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856B1 - IoT combined eco-friendly infant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IoT combined eco-friendly infant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856B1
KR102592856B1 KR1020230075836A KR20230075836A KR102592856B1 KR 102592856 B1 KR102592856 B1 KR 102592856B1 KR 1020230075836 A KR1020230075836 A KR 1020230075836A KR 20230075836 A KR20230075836 A KR 20230075836A KR 102592856 B1 KR102592856 B1 KR 102592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unit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르덴
백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르덴, 백규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르덴
Priority to KR102023007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8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85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4Event det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책을 세워서 거치하되 전면 표지가 앞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책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책 거치대는, 책의 후면 표지가 밀착되는 후면지지부와, 후면지지부의 하단에 직각되게 연결되며 책의 하단이 안착되는 하부지지부를 포함하고, 하부지지부의 상부로 형성되어 책의 수납시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후면지지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수납된 책의 전면 표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된 책 인지수단; 상기 책 인지수단을 책이 배치되는 위치별로 구별하여 위치정보를 특정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 저장부; 상기 책 인지수단에서 수득된 책의 이미지,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와 해당 책을 매칭시켜 도서 정보로 저정하는 도서정보 저장부; 각각의 정보를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전송하는 무선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무선데이터 전송부에 연결되어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해주는 어플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co-friendly children's furniture combined with IoT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mprising a book holder that holds a book upright and arranges the front cover facing forward, wherein the book holder has a back cover of the book. It includes a rear support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pport portion, which is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of the rear support portion and o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book is seated. A detection senso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to detect a touch when the book is stored,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A book recognition means consisting of a camera formed at the front end and installed toward the rear support portion to photograph the front cover of the stored book;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differentiates the book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book is placed and specifies and stores location information; a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converts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ook obtained from the book recognition means into a database, classifies it, matches the classified information with the book, and stores it as book information; It includes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each information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portable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receives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input information on a user interface.

Description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 및 이의 제조 방법{IoT combined eco-friendly infant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IoT combined eco-friendly infant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IoT combined eco-friendly infant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co-friendly children's furniture combined with IoT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가구는 실내에 배치되는 생활 및 작업 등에 쓰이는 모든 용구를 총칭하는 것이다. In general, furniture is a general term for all equipment used for living and working that is placed indoors.

이러한 가구는 어느 정도 항구적이어야 하므로, 소재는 주로 목재 또는 돌, 금속, 플라스틱 및 유리 등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사용목적에 따라 기능과 더불어 미적요소가 추구되어 사용자의 취미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종류로 제작된다.Since such furniture must be permanent to some extent, the materials are mainly made of wood, stone, metal, plastic, and glas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esthetic elements as well as function are pursued, and various types are available to suit the user's hobbies and tastes. It is produced.

가구는 기능에 따라 책상, 침대, 의자 등의 인체지지용 가구와, 정보 및 취미생활을 위해 만들어진 TV, 오디오 등의 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진열용 가구로 구분될 수 있다.Depending on its function, furniture can be divided into furniture for supporting the human body such as desks, beds, and chairs, and furniture for display to hold devices such as TVs and audio systems made for information and hobbies.

근래에는 어린이를 위한 유아용 가구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을 사용해야 하고, 어린이에게 적합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Nowadays, baby furniture for children must use material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must be manufactured in a size and shape suitable for children.

아직까지는 유아 전용 가구의 대중적인 개발이 미흡하였고 유아를 고려한 기능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Until now, there has been a lack of popular development of furniture specifically for infants, and there has been a lack of functionality considering infants.

예를들어 책장의 경우 종래와 마찬가지로 대량의 책을 수납할 수 있도록 책의 측면이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고 글씨체가 작은 측면이 외부에 보이게 되므로 유아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책의 구별도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ookshelf, as in the past, the side of the book is placed toward the front so that it can store a large number of books, so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latively small and the side with small font is visible to the outside, so it does not attract the interest of children, and the book There was a drawback that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아울러 진열된 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기 위해 사람이 직접 확인하여야 하고, 이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관리서버에 입력해두는 정도의 관리 수준에 불과하였다.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out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books on display, a person had to personally check them, and the level of management was limited to inputting the relevant information data into the management server.

