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288A -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자소자 - Google Patents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자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288A
KR20080109288A KR1020070057423A KR20070057423A KR20080109288A KR 20080109288 A KR20080109288 A KR 20080109288A KR 1020070057423 A KR1020070057423 A KR 1020070057423A KR 20070057423 A KR20070057423 A KR 20070057423A KR 20080109288 A KR20080109288 A KR 20080109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substituted
aryl
heteroa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753B1 (ko
Inventor
윤성철
이재왕
임종선
김동욱
이창진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57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753B1/ko
Publication of KR2008010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2Fullerenes
    • C01B32/156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11Fullerenes, e.g. C60
    • H10K85/215Fullerenes, e.g. C60 comprising substituents, e.g. PCB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methanofullerene)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2530948-PAT00001
[A는 플러렌 (fullerene) 유도체로서, C60, C72, C76, C78 또는 C84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불소치환된 메타노플러렌 (Fluorinated methanofullerene) 화합물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향상되고, 전기화학적으로 전자의 이동도가 증대되고, 불소기간의 자기조합 (self-organization)이 개선되어 추가적인 열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우수한 특성의 광전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료들은 태양광발전 (photovoltaic)의 활성 성분,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 OLED 및 유기메모리 소자 등에서 n-형 반도체 재료로서의 용도에 적용이 가능하다.
불소화, 메타노플러렌, acceptor, 전자받게, n-형, 유기반도체, C60, C70, C76, C78, C84, 자기조합, self-organizable

Description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Methanofullerene Compounds Having Fluorinated Substituents and Its Use for Organic Electronics}
도 1 - 불소기의 도입을 통해 전자받게 재료간의 응집을 개선할 수 있는 모식도
도 2 -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불소기를 갖는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과 PCBM의 UV 흡수 스펙트럼
도 3 -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불소기를 갖는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과 PCBM의 PL 스펙트럼
도 4 - 제조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불소기를 갖는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PCBTFE, PCBPFP, PCBPFB 및 PCBPFBZ)과 PCBM의 CV를 통한 전기화학적 특성
도 5 -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불소기를 갖는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과 PCBM을 전자받게로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전류-전압 곡선
도 6 - 전자받게 재료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PCBTFE)과 P3HT를 이용한 소자의 annealing 시간별 전류-전압 곡선의 변화
도 7 - 전자받게 재료로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PCBPFB) 과 P3HT를 이용한 소자의 annealing 시간별 전류-전압 곡선의 변화
도 8 - 전자받게 재료로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PCBPFB)과 PCBM을 이용한 소자의 annealing 시간별 AFM을 이용한 표면 특성 분석 결과 ((a), (b), (c) 및 (d) : P3HT/PCBM film에서 annealing time 0, 5, 15 및 60분; (e), (f), (g) 및 (h) : P3HT/PCBPFB(제조예 3) film에서 annealing time 0, 5, 15 및 60분)
본 발명은 신규한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methanofullerene)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에 관한 것이다.
단분자, 고분자를 이용한 유기반도체 재료들은 지난 25 년여 동안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기존의 무기물을 이용한 반도체 재료들은 우수한 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제조상의 단점과 소자제작공정에서의 어려움으로 인해 점점 그 역할을 유기 반도체 재료 쪽으로 이양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유기 반도체 재료들은 무기 반도체 재료와 비교하여 제조공정 상 단순하고 소자제작 시 저가공정이 가능하며, 유기물의 특성상 간단한 구조의 변경을 통해 보다 우수한 특성을 발현하는 재료의 개발이 용이하다는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유기 반도체 물질이 사용되는 또 다른 예로서는 유기 태양전지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 광 전지는 반도체층과 전극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태양 광 전지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빛에 의해 반도체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발생하고, 전하들이 각각 P, N극으로 이동하는 현상에 의하여 P극과 N극의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면서, 이 때 태양전지에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는 원리를 이용한 소자이다. 그런데 상기 기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태양 광 전지의 반도체층 역시 고가격, 고온진공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무기계 물질보다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적용하려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태양 광 전지 소자에 적용할 때, 스핀 코팅 공정으로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光)량 증가에 따라 전지 효율이 떨어지지 않는 반도체 화합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통상의 유기반도체 재료는 정공과 전자의 이동도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데, 대부분의 경우 정공의 이동도가 전자의 이동도에 비해 적게는 10배에서 많게는 1000배정도 빠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므로, OTFT 등의 채널(channel) 재료로 이용되는 유기반도체 및 유기태양전지 (Organic Photovoltaic Cells)의 acceptor들 중에 전자이동을 이용한 n-형 재료에 대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적게 보고되고 있다. 대표적인 n-형 유기반도체 재료로는 하기의 구조를 갖는 재료들이 있다.
