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607A - 승마 운동구 - Google Patents

승마 운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607A
KR20080111607A KR1020070059755A KR20070059755A KR20080111607A KR 20080111607 A KR20080111607 A KR 20080111607A KR 1020070059755 A KR1020070059755 A KR 1020070059755A KR 20070059755 A KR20070059755 A KR 20070059755A KR 20080111607 A KR20080111607 A KR 20080111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riding
horse
upper fram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378B1 (ko
Inventor
진방호
Original Assignee
진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방호 filed Critical 진방호
Priority to KR1020070059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378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기대(10) 위에 설치되어 안장(12)을 승마 동작으로 진동시키는 진동기구(11)와, 진동기구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을 승마 동작으로 흔들어 주는 안장(12)과, 진동기구(11)를 구동하는 구동장치(41)로 구성하고, 상기 진동기구(11)는 크랭크핀(17)의 원궤도(18) 진행에 지배되는 안장(12)의 앞부분 거동을 말이 앞발로 뛰는 동작(a-b-c-d-e-f-g-h)으로 순환시키고, 상기 슬라이더(19)를 기점으로 진퇴 동작에 하는 안장(12)의 뒷부분 거동을 말이 뒷발로 땅을 차고 앞으로 내딛는 동작(A-B-C-D-E-F-G-H)으로 순환시켜 안장에서 승마동작을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이다.
승마운동구, 안장, 상프레임, 하프레임, 주축

