 한 컨텐츠를 나타내며, 광고 메시지 등 사 용자가 인식 가능한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등)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광고 관리 서버(40)는 소정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 키워드 및/또는 컨텐츠와 광고 컨텐츠가 연결처리 되는 것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광고 결제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검색부(41)는 결제 처리가 완료된 광고 컨텐츠 연결 처리 요청에 대한 출력 광고 정보와 광고 게재 조건만을 광고 연결 서버(50)로 전달할 수 있다.
광고 연결 서버(50)는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소정 정보 키워드 및/또는 컨텐츠에 대하여 광고 컨텐츠를 연결 처리하여, 이후 컨텐츠 제공시 해당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한다. 특히 광고 관리 서버(40)로부터 전달되는 광고 출력 정보 및/또는 광고 출력 조건 정보에 따라, 소정 정보 키워드 및/또는 컨텐츠에 연결되어 있는 광고 컨텐츠를 출력한다.
또한 광고 연결 서버(50)는 소정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면 그에 따른 결과를 수익 배분 서버(70)로 전송하여, 광고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이 관련된 자들에게 배분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관련된 자들은 상기 수익 발생에 기여한 자들이거나 또는 계약에 의하여 수익을 분배하기로 한 자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고주,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의 운영자,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운영자일 수 있으며, 또는 정보 키워드 제공자, 컨텐츠 제공자, 컨텐츠 저작권자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출력 처리 서버(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시 관련된 정보 키워드를 함께 제공하고, 추가적으로 정보 키워드에 연계된 정보 컨텐츠를 함께 제 공한다. 구체적으로 출력 처리 서버(60)는 출력할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가 제공되는 부분을 인식하는 컨텐츠 인식부(61), 인식된 부분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를 할당하는 키워드 할당부(62), 그리고 상기 출력할 컨텐츠에 할당된 정보 키워드를 추가시켜,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63)를 포함한다. 또한 정보 키워드에 연계되어 있는 정보 컨텐츠를 출력하는 정보 컨텐츠 출력부(64)를 더 포함한다.
컨텐츠 인식부(61)는 출력할 컨텐츠의 고유 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들에 대한 부속 정보(TAG)를 검색하여 정보 키워드가 제공되는 부분을 찾고, 부속 정보 중에서 정보 키워드와 매칭되는 컨텐츠의 일부분 즉, 상기 찾아진 부분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부분에 대한 일련 번호들 찾아서 이를 키워드 할당부(62)로 제공한다.
키워드 할당부(62)는 해당 정보 키워드가 제공되는 부분의 일련 번호들을 토대로 관련된 정보 키워드들을 찾고, 찾아진 정보 키워드들에 대한 부속 정보를 컨텐츠 출력부(63)로 제공한다.
컨텐츠 출력부(63)는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컨텐츠 인식부(61)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부분에 상기 부속 정보들을 토대로 해당 정보 키워드를 출력한다.
또한 정보 컨텐츠 출력부(64)는 광고 연결 서버(50)와 연계하여 정보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 컨텐츠 또는 광고 컨텐츠를 출력한다. 특히 정보 컨텐츠 출력부(64)는 정보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의 출력 위치 및 출력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 된 사항에 따라 정보 컨텐츠 또는 광고 컨텐츠를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텐츠를 보면서 컨텐츠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정보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 컨텐츠나 광고 컨텐츠 또한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정보 키워드가 컨텐츠의 소정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측 또는 좌우측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정보 키워드 출력 공간을 통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정보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는 해당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정보 컨텐츠 또는 광고 컨텐츠 출력 공간을 통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가 출력되는 위치는 위에 기술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관련된 정보 키워드 및/또는 정보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상기 컨텐츠에 포함시켜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컨텐츠에 포함시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용자의 요청과는 상관없이 정보 키워드가 연계되어 있는 부분이 재생되면 자동적으로 정보 키워드를 출력하고, 또한 사용자의 요청과는 상관없이 정보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 컨텐츠를 출력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용자가 컨텐츠의 일부분을 선택하는 행위가 검출되면(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텐츠의 소정 부분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키는 행위 등), 해당 부분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출력된 정보 키워드에 대하여 자동적 으로 관련 정보 컨텐츠를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정보 컨텐츠를 요청하는 행위(예를 들어, 별도의 버튼을 클릭하거나 또는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는 행위 등)가 검출되는 경우에 관련 정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출력시, 정보 키워드 및/또는 정보 컨텐츠가 보다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컨텐츠의 해상도, 크기, 색상, 재생 속도 등을 조절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수익 배분 서버(70)는 정보 키워드와 연계하여 출력된 광고 컨텐츠에 따라 발생된 수익을 배분한다. 구체적으로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들에게 노출되는 출력 횟수와 출력양 등을 집계하는 광고 집계부(71), 집계된 광고 컨텐츠의 출력 횟수와 출력양 그리고 광고 게재 조건 등을 토대로 광고 비용을 산출하는 광고 비용 산출부(72), 그리고 해당 정보 키워드에 연계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 설정자,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제공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정보 키워드를 관리하는 키워드 관리자에 대한 수익 분배 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익 분배 비율에 따라 산출된 광고 비용을 분배하는 수익 배분부(73)를 포함한다.
광고 비용 산출부(72)는 산출된 광고 비용을 해당 광고주에게 지불을 요청한다. 또한 추후 설명되는 광고 시스템에서 집계된 광고 출력 결과와 연계하여 그 결과를 집계하고, 수익 배분 서버(70)에서 자체적으로 집계한 내용과 비교하여 정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워드 검색 서버(80)는 컨텐츠들에 연계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 및 컨텐츠 관련 질의, 답변 등을 검색하고, 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이 경우, 검색된 정보 키워드 및 컨텐츠 관련 질의/답변과 이에 연결된 컨텐츠를 함께 사용자 단말기(300)로 출력할 수 있다. 키워드 검색 서버(80)를 통한 검색 과정은 추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 및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는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컨텐츠를 관리 및 저장한다. 또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 이외의 다른 곳에 저장 및 관리되는 컨텐츠에 대한 연결 정보도 같이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에 컨텐츠의 소정 부분에 설정된 정보 키워드를 출력하기 위해, 컨텐츠 원본 및 정보 키워드가 설정된 부분을 같이 관리 및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컨텐츠 전체에 대하여 고유 번호를 부여하고, 정보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부분들에, 해당 컨텐츠 전체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번호를 따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월드컵 응원 사진이 담긴 이미지 형태의 컨텐츠인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고유번호 "wc1000"를 붙인 후, 컨텐츠 안에 있는 객체들 예를 들어 옷, 신발, 건물, 인물 등에 대해 wc1000-001, wc1000-002, wc1000-003, wc1000-004 등과 같이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이 때, 컨텐츠 안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들은 원본 컨텐츠의 파일 형식 및 플래쉬 애니메이션, Animation-Gif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할 때, 각각의 부분에 일정시간 이상 마우스의 방향 지시키가 움 직이지 않거나 머무르는 마우스 오버의 발생을 용이하게 한다. 필요에 따라, 마우스 오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컨텐츠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선택하는 행위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정보 키워드나 제2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작성된 컨텐츠 관련 질의 및 답변 등과 관련된 다른 컨텐츠나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에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의 전체 또는 부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키워드가 저장되어 있다. 정보 키워드들은 키워드 식별 번호를 가지며, 해당 정보 키워드가 설정될 때 키워드 식별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 식별 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정보 키워드를 제작한 키워드 제작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추후 수익률 분배시에 사용될 수 있다.
정보 키워드들의 키워드 식별 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정보 키워드가 사용되는 컨텐츠의 고유 번호, 그리고 컨텐츠의 어느 부분에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객체 일련 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정보 키워드들은 컨텐츠에 관련된 부속 정보, 컨텐츠와 관련된 정황 정보(context), 또는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들을 포함한다.
컨텐츠에 관련된 부속정보는 컨텐츠와 정보 키워드와의 결합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로서, 관련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정보 키워드가 재생되는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 정보 키워드가 결합되어 있는 컨텐츠에서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전체 컨텐츠 중 정보 키워드와 결합 되어 있는 컨텐츠 일부분의 위치 정보이거나,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와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위치 정보이거나,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에서 정보 키워드가 출력되어야 하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정보 키워드가 어느 프레임에서 출력되고, 해당 프레임의 어느 위치와 대응(결합)되어 있는지, 해당 프레임의 어느 위치에서 출력되는지 등을 나타낸다.