Figure 112007042530948-PAT00002
Fred Wudl 그룹에서는 1995년 PCBM으로 잘 알려진 메타노플러렌 (methanofullerene) 유도체인 {6}-1-(3-(메톡시카보닐)프로필)-{5}-1-페닐[5,6]C61 ({6}-l-(3-(Methoxycarbonyl)propyl)-{5}-l-phenyl[5,6]C61)를 보고하였다. (J. Org. Chem ., 1995, 60, 532). 이 PCBM은 MEH-PPV, MDMO-PPV 및 P3HT 등의 고분자 donor 재료들과의 혼합을 통해 유기태양전지로 활용될 수 있는데, 초기에는 PPV 유도체와 1:3 정도의 혼합비로 소자화되었으며, 최근 들어 PCBM은 P3HT와의 혼합을 통해 제작된 소자를 고온에서 annealing하거나 유기박막 생성시 용매의 증발속도를 조절함을 통하여 약 4%이상의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후처리 공정은 재현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소자가 고온에 방치될 경우 유기막의 모폴로지가 변화하여 효율이나 기타 소자 특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메타노플러렌에 불소기를 도입함으로써, 용해도를 일부 개선하고, 전기화학적으로 전자의 이동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신규 n-형 유기반도체 화합물을 새로이 밝혀내어, 유기 태양전지 (organic photovoltaic) 및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OTFT)의 활성 성분으로서의 용도에 적용가능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불소기가 도입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에 불소기를 도입함으로써, 박막상태에서 보다 우수한 전자이동도를 가지게 되어 우수한 n-형 유기반도체의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불소기가 도입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들은 고분자 도너 (donor) 즉, 전자주게 재료와 혼합될 때 불소기를 포함하는 작용기간의 상호작용이 더욱 활발하여 어닐링 (annealing) 등의 후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보다 우수한 특성의 소자를 구현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도너 (donor), 즉 전자주게 재료와의 조합을 통해 높은 에너지 전환효율을 갖는 유기태양전지용 억셉터 (acceptor), 즉 전자받게 소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메타노플러렌 화합 물(methanofullerene)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2530948-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C6-C30)아릴 또는 (C4-C30)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C30)알킬, (C1-C30)알콕시, (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킬, (C1-C30)알킬(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콕시, (C4-C30)헤테로아릴, (C3-C30)시클로알킬, 산소, 질소 또는 황을 헤테로고리 안에 포함하는 3원 내지 7원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시클로알킬,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아미노, 모노 또는 디 (C1-C30)알킬아미노, (C1-C30)알킬카보닐, (C1-C30)알콕시카보닐, 벤조일, 페녹시, 시아노, 니트로 또는 불소기로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 알콕시, 아릴, 아르알킬, 아르알콕시,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알킬카보닐 또는 알콕시카보닐은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릴,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C30)알킬(C6-C30)아릴,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르(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4-C30)헤테로아릴 또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4-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며;
A는 플러렌 (fullerene) 유도체로서 C60, C72, C76, C78 또는 C84 이며;
