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418A -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 - Google Patents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418A
KR20080109418A KR1020070057720A KR20070057720A KR20080109418A KR 20080109418 A KR20080109418 A KR 20080109418A KR 1020070057720 A KR1020070057720 A KR 1020070057720A KR 20070057720 A KR20070057720 A KR 20070057720A KR 20080109418 A KR20080109418 A KR 20080109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ylindrical
guide groove
marine structur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246B1 (ko
Inventor
이동연
김세은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7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246B1/ko
Publication of KR2008010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3Mooring cables or ropes, hawsers, or the like; Adap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홈부와 상기 가이드홈부 내에 대응 삽입되어 소정의 유간 거리 상으로 자유 운동 가능한 복수 개의 가이드돌부를 갖는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은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홈부 및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홈부 내에서 소정의 유간 거리을 가지도록 대응 삽입되고, 타단부는 해저면에 고정 설치된 계류라인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상에 계류중인 원통형 해양 구조물이 각종 외란(해풍, 파도, 해류 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어, 해상 작업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원통형 해양 구조물, 외부 터렛, 가이드홈부, 가이드돌부, T홈, T돌기

Description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Outer turret for cylindrical shape offshore structur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외란에 대하여 대처하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원통형 해양 구조물 20: 라이저(Riser)
30: 계류라인 100: 가이드홈부
110: 베어링부 112: 제 1 베어링
114: 제 2 베어링 120: 가이드돌부
122: 연결부
본 발명은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홈부와 상기 가이드홈부 내에 대응 삽입되어 소정의 유간 거리 상으로 자유 운동 가능한 복수 개의 가이드돌부를 갖는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구조물이란 해상 또는 해저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주로 석유 및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의 탐사 및 채취에 이용되며, 기타 레져, 항만 및 환경 시설 등으로도 이용된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에는 고정식 해양 구조물(Fixed platform), CPT(Complaint piled tower),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Semi-submersible type platform), TLP(Tension leg platform), 스파형 해양 구조물(Spar platform) 및 선박형 해양 구조물(FPSO) 등이 있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예기치 않게 발생되는 외란(예를 들어, 해풍이나 파도나 해류 등)에 의해 적지 않은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상기 여러 형태의 해양 구조물에서 이러한 외란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해결 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일 예로 선박형 해양 구조물(여기에는 '부유식원유생산저장설비, FPSO'가 속한다)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러한 선박형 해양 구조물은 외란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란이 다가오는 방향으로 선수각을 회전시키거나 스스로 돌아 가게 하는 각종 터렛 구조물들이 선체 상에 구비되어 있어 황천 시 극심한 외란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해양 구조물에는 상기와 같은 선박형이 아닌 스파형이 존재하는데, 이는 원통형의 해양 구조물로서, 파도에 의한 영향이 타 해양 구조물에 비해 월등히 작아서 수심이 깊고 파도가 높은 열악한 해상 조건 하에서도 이용 가능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원통형 해양 구조물은 선박형과 달리 외란이 최소가 되는 특별한 방향이 존재하지 않는데, 이러한 이유로 종래 선박형에 이용되어오던 고가의 터렛 구조물을 탑재할 필요성이 없게 되었다.
따라서, 설치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저가의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장 터렛 구조물의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외란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작업 가능한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장 터렛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 드홈부; 및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홈부 내에서 소정의 유간 거리을 가지도록 대응 삽입되고, 타단부는 해저면에 고정 설치된 계류라인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된 T홈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돌부는 상기 가이드홈부 내에서 소정의 유간 거리를 가지며 대응 삽입되도록 상기 T홈에 비해 작은 T돌기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가이드돌부와의 접촉면 마찰 부위마다 복수 개의 베어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부 및 상기 가이드돌부는 상기 계류라인의 수에 따라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주면 상에서 3개, 4개, 6개 및 8개 중 어느 하나의 개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외란에 대하여 대처하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개념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 렛 구조물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해양 구조물(10)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는 라이저(20, Riser)와 복수 개의 계류라인(30)이 연결된다. 라이저(20)는 채취한 원유를 상기 원통형 해양 구조물(10)에 저장하기 위한 배관설비이며, 계류라인(30)은 상기 원통형 해양 구조물(10)을 계류 지점의 해저면 상에 고정시켜 두기 위한 고정설비이다.
상기 원통형 해양 구조물(10)과 상기 계류라인(30)의 연결 부위, 즉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A영역이 확대 도시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원통형 해양 구조물(10)에는 가이드홈부(100)가 내홈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부(100) 내에는 가이드돌부(120)가 대응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홈부(100)가 상기 원통형 해양 구조물(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된 T홈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돌부(120)는 이러한 T홈 내에 대응 삽입되도록 상기 T홈에 비해 작은 T돌기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돌부(120)는 상기 가이드홈부(100) 내에서 소정의 유간(裕間)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부(100) 및 가이드돌부(120)의 형상은 상기와 같은 T형상이 아니어도, 서로 대응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부(120)에는 해저면에 고정 연결된 계류라인(30)과의 체결을 위하여 연결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부(100)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부(120)가 접촉되는 부위에는 추가적으로 베어링부(11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베어링부(110)는 외란의 영향을 받는 과정 중에서 상기 가이드돌부(120)가 상기 가이드홈부(100) 내에서 소정의 유간 거리를 두고 자유 운동을 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접촉 마찰을 감소시켜, 상기 가이드돌부(120) 및 상기 가이드홈부(100) 간의 내부 손상을 방지하고, 보다 긴 수명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홈부(100) 및 상기 가이드돌부(120)가 각각 T홈 및 T돌기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홈부(100)의 밑면 및 측면 상에 각각 제 1 베어링(112)과 제 2 베어링(114)을 장착한다. 이러한 제 1 베어링(112) 및 제 2 베어링(114)는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어떠한 베어링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로써, 원통형 해양 구조물(10) 상에 외란이 작용할 경우, 계류라인(30)에 연결된 상기 가이드돌부(120)가 상기 가이드홈부(100) 내에서 소정의 유간 거리만큼만 동작 가능하게 되어, 계류라인(30)에 작용하는 장력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으며, 원통형 해양 구조물(10)이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이 외란에 대처하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계류라인(30)이 4개가 존재하므로, 상기 계류라인(30)의 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홈부 및 가이드돌부를 각각 4개를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부 및 가이드돌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이 총 4개가 이용되었 으나,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그 계류형태에 맞게 3개 또는 6개 또는 8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가 이용되어도 좋다.
원통형 해양 구조물(10)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서 일정 간격(대략 90도 정도)으로 이격 형성된 가이드홈부 및 가이드돌부에 의하여 각각의 계류라인(30)이 체결되어 상기 원통형 해양 구조물(10)을 고정 연결하고 있다.
외란이 작용할 경우, 각각의 계류라인(30)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돌부는 가이드홈에 대응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유간 거리를 두고 전후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면서 자유 운동을 하게 되어, 외란에 의한 힘을 분산시키는데, 이로써, 계류 중인 원통형 해양 구조물은 외란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발명의 그 기술적인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되어질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에 의하면, 원통형 해양 구조물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홈부와 이러한 가이드홈부 내에 대응 삽입되어 소정의 유간 거리 내에서 자유 운동 가능한 복수 개의 가이드돌부에 의해, 각종 외란 상태에도 계류 중인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홈부; 및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홈부 내에서 소정의 유간 거리을 가지도록 대응 삽입되고, 타단부는 해저면에 고정 설치된 계류라인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된 T홈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돌부는 상기 가이드홈부 내에서 소정의 유간 거리를 가지며 대응 삽입되도록 상기 T홈에 비해 작은 T돌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가이드돌부와의 접촉면 마찰 부위마다 복수 개의 베어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 및 상기 가이드돌부는,
    상기 계류라인의 수에 따라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주면 상에서 3개, 4개, 6개 및 8개 중 어느 하나의 개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
KR1020070057720A 2007-06-13 2007-06-13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 KR100930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720A KR100930246B1 (ko) 2007-06-13 2007-06-13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720A KR100930246B1 (ko) 2007-06-13 2007-06-13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418A true KR20080109418A (ko) 2008-12-17
KR100930246B1 KR100930246B1 (ko) 2009-12-09