Description

승마 운동구 {THE RIDING SPORTS MACHINES}
도 1은 이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이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이 발명의 정면도
도 4는 이 발명의 안장 동작 변화도
도 5는 이 발명 안장 거동의 추적 도구
도 6은 이 발명 안장 거동의 추적도
도면주요부호의설명
10은 기대, 11은 진동기구, 12는 안장, 13은 하프레임, 14는 주축, 15는 관성바퀴, 18은 원궤도, 17은 크랭크핀, 19는 슬라이더, 23은 상프레임, 26은 안장높이, 29는 레일, 41은 구동장치, 42는 페달조립체, 43,44 체인기어, 45는 체인, X는 수직축, y는 수평축, H는 핸들.
이 발명은 승마 운동구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는 사용자가 운동구의 안장에 올 앉으면 구동부가 운동구의 안장을 말 안장 처럼 흔들어 주어 전신에 유산소 운 동을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를 제공 하려는 것이다.
승마는 사람과 말이 일체가 되어 온 몸을 움직이는 온동으로, 기수의 기술과 말의 능력을 조화를 이루어야 좋은 경기를 보여 줄 수 있다.
승마는 고대 부터 이용되는 교통 수단 이었고 말을 다루는 기술은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현대에 와서 말은 고급 스포츠로 자리를 잡았고 1912년 국제 마술연맹이 창립되었고, 조선 광해군 때에는 하나의 무예로서 발전되었다.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말을 사육하여 승마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 발명은 이용자가 올라 앉을 수 있는 구동 안장을 만들고, 구동 안장을 말 안장 처럼 구동 하므로 전신의 유산소 운동을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99481호에 승마겸용 헬스 자전거가 게시 되었다. 이 승마 운동구는 평행 베이스파이프, 한쌍의 베이스프레임, 한쌍의 지지판, 핸들파이프,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페달 풀리, 대략 직사각형인 틀 고정대, 회전 바퀴 및 회전바퀴 풀리, 동력 전달용 벨트, 안장 파이프를 구비하고, 다시 회전바퀴에 설치되는 캠, 캠과 접촉하는 로울러, 안장파이프에 연결되는 쇽업서버, 쇽업소버 스프링, 지렛대 등으로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고 있으므로 경제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시 킬수 없고 안장이 자전거 안장과 흡사하여 승마의 동작을 느끼기에 부족한 것이었다.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487750호는 받침판, 지주, 한쌍의 브라켓, 돌편, 및 받침봉, 손잡이, 발안치봉, 작동봉, 안장지지판, 링크, 충격흡수용 스프링으로 구성 성하는 온몸운동구가 게시되고 있으나 이 장치는 안장의 동작이 말의 안장 동작과는 원호 귀적을 반복하는 동작이 되므로 승마 동작과는 상이한 것이었다.
이 발명은 안장의 동작을 말 안장의 동작처럼 움직여 주는 승마 운동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원궤도 동작 및 직선 진퇴 동작의 두 입력 동작을 안장의 승마 동작으로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크랭크 기구로 원궤도 동작을 유도하고 레일과 슬라이더로 수평 진퇴 동작을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 두 입력 동작을 안장에서 승마동작으로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안장의 승마 동작을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원궤도 동작 및 수평 직선 진퇴 동작을 입력 동작으로 하고 안장의 동작을 승마 동작으로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이다.
이 발명을 실시 예를 따라 설명하므로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이 발명은 기대(10) 위에 설치된 안장(12)을 승마동작으로 진동시키는 진동기구(11)와,
상기 진동기구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을 승마 동작으로 흔들어 주는 안장(12)과,
진동기구(11)를 구동하는 구동장치(41)로 구성하였다.
말의 뛰는 동작은 앞발로 몸을 솟구치고 뒷발로 몸을 앞으로 밀어내는 두 동 작이 말 안장에서 합성된 동작이다.
이 발명의 상기 진동기구(11)의 입력 동작은 말의 뛰는 동작에 접근하기 위하여 안장 앞부분이 원궤도(18)에 표시한 x,y축을 기준으로 상승 및 후진(a-b), 상승 및 전진(b-c), 하강 및 전진(c-d-e-f), 하강 및 후진(f-g), 상승 및 후진(g-h-a)의 동작을 궤도를 따라 순환 동작하고, 동시에 안장의 뒷부분이 하강 및 후진(A-B), 상승 및 전진(B-C-D-E-F), 상승 및 후진(F-G), 하강 및 후진(G-H-A) 동작을 궤도를 따라 순환하므로, 안장(12)의 앞부분은 말이 앞발 뛰어 위로 솟구치는 동작이되고, 안장의 뒷부분운 말이 뒷발로 밀어 앞으로 내 닫는 동작이된다. 그러므로 상기 두 동작이 합해지는 안장(12)은 말의 뛰는 동작 곧, 승마 동작으로 거동되는 것이다.