n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상기 (C6-C30)아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페닐, 나프틸, 비페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 인다닐(indanyl), 플루오레닐, 페난트레닐, 안트라세닐, 트라이페닐레닐, 피레닐, 크라이세닐, 나프타세닐과 같은 방향족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C4-C30)헤테로아릴은 방향족 고리 골격 원자로서 N, O, P 또는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방향족 고리 골격 원자가 탄소인 아릴 그룹을 의미한다. 상기 헤테로아릴은 고리내 헤테로원자가 산화되거나 사원화되어, 예를 들어 N-옥사이드 또는 4차 염을 형성하는 2가 아릴 그룹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퓨릴, 피란일, 아이소벤조퓨란일,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아이소티아졸릴, 아이속사졸릴, 테트라졸릴, 피리딜, 피라진일, 피리미딘일, 피리다진일, 인돌리진일, 아이소인돌릴, 인돌릴, 인다졸릴, 퀴놀리진일, 아이 소퀴놀릴, 퀴놀릴, 카바졸릴, 페난트리딘일 및 이들의 상응하는 N-옥사이드 (예를 들어, 피리딜 N-옥사이드, 퀴놀릴 N-옥사이드), 이들의 4차 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R1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단일고리 또는 융합고리로서, 각 고리에 대하여 (C1-C30)알킬, (C1-C30)알콕시, (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킬, (C1-C30)알킬(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콕시, (C4-C30)헤테로아릴, (C3-C30)시클로알킬, 산소, 질소 또는 황을 헤테로고리 안에 포함하는 3원 내지 7원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시클로알킬,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아미노, 모노 또는 디 (C1-C30)알킬아미노, (C1-C30)알킬카보닐, (C1-C30)알콕시카보닐, 벤조일, 페녹시, 시아노, 니트로 또는 불소기로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가 치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화합물로서 예시될 수 있으나, 하기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화합물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7042530948-PAT00004
[상기 식에서,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C30)알킬, (C6-C30)아르(C1-C30)알킬 또는 (C1-C30)알킬(C6-C30)아릴이고; 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p는 1 내지 4의 정수이고; q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1 또는 2의 정수이고; s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2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릴 또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르(C1-C30)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은 [5,6]이성체 및 [6,6]이성체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화합물로서 예시될 수 있으나, 하기의 화합물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7042530948-PAT00005
Figure 112007042530948-PAT00006
Figure 112007042530948-PAT00007
Figure 112007042530948-PAT00008
Figure 112007042530948-PAT00009
Figure 112007042530948-PAT00010
Figure 112007042530948-PAT00011
Figure 112007042530948-PAT00012
Figure 112007042530948-PAT00013
Figure 112007042530948-PAT00014
Figure 112007042530948-PAT00015
Figure 112007042530948-PAT00016
Figure 112007042530948-PAT00017
Figure 112007042530948-PAT00018
Figure 112007042530948-PAT00019
Figure 112007042530948-PAT00020
Figure 112007042530948-PAT00021
Figure 112007042530948-PAT00022
Figure 112007042530948-PAT00023
Figure 112007042530948-PAT00024
Figure 112007042530948-PAT00025
Figure 112007042530948-PAT00026
Figure 112007042530948-PAT00027
Figure 112007042530948-PAT00028
Figure 112007042530948-PAT00029
Figure 112007042530948-PAT00030
Figure 112007042530948-PAT00031
Figure 112007042530948-PAT00032
Figure 112007042530948-PAT00033
