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033A - 초저온 에어로젤 단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저온 에어로젤 단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033A
KR20080113033A KR1020087023025A KR20087023025A KR20080113033A KR 20080113033 A KR20080113033 A KR 20080113033A KR 1020087023025 A KR1020087023025 A KR 1020087023025A KR 20087023025 A KR20087023025 A KR 20087023025A KR 20080113033 A KR20080113033 A KR 20080113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gel
insulation space
wall
spac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0740B1 (ko
Inventor
리차드 존 집
존 에이치. 로얄
노만 헨리 화이트
스티븐 앨런 슈와츨러
위본 홉스
Original Assignee
프랙스에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랙스에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프랙스에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11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1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is below that of the ambie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5Aerog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내벽(2) 및 외벽(3)에 의해 형성된 밀봉 가능한 단열 공간(1)에 에어로젤이 제공되어 여압 및 감압되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이다. 여압은 양호하게는 이산화탄소인 응축성 기체를 단열 공간(1)에 제공함으로써 완수된다. 응축성 기체는 단열 공간을 감압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일 벽(2, 3)을 190 K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킴으로써 냉각되고, 통상적으로 초저온 액체로부터의 냉각이 적용되어 초저온 온도로 냉각된다.
Figure P1020087023025
초저온 단열 시스템, 이중벽 용기 단열, 초저온 단열, 이중벽 도관 단열

Description

초저온 에어로젤 단열 시스템 {CRYOGENIC AEROGEL INSULATION SYSTEM}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초저온 온도에서 사용하게 되는 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중벽 용기(double-walled vessel)를 위한 종래의 초저온 진공 단열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0℃에서 1 미크론 Hg 보다 낮은 높은 진공도를 요구한다. 진공의 목적은 기체의 전도/대류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요구되는 높은 진공 상태는 생산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고 상승된 온도에서 오랜 펌프 배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는 진공 단열 장비의 높은 생산 비용으로 귀결된다. 일단 달성되더라도, 실제로 통상 15년 내지 20년인 장비 사용 기간 동안에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매우 어렵고, 모든 예방 조치에도 불구하고 진공 공간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성능의 급격한 손실이 야기되는 것이 발견된다. 하나의 대안은 발포 단열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은 진공 단열보다 훨씬 많은 열 누출을 발생시킨다. 웨더시일(weatherseal) 발포 단열에 정교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물의 침투로 인한 급속한 열화가 야기될 것이다. 따라서, 초저온 단열 시스템은 그 수명동안 신뢰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으며, 높은 성능을 가지고, 진공 손실에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이며, 에어로젤(aerogel)을 내장하며 내벽 및 외벽에 의해 형성된 단열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와,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에 한번 이상의 여압 과정과 한번 이상의 감압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의 하나 이상의 벽을 190K 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압 과정은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에 응축성 기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응축성 기체"는 단열 공간의 평균 온도에서 이상 기체 법칙을 적용했을 때 예상되는 압력보다 훨씬 낮은 증기압을 저온 조건에서 갖는 기체를 의미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기체로부터 고체로 상 변화를 겪는 응축성 기체로부터 나타난다. 그러나 에어로젤 단열은 아주 큰 비표면적을 가지며, 초저온 온도로 냉각될 때 어느 정도의 기체를 흡착할 수 있다.
하나뿐인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순화된 단면도이며, 단열 공간이 이중벽 도관의 벽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중벽 파이프 또는 이중벽 탱크와 같은 임의의 이중벽 구조체 또는 용기에서의 사용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은 이중벽 파이프 또는 도관의 단면을 도시하며,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논의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열 공간(1)은 이중벽 도관(4)의 내벽(2) 및 외벽(3)에 의해 형성된 체적이다. 단열 공간(1)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섬유 유 리(fiberglass), 탄소 섬유(carbon fiber), 실리카 섬유(silica fiber),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섬유상 배팅(fibrous batting)과 결합된 에어로젤을 포함하는 블랭킷(blanket)과 같은 에어로젤 복합체의 형태일 수 있는 에어로젤(5)을 내장한다. 양호하게는 적어도 75%의 단열 공간 체적이 에어로젤 또는 에어로젤 복합체로 채워진다.
