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294A - 폐초경합금의 재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폐초경합금의 재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294A
KR20080114294A KR1020070063698A KR20070063698A KR20080114294A KR 20080114294 A KR20080114294 A KR 20080114294A KR 1020070063698 A KR1020070063698 A KR 1020070063698A KR 20070063698 A KR20070063698 A KR 20070063698A KR 20080114294 A KR20080114294 A KR 20080114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ed carbide
oxidation
waste cemented
alloy
sc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빈
오영희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6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4294A/ko
Publication of KR2008011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05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from non-ferrou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5/00General methods of reducing to metals
    • C22B5/02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 C22B5/12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by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9/0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 C22B9/04Refining by applying a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9/0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 C22B9/16Remelting metals
    • C22B9/20Arc reme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적으로 폐기되는 각종 폐초경합금 스크랩을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0mm이하로 조분쇄하는 단계, 파쇄된 초경합금 스크랩을 산소와 수소를 이용한 산화·환원법으로 WC-Co계 합금분말과 WC(TaC,TiC,NbC,VC,HfC)-Co)(Ni,Fe)계 복합 산화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체 분말을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체 분말 펠렛에 코발트(Co) 잉곳을 소정의 비율로 첨가 및 용해하여 W-Co 2원계 합금 잉곳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초경합금의 재활용 방법 {Recycling method of waste cemented carbide}
도 1 은 본 발명의 주요 공정 단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의 산화·환원반응 전후 시료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 2-(b) 및 (c)에 나타낸 분말 시료를 SEM으로 관찰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WC-Co 2원계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을 산소 및 수소가스로 산화·환원반응시킨 후의 시료를 XRD로 분석한 결과.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WC-TaC-TiC-NbC-Co계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을 산소 및 수소가스로 산화·환원반응시킨 후의 시료를 XRD로 분석한 결과.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원소의 산화반응에 따른 ΔGo-T 도표.
도 7은 W-Co 2원계 평형상태도.
도 8은 재생된 폐초경합금 분말과 Co잉곳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장입하여 주파유도로로 용해하기 전 후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재생된 폐초경합금 분말과 Co잉곳을 첨가하여 고주파유도로로 용해한 W-Co계 합금의 SEM 상 및 EDX에 의한 조성 분석결과.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 3 : 폐초경합금 소프트스크랩
5 : 조분쇄 9 : 산화·환원반응
11 : 펠레타이징 25 : 알루미나 도가니
27 : 고주파로 29 : 코발트 잉곳
31 : 성형체 33 : W-Co 2원계 합금 잉곳
35 : 슬래그
본 발명은 각종 산업용 공구로 사용된 후 헐값으로 폐기되는 폐초경합금 스크랩으로부터 전략물질일 뿐만 아니라, 고가이며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텅스텐(W)과 코발트(Co) 금속을 W-Co계 합금 잉곳형태고 회수하는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래 초경합금은 자원적으로 매장량이 적어 고가이고 전략적인 금속으로 알려진 텅스텐(W)와 코발트(Co)를 주성분으로 하여 고융점 및 고강도 공구용 합금재료로서, 사용된 후 페기되는 폐초경합금 스크랩의 재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왔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재활용 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 그러한 종래의 재활용 방법으로는 알콕사이드법, 아연처리법 및 기타 기계적 분쇄법 등이 있으며, 특히 알콕사이트법은 초경합금 원소를 각 원소별로 재생하이 재차 초경합금원료로 사용하거나 다른 합금원료로 다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재생방 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강산(HCl, H2SO4, HNO3 등.)