따라서 대량의 책이 보관되는 도서관, 서점에서는 책의 정보가 기초적인 데이터에 불과하고, 진열된 책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 또는 책을 열어보는 빈도와 같은 구체적인 자료를 정리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웠고, 이를 토대로하는 관리 시스템의 구축도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libraries and bookstores where large quantities of books are stored, book information is only basic data,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obtain information that organizes specific data such as customer interest in the books on display or the frequency of opening books. The construction of a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is also had the disadvantage of being insufficient.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20-2005-0027365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5-0027365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아가 책을 수납하기 편하고, 책의 표지가 보이도록 거치할 수 있어 인지하기 쉽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책장에 거치된 책들을 열어보거나 꺼내보는 경우 해당 책에 대한 관심도로 인지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아가 좋아하는 책의 내용, 디자인, 색상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여 유아의 성향을 파악하는 자료를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making it easier for children to store books and make them easier to recognize by allowing them to place the books with their covers visible. In addition, it allows children to open or take out books mounted on the bookshelf. In this case, data can be used to identify the child's tendency by recognizing the child's interest in the book, collecting data on it, and based on this data, confirming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the content, design, and color of the child's favorite book. The purpose is to provide eco-friendly baby furni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mbined with IoT to improve concentration.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판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판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책을 세워서 거치하되 전면 표지가 앞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책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책 거치대는 책의 후면 표지가 밀착되는 후면지지부와, 후면지지부의 하단에 직각되게 연결되며 책의 하단이 안착되는 하부지지부를 포함하고,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o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supported on the ground, a book holder horizontal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and arranged to hold a book upright with the front cover facing forward, the book holder It includes a rear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back cover of the book is closely attached, and a lower support portion that is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of the rear support portion and onto which the bottom of the book is seated,

하부지지부의 상부로 형성되어 책의 수납시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후면지지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수납된 책의 전면 표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된 책 인지수단; A book recognition means consisting of a detection sensor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upport part to detect a touch when a book is stored, and a camera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pport part and installed to face the rear support part to photograph the front cover of the stored book;

상기 책 인지수단을 책이 배치되는 위치별로 구별하여 위치정보를 특정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 저장부;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differentiates the book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book is placed and specifies and stores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책 인지수단에서 수득된 책의 이미지,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와 해당 책을 매칭시켜 도서 정보로 저정하는 도서정보 저장부; a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converts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ook obtained from the book recognition means into a database, classifies it, matches the classified information with the book, and stores it as book information;

상기 책 거치대에 비치된 책을 들어올리거나 표지를 열어보는 이벤트를 감지센서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 정보를 도서정보 저장부에서 수집한 후 비치된 책 별로 이벤트 발생 횟수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이벤트 카운터 저장부; An event counter detects an event of lifting a book or opening the cover of a book placed on the book stand with a sensor, collects the detected event information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n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event occurrences for each book placed. storage unit;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 도서정보 저장부, 이벤트 카운터 저장부 각각의 정보를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전송하는 무선데이터 전송부와,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event counter storage unit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무선데이터 전송부에 연결되어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해주는 어플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receives input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input information on a user interface;

를 포함하는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is can be achieved by eco-friendly baby furniture combined with IoT to improve concentration, including.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는 책 거치대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종방향으로 각 단을 구별하여 부여하는 Y축방향 정보 수집부와, 책 거치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책 인지수단을 구별하여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한 X축 방향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distinguishes between a Y-axis direc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distinguishes and assigns each sta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book holder, and a plurality of book recognition means formed horizontally on the book holder and numbers them in ord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vided X-axis direc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상기 도서정보 저장부는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책 인지수단에서 수득된 책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책을 인터넷 검색툴을 이용한 검색에 의해 찾은 도서명과, 아울러 검색에 의해 획득된 책의 스토리를 수록한 도서 정보를 수집하는 도서 개별정보 수집부와, A book individu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book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a book found through a search using an Internet search tool for a book that matches the image of the book obtained from the book recognition means, as well as the story of the book obtained through the search;

책의 내용 중에서 핵심 키워드를 하나 이상 선정하고, 선정된 키워드를 수집하는 키워드 정보 수집부와, a keyword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selects one or more key keywords from the contents of the book and collects the selected keywords;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그림과 제목으로부터 책 표지 이미지와 책 제목을 분리하여 추출한 후 제목과 표지 이미지를 병렬 배치하여 섬네일을 합성하는 섬네일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humbnai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separates and extracts the book cover image and the book title from the picture and title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d then synthesizes the thumbnail by juxtaposing the title and cover image.