Figure 112007042530948-PAT00034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하기 반응식 1에 C60의 메타노플러렌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며, 하기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 치환된 옥소카르복실산을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알콜 유도체과 황산 (H2SO4) 촉매하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시킨 후, p-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와의 반응을 통해 p-토실히드라존 (p-tosylhydrazone) 유도체를 형성한다. 여기에 피리딘 하에서 플러렌 (Fullerene)를 넣고 가열하면 p-토실히드라존 유도체가 분해되어 아지드 (azide) 형태를 거쳐 형성된 카벤 (carbene)이 플러렌 (Fullerene)에 부가반응하여 플러렌 (Fullerene)의 탄소수가 5개인 고리와 6개인 고리의 정션에 결합된 형태의 [5,6]-이성질체 (화합물 a)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5,6]-이성질체 (화합물 a)를 1,2-디클로로벤젠 용매하에서 환류시켜 6개 고리간의 정션에 결합된 형태인 [6,6]-이성질체 (화합물 b)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07042530948-PAT00035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는 유기발광소자, 유기태양전지, 유기감광체 (OPC), 유기메모리 및 유기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이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을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소자의 특성을 설명하나, 이는 단지 그 실시 양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화합물 PCBTFE [6,6]-이성질체의 제조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벤조일부티레이트(2,2,2-Trifluoroethyl 4- benzoyl butyrate)의 제조
3구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벤조일부티릴산 4.00 g (20.8 mmol), 트리플루오로에탄올 2.50 g (25.0 mmol) 및 진한 황산 0.41 g (5.0 mmol)의 촉매를 톨루엔 30 ml에 첨가하여 24 시간동안 환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냉각하여 초산염에틸 100 ml를 첨가한 후, 10% 탄산나트륨 용액 (80 mL)으로 3회 세척하고, 다시 증류수 (80 ml)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이염화메탄과 헥산의 혼합용액 (2/1)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3.22 g, 56%)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5 (d, ArH, 2H, J = 7.5 Hz), 7.60-7.54 (m, ArH, 1H), 7.49-7.44 (m, ArH, 2H), 4.48 (q, -OCH2-, 2H, J = 9 Hz), 3.07 (t, -O=CH2-, 2H, J = 7 Hz), 2.57 (t, -CH2CO2-, 2H, J = 7.2 Hz), 2.09 (m, -CH2CH2CH2-).
13C-NMR (125 MHz, CDCl3 = 77.00 ppm) δ 198.99, 171.601, 136.64, 133.14, 128.59, 127.92, 60.59, 60.33, 60.30, 60.00, 37.02, 32.64, 18.93.
19F-NMR (CFCl3) δ -74.31.
FABMS m/z: 274 (M+H): calcd. (C13H13F3O3), 274.24.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히드라존 (2,2,2- Trifluoroethyl 4-benzoylbutyrate p -tosylhydrazone)의 제조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3.00 g (10.94 mmol), p-톨로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 2.47 g (13.24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하여 환류하며 5 시간동안 반응시켰다. 하루 동안 상온에서 더 반응시킨 후, -15 ℃로 냉각하여 여과하였다. 차가운 메탄올로 세척하여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히드라존 (3.14g, 71%)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8.85 (s, NH, 1H), 7.91 (d, HArSO2-, 2H, J = 8.5 Hz), 7.67-7.63 (m, ortho HPh, 2H), 7.37-7.33 (m, 3H), 7.29 (d, HAr SO2-, 2H, J = 8.5 Hz), 4.53 (q, -OCH2-, 2H, J = 8.3 Hz), 2.67-2.62 (m, -N=CCH2-, 2H), 2.49-2.45 (t, -CH2CO2-, 2H, J = 6.0 Hz), 2.41 (s, ArCH3, 3H), 1.80-1.70 (m, -CH2CH2CH2-, 2H).
13C-NMR (125 MHz CDCl3) δ 172.59, 153.78, 143.97, 135.99, 135.21, 129.98, 129.60, 129.45, 127.91, 126.18, 61.09, 60.81, 60.51, 60.29, 31.99, 25.63, 21.54, 20.56.
19F-NMR (CFCl3) δ -74.24 (CF3, 3F).
FABMS m/z: 444 (M+H): calcd. (C20H21F3N2O4S), 442.45.