컨텐츠와 관련된 정황정보는 컨텐츠와 관련된 배경 및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내용들에 대한 정보이거나, 등장 인물 및 배경에 대한 정보, 내용별 재생시간 및 기타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영화인 경우 영화의 주제, 각종 영화제에서의 수상 내력, 주연배우, 촬영장소, 영화감독, 촬영감독 등의 스텝, 촬영소품 및 영화의 재생시간, 유명한 장면, 유명한 대사, 촬영목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는 정보키워드 및 컨텐츠, 정보 컨텐츠의 구분, 분류, 이용, 검색 등에 필요한 정보로서, 정보 키워드 및 컨텐츠, 정보 컨텐츠를 누가 어디서 언제 왜 어떻게 사용한 것인가에 대한 정보, 다국어 정보(예를 들어, 자막 정보 포함) 및 컨텐츠 관련 제작자, 저작권자, 유통권자 등에 관한 정보, 컨텐츠의 유료/무료 여부, 컨텐츠 및 정보 컨텐츠의 분야, 컨텐츠 및 정보 컨텐츠나 기타 관련 컨텐츠의 파일형식, 컨텐츠가 동영상이나 오디오일 경우 특정 정보 키워드가 컨텐츠 전체의 재생시간 중 출현하는 횟수/비율/재생시간, 컨텐츠가 이미지나 기타 파일일 경우 특정 정보 키워드가 컨텐츠 전체 중 차지하는 횟수/비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에는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간의 연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컨텐츠 내에 특정 정보 키워드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다수 등장하는 경우, 이러한 특정 정보 키워드와 관련된 고유넘버를 설정하여 이를 기록함으로써, 특정 정보 키워드의 출연 빈도 및 출연 시간 등을 계산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호 관련 있는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에 고유번호를 연계하여 설정함으로써 그 관련성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이효리라는 정보 키워드 및 이와 연계될 수 있는 이효리의 핸드백, 이효리의 드레스 등의 정보 키워드가 있는 경우, 이효리, 핸드백, 드레스 등에 person001(p001), object100(o100), wear200(w200)과 같은 고유넘버를 설정하고, 이를 연계하여 이효리의 핸드백 및 이효리의 드레스 에 p001-o100, p001-w200과 같이 고유넘버를 설정함으로써, 정보 키워드의 출연 빈도 및 출연 시점 (시작시점, 종료시점, 재생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은 광고주에 의하여 운영되는 다수의 광고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400)은 광고주에 의하여 운영 및 관리되는 시스템으로,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광고 데이터베이스(410),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20), 및 광고료 산정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한다.
광고 데이터베이스(410)에는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에게 요청하여 집행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의 목록들과 각 광고 컨텐츠에 관련된 광고 게재 조건을 포함하는 광고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광고 관련 정보에는 광고 컨텐츠 데이터페이스(420)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의 저장 정보나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20) 외의 별도의 서버에 광고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광고 컨텐츠의 위치 정보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광고 게재에 따른 비용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출력되는 컨텐츠의 정보 키워드에 연계하여 게재되는 광고 컨텐츠 및 그에 따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광고료 산정 데이터베이스(430)에는 컨텐츠와 연계하여 출력되는 광고 컨텐츠들에 대한 출력 횟수, 출력 경로, 출력 매체 등의 광고 컨텐츠 출력에 관련된 집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수익 배분 서버(70)에 의하여 이용되어, 광고 비용 산출 및 수익률 배분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광고 비용 산출과 수익률 배분에 따른 결과 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광고 시스템(400)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들(410,420,430)을 토대로,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과 연계하여 소정 컨텐츠의 정보 키워드에 대한 광고 컨텐츠 게재를 요청한다. 또한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으로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 목록을 제공하며,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해당 상품/서비스 목록에 매핑되는 정보 키워드 목록을 제공받아서, 필요에 따라 해당 정보 키워드와 연계한 정보 컨텐츠의 게재를 요청하기도 한다.
또한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정보 컨텐츠 요청에 따라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여, 소정 컨텐츠 출력시 상기 광고 컨텐츠가 함께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들은 그 기능에 따라 분류된 것이며, 구현 여부에 따라 다르게 분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나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들이 하나의 서버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컨텐츠 관리 서버(20)나 키워드 관리 서버(1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 기술된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은 광고 시스템(400)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들(410,420,43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들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연계하여, 컨텐츠와 그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이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연계되어 동작할 경우의 구현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 경우,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에 위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은,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및 광고가 출력될 수 있는 상업적, 비상업적 목적의 모든 웹사이트 및 방송 컨텐츠 제공자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자에 의하여 운영 및 관리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은 인터넷을 통하여 웹이나 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 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은 인터페이스 서버(51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들에게 컨텐츠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과 연계하여 소정 컨텐츠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 키워드를 함께 제공한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정보 키워드와 연계된 정보 컨텐츠 및 정보 컨텐츠 중에서도 특히 광고 컨텐츠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서버(51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및 일리노이 대학의 전미 슈퍼컴퓨터 응용 연구소(NCSA)에서 만든 아파치 (Apache Server) 등으로, 웹(또는 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통하여 컨텐츠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에 기술된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의 출력 처리 서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키워드 관리 서버의 키워드 설정부 및 키워드 검색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의 출력 처리 서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키워드 관리 서버들이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에 구현되어 있는 대응되는 동일 구성 요소들과 각각 연계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은 도 4에서와 같이,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을 위하여,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다양한 형태로 조합할 수 있다.
다음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토대로 하여, 다양한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이라고 명명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중,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키워드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제공자, 컨텐츠를 유통시키는 컨텐츠 유통자,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컨텐츠 제작자가 컨텐츠를 제작할 때나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에 저장(업로드)할 때, 정보 키워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과정을 통하여 컨텐츠 전체 또는 일부분에 대하여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소정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의 웹사이트로 접속하여 해당 웹 사이트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을 통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의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처리 서버(60)의 컨텐츠 출력부(63)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의 주변에 "정보 키워드 설정 버튼"을 추가적으로 표시하여, 정보 키워드 설정을 원하는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특정 부분에 표시되는 대상에 대한 정보 키워드가 없는 경우, 또는 정보 키워드가 이미 있어도 새로운 정보 키워드를 설정,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정보 키워드 설정 버튼을 동작시켜 정보 키워드 관련 작업을 요청한다.
키워드 관리 서버(10)의 키워드 설정부(11)는 정보 키워드 설정 버튼이 동작되면 사용자가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S100), 컨텐츠의 소정 부분을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입력창을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소정 부분을 지칭하는 것을 인식하는 과정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컨텐츠 중에서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고자 하는 부분을 인식한다(S1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의 특정 재생 시간에서 컨텐츠 재생을 중지시키고, 컨텐츠의 정지 화면상에서 마우스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출연하고 있는 등장 인물이 착용한 의상에 해당하는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위치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단계(S100)와 단계(S110)는 그 순서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부분이 먼저 인식된 다음에 정보 키워드 설정 버튼의 동작에 따라 정보 키워드 설정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키워드 설정부(11)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고자 하는 부분을 인식하면, 정보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툴(tool)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키워드 입력창을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창을 통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정보 키워드를 입력하면, 예를 들어, 상기 의상에 대한 브랜드명, 해당 의상의 특징, 해당 의상을 판매하는 판매처에 대한 정보, 가격 정보 등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들을 입력하면, 키워드 설정부(11)는 입력된 키워드를 접수한다(S120).
키워드 설정부(11)는 접수된 키워드를 별도의 검증 과정 없이 바로 컨텐츠의 해당 부분에 대한 정보 키워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보다 컨텐츠에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줄 수 있는 키워드를 정보 키워드로서 설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S130).
구체적으로, 키워드 설정부(11)는 입력되는 키워드를 키워드 검증부(12)로 제공하여 검증을 요청한다. 키워드 검증부(12)는 먼저, 입력된 키워드가 정보 키워드로서 적합한지를 검증한다.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키워드 검증 기준이 되는 자료들이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다른 검증 장치(도시하지 않음)와의 연계를 토대로, 입력된 키워드가 정보 키워드로서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키워드가 컨텐츠의 내용과 적합하지 않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거나, 또는 입력된 키워드가 선정성, 폭력성, 인종 차별 등의 문제성을 내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또는 키워드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경우 등에는, 해당 키워드가 정보 키워드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대한 결과를 키워드 설정부(11)로 전달한다.
또한 키워드 검증부(12)는 입력된 키워드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기존 정보 키워드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지를 검증한다. 즉, 키워드 검증부(12)는 입력된 키워드와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정보 키워드들을 비교하여 유사성 여부를 판단하고, 유사하거나 동일한 경우에 이에 대한 결과를 키워드 설정부(11)로 전달한다.