상기 책 거치대의 지지판에 장착되며, 상기 도서정보 저장부에서 수득된 도서 개별정보, 키워드, 섬네일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 음향을 표출하는 스피커로 구성된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mage display unit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of the book holder and configured to display book individual information, keywords, and thumbnails obtained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a speaker connected to the display to express sound. Do it as

상기 이벤트 카운터 저장부는 책 거치대에 비치된 책을 들어올려서 감지센서와 책이 이격되면 이격 이벤트로 판단하는 이격감지부와, 책 표지를 열어볼때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면 진동 이벤트로 판단하는 진동감지부 및 상기 이격감지부 또는 진동감지부의 각 이벤트 발생횟수를 감지하는 카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vent counter storage unit includes a separation detection unit that lifts a book placed on a book stand and determines it as a separation event when the book is separa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a vibr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rmines it as a vibration event when it detects vibration generated when opening the book cover. and a counter unit that detect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each event of the separation detection unit or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상기 책 거치대의 후면지지부는 책의 후면이 밀착되며 책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책 이동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며 상기 책 이동부에 통하도록 형성되어 책이 배출되는 통공과, 상기 지지판의 외부에 형성되어 통공의 하부에 형성되는 책 수거함을 포함하고, 상기 책 이동부의 이동 간격을 한정시켜 책이 한권씩만 통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동간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ar support part of the book holder includes a book moving part that adheres to the back of the book and moves the book laterally; It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and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book moving unit through which books are discharged, and a book collection box formed outside the support plate and formed in a lower part of the through hole, and limiting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book moving part to allow books to be discharge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ovement interval control unit that allows only one book at a time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hole.

상기 책 이동부는 후면지지부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며 횡방향으로 일정 구간을 갖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의 양단에 각기 결합되며 상기 장착홈의 양측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회전구동되는 제1,2롤러와, 제1롤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원을 포함한다. The book moving part is inserted into a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rear support portion and includes a transport belt having a certain 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first and second part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ransport belt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ounting groove with bearings to be rotated. It includes a roller and a drive source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roller and exerts rotational force.

상기 이동간격 제어부는 이송벨트는 길이방향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노치와,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노치를 감지하는 감지기로 구성되어 노치의 이동 간격을 감지하여 이송벨트의 회전량을 노치와 노치 사이의 간격으로 제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vement interval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otch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transport belt and a sensor formed inside the mounting groove to detect the notches, and detects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notches to determine the speed of the transport bel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amount is limited to the gap between notches.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가 책을 수납하기 편하고, 책의 표지가 보이도록 거치할 수 있어 인지하기 쉽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venient for children to store books, and the book can be mounted so that the cover is visible, making it easy to recognize, making it convenient to use and safe.

또한 책장에 거치된 책들을 열어보거나 꺼내보는 경우 해당 책에 대한 관심도로 인지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아가 좋아하는 책의 내용, 디자인, 색상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여 유아의 성향을 파악하는 자료를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books on the bookshelf are opened or taken out, the child's level of interest in the book is recognized and data is collected. Based on this data,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the content, design, and color of the child's favorite book is confirmed. Data can be used to identify children's tendenci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에 대한 구성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의 이동부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에서 '개도율 조절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의 '개도율 조절기'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IoT-combined eco-friendly baby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IoT-combined eco-friendly baby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IoT-combined eco-friendly baby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IoT-combined eco-friendly baby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part of IoT-combined eco-friendly baby furniture to improv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rate controller' in IoT-combined eco-friendly baby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the 'opening rate controller' of Figure 6.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e same as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meani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includes instances where the element or layer is directly on top of or intervening with another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fu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conduct them together due to a related relationship.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에 대한 구성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의 이동부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에서 '개도율 조절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의 '개도율 조절기'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Among the attached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IoT-combined eco-friendly baby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IoT-combined eco-friendly baby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rawing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eco-friendly children's furniture combined with IoT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eco-friendly children's furniture combined with IoT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IoT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part of the combined eco-friendly baby furnitur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rate controller' in the IoT combined eco-friendly baby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rate controller' of Figure 6. This is a partial plan view.

본 발명에 따른 집중도 향상을 위한 IoT 결합 친환경 유아용 가구는,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판(100)과, 복수개의 지지판(100)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책(B)을 세워서 거치하되 전면 표지가 앞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책 거치대(200)를 포함한다. The IoT-combined eco-friendly baby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100 supported on the ground,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100, and holds a book (B) upright, with a front cover. It includes a book holder (200) arranged to face forward.

