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103A - System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and method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b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and method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b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103A
KR20080112103A KR1020080046427A KR20080046427A KR20080112103A KR 20080112103 A KR20080112103 A KR 20080112103A KR 1020080046427 A KR1020080046427 A KR 1020080046427A KR 20080046427 A KR20080046427 A KR 20080046427A KR 20080112103 A KR20080112103 A KR 20080112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shelf
rfid
book
library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4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원
손영전
Original Assignee
세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112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1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ookshelves of a library are provided to prevent the reading collision and transmission collision of tag data between RFID readers by performing the reading of tag data attached to books according to scheduling. A system for managing bookshelves of a library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RFID antennas(32) and at least one or more RFID readers(33). The RFID antennas detect tag data from at least one or more RFID tags(31) adhered to books. The RFID readers are adhered to each bookcase in which the books are arranged to read the tag data sensed through the RFID antennas according to a reading schedule. The RFID readers transmit the read data to a central control center(35).

Description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서관 책장관리 방법{SYSTEM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AND METHOD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BY USING THE SAME}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and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SYSTEM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AND METHOD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서관 책장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고, 도서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서관 책장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and a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ximize space utilization and reduce book search time, and a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현재 도서관의 서고관리는 폐쇄형 열람실 구조로 어떠한 네트워크 환경도 갖추고 있지 않다. 서스(SUS) 재질로 된 책장에 도서들이 단순히 진열되어 있는 수준으로 일일이 찾아서 대여를 해야 하는 관계로 대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다. Currently, the library's library management is a closed reading room structure and does not have any network environment. Books are made of sus (SUS) material, so books are simply displayed on a level, so you have to find and rent one by one.

또한 사용자가 각 책장들에서 도서들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각 책장 사이가 충분히 이격되어야 하므로 일정한 공간을 낭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for a user to withdraw books from each bookshelf, there is a problem that a certain space must be wasted because spaces are sufficiently spaced between the bookshelves.

이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고, 도서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n,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and reduce the book search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책장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okcas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described abov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리더를 포함한다. 상기 RFID 안테나는 도서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데이터들을 감지한다. 상기 RFID 리더는 상기 도서가 배치된 책장에 부착되어, 상기 RFID 안테나를 통해 감지된 태그데이터들을 리딩 스케쥴에 따라 리딩하고, 리딩된 태그데이터들을 중앙관제센터에 제공한다.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RFID antenna and at least one RFID reader. The RFID antenna detects tag data from an RFID tag attached to a book. The RFID reader is attached to a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disposed, reads tag data detected through the RFID antenna according to a reading schedule, and provides the read tag data to a central control cent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은 상기 도서가 배치된 책장에 부착되어, 상기 RFID 리더를 통해 상기 책장의 각 선반들에 배치된 도서의 이동이 확인됨에 따라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중앙관제센서와 통신하는 지그비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is attached to the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disposed, and the central control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s the movement of the book placed on each shelf of the bookshelf through the RFID reader is confirmed It may further comprise a Zigbee antenna in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본 실시예에서, 상기 RFID 리더는 유선통신망 및 무선통신망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데이터를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FID reader may provide the tag data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using at least one of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서 대출도서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고, 도서가 상기 책장에서 인출됨에 따라 올바른 도서의 선택인지를 관리자측에 알려주는 정보표시용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acquires and displays loan book information at the central control center, and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display monitor for informing the manager whether a book is selected as the book is withdrawn from the bookshelf. It may inclu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책장은 전동책장이다. 여기서, 상기 전동책장은 레일을 따라 상기 책장의 도서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책장은 레일을 따라 상기 책장의 도서 인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전동책장에는 책장관리자의 이동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동책장에는 상기 책장에 형성된 각 칸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원하는 도서가 포함된 칸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ookcase is an electric bookcase. Here, the electric bookcase may move in the book extraction direction of the bookcase along the rail. In addition, the bookcase may move along a rai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ok extraction direction of the bookcase. The electric bookcase may be further attached with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bookcase manager. The electric bookcase may further include an indicator attached to a specific position of each compartment formed in the bookcase to indicate a compartment containing a desired book.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은 상기 도서가 배치된 책장에 부착되어, 감지된 온도를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제공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he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disposed, and providing a sensed temperature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은 상기 도서가 배치된 책장에 부착되어, 감지된 습도를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제공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humidity sensor attached to the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disposed, and providing the detected humidity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태그데이터의 리딩을 수행할 현재 RFID 리더에 리딩 명령을 제공하고, 그의 응답에 따라 해당 RFID 리더로부터 태그데이터들을 제공받는 서가 서버와, 상기 태그데이터들을 제공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태그데이터를 도서관 DB 서버에 제공하는 서가 DB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가 서버는 리딩을 수행할 현재 RFID 리더의 정보를 읽어 현재 RFID 리더에 태 그데이터의 리딩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ral control center provides a reading command to the current RFID reader to perform the reading of the tag data, and receives the tag data from the shelf server receiving the tag data from the RFID reader according to the response. It may include a shelf DB server for storing and providing the stored tag data to the library DB server. Here, the shelf server reads the information of the current RFID reader to perform reading and transmits a reading command of tag data to the current RFID reader.

일례로, 상기 서가 서버는 상기 RFID 리더의 동작 순서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okshelf server may adjust an operation order of the RFID reader.

다른 예로, 상기 서가 서버는 상기 RFID 리더의 동작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helf server may adjust the operation time of the RFID read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은 대여도서 보관대를 갖는 전동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카트는 안테나, 정보표시용 모니터 및 RFID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대여도서 보관대에 배치된다. 상기 정보표시용 모니터는 무선통신 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중앙관제센터에서 제공되는 대출 도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RFID 리더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태그데이터를 리딩하여 상기 정보표시용 모니터에 제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 cart having a rental book storage. The electric cart may include an antenna, an information display monitor, and an RFID reader. The antenna is disposed in the rental book storage. The information display monitor is install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displays loan book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The RFID reader reads tag data through the antenna and provides the tag data to the information display monitor.

이러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서관 책장관리 방법에 의하면, 도서 검색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동 책장의 사용으로 인해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도서에 부착된 태그데이터를 리딩할 때 스케쥴링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RFID 리더간의 리딩 충돌 및 태그데이터의 전송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and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ook search tim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due to the use of electric bookshelf. In addition, since the scheduling is performed when reading tag data attached to the book,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eading conflict between RFID readers and a transmission conflict of tag data.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 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를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is made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등의 표현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위, 상, 상부 또는 아래, 하부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중첩은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이 서로 공통된 중심을 갖고 겹쳐져 있는 형상을 나타내고,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 사이에 다른 구조물이 개재한 경우를 포함하며,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중 어느 하나의 구조물은 다른 구조물에 완전히 겹쳐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다른 정의가 없다면,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s. As used herein, the expressions of include, and / or include, etc., may refer to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in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mentioned. I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it. Also referred to herein as above, above, above, or below, below includes intervening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he overlap as used herein refers to a shape in which the lower structure and the upper structure have a common center and overlap each other, and include a case where another structure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tructure and the upper structure, and any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One structure is meant to completely overlap another structure.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nother definition for a term used herein, all terms used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 will be.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서 채택될 수 있는 책장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bookcase that may be adopted in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100)은 유무선통신 단말시스템(110), 코디네이터와 상위 네트워크(120), RFID모바일인식기(130), 책장(140), 지휘부의 전산시스템(150) 및 RFID 리더(160)를 포함한다.1 and 2,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110, the coordinator and the upper network 120, RFID mobile recognizer 130, bookshelf 140, commander The computer system 150 and the RFID reader 160 of the.

현행 도서를 구분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태그의 주파수는 13.56MHz대역이나, 900MHz대역을 주파수를 이용하는 태그도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해당 주파수에 대응하는 RFID 리더(160)가 사용된다. 상기 RFID 리더(160)는 태그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도서 등의 물품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개별의 도서를 구분해주는 태그와 유무선통신을 한다. 상기 RFID 리더(160)는 책장(140)의 각 칸(141)에 배치되며, 상기 책장(140)의 칸막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대체할 수 있다. The frequency of the tag mainly used to distinguish the current book is 13.56MHz band, but tags using the frequency of 900MHz band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ly, the RFID reader 160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is used. The RFID reader 160 is attached to a specific position of an article such as a book, in which tag data is recorded, and perform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ag that distinguishes individual books. The RFID reader 160 may be disposed in each compartment 141 of the bookcase 140, and may replace a part or the whole of the partition of the bookcase 140.

상기 RFID 리더(160)는 상기 유무선통신 단말 시스템(110) 및 코디네이터와 상위 네트워크(120)를 통해서 상기 지휘부 전산시스템(150)과 통신한다.The RFID reader 160 communicates with the command computer system 15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110, the coordinator, and the upper network 120.

상기 유무선통신 단말 시스템(110)은 도서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는 상기 RFID 리더(160)를 코디네이터와 상위 네트워크(120)와 중계한다. 상기 유무선통신 단말 시스템(110)은 책장에 부착된 알림창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110 relays the RFID reader 160 with the coordinator and the upper network 120 to read information from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book.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110 may include a notification window attached to a bookcase.

사서 등의 작업자는 작업중에 상기 RFID 모바일 단말기(130)와 헤드셋(도시 안됨)을 통해서 상기 지휘부 전산시스템(150)과의 실시간 대화를 하며 작업을 진행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무선통신은 유선통신 외에도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W-LAN 등 이 가능하다.A worker such as a librarian may perform a real time conversation with the command computer system 150 through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and a headset (not shown) during the operation. Here,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Zigbee or Bluetooth, W-LAN, etc. in addition to wired communication.

상기 RFID 모바일 단말기(130)는 상기 코디네이터와 상위네트워크(12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책장(140)에 부착된 상기 유무선통신 시스템(110)과도 통신 할 수 있다. 예컨대, 원거리에 있을 때는 상기 코디네이터와 상위네트워크(120)를 통해서, 상기 유무선통신 시스템(110)과 통신하고, 근거리에 있을 때는 상기 유무선통신 시스템(110)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The RFID mobile terminal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coordinator and the upper network 120, and may also communicate wit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10 attached to the bookshelf 14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10 through the coordinator and the upper network 120 when it is at a long distance, and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10 when it is near.