Family

ID=4036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720A KR100930246B1 (ko) 2007-06-13 2007-06-13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486A (ko) 2014-02-05 2015-08-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 로테이팅 및 브레이킹 장치
US9650111B2 (en) 2013-06-21 2017-05-16 Samsung Heavy Ind. Co., Ltd. Mooring system and drill ship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045B1 (ko) 2009-12-14 2011-06-29 한국해양연구원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모형실험 장치
KR101205344B1 (ko) * 2010-08-30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7803A (en) * 1976-10-06 1978-08-22 Sylverst Leroy M Sea terminal
JPS61232984A (ja) * 1985-04-10 1986-10-17 Mitsubishi Heavy Ind Ltd 一点係留装置
JP2000255480A (ja) * 1999-03-08 2000-09-19 Kawasaki Steel Container Co Ltd 水上交通標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0111B2 (en) 2013-06-21 2017-05-16 Samsung Heavy Ind. Co., Ltd. Mooring system and drill ship including the same
KR20150092486A (ko) 2014-02-05 2015-08-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 로테이팅 및 브레이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246B1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174B2 (en) Anti-sloshing device in moon-pool
KR100930246B1 (ko) 원통형 해양 구조물의 외부 터렛 구조물
ATE220024T1 (de) Rumpfstruktur
KR101390868B1 (ko) 해양구조물의 예인저항 저감 부가물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Chandrasekaran et al. Postulated failure analyses of a spread-moored semi-submersible
WO2012104309A2 (en) Production unit for use with dry christmas trees
KR20140046681A (ko) Tlp의 계류 시스템
KR20110068486A (ko) 시추선
KR20130128845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및 그 예인방법
Noce et al. A robust and flexible dry tree semisubmersible drilling and production platform
KR20140113020A (ko) 부유식 발전선을 이용한 해상에서의 전력 공급 방법
KR20210119793A (ko) 해양 구조물
KR101503279B1 (ko)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KR101236703B1 (ko) 문풀을 구비한 시추선
KR20140040906A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유빙 충돌 방지구조
KR200426887Y1 (ko) 선박의 문풀 유동 억제구조
KR101129647B1 (ko) 개폐 가능한 문풀을 구비한 시추선
CN103879524A (zh) 一种张力腿平台
Koska et al.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top tension risers for tension leg platforms
KR101149491B1 (ko) 선외 구조물을 가지는 선박의 제조 방법
KR101488935B1 (ko) 발전 방법 및 해양 구조물
KR20110028170A (ko) 선박의 문풀 저항 감소장치
KR102477560B1 (ko) 복합 해양구조물
Qi et al. Jacket dry tree semi-submersible platform with TTR system
KR20160057959A (ko)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