책 거치대(200)는 책의 후면 표지가 밀착되는 후면지지부(220)와, 후면지지부(220)의 하단에 직각되게 연결되며 책의 하단이 안착되는 하부지지부(240)로 구성되어 단면이 대략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book holder 200 is composed of a rear support part 220 on which the back cover of the book is closely attached, and a lower support part 240 that is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of the rear support part 220 and on which the bottom of the book is seated, and has a cross-section of approximately '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ㄴ’.

또한 하부지지부(240)의 상부로 형성되어 책의 수납시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20)와, 하부지지부(240)의 전단에 형성되어 후면지지부(220)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수납된 책의 전면 표지를 촬영하는 카메라(340)로 구성된 책 인지수단(300);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 detection sensor 32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upport part 240 and detects a touch when the book is stored, and is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pport part 240 and is installed to face the rear support part 220 to detect the touch when the book is stored. It includes a book recognition means (300) consisting of a camera (340) that photographs the front cover.

감지센서(320)는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The detection sensor 320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load.

감지센서(320)에서 책의 터치가 감지되면 카메라(340)가 촬영을 시작한다. When the touch of the book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320, the camera 340 starts taking pictures.

촬영된 책 전면 표지 이미지는 무선데이터 전송부(W)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360)로 전송된다. The photographed front cover image of the book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60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W).

또한 상기 책 인지수단(300)을 책이 배치되는 위치별로 구별하여 위치정보를 특정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 저장부(400);를 포함한다. It also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400 that differentiates the book recognition means 300 by location where the book is placed and specifies and stores location information.

위치정보 저장부(400)는 책 거치대(20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종방향으로 각 단을 구별하여 부여하는 Y축방향 정보 수집부(420)와, 책 거치대(200)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책 인지수단(300)을 구별하여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한 X축 방향정보 수집부(440)를 포함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400 includes a Y-axi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20 that is assigned to each stag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ok holder 200 toward the top, and a Y-axi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20 formed laterally on the book holder 200. It includes an

예를들어, 책(B)의 위치를 가로축(X축) 방향 및 세로축(Y축) 방향을 기준으로 좌표를 정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of the book (B) are determined based on the horizontal axis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Y-axis) direction.

가로축 방향은 좌에서 우로 a1, a2, a3,,,으로 구별된다. 각 감지센서(320)는 고유의 번호가 주어진다.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is divided into a1, a2, a3,,, from left to right. Each detection sensor 320 is given a unique number.

세로축 방향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b1, b2, b3,,,으로 구별된다. 각 단의 책 거치대(200)는 고유의 번호가 주어진다. The vertical axis direction is divided into b1, b2, b3,,,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book holder 200 in each stage is given a unique number.

따라서 특정 책의 위치를 좌표값(x,y)로 특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a1,b1), (a1,b2)... 등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 좌표값 위치 정보를 위치정보 저장부(400)에 저장한다. Therefore, the location of a specific book can be specified by coordinate values (x, y). For example, it can be displayed as (a1,b1), (a1,b2)..., etc., and this coordinate valu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400.

또한 책 인지수단(300)에서 수득된 책의 이미지,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와 해당 책을 매칭시켜 도서 정보로 저정하는 도서정보 저장부(500);를 포함한다. It also includes a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that converts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ook obtained from the book recognition means 300 into a database, classifies it, matches the classified information with the book, and stores it as book information.

도서정보 저장부(500)는,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책 인지수단(300)에서 수득된 책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책을 인터넷 검색툴을 이용한 검색에 의해 찾은 도서명과, 아울러 검색에 의해 획득된 책의 스토리를 수록한 도서 정보를 수집하는 도서 개별정보 수집부(510)와, Book individual information collection that collects book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a book found by searching for a book matching the image of the book obtained by the book recognition means 300 using an Internet search tool, and the story of the book obtained through the search. Boo (510) and,

책의 내용 중에서 핵심 키워드를 하나 이상 선정하고, 선정된 키워드를 수집하는 키워드 정보 수집부(520)와, a keyword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20 that selects one or more key keywords from the contents of the book and collects the selected keywords;

카메라(340)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그림과 제목으로부터 책 표지 이미지와 책 제목을 분리하여 추출한 후 제목과 표지 이미지를 병렬 배치하여 섬네일을 합성하는 섬네일 정보 수집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ncludes a thumbnai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30 that separates and extracts the book cover image and the book title from the picture and title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340 and then synthesizes the thumbnail by arranging the title and cover image in parallel.