에 의한 화학적 처리 시 폐산처리와 같은 환경문제 등이 단점인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한편 상기 각종 폐초경합금 스크랩은, 각 제조사별로 합금원소의 화학적 조성이 다를 뿐반 아니라, 각종 공구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초경합금 제품 스크랩은 구성원소의 화학적 조성에 의해 [1] WC-Co 2원계 및 [2] WC(TaC,TiC,NbC,VC,HfC)-Co(Ni,Fe)계 2가지로 대별되며, 그 밖에 상기 2 종류 초경합금 표면에 TiN, TiC 및 Al2O3 등을 피복한 제품 등이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각종 폐초경합금 스크랩은 사용 후 폐기할 때 분류하지 않고 상기 2가지 종류의 폐초경합금 스크랩이 혼재되어 폐기되므로 분리회수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초경합금 종류의 제품을 생산할 때 연삭공정에서 발생하는 분말형태의 폐초경합금 스크랩(이하 폐초경합금 소프트스크랩으로 약한다.)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폐초경합금 재생방법과는 달리, 비교적 간편한 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2가지 종류의 폐초경합금 스크랩으로부터 산업적으로 중요하며 고가인 텅스텐(W)과 코발트(Co) 금속을 W-Co 2원계 합금 잉곳형태로 회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주요 공정단계는, [1] 수집된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을 10mm이하로 조분쇄(소프트 스크랩은 10∼20mm 범위의 크기로 펠레타이징) 하는 단계, [2] 파쇄된 초경합금 스크랩을 산소와 수소를 이용한 산화·환원법으로 W-Co계 합금분말과 W-Ta-Ti-Nb-V-Hf 계 복합 산화물이 혼합된 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의 복합체 분말을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복합체 분말 펠렛에 코발트(Co) 잉곳을 첨가 및 용해하여 W-Co 2원계 합금 잉곳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집된 각종 폐초경합금 스크랩을 조성별로 분리하지 않고 재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 처리 공정이 없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며 경제적인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집된 각종 폐초경합금 스크랩을 W-Co 2원계 합금 잉곳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각 주요 공정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수집된 각종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1) 혹은 소프트스크랩(3)은 그들 스크랩의 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다른 금속류, 먼지나 흙,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철(Fe)이나 비철금속이 혼입되지 않도록 제거해야 하며, 더욱이 Al2O3 세라믹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구류 스크랩 등을 제거를 위해 자력선별기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물질 등이 분리된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1)은 그들 모양과 크기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특히 다음 공정의 산화·환원 반응(9) 단계에서 산화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10mm이하로 조분쇄(5)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한편 폐초경합금 소프트스크랩(3)의 경우는, 100mesh이하의 미세한 분말형태이므로 아래에 설명되는 원활한 산화·환원 반응(9)을 위해 10∼20mm범위 크기의 구형 혹은 원통형으로 펠레타이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화·환원반응(9)은 산소(O2)에 의한 산화 및 탈탄반응에 의해 폐초경합금 스크랩(1)을 미분쇄하기 위한 중요한 공정 단계이다. 예를 들면, 상기 WC-Co 2원계 폐초경합금 스크랩의 경우, 주요 구성성분인 텅스텐 탄화물(WC) 및 코발트(Co)는 1027℃(1300K)에서 불활성 분위기라면, 아래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Figure 112007506328588-PAT00015
Go-T(1300K)=-35.06 kJ/mol 이므로 안정하지만, 산소(O2) 분위기에서 가열된다면, 아래의 반응식 [2], [3] 및 [4]와 같은 반응이 예상될 뿐만 아니라, 그들 반응에 따른
Figure 112007506328588-PAT00016
Go 값이 모두 음(-)의 값이므로, 산소(O2)에 의한 탄화물(WC)의 탈탄반응과 코발트 금속의 산화반응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산화·환원 반응(9) 단계는 900∼1100℃범위에서 2∼3시간 정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입하는 산소(O2)와 수소(H2)가스 량은 재생코자 하는 폐초경합금 스크랩(1)(3)의 장입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충분하게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W(s)+C(s) → WC(s),
Figure 112007506328588-PAT00017
Go-T(1300K) = -35.06 kJ/mol
[2] WC(s)+3/2O2(g) → WO2(s)+CO(g)↑,