물론 키워드 검증부(12)는 입력된 키워드가 정보 키워드로서 적합한 경우 또는 기존의 정보 키워드가 유사하지 않거나 동일한 정보 키워드가 없는 경우에는, 입력된 키워드가 정보 키워드로서 설정 가능함을 나타내는 검증 결과를 키워드 설정부(11)로 전달한다.
키워드 설정부(11)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키워드 검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된 키워드를 정보 키워드로서 설정한다(S140). 설정된 정보 키워드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별도의 키워드 식별 번호를 부여받아서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에 저장 및 관리된다(S150). 물론 상기 정보 키워드의 키워드 식별 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정보 키워드가 사용되는 컨텐츠의 고유 번호, 그리고 컨텐츠의 어느 부분에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해당 정보 키워드를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이후 해당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 키워드를 찾기 위한 기본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되는 정보 키워드는 추후 해당 컨텐츠 출력시 함께 출력되거나 또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출력되어 관련 정보를 제 공할 수 있다.
한편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설정되는 정보 키워드들에 대하여 수정, 추가, 삭제 등의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편집은 해당 정보 키워드를 입력한 사용자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키워드 관리자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에 기술된 정보 키워드 설정 과정은, 해당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정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고자 하는 부분이 재생되는 시점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정보 키워드 설정 버튼을 동작시키고 재생 시점을 입력하여 해당 부분에 대한 정보 키워드를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설정 과정이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한 개입 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중, 정보 키워드를 검증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검증 과정은 키워드 검증부(12)가 주체가 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1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검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키워드 검증부(12)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키워드 설정부(11)로부터 검증 을 요청하는 정보 키워드가 제공되면(S1311), 제공된 정보 키워드를 토대로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를 검색하여, 상기 정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 키워드를 가지는 컨텐츠를 찾는다(S1312). 검색된 컨텐츠들 중에서 정보 키워드 일치율이 높은 컨텐츠들을 추출한다(S1313). 구체적으로, 키워드 설정부(11)로부터 제공된 설정 정보 키워드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여기서 구성 요소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정보 키워드를 구성하는 것들을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정보 키워드를 가지는 컨텐츠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들 중에서 설정 정보 키워드와의 키워드 일치율이 설정값보다 높은 컨텐츠들을 추출한다.
좀 더 자세하게 기술하면, 하나의 컨텐츠에 설정된 다수의 정보 키워드의 값을 검색어로 하여 다수의 정보 키워드가 일치하는 컨텐츠들을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컨텐츠에 A, B, C, D 라는 정보 키워드에 대한 검증이 요청되는 경우, 일반적인 검색엔진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같이 A and B and C and D, A or B or C or D, A and B or C or D 등으로 A, B, C, D가 모두 일치하거나 또는 일부 포함하는 제2 컨텐츠들을 모두 검색한다. 여기서 제1 컨텐츠의 A, B, C, D와 같이 다수의 정보 키워드에 대한 검증이 요청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제1 컨텐츠가 하나의 정보 키워드를 포함하고 이 정보 키워드에 대한 검증이 요청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상기 검색이 이루어진다. 제1 컨텐츠의 정보 키워드들과 제2 컨텐츠의 정보 키워드들이 일치하는 비율을 정보 키워드 일치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키워드마다 서로 다른 가중치를 두어 (예를 들어, A=1, B=0.5, C=0.3, D=0.1), 그 일치율이 동일하더라도 가중치가 높은 정보 키워드 일치율이 높은 컨텐츠를 순위별로 검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검색 방법은 검색 관련 업계에서 공지된 기술임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추출된 컨텐츠들을 키워드 일치율, 컨텐츠의 크기(용량), 컨텐츠의 종류, 저작권자, 제작자 등의 정보에 따라 유사 또는 동일 컨텐츠로 분류한다(S1314). 이 때, 동일 컨텐츠로 분류(판명)될 경우에는, 이미 존재하는 동일 컨텐츠의 검증된 정보 키워드 정보를 해당 컨텐츠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 키워드 정보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컨텐츠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동일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해당 컨텐츠의 고유번호는 유지하나 동일 컨텐츠의 연결정보와 연계하여 해당 컨텐츠를 별도로 저장하지는 않으면서도 해당 컨텐츠의 사용 요청이 있을 경우 동일 컨텐츠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에 분류된 동일/유사 컨텐츠들의 정보 키워드 및 컨텐츠 부분 정보(동영상의 경우 프레임)를 분석한다(S1315). 좀 더 자세하게는 정보 키워드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키워드와 대응하는 컨텐츠의 일부분의 위치 정보 및 컨텐츠의 일부분의 고유정보들(색상, 명암, 해상도 등)을 분석하여,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컨텐츠의 부분정보를 획득한다. 이를 통해, 컨텐츠의 일부분에 대응되어 있는 많은 정보 키워드 중 필요한 부분만을 인지하고, 인지된 부분을 이용하여 다른 컨텐츠와의 정보 키워드 연관성을 다시 한번 검증할 수 있다.
분석된 컨텐츠들의 부분 정보 중 특정 컨텐츠의 부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가 이미 검증되었을 경우, 다른 컨텐츠들에 입력된 정보 키워드를 동시에 적용한다(S1316∼S1317). 상기의 S133~S135의 과정에서 획득한 정보 키워드 및 정보 키워드와 대응하는 컨텐츠의 부분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컨텐츠 중 그 정보 키워드 및 정보 키워드와 대응하는 컨텐츠의 부분정보가 일치 또는 유사할 경우, 다수의 컨텐츠의 정보 키워드 중 검증된 정보 키워드가 있는지 검색한다. 검색결과, 검증된 정보 키워드가 있을 경우, 검증된 정보 키워드를 다른 컨텐츠들의 정보 키워드 및 컨텐츠 부분정보에 동일하게 적용한다. 여기서 검증된 정보 키워드는 단계(S1311)에서 검증을 요청하였던 정보 키워드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검증이 이루어진 키워드 검색이 이루어지고, 검증된 키워드를 컨텐츠에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컨텐츠에 적용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를 자동으로 설정 또는 비교할 수 있으며, 검증된 정보 키워드가 있을 경우 이를 다수의 컨텐츠에 동시에 적용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의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가 검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된 정보 키워드를 적용하지 않는다(S1318).
또한, 정보 키워드에 대한 소정의 평판 점수를 이용하여 정보 키워드를 검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2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검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키워드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한다(S1321). 이 때 다 수의 다른 사용자들도 정보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소정의 정보 키워드가 다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경우(S1322), 또는 기 저장된 정보 키워드 리스트에 있을 경우(S1323), 해당 정보 키워드에 소정의 평판 점수를 부여한다(S1324).
또는 사용자가 임의의 정보 키워드를 제시하면 해당 컨텐츠에 상기 제시된 정보 키워드와 연관된 부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S1325). 이 경우는 컨텐츠를 출력한 후 사용자가 정보 키워드를 제시한 경우이다.
제시한 정보 키워드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컨텐츠의 소정 부분을 표시하면, 표시한 부분이 다수 사용자가 입력한 값 즉, 다수 사용자들이 정보 키워드를 부여하고자 선택한 부분이거나 다수 사용자들이 입력한 정보 키워드들에 연관된 부분인 경우(S1326), 또는 기 입력된 컨텐츠의 위치 정보(여기서 위치 정보는 정보 키워드 관리자나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유통자 등에 의해 정보 키워드와 대응하여 미리 입력된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와 일치할 경우(S1327), 해당 정보 키워드에 평판점수를 부여한다(S1324).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키워드와 관련된 다수 컨텐츠(예:3-5개)를 제시하고, 사용자에게 입력한 정보 키워드와 일치 또는 불일치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라고 요청한다(S1328). 사용자가 다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의 요청에 따라 정보 키워드와 일치 또는 불일치 하는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선택하면(S1329), 선택된 컨텐츠에 따라 평판 점수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컨텐츠가 다수가 선택한 값 즉, 다수 사용자들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인 경우(S1330), 또는 시스템에 의해 기 입력된 값 즉, 입력된 정보 키워드에 대응하여 시스템에 의 하여 선택된 컨텐츠인 경우(S1331), 해당 정보 키워드에 평판 점수를 부여한다(S1324).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평판 점수가 부여되며, 또한 위에 기술된 조건들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평판 점수가 부여되지 않는다(S1332).