또한 상기 책 거치대(200)에 비치된 책을 들어올리거나 표지를 열어보는 이벤트를 감지센서(320)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 정보를 도서정보 저장부(500)에서 수집한 후 비치된 책 별로 이벤트 발생 횟수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이벤트 카운터 저장부(60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320 detects an event of lifting a book or opening the cover of a book placed on the book stand 200, collects the detected event information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and then events each book placed on the book stand 200. It includes an event counter storage unit 600 that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occurrences.

이벤트 카운터 저장부(600)는, 책 거치대(200)에 비치된 책을 들어올려서 감지센서와 책이 이격되면 이격 이벤트로 판단하는 이격감지부(620)와, 책 표지를 열어볼때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면 진동 이벤트로 판단하는 진동감지부(630) 및 상기 이격감지부(620) 또는 진동감지부(630)의 각 이벤트 발생횟수를 감지하는 카운터부(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event counter storage unit 600 includes a separation detection unit 620 that determines a separation event when a book placed on the book stand 200 is lifted and the book is separa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a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book cover is opened. It includes a vibration detection unit 630 that determines a vibration event when detected, and a counter unit 640 that detect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each event of the separation detection unit 620 or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630.

즉, 책을 읽으려 하거나 또는 단지 호기심에 책을 들어올리거나 표지를 열어보면 이를 모두 책에 대한 관심도가 집중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책의 이격 동작 또는 책 표지를 열어보는 동작을 각기 이벤트로 판단하고, 각각의 이벤트 발생횟수를 카운팅한다. In other words, when you lift a book or open the cover to read it or just out of curiosity, this is judged to be a focus of interest in the book. Therefore, the action of separating a book or opening the book cover is judged as an event, and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each event is counted.

가장 이벤트 발생 횟수가 높은 책은 관심도가 높은 책으로 판단하게 되어 상위 랭킹에 올라가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360)에 전송된다. The book with the highest number of event occurrences is determined to be a book of high interest, is ranked high, and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60.

또한 위치정보 저장부(400), 도서정보 저장부(500), 이벤트 카운터 저장부(600) 각각의 정보를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전송하는 무선데이터 전송부(W)를 포함한다. It also includes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W) that transmits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400,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and the event counter storage unit 600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데이터 전송부(W)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와이파이 또는 5G, 3G 등의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각종 정보를 외부로 전송시킬 수 있다.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W)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can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to the outsid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5G, or 3G.

또한 상기 무선데이터 전송부(W)에 연결되어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해주는 어플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360);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also include a portable terminal 360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W), receives input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input information on a user interface.

휴대용 단말기(360)는 스마트폰일 수 있고, 스마트폰에는 관리를 위한 어플이 설치되어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360 may be a smartphone, and an application for management is installed on the smartphone.

어플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입출력 등의 기능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인지가 용이한 아이콘 등의 그래픽으로 나타낸다. The application's user interface, or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s displayed in graphics such as icons that are easy to recognize so that users can easily operate functions such as input and output for convenient use.

또한 책 거치대(200)의 지지판(100)에 장착되며, 상기 도서정보 저장부(500)에서 수득된 도서 개별정보, 키워드, 섬네일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720)와, 상기 디스플레이(720)에 연결되어 음향을 표출하는 스피커(740)로 구성된 영상표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It is also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100 of the book holder 200, and is connected to a display 720 that displays book individual information, keywords, and thumbnails obtained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and the display 720. It may include an image display unit 700 consisting of a speaker 740 that expresses sound.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책 거치대(200)의 후면지지부(220)는 Meanwhile, 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rear support portion 220 of the book holder 200 is

책의 후면이 밀착되며 책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책 이동부(250)와, 지지판(100)에 형성되며 상기 책 이동부(250)에 통하도록 형성되어 책이 배출되는 통공(120)과, 상기 지지판(100)의 외부에 형성되어 통공(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책 수거함(140)을 포함하고, 책 이동부(250)의 이동 간격을 한정시켜 책이 한권씩만 통공(12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동간격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book moving part 250 that adheres to the back of the book and moves the book laterally; a through hole 120 formed on the support plate 100 and communicated with the book moving part 250 through which the book is discharged; It includes a book collection box 140 formed outside the support plate 100 and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through hole 120, and limits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book moving unit 250 to discharge only one book at a time into the through hole 120. It includes a movement interval control unit (not shown) that ensures that

상기 책 이동부(250)는 후면지지부(220)에 형성된 장착홈(222)에 삽입되며 횡방향으로 일정 구간을 갖는 이송벨트(254)와, 상기 이송벨트(254)의 양단에 각기 결합되며 상기 장착홈(222)의 양측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회전구동되는 제1,2롤러(251,252)와, 제1롤러(25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원(2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book moving part 25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22 formed in the rear support part 220 and is coupled to a transport belt 254 having a certain 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transport belt 254, respectively.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rollers 251 and 252 coupled with bearings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groove 222 and driven to rotate, and a drive source 255 connected to the first roller 251 to exert rotational force.