{6}-l-(3-(2',2',2'- 트리플루오로에틸옥시카르보닐 )프로필)-{5}-l- 페닐 [5.6]-C61 ({6}-l-(3-(2',2',2'- Trifluoroethyloxycarbonyl ) propyl )-{5}-l- phenyl [5.6]-C61)의 합성
질소 치환된 100 mL 3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하이드라존 (2,2,2-Trifluoroethyl 4-benzoylbutyrate p-tosylhydrazone, 1.77 g, 4.0 mmol)을 10 mL의 건조된 피리딘에 용해시켜 교반시켰다. 여기에 NaOMe (225 mg, 5.0 mmol)를 15분간 서서히 첨가한 후, 플러렌 (Fullerene, 1.44 g, 2 mmol)을 100 mL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주입하고, 70 ℃에서 2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70 mL로 농축하고 실리카겔을 이용해 컬럼크로마토 그래피 (40 x 10 cm)를 사용하여 이염화메탄과 헥산의 1:5 혼합용매를 이용해 전개하여 갈색 고체상의 {6}-l-(3-(2',2',2'-트리플루오로에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350 mg, 18%)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3 (d, 2H, arom, J = 7.5 Hz), 7.59-7.53 (m, 2H, arom), 7.51-7.48 (m, 1H, arom), 4.47 (q, 2H, OCH2, J = 9 Hz), 2.24 (t, 2H, CH2CO2, J = 7.5 Hz), 1.66-1.63 (m, 2H, CH2CH2CO2), 1.53-1.47 (m, 2H; PhCCH2).
{6}-l-(3-(2',2',2'- 트리플루오로에틸옥시카르보닐 )프로필)-{5}-l- 페닐 [6.6]- C61 ({6}-l-(3-(2',2',2'-Trifluoroethyloxycarbonyl)propyl)-{5}-l-phenyl [6.6]- C61 ) (화합물 PCBTFE [6,6]-이성질체)의 합성
질소대기하에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300 mg의 {6}-l-(3-(2',2',2'-트리플루오로에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을 1,2-디클로로벤젠 용매 (50 mL)에 녹인 진한 보라색의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하면 [5,6]이성질체가 이성질화반응을 통해 [6,6]이성질체로 변환되었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15 mL 정도로 농축한 후 150 mL의 메탄올 용매를 부어 석출시키고 원심분리시켰다. 이렇게 분리된 고체를 10 mL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메탄올 100 mL를 주입하여 다시 석출하고 원심분리하면 순수한 {6}-l-(3-(2',2',2'-트리플루오로에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93%)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3 (d, 2H, arom, J = 7.5 Hz), 7.59-7.53 (m, 2H, arom), 7.51-7.48 (m, 1H, arom), 4.47 (q, 2H, OCH2, J = 9 Hz), 2.27-2.19 (m, 2H; PhCCH2), 1.52 (t, 2H, CH2CO2, J = 7.5 Hz), 1.66-1.63 (m, 2H, CH2CH2CO2).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1.42, 148.68, 147.62, 145.19, 145.15, 145.03, 144.79, 144.66, 144.50, 143.75, 143.03, 142.99, 142.92, 142.20, 142.15, 142.11, 142.10, 138.01, 132.06, 128.48, 128.32, 121.78, 79.71, 60.75, 60.46, 60.16, 59.87, 51.59, 33.48, 33.36, 29.70, 22.04.
19F-NMR (CFCl3) δ 74.12, -74.15, -74.18.
FABMS m/z: 979 (M+H): calcd. (C18H15F5O2), 978.25.
[제조예 2] 화합물 PCBPFP [6,6]-이성질체의 제조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2,2,3,3,3-Pentafluoro propyl 4-benzoylbutyrate)의 제조
3구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벤조일부티릴산 10.0 g (52.0 mmol),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올 9.37 g (62.4 mmol) 및 진한 황산 0.51 g (5.2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12.4 g, 74%)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5 (d, ArH, 2H, J = 7.5 Hz), 7.55 (m, ArH, 1H), 7.47(m, ArH, 2H), 4.56 (t, -OCH2-, 2H, J = 12 Hz), 3.07 (t, -O=CH2-, 2H, J = 7 Hz), 2.57 (t, -CH2CO2-, 2H, J = 7.2 Hz), 2.09 (m, -CH2CH2CH2-).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98.97, 171.58, 136.64, 133.15, 128.59, 127.92, 59.19, 58.97, 58.75, 37.00, 32.65, 18.87.