임의의 적절한 에어로젤이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다. 본발명의 실시에서의 양호한 에어로젤은 실리카 에어로젤이다. 에어로젤은 단일 블럭(monolithic block)으로서, 과립, 구슬, 또는 분말 미립자의 형태의 미립자로서, 또는 섬유상 배팅을 포함하는 복합 에어로젤 블랭킷으로서 생산될 수 있다. 젤 또는 에어로젤은 콜로이드 입자의 응집성의, 강성의, 연속적인 3차원 네트워크이다. 3차원 젤 미세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젤은 통상적으로 중화염이 결여된 때 산성인 조건에서 콜로이드 입자의 집합으로 인하여 생성된다. 응집성의 젤 미세구조가 유지되도록 초임계 건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젤이 건조되면, 즉 세공으로부터 액체가 제거되면, 저밀도 젤 또는 에어로젤이 형성된다. 에어로젤 생산을 위한 적절한 공정은 미국 특허 제3,122,520호에 기재되어 있다. 에어로젤 복합체 생산을 위한 적절한 공정은 미국 특허 제6,670,402호에 기재되어 있다. 에어로젤은 양호하게는 금속 산화 에어로젤이며, 구체적으로는 실리카 에어로젤이다. 에어로젤 입자는 임의의 적절한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양호하게는 약 0.05 g/cm.sup.3 내지 약 0.15 g/cm.sup.3이다. 또한 에어로젤 입자는 임의의 적당한 표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양호하게는 최소한 약 200 m.sup.2/g이다. 본원에서 기재된 표면적은 0.05 내지 0.25 atm의 범위에서 다섯개의 상이한 상대 압력에서 흡착된 질소의 양을 기초로 계산되었으며, 이는 그레그 에스. 제이. 및 싱 케이. 에스. 더블유.의 "흡착, 표면적 및 간극률" (Gregg, S. J., and Sing, K.S.W., "Adsorption, Surface Area and Porosity", P.285, Academic Press, New York (1991))에서 참조하는 BET 모델(Brunauer-Emmett-Teller model)에 따른 것이다.
에어로젤 입자는 예컨대 광학적 투과성, 극히 낮은 밀도 및 매우 낮은 열 전도성과 같은 매우 바람직한 특성을 가진다. 에어로젤 입자는 임의의 적절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모든 에어로젤 입자의 직경은 약 0.5 mm 또는 그 이상(예컨대, 약 1 mm 또는 그 이상)이다. 보다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모든 에어로젤 입자의 직경은 약 5 mm 또는 그 이하(예컨대, 0.5 또는 1 mm 내지 약 5 mm)이다. 에어로젤은 본 발명의 실시에서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에어로젤은 그 용도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 유리, 탄소 섬유, 실리카 또는 석영 섬유(quartz fiber)와 같은 섬유와 함께 혼합되어 블랭킷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이후, 복합 에어로젤/섬유 블랭킷은 파이프 주위에 일련의 층으로 단단히 감싸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통상적으로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연마된 금속인 저 방사율 물질의 얇은 시트를 삽입함으로써 복사 차폐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선택 사양의 두 번째 장점은 에어로젤이 현존하는 다중층(multi-layer) 단열을 적용 장치를 사용하여 감싸질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선택 사양은 에어로젤의 미립자 형태로 이중벽 공간을 채우는 것이다. 0.5 내지 5.0 mm 범위 크기의 다양한 분말, 과립 및 구슬이 이용 가능하다. 미립자로 단열 공간을 채우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수직으로 지향시켜 환형의 공간이 바닥부터 위로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성능에 좋지 않은 영항을 미칠 수 있는 빈 공간이 없도록 보장한다. 분말을 다루는 이용 가능한 수많은 방법들이 있다. 에어로젤을 전달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은 진공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미리 성형된 백(bag)내에 에어로젤을 패키지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백은 에어로젤로 채워지고 응축성 기체, 양호하게는 이산화탄소로 정화(purge)된다. 이후 백은 이상적으로는 1000 내지 10,000 미크론 범위의 압력으로 소기(evacuate)되고 밀봉된다. 주위 압력(ambient pressure)에서는, 백의 체적이 감소되어 단열 공간 내에 쉽게 끼워진다. 탱크, 트레일러 등과 같이 큰 단열 공간을 위해서는, 단열 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다수의 백이 사용될 수 있다. 도관과 같이 작은 단열 공간을 위해서는, 백은 단열 공간의 윤곽에 합치하는 껍질 형상으로 미리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젤이 패킹되면, 단열 공간은 여전히 응축성 기체로 정화되어야만 하고, 각 백의 내부 압력에 유사한 압력까지 소기될 것이다. 적절한 백 재료는 조립 공정이 지속되는 동안 진공이 유지될만큼 충분히 낮은 투과성을 갖춘 중합체 재료이다. 이러한 시스템과 함께, 단열 체적의 충분한 부분이 에어로젤을 내장한 백으로 채워져 백이 팽창할 때 빈 공간이 없도록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 번째 선택 사양은 에어로젤 복합체 블랭킷과 에어로젤 미립자의 사용을 결합하는 것이다. 모든 경우에서, 에어로젤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 형태 중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소수성 에어로젤 미립자는 그 구조를 잃지 않으면서 압축될 수 있고 낮은 물 함유량을 갖는다. 친수성 에어로젤은 덜 압축 가능하고, 물에 대한 높은 친화성을 가진다. 더욱이, 친수성 에어로젤은 순수 산소 내에서 비가연성이고, 따라서 이러한 사용에서 더욱 적합하다.