책이 이송벨트(254)에 밀착되고, 이송벨트(254)가 일정 간격 이동됨에 따라 책이 구간별로 이동될 수 있다.The boo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ransport belt 254, and as the transport belt 254 moves at a certain interval, the book can be moved section by section.

바람직하게는 책(B)의 하단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수평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부지지부(240)의 상면에 원통형상의 볼(256)이 다수 매설된다. 따라서 다수의 볼(256)에 책(B)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책이 이동될때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동이 보조될 수 있다. Preferably, a number of cylindrical balls 256 are embed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art 240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book B so that it can be stably moved horizontally. Therefore, by having the lower end of the book (B)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balls 256, friction can be minimized when the book is moved, thereby assisting movement.

책의 이동은 일정 길이로 이동 간격이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이동 간격은 이동간격 제어부(800)에 의해 설정된다.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book may be set to a certain length, and this movement interval is set by the movement interval control unit 800.

상기 이동간격 제어부(800)는 상기 이송벨트(254)는 길이방향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노치(810)와, 상기 장착홈(222)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노치(810)를 감지하는 감지기(820)로 구성되어 노치(810)의 이동 간격을 감지하여 이송벨트의 회전량을 노치(810)와 노치(810) 사이의 간격으로 제한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movement interval control unit 800 has a plurality of notches 81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transport belt 254 and is formed inside the mounting groove 222 to detect the notches 810. It consists of a sensor 820 that detects the movement gap of the notch 810 and limits the rotation amount of the transfer belt to the gap between the notches 810.

예를들면, 감지기(820)는 노치(810)와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레버를 구비하여, 레버의 작동으로 노치(810)와의 접촉을 인지하는 리미트스위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tector 820 may be a limit switch that includes a lever that is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notch 810 and recognizes contact with the notch 810 by operating the lever.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지판(100)에 형성되어 책이 배출되는 통공(120)에는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도율 조절기(90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through hole 120 formed in the support plate 100 through which books are discharged may include an opening rate controller 900 that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개도율 조절기(900)는, The opening rate controller 900 is,

진공흡입덕트(160)가 결합되는 지지판(100)에 형성된 통공(120)의 주변에 형성되며 레일홈(912)을 구비한 가이드부재(910); A guide member 910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120 formed in the support plate 100 to which the vacuum suction duct 160 is coupled and having a rail groove 912;

상기 가이드부재(910)의 레일홈(912)에 결합되어 이동되어 통공(120)을 개폐하고, 외면에 랙기어(922)가 형성된 개폐판(920);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920 that is coupled to the rail groove 912 of the guide member 910 and moves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120, and has a rack gear 922 formed on its outer surface;

상기 지지판(100)에 부착되는 모터(932)와, 모터(932)의 축에 형성되어 랙기어(922)와 치차결합되는 피니언기어(934)로 구성된 구동부(930)를 포함한다. It includes a driving unit 930 consisting of a motor 932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100 and a pinion gear 934 formed on the axis of the motor 932 and geared to the rack gear 922.

구동부(930)는 함체(200)의 외측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온-오프 작동이 제어된다. The driving unit 930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enclosure 200 to control on-off operation.

모터(932)가 온(on) 작동되어 피니언기어(934)가 회전되므로 랙기어(922)가 형성된 개폐판(9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통공(120)의 개도율이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입력이 조절될 수 있다. Since the motor 932 is turned on and the pinion gear 934 is rotated, the opening rate of the through hole 120 can be adjusted by raising or lowe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920 on which the rack gear 922 is formed. Suction power can be adjusted according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지지판 120 ; 통공
200 : 책 거치대 220 : 후면지지부
240 ; 하부지지부 300 : 책 인지수단
320 ; 감지센서 340 : 카메라
400 : 위치정보 저장부 420 : Y축 방향정보 수집부
440 : X축 방향정보 수집부 500 : 도서정보 저장부
510 : 도서 개별정보 수집부 520 ; 키워드 정보 수집부
530 : 섬네일 정보 수집부 600 : 이벤트 카운터 저장부
620 : 이격감지부 630 : 진동감지부
640 ; 카운터부 700 : 영상표시부
720 : 디스플레이 740 ; 스피커
800 : 이동간격 제어부 810 : 노치
820 : 감지기
100: support plate 120; Tonggong
200: Book holder 220: Rear support
240 ; Lower support 300: book recognition means
320 ; Detection sensor 340: Camera
400: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420: Y-axis direc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40: X-axis direc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00: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510: Book individu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20; Keyword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530: Thumbnai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600: Event counter storage unit
620: Separation detection unit 630: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 Counter unit 700: Video display unit
720: display 740; speaker
800: Movement interval control unit 810: Notch
820: Sensor