이후 해당 정보 키워드에 부여된 평판 점수를 토대로 검증이 이루어진다(S1333). 예를 들어 평판 점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정보 키워드로서의 신뢰성을 가진 것으로 검증하고,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신뢰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및 정보 키워드 출력시에 평판 점수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가 다수개 일 경우 정보 키워드를 평판 점수가 높은 순으로, 또는 낮은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및 정보 키워드를 해당 정보 키워드의 평판 점수별로 높은 순서로 또는 낮은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평판 점수를 부여하는 과정이외에도, 동영상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특정 정보 키워드나 정보 키워드에 관련된 문장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 이용 중 상기의 특정 정보 키워드나 문장과 관련된 부분이 출력될 때마다 이를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표시된 값이 다수 사용자의 의하여 입력된 값이거나, 시스템에 의하여 기입력된 값일 경우, 평판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특정 정보 키워드나 문장이 관련된 부분을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또는 마우스 커서를 해당 부분에 위치시키는 등의 표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시 스템은 사용자의 표시 동작이 이루어진 컨텐츠의 소정 부분이 다수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된 부분이거나, 시스템에서 이미 상기 정보 키워드나 문장에 관련된 부분으로 지정되어 있는 부분인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평판 점수를 부여한다.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은 위에 기술된 평판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토대로 하여 사용자가 제시한 정보 키워드에 대하여 평판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검증 과정 이외에도, 전문가에 의하여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를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분야의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 설정시에, 이를 검증 전문가(예를 들어, 해당 분야의 전문가, 정보 키워드 설정/검증률이 높은 사용자 등)에게 통보한다. 이후 검증 전문가가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를 검증한 결과를 통보하면, 검증 결과를 토대로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에 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과정을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의 설정이 완료된 다음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검증 결과를 토대로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에 대한 수정, 추가 또는 삭제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에 의하여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를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키워드에 관련되어 있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이 설정된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에 대한 수정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정을 위한 수정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는 소정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에 대하여 변경에 필요한 자료(뉴스, URL, 이미지, 비디오 등)를 작성하고, 작성된 자료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타당성이 있는 경우 자료를 토대로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에 대한 수정을 수행한다. 일반 사용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결과를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은 전송된 내용을 토대로 정보 키워드/정보 컨텐츠의 추가, 수정 또는 삭제를 수행한다.
또한 저작권자 및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의 제공자 또는 이용자(여기서 이용자는 컨텐츠 내의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의 제공자 또는 정보 키워드가 적용되어 있는 해당 컨텐츠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이다. 예를 들어, 이효리 공연 동영상에서 이효리가 신고 있는 부츠와 관련된 정보 키워드의 경우, 이효리가 바로 '이용자'가 된다.)를 이용하여 정보 키워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의 제공자 또는 이용자를 "관련자"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관련자로는 예를 들어, 연예인 소속사, 연예인, 연예인 코디, 드라마 FD, 협찬업체 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권자 또는 관련자에게 컨텐츠 및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와 정보 컨텐츠를 전송한다. 저작권자나 관련자는 전송된 컨텐츠를 이용하며,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와 정보 컨텐츠를 추가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 등의 작업을 한다. 그리고 작업 결과를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으로 제공하면,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을 이러한 작업 결과를 관리하고 있는 컨텐츠와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에 반영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중, 정보 키워드를 수정, 추가, 또는 삭제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컨텐츠와 연계되어 설정 및 관리되는 정보 키워드들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해당 정보 키워드를 수정하거나 또는 삭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정 정보 키워드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정보 키워드를 편집한다는 것은, 정보 키워드를 추가 또는 삭제 또는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편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위에 기술된 도 7의 과정을 통하여,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소정 컨텐츠를 이용하던 사용자가 관련된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를 제공받은 경우에(S200∼S210, 해당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를 삭제하고자 하면(S21) 키워드 설정부(11)는 해당 컨텐츠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를 삭제한다. 물론 이 경우 무분별한 삭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검증 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의 삭제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면, 삭제 작업을 수행한다(S212∼S213).
또한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를 수정하고자 하면(S214), 키워드 설정부(11)는 수정하고자 하는 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입력창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215), 입력되는 수정 사항을 해당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에 반영한다. 물론 이 경우 무분별한 수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검증 단계를 수행하여(S216∼S217) 해당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의 수정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면, 수정 작업을 수행한다(S218).
또한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에 대하여 새로운 사항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S219), 키워드 설정부(11)는 소정 사항을 추가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220), 추가되는 사항을 해당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에 추가시킨다. 물론 이 경우 무분별한 추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검증 단계를 수행하여(S221∼S222) 해당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의 추가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면, 추가 작업을 수행한다(S223).
여기서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에 대한 삭제, 수정 또는 추가에 대한 검증 방법으로는 위의 검증 과정에서 사용된 검증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방법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소정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에 대한 삭제, 수정 또는 추가가 이루어지면, 키워드 설정부(11)는 관련 사항들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 및/또는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에 반영하여, 이후 접속하는 제3 사용자에게는 편집 작업이 이루어지는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가 제공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중, 정보 키워드에 정보 컨텐츠를 연결 및 등록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에 정보 컨텐츠, 특히 광고 컨텐츠를 연결 및 등록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관리 서버(40)의 광고 검색부(41)는,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 스(D1)로부터 설정 및 등록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들 및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목록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광고 유치부(42)로 전달한다(S300).
광고 유치부(42)는 상기 검색 결과들로부터 광고주들로부터 제공된 상품/서비스 목록들에 대응하는 특징을 가지는 정보 키워드들을 찾는다(S310). 예를 들어, 광고 검색부(41)는 광고주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해당하는 단어를 내포한 정보 키워드들을 검색하는 방식 등을 통하여,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계된 특징을 가지는 정보 키워드들을 찾을 수 있다(S320). 이러한 정보 키워드들 및 관련 컨텐츠들의 목록과 상품/서비스 목록들을 비교 분석하여 소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매핑되는 특징을 가지는 정보 키워드 또는 컨텐츠가 있는 경우에, 광고 유치부(42)는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를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주에게 이를 통보한다(S330). 예를 들어,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식별 번호와, 관련된 정보 키워드 또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해당 광고주의 광고 시스템(400)으로 전달한다.
한편,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소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 또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검색부(41)는 광고주에 의하여 소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련된 검색어가 입력되면 이를 토대로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광고 유치부(42)를 통하여 해당 광고주의 광고 시스템(400)이나 별도의 방법으로 광고주에게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광고 유치부(42)를 통하지 않고 광고 검색부(41)가 검색 결과를 직접 광고 시스템(400)이나 별도의 방법으로 광고주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광고 시스템(400)으로부터 정보 키워드 또는 컨텐츠를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와 연결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요청이 전달되면(S340), 광고 유치부(42)는 해당 광고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해당 정보 키워드나 컨텐츠에 대응시켜 등록한다(S350∼S360). 예를 들어,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의 해당 정보 키워드에 대응시켜 상기 정보 컨텐츠의 식별 번호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이후 사용자가 해당 정보 키워드를 제공받은 경우에 별도로 광고를 요청하면, 광고 시스템(400)의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제공된다.
한편, 위의 단계(S340)에서 광고주가 소정 정보 키워드나 컨텐츠에 대하여 광고 컨텐츠를 연결시켜 사용하기를 요청하면, 광고 관리 서버(40)의 광고 결제부(43)는 세부적인 조건 예를 들어, 광고 게재 조건 등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비용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에 따라 계약이 체결된 경우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광고 컨텐츠를 해당 정보 키워드 또는 컨텐츠에 대응시켜 등록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보 키워드 또는 관련 컨텐츠에 광고 컨텐츠를 연결시키는 것은,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광고 관리 서버(40)에 의하여 새로운 정보 키워드가 설정될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중, 컨텐츠 출력시 정보 키워드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시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 츠,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비스나 방송 서비스 등을 통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형태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과 연계하여,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력되는 컨텐츠를 보던 사용자가 컨텐츠의 소정 부분을 마우스로 지칭하거나 또는 별도의 과정을 통하여 정보 키워드를 요청하면(S400∼S410), 출력 처리 서버(60)의 컨텐츠 인식부(61)는 선택된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가 제공되는 부분이 있는지를 인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부분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의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토대로 정보 키워드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정보 키워드에 대응하는 부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S420).