예컨대, 지그비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웍을 구성하면, 유무선 네트웍의 강점인 배열구조 변경 등이 발생하는 경우, 비용 및 시간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책장을 24시간 전원을 켜 놓을 필요가 없이 도 2에서 도시된 카트(220) 또는 RFID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사람이 가까이 다가가는 책장(140)에 설치된 알림창(도시 안됨) 1 곳만 전력을 소모하게 되므로, 나머지시스템은 절전모드 등으로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원 절감효과가 크다. For example, if the network is configured using ZigBee technology, when the arrangement structure, which is the strength of the wired / wireless network, occurs, the cost and time can be minimized, and the bookshelf does not need to be turned on for 24 hours. Since only one notification window (not shown) installed in the bookshelf 140 near the person carrying the cart 220 or the RFID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 consumes power, the rest of the system can be minimized to a power saving mode, etc. Power saving effect is big.

상기 책장(140)은 책꽂이 하단에 바퀴를 달아서 움직일 수 있다. 책장(140)은 랙(rack)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랙이란 21세기형 선진물류보관 시스템으로 한정된 공간의 최대 활용과 효율적인 저장보관, 입출고, 재고관리 등을 가장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물류보관 시스템이다. 초기의 시설투자비가 소요되지만, 계속적인 사용과 시스템의 능률성을 고려하면 그 매우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랙의 종류로는 그 사용용도에 따라 하이랙, 팔레트랙, 적층랙, 드라이브인랙, 암랙, 스라이딩 랙, 매장랙, 서가형 모빌랙, 전동모빌랙, 행거랙, 금형적채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랙의 가장 큰 장점으로 조립 해체가 가능하여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번 설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장소를 바꾸어가며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책장(140)을 활용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 bookcase 140 may move by attaching a wheel to the bottom of the bookshelf. Bookshelf 140 may be implemented using a rack (rack). Rack is a 21st century advanced logistics storage system, which is a logistics storage system that makes the most efficient use of limited space and efficient storage, receipt, inventory management, etc. Although the initial capital investment is required, the system is very efficient considering the continuous use and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There are various kinds of racks such as high rack, pallet rack, laminated rack, drive in rack, arm rack, sliding rack, burial rack, bookshelf mobile rack, electric mobile rack, hanger rack, mold rack, etc. have. The biggest advantage of the rack is that it can be disassembled and moved. You can move from place to place, not just once. As such, utilizing the bookcase 140 may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pace.

도 2에서는 예컨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이동할 수 있는 책장(140)을 도시하고 있으나, 바닥면에 고정된 개방형 서가의 책장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책장(140)의 자체의 이동을 제외한 일체의 기능은 동일하다.In Figure 2, for example,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the movable bookcase 140 is shown, it may be a bookshelf of an open bookcas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in this case, except the movement of the bookcase 140 itself All functions are the same.

상기 칸(141) 안에는 온/습도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습도 센서는 해당 칸(141)의 온도 및 습도 상황을 전송하여 책 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이러한 온/습도 센서는 온습도에 예민한 고서 등과 같은 중요 책의 관리에 용이할 뿐 아니라 화재 발생시에도 다수의 센서를 통해 조기 검출이 가능하다.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compartment 141.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transmit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of the compartment 141 to ensure perfect book management. Such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is not only easy to manage important books such as old books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humidity, but also can be detected early through a number of sensors in case of fire.

상기 책장(140)은 상기 유무선통신 단말시스템(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통신 단말시스템(110)은 상기 책장(140)에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되며, 상기 책장(140)의 측면에 부착된 알림창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okshelf 140 may supply power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110.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110 is operated by the power supplied to the bookshelf 140, and may include a notification window system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ookshelf 140.

해당 책을 꺼내서 카트(220)에 넣으면 이 또한 책장(140) 측면에 부착된 알림창 시스템과 RFID 모바일 단말기(130)로 이 상황이 표시되며, 지휘부 전산시스템(150)에 상기 상황이 실시간 업데이트된다. When the book is taken out and put in the cart 220, this situation is also displayed by the notification window system and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ookshelf 140, and the situation is updated in real time in the command computer system 150.

카트(220)를 가지고 상기 책장(140)에 접근하는 경우, 지그비를 이용하여, 해당 알림창(도시 안됨)과 상기 RFID 모바일 단말기(130)가 웨이크업(wake up)되어, 전동서가(140)들이 동작을 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When accessing the bookshelf 140 with the cart 220, using a Zigbee, the notification window (not shown) and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wakes up (wake up), the electric bills 140 You can also implement a working system.

상기 인디케이터(230)와 유선 또는 지그비로 구성되어 있어, 왼쪽 측면의 알 림창 시스템(도시 안됨)과의 통신을 통해 동작을 제어한다.Consists of the indicator 230 and the wire or ZigBee, and controls the oper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notification window system (not shown) on the left side.

상기 책장(140)에서 상기 카트(220)로 또는 반대로의 책의 위치변경시 이의 변경 사항의 표시도 지원할 수 있다.When the book position is changed from the bookshelf 140 to the cart 220 or vice versa, the display of the change may be supported.

상기 RFID 모바일 단말기(130)는 작업자가 특정 책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RFID 모바일 단말기(130)는 작업자가 직접 운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카트(220) 상부에 형성된 거치대에 놓여져 운반될 수도 있다. 작업 대상 책장(140)의 위치를 거치대에 놓여진 RFID 모바일 단말기(130)의 화면 또는 카트(220) 상단에 거치된 알림창(도시 안됨) 통해 안내할 수 있으며 책장이 규모가 큰 경우는, 카트(220)를 몰고 해당 칸에 가서, RFID 모바일 단말기(130)로 책의 특정 위치에 붙어 있는 태그를 훑어 읽어서 일치되는 책 발견시 화면에 알림 표시를 해서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may help an operator find a specific book.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may be directly transported by a worker, or may be placed on a cradle formed on the cart 220. The position of the work subject bookshelf 140 can be guided through a screen of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placed on the holder or a notification window (not shown) mounted on the top of the cart 220, and when the bookshelf is large, the cart 220 can be used. Drive to go to the corresponding column,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can be configured to search by reading the tag attached to a specific location of the book to find a notice on the screen when a matching book is found.

작업중에 RFID 모바일 단말기(130)와 헤드셋(도시 안됨)을 통해서 지휘부 전산시스템(150)과의 실시간 대화를 하며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이 때 유무선통신은 LAN 등과 같은 유선통신 외에도 지그비, 블루투스, W-LAN 등과 같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During the operation, the mobile terminal 130 and the headset (not shown) can communicate with the command computer system 150 in real time and proceed with the operation. In this cas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o wired communication such as LAN, Zigbee, Bluetooth, W.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LAN is possible.

책장(140)의 알림판 또는 카트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정보가 제공 가능하고, 카트(220)를 사용하지 않는 특수한 상황에서도 단독으로 동작하여 해당 책이 놓여있는 책장(140)을 표시해주고, 찾아가서 해당 책장(140)을 열고 인디케이터(230)가 표시된 위치의 책을 찾아 갈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Al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notice board of the bookshelf 140 or the screen of the cart can be provided, and operates alone in a special situation without using the cart 220 to display the bookshelf 140 on which the book is placed, and find Go and open the bookshelf 140, the indicator 230 has a function to go to the book of the displayed position.

상기 카트(220)는 서고 관리자가 대여나 반납 등을 위해 몰고 다닌다. RFID 모바일 단말기(130)와 카트(220)의 모니터가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카트(220)를 몰고 해당 칸에 가서, 화면의 이벤트를 보고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The cart 220 is driven by the library manager for rental or return.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and the monitor of the cart 220 may be used in conjunction. Drive the cart 220 and go to the corresponding column, it can be configured to view and find the event on the screen.

상기 카트(220)의 책을 넣는 입구에는 RFID 안테나(도시 안됨)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책장(140)에서 상기 카트(220)로 책을 넣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책을 빼는 등의 이벤트 발생시 변동 내역을 측면 알림창시스템에 표시한다.An RFID antenna (not shown)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cart 220 to insert a book, and details of changes when an event such as a book is inserted from the bookshelf 140 into the cart 220 or a book is re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displayed on the side notification system.

해당 책을 꺼내서 상기 카트(220)에 넣으면, 이 또한 상기 책장(140) 측면의 알림창과 RFID 모바일 단말기(130)로 이 상황이 표시되며, 서가 DB시스템과 실시간 업데이트된다. 작업중에 RFID 모바일 단말기(130)와 헤드셋을 통해서 지휘부 전산 시스템(150)과의 실시간 대화를 하며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무선통신은 LAN 등과 같은 유선통신 외에도 지그비, 블루투스, W-LAN 등과 같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When the book is taken out and put in the cart 220, this situation is also displayed in the notification window and RFID mobile terminal 130 on the side of the bookshelf 140, and is updated in real time with the bookshelf DB system. In operation,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and the headset through the real-time conversation with the command computer system 150 may be in progress. Here,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Bluetooth, W-LAN in addition to wired communication such as LAN.

상기 카트(220)를 가지고 책장(140)에 접근하는 경우, 지그비를 이용하여, 해당 알림창과 상기 RFID 리더(160)가 웨이크업 되어 동작을 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When the bookshelf 140 is approached with the cart 220, a system that wakes up the corresponding notification window and the RFID reader 160 may be implemented using Zigbee.

상기 카트(220)를 몰고 해당 책장(140)에 가서 자동으로 상기 책장(140)이 열리는 경우(전동책장의 경우), 찾는 책과 일치되는 책의 칸에 알림 표시를 해서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다. 이때, 잘못된 책을 꺼내는 경우 책장(140)의 인디케이터(230)에서 다른 색깔의 램프가 발광함으로써 이를 알려주어, 오동작을 시각적으로 방지하게 해줄 수 있다.When driving the cart 220 and go to the bookshelf 140 automatically when the bookshelf 140 is opened (in the case of an electric bookshelf), it can be configured to be found by placing a notice mark in the box of the book matching the book to find have. In this case, when the wrong book is taken out, the indicator 230 of the bookshelf 140 emits light of a different color, so that it can be visually prevented from malfunctioning.

상기 지휘부 전산시스템(150)은 책의 검색, 변동현황을 파악하고 상기 RFID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요구되는 자료를 상기 RFID모바일 단말기(130)에 송부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전산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때, 예정된 책이 아닌 잘못된 책을 꺼내는 경우 인디케이터가 다른 색깔 등을 띠어서 이를 알려준다. 해당 책을 꺼내서 카트(220)에 넣으면 이 또한 책장(140) 측면의 알림창과 RFID 모바일 단말기(130)로 이 상황이 표시되며, 지휘부 전산시스템(150)에 실시간 업데이트된다The command computer system 150 is configured with a computer system that functions to detect the search, the current status of the book and to send the data required from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to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In this case, when the wrong book is taken out instead of the scheduled book, the indicator shows a different color. If you take out the book and put it in the cart 220, this situation is also displayed in the notification window on the side of the bookshelf 140 and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and is updated in real time on the command computer system 150

사용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usage example is as follows.