Claims (3)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판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판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책을 세워서 거치하되 전면 표지가 앞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책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책 거치대는
책의 후면 표지가 밀착되는 후면지지부와, 후면지지부의 하단에 직각되게 연결되며 책의 하단이 안착되는 하부지지부를 포함하고,
하부지지부의 상부로 형성되어 책의 수납시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후면지지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수납된 책의 전면 표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된 책 인지수단;
상기 책 인지수단을 책이 배치되는 위치별로 구별하여 위치정보를 특정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 저장부;
상기 책 인지수단에서 수득된 책의 이미지,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와 해당 책을 매칭시켜 도서 정보로 저정하는 도서정보 저장부;
상기 책 거치대에 비치된 책을 들어올리거나 표지를 열어보는 이벤트를 감지센서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 정보를 도서정보 저장부에서 수집한 후 비치된 책 별로 이벤트 발생 횟수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이벤트 카운터 저장부;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 도서정보 저장부, 이벤트 카운터 저장부 각각의 정보를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전송하는 무선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무선데이터 전송부에 연결되어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해주는 어플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는
책 거치대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종방향으로 각 단을 구별하여 부여하는 Y축방향 정보 수집부와,
책 거치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책 인지수단을 구별하여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한 X축 방향정보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서정보 저장부는
책 인지수단에서 수득된 책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책을 인터넷 검색툴을 이용한 검색에 의해 찾은 도서명과, 아울러 검색에 의해 획득된 책의 스토리를 수록한 도서 정보를 수집하는 도서 개별정보 수집부와,
책의 내용 중에서 핵심 키워드를 하나 이상 선정하고, 선정된 키워드를 수집하는 키워드 정보 수집부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그림과 제목으로부터 책 표지 이미지와 책 제목을 분리하여 추출한 후 제목과 표지 이미지를 병렬 배치하여 섬네일을 합성하는 섬네일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카운터 저장부는
책 거치대에 비치된 책을 들어올려서 감지센서와 책이 이격되면 이격 이벤트로 판단하는 이격감지부와,
책 표지를 열어볼때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면 진동 이벤트로 판단하는 진동감지부 및
상기 이격감지부 또는 진동감지부의 각 이벤트 발생횟수를 감지하는 카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책 거치대의 후면지지부는
책의 후면이 밀착되며 책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책 이동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며 상기 책 이동부에 통하도록 형성되어 책이 배출되는 통공과, 상기 지지판의 외부에 형성되어 통공의 하부에 형성되는 책 수거함을 포함하고,
상기 책 이동부의 이동 간격을 한정시켜 책이 한권씩만 통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동간격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책 이동부는
후면지지부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며 횡방향으로 일정 구간을 갖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의 양단에 각기 결합되며 상기 장착홈의 양측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회전구동되는 제1,2롤러와, 제1롤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원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간격 제어부는
상기 이송벨트는 길이방향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노치와,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노치를 감지하는 감지기로 구성되어 노치의 이동 간격을 감지하여 이송벨트의 회전량을 노치와 노치 사이의 간격으로 제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가구.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supported on the ground,
It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and includes a book holder for holding books upright with the front cover facing forward,
The book stand
It includes a rear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back cover of the book is closely attached, and a lower support portion that is connected at a right angle to the bottom of the rear support portion and onto which the bottom of the book is seated,
A book recognition means consisting of a detection sensor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upport part to detect a touch when a book is stored, and a camera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pport part and installed to face the rear support part to photograph the front cover of the stored book;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differentiates the book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book is placed and specifies and stores location information;
a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converts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ook obtained from the book recognition means into a database, classifies it, matches the classified information with the book, and stores it as book information;
An event counter detects an event of lifting a book or opening the cover of a book placed on the book stand with a sensor, collects the detected event information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n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event occurrences for each book placed. storage unit;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event counter storage unit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It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receives input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input information on a user interface.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A Y-axi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provided to each stag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ok holder to the upper part,
It includes an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unit
A book individu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book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a book found through a search using an Internet search tool for a book that matches the image of the book obtained from the book recognition means, as well as the story of the book obtained through the search;
a keyword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selects one or more key keywords from the contents of the book and collects the selected keywords;
It includes a thumbnai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separates and extracts the book cover image and the book title from the picture and title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d then synthesizes the thumbnail by juxtaposing the title and cover image;
The event counter storage unit
A separ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rmines a separation event when a book placed on a book stand is lifted and the book is separated from the sensor,
A vibr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vibration that occurs when opening the cover of a book and determines it to be a vibration event.
It includes a counter unit that detect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each event in the separation detection unit or vibration detection unit,
The rear support of the book holder is
A book moving part that adheres to the back of the book and moves the book laterally;
It includes a hol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and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book moving unit through which books are discharged, and a book collection box formed outside the support plate and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ole,
It includes a movement interval control unit that limits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book moving unit so that only one book is discharged through the hole,
The book moving part
A transport belt inserted into a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rear support and having a certain 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irst and second roller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ransport belt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ounting groove with bearings and driven to rotate, and It includes a drive source that is connected to one roller and exerts rotational force,
The movement interval control unit
The transport bel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otch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longitudinal end, and a sensor formed inside the mounting groove to detect the notches, and detects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notches to determine the rotation amount of the transport belt between the notches and the notches. Children's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ing between notches is limi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75836A 2023-06-13 2023-06-13 IoT combined eco-friendly infant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5928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836A KR102592856B1 (en) 2023-06-13 2023-06-13 IoT combined eco-friendly infant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836A KR102592856B1 (en) 2023-06-13 2023-06-13 IoT combined eco-friendly infant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856B1 true KR102592856B1 (en) 2023-10-23