상기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이 인식되면 키워드 할당부(62)는 해당 부분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를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로부터 찾아서 할당한다. 이후 컨텐츠 출력부(63)는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할당된 정보 키워드를 추가시켜 함께 출력한다(S430). 이 경우, 컨텐츠 출력부(63)는 정보 키워드 또는 소정의 광고 문구를 소정 시간 동안 고정시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예:0.5초) 동안 마우스 오버 작동시 정보 키워드 또는 광고 문구를 티커바(ticker bar) 등에 출력할 수 있으며, 이후 마우스 커서가 움직여도 정보 키워드 또는 광고 문구를 일정 시간(예:5초) 동안 변경시키지 않고 출력한다. 이 때, 마우스 오버가 다시 발생하고 소정 시간(예:5초) 동안 유지되는 경우, 표시되는 정보 키워드 또는 광고 문구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출력되는 컨텐츠를 보던 사용자는 컨텐츠의 소정 부분에 할당된 정보 키워드를 함께 보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출력되는 정보 키워드를 클릭하면, 해당 정보 키워드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컨텐츠나 광고 컨텐츠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 처리 서버(60)는 정보 키워드가 선택되면 해당 정보 키워드의 식별 번호를 광고 연결 서버(50)로 전달하면서 정보 컨텐츠의 하나인 광고 컨텐츠 출력을 요청한다(S440∼S450).
광고 연결 서버(50)는 전달된 정보 키워드의 식별 번호를 광고 시스템(400)으로 전달하면서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요청하거나 또는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의 해당 정보 키워드에 대응되어 있는 광고 컨텐츠의 식별 번호를 광고 시스템(400)으로 전달하면서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요청한다.
따라서 광고 시스템(400)은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20)로부터 전달된 키워드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 또는 전달된 광고 컨텐츠의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찾아서 광고 연결 서버(50)로 전달한다. 이후 광고 연결 서버(50)는 전달된 광고 컨텐츠를 정보 컨텐츠 출력부(64)로 전달하며, 정보 컨텐츠 출력부(64)는 이를 출력한다(S460∼S470).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 키워드에 연결된 광고 컨텐츠를 용이하게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소정의 컨텐츠에서 소정 인물을 선택한 경우, 선택한 인물 부분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예를 들어, 인물이 착용한 악세서리나 의상에 대한 정보나 상품명 또는 브랜드명 등을 포함함)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정보 키워드를 클릭하면 사용자의 단말기를 정보 키워드에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주의 홈페이지로 연결시켜, 사용자가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도록 한다.
한편 위의 과정과는 달리, 출력 처리 서버(60)는 정보 키워드가 선택되면 해당 정보 키워드의 식별 번호를 토대로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를 검색하여, 해당 정보 키워드에 연계되어 있는 정보 컨텐츠를 찾아서 정보 컨텐츠 출력부(64)를 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컨텐츠의 재생 길이 및 현재 재생위치를 표시하는 재생바(playbar)에서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 또는 광고 컨텐츠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색상, 크기, 모양 등을, 다른 부분 즉,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 또는 광고 컨텐츠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다르게 표시하여 해당 재생 부분에 정보 키워드 및 정보/광고 컨텐츠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부분을 재생바에서 선택하면 바로 해당위치에서 재생도 가능하다.
한편 정보 키워드에 정보 컨텐츠나 광고 컨텐츠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 키워드 출력시 정보 키워드 자체를 깜박거리는 형태로 표시하거나 또는 별도의 특정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해당 정보 키워드에 정보 컨텐츠나 광고 컨텐츠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
이외에도, 사용자가 정보 키워드에 관련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키워드를 선택하면서도 별도로 제공되는 구매 버튼을 선택하거나, 또는 정보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 컨텐츠나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던 중에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구매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구매가 이루어진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 내역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는 수익 배분 서버(70)로 전달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정보는 추후 수익 배분을 위한 자료로서 사용된다. 결제 방식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임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에 기술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를 출력하는 동작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과는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관련 컨텐츠에 정보 키워드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보 키워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때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키워드 목록) 및 정보 키워드와 연계된 정보 컨텐츠의 정보(예: 연결 URL)를 같이 전송하여, 위에 기술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 또는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 키워드 및 정보 키워드와 연계된 정보 컨텐츠가 전송되는 양은 컨텐츠의 다운로드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를 일시에 사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킨 다음에 이용하는 경우,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 정보를 일시에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버퍼 링 방식으로 전송할 경우에는, 전송되는 컨텐츠의 양에 부합하는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 정보를 동일하게 버퍼링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정보 키워드들에 대한 검색이 시스템과의 추가적인 통신 없이 다운로드된 정보 키워드 목록을 토대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다운로드된 정보 키워드 목록으로부터 소정 정보 키워드 검색이 가능한다. 추가적으로 소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 컨텐츠로의 연결도 시스템과의 추가적인 통신 없이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다운로드받은 정보 컨텐츠의 정보(예: 연결 URL)를 토대로 직접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정보 키워드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컨텐츠의 재생 속도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재생할 때, 원래의 재생 속도 즉, 기준 재생 속도 보다 느린 속도로 해당 프레임을 재생하여, 정보 키워드가 없는 프레임과 정보 키워드가 있는 프레임을 구별지을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이 재생되는 시점의 전후 일정 시점부터 재생 속도를 기준 재생 속도보다 느리게 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가 동영상이거나 정지 영상인 경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일부를 재생할 때, 원래의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로 해당 컨텐츠의 일부를 재생하거나, 화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깜박거리거나, 또는 화면의 색상, 크기 등이 변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정보 키워드가 없는 컨텐츠의 일 부와 정보 키워드가 있는 컨텐츠의 일부를 구별지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컨텐츠의 일부를 "컨텐츠의 구성부분"이라고 명명한다. 컨텐츠의 구성 부분은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프레임일 수 있다.
또는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구성부분을 재생할 때, 상기 정보 키워드를 확대시켜 재생하여 정보 키워드를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키워드뿐만 아니라,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구성부분(동영상의 경우 소정 프레임)을 재생할 때, 재생 속도와 해상도를 함께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재생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해당 컨텐츠의 구성부분을 재생하면서, 원래의 해상도인 기준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로 상기 컨텐츠의 구성부분을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영화 매트릭스에서 주인공이 총알을 피할 때 카메라가 회전하면서 재생 속도가 느려지는 효과(bullet time)와 유사한 효과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구성부분을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구성부분을 재생할 때, 컨텐츠 표시 영역 이외의 별도의 공간에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에 대한 보완 컨텐츠를 별도로 재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완 컨텐츠는 정보 키워드에 대응되어 있는 부분에 대하여 해상도 등이 보정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러한 것들이 결합된 형태의 것들 중 하나일 수 있 다.
또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구성부분을 재생할 때,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컨텐츠의 일부분을 원과 같은 별도의 도형이나 아이콘, 커서, 텍스트 등으로 표시하여 해당 컨텐츠의 영역에 정보 키워드 및 정보 키워드와 연계된 정보 컨텐츠, 광고 컨텐츠 등이 결합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과는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관련 컨텐츠에 정보 키워드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정보 키워드가 할당되어 있는 컨텐츠의 일부분을 도형이나 아이콘, 커서, 텍스트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과정을 통하여 정보 키워드를 보다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자들이 인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정보 키워드의 정보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의 제공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동영상의 재생 전이나 재생 중, 재생 후에 정보 키워드를 이용한 문장이나 화면을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키워드가 이효리, 음료수, 칸타타 등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동영상 재생 전에 "곧 이어 보실 동영상에서 이효리가 마시는 음료수는 칸타타입니다" 등과 같이 예고방식 또는 티저 방식으로 광고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 컨텐츠의 정보 키워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컨텐츠 및 다른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의 제공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동영상이며 그 분야가 공연일 경우, 공연과 관련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공연과 관련된 다른 컨텐츠의 정보 키워드를 이용하여 동영상의 재생 전이나 재생 중, 재생 후에 상기와 같이 정보 키워드를 이용하여 별도로 문장이나 화면으로 구성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키워드가 이효리, 공연, 라이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이러한 정보 키워드를 이용하여 인기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다른 컨텐츠의 정보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동영상 재생 중 "최선의 공연을 하기 위해 이효리는 늘 칸타타를 선택합니다" 나 "신나는 공연을 위한 필수 준비물" 등과 같이 연관된 컨텐츠나 광고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컨텐츠 이용시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를 선별적으로 출력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 (성별, 나이, 거주지역, 직업, 취미)나 사용자가 최근에 이용한 서비스 내역 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의 종류를 선별한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시 선별된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를 중점적으로 제공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보 키워드 및/또는 정보 컨텐츠를 온라인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받은 다음에, 사용자들 중에서 특히 광고주들이 이를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를 토대로 컨텐츠를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 기서는 광고주가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컨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광고주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한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광고주가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100)으로 접속하여 검색어(여기서는 소정의 정보 키워드일 수 있다)를 입력하면, 키워드 검색 서버(80)가 입력된 검색어를 토대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 및/또는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를 검색하여, 입력된 검색어와 관련이 있는 컨텐츠를 찾는다(S510∼S511). 예를 들어, 입력된 검색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를 가지는 컨텐츠를 찾거나, 입력된 검색어와 연관된 상품이나 서비스와 관련이 있는 컨텐츠를 찾는다.