서고관리자는 해당 층 입구에 들어서면 고객으로부터 대여를 요청 받은 리스트의 책이 들어있는 해당 층과 위치가 자동으로 표시되고, 최단거리의 동선이 카트(220)에 설치된 모니터나 RFID 모바일 단말기(130)로 표시되며, 순서대로 카트(220)를 몰고 다니면서 업무수행이 가능하다. 여기서, 첫번째로 작업할 해당 책장(140) 상단의 측면의 알림창시스템에 불이 들어와서, 헤매지 않고 해당 책장(140)으로 찾아갈 수 있다.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서는 이 과정을 완전자동화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When the library manager enters the entrance of the floor, the floor and the location of the book containing the list of books requested by the customer are automatically displayed, and the shortest distance is installed on the cart 220, or the monitor or RFID mobile terminal 130 is installed. It is shown as, the cart 220 in order to carry out the work can be carried out. 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window system on th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ookcase 140 to be worked on first turns on, and can go to the bookcase 140 without being lost.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it may be possible to fully automate this process.

상기 해당 책장(140) 근처에 가면 상기 카트(220)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절전모드 상태의 해당 책장(140)이 깨어나고, 상기 책장(140)의 측면의 알림창이 켜지면서 자동으로 열린다. 동시에, 해당 책이 꽂혀있는 칸의 특정 부위에 부착된 인디케이터(230)에 불이 들어와서 쉽게 책이 있는 해당칸 앞으로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bookshelf 140 is near, the bookshelf 140 in the power saving mode is awaken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cart 220, and the notification window on the side of the bookshelf 140 is automatically opened. At the same time, the indicator 230 attach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compartment in which the book is inserted lights up so that the book can be easily moved in front of the compartment.

도서관의 규모가 큰 경우는, 상기 카트(220)를 몰고 해당 칸에 가서, 상기 RFID 모바일 단말기(130)로 책의 특정 위치에 붙어 있는 태그를 훑어 읽어서 일치되는 책 발견시 화면에 알림 표시를 해서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다. If the size of the library is large, drive the cart 220, go to the corresponding space, and read the tag attached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book by reading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to display a notification on the screen when a matching book is found It can be configured to be found.

이때, 잘못된 책을 꺼내는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230)가 다른 색깔 등을 띠어서 이를 알려주고, 예약된 작업의 완료를 표시해 주어 오동작을 시각적으로 방지하게 해줄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wrong book is taken out, the indicator 230 may display a different color and the like, and indicate completion of a scheduled task to visually prevent a malfunction.

해당 책을 꺼내서 상기 카트(220)에 넣으면 이 또한 상기 책장(140) 측면의 알림창과 상기 RFID 모바일 단말기(130)로 이 상황이 표시되며, 상기 지휘부 전산시스템(150)에 실시간 업데이트된다.When the book is taken out and put into the cart 220, this situation is also displayed by the notification window on the side of the bookshelf 140 and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and is updated in real time on the command computer system 150.

첫 번째 책장(140)에서 작업이 끝나면, 다시 두 번째 작업대상 책장(140) 상단의 표시등에 신호가 들어오며, 카트(220)의 모니터로 조회하여 해당 위치로 찾아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종작업 책장(140)까지 이어진다. When the work is finished in the first bookshelf 140, the signal comes on the light of the second bookshelf 140, the second object again, the inquiry to the monitor of the cart 220 can go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is way it leads to the final work bookcase 140.

작업중에 RFID 모바일 단말기(130)와 헤드셋(도시 안됨)을 통해서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휘부 전산시스템(150)의 실시간 대화를 하며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망은 LAN 등과 같은 유선통신 외에도 지그비, 블루투스, W-LAN 등과 같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During the operation,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and a headset (not shown) may perform a real-time conversation with the command computer system 150 via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Bluetooth, W-LAN in addition to wired communication such as LAN.

지그비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웍을 구성하였으므로, 유무선 네트웍의 강점인 배열구조 변경 등이 발생하는 경우, 비용 및 시간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책장(140)을 24시간 전원을 켜 놓을 필요가 없이 카트(220)가 가까이 다가가는 책장(140)에 설치된 측면 알림창시스템 1곳만 전력을 소모하고, 나머지는 절전모드에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전원 절감효과가 크다. Since the network is configured using ZigBee technology, when the arrangement structure, which is the strength of the wired and wireless network, changes, the cost and time can be minimized, and the bookshelf 140 does not need to be turned on for 24 hours. Only one side notification window system installed on the bookcase 140 close to 220 consumes power, and the rest can be used in a power saving mode, thereby greatly reducing power.

도 3은 도 1의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서 채택될 수 있는 책장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ookcase that may be adopted in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of FIG. 1.

도 3에서 도시된 책장(140)은 도 2에서 도시된 책장(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도3에서의 레일(210)은 도 2에서의 레일(210)과 수직하도록 설치되고, 책장(140)의 이동 방향만 다르다. 따라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를 부기하고,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bookcase 140 shown in FIG. 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ookcase 140 shown in FIG. 2, except that the rail 210 in FIG. 3 is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rail 210 in FIG. 2, Onl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okcase 140 is different. Therefor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의 레일(210)은 책장(140)에서 책을 칸(141)에서 인출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책장(140)은 책을 칸(141)에서 인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비해, 책장(140)의 레일(210)은 책을 칸(141)에서 인출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책장(140)은 책을 칸(141)에서 인출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한다.Referring to FIG. 3, the rail 210 in FIG. 2 is install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ok is withdrawn from the compartment 141 in the bookcase 140, and the bookcase 140 i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ok is withdrawn from the compartment 141. Compared to the movement, the rail 210 of the bookshelf 140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ok is withdrawn from the compartment 141, and the bookshelf 140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ok is withdrawn from the compartment 141. Move in one direction.

이와 같이, 책장(140)이 책을 칸(141)에서 인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책장(140)에 서고 관리자가 들어갈 공간을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공간 운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ookshelf 14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ok is withdrawn from the compartment 141, the bookshelf 140 does not have to make a space for the manager to stand and thus more efficient space management is possible.

더욱이, 당해 책장(140) 만 움직이면 되므로, 에너지 절약에 보다 효율적이다.Moreover, since only the bookcase 140 needs to be moved, it is more efficient for energy saving.

또한, 도 2 및 3에서 도시된 레일(210)은 바닥으로부터 돌출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바닥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하는 경우, 레일(210)이 서고 관리자 등의 보행에 불편을 주지 않는다.In addition, although the rail 210 shown in FIGS. 2 and 3 is shown to protrude from the bottom, it may be formed recessed from the bottom surface. When the recess is formed from the bottom surface in this way, the rail 210 does not cause inconvenience in walking of the warehouse manager or the like.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RFID 모바일 단말기 또는 도 2의 카트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사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items displayed on the notification window of the RFID mobile terminal of FIG. 1 or the cart of FIG. 2.

도 4를 참조하면, RFID 모바일 단말기(130) 또는 도 2의 카트(220) 의 알림창에는 위치(층, 섹션), 책의 제목, 책장번호 및 칸번호 등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notification window of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or the cart 220 of FIG. 2 may display a location (floor, section), a title of a book, a bookcase number and a cell number.

도 1에 도시된 지휘부의 전산시스템(150)은 서고 관리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요청된 책의 위치(층, 섹션), 책의 제목, 책장번호 및 칸번호를 파악한 후, 최단 거리의 동선이 될 수 있도록, 책들을 정렬하고, 이 순서대로 RFID 모바일 단말기(130) 또는 도2의 카트(220)의 알림창에 전송한다.The computer system 150 of the command unit illustrated in FIG. 1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library manager, and after determining the location (floor, section) of the requested book, the title of the book, the bookcase number and the number of the book, The books are sorted and transmitted in this order to the notification window of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or the cart 220 of FIG. 2.

그러면, 서고관리자는 RFID 모바일 단말기(130) 또는 도2의 카트(220)에 도시된 책의 순서에 따라 이를 인출하게 된다.Then, the library manager withdraws it in the order of the book shown in the RFID mobile terminal 130 or the cart 220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 채택되는 책장의 다른 실시예이다.5 is another embodiment of a bookcase adopted in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책장(140)은 안테나(142) 및 스캐닝바(144)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142)는 스캐닝바(144)에 부착된다. 예컨대, 상기 책장(140)의 각 행 방향마다 4개의 칸들(141)을 포함하며, 각 칸(141) 마다 하나의 안테나(142)가 설치되어, 상기 스캐닝바(144)에는 4개의 안테나들(142)이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142)가 읽어들일 수 있는 범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스캐닝바(144)에 적절한 수의 안테나(142)를 설치한다. 다수의 안테나들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142)는 상기 스캐닝바(144)에 고정되고, 소수의 안테나가 상기 스캐닝바(144) 위를 이동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bookshelf 140 includes an antenna 142 and a scanning bar 144. The antenna 142 is attached to the scanning bar 144. For example, four compartments 141 are included in each row direction of the bookcase 140, and one antenna 142 is installed in each compartment 141, and four antennas are installed in the scanning bar 144. 142 is provided. Since there is a limit to the range in which the antenna 142 can be read, an appropriate number of antennas 142 are provided in the scanning bar 144. When a plurality of antennas are installed, the antenna 142 may be fixed to the scanning bar 144, and a few antennas may move on the scanning bar 144.

상기 스캐닝바(144)는 상기 책장(140)의 상하를 이동하며, 각 칸(141)들의 책들을 스캐닝한다.The scanning bar 144 moves up and down the bookshelf 140 and scans the books of the compartments 141.

상기 스캐닝바(144)의 위치는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캐닝바(144)를 상기 칸(141)의 세로방향으로 약 1/4 또는 3/4 위치 (A 또는 B)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캐닝바(144)는 1/4 또는 3/4 위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position of the scanning bar 144 may vary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administrator. For example, the scanning bar 144 may be positioned at about 1/4 or 3/4 position (A or 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partment 141. Accordingly, the scanning bar 144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t 1/4 or 3/4 positions.