19F-NMR (CFCl3) δ -84.35, -124.02.
FABMS m/z: 326 (M+H): calcd. (C14H13F5O3), 324.24.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p -토실히드라존 (2,2,3, 3,3-Pentafluoropropyl 4-benzoylbutyrate p -tosylhydrazone)의 제조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6.2 g (19.1 mmol), p-톨로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 3.92 g (21.0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히드라존 (7.85g, 87%)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8.74 (s, NH, 1H), 7.91 (d, HArSO2-, 2H, J = 8.5 Hz), 7.67-7.64 (m, ortho HPh, 2H), 7.37-7.33 (m, 3H), 7.29 (d, HAr SO2-, 2H, J = 8.5 Hz), 4.64 (t, -OCH2-, 2H, J = 13 Hz), 2.66-2.61 (m, -N=CCH2-, 2H), 2.49-2.43 (t, -CH2CO2-, 2H, J = 6.0 Hz), 2.41 (s, ArCH3, 3H), 1.80-1.70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2.64, 153.71, 143.97, 135.19, 135.21, 129.98, 129.60, 129.45, 127.91, 126.18, 59.72, 59.50, 59.29, 31.97, 25.60, 21.54, 20.52.
19F-NMR (CFCl3) δ -84.30 (d, CF3, 3F, J = 15 Hz), -124.00 (t, CF2, 3F, J = 15 Hz).
FABMS m/z: 495 (M+H): calcd. (C21H21F5N2O4S), 492.46.
{6}-l-(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6}-l-(3-(2',2',3',3',3'-Pentafluoropropoxycarbonyl)propyl)-{5}-l- phenyl[5.6]-C61)의 제조
질소 치환된 100 mL 3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하이드라존 (2,2,3,3,3,-Pentafluoropropyl 4-benzoylbutyrate p-tosylhydrazone, 1.97 g, 4.0 mmol)을 10 mL의 건조된 피리딘에 용해시켜 교반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갈색 고체상의 {6}-l-(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490 mg, 24%)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2 (d, 2H, arom, J = 7.5 Hz), 7.56-7.53 (m, 2H, arom), 7.51-7.48 (m, 1H, arom), 4.55 (t, 2H, OCH2, J = 12 Hz), 2.23 (t, 2H, CH2CO2, J = 7 Hz), 1.65-1.62(m, 2H, CH2CH2CO2), 1.52-1.48 (m, 2H; PhCCH2).
{6}-l-(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 [6.6]-C61 ({6}-l-(3-(2',2',3',3',3'-Pentafluoropropoxycarbonyl)propyl)-{5}- l-phenyl[6.6]-C61) (화합물 PCBPFP [6,6]-이성질체)의 제조
질소대기하에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300 mg의 {6}-l-(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을 1,2-디클로로벤젠 용매 (50 mL)에 녹인 진한 보라색의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하면 [5,6]이성질체가 이성질화반응을 통해 [6,6]이성질체로 변환시켰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15 mL 정도로 농축한 후 150 mL의 메탄올 용매를 부어 석출시키고 원심분리시켰다. 이렇게 분리된 고체를 10 mL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메탄올 100 mL를 주입하여 다시 석출하고 원심분리하면 순수한 {6}-l-(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91%)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2 (d, 2H, arom, J = 7.5 Hz), 7.56-7.53 (m, 2H, arom), 7.51-7.48 (m, 1H, arom), 4.55 (t, 2H, OCH2, J = 12 Hz), 2.95-2.90 (m, 2H; PhCCH2), 2.63 (t, 2H, CH2CO2, J = 7 Hz), 2.45-2.19 (m, 2H, CH2CH2CO2).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1.36, 147.61, 145.79, 145.19, 145.15, 145.03, 144.78, 144.65, 144.50, 143.74, 143.03, 142.99, 142.91, 142.19, 142.15, 142.11, 142.10, 132.05, 128.48, 128.33, 79.70, 59.34, 59.12, 58.90, 51.59, 33.48, 33.39, 22.04.
