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297A -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297A
KR20080110297A KR1020070058869A KR20070058869A KR20080110297A KR 20080110297 A KR20080110297 A KR 20080110297A KR 1020070058869 A KR1020070058869 A KR 1020070058869A KR 20070058869 A KR20070058869 A KR 20070058869A KR 20080110297 A KR20080110297 A KR 20080110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ld
magnetic body
magnetic
magne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417B1 (ko
Inventor
최환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417B1/ko
Publication of KR2008011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자성체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하우징 금형 내에 상기 자성체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자성체 배치 단계;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재료를 상기 하우징 금형에 주입하는 하우징 성형 단계; 및 상기 자성체가 내장, 장착된 상기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하우징 사출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은 자성체 장착에 따른 제조 공정과 제조 비용을 줄이고 자성체를 견고하게 장착하는 것을 구현한다.
자성체, 장착, 금형, 전자석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MAGNET MOUNT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성체 장착 방법에서 자성체 배치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성체 배치 단계에서 자성체를 하우징 금형에 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성체 장착 방법에서 하우징 성형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성체 장착 방법에서 하우징 사출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우징 사출 단계를 통해 자성체를 하우징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을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금형 101: 자성체 배치 홈
102: 금형 자성체 200: 자성체
300: 하우징 400: 다른 하우징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자성체를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로부터 단문 메시지, 모바일 뱅킹,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은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기 적합하도록 한 쌍의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하나의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형 등으로 분류된다. 이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
한편, 한 쌍의 하우징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의 하우징에 자성체 와 자기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하우징에 의해 다른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작하게 한다. 아울러, 자성체는 하우징에 장착되어,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을 폐쇄함에 따라 자기 감지 센서에 근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반면,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을 개방함에 따라, 자성체는 자기 감지 센서로부터 멀어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원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자성체는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 등이 이용되거나 별도의 본딩 작업을 통해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자성체가 하우징에 장착됨으로써 별도의 공정이 추가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의 추가로 인한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었다. 아울러, 자성체는 하우징 상에 부착되는 형태임에 따라 외력에 의해 접촉 불량으로 인한 이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에 자성체를 장착함에 따른 제조 공정과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견고하게 자성체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자성체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하우징 금형 내에 상기 자성체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자성체 배 치 단계;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재료를 상기 하우징 금형에 주입하는 하우징 성형 단계; 및
상기 자성체가 내장, 장착된 상기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하우징 사출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의 자성체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의 자성체 장착 방법은 자성체 배치 단계(S1), 하우징 성형 단계(S2) 및 하우징 사출 단계(S3)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자성체(200; 도 2에 도시됨)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300; 도 6에 도시됨)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자성체(200)는 휴대용 단말기(10; 도 7에 도시됨)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데 이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성체 장착 방법에서 자성체 배치 단계(S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성체 배치 단계(S1)에서 자성체(200)를 하우 징 금형(100)에 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 배치 단계(S1)는 하우징 금형(100)에 자성체(200)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자성체(200)를 상기 하우징 금형(100)에 형성된 자성체 배치 홈(101)에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자성체 배치 홈(101)은 상기 자성체(200)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성체(200)를 삽입시키는 형태로 배치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 금형(1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300) 형상에 따라 제작되면서 금형 자성체(102)를 내장한다. 이때, 상기 금형 자성체(102)는 상기 하우징 금형(100)에서 상기 자성체 배치 홈(101)에 인접하게 내장된다. 한편, 상기 금형 자성체(102)는 전자석으로,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화되며 전류의 방향에 따라 극성이 변하는 성질을 가진다. 이로 인해, 상기 자성체(200)는 상기 자성체 배치 홈(101)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금형 자성체(10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류를 공급받은 상기 금형 자성체(102)의 자력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금형 자성체(102)는 상기 자성체(200)와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자성체 배치 단계(S1)에서 상기 자성체(200)와 금형 자성체(102)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자성체(200)는 상기 자성체 배치 홈(101)의 내측면과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면서 상기 자성체 배치 홈(10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성체 장착 방법에서 하우징 성형 단계(S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성형 단계(S2)는 상기 하우징(300)의 제작 재료를 상기 금형(100)에 주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하우징(300)이 상기 자성체(200)를 포함한 상태로 성형된다. 상기 하우징(300)의 제작 재료는 상기 하우징 금형(100)에 주입되면서 상기 자성체(200)와 자성체 배치 홈(101) 사이의 틈에도 주입된다. 이로써, 상기 자성체(200)는 상기 하우징(300)의 제작 재료에 의해 둘러싸여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 장착된다. 즉, 상기 하우징 성형 단계(S2)는 상기 하우징(300)의 제작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300)에 상기 자성체(20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성체 장착 방법에서 하우징 사출 단계(S3)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우징 사출 단계(S3)를 통해 자성체(200)를 하우징(300)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사출 단계(S3)는 상기 하우징 금형(100)으로부터 성형된 상기 하우징(300)을 분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금형 자성체(200)와 자성체(102) 사이의 척력의 작용으로 상기 하우징(300)을 상기 하우징 금형(100)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 금형(100)에 상기 하우징(300)이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200)는 상기 금형 자성체(102)와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금형(100),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체 배치 홈(101)에 배치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자성체(200)와 금형 자성체(102) 사이의 인력으로 상기 하우징 금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받는다. 상기 금형 자성체(102)는 전자석임에 따라 전류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자성체(200)와의 자력, 구체적으로 인력의 작용이 중단된다. 아울러, 상기 금형 자성체(102)는 그 전류 방향이 바뀌게 되면 그 극성의 변화로 상기 자성체(200)와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자성체(200)는 상기 자성체 배치 홈(101)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금형 자성체(102)와 자성체(200)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성체(200)는 척력으로 인해 상기 자성체 배치 홈(101)으로부터 이격되려는 힘을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00)은 척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금형(100)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300)을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의 개폐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2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1)를 설치하는 상기 하우징(300)에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300)은 다른 하우징(40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다른 하우징(400)의 일면을 개폐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다른 하우징(400)은 자기 감지 센서를 내장한다. 상기 자기 감지 센서는 상기 하우징(300)에 의해 상기 다른 하우징(100)의 일면이 폐쇄됨에 따라 상기 자성체(200)의 자력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1)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하우징(300)이 폐쇄된 상기 하우징(400)의 일면을 개방시키면, 상기 자성체(200)는 상기 자기 감지 센서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자기 감지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1)로 전원을 공급하게 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1)을 이용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자성체 장착 방법은 상기 자성체(200)를 상기 하우징(300)이 상기 다른 하우징(400)에서 회전하는 형태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10)에 설치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하우징이 상기 다른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한 쌍의 하우징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라면 어느 것이든지 상기 자성체(200)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에 있어서, 자성체 배치 단계, 하우징 성형 단계 및 하우징 사출 단계를 거침으로써 자성체를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에 장착한다. 특히, 자성체 배치 단계를 통해 자성체는 자성체 배치 홈과 전자석으로 된 금형 자성체가 설치된 하우징 금형에 배치됨으로써 하우징 금형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 금형에 자성체가 배치된 상태로 하우징은 성형되어, 자성체의 배치에 따른 제조 공정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자성체는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장착되었다. 또한, 하우징 사출 단계를 통해 전자석인 금형 자성체는 그 극성의 변화로 상기 자성체에 척력을 제공하여 하우징을 하우징 금형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7)