이 발명 상기 안장(12) 앞뒤의 두 동작을 유도하는 진동기구(11)는
기대(10)에 부착되는 하프레임(13)과,
하프레임(13) 결합되어 진동되고 안장(12)을 설치한 상프레임(23)과,
하프레임(13)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동장치에 연동되는 주축(14)과,
주축(14)의 양단에 설치한 관성바퀴(15)와,
관성바퀴(15)에 설치되고 상프레임(23)의 앞부분에 연결되어 상프레임을 원궤도(18)에 따라 구동하는 크랭크핀(17)과,
상기 원궤도(18)의 법선 축 상에 상기 원 궤도의 직경 구간 직선 궤도를 조성하도록 상기 상프레임(23)에 설치한 가이드 레일(29)과,
상기 하프레임(13)에 부착되고 상기 상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29)에 결합 된 지지 슬라이더(19)와,
상기 크랭크핀(17)의 원궤도(18) 회전 동작에 지배되는 앞부분 및 상기 가이드 레일(29)의 진퇴 동작에 지배되는 뒷부분의 두 동작이 승마동작으로 유도되도록 상프레임(23)에 설정된 안장높이(26)로 구성한다.
상기 원궤도(18)의 법선 축은 안장의 출발 자세와 일치시킨 원궤도(18)의 수평 법선 축이다.
상기 주축(14)은 구동장치(31)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핀(17)의 출발위치는 원궤도(18)와 수평축(y)이 만나는 두 지점 중에서 내측 지점이다. 이 상태에서 안장(12)은 수평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안장에 올라앉을 수 있다. 상기 출발 위치는 다른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동장치(41)가 주축(14)을 회전시키면 회전력은 관성바퀴(15)와 함께 크랭크핀(17)을 회전시킨다. 크랭크핀(17)은 주축(14)을 중심으로 원궤도(18)를 따라 회전한다. 크랭크핀(17)의 회전동작은 상프레임(23) 후미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9)을 지지 슬라이더(19) 상에서 진퇴 동작시킨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도면에서 긴 구멍의 형태로 상프레임(23)에 조성하였다. 이러한 레일(29)은 슬라이더(19)이 지지되어 상프레임을 진퇴 동작시키는 것으로 이 동작을 위하여 여러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축(14)의 회전 동작은 상프레임(23)의 앞부분을 원궤도(18)를 따라 이동시키고 후미를 슬라이더(19)를 중심으로 진퇴 동작을 시킨다.
상기 원궤도(18)와 지지 슬라이더(19)에 대응하여 상기 상프레임(23)에 설정된 안장높이(26)는 크랭크핀(17)의 원궤도(18) 진행에 지배되는 안장(12)의 앞부분 거동을 말이 앞발로 뛰는 동작(a-b-c-d-e-f-g-h)으로 유도하고, 상기 슬라이더(19)를 기점으로 진퇴 동작에 하는 안장(12)의 뒷부분 거동을 말이 뒷발로 땅을 차고 앞으로 내딛는 동작(A-B-C-D-E-F-G-H)으로 유도하여 안장의 앞뒤 동작이 말 탈 때의 승마동작이 되게 한다.
상기 안장(12)에 하중이 가해지면 크랭크핀(17)의 원궤도(18) 중 상승궤도와 하강궤도 사이에 부하의 격차가 주축(14)에 크게 나타나지만 상기 관성바퀴(15)에 구동장치(4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이 축적되므로 상기 크링크핀(17)이 크랭크축(14)에 가하는 부하 편중이 관성바퀴(15)의 관성력에 의하여 분산된다.
상기 구동장치(41)는 주축(14)에 부착된 체인기어(43)와,
기대(10)에 지지되는 페달조립체(43)와,
페달조립체(42)에 부착된 체인기어(44)와,
상기 두 체인기를 연결하는 체인(45)으로 구성하였다.
사용자가 안장(12)에 앉아 발로 상기 페달조립체(42)를 돌려주면 페달조립체(42)의 회전동작은 체인기어(44), 체인(45), 체인기어(43)를 거쳐 상기 주축(14)을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페달 조립체(42)를 구동장치로 설치한 경우 사용자는 핸들(H)을 잡고 안장(12)에 앉아 페달을 돌려주면 안장과 이용자의 전신이 승마 동작으로 거동되어 전신 운동이 되는 것이다. 이 발명 승마운동 장치에서 상기 핸들은 생략될 수 있다.
이 발명 상기 구동장치(41)는 스위치로 개폐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을 상기 주축에 전달하여 주축을 구동하는 동력 구동 장치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발명은 안장의 동작을 말 안장의 동작처럼 움직여 주고, 원궤도 동작 및 직선 진퇴 동작의 두 입력 동작을 안장의 승마 동작으로 유도하고, 크랭크 기구로 원궤도 동작을 유도하고 레일과 슬라이더로 수평 진퇴 동작을 유도하고, 상기 두 입력 동작을 안장에서 승마동작으로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를 제공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안장의 승마 동작을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를 제공한다.