19F-NMR (CFCl3) δ 84.24, -123.83, -123.88, -123.93.
FABMS m/z: 1029 (M+H): calcd. (C14H15F5O2), 1028.26.
[ 제조예 3] 화합물 PCBPFB [6,6]-이성질체의 제조
3,3,4,4,4-펜타플루오로부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3,3,4,4,4-Pentafluoro butyl 4-benzoylbutyrate)의 제조
3구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벤조일부티릴산 3.00 g (15.6 mmol), 3,3,4,4,4-펜타플루오로부탄올 3.07 g (18.7 mmol) 및 진한 황산 0.31 g (3.2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3,4,4,4-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2.6 g, 50%)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6 (d, ArH, 2H, J = 7.5 Hz), 7.55 (m, ArH, 1H), 7.47(m, ArH, 2H), 4.37 (t, -OCH2-, 1H, J = 6.5 Hz), 4.16 (t, -OCH2-, 1H, J = 6.5 Hz), 3.07 (t, -O=CH2-, 2H, J = 7 Hz), 2.47 (t, -CH2CO2-, 2H, J = 7.2 Hz), 2.17-2.04 (m, -CH2CH2CH2-, CH2CF2, 4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99.24, 173.01, 136.71, 133.10, 128.57, 127.94, 62.81, 37.26, 33.10, 19.86, 19.01.
19F-NMR (CFCl3) δ -86.24, 118.04.
FABMS m/z: 338 (M+H): calcd. (C14H13F5O3), 338.27.
3,3,4,4,4-펜타플루오로부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p -토실히드라존 (3,3,4,4,4-Pentafluorobutyl 4-benzoylbutyrate p -tosylhydrazone)의 제조
3,3,4,4,4-펜타플루오로부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5.00 g (14.8 mmol), p-톨로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 3.03 g (16.3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3,4,4,4-펜타플루오로프로필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히드라존 (4.20 g, 60%)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9.14 (s, NH, 1H), 7.91 (d, HArSO2-, 2H, J = 8.5 Hz), 7.67-7.62 (m, ortho HPh, 2H), 7.37-7.33 (m, 3H), 7.28 (d, HAr SO2-, 2H, J = 8.5 Hz), 4.27 (t, -OCH2-, 2H, J = 6 Hz), 2.66-2.61 (m, -N=CCH2-, 2H), 2.40 (s, ArCH3, 3H), 2.39-2.34 (t, -CH2CO2-, 2H, J= 6.0 Hz), 2.01-1.96 (m, CH2CF2, 2H), 180-1.70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4.27, 153.55, 143.76, 136.11, 135.31, 133.112, 129.93, 129.54, 128.23, 126.17, 63.73, 32.10, 25.80, 21.54, 20.80.
19F-NMR (CFCl3) δ -81.02 (-CF3, 3F), -128.19 (-CF2-, 2F).
FABMS m/z: 507 (M+H): calcd. (C22H23F5N2O4S), 506.49.
{6}-l-(3-(3',3',4',4',4'-펜타플루오로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6}-l-(3-(3',3',4',4',4'- Pentafluorobutoxycarbonyl ) propyl )-{5}-l- phenyl[5.6]-C61)의 제조
질소 치환된 100 mL 3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3,3,4,4,4-펜타플루오로부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하이드라존 (3,3,4,4,4-Pentafluorobutyl 4-benzoylbutyrate p-tosylhydrazone, 2.03 g, 4.00 mmol)을 10 mL의 건조된 피리딘에 용해시켜 교반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갈색 고체상의 {6}-l-(3-(3',3',4',4',4'-펜타플루오로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 [5.6]-C61 (370 mg, 18%)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2 (d, 2H, arom, J = 7.5 Hz), 7.57-7.53 (m, 2H, arom), 7.50-7.48 (m, 1H, arom), 4.15 (t, 2H, OCH2, J = 6.5 Hz), 2.14 (t, 2H, CH2CO2, J = 7 Hz), 1.93-1.90 (m, 2H, CH2CH2CF2CF3), 1.65-1.63 (m, 2H, CH2CH2CO2), 1.50-1.46 (m, 2H; PhCCH2).