Family

ID=8850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836A KR102592856B1 (en) 2023-06-13 2023-06-13 IoT combined eco-friendly infant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85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102A (en) * 2007-06-19 2008-12-24 세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System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and method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by using the same
US8175925B1 (en) * 2006-08-18 2012-05-08 Amazon Technologies, Inc. Position-based item identification in a materials handling facility
CN106333553A (en) * 2016-08-30 2017-01-18 王献勇 Intelligent and healthy lifting learning table
KR101862583B1 (en) * 2018-01-23 2018-05-31 주식회사 뮤엠교육 Smart Bookcase System with Preview
KR20200034234A (en) * 2018-09-21 2020-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searching a book using a bookshelf with a book code reader
KR102234172B1 (en) * 2020-09-16 2021-03-31 (주)웅진씽크빅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twin book shel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5925B1 (en) * 2006-08-18 2012-05-08 Amazon Technologies, Inc. Position-based item identification in a materials handling facility
KR20080112102A (en) * 2007-06-19 2008-12-24 세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System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and method for managing a library bookshelf by using the same
CN106333553A (en) * 2016-08-30 2017-01-18 王献勇 Intelligent and healthy lifting learning table
KR101862583B1 (en) * 2018-01-23 2018-05-31 주식회사 뮤엠교육 Smart Bookcase System with Preview
KR20200034234A (en) * 2018-09-21 2020-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searching a book using a bookshelf with a book code reader
KR102234172B1 (en) * 2020-09-16 2021-03-31 (주)웅진씽크빅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twin book shel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0608B2 (en) Determining display orientations for portable devices
US8199117B2 (en) Archive for physical and digital objects
JP6555129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596568B1 (en) Content display control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CN102682742B (en) Transparent display and operational approach thereof
CN101878487B (en) User interface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329634B2 (en) Display equipment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intelligent pad
US10839199B2 (en) Image selecting device, image selecting method,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8566329B1 (en) Automated tag suggestions
US9253631B1 (en) Location based functionality
KR101862583B1 (en) Smart Bookcase System with Preview
WO2002012990A3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digital media
TW201401184A (en) Smart remin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7025045A (en)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KR20160095455A (e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image
KR102592856B1 (en) IoT combined eco-friendly infant furnitur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3902162A (en) Mobile terminal picture check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picture checking system
US20210073269A1 (en) Method for clustering at least two timestamped photographs
US20210075754A1 (en) Method for sharing a photograph
JP2009301119A (en) Image display device
US20180367838A1 (en) Systems for and methods of browsing and viewing huge and heterogeneous media collections on tv with unified interface
JP695879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computer programs and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KR20220079011A (en) Reading voice support methods, devices and systems
US20210072869A1 (en) Method for retrieving at least two captured photographs
CN106599067B (en) Photo display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