Figure 112007506328588-PAT00018
Go-T(1300K) = -547.34 kJ/mol
[3] W(s)+O2(g) → WO2(s),
Figure 112007506328588-PAT00019
Go-T(1300K) = -390.06 kJ/mol
[4] Co(s)+1/2O2(g) → CoO(s),
Figure 112007506328588-PAT00020
Go-T(1300K) = -142.711 kJ/mol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한 예로서, 도 2-(a)는 수집된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20)을 3-5mm정도로 분쇄한 시료 사진을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튜브전기로를 이용하여 산소 가스를 80ml/min정도 흘려보내면서 1000℃에서 1시간 산화반응 후의 시료(22)로서, 막자사발 등으로 쉽게 미세한 분말로 분쇄가 가능하다. 또한 도 2-(c)는 상기 환원반응 후 재차 수소(H2) 가스를 흘려보내면서 1000℃에서 1시간 동안 환원반응 후의 시료(24)이며, 이 시료 또한 막자사발 등으로 쉽게 분쇄가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 종류의 폐초경합금 스크랩 및 TiN(TiC) 피복된 폐초경합금 스크랩을 산소(O2) 및 수소(H2) 가스를 이용하여 산화·환원반응을 위해 가열했을 때 예상되는 반응식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이때 수소(H2) 가스에 의한 환원반응 시 W 및 Co 를 제외한 ㅏ힌
■ W-Co계 폐초경합금의 산화/환원 반응;
WC-Co system cemented carbide(s)+O2(g) -----→
W-Co system oxide complex(s)+CO(g)↑ -------------- (1)
W-Co system oxide complex(s)+H2(g) ----→
W-Co alloy powders(s)+H2O(g)↑ --------------------- (2)
■ WC(TiC,TaC,NbC,VC,HfC)-Co계 폐초경합금의 산화/환원 반응;
WC(TiC,TaC,NbC,VC,HfC)-Co system cemented carbide(s)+O2(g)
→ W-Ti-Ta-Nb-V-Hf-Co system oxide complex(s)+CO(g)↑ -- (3)
W-Ti-Ta-Nb-V-Hf-Co system oxide complex(s)+H2(g) -----→
W-Co alloy powders(s)+Ti-Ta-Nb-V-Hf system oxide
complex(s)+H2O(g)↑ ------------------------------------ (4)
■ TiN 피복된 W-Co계 폐초경합금의 산화/환원 반응;
WC-Co system cemented carbide(s)+TiN+O2(g) -----→
W-Co system oxide complex(s)+TiN+CO(g)↑ --------------- (5)
W-Co system oxide complex(s)+TiN+H2(g) -----→
W-Co alloy powders(s)+TiN+H2O(g)↑ --------------------- (6)
다음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4]에 나타낸 원소이외에 각종 폐초경합금 스크랩(1)(3)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성분인 순금속, 탄화물 및 질화물 등이 1027℃(1300K)에서 산소(O2) 가스와 산화반응이 일어날 때 그에 따른 깁스자유에너지(
Figure 112007506328588-PAT00021
Go(1300K)) 값을 계산한 것이며, 또한 표 2는 상기 반응온도 1000℃(1273K) 및 폐초경합금 주요 성분의 산화물 생성에 따른 깁스자유에너지
Figure 112007506328588-PAT00022
Go값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1 각 원소의 산화반응에 따른 자유에너지
Figure 112007506328588-PAT00023
Go-T(1300K) 값.
Figure 112007506328588-PAT00003
표 2 각종 탄화물(혹은 질화물)과 산화물 생성에 따른 깁스자유에너지
Figure 112007506328588-PAT00024
Go 값의 비교.
Figure 112007506328588-PAT00004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 2에서 나타낸 산화·환원반응(9) 후의 시료를 SEM으로 분석한 결과이며, 도 3-(a) 및 (b) 두 시료의 사진에서 관찰되는 미세분말의 정확한 화학적 조성 파악은 어렵지만, 미세분말의 형태와 크기는 불규칙하며 15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 종류의 WC-Co 2원계 및 WC(TiC,TaC,NbC,VC,HfC)-Co계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1)을 산소 및 수소가스로 산화·환원반응(9) 후의 시료를 XRD로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도 4-(a) 및 도 5-(a)의 결과로부터, 상기에 나타낸 [1]∼[4]의 산화반응과 상기 반응식 (1) 및 (3)으로부터 예상된 바와 같이, 각 peak에 대한 물질을 정확하게 규명하기는 어려웠지만, 도 4-(a)는 W 및 Co 원소의 산화물이 혼재되어 있으며, 도 5-(a)는 W, Ti, Ta, Nb, V, Hf 및 Co 원소 등의 복합한 산화물로 추측되는 다수의 peak가 얻어졌으며, 도 4-(a)의 peak보다 더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peak가 얻어졌다. 그러나 도 4-(b) 및 도 5-(b)의 분석결과는, 두 시료 모두 재차 수소(H2) 가스를 흘려보내면서 1000℃에서 1시간동안 동일한 조건에서 환원반응 한 시료들로서, 도 4-(b) 시료에서는 텅스텐이나 코발트 산화물의 peak는 일절 관찰되지 않고 5개 peak가 선명하게 얻어졌으며, 이들 peak를 상세하게 분석한 결과, 순수한 텅스텐(W)과 코발트(Co) peak와는 약간 다른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W-Co계 합금 peak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특히 5-(b)는 WC(TiC,TaC,NbC,VC,HfC)-Co계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1) 시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환원반응 후의 시료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 4-(b)의 시료보다도 3 개의 peak가 더 관찰되었다. 