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453A - 간이 식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간이 식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453A
KR20080114453A KR1020070098622A KR20070098622A KR20080114453A KR 20080114453 A KR20080114453 A KR 20080114453A KR 1020070098622 A KR1020070098622 A KR 1020070098622A KR 20070098622 A KR20070098622 A KR 20070098622A KR 20080114453 A KR20080114453 A KR 20080114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outline
cardboard
fold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항석
Original Assignee
이항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항석 filed Critical 이항석
Publication of KR2008011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A47G19/065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with thumb holes, handles or the like enabling the user to support the plate from be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음식점이나 야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식판에 관한 것으로, 소정 두께의 판지 상에 소정의 기준점에서 상기 판지의 단부 중앙으로 연장된 중심선,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단부의 양 끝단으로 연장된 외곽선, 및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중심선과 외곽선의 사이로 연장된 중간선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선의 접힘에 의해 상기 중심선의 외측에 형성된 제1 절곡면, 상기 중간선의 접힘에 의해 상기 중간선의 외측에 형성된 제2 절곡면, 및 상기 외곽선의 접힘에 의해 상기 외곽선의 외측에 형성된 제3 절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절곡면에는 엄지손가락이 통과할 수 있는 핑거홀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곡면에는 판지의 접힘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절곡면의 양측간에 체결을 위한 후크 및 이 후크를 끼우는 후크홀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간이 식판은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수저를 포함하는 식사 도구들과 물 컵을 거치한 상태로 음식물과 함께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사 중에도 수저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어 간이음식점이나 야외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간이음식점, 식판, 판지, 절곡면, 접힘, 후크, 조립, 수저, 파지, 거치

Description

간이 식판 및 그 제조방법{SIMPLIFIED DINNER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이음식점이나 야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식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간이 식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간이음식점을 통해 식사를 해결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는데, 기존에는 사람들이 음식물과 수저, 그리고 물을 별도로 챙겨야 했으므로 시간에 쫓기는 직장인들에게는 불편함이 매우 컸다.
또한, 야외행사 등에서 배식을 하는 경우에도 종래에는 넓은 사각 식판에 음식을 담고 수저는 별도로 손에 들어야 했으므로 위생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식사 후에는 마시는 물을 별도로 챙겨야 했을 뿐만 아니라, 식기를 세척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불편함이 컸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일회성이 가능하고 휴대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간이 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이음식점이나 야외에서 음식물과 함께 수저 및 물컵 등을 거치한 상태로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식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두께의 판지 상에, 소정의 기준점에서 상기 판지의 단부 중앙으로 연장된 중심선,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단부의 양 끝단으로 연장된 외곽선, 및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중심선과 외곽선의 사이로 연장된 중간선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선의 접힘에 의해 상기 중심선의 외측에 형성된 제1 절곡면, 상기 중간선의 접힘에 의해 상기 중간선의 외측에 형성된 제2 절곡면, 및 상기 외곽선의 접힘에 의해 상기 외곽선의 외측에 형성된 제3 절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절곡면에는 엄지손가락이 통과할 수 있는 핑거홀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곡면에는 판지의 접힘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절곡면의 양측간에 체결을 위한 후크 및 이 후크를 끼우는 후크홀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된 간이 식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식판은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선 방향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상기 중심선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중심선, 중간선, 및 외곽선을 지나는 소정길이의 가로 지지선; 및 상기 가로 지지선과 중간선의 두 교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선을 향해 연장하여 삼각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보조 지지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중심선, 중간선 및 외곽선이 연결된 단부로부터 상기 중심선은 상기 제1 보조 지지선까지 연장되고, 상기 중간선 및 외곽선은 상기 가로 지지선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 지지선과 상기 제1 보조 지지선의 두 교점으로부터 각각 서로 이격되도록 사선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한 쌍의 제2 보조 지지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선 상에는 엄지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는 반경 크기를 가지는 지지공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저를 포함하는 식사도구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판지의 양측 단부에 끼움공과 지지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선들이 연결된 단부와 대응하는 단부에 물 컵을 꽂는 컵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홀은 일측이 상기 외곽선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선들의 접힘에 의해 상기 핑거홀의 일측이 상기 제1 절곡면의 배면측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홀에 삽입된 엄지손가락과 상기 판지 위에 담겨진 음식물 사 이를 차폐하도록 상기 핑거홀의 내주연 일부에 연결된 핑거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판지와의 연결부위보다 더 큰 크기의 절개부위를 갖으며, 상기 후크홀은 상기 후크의 연결부위와 동일한 크기의 절개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식판은 a) 판지의 중심선을 외측으로 접고 중간선을 내측으로 접어 제1 절곡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하는 단계; b) 외곽선을 외측으로 접고 각 절곡면들을 모으는 단계; 및 c) 후크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후크홀의 후방에서 끼워넣는 단계;를 포함하여 조립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 이후, 가로 지지선과 제1 보조 지지선 및 제2 보조 지지선을 접어서 절곡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 핑거 보호판을 판지 내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핑거 보호판이 엄지손가락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절곡면에 대응하여 그 배면측에 제2 절곡면이 위치하며, 제3 절곡면은 비스듬하게 서로 대향하면서 제2 절곡면과도 대향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간이 식판은 한 장의 판지로 구성되므로 휴대성과 이동성이 매우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간이 식판은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간이음식점이나 야외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젓가락과 같은 식사 도구들을 거치한 상태로 음식물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식사 중에도 젓가락을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어 간이음식점이나 야외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컵도 함께 거치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식판에 식사를 위한 모든 도구들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식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간이 식판의 후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간이 식판은 간이 음식점이나 야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음식물을 담기 위해 소정 두께를 갖는 종이 또는 수지(이하 ‘판지’라 한다; 10)로 이루어진다.