이중벽 공간을 밀봉하기 위하여, 단부는 용접되어야만 하고, 이로 인해 공간은 밀폐식으로 밀봉된다. 용접 공정의 고온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고온 에어로젤 블랭킷 또는 섬유 유리 물질이 용접부 주변에 사용되어야만 한다. 이중벽 도관을 제작할 때, 외측 파이프에 대한 내측 파이프의 차등 팽창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팽창 벨로우즈(bellows)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벨로우즈가 공정 압력보다는 진공 압력에 노출되는 경우 때문에, 때때로 외피(jacket)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배치의 큰 단점은 작동 온도에서 외피의 길이가 감소되고 파이프 지지 시스템은 이러한 움직임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비록 벨로우즈가 환경적 및 기계적 손상에 노출될지라도, 실패의 결과는 결국 진공의 손실로 한정된다. 차등 열 팽창을 허용하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은 내측 또는 외측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가요성 호스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다.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은 정화된다. 양호하게는 제조과정에서 남겨진 에어로젤 물질 내의 어떠한 수분 또는 중질 탄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처음에는 진공 펌프가 단열 공간을 1000 내지 10000 미크론 Hg 범위 내의 압력까지 소기한다. 이후,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은 적어도 한차례의 여압과 적어도 한차례의 감압을 겪게 되며, 이러한 여압은 이산화탄소 기체와 같은 응축성 기체, 즉 적어도 99.5 몰 퍼센트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유체를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응축성 기체는 N2O, R-134a, 질소, 산소 및 아르곤을 포함한다. 여압 단계는 외벽의 압력 등급(pressure rating)만큼 높을 수 있다. 감압 단계는 1 기압만큼 높거나 10 미크론 만큼 낮을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1000 내지 10000 미크론 범위 내일 것이다. 양호하게는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은 최소한 두 번의 이러한 사이클을 겪고 약 10번 까지의 이러한 사이클을 겪을 수 있다. 양호하게는, 마지막 감압 이후의 단열 공간의 최종 압력은 1000 내지 10000 미크론 범위 내이다.
적어도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의 일 벽, 양호하게는 내벽만이 190 K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된다. 양호하게는, 이러한 냉각은 도면에 도시된 액체(6)와 같은 초저온 액체를 이중벽 용기로 제공함으로써 수행된다. 적절한 초저온 액체는 액체 질소, 액체 산소, 액체 아르곤, 액화천연기체, 액체 헬륨 및 액체 수소를 포함한다.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 내의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그리고 이중벽 구조체의 적어도 일 벽 또는 내측 표면이 필수 온도(requisite temperature)로 냉각될 때, 추가적인 압력 감소가 발생한다.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은 양호하게는 소정의 최종 압력(통상적으로 1-5 미크론)에서의 응축성 기체의 어는점 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된다. 냉각동안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 내의 온도는 떨어진다. 이중벽 구조체의 벽 또는 표면이 우세 압력(prevailing pressure)에서의 응축성 기체의 어는점 또는 그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되면, 예컨대 이산화탄소와 같은 응축성 기체는 내측 표면으로 유입되고 결빙되어 단열 공간 내의 압력을 더 감소시킬 것이다. 에어로젤, 블랭킷, 그리고 만약 있다면 임의의 게터(getter)는 시간이 지나며 발생하는 누출되는 어떤 것을 제거함은 물론 단열 공간의 최초의 진공 강도를 증가시키며, 응축성 기체 및 비응축성 기체를 흡착할 것이다.