또한 키워드 검색 서버(80)는 찾아진 컨텐츠와 그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 그리고 정보 컨텐츠를 찾는다(S512). 다음, 키워드 검색 서버(80)는 찾아진 컨텐츠와 정보 키워드 그리고 정보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광고주에게 전송한다(S513).
이후, 광고주는 이와 같이 전송받은 컨텐츠와 정보 키워드 그리고 정보 컨텐츠를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S514), 또한 별도의 컨텐츠를 추가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광고주가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 별도의 결제 과정을 수행하여,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만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것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와 그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 및 정보 컨텐츠의 사용에 따른 새로운 수익을 유발시킬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사용예에서는 키워드 검색 서버가 검색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 하였지만,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가 상기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위에 기술된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출력 처리 서버(60)의 컨텐츠 출력부(63)는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에 음원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음원이 재생되는 부분을 인지한다(S520∼S522). 좀더 자세하게는 출력되는 컨텐츠의 파일 포맷 중 음원을 포함하는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이 있거나 컨텐츠와 결합된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 중 음원 정보가 있는지를 검색하고, 음원을 포함하는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의 정보를 이용하거나, 검색된 정보 키워드나 정보 컨텐츠에 음원 정보와 관련되어 입력된 태그 등을 이용하여, 음원의 재생시작시점 및 재생종료시점, 재생길이 등을 인지하게 된다.
인지된 부분의 재생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 시점부터 상기 음원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를 출력한다(S523). 따라서 상기 음원이 재생되기 전 소정 시점부터 상기 음원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가 출력되기 시작하여, 상기 음원의 재생이 종료된 이후의 소정 시점까지도 상기 정보 키워드의 출력이 유지된다(S524∼S525).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음원과 관련된 정보 키워드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우스로 정보 키워드를 클릭하는 행위 등을 통하여 정보 키워드를 선택하면(S526), 컨텐츠 출력부(63)는 상기 정보 키워드에 대응되어 있는 음원 관련 정보 컨텐츠를 출력한다(S527).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기는 정보 컨텐츠를 제공받게 되면, 예를 들어 음원 관련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 연결된다.
이후 사용자는 음원 관련 정보 컨텐츠를 통하여 해당 음원을 구매하거나, 음원 샘플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음원 관련하여 질의를 할 수도 있다. 음원 관련된 질의 및 그에 따른 답변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질의 및 답변 과정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원을 포함하는 컨텐츠와 그에 따른 정보 키워드를 이용하여 음원 사용에 따른 새로운 수익을 유발시킬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중, 정보 키워드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1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에 대한 질의 및 답변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컨텐츠와 함께 관련된 정보 키워드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또는 정보 키워드에 대하여 질의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이내 또는 이외의 영역에 질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창 주변에 질의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첨부한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사 용자가 질의를 요청하면, 질의 처리 서버(30)는 별도의 툴을 제공하여 컨텐츠의 특정 부분을 지칭할 수 있거나 질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텐츠의 특정 부분을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지칭하면 질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한다. 이 때 질의별 카테고리를 함께 제공하여 제1 사용자가 질의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출력되고 있던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 질의 처리 서버(30)는 출력 처리 서버(60)로 컨텐츠 재생 중지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출력 처리 서버(60)의 컨텐츠 출력부(63)는 컨텐츠 재생을 중지하거나 느리게 재생하여, 그 입력 및 선택을 용이하게 처리한다(S610∼S611).
질의 처리 서버(30)의 질의 접수부(31)는 제1 사용자로부터 질의 관련 내용이 입력되면 질의를 저장부(33)에 저장하여 접수처리 하고(S612∼S613), 현재 네트워크(200)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사용자들의 단말기들로 질의 내용을 통보한다(S614). 여기서 제2 사용자들은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에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들일 수 있으며, 또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에 접속하고 있으면서 제1 사용자와 같은 종류의 컨텐츠들을 제공받고 있던 사용자들일 수도 있다. 이후, 질의 처리 서버(30)의 답변부(32)는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질의에 따른 답변이 제공되면(S615), 이를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한다(S515). 위의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답변은 해당 질의에 대응하여 저장부(33)에 저장되어 관리된다(S616).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기와 같이 질의를 처리할 수 있다.
질의 접수부(31)는 제2 사용자들이 제공받고 있는 컨텐츠의 표시 영역 이외 에 형성된 답변 버튼을 활성화시켜, 현재 다른 사용자로부터 질의가 있음을 알린다. 예를 들어, 답변 버튼을 깜박거리는 형태로 표시하여 제2 사용자들이 이를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들이 답변 버튼을 동작시키면, 답변부(32)는 답변을 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하고,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답변을 접수하여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한다. 그리고 접수된 답변을 저장부(33)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1 사용자는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상태에서 컨텐츠 관련 내용이나 정보 키워드 관련 내용 등, 문의사항에 대하여 용이하게 질의를 할 수 있고, 또한 질의에 따른 답변을 받을 수 있다.
위에 기술된 과정 이외에도, 다른 과정을 통하여 정보 키워드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2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에 대한 질의 및 답변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한 도 14에 도시되어 있듯이, 위에 기술된 도 10의 과정(S610∼S612)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질의 관련 내용이 입력되면(S620∼S622), 질의 처리 서버(30)의 질의 접수부(31)는 먼저 접수된 질의 관련 내용을 저장부(33)에 저장한다(S623), 그리고 추후 해당 컨텐츠를 제3의 사용자가 이용할 때 컨텐츠와 함께 저장되어 있던 질의를 출력한다(S624∼S625).
이 후, 제3의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답변이 입력되면 질의 처리 서버(30)의 답변부(32)는 해당 답변을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한다(S626∼S627). 그리고 입력된 답변을 저장부(33)에 저장하여 관리한다(S628).
위에 기술된 과정을 통하여 제1 사용자는 질의를 한 시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스템에 접속하여 있던 사용자들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던 사용자들로부터도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받을 수 있다.
위의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과정들에서, 질의에 대한 답변은 사용자가 정보 키워드 시스템이나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기로 답변 결과가 전송되는 방식이외에도, 컨텐츠의 이용 후에 별도의 e-mail, SMS, 전문, 메신저 등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위에 기술된 과정들에서는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컨텐츠 또는 정보 키워드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이 이루어졌지만,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작한 다음에 업로드할 때 해당 컨텐츠에 대한 질의를 함께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질의 처리 서버(30)의 질의 접수부(31)가 업로드되는 컨텐츠와 함께 전송되는 질의를 저장부(33)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추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하는 사용자들이나 키워드 관리자 등에게 해당 컨텐츠를 제공할 때 대응하는 질의를 함께 제공하여,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질의에 대한 답변은 e-mail, SMS, 전문, 메신저 등을 통해 질의를 한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위에 기술된 질의 및 답변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질의 및 답변들은 정보 키워드로 전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로의 전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질의 및 답변 과정을 통하여 답변들이 획득되면(S700), 답변들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S710). 키워드 관리 서버(10)의 키워드 설정부(11)는 소정 질의와 상기 질의에 대하여 획득한 답변들 중에서 일부분을 추출하여 정보 키워드로 설정한다(S720∼S730).
키워드 검증부(12)는 설정된 정보 키워드에 대하여 별도의 검증 과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키워드 설정부(11)로 전달한다(S740). 키워드 설정부(11)는 검증이 이루어진 정보 키워드만을 최종적으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 키워드로 설정한 다음, 설정된 정보 키워드를 해당 컨텐츠의 정보 컨텐츠 및/또는 광고 컨텐츠와 연계시켜 저장 및 관리하여, 이후 컨텐츠 제공시 정보 키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S750).
여기서 답변이나 정보 키워드에 대한 검증은 위에 기술된 검증 방법들을 토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검증 단계(S710,S740)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중,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들을 검색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검색은 하나의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되거나 다수의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정보 키워드들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거나, 또는 하나의 컨텐츠에서 소정 정보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부분들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정보 키워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컨텐츠들을 검색하고 각 컨텐츠들에서 해당 정보 키워드를 포함하는 부분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정보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동영상의 컨텐츠들을 대상으로 한 검색 과정을 설명한다.