간이 식판을 형성하는 판지(10)는 도 1에 도시하는 기준점(10a)을 중심으로 다수의 접이선을 갖는데, 이러한 접이선은 상기 기준점(10a)에서 판지(10)의 단부 중앙으로 연장된 중심선(11)과, 상기 단부의 양 끝단으로 연장된 외곽선(13), 및 상기 중심선(11)과 외곽선(13)의 사이로 연장된 중간선(12)으로 이루어진다.
중간선(12) 상에는 엄지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는 반경 크기를 가지는 지지공(14)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외곽선(13)의 외측에 위치한 제3 절곡면(10d)에는 엄지손가락이 통과할 수 있는 핑거홀(15)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판지(10)는 중심선(11)의 접힘에 의해 중심선(11)의 외측으로 제1 절곡면(10b)이 형성되고, 중간선(12)의 접힘에 의해 중간선(12)의 외측으로 제2 절곡면(10c)이 형성되며, 외곽선(13)의 접힘에 의해 외곽선(13)의 외측으로 제3 절곡면(10d)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간이 식판용 판지(10)는 각각의 접이선을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따르면 제2 절곡면(10c)에는 상기 접이선(11 내지 13)들을 따라 절곡된 판지(10)의 접힘상태를 유지하며 본 발명의 간이 식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양측 체결을 위한 후크(16a)와 이 후크가 끼워지는 후크홀(16b)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간이 식판은 수저나 포크 등을 걸쳐놓을 수 있도록 수저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이러한 수저 고정부의 일 예로 젓가락을 안 정적으로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준점(10a)을 중심으로 판지의 양측 단부에 지지홈(17)과 끼움공(18)이 구비된 형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수저 고정부의 사용은 젓가락의 경우, 상기 끼움공(18)에 젓가락(미도시)의 끝단부를 끼운 상태로 젓가락의 손잡이 부분을 상기 지지홈(17)에 걸쳐 놓아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간이 식판은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접이선(11 내지 13)이 연결된 단부와 대응하는 단부에 물 컵을 꽂을 수 있는 컵 홀(19)을 구비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을 위한 중간 접음 단계에서의 상태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을 위한 최종 접음 단계에서의 상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을 조립하는 단계로서, 먼저 판지(10)의 중심선(11)을 외측으로 접고 중간선(12)을 내측으로 접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한다. 도 3의 단계에서 제1 절곡면(10b)은 서로 대향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단계로, 외곽선(13)을 외측으로 접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절 곡면(10b,10c,10d)들을 모은 후 후크(16a)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후크홀(16b)의 후방에서 끼워넣으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이 간단하게 완성된다.