도 5의 경우, 스캐닝바(144)가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가로방향을 따라 움직이며 스캐닝할 수도 있다.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canning bar 144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may be moved and scan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안테나(142)들은 하나의 RFID 리더(도시 안됨)에 연결된다. 따라서, RFID 리더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양면으로 4칸을 갖는 책장(140)의 경우, 8개의 안테나(142)가 하나의 RFID 리더에 연결된다.The antennas 142 are connected to one RFID reader (not shown). Therefore, the number of RFID readers can be reduc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ookcase 140 having four compartments on both sides, eight antennas 142 are connected to one RFID reader.

바람직하게, 상기 4개의 칸에 대응하는 안테나(142)들은 비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컨대, 4개의 칸을 예컨대, 1번, 2번, 3번 및 4번으로 지칭하는 경우, 1번, 2번, 3번, 4번 또는 4번, 3번, 2번, 1번의 순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고, 1번, 3번, 2번, 4번 등의 순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실험결과, 안테나(501)들이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음영(shadow)지역이 생김을 확인할 수 있었다. Preferably, the antennas 142 corresponding to the four compartments transmit and receive data out of order. For example, if four cells are referred to as 1, 2, 3 and 4, for example, the data is 1, 2, 3, 4 or 4, 3, 2 and 1.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the order of 1, 3, 2, 4, etc. without transmitting and receiving.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hen the antennas 501 sequentially transmit and receive data, it was confirmed that a shadow area was genera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30)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3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30)은 RFID 태그(31), RFID 안테나(32), RFID 리더(33), 통신망(34) 및 중앙관제센 터(3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RFID tag 31, an RFID antenna 32, an RFID reader 33, a communication network 34, and a central control center. (35).

상기 RFID 태그(31)는 도서(미도시)에 부착된다.The RFID tag 31 is attached to a book (not shown).

상기 RFID 안테나(32)는 상기 RFID 태그(31)로부터 태그데이터들을 감지한다.The RFID antenna 32 detects tag data from the RFID tag 31.

상기 RFID 리더(33)는 상기 도서가 배치된 책장에 부착되어, 상기 RFID 안테나(32)를 통해 감지된 태그데이터들을 리딩 스케쥴에 따라 리딩하고, 리딩된 태그데이터들을 통신망(34)을 경유하여 중앙관제센터(35)에 전송한다. 상기 리딩 스케쥴은 상기 RFID 리더(33)의 동작 순서와 동작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동작 순서와 동작 시간을 통해 인접하는 RFID 리더(33)간의 RFID 태그 인식시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리딩 스케쥴은 상기 중앙관제센터(35)에서 상기 RFID 리더(33)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리딩 스케쥴은 제공받은 상기 RFID 리더(33)는 해당 동작 시간이 경과하거나 동작 순서에 따라 상기 태그데이터들을 리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딩 스케쥴은 상기 RFID 리더(33)의 제품출하시, 또는 관리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RFID 리더들 각각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RFID 리더(33)는 상기 리딩 스케쥴에 따른 해당 동작 시간이 경과하거나 동작순서에 도달됨에 따라 상기 태그데이터들을 리딩하게 된다.The RFID reader 33 is attached to a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disposed, reads tag data detected through the RFID antenna 32 according to a reading schedule, and centralizes the read tag data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34. Transfer to control center 35. The reading schedule may include an operation order and an operation time of the RFID reader 33. Conflicts can be prevented when RFID tags are recognized between adjacent RFID readers 33 through the above operation sequence and operation time. The reading schedule may be provided to the RFID reader 33 at the central control center 35. The RFID reader 33 received the reading schedule reads the tag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or the operation order. Meanwhile, the reading schedule may be stored in each of the RFID readers according to the factory shipment of the RFID reader 33 or the control of an administrator. Accordingly, the RFID reader 33 reads the tag data a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time according to the reading schedule elapses or the operation sequence is reached.

상기 통신망(34)은 LAN 등과 같은 유선통신망일 수도 있고, 지그비, 블루투스, W-LAN 등과 같은 무선통신망일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34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A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Zigbee, Bluetooth, W-LAN, or the like.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특히, 도 7에는 지그비 안테나를 이용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이 도시된 다. 즉, 각 서가 별로 위치한 RFID 리더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도서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태그데이터를 일정 리딩 스케쥴에 따라 인식하고, 인식된 태그데이터를 지그비 안테나를 통해 서가 서버에 제공되는 것이 도시된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illustrated in FIG. 6. In particular, Figure 7 shows a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using a Zigbee antenna. That is, it is shown that tag data is recognized from a tag attached to a boo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ading schedule using an antenna of an RFID reader located in each book, and the recognized tag data is provided to the bookshelf server through a Zigbee antenna.

도 7을 참조하면,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300)은 도서들 각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3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안테나(3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리더(3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그비 안테나(340), 중앙관제센터(350) 및 도서관 DB 서버(3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300 includes at least one tag 310, at least one RFID antenna 320, at least one RFID reader 330, and at least one ZigBee attached to each of the books. The antenna 340, the central control center 350 and the library DB server 360.

상기 태그(310)는 인식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서의 표시 안의 하단부에 부착된다. The tag 310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of the book to increase the recognition efficiency.

상기 RFID 안테나(320)는 도서에 부착된 RFID 태그(310)로부터 태그데이터들을 감지하여 상기 RFID 리더(330)에 제공한다. 하나의 선반에 배치된 도서들은 하나의 안테나로 인식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선반의 길이와 안테나의 사이즈가 동일하고, 안테나의 폭과 길이에 따라 균일한 전자파(EM-Field) 분포를 갖기 때문이다.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므로써, 단가도 저감할 수 있다. 안테나의 전체 두께도 대략 10mm로서 차지하는 공간도 적다. 적은 방사효율, 예를들어 0.08의 방사효율을 갖는 근접장(Near-field) 안테나는 이웃하는 선반의 도서 혹은 물품은 인식하지 않게 된다.The RFID antenna 320 detects tag data from the RFID tag 310 attached to the book and provides the tag data to the RFID reader 330. Books placed on a shelf can be recognized with a single antenna.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shelf and the size of the antenna are the same and have a uniform EM-fiel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width and length of the antenna. By using one antenna, the unit cost can also be reduced. The total thickness of the antenna is also about 10 mm, which takes up less space. Near-field antennas with low radiation efficiency, for example 0.08, will not recognize books or articles on neighboring shelves.

상기 RFID 리더(330)는 상기 도서가 배치된 책장에 부착되어, 상기 RFID 안테나(320)를 통해 감지된 태그데이터들을 일정 스케쥴에 따라 리딩하고, 리딩된 태그데이터들을 지그비 안테나(340)를 경유하여 상기 중앙관제센터(350)에 제공한다.The RFID reader 330 is attached to a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disposed, reads tag data detected through the RFID antenna 32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and reads the read tag data via the Zigbee antenna 340. It is provided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350.

상기 RFID 리더(330)에 의해 읽는 순서가 상기 서가 서버(340)에 의해 관리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RFID 리더들(330)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순서로 진행할 수 있게 하여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RFID 리더(330)를 그룹단위로 나누어 그룹별로 관리한다. 또한, 그룹간의 인접해 있는 RFID 리더들이 같은 시간대에 리딩하지 않도록 하는 최적의 리딩 순서를 설계한다. 또한, 리딩 순서를 상기 중앙관제센터(350)에서 모두 관리하므로 별도의 동기화 없이도 리딩 타임이 어긋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Since the order of reading by the RFID reader 330 is managed by the book server 340, the recognition rate may be improved by allowing the RFID reader 330 to proceed in a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RFID readers 330. . That is, the RFID reader 330 is divided into groups and managed by groups. In addition, we design the optimal reading order so that adjacent RFID readers between groups do not rea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since the reading order is managed by the central control center 350, the reading time does not occur without a separate synchronization.

상기 RFID 리더(330)에 의해 읽은 태그 인식 정보는 지그비 안테나들에 의해 정의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통해 중앙관제센터(350)에 전송된다. The tag recognition information read by the RFID reader 330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35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fined by Zigbee antennas.

상기 지그비 안테나(340)는 상기 도서가 배치된 책장에 부착되어, 상기 RFID 리더(330)를 통해 상기 책장의 각 선반들에 배치된 도서의 이동이 확인됨에 따라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관제센터(350)와 통신한다. The Zigbee antenna 340 is attached to the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disposed, and the central control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confirmed as the movement of the book disposed on the shelves of the bookshelf is confirmed through the RFID reader 330. Communicate with center 350.

상기 중앙관제센터(350)는 서가 서버(352) 및 위치 DB 서버(354)를 포함하여, 일정 스케쥴에 따라 리딩된 태그데이터들을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도서관 DB 서버(360)에 상기 저장된 태그데이터들을 제공한다. The central control center 350 includes a shelf server 352 and a location DB server 354 to receive and store read tag data according to a schedule, and to store the tag data in the library DB server 360. Provide them.

상기 서가 서버(352)는 상기 RFID 리더(33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통계 방식이나 알고리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서가 서버(352)는 리딩을 수행할 현재 RFID 리더의 정보를 읽어 현재 RFID 리더에 태그데이터의 리딩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현재 RFID 리더로부터 태그데이터들이 전송됨에 따라, 상기 태그데이터들을 상기 도서관 DB 서버(360)에 제공한다.The shelf server 352 may use various statistical methods, algorithms, and the lik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data received from the RFID reader 330. For example, the shelf server 352 reads information of a current RFID reader to perform reading and transmits a reading command of tag data to a current RFID reader, and as tag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current RFID reader, the tag data. To the library DB server 360.

상기 위치 DB 서버(354)는 태그데이터들을 제공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태그데이터를 상기 도서관 DB 서버(360)에 제공한다. 상기 위치 DB 서버(354)는 기존의 도서 DB 서버와는 별도로 구성되므로써, 기존의 DB를 수정하지 않으면서 기존의 시스템의 변동을 최소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를 도서관 DB 서버(360)에 제공하므로써,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도서관 시스템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로 제작할 수 있어 편리성을 도모한다. The location DB server 354 receives and stores tag data and provides the stored tag data to the library DB server 360. Since the location DB server 354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existing book DB server, the change of the existing system can be minimized without modifying the existing DB.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ibrary DB server 360, the client program can be produced with a minimum understanding of the library system, thereby achieving convenience.