이러한 peak에 대한 정보는 현재 보고된 분석 자료가 없어 정확한 고찰이 불가능하였으며, 또한 이들 시료는 분말시료이며 Ta, Ti, Nb, V 및 Hf 등의 원소는 미량 첨가된 원소이기 때문에 정확한 물질분석은 더욱 어려웠 다. 그러나 이들 시료는 원래 WC(TiC,TaC,NbC,VC,HfC)-Co계 폐초경합금 스크랩(1)을 산화·환원반응(9)시켜 얻어진 시료이므로 수소에 환원된 텅스텐과 코발트의 W-Co계 합금분말과 미환원된 Ta-Ti-Nb-V-Hf-Co계 복합 산화물이 혼재되어 얻어진 peak들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정확한 분석은 어려웠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 5-(b)에 나타낸 결과에 대하여 열역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Figure 112007506328588-PAT00025
Go-T도표(Barain 열역학 데이터 북)를 작성한 것이다. 이러한 도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WC-Co계 폐초경합금 및 WC(TiC,TaC,NbC,VC,HfC)-Co계 폐초경합금 스크랩 모두 산소(O2) 가스의 산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각종 산화물(WO, CoO, Ta2O5, TiO, NbO, V2O3 및 HfO2 등)을 재차 수소(H2) 가스 분위기에서 가열할 경우, 텅스텐 산화물(WO, WO2 및 WO3 등) 및 코발트 산화물(CoO 및 Co3O4)은 환원이 가능하므로 W 및 Co 분말 혹은 W-Co계 합금분말로 될 수 있지만, Ta, Ti, Nb, V 및 Hf 원소 등의 산화물(Ta2O5, TiO, NbO, V2O3 및 HfO2 등)은 환원이 불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수소가스에 의해 미 환원된 산화물은 각각의 산화물이 혼재되어 존재하기보다는 텅스텐과 코발트 원소 산화물을 제외한 복합 산화물 형태로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상기 실험적 결과 및 열역학적 데이터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수집된 각종 폐초경합금 스크랩(1)(3)을 합금 성분별로 분류하지 않고, 산소 및 수소 가스에 의한 산화·환원반응(9)시켜 미분말로 재생하면, W-Co계 합금분말(W 및 Co 분말)과 미환원된 Ta, Ti, Nb, V 및 Hf 원소 등의 산화물(Ta2O5, TiO, NbO, V2O3 및 HfO2 등)이 반드시 서로 혼합되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W-Co계 폐초경합금 및 WC(TiC,TaC,NbC,VC,HfC)-Co계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1)을 산소와 수소가스에 의한 산화·환원반응(9)에 의해 얻어진 2 종류의 혼합분말의 성형체, 즉, 수소에 의해 완전하게 환원된 W-Co계 합금분말(혹은 W 및 Co분말)과 상기 미 환원된 산화물(Ta2O5, TiO, NbO, V2O3 및 HfO2 등)로 이루어진 복합분말을 ф10x높이10mm 정도 크기로 펠레타이징(11)하여 제조한 성형체(31)와 순수한 코발트 잉곳(29)을 함께 알루미나(혹은 마그네시아)제 도가니(25)에 장입하여 Ar가스 분위기에서 고주파로(27)를 사용하여 용해(15) 전(a)후(b)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성형체(31)와 코발트 잉곳(29)의 조성비는, 도 7의 W-Co 2원계 평형상태도로부터 추정하여 1500∼2000℃ 온도 범위에서 충분하게 용해가 가능한 조성비는 순수한 텅스텐과 코발트를 용해할 경우에 중량비로 W : Co = 62 : 38 범위까지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폐초경합금 성형체(31)(85wt%W 포함으로 가정함.) : 코발트 잉곳(29)의 비율을 3 : 7로 천평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펠레타이징으로 제조하는 성형체의 크기는 산화·환원반응(9) 장치의 규모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ф5-100mm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8-(b)에 나타낸 (35)는 합금용해(15) 시 생성된 부유물, 즉, 상기 미 환원된 산화물(Ta2O5, TiO, NbO, V2O3 및 HfO2 등)로 이루어 진 슬래그(slag)이며, 그 아래에 용해된 것은 W-Co계 합금(33)임을 확인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대로 고주파로 용해에 의해 얻어진 W-Co 2원계 합금 잉곳(33)을 SEM/EDX를 이용하여 미세조직 관찰 및 화학적 조성을 정성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상기 합금 잉곳(33)의 미세조직에는 기공(air hole)이 소량 발견되었지만, 대체적으로 화학적으로 균일한 W-Co 2원계 합금 잉곳(33)이 얻어졌다. 이때 불순물이 적거나 기공이 없는 상기 W-Co 2원계 합금 잉곳(33)을 얻기 위해서는 진공분위기에서 고주파로(혹은 아크로)를 이용하여 용해(15)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산업적으로 폐기되어 재생이 어렵지만, 전략 물질인 텅스텐(W)과 코발트(Co)를 주성분으로 하는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 혹은 소프트스크랩)을 종래의 재생방법과는 달리, 비교적 저가인 설비를 이용하여 산화·환원법으로 분말형태로 재생하여 펠렛으로 제조한 다음, 코발트 잉곳을 첨가하여 재차 W-Co계 합금 잉곳형태로 용해하여, 각종 산업용 부품원료(표 3참조)로 이용 가능한 W-Co 합금 잉곳 형태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강산(HCl, H2SO4, HNO3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표 3 텅스텐(W)과 코발트(Co) 원소를 함께 포함하는 각종 산업용 부품.