  1. 휴대용 단말기에 자성체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하우징 금형 내에 상기 자성체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자성체 배치 단계;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재료를 상기 하우징 금형에 주입하는 하우징 성형 단계; 및
    상기 자성체가 내장, 장착된 상기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하우징 사출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금형에 내장되는 금형 자성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금형 자성체는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화되는 전자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배치 단계에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금형 자성체와 인력의 작용으로 상기 하우징 금형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자성체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그 극성이 변화함을 특징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사출 단계에서 상기 금형 자성체는 그 극성의 변화로 상기 자성체와 척력이 작용하고, 상기 하우징은 척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금형으로부터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사출 단계에서 상기 금형 자성체로의 전류 공급이 중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배치 단계에서 상기 하우징 금형에 상기 자성체의 형상에 상응하는 자성체 배치 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KR1020070058869A 2007-06-15 2007-06-15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KR101324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869A KR101324417B1 (ko) 2007-06-15 2007-06-15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869A KR101324417B1 (ko) 2007-06-15 2007-06-15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297A true KR20080110297A (ko) 2008-12-18
KR101324417B1 KR101324417B1 (ko) 2013-11-08

Family

ID=4036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869A KR101324417B1 (ko) 2007-06-15 2007-06-15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4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641B1 (ko) * 2019-12-16 2021-01-11 주식회사 삼기 인서트 정위치 형성을 위한 다이캐스트 주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139B1 (ko) *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기장을 이용한 측정어셈블리의 고정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사출구조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00B1 (ko) * 2000-02-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
KR100531881B1 (ko) * 2003-07-14 2005-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부 개방 감지 장치의 설치 구조체
KR20060008540A (ko) * 2004-07-21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지 사출물의 표면을 형성하는 미세필러 및 이를이용하는 사출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641B1 (ko) * 2019-12-16 2021-01-11 주식회사 삼기 인서트 정위치 형성을 위한 다이캐스트 주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417B1 (ko) 201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279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magnetic-locking speaker
CN110166666B (zh) 电子设备及摄像头模组的控制方法
US8624139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070171603A1 (en) Hous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2425956B1 (en) Injection molded case having antenna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1039481A (ja) レンズ駆動装置
CN104425168B (zh) 滑动开关及其开合结构,以及具有该滑动开关的电子装置
CN101662515A (zh) 便携式电子装置
JP2009268097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US8423098B2 (en) Sliding mechanism
CN101056324B (zh) 具有滑动模块的便携式终端
KR10132441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자성체 장착 방법
WO2005119887A3 (en) Molded rotor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US8013266B2 (en) Key button and key assembly using the key butt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keypad assembly
US5655018A (en) Telephone handset with an integrated volume actuator
DE602006012620D1 (ko)
JP2003348204A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
EP1686600A3 (de) 2-poliger Umschalter
JP2004225905A (ja) 電磁式流体自動開閉装置
JP3678672B2 (ja) 折り畳み型情報機器
KR1012186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WO2001067843A3 (en) Port switch as for a hearing aid device
KR1006724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184593A1 (en) Multi-cover device
KR101495774B1 (ko) 마우스패드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