작동동안, 진공 공간 내의 작은 모세관 또는 다른 개구를 통해 누설, 진공 공간에 노출된 물질로부터의 배기, 및/또는 진공 공간의 벽을 통한 기체의 침투로 인하여 단열 공간 내의 압력이 오르는 것은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종래의 진공 단열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1 내지 10 미크론의 범위의 진공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로젤 진공 시스템은 10 내지 10000 미크론의 범위 내에서 여전히 효과적이며, 효과적인지는 비진공 발포 타입의 단열보다 낮은 열 누출을 갖는지로 정의된다. 에어로젤 진공 시스템을 위한 허용 작업 압력이 종래 진공 단열보다 높기 때문에, 단열 성능의 큰 손실이 발생하기 전에 심각한 누출을 견딜 수 있다.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 내의 압력이 충분히 낮도록 보장하는 정교한 조치가 취해질 필요가 없다는 것은 본 발명의 중요한 일 태양이다. 장치를 제조하는 비용이 감소 되므로, 이는 경제적인 이득으로 귀결된다.
초저온 액체의 저장 및 전달에 사용되는 다양한 타입의 단열은 (1) 진공, (2) 다중층 단열, (3) 분말 및 섬유상 단열(fibrous insulation), (4) 발포 단열, (5)특수 용도 단열인 5가지 범주로 알맞게 나뉜다. 이러한 일반적인 범주간의 경계는 결코 구별되지 않는다. 예컨대, 분말 단열은 기체를 내장하거나 또는 기체가 소기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서는 진공 단열과 매우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 그 러나 이런 분류 방식은 초저온 단열의 광범위하게 다양한 타입이 논의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이러한 다양한 단열을 통한 열전달은 여러 상이한 메카니즘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고체 전도, 기체 전도 및 대류, 및 복사를 포함한다. 모든 단열의 목적은 이런 다양한 메카니즘에 의한 합쳐진 열전달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런 열전달 모드 전부를 통합하여 실험적으로 측정한 단열의 겉보기 열 전도도(apparent thermal conductivity)는 상이한 단열 타입과 비교하는 최상의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의 단열 공간은 10 미크론 보다 큰 압력에서 3 mW/mK보다 적은 겉보기 열 전도도를 갖는다.
도관을 위한 다양한 기계적 설계가 있으며, 이는 내측 튜브상의 벨로우즈와, 외측 튜브상의 벨로우즈와, 각 부분의 단부에 벨로우즈를 포함한다. 가요성 도관도 이용 가능하다. 에어로젤 블랭킷은 후자에 통합하기 적절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서, 분자체 물질(molecular sieve material)을 양호하게는 내벽에 가능한 최대로 근접시키며 결합시켜 대기로부터 누출될 수 있는 불필요한 산소와 질소 및/또는 단열 공간으로 누출될 수 있는 초저온 유체를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에어로젤은 매우 큰 비표면적을 가지며, 초저온 온도로 냉각될 때 질소와 산소와 같은 불필요한 기체를 어느 정도 흡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게터 및 분자체와 같이 진공을 보장하는데 종래에 사용되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사 차폐물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자세히 기재되었지만, 당업 자는 청구 범위의 사상과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17)

  1. 에어로젤을 내장하며 내벽 및 외벽에 의해 형성된 단열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에 한번 이상의 여압 과정과 한번 이상의 감압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의 하나 이상의 벽을 190K 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여압 과정은 상기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에 응축성 기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간이 이중벽 도관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있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간이 이중벽 탱크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있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은 에어로젤 블랭킷 형태인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 블랭킷은 섬유상 배팅(fibrous batting)과 결합된 에어로젤을 포함하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은 미립자 형태인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이 백에 담겨 상기 단열 공간에 제공되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성 기체가 이산화탄소인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에 두 번 이상의 여압 및 감압 사이클이 수행되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은 초저온 액체로부터의 냉각에 의해 냉각되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은 분자체를 더 포함하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은 게터(getter)를 더 포함하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 내장 단열 공간은 복사 차폐물을 더 포함하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은 실리카 에어로젤을 포함하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전의 상기 단열 공간은 1000 내지 10000 미크론 범위의 압력을 갖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간은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여압 전에 소기되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간은 10 미크론 보다 큰 압력에서 3 mW/mK보다 작은 겉보기 열 전도도를 갖는 초저온 단열 시스템 구축법.