도 4의 최종 조립 단계에서 제2 절곡면(10c)은 제1 절곡면(10b)에 대응하여 그 배면측에 위치하며, 제3 절곡면(10d)은 비스듬하게 서로 대향하면서 제2 절곡면(10c)과도 대향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종 조립이 완료된 간이 식판은 판지(10) 위의 오목해진 부분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으며, 컵 홀(19)에는 물이나 음료가 담긴 컵을 끼워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젓가락의 경우 사용 전이나 사용 중에는 끼움공(18)에 젓가락의 끝단부를 끼운 상태로 젓가락의 손잡이 부분을 지지홈(17)에 걸쳐 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이 식판을 파지하는 방법은, 먼저 양측의 핑거홀(15)에 엄지손가락을 통과시키면서 엄지손가락으로 지지공(14)의 접어진 반원을 지지하고, 아울러 사용자의 검지손가락 또는 내측 손날 부분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절곡면(10b 내지 10d; 도 1 참조)의 배면측을 지지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도 7과 같이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음식물의 하중이 클 경우에는 상기 엄지손가락 외에도 검지손가락이나 기타 다른 손가락으로 판지(10)의 저면을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간이 식판에서 물 컵을 꽂는 컵 홀(19)은 컵의 보다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변형된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컵 홀(19')은 내주연부로부터 내측 중심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돌부(19a)를 가지며, 이 지지돌부(19a)는 절취선(19b)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절단되어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이 절취된 지지돌부(19a)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개의 지지돌부(19a)가 하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컵을 지지하면서 안정적인 끼움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실시예>
이하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지지홈(170), 끼움공(180), 컵홀(190), 지지돌부(190a))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간이 식판의 후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준점(100a)을 중심으로 판지(100)의 단부 중앙으로 연장된 중심선(110)과, 상기 단부의 양 끝단으로 연장된 외곽선(130), 및 상기 중심선(110)과 외곽선(130)의 사이로 연장된 중간선(120)을 갖는다.
또한, 기준점(100a)으로부터 중심선(110) 방향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중심선(110)과 수직을 이루며 중심선(110), 중간선(120), 및 외곽선(130)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가로 지지선(101)이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가로 지지선(101)과 중간선(120)에 의해 형성되는 두 교점으로부터 중심선(110)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연장되어 가로 지지선(101)과 함께 삼각면(105)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보조 지지선(10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심선(110)은 기준점(100a)을 중심으로 중심선(110), 중간선(120), 및 외곽선(130)이 연결된 단부로부터 제1 보조 지지선(102)까지만 연장되고, 중간선(120) 및 외곽선(130)은 상기 단부로부터 가로 지지선(101)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은 가로 지지선(101) 및 제1 보조 지지선(102)의 구성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면(105)은 판지(100)가 각각의 접이선을 따라 절곡되어 식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음식물이 담겨지는 부분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제 1실시예에서의 기준점(10a)에 집중되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한다. 따라서, 음식물이 장시간 판지 상에 놓여진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음식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삼각면(105)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간이 식판을 잠시 내려놓는 경우에도 식판이 쓰러지지 않고 바닥에 안정적으로 세워둘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1 보조 지지선(102)의 반대편에는 가로 지지선(101)과 제1 보조 지지선(102)을 통해 형성되는 두 교점으로부터 각각 서로 이격되도록 사선방향으로 한 쌍의 제2 보조 지지선(103)이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판지(100)가 식판 형태로 접혀진 경우, 판지(100)의 접힘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한편, 외곽선(130) 외측의 제 3절곡면(100d)에는 엄지손가락이 통과할 수 있 는 핑거홀(150)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핑거홀(150)은 일측이 외곽선(130)의 일부를 따라 절개되어 접이선들의 접힘에 의해 핑거홀(150)의 일측이 제1 절곡면(100b)의 배면측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판지의 접힘 상태에서 두 핑거홀(150)이 거의 접해 있어, 제 1실시예에서의 핑거홀(15)에 비해 엄지 손가락의 삽입이 용이하다.
또한, 핑거홀(150)의 내주연 일부에 핑거 보호판(151)이 형성되어 있다. 핑거 보호판(151)은 핑거홀(150)을 절개할 때, 일부만을 남겨둔 상태로 절개한 후, 판지(100)를 식판 형태로 접을 때, 판지(100)의 내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한다. 이때, 핑거 보호판(151)은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핑거홀(150)에 삽입하여 간이 식판을 취부할 때,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하부측에 위치되어, 엄지손가락과 판지(100)에 담겨진 음식물 사이를 차폐하도록 핑거홀(15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간이 식판에 뜨거운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경우에도, 핑거 보호판(151)이 엄지손가락으로 전해지는 음식물의 열기를 차단하여 엄지 손가락을 보호할 뿐 아니라, 엄지손가락에 음식물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선(120) 상에는 핑거홀(150)을 통해 삽입된 엄지 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는 반경 크기를 가지는 지지공(140)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지(100)는 중심선(110), 중간선(120), 및 외곽선(130)의 접힘에 의해 제 1절곡면(100b), 제 2절곡면(100c), 및 제 3절곡면(100d)이 형성되어 각각의 접이선을 따라 도 11과 같이 접을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한편, 제2 절곡면(100c)에는 상기 접이선(110 내지 130)들을 따라 절곡된 판 지(100)의 접힘 상태를 유지하며 본 발명의 간이 식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양측 체결을 위한 후크(160a)와 이 후크가 끼워지는 후크홀(160b)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크(160a)는 외곽선(130)과의 연결부위보다 절개부위가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후크홀(160b)은 후크(160a)의 연결부위와 동일한 크기를 절개부위를 갖도록 형성되어, 후크(160a)와 후크홀(160b)이 견고하게 체결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을 위한 중간 접음 단계에서의 상태도면이고, 도 13은 도 10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을 위한 최종 접음 단계에서의 상태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도 13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에 따른 정면도이다.