상기 도서관 DB 서버(360)는 상기 위치 DB 서버(354)로부터 제공되는 업데이트된 태그데이터들을 제공받아 도서 관리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도서관 DB 서버(360)는 해당 도서가 특정 책장에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는지, 특정 도서가 책장에서 인출되었는지 등의 일련의 도서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관리자의 컴퓨터의 모니터상에 도서의 배치나 대출, 반입 등의 정보가 일정 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서 검색 시에 현재 도서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도서를 찾기 위한 작업을 단축시킨다. 전체 도서의 위치를 관리함으로써 잘못 위치된 도서나 도서의 분실 등의 확인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library DB server 360 receives the updated tag data provided from the location DB server 354 and performs a book management operation. That is, the library DB server 360 may perform a series of book management operations such as whether the book is normally placed on a specific bookshelf or whether a specific book is withdrawn from the bookshelf.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placement, loan, and import of books may be displayed on a monitor of a manager's computer for a certain time. By searching f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book at the time of book search, the task of finding the book is shortened. By managing the location of the entire book, it is easy to check the misplaced book or the loss of the book, thereby improv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비 안테나를 포함하는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상기 RFID 리더와 상기 서가 서버가 통신 연결되었으나, 블루투스나 W-LAN과 같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RFID 리더와 상기 서가 서버는 LAN 등과 같은 유선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FID reader and the book ser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Zigbe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Zigbee antenna, but may be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LAN. In addition, the RFID reader and the bookshelf server may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A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특히, 인접하는 RFID 리더들간의 전파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그룹핑된 RFID 리더들에 의한 태그데이터 송신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가 도시된다.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illustrated in FIG. 7. In particular,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ag data transmission method by RFID readers grouped to remove the influence of propagation between adjacent RFID readers is shown.

도 8을 참조하면, 16대의 RFID 리더들이 지그비를 통신 수단으로 이용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그비 채널들이 사용되므로,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RFID 리더들의 동작이 스케쥴링된다. 각 RFID 리더들은 서로 인접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스케줄링은 4개의 단계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단계마다 4대의 RFID 리더에 동작 명령이 제공된다. 각 그룹별로 RFID 리더들이 동작했을 때, 채널이 중복되지 않게 구성된다. 여기서, 채널이란 동일 또는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게될 경우, 주파수 대역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복수의 노드들이 통신하게 있게 한 것을 말한다. Referring to FIG. 8, an embodiment in which 16 RFID readers use Zigbee as a communication means is illustrated. Since four Zigbee channels are used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of RFID readers is divided into four groups. It is assumed that each RFID reader is not adjacent to each other. The scheduling consists of four stages, and operation instructions are provided to four RFID readers in each stage. When RFID readers are operated for each group, channels are configured not to overlap. Here, the channel means that when communicating using the same or similar frequency band, the frequency band is divided in detail to allow a plurality of nodes to communicate.

제1 동작 단계에서, 제1 그룹(GROUP1)에 구비되는 제1 RFID 리더(1)는 제1 지그비채널(CH1)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그룹(GROUP2)에 구비되는 제2 RFID 리더(2)는 제2 지그비채널(CH2)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제3 그룹(GROUP3)에 구비되는 제3 RFID 리더(3)는 제3 지그비채널(CH3)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하고, 제4 그룹(GROUP4)에 구비되는 제4 RFID 리더(4)는 제4 지그비채널(CH4)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한다. In a first operation step, the first RFID reader 1 included in the first group GROUP1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first Zigbee channel CH1 and the second RFID provided in the second group GROUP2. The reader 2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second Zigbee channel CH2. In addition, the third RFID reader 3 provided in the third group GROUP3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third ZigBee channel CH3 and the fourth RFID reader 4 provided in the fourth group GROUP4. Transmits the tag data through the fourth Zigbee channel CH4.

상기 제1 동작 단계에 후속하는 제2 동작 단계에서, 제1 그룹(GROUP1)에 구비되는 제2 RFID 리더(2)는 제2 지그비채널(CH2)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그룹(GROUP2)에 구비되는 제3 RFID 리더(3)는 제3 지그비채널(CH3)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제3 그룹(GROUP3)에 구비되는 제4 RFID 리더(4)는 제4 지그비채널(CH4)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하고, 제4 그룹(GROUP4)에 구비되는 제1 RFID 리더(1)는 제1 지그비채널(CH1)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한다. In a second operation step subsequent to the first operation step, the second RFID reader 2 included in the first group GROUP1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second ZigBee channel CH2, and the second group ( The third RFID reader 3 provided in the GROUP2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third ZigBee channel CH3. In addition, the fourth RFID reader 4 included in the third group GROUP3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fourth ZigBee channel CH4 and the first RFID reader 1 provided in the fourth group GROUP4. Transmits the tag data through the first Zigbee channel CH1.

상기 제2 동작 단계에 후속하는 제3 동작 단계에서, 제1 그룹(GROUP1)에 구비되는 제3 RFID 리더(3)는 제3 지그비채널(CH3)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그룹(GROUP2)에 구비되는 제4 RFID 리더(4)는 제4 지그비채널(CH4)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제3 그룹(GROUP3)에 구비되는 제1 RFID 리더(1)는 제1 지그비채널(CH1)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하고, 제4 그룹(GROUP4)에 구비되는 제2 RFID 리더(2)는 제2 지그비채널(CH2)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한다. In the third operation step subsequent to the second operation step, the third RFID reader 3 included in the first group GROUP1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third ZigBee channel CH3 and the second group ( The fourth RFID reader 4 provided in the GROUP2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fourth ZigBee channel CH4. In addition, the first RFID reader 1 provided in the third group GROUP3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first ZigBee channel CH1 and the second RFID reader 2 provided in the fourth group GROUP4. Transmits the tag data through the second Zigbee channel CH2.

상기 제3 동작 단계에 후속하는 제4 동작 단계에서, 제1 그룹(GROUP1)에 구비되는 제4 RFID 리더(4)는 제4 지그비채널(CH4)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그룹(GROUP2)에 구비되는 제1 RFID 리더(1)는 제1 지그비채널(CH1)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제3 그룹(GROUP3)에 구비되는 제2 RFID 리더(2)는 제2 지그비채널(CH2)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하고, 제4 그룹(GROUP4)에 구비되는 제3 RFID 리더(3)는 제3 지그비채널(CH3)을 통해 태그데이터를 전송한다. In a fourth operation step subsequent to the third operation step, the fourth RFID reader 4 included in the first group GROUP1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fourth ZigBee channel CH4, and the second group ( The first RFID reader 1 included in the GROUP2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first ZigBee channel CH1. In addition, the second RFID reader 2 provided in the third group GROUP3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second ZigBee channel CH2 and the third RFID reader 3 provided in the fourth group GROUP4. The tag transmits tag data through the third Zigbee channel CH3.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딩 스케줄링에 의하면, RFID 리더간의 간섭을 회피하고, 지그비의 통신 충돌을 방지하여 전송 효율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인식율과 리더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일정 수의 RFID 리더들을 그룹단위로 나누어 리딩 동작을 관리한다. 그룹간의 인접해 있는 RFID 리더들이 같은 시간대에 리딩하지 않도록 하는 최적의 리딩 순서를 설계한다. 지그비 채널마다 전송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통신 효율을 높인다. 상기한 리딩 순서는 중앙관제센터에서 관리하므로 별도의 동기화 없이도 리딩 타임은 중복되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ading schedu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rate and the operation rate of the reader can be improved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RFID readers and prevent communication collisions of ZigBee so as to make maximum use of transmission efficiency. That is, a predetermined number of RFID readers are divided into groups to manage reading operations. Design optimal reading order so that adjacent RFID readers between groups do not read at the same time. The transmission rate is kept constant for each Zigbee channel to increase communication efficiency. Since the reading order is managed by the central control center, the reading time does not overlap without a separate synchronization.

이하에서, 상기한 중앙관제센터(350)의 일례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central control center 350 will be described.

도 9은 도 7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중앙관제센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특히, 스케쥴링 기능을 갖는 중앙관제센터가 도시된다.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entral control center employed in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7. In particular, a central control center with a scheduling function is shown.

도 9을 참조하면, 중앙관제센터(350)는 서가 서버(352) 및 위치 DB 서버(354)를 포함하고, 데이터 전송량 및 데이터 충돌 등을 고려하여 동일 시간대에 RFID 리더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케쥴링 동작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central control center 350 includes a bookshelf server 352 and a location DB server 354, and the scheduling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FID reader in the same time zone in consideration of data transmission amount and data collision. Do this.

상기 서가 서버(352)는 연결운영모듈(3521), 태그정보수집모듈(3522), 리더운영모듈(3523), 스케쥴러(3524) 및 위치 업데이트 모듈(3526)을 포함한다. The shelf server 352 includes a connection operation module 3151, a tag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352, a reader operation module 3523, a scheduler 3524, and a location update module 3526.

상기 연결운영모듈(3521)은 RFID 리더로부터 태그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과의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유선통신망은 LA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망은 지그비 통신망, 블루투스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operation module 3351 performs a connection operation wit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tag data from an RFID reader.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LA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Zigbee communication network,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상기 태그정보수집모듈(3522)은 상기 연결운영모듈(3521)에 의해 설정된 통신망의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태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태그정보를 필터모듈(3525)에 제공한다. The tag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352 collects tag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path of a communication network set by the connection operation module 3351, and provides the collected tag information to the filter module 3525.

상기 리더운영모듈(3523) 및 상기 스케쥴러(3524)는 데이터 전송량과 RFID 리더간의 태그 인식시의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RFID 리더의 동작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근접한 RFID 리더간의 태그 인식시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러(3524)는 RFID 리더의 동작 순서를 조절할 수도 있고, RFID 리더(330)의 동작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RFID 리더(330)들은 그룹별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der operation module 3523 and the scheduler 3524 limit the operation of the RFID reader in order to prevent a collision in data recognition and tag recognition between the RFID read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s in tag recognition between adjacent RFID readers while ensuring the stability of data communication. The scheduler 3524 may adjust the operation order of the RFID reader, or may adjust the operation time of the RFID reader 330. For efficient performance, the RFID readers 330 are preferably managed in groups.