KR1020087023025A 2006-03-23 2007-03-12 초저온 에어로젤 단열 시스템 KR101370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86,677 US7562534B2 (en) 2006-03-23 2006-03-23 Cryogenic aerogel insulation system
US11/386,677 2006-03-23
PCT/US2007/006268 WO2008054474A2 (en) 2006-03-23 2007-03-12 Cryogenic aerogel insul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033A true KR20080113033A (ko) 2008-12-26
KR101370740B1 KR101370740B1 (ko) 2014-03-06

Family

ID=3853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025A KR101370740B1 (ko) 2006-03-23 2007-03-12 초저온 에어로젤 단열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62534B2 (ko)
EP (1) EP1996854B1 (ko)
KR (1) KR101370740B1 (ko)
CN (1) CN101405533B (ko)
BR (1) BRPI0708415B1 (ko)
CA (1) CA2646292C (ko)
DE (1) DE602007001597D1 (ko)
ES (1) ES2331493T3 (ko)
TW (1) TWI401384B (ko)
WO (1) WO20080544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7541B2 (en) * 2006-08-18 2011-08-16 Kellogg Brown & Roo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 pipe
US8505857B2 (en) 2006-08-18 2013-08-13 Kellogg Brown & Roo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 pipe
US7854236B2 (en) * 2007-06-19 2010-12-21 Praxair Technology, Inc. Vacuum insulated piping assembly method
DE102007032020A1 (de) * 2007-07-10 2009-01-15 Linde Ag Speicherbehälter
US20100146992A1 (en) * 2008-12-10 2010-06-17 Miller Thomas M Insula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of cryogenic fluids
US9678025B1 (en) 2009-06-12 2017-06-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Guarded flat plate cryogenic test apparatus and calorimeter
US10656109B1 (en) 2009-06-12 2020-05-19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sa Cup cryostat thermal conductivity analyzer
US8628238B2 (en) * 2009-06-12 2014-01-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Insulation test cryostat with lift mechanism
JP5503929B2 (ja) * 2009-09-16 2014-05-2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超電導回転機の冷媒給排装置、該冷媒給排装置を具備する超電導回転機
DK2339593T3 (da) * 2009-12-16 2012-03-05 Nexans Superledende kablesystem
US10160655B2 (en) 2014-05-15 2018-12-25 Tahoe Technolog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packaging of high performance thermal insulator aerogels
DE202014006236U1 (de) * 2014-07-31 2015-11-06 Christof Schulte-Göbel Isolierung für mit Heißgas in Berührung kommende Teile einer Schmalflächenbeschich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chlauch- oder rohrförmige Führungen für Heißgas
JP6619551B2 (ja) * 2014-09-30 2019-12-1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低温流体用二重構造管及び低温流体用二重構造貯槽
EP3490954B1 (de) 2016-07-29 2020-02-12 Evonik Operation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ydrophobe kieselsäure enthaltenden wärmedämmenden materials
KR101863655B1 (ko) 2016-10-18 2018-07-16 주식회사 에어로젤코리아 에어로젤 제조장치
JP6865282B2 (ja) * 2016-12-29 2021-04-28 レール・リキード−ソシエテ・アノニム・プール・レテュード・エ・レ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セデ・ジョルジュ・クロード 極低温状態下で真空断熱を確立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装置
US11565974B2 (en) 2017-01-18 2023-01-31 Evonik Operations Gmbh Granular thermal insulation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E102017209782A1 (de) * 2017-06-09 2018-12-13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Wärmedämmung eines evakuierbaren Behälters
US10480189B2 (en) * 2017-11-06 2019-11-19 Johns Manville Aerogel containing construction board
US10782200B2 (en) * 2018-06-27 2020-09-22 Mks Instrumen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mal insulation of high-temperature pressure sensors
EP3597615A1 (en) 2018-07-17 2020-01-22 Evonik Operations GmbH Granular mixed oxide material and thermal insulating composition on its basis
KR102576553B1 (ko) 2018-07-18 2023-09-08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주위 압력에서 실리카를 기재로 하는 절연-재료 성형체를 소수성화시키는 방법
US11047517B2 (en) * 2018-10-31 2021-06-29 Praxair Technology, Inc. Modular vacuum insulated piping