먼저 판지(100)의 중심선(110)을 외측으로 접고 중간선(120)을 내측으로 접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한다. 도 12의 단계에서 제1 절곡면(100b)은 서로 대향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가로 지지선(101)과 제 1보조 지지선(102) 및 제2 보조 지지선(103)을 살짝 접어서 절곡선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 단계로, 외곽선(130)을 외측으로 접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절곡면(100b, 100c, 100d)들을 모은 후, 후크(160a)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후크홀(160b)의 후방에서 끼워넣는다. 그러면, 제2 절곡면(100c)은 제1 절곡면(100b)에 대응하여 그 배면측에 위치하며, 제3 절곡면(100d)은 비스듬하게 서로 대향하면서 제2 절곡면(100c)과도 대향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동시에, 가로 지지선(101)과 제1 및 제2 보조 지지선(102, 103) 부분이 약간 절곡되면서 판지(100)의 중앙 부분에 삼각면(105)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핑거 보호판(151)을 판지(100)의 내측으로 돌출시켜 핑거 보호판이 제2 절곡면(100c)과 거의 직각을 이루며 엄지 손가락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간이 식판을 간단하게 완성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간이 식판의 사용방법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며, 제 1실시예와의 차이점은 핑거홀(150)을 통해 엄지손가락을 판지(100)의 내측으로 삽입할 때, 핑거 보호판(151)을 내측으로 돌출시켜 핑거 보호판(151)이 삽입된 엄지 손가락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간이 식판은 한 장의 판지로 구성되므로 휴대성과 이동성이 매우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간이 식판은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간이음식점이나 야외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젓가락과 같은 식사 도구들을 거치한 상태로 음식물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식사 중에도 젓가락을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어 간이음식점이나 야외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컵도 함께 거치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식판에 식사를 위한 모든 도구들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간이 식판의 후방 상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을 위한 중간 접음 단계에서의 상태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을 위한 최종 접음 단계에서의 상태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간이 식판의 후방 상태도,
도 12는 도 10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을 위한 중간 접음 단계에서의 상태도면,
도 13은 도 10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을 위한 최종 접음 단계에서의 상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따른 측면도,
도 15는 도 13에 따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판지 101: 가로 지지선
102: 제1 보조 지지선 103: 제2 보조 지지선
105: 삼각면 10a, 100a : 기준점
10b,10c,10d, 100b, 100c, 100d : 절곡면
11, 110 : 중심선 12, 120 : 중간선
13, 130 : 외곽선 14, 140 : 지지공
15, 150 : 핑거홀 151: 핑거 보호판
16a, 160a : 후크 16b, 160b : 후크홀
17, 170 : 지지홈 18, 180 : 끼움공
19, 19', 190 : 컵 홀 19a, 190a : 지지돌부
19b, 190b : 절취선

Claims (13)

  1. 소정 두께의 판지 상에, 소정의 기준점에서 상기 판지의 단부 중앙으로 연장된 중심선,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단부의 양 끝단으로 연장된 외곽선, 및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중심선과 외곽선의 사이로 연장된 중간선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선의 접힘에 의해 상기 중심선의 외측에 형성된 제1 절곡면, 상기 중간선의 접힘에 의해 상기 중간선의 외측에 형성된 제2 절곡면, 및 상기 외곽선의 접힘에 의해 상기 외곽선의 외측에 형성된 제3 절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절곡면에는 엄지손가락이 통과할 수 있는 핑거홀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곡면에는 판지의 접힘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절곡면의 양측간에 체결을 위한 후크 및 이 후크를 끼우는 후크홀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선 방향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상기 중심선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중심선, 중간선, 및 외곽선을 지나는 소정길이의 가로 지지선; 및
    상기 가로 지지선과 중간선의 두 교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선을 향해 연장하여 삼각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보조 지지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중심선, 중간선 및 외곽선이 연결된 단부로부 터 상기 중심선은 상기 제1 보조 지지선까지 연장되고, 상기 중간선 및 외곽선은 상기 가로 지지선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지지선과 상기 제1 보조 지지선의 두 교점으로부터 각각 서로 이격되도록 사선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한 쌍의 제2 보조 지지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선 상에는 엄지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는 반경 크기를 가지는 지지공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판.