통상적으로, 시스템 운영시, RFID 리더(330)가 태그데이터를 리딩하고 리딩된 태그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버가 상기 태그데이터들을 취합한다. 하지만, RFID 리더(330)가 항상 태그를 읽을 필요가 없을 경우도 있을 것이고, 계속 읽는다 하여도 RFID 리더(330)간의 충돌로 태그를 잘못 인식할 가능성도 높다. 예를들어, 본 발명에 채용되는 지그비의 경우, 전송량이 제한적이므로 모든 RFID 리더(330)가 항상 동작하여 태그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실질적으로 어렵다. Typically, during system operation, the RFID reader 330 reads tag data and transmits the read tag data so that the server collects the tag data. However, the RFID reader 330 may not always need to read the tag at all times, and even if the RFID reader 330 continues to rea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tag is incorrectly recognized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RFID readers 330. For example, in the ZigBee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mount of transmission is limited, it is practically difficult for all the RFID readers 330 to always operate to transmit tag data.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FID 안테나(320)는 다른 선반의 태그를 인식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RFID 리더(330)들이 태그 인식을 위해 전파를 동시에 발생시키면 잘못된 태그를 인식하거나 올바른 태그를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파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하나의 선반을 인식하는 중에는 주위의 선반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더운영모듈(3523) 및 상기 스케쥴러(3524)를 이용하여 RFID 리더(330)의 리딩 동작 순서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FID antenna 320 may be designed not to recognize tags of other shelves. However, when a plurality of RFID readers 330 simultaneously generate radio waves for tag recognition, a situation in which an incorrect tag is not recognized or a correct tag may not be recogniz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not to recognize the surrounding shelves while recognizing one shelf to eliminate radio interference. To this en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er operation module 3523 and the scheduler 3524 may be used to adjust the reading operation order of the RFID reader 330.

또한, 지그비를 데이터 통신 수단으로 이용할 경우, 여러 개의 지그비 종단장치가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하게 되면,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한 충돌 발생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널별, 예를들어 16개의 채널별로 하나의 통신만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기능도 갖는다.In addition, when using ZigBee as a data communication means, when several ZigBee terminators communicate using the same channel, a collision may occu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collision, it also has a function to control so that only one communication for each channel, for example 16 channels.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실제 현장에 적용할 때, 각 RFID 리더(330)가 담당하는 책장의 선반에 위치하는 도서의 수가 많을 수도 있고, 적을 수도 있다. 도서 의 수가 적으면 태그의 수는 적고, 이에 따라 모든 태그를 인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짧다. 이처럼, 책장의 선반에 따라 인식에 필요한 시간이 달라지는 것을 상기 리더운영모듈(3523) 및 상기 스케쥴러(3524)가 RFID 리더(330)의 동작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태그 인식시간의 효율을 높일 뿐 아니라, 각 RFID 리더(330)들에 필요한 동작시간에 따라, 동작 순서를 조절함으로써 최적화하는 기능도 한다.Whe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ctual site, the number of books located on the shelf of the bookcase which each RFID reader 330 is responsible for may be large or small. If the number of books is small, the number of tags is small and accordingly, the time required to recognize all tags is short. As such, the time required for the recogn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shelves of the bookshelf, so that the reader operating module 3523 and the scheduler 3524 adjust the operating time of the RFID reader 330,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tag recognition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required for each RFID reader 330, it also functions to optimize by adjusting the operation sequence.

상기 위치 업데이트 모듈(3526)은 상기 태그정보수집모듈(3522)에 의해 수집된 태그데이터들을 위치 DB 서버(354)에 제공한다. 상기 위치 업데이트 모듈(3526)은 실시간적으로 상기 태그데이터들을 상기 위치 DB 서버(354)에 제공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태그데이터들을 상기 위치 DB 서버(354)에 제공할 수도 있다. The location update module 3526 provides the tag data collected by the tag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352 to the location DB server 354. The location update module 3526 may provide the tag data to the location DB server 354 in real time, or may provide the tag data to the location DB server 354 on a predetermined time basis.

상기 위치 DB 서버(354)는 도서위치DB(3541) 및 리더정보DB(3542)를 포함한다. The location DB server 354 includes a book location DB 3551 and a reader information DB 3542.

상기 도서위치DB(3541)는 상기 위치 업데이트 모듈(3526)에서 제공되는 태그데이터들을 저장한다. The book location DB 3551 stores tag data provided by the location update module 3526.

상기 리더정보DB(3542)는 상기 리더운영모듈(3523)에서 제공되는 RFID 리더들의 운영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리더운영모듈(3523)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RFID 리더들의 운영정보를 제공한다. 예를들어, 상기 RFID 리더들 운영정보는 RFID 리더들의 동작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들어, 상기 RFID 리더들의 운영정보는 RFID 리더들의 동작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ader information DB 3542 store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readers provided by the reader operation module 3523, and provide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d RFID readers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reader operation module 3523. For example, the RFID reader ope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operating time information of the RFID readers. For another exampl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readers may include operation order information of the RFID readers.

일반적으로, 지그비는 가격이 저렴하고, 다른 무선 제품에 비해 설치가 쉬우 며, 전력 소비가 작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 대역폭이 최대 250kbps이므로, 다수의 RFID 리더들과 서버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기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RFID 리더들의 리딩 동작을 제어하는 스케쥴러를 통해 서로 다른 시간대에 RFID 리더들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므로써, 동시에 전송되는 데이터량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한 스케쥴링에 의해 RFID 리더들의 리딩 동작시 발생되는 충돌이 예방되어, 태그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In general, ZigBee is less expensive, easier to install than other wireless products, and consumes less power. However, since the data transmission bandwidth is up to 250kbps, it is not suitable for us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multiple RFID readers and a server. However,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is reduc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FID readers at different time periods through a scheduler that controls the reading operation of the RFID readers.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cheduling prevents a collision occurring during the reading operation of the RFID readers,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tag data.

도 10는 도 7에 도시된 지그비 안테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특히, RFID 리더에 연결된 지그비 안테나의 블록도가 도시된다.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Zigbee antenna illustrated in FIG. 7. In particular, a block diagram of a Zigbee antenna connected to an RFID reader is shown.

도 7 및 도 10를 참조하면, 지그비 안테나(340)는 RFID 안테나(342), 파워 운영 모듈(344), RFID 수신기(346) 및 무선통신 모듈(348)을 포함한다. 7 and 10, the Zigbee antenna 340 includes an RFID antenna 342, a power operating module 344, an RFID receiver 346,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48.

상기 RFID 안테나(342)는 베이스 기판(도면부호 미부여)의 외곽 영역을 따라 배치되어, 태그데이터에 대응하는 RFID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RFID 수신기(346)에 제공한다. The RFID antenna 342 is disposed along an outer region of the base substrate (not shown), receives an RFID signal corresponding to tag data, and provides the RFID signal to the RFID receiver 346.

상기 파워 운영 모듈(344)은 상기 RFID 수신기(346)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348)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operation module 344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FID receiver 346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48.

상기 RFID 수신기(346)는 상기 RFID 안테나(342)를 경유하여 상기 RFID 신호를 수신한다. The RFID receiver 346 receives the RFID signal via the RFID antenna 342.

상기 무선통신 모듈(348)은 상기 RFID 수신기(346)에 의해 수신된 RFID 신호를 지그비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48 converts the RFID signal received by the RFID receiver 346 into a Zigbee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책장(400)을 설 명하는 개념도이다.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ookcase 400 employed in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7.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책장(400)에는 지그비 안테나(340), 정보표시용 모니터(410), 동작감지센서(420) 및 인디케이터(430)가 부착된다. 7 and 11, the bookshelf 400 is attached with a Zigbee antenna 340, an information display monitor 410, a motion detection sensor 420, and an indicator 430.

상기 지그비 안테나(340)는 각 칸에 배치된 도서들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호스트측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그비 안테나(340)는 도 8에서 설명되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Zigbee antenna 34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ooks arranged in each compartment to the host in real time. Since the Zigbee antenna 34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정보표시용 모니터(410)는 관리자 정보, 오류정보, 확인 정보, 온/습도 정보 등을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에게 알려주고, 관리자 접근시 자동 개폐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용 모니터(410)는 상기 RFID 리더(330)로부터 제공되는 인식된 태그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한다. 예를들어, 해당 책장에 구비되도록 설정된 도서의 리스트나, 책장에서 빠져나간 도서의 리스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도서의 리스트를 통해 도서를 인출하고자 하는 사람이나 도서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보다 명확한 도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display monitor 410 displays manager information, error inform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temperature / humidity information, etc. to inform the worker in real time, and plays a role of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manager approache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display monitor 410 receives and displays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FID reader 330. For example, a list of books set to be provided in the bookshelf, or a list of books taken out of the bookshelf may be displayed. The list of books can provide more clear book information to the person who wants to withdraw the book or to the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book.

상기 동작감지센서(420)는 책장관리자의 존재 여부나 이동 등을 감지한다. 상기한 동작감지센서(420)로 채용 가능한 센서들은 인체감지(Pyroelectric infrared: PIR) 센서, 적외선 열감지 센서, 조도 센서, 초음파, 마이크로파 센서 등이다. 상기한 적외선 열감지 센서는 인체에서 나오는 열을 감지하여 작업자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람의 온도인 섭씨 36.5도가 감지되는 것을 감지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한다. 한편, 온풍기나 냉풍기와 같은 시설이 많은 도서관의 경우, 상기한 적외선 열 감지 센서를 적용하는 경우 오차가 심해 신뢰할 수가 없다. 이런 경우는 빛의 감도를 이용하는 센서, 인체에서 발생되는 체열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인 인체감지(Pyroelectric infrared: PIR) 센서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빛의 조도가 사람에 존재로 인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일정 영역에 들어오는 사람을 센싱하는 조도 센서도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햇빛이 많이 존재하거나 조명이 밝은 영역의 경우에는 어려움이 예상된다. 또한, 열(온도)나 빛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마이크로파 센서가 고려될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sensor 420 detects the presence or movement of the bookcase manager. Sensors that can be employed as the motion detection sensor 420 are a human body (Pyroelectric infrared (PIR) sensor, infrared thermal sensor, illuminance sensor, ultrasonic, microwave sensor and the like. The infrared heat sensor can detect the presence of the operator by detecting the heat from the human body. For example, the location of the worker is determined by detecting that the temperature of the person is 36.5 degrees Celsius. On the other hand, in a library with many facilities such as a hot air fan or a cold air fan, when the infrared heat sensor is applied, the error is severe and cannot be reliable. In this case, a sensor using light sensitivity and a pyroelectric infrared (PIR) sensor, which detects infrared rays of body heat generated in the human body, may be considered. In addition,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a person entering a certain area may be considered by using a change in the illuminance of light due to the presence of a person. However, this is also expected to be difficult in the presence of a lot of sunlight or bright light. In addition, microwave sensors that are relatively unaffected by heat (temperature) or light can be considered.