특정 검색어가 입력되면, 키워드 검색 서버(80)는 소정의 컨텐츠에서 상기 검색어가 포함되어 있는 부분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키워드 검색 서버(80)는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에서 검색어가 포함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들을 검색하고(S800∼S810),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를 참조하여 해당 컨텐츠에서 검색된 정보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부분들을 검색한다(S820). 그리고 검색된 부분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을 추출하여(S830) 하기와 같이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S84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검색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첫째, 해당 컨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표시 영역에서 검색된 부분 즉, 검색어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들이 포함된 검색된 부분들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 상의 소정 영역(예: 하측 영역)에 검색된 부분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구성부분을 캡쳐하여 축소시킨 서브 화면들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서브 화면상에 해당 컨텐츠의 구성부분이 재생되는 시점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하나의 서브 화면을 선택하면 선택된 서브 화면을 재생시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해당 컨텐츠에서 검색된 부분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구성부분들만 추출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연결한 재생 화면을 재구성한다. 그리고 재구성한 재생 화 면을 재생시켜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확인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소정 시상식에 관련된 총 30분의 동영상 컨텐츠에서 소정 인물이 나오는 부분만을 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인물에 관련된 검색어를 제공하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검색 과정을 통하여 상기 인물이 나오는 부분들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구성부분 즉, 프레임들에 해당하는 재생 화면(예를 들어 12분)이 재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30분의 컨텐츠를 모두 보지 않고도 12분의 재생 화면을 통하여 원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검색된 부분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을, 위에 기술된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구성부분을 재생하는 방법과 같이, 검색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은 컨텐츠의 구성부분들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검색된 부분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구성부분들 즉, 제1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의 재생 속도를 검색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프레임들 즉, 제2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의 재생 속도보다 느리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의 해상도를 제2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의 해상도보다 높게 처리하여 제1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을 재생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을 제2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의 재생 속도보다 느리게 재생하면서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재생시 제1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이 포함되어 있는 위치까지의 재생 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으로 긴 경우에는, 제1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이 나올 때까지 제2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을 고속(예를 들어 2배속 이상)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텐츠 의 구성부분이 재생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설정 시간 정도 남은 경우에는, 제2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을 재생하는 속도를 원래의 재생 속도로 복귀시켜 제2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을 재생시킬 수 있다.
위의 검색 과정은, 하나의 컨텐츠에서 소정 정보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부분들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나, 하나의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정보 키워드들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에는 소정의 정보 키워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컨텐츠들을 검색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정보 키워드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특정 검색어가 입력되면, 키워드 검색 서버(80)는 모든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검색어가 포함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컨텐츠들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키워드 검색 서버(80)는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에서 검색어가 포함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들을 검색하고(S900∼S910), 정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2)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1)를 참조하여 검색된 정보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부분들을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들을 검색한다(S920). 이 경우 하나의 컨텐츠에 검색어에 해당하는 부분이 다수개 포함되어 있어도 검색되는 컨텐츠는 하나인 것으로 간주한다.
다음 키워드 검색 서버(80)는 검색된 컨텐츠들을 표시 영역 상에 모두 출력한다(S930). 이 경우 출력된 컨텐츠들을 동시에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검색된 컨 텐츠 재생시 위에 기술된 도 9의 검색 과정과 동일하게, 각각의 컨텐츠에서 검색어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를 포함하는 부분들의 컨텐츠의 구성부분들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의 구성부분들만을 재구성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물론 재구성한 컨텐츠의 구성부분들을 재생시에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재생 속도, 해상도 등을 조절하여 검색어에 대응하는 부분이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키워드와 그에 관련된 정보 컨텐츠들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보기 싫은 광고를 봐야만 하는 반감을 반감시켜 광고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는 광고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1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검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2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검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편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연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1 예에 따른 질의 및 답변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2 예에 따른 질의 및 답변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전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키워드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정보 키워드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33)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스템이 컨텐츠 관련 정보 키워드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상기 시스템이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정보 키워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를 요청하는 부분을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스템이 인식한 부분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정보 키워드를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정보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보 키워드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정보 컨텐츠에 포함되는 광고 컨텐츠에 해당하는 광고주의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키워드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키워드가 속하는 분야에 관련된 다른 정보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키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상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의 해상도, 색상 그리고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해상도, 색상 그리고 크기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르게 표시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재생 속도를 나머지 프레임의 재생 속도와 다르게 처리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의 재생 속도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머지 제2 프레임의 재생 속도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르게 처리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부분을 도형, 아이콘, 커서, 텍스트 중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되는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를 설정하고자 하는 부분을 인식하는 단계;
    정보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된 정보 키워드를 상기 인식된 부분에 대응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컨텐츠마다 고유 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각 컨텐츠의 소정 부분에 해당 컨텐츠의 고유 번호와 연관이 있는 일련 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상기 수신된 정보 키워드를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 키워드에 대하여 적합성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적합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된 경우에 상기 수신된 정보 키워드를 상기 인식된 부분에 대응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정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 키워드를 가지는 컨텐츠를 찾는 단계;
    상기 검색된 컨텐츠들 중에서 정보 키워드 일치율이 설정값 이상인 컨텐츠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컨텐츠들의 정보 키워드 및 컨텐츠 부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특정 컨텐츠의 부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가 이미 검증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검증된 키워드를 다른 컨텐츠들에 각각 적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정보 키워드가,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입력된 것인 조건 그리고 이미 저장된 정보 키워드들 중의 하나인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에 소정의 평판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 키워드가 설정되는 컨텐츠의 소정 부분이 다수 사용자들에 의하여 선택된 부분인 조건, 그리고 다수 사용자들이 입력한 정보 키워드들에 연관된 부분인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에 소정의 평판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 키워드와 관련된 다수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선택한 컨텐츠인 조건, 그리고 상기 시스템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인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소정의 평판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평판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통하여 획득한 평판 점수를 토대로 상기 수신된 정보 키워드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컨텐츠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가 다수개 일 경우 정보 키워드를 평판 점수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관련 전문가 또는 전문가를 제외한 일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여 검증을 요청하고, 상기 검증 요청에 따라 전달되는 답변을 토대로 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 키워드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1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 키워드, 그리고 정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질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질의의 내용을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된 답변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들은 상기 질의가 수신된 시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받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며,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제공되어 표시되는 영역 또는 이외의 영역에 답변 메뉴를 활성화시켜 표시하고,
    상기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된 답변 메뉴를 선택한 제2 사용자들로부터 답변을 수신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질의의 내용을 해당 컨텐츠 또는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질의가 수신 및 저장 처리된 이후에 접속하는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질의가 대응되어 있는 컨텐츠 또는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되는 컨텐츠 또는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에 대응되어 있는 질의 내용을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및 그에 대한 답변들 중에서, 일부분을 추출하여 정보 키워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정보 키워드를 해당 컨텐츠의 정보 컨텐츠 및/또는 광고 컨텐츠와 연계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키워드에 대하여 광고 컨텐츠를 연결시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광고주로부터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목록들과 보유하고 있는 정보 키워드들을 비교하여 상기 목록에 매핑되는 정보 키워드들을 찾는 단계;
    상기 광고주로부터 상기 찾아진 정보 키워드에 매핑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정보 키워드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목록에 매핑되는 정보 키워드들을 상기 광고주에게 전달하는 단계;
    상기 광고주로부터 전달된 정보 키워드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등록 요청을 한 정보 키워드에 매핑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해당하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2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에 대한 수정, 삭제 그리고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작업에 대한 요청을 받는 단계;
    상기 요청된 편집 작업을 상기 정보 키워드 또는 정보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편집 작업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다음에 상기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2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키워드는 컨텐츠와 정보 키워드의 결합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부속 정보, 컨텐츠의 배경 및 상황에 관련된 정보인 정황 정보, 그리고,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방법.
  26.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스템이 컨텐츠 관련 정보 키워드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이 정보 키워드를 검색하는 방법에서,
    상기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 키워드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소정 컨텐츠에서 상기 검색된 정보 키워드들에 대응하는 부분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컨텐츠로부터 상기 검색된 부분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구성 부분들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스템이 추출된 컨텐츠 구성 부분들을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검색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컨텐츠의 구성 부분들로 이루어지는 재생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재생 화면을 재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검색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상기 추출된 컨텐츠 구성 부분들을 상기 컨텐츠의 나머지 컨텐츠 구성 부분들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정보 키워드 검색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컨텐츠 구성 부분들의 해상도, 색상, 크기 및 재생 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나머지 컨텐츠 구성 부분들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정보 키워드 검색 방법.