Figure 112007506328588-PAT00026

Claims (3)

  1. 산업적으로 폐기되는 각종 페초경합금 하드스크랩(1) 및 소프트 스크랩(3)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산소(O2)와 수소(H2)가스에 의한 산화·환원반응(9)으로 W-Co계 합금분말과 W-Ta-Ti-Nb-V-Hf-Co계 복합 산화물이 혼합된 복합분말로 제조하되, 상기 복합체 분말을 성형체(31)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성형체(31)와 코발트 잉곳(29)을 아루미나 도가니(25)에 장입하여 고주파(혹은 아크로)로(27)를 이용하여 진공분위기에서 용해하여 W-Co 2원계 합금(2∼68wt%W∼bal Co 합금)을 잉곳(33)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폐초경합금 재활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초경합금 하드스크랩(1) 및 소프트 스크랩(3)을 산소(O2)와 수소(H2)가스에 의한 산화·환원반응을 위해 700∼1100℃온도 범위에서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폐초경합금 재활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 분말을 일축 방향 프레스에 의해 ф5∼100mm 범위 크기의 원통형(혹은 구형)의 성형체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폐초경합금 재활용 방법.
KR1020070063698A 2007-06-27 2007-06-27 폐초경합금의 재활용 방법 KR20080114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698A KR20080114294A (ko) 2007-06-27 2007-06-27 폐초경합금의 재활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698A KR20080114294A (ko) 2007-06-27 2007-06-27 폐초경합금의 재활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294A true KR20080114294A (ko) 2008-12-31

Family

ID=4037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698A KR20080114294A (ko) 2007-06-27 2007-06-27 폐초경합금의 재활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42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5923C1 (ru) * 2018-07-03 2019-04-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плав" Реактор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твердых сплавов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5923C1 (ru) * 2018-07-03 2019-04-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плав" Реактор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твердых сплаво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1612B2 (en) Production of substantially spherical metal powders
Jung Recovery of tungsten carbide from hard material sludge by oxidation and carbothermal reduction process
Lee et al. Recycling of WC–Co hardmetal sludge by a new hydrometallurgical route
JP5273241B2 (ja) Re−tm系混合物からの希土類元素の回収方法
EP2450312A1 (en) Recovery of tungsten from waste material by ammonium leaching
JP4257690B2 (ja) 粉末冶金用途のための焼結活性金属粉末及び合金粉末、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の使用
Edtmaier et al. Selective removal of the cobalt binder in WC/Co based hardmetal scraps by acetic acid leaching
JP5344154B2 (ja) タングステンの回収処理方法
KR101581860B1 (ko) 폐초경합금 스크랩을 활용한 고순도 파라텅스텐산암모늄 제조방법
CN109628731B (zh) 一种短流程处理含钒原料提取制备钒及合金粉末的方法
KR101800784B1 (ko) 폐 초경합금으로부터 텅스텐 화합물의 회수방법
JP5149164B2 (ja) 希土類−鉄−ボロン系磁石スクラップからの有用材料回収方法
JP2011179038A (ja) 超硬合金スクラップからタングステンを回収する方法。
EP2521799A1 (en) A process for recycling of tungsten carbide alloy
JP5550336B2 (ja) アルカリ金属塩溶融液を使用しながらの超合金の再循環
JP2011032578A (ja) 第5族元素及び/又は第6族元素の溶解方法
JP2004002927A (ja) 超硬質合金スクラップの処理方法
EP3098199B1 (en) Process for the direct production of tungsten carbide powders of various grain sizes starting from scheelite
Pee et al. Extraction factor of tungsten sources from tungsten scraps by zinc decomposition process
Yuan et al. Production of fine tantalum powder by preform reduction process using Mg–Ag alloy reductant
KR20080114294A (ko) 폐초경합금의 재활용 방법
JP2007045670A (ja) 金属炭化物の製造方法
KR101787042B1 (ko) 폐초경합금 산화물 용해용 용액 조성물
JP2003051418A (ja) 希土類磁石スクラップの再生方法
JP2007182612A (ja) 高融点金属銅複合材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015

Effective date: 2015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