상기 인디케이터(430)는 상기 책장에 형성된 각 칸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원하는 도서가 포함된 칸을 알려준다. 예를들어, 상기 인디케이터(430)는 평상시에는 블루 색상을 유지하다가 대출도서가 있는 경우, 레드 색상을 표시하여 관리자를 유도한다. 또한, 대출도서가 올바르게 선택되어 빠져나갈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430)는 레드 색상에서 블루 색상으로 변화된다. The indicator 430 is attached to a specific position of each compartment formed in the bookcase, and informs the compartment containing the desired book. For example, the indicator 430 normally maintains a blue color and, if there is a loan book, displays a red color to induce the manager. In addition, when the loan book is correctly selected and exited, the indicator 430 is changed from red color to blue color.

상기 책장(400)에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더 부착되어, 감지된 온도를 중앙관제센터(350)에 제공할 수도 있다.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bookshelf 400 to provide the sensed temperature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350.

또한, 상기 책장(400)에는 습도 센서(미도시)가 더 부착되어, 감지된 습도를 상기 중앙관제센터(350)에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humidity sensor (not shown)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bookshelf 400 to provide the detected humidity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350.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정보표시용 모니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display monitor shown in FIG. 11.

도 12을 참조하면, 정보표시용 모니터(410)에는 RFID 안테나(412), 컨트롤러 (414), RFID 수신기(416) 및 무선통신 모듈(418)이 구비되어, 관리자 정보, 오류정보, 확인 정보, 온/습도 정보 등을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에게 알려주고, 관리자 접근시 자동 개폐의 역할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2, the information display monitor 410 includes an RFID antenna 412, a controller 414, an RFID receiver 416,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8, and includes administrator information, error inform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It displays the temperature / humidity information and informs the worker in real time, and plays the role of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manager approaches.

상기 RFID 안테나(412)는 베이스 기판(도면부호 미부여)의 외곽 영역을 따라 배치되어, 태그데이터에 대응하는 RFID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RFID 수신기(416)에 제공한다. The RFID antenna 412 is disposed along an outer region of the base substrate (not shown) to receive an RFID signal corresponding to tag data and provide it to the RFID receiver 416.

상기 컨트롤러(414)는 관리자 정보, 오류정보, 확인 정보, 온/습도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미도시)에 제공한다. The controller 414 convert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provides it to a display unit (not shown) to display manager information, error inform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temperature / humidity information, and the like.

상기 RFID 수신기(416)는 RFID 리더와의 통신을 통해 책장에서 이탈하는 도서 정보나 책장에 배치되는 도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미도시)에 제공한다. The RFID receiver 416 receives the book information leaving the bookshelf or the book information disposed on the bookshelf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RFID reader and provides the book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not shown).

상기 무선통신 모듈(418)은 중앙관제센터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지시내용을 제공받아 상기 지시내용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미도시)에 제공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8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control center, receives the instructions of the central control center, and provides them to a display unit (not shown) to display the instructions.

도 13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다른 예에 따른 책장의 일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bookshelf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employed in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illustrated in FIGS. 2 to 3.

도 13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책장(450)은 2개의 측벽부재들(451), 상기 측벽부재들(451)간에 배치되어 수납되는 도서를 지지하는 선반부재(452), 상기 선반부재(452)에 형성된 골(452a)에 배치되는 RFID 안테나(453) 및 상기 선반부재(452)에 배치된 RFID 안테나(453)를 커버하는 커버부재(45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3, a bookcase 45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may include two sidewall members 451, a shelf member 452 supporting a book disposed between the sidewall members 451, and the shelf member ( And a cover member 454 covering the RFID antenna 453 disposed on the valley 452a formed in the 452 and the RFID antenna 453 disposed on the shelf member 452.

상기 측벽부재들(451)에는 상기 선반부재(452)를 지지하기 위해 배치된 복수의 스크류들(451a)이 배치된다. 상기 스크류들(451a)이 체결되는 높이는 도서의 높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crews 451a disposed to support the shelf member 452 are disposed on the side wall members 451. The height at which the screws 451a are fastened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book.

상기 RFID 안테나(453)에 연결된 와이어(453a)는 측벽부재(451)에 형성된 홀(451b)을 관통하여 RFID 리더에 연결된다.The wire 453a connected to the RFID antenna 453 is connected to the RFID reader through the hole 451b formed in the sidewall member 451.

도 12에서, 상기 RFID 안테나(453)가 선반부재의 상부면에 형성된 골에 매립되는 것이 설명되었으나, 상기 RFID 안테나(453)는 상기 선반부재의 하부면에 골을 형성하여 매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RFID 안테나(453)는 상기 선반부재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In FIG. 12, the RFID antenna 453 is embedded in the valle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member. However, the RFID antenna 453 may be embedded by forming a valley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member. In addition, the RFID antenna 453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member.

도 14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전동카트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cart employed in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illustrated in FIGS. 2 to 3.

도 14을 참조하면, 전동카트(220)에는 정보표시용 모니터(222), 안테나(224), 대여도서 보관대(226) 및 RFID 리더(228)가 부착된다. Referring to FIG. 14, the electric cart 220 is attached with an information display monitor 222, an antenna 224, a rental book storage 226, and an RFID reader 228.

상기 정보표시용 모니터(222)에는 무선통신 모듈이 설치되어 중앙관제센터에서 제공되는 대출 도서 목록을 표시한다. The information display monitor 222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installed to display a list of loan books provided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상기 안테나(224)는 상기 대여도서 보관대(226)에 배치되어, 대출자가 도서를 상기 대여도서 보관대(226)에 올려놓으면 해당 도서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데이터를 감지하여 상기 RFID 리더(228)에 제공한다. 상기 대여도서 보관대(226)는 전동카트(220)에 구비되어, 관리자가 인출하는 도서류를 수납한다. The antenna 224 is disposed in the rental book storage 226, when the lender places the book on the rental book storage 226, the RFID reader 228 detects tag data from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book. To provide. The rental book storage 226 is provided in the electric cart 220, and stores the books drawn out by the manager.

상기 RFID 리더(228)는 대출자가 도서를 인출하여 상기 대여도서 보관대(226)에 올려놓으면, 해당 도서를 인식하여 올바른 도서인지를 상기 정보표시용 모니터(222)에 표시한다. When the borrower withdraws the book and places it on the rental book storage 226, the RFID reader 228 recognizes the book and displays whether the book is the correct book on the information display monitor 222.

도 15는 도 7에 도시된 전동책장(400)의 운영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구성도 이다. FIG. 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bookshelf 400 illustrated in FIG. 7.

도 15를 참조하면, 복수의 전동책장(400)들은 전동레일(490) 위에 배치되고, 레일 제어부(490)의 제어에 따라 이동된다. 도 15에서, 상기 전동책장(400)은 상기 전동레일(490)을 따라 상기 전동책장(400)의 도서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전동책장(400)은 전동레일(490)을 따라 상기 전동책장(400)의 도서 인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plurality of electric bookshelves 400 are disposed on the electric rail 490 and moved under the control of the rail controller 490. In FIG. 15, although the electric bookshelf 400 is shown to move in the book extrac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bookshelf 400 along the electric rail 490, the electric bookshelf 400 is along the electric rail 490. It may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ok extrac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bookcase 400.

동작시, 이용자에 의해 신청된 대출도서목록이 DB에 등록됨에 따라, 도서관 관리 시스템(500)의 관리자 PC(510)에서는 해당 도서가 비치된 책장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라인에 연결된 레일제어부(490)에 이동 명령을 제공한다, 이어, 도서 관리자가 해당 책장에 근접하게 되면, 각 책장에 설치된 RFID 리더가 내장된 모니터를 통해서 관리자의 아이디 카드를 인식하고, 자동 개폐한다. 이어, 책장이 개폐된 후 책장에 설치된 적외선감지센서(420)가 작업자를 인식하여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한다. 대여도서를 전동카드(미도시)에 실으면 상기 전동카트에 설치된 RFID 리더가 인식하여 도서가 올바른지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중앙관제센터에 전송한다. In operation, as the list of loan books requested by the user is registered in the DB, the manager PC 510 of the library management system 500 controls the rail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lin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provided. If the book manager approaches the bookshelf, the ID card of the manager is recognized and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through a monitor in which an RFID reader installed in each bookshelf is embedded. Subsequently, after the bookcase is opened and closed, the infrared sensor 420 installed in the bookcase recognizes the worker to prevent an accident due to a malfunction. When a rental book is loaded on an electric card (not shown), the RFID reader installed in the electric cart recognizes the book and confirms that the book is correct,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도 1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특히, LAN을 이용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이 도시된다. 1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using a LAN is shown.

도 1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400)은 도서들 각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3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안테나(3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리더(330), LAN(440), 중앙관제센 터(350) 및 도서관 DB 서버(360)를 포함한다. 도 15에서, 도 6의 지그비 안테나들(340)이 LAN에 대체된 것을 제외하면, 도 7과 도 16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16, a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4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tag 310, at least one RFID antenna 320, and at least one RFID attached to each book. It includes a reader 330, LAN 440, the central control center 350 and the library DB server 360. In FIG. 15, except that the ZigBee antennas 340 of FIG. 6 are replaced with LANs, FIGS. 7 and 16 are the same, and thu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근래들어, LAN이 구축된 경우가 많고, LAN을 통신 수단으로 사용하면 안정적이면서 데이터의 전송량 영향도 작아진다.In recent years, LANs are often established, and when LAN is used as a communication means, it is stable and the influence of data transfer amount is also smal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고, 도서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and reduce the book search time.

또한, 온습도 센서에 의해서, 도서의 보존에 보다 만전을 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makes it possible to make more efforts to preserve the island.

또한, 도서에 부착된 태그데이터를 리딩할 때 스케쥴링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RFID 리더간의 리딩 충돌 및 태그데이터의 전송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heduling is performed when reading tag data attached to the book,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eading conflict between RFID readers and a transmission conflict of tag data.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서 채택될 수 있는 책장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bookcase that may be adopted in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of FIG. 1.

도 3은 도 1의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서 채택될 수 있는 책장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ookcase that may be adopted in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of FIG. 1.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RFID 모바일 단말기 또는 도 2의 카트의 알림창에 표시되는 사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items displayed on the notification window of the RFID mobile terminal of FIG. 1 or the cart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 채택되는 책장의 다른 실시예이다.5 is another embodiment of a bookcase adopted in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7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illustrated in FIG. 6.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illustrated in FIG. 7.

도 9은 도 7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중앙관제센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entral control center employed in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7.