  5. 제 1항에 있어서,
    수저를 포함하는 식사도구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판지의 양측 단부에 끼움공과 지지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선들이 연결된 단부와 대응하는 단부에 물 컵을 꽂는 컵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홀은 일측이 상기 외곽선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선들의 접힘에 의해 상기 핑거홀의 일측이 상기 제1 절곡면의 배면측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홀에 삽입된 엄지손가락과 상기 판지 위에 담겨진 음식물 사이를 차폐하도록 상기 핑거홀의 내주연 일부에 연결된 핑거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판지와의 연결부위보다 더 큰 크기의 절개부위를 갖으며, 상기 후크홀은 상기 후크의 연결부위와 동일한 크기의 절개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판.
  10. a) 판지의 중심선을 외측으로 접고 중간선을 내측으로 접어 제1 절곡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하는 단계;
    b) 외곽선을 외측으로 접고 각 절곡면들을 모으는 단계; 및
    c) 후크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후크홀의 후방에서 끼워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에 따른 간이 식판을 조립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가로 지지선과 제1 보조 지지선 및 제2 보조 지지선을 접어서 절곡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판.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핑거 보호판을 판지 내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핑거 보호판이 엄지손가락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면에 대응하여 그 배면측에 제2 절곡면이 위치하며, 제3 절곡면은 비스듬하게 서로 대향하면서 제2 절곡면과도 대향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098622A 2007-06-26 2007-10-01 간이 식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14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2950 2007-06-26
KR1020070062950 2007-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453A true KR20080114453A (ko) 2008-12-31

Family

ID=4037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622A KR20080114453A (ko) 2007-06-26 2007-10-01 간이 식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44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81Y1 (ko) * 2018-07-26 2019-10-22 양동우 컵라면용기 커버
IT201900014958A1 (it) * 2019-08-22 2021-02-22 I C A S R L Vassoio monoporzione per il supporto di prodotti alimentari in particolare per prodotti dolciari.
KR102220052B1 (ko) * 2020-06-10 2021-02-24 김아름솔 일회용 접시
KR102223519B1 (ko) * 2019-12-20 2021-03-05 (주)페이퍼월드 케이크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81Y1 (ko) * 2018-07-26 2019-10-22 양동우 컵라면용기 커버
IT201900014958A1 (it) * 2019-08-22 2021-02-22 I C A S R L Vassoio monoporzione per il supporto di prodotti alimentari in particolare per prodotti dolciari.
KR102223519B1 (ko) * 2019-12-20 2021-03-05 (주)페이퍼월드 케이크 서버
KR102220052B1 (ko) * 2020-06-10 2021-02-24 김아름솔 일회용 접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464B2 (en) Combination a food plate having detachable, re-attachable eating utensils
US20140319287A1 (en) Utensil rest
WO2011006275A1 (es) Kit de utensilios de alimentación desechable
US8782907B2 (en) All-in-one multipurpose eating utensil adapted to be separated into pieces
KR101820887B1 (ko) 젓가락
US20100059392A1 (en) Cup Carrier
KR20080114453A (ko) 간이 식판 및 그 제조방법
EP3073872B1 (en) Plate
EP1976418A1 (en) A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US10226143B1 (en) Utensil rest
US10136746B2 (en) Eating utensil assembly including through-opening carried pair of sticks and related methods
US6694619B1 (en) Disposable food cutting utensil
KR200451893Y1 (ko) 일회용 수저받침대
KR200487023Y1 (ko)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200432986Y1 (ko) 접히는 도마
KR20100004238U (ko)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200322198Y1 (ko) 1회용 접이식 집게형 종이 젓가락
WO2002058526A1 (fr) Tissu hygienique plie ne pouvant se deplier d&#39;une seule main
KR200496375Y1 (ko) 일회용 수저 받침과 이를 수용하는 일회용 수저 받침 박스
KR200329363Y1 (ko) 손잡이가 구비된 종이컵
JP3054239U (ja) 盛り皿機能を有する紙製まな板
KR20080005495U (ko) 수저 받침대
KR200491122Y1 (ko) 사용후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KR20110026298A (ko) 조립형 종이집게
KR200233449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