CN115654357A (zh) * 2022-12-08 2023-01-31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超高速空气动力研究所 具有液氮夹套的高超声速高温风洞高压液氧储罐及其用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2520A (en) * 1959-10-05 1964-02-25 Dow Corning Method of making silicone rubber fillers
US3812886A (en) * 1972-07-05 1974-05-28 Midwesco Enterprise Inc Cryogenic insulation
DE3108816A1 (de) * 1981-03-09 1982-09-30 Grünzweig + Hartmann und Glasfaser AG, 6700 Ludwigshafen Waermedaemmender pressstoff auf der basis von aus der flammenhydrolyse gewonnenem mikroporoesem oxidaerogel,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eine daraus hergestellte folie und ein damit hergestelltes kaschiertes waermedaemmelement
US4606196A (en) * 1984-12-19 1986-08-19 Union Carbide Corporation Vacuum insulation system
US4924679A (en) * 1989-10-02 1990-05-15 Zwick Energy Research Organiza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vacuating an insulated cryogenic hose
US5386706A (en) * 1993-06-10 1995-02-07 Praxair Technology, Inc. Low heat-leak, coherent-aerogel, cryogenic system
AU7720596A (en) * 1995-11-09 1997-05-29 Aspen Systems, Inc. Flexible aerogel superinsulation and its manufacture
US6010762A (en) * 1998-01-15 2000-01-04 Cabot Corporation Self-evacuating vacuum insulation panels
US6216745B1 (en) * 1998-10-28 2001-04-17 Mve, Inc. Vacuum insulated pipe
US6257282B1 (en) * 1998-10-28 2001-07-10 Mve, Inc. Vacuum insulated pipe
US6967051B1 (en) * 1999-04-29 2005-11-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Thermal insulation systems
WO2001028675A1 (en) * 1999-10-21 2001-04-26 Aspen Systems, Inc. Rapid aerogel production process
DE10114633A1 (de) 2001-03-23 2002-09-26 Va Q Tec Ag Vakuumdämmvorrichtung mit integrierten Vakuumisolationsplatten
FR2825135A1 (fr) * 2001-05-22 2002-11-29 Lockheed Corp Systeme embarque de stockage de gaz et d'alimentation en gaz
US6598283B2 (en) * 2001-12-21 2003-07-29 Cabot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aerogel-containing insulation article
ATE468517T1 (de) 2002-12-19 2010-06-15 Messer Group Gmbh Isolierbehälter
DE10259553A1 (de) 2002-12-19 2004-07-15 Messer Griesheim Gmbh Kältegerät
DE10259551A1 (de) 2002-12-19 2004-07-15 Messer Griesheim Gmbh Isolierbehälter
US7305837B2 (en) * 2004-09-16 2007-12-11 Praxair Technology, Inc. Cryogenic pip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6854B1 (en) 2009-07-15
CN101405533B (zh) 2013-01-02
CA2646292A1 (en) 2008-05-08
ES2331493T3 (es) 2010-01-05
EP1996854A2 (en) 2008-12-03
US7562534B2 (en) 2009-07-21
WO2008054474A2 (en) 2008-05-08
CN101405533A (zh) 2009-04-08
DE602007001597D1 (de) 2009-08-27
BRPI0708415B1 (pt) 2019-03-19
BRPI0708415A2 (pt) 2011-05-31
WO2008054474A3 (en) 2008-06-26
KR101370740B1 (ko) 2014-03-06
TW200804715A (en) 2008-01-16
US20070220904A1 (en) 2007-09-27
CA2646292C (en) 2011-01-25
TWI401384B (zh)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740B1 (ko) 초저온 에어로젤 단열 시스템
CN100538151C (zh) 低温管道系统
JP4303674B2 (ja) 断熱用ブロック及び低温貯蔵庫
WO2003072684A1 (en) Microsphere insulation systems
KR100591466B1 (ko) 튜브 본체를 단열시키기 위한 시스템
US6598283B2 (en) Method of preparing aerogel-containing insulation article
US4417382A (en) Method of thermally insulating vessels
US20100146992A1 (en) Insula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of cryogenic fluids
EP0629810A1 (en) Low heat-leak, coherent-aerogel, cryogenic system
KR20080028905A (ko) 절연 배관 및 그 제조 방법
US4606196A (en) Vacuum insulation system
US4667390A (en) Vacuum insulation system method of manufacture
US7337811B1 (en) Pressurized hydrogen storage system
CN114017507B (zh) 一种用于液氦液氢的真空低温阀
JPH09264490A (ja) 超断熱パネ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02502559A (ja) 低温ソープションポンプ
RU2686646C1 (ru) Криогенный трубопровод
RU2318156C1 (ru)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й криогенный бак
WO2008133608A1 (en) Pressurized hydrogen storage system
Allen et al. Microsphere insulation systems
JP4119420B2 (ja) 二重殻低温貯蔵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