도 10는 도 7에 도시된 지그비 안테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Zigbee antenna illustrated in FIG. 7.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책장의 일례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FIG.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ookshelf employed in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2.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정보표시용 모니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display monitor shown in FIG. 11.

도 13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다른 예에 따른 책장의 일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bookshelf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employed in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illustrated in FIGS. 2 to 3.

도 14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전동카트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cart employed in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illustrated in FIGS. 2 to 3.

도 15는 도 7에 도시된 전동책장의 운영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bookshelf shown in FIG. 7.

도 1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1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300: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 110: 유무선통신단말시스템100, 300: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110: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120 : 코디네이터와 상위네크워크 130: RFID 모바일 단말기120: Coordinator and higher network 130: RFID mobile terminal

140 : 책장 141: 칸140: bookshelf 141: compartment

150 : 지휘부 전산시스템 160: RFID 리더기150: command computer system 160: RFID reader

210 : 레일 220: 카트210: rail 220: cart

230 : 인디케이터 501: 안테나230: indicator 501: antenna

502 : 스캐닝 바 31, 310 : RFID 태그502: scanning bar 31, 310: RFID tag

32, 320, 342 : RFID 안테나 33, 330 : RFID 리더32, 320, 342: RFID antenna 33, 330: RFID reader

332 : RFID 신호 수신부 334 : 제1 메모리332: RFID signal receiving unit 334: first memory

336 : 제2 메모리 336 : 제어부336: second memory 336: control unit

340 : 지그비 안테나 344 : 파워 운영 모듈340: Zigbee antenna 344: power operating module

346 : RFID 수신기 348, 418 : 무선통신 모듈346: RFID receiver 348, 418: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50 : 중앙관제센터 352 : 서가 서버350: central control center 352: bookshelf server

354 : 위치 DB 서버 360 : 도서관 DB 서버354: Location DB Server 360: Library DB Server

400 : 책장 410 : 정보표시용 모니터400: bookshelf 410: information display monitor

412 : RFID 안테나 414 : 컨트롤러412: RFID antenna 414: controller

416 : RFID 수신기 420 : 동작감지센서416: RFID receiver 420: motion detection sensor

430 : 인디케이터 490 : 레일 제어부430: indicator 490: rail control unit

35 : 중앙관제센터35: Central Control Center

Claims (21)

도서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데이터들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안테나; 및 At least one RFID antenna for detecting tag data from an RFID tag attached to a book; And 상기 도서가 배치된 책장에 부착되어, 상기 RFID 안테나를 통해 감지된 태그데이터들을 리딩 스케쥴에 따라 리딩하고, 리딩된 태그데이터들을 중앙관제센터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리더를 포함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A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RFID reader attached to a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arranged, reading tag data detected through the RFID antenna according to a reading schedule, and providing the read tag data to a central control cent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들은 일정 수로 그룹핑되고, 동일한 그룹에 배치된 RFID 리더들은 상기 스케쥴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에 상기 태그데이터들을 리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RFID readers are grouped in a predetermined number, and RFID readers arranged in the same group read the tag data at different times according to the schedule. 제2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그룹에 배치되어 동일 채널을 이용하는 RFID 리더들 각각은 서로 다른 시간에 상기 RFID 태그들로부터 도서 정보를 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RFID readers arranged in adjacent groups and using the same channel reads book information from the RFID tags at different ti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는 유선통신망 및 무선통신망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데이터를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RFID reader provides the tag data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using at least one of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가 배치된 책장에 부착되어, 상기 RFID 리더를 통해 상기 책장의 각 선반들에 배치된 도서의 이동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센터와 통신하는 지그비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Zigbee antenna attached to a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arranged and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ontrol center as the movement of the book arranged on the shelves of the bookshelf is confirmed through the RFID reader.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에서 대출도서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고, 도서가 상기 책장에서 인출됨에 따라 올바른 도서의 선택인지를 관리자측에 알려주는 정보표시용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control center obtains and displays loan book information, and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display monitor for informing the manager whether the correct book selection as the book is withdrawn from the bookcas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장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전동책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bookcase is an electric bookcase moving along a rai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책장에 부착되어, 책장관리자의 이동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attached to the electric bookshelf to detect movement of the bookshelf mana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장에 형성된 각 칸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원하는 도서가 포함된 칸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dicator attached to a specific position of each compartment formed in the bookcase to indicate a compartment including a desired boo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잘못된 도서를 상기 칸에서 인출시 이를 표시하고, 예약된 작업의 완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of claim 9, wherein the indicator indicates when a wrong book is withdrawn from the compartment and indicates completion of a scheduled t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control center, 태그데이터의 리딩을 수행할 현재 RFID 리더에 리딩 명령을 제공하고, 그의 응답에 따라 해당 RFID 리더로부터 태그데이터들을 제공받는 서가 서버; 및 A bookshelf server providing a reading command to a current RFID reader to perform reading of tag data and receiving tag data from the RFID reader according to a response thereof; And 상기 태그데이터들을 제공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태그데이터를 도서관 DB 서버에 제공하는 서가 DB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okshelf DB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tag data, and provides the stored tag data to the library DB serv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가 서버는 리딩을 수행할 현재 RFID 리더의 정보를 읽어 현재 RFID 리더에 태그데이터의 리딩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 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of claim 11, wherein the bookshelf server reads information of a current RFID reader to perform reading and transmits a reading command of tag data to the current RFID read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가 서버는 상기 RFID 리더의 동작 순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 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of claim 12, wherein the bookshelf server adjusts an operation sequence of the RFID read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가 서버는 상기 RFID 리더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 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of claim 12, wherein the bookshelf server adjusts an operation time of the RFID rea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들 각각에는 상기 리딩 스케쥴에 따른 동작순서, 동작 시간이 저장되어 상기 리딩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 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RFID readers stores an operation sequence and an operation time according to the reading schedule to perform the reading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대여도서 보관대를 갖는 전동카트를 더 포함하고,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cart having a rental book storage, 상기 전동카트는, The electric cart, 상기 대여도서 보관대에 배치된 안테나; An antenna disposed on the rental book storage; 무선통신 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중앙관제센터에서 제공되는 대출 도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용 모니터; 및 An information display monitor install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displaying loan book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And 상기 안테나를 통해 태그데이터를 리딩하여 상기 정보표시용 모니터에 제공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And a RFID reader for reading tag data through the antenna and providing the tag data to the information display moni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용 모니터는,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information display monitor, 태그데이터에 대응하는 RFID 신호를 수신하는 RFID 안테나;An RFID antenna for receiving an RFID signal corresponding to tag data; 상기 RFID 리더와의 통신을 통해 책장에서 이탈하는 도서 정보와 책장에 배치되는 도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제공하는 RFID 수신기; 및 An RFID receiver for receiving the book information leaving the bookshelf and the book information disposed on the bookshelf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RFID reader and providing the book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And 상기 중앙관제센터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지시내용을 제공받아 상기 지시내용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control center and receive the instructions of the central control center and provide the instructions to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nstru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안테나는 상기 도서가 배치된 책장의 선반에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 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RFID antenna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a shelf of a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dispos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안테나는 상기 선반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19.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of claim 18, wherein the RFID antenna is disposed above or below the shelf.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안테나는 상기 선반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19. The library bookcase management system of claim 18, wherein the RFID antenna is embedded in the shel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안테나는 상기 도서가 배치된 책장의 선반과 수직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책장관리 시스템.The library bookshelf management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RFID antenna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a shelf of a bookshelf in which the book is disposed.
KR1020080046427A 2007-06-19 2008-05-20 System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and method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by using the same KR2008011210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9672 2007-06-19
KR1020070059672 2007-06-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103A true KR20080112103A (en) 2008-12-24

Family

ID=403701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423A KR20080112102A (en) 2007-06-19 2008-05-20 System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and method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by using the same
KR1020080046427A KR20080112103A (en) 2007-06-19 2008-05-20 System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and method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by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423A KR20080112102A (en) 2007-06-19 2008-05-20 System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and method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b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80112102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347B1 (en) * 2009-04-16 2010-07-16 주식회사 이씨오 Self check-out system for materials with rfid tag using two rfid antennas
KR101114838B1 (en) * 2011-01-18 2012-03-06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Smart shelf system
CN105740923A (en) * 2016-01-27 2016-07-06 山东冠通智能科技有限公司 Quick listing and removing method of book and archive and intelligent inventory car
CN107463975B (en) * 2017-08-30 2023-10-03 杭州万保箱柜有限公司 RFID management system for file compact shelf
KR102592856B1 (en) * 2023-06-13 2023-10-23 주식회사 베르덴 IoT combined eco-friendly infant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17371464A (en) * 2023-08-24 2024-01-09 北京阿提拉科技有限公司 File management terminal equipment and system
CN117422079A (en) * 2023-10-18 2024-01-19 上海阿法迪智能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Book check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checking robot
CN117315864B (en) * 2023-11-29 2024-03-08 青岛中科力天网络科技有限公司 AI wisdom library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102A (en)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2103A (en) System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and method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by using the same
US10358290B2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20160255969A1 (en) Shopping facility assistan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pertaining to movement of a mobile retail product display
US8577759B2 (en) Inventory control system process
CN1639913B (en) Intelligent station using multiple RF antennae and inventory control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20120286938A1 (en) Visual RFID Tags and Interactive Visual RFID Networks
US20090108997A1 (en) System, devices, and method for energizing passiv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s
US10034400B2 (en) Item storage arran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20109397A1 (en) Location-based smart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method thereof
CN205486257U (en) Archive management system based on RFID
EP2705474A1 (en) Inventory system using radiofrequency enabled inventory identifications
CN208335354U (en) A kind of intelligent bedside cabinet formula vending machine
KR101984224B1 (en) Tag system
CN109015569A (en) Safety tool cupboard with real time on-line monitoring function
US20150356799A1 (en) Command input based on data-carrier orientation
CN212541408U (en) Unattended system
CN214469517U (en) Novel interactive module bacterin preserves case
CN210776798U (en) Intelligent circulation storehouse management system
CN219320810U (en) Medical high-value consumable intelligent house
CA3222604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90378084A1 (en) Storage system comprising a detection arrangement assigned to the storage area
CN210402571U (en) Self-service book room system of returning
JP4205635B2 (en) Article detection system
CN214410004U (en) Intelligent file positioning cabinet
EP4290410A2 (en) Communicating weight sensor units, asset tags and dispensing units and enclosures, and techniques for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12

Effective date: 200905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