Claims (5)

  1. 승마 운동구에 있어서,
    기대(10) 위에 설치되어 안장(12)을 승마 동작으로 진동시키는 진동기구(11)와,
    진동기구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을 승마 동작으로 흔들어 주는 안장(12)과,
    진동기구(11)를 구동하는 구동장치(41)로 구성하고,
    상기 진동기구(11)는 크랭크핀(17)의 원궤도(18) 진행에 지배되는 안장(12)의 앞부분 거동을 말이 앞발로 뛰는 동작(a-b-c-d-e-f-g-h)으로 순환시키고, 상기 슬라이더(19)를 기점으로 진퇴 동작에 하는 안장(12)의 뒷부분 거동을 말이 뒷발로 땅을 차고 앞으로 내딛는 동작(A-B-C-D-E-F-G-H)으로 순환시켜 안장에서 승마동작을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12) 앞뒤의 두 동작을 유도하는 진동기구(11)는
    기대(10)에 부착되는 하프레임(13)과,
    하프레임(13) 결합되어 진동되고 안장(12)을 설치한 상프레임(23)과,
    하프레임(13)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동장치에 연동되는 주축(14)과,
    주축(14)의 양단에 설치한 관성바퀴(15)와,
    관성바퀴(15)에 설치되고 상프레임(23)의 앞부분에 연결되어 상프레임을 원궤도(18)에 따라 구동하는 크랭크핀(17)과,
    상기 원궤도(18)의 법선 축 상에 상기 원 궤도의 직경을 행정 거리로 직선 궤도를 조성하여 상기 상프레임(23)의 후미를 진퇴 동작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레일(29)과,
    상기 가이드 레일(29)에 결합 된 상프레임 후미의 가이드 레일(29)과,
    상기 크랭크핀(17)의 원궤도(18) 동작에 지배되는 앞부분 및 상기 슬라이더(19)의 진퇴 동작에 지배되는 뒷부분의 두 동작을 승마동작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상프레임(23)에 설정된 안장높이(26)로 구성한 승마 운동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궤도의 법선 축은 원궤도(18)의 수평 법선 축인 승마 운동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1)는
    주축(14)에 부착된 체인기어(43)와,
    기대(10)에 지지되는 페달조립체(43)와,
    페달조립체(42)에 부착된 체인기어(44)와,
    상기 두 체인기를 연결하는 체인(45)으로 구성한,
    승마 운동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41)는
    스위치로 개폐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을 상기 주축에 전달하여 주축을 구동하는 동력 구동 장치인 승마 운동구.
KR1020070059755A 2007-06-19 2007-06-19 승마 운동구 KR100893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755A KR100893378B1 (ko) 2007-06-19 2007-06-19 승마 운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755A KR100893378B1 (ko) 2007-06-19 2007-06-19 승마 운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607A true KR20080111607A (ko) 2008-12-24
KR100893378B1 KR100893378B1 (ko) 2009-04-17

Family

ID=4036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755A KR100893378B1 (ko) 2007-06-19 2007-06-19 승마 운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3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652Y1 (ko) * 2010-12-24 2011-07-19 박성진 스윙 보드
KR101127668B1 (ko) * 2010-05-20 2012-03-22 김윤희 승마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51Y1 (ko) * 2006-02-28 2006-05-16 장석진 승마운동기구
KR200422621Y1 (ko) * 2006-05-18 2006-07-27 이승덕 승마운동 헬스기구
KR100700460B1 (ko) * 2006-07-27 2007-03-28 주식회사 유성 승마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68B1 (ko) * 2010-05-20 2012-03-22 김윤희 승마 운동기구
KR200454652Y1 (ko) * 2010-12-24 2011-07-19 박성진 스윙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378B1 (ko) 200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7186B2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with elliptical foot motion
US7731636B2 (en) Resistance system for an exercise device
US7083549B1 (en) Stepper fitness machine
US6551218B2 (en) Deep stride exercise machine
US20020123412A1 (en) Multi-function exercise apparatus
US20070264903A1 (en) Riding device
US7670268B1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with elliptical foot motion
US7427256B2 (en) Oscillated fitness bicycle structure
JPH09154989A (ja) スプリント・トレーニング・マシン
US7846074B2 (en) Recumbent exerciser
CN106669103B (zh) 具有移动行程限止单元的健身机
KR100893378B1 (ko) 승마 운동구
CN112546551B (zh) 可实现三维度踩踏训练的椭圆机
CN101134132A (zh) 腿部往复运动器材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KR100899333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20090069793A (ko) 균형감각 향상 운동기구
JP4112574B2 (ja) 楕円サイクル型総合筋力トレーニングマシン
KR200446266Y1 (ko) 승마운동기구
KR101260268B1 (ko) 승마 운동 기구
CN208893550U (zh) 侧向滑步锻炼装置
CN100364843C (zh) 用身体起伏动作驱动的自行车
KR20140001004U (ko) 지렛대 원리 및 시소의 원리를 응용하여 제작하는 승마형 자전거
CN211659158U (zh) 上下运动平衡多功能健身器
CN211659184U (zh) 上下运动单杆多功能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