  30.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컨텐츠 관련 정보 키워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컨텐츠와 연계되어 출력되는 정보 키워드를 설정 및 관리하는 키워드 관리 서버; 그리고
    출력할 컨텐츠에서 정보 키워드가 제공되는 부분을 인식하는 컨텐츠 인식부, 인식된 부분에 대응하는 정보 키워드를 할당하는 키워드 할당부, 그리고 상기 출력할 컨텐츠에 할당된 정보 키워드를 추가시켜,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 처리 서버
    를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정보 키워드들 및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목록을 검색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광고 검색부; 그리고
    광고주의 상품/서비스 리스트와 정보 키워드들을 비교하고, 상품/서비스 리스트와 매핑되는 정보 키워드가 있는 경우에 이를 광고주에게 통보하는 광고 유치부를 포함하는 광고 관리 서버; 및
    상기 광고주로부터의 광고 컨텐츠 연결 처리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 키워드를 광고주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광고 연결 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연결 서버는 소정 컨텐츠 및 그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정보 키워드가 선택되면 상기 출력 처리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정보 키 워드에 대응되어 있는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키워드와 연계하여 출력된 광고 컨텐츠의 출력 횟수와 출력양을 집계하는 광고 집계부;
    집계된 광고 컨테츠의 출력 횟수와 출력양 그리고 광고 게재 조건을 토대로 광고 비용을 산출하는 광고 비용 산출부; 그리고
    상기 정보 키워드에 연계되어 있는 정보 키워드 설정자,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제공자, 정보 키워드를 관리하는 키워드 관리자에 대한 수익 분배 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익 분배 비율에 따라 산출된 광고 비용을 분배하는 수익 배분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연계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를 제공하는, 정보 키워드 제공 시스템.
KR1020080056877A 2007-06-26 2008-06-17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 및검색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KR10089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3656 WO2009002098A1 (en) 2007-06-26 2008-06-25 Method for providing and searching information keyword and information contents related to contents and system thereof
US12/452,331 US20100138292A1 (en) 2007-06-26 2008-06-25 Method for providing and searching information keyword and information contents related to contents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2997 2007-06-26
KR1020070062997 2007-06-26
KR20070089742 2007-09-05
KR1020070089742 2007-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521A true KR20080114521A (ko) 2008-12-31
KR100898142B1 KR100898142B1 (ko) 2009-05-19

Family

ID=4037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877A KR100898142B1 (ko) 2007-06-26 2008-06-17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 및검색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38292A1 (ko)
KR (1) KR1008981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70B1 (ko) * 2008-06-30 2011-02-07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검색결과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추가 컨텐츠를 제공하는검색결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추가 광고 컨텐츠를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1062327A1 (en) * 2009-11-17 2011-05-26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providing menu for network television
WO2011062326A1 (en) * 2009-11-17 2011-05-26 Lg Electronics, Inc. Advertising method using network television
WO2011071214A1 (en) * 2009-12-08 2011-06-16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network information
KR20120029861A (ko) * 2010-09-17 2012-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와 서버 및 저장 매체
KR101422397B1 (ko) * 2013-03-04 2014-07-29 유형주 일러스트 이미지 검색 및 사용권 중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86082A (ko) * 2018-01-12 2019-07-22 네이버 주식회사 영화 검색에서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374B1 (ko) * 2009-09-01 2016-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키워드 추천 장치와 방법 및 키워드 지식베이스 구축 방법
JP2011166356A (ja) * 2010-02-08 2011-08-25 Sharp Corp 表示機器、その表示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5180241B2 (ja) 2010-02-08 2013-04-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機器、その表示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
CN103210387B (zh) * 2010-11-10 2016-10-26 乐天株式会社 关联词登记装置、信息处理装置、关联词登记方法以及关联词登记系统
NZ589787A (en) * 2010-12-08 2012-03-30 S L I Systems Inc A method for determining relevant search results
JP5799621B2 (ja) * 2011-07-11 2015-10-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29579A (ko) * 2011-09-15 2013-03-25 주식회사 팬택 텍스트 기반 이펙트 발생 장치 및 방법
US9846696B2 (en) 2012-02-29 2017-12-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s for indexing multimedia content
US9633015B2 (en) * 2012-07-26 2017-04-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r generated content indexing
WO2014069755A1 (ko) * 2012-10-30 2014-05-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395642B1 (en) * 2012-11-19 2019-08-27 Cox Communications, Inc. Caption data fishing
WO2014185834A1 (en) 2013-05-14 2014-11-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arch engine for textual content and non-textual content
WO2015030645A1 (en) 2013-08-29 2015-03-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computer progra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ndexing systems for indexing or updating index
CN105493436B (zh) 2013-08-29 2019-09-1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向授权用户分发内容项目的方法、内容拥有者设备
US9606877B2 (en) * 2015-05-18 2017-03-28 Facebook, Inc. Restoring non-transactional messages in queues for advertisement data flow processing
KR101808161B1 (ko) * 2016-06-27 2017-12-12 주식회사지앤지커머스 모바일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466A (ko) * 2000-06-08 2000-09-05 윤미애 지리 정보 제공 방법
JP2002007415A (ja) 2000-06-19 2002-01-11 Toru Sugimoto キーワードによる映像検索方法
JP4536225B2 (ja) * 2000-07-28 2010-09-01 富士通株式会社 メッセージ送受信システムにおけるキーワードとその重要度の動的決定
US8234218B2 (en) * 2000-10-10 2012-07-31 AddnClick, Inc Method of inserting/overlaying markers, data packets and objects relative to viewable content and enabling live social networking, N-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s and/or other value derivable from the content
KR20010035420A (ko) * 2001-02-13 2001-05-07 정병희 동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KR100495034B1 (ko) * 2003-11-12 2005-06-14 주식회사 엠파스 인포박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54977A (ko) * 2004-11-17 200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 베이스 구축 방법, 이에 적합한장치, 그리고 기록 매체
US20070022085A1 (en) * 2005-07-22 2007-01-25 Parashuram Kulkarni Techniques for unsupervised web content discovery and automated query generation for crawling the hidden web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70B1 (ko) * 2008-06-30 2011-02-07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검색결과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추가 컨텐츠를 제공하는검색결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추가 광고 컨텐츠를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1062327A1 (en) * 2009-11-17 2011-05-26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providing menu for network television
WO2011062326A1 (en) * 2009-11-17 2011-05-26 Lg Electronics, Inc. Advertising method using network television
US9426513B2 (en) 2009-11-17 2016-08-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menu for network television
WO2011071214A1 (en) * 2009-12-08 2011-06-16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network information
KR20120029861A (ko) * 2010-09-17 2012-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와 서버 및 저장 매체
KR101422397B1 (ko) * 2013-03-04 2014-07-29 유형주 일러스트 이미지 검색 및 사용권 중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86082A (ko) * 2018-01-12 2019-07-22 네이버 주식회사 영화 검색에서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142B1 (ko) 2009-05-19
US20100138292A1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142B1 (ko)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키워드/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 및검색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KR101061806B1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US79794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roviding information to accessing content
US20110078718A1 (en) Targeting videos for advertisements by audience or content
US20030083937A1 (en)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s, advertising content and advertisement delivery apparatus, and advertisement delivery methods
US20110238495A1 (en) Keyword-advertisement method using meta-information related to digital contents and system thereof
US20080235085A1 (en) Virtual advertisement store
CN101278311A (zh) 将广告自动与媒体文件匹配
CN101304329A (zh) 用于选择广告的系统和相关方法
JP2009510610A (ja) メディアファイルに対する広告の自動的マッチング
BRPI0620649A2 (pt) propagenda melhorada com criações de anúncio de vìdeo
JP2009537891A (ja) コンテキスト広告/情報のマッピングのヒット率の向上のための広告/情報露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テキスト広告/情報推薦サービスシステム
JP2011529228A (ja) 動画共有サイトにおけるプロモーション
KR101140318B1 (ko) 동영상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는 상업적 태그 등의 메타정보 기반 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시스템
JP2002140359A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コンテンツおよび広告配信装置ならびに広告配信方法
KR20110043568A (ko) 동영상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는 상업적 태그 등의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WO2009120004A2 (ko) 디지털 콘텐츠 관련 메타 정보 활용 키워드 광고 방법 및 그 관련 시스템
KR101070604B1 (ko)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용 맞춤형 광고 방법
Kassaye Sorting out the practical concerns in World Wide Web advertising
WO2009002098A1 (en) Method for providing and searching information keyword and information contents related to contents and system thereof
KR101070741B1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전달 과정에 참여하는 콘텐츠 신디케이션 시스템을 이용하는 광고 방법
KR20100092787A (ko) 키워드 광고 콘텐츠를 호출할 수 있는 상업적 태그 집합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신디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24279A (ja) コンテンツ表示のためのチャンネル・プログラム生成システム。
US20130166363A1 (en) My Faves section for a web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