{6}-l-(3-(3',3',4',4',4'-펜타플루오로부톡시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6}-l-(3-(3',3',4',4',4'-Pentafluorobutoxycarbonyl)propyl)-{5}-l- phenyl[6.6]-C61) (화합물 PCBPFB [6,6]-이성질체)의 제조
질소대기하에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300 mg의 {6}-l-(3-(2',2',3',3',3'-펜타플루오로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을 1,2-디클로로벤젠 용매 (50 mL)에 녹인 진한 보라색의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하면 [5,6]이성질체가 이성질화반응을 통해 [6,6]이성질체로 변환시켰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15 mL 정도로 농축한 후 150 mL의 메탄올 용매를 부어 석출시키고 원심분리시켰다. 이렇게 분리된 고체를 10 mL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메탄올 100 mL를 주입하여 다시 석출하고 원심분리하면 순수한 {6}-l-(3-(2',2',3',3',3'-펜타플루오로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93%)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2 (d, 2H, arom, J = 7.5 Hz), 7.57-7.53 (m, 2H, arom), 7.50-7.48 (m, 1H, arom), 4.15 (t, 2H, OCH2, J = 6.5 Hz), 2.95-2.89 (m, 2H; PhCCH2), 2.54 (t, 2H, CH2CO2, J = 7 Hz), 2.21-2.15 (m, 2H, CH2CH2CO2), 1.97-1.94 (m, 2H, CH2CH2CF2CF3).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2.83, 148.72, 145.17, 145.13, 145.02, 144.77, 144.63, 144.48, 143.73, 143.02, 142.97, 142.91, 142.89, 142.17, 142.15, 142.10, 142.08, 137.98, 132.05, 128.43, 128.26, 79.78, 62.98, 51.74, 33.88, 33.60, 29.68, 27.75, 27.57, 27.39, 22.27, 22.15, 19.89.
19F-NMR (CFCl3) δ 80.94, -80.97, -81.0, -115.68, -115.69, -115.70, -115.71, -115.73, -115.75, -115.76, -115.78, -115.80, 115.81, -115.83, -115.84, -115.86, -117.92, -128.12, -128.13.
FABMS m/z: 1043 (M+H): calcd. (C15H17F5O2), 1042.3.
[제조예 4] 화합물 PCBPFBZ [6,6]-이성질체의 제조
펜타플루오로벤질 4-벤조일부티레이트 (Pentafluorobenzyl 4-benzoyl butyrate)의 제조
3구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벤조일부티릴산 3.00 g (15.61 mmol), 펜타플루오로벤질알콜 3.67 g (18.7 mmol) 및 진한 황산 0.31 g (3.2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펜타플루오로벤질 4-벤조일부티레이트 (5.7 g, 98%)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4 (d, ArH, 2H, J = 7.5 Hz), 7.55 (m, ArH, 1H), 7.47(m, ArH, 2H), 6.23 (t, CHF2, 1H, J = 5 Hz), 6.06 (t, CHF2, 1H, J= 5 Hz), 5.88 (t, CHF2, 1H, J = 5 Hz), 4.61 (t, -OCH2-, 2H, J = 13.5 Hz), 3.07 (t, -O=CH2-, 2H, J = 7 Hz), 2.57 (t, -CH2CO2-, 2H, J = 7.2 Hz), 2.14-2.09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99.32, 171.75, 136.63, 133.20, 128.59, 127.93, 59.34, 37.02, 32.64, 18.90.
19F-NMR (CFCl3) δ -120.17 ~-120.31, -132.80 ~ -122.99, -124.12 ~ -124.31, -130.14 ~ -130.32, -137.73 ~ -137.98.
FABMS m/z: 508 (M+H): calcd. (C18H14F12O3), 506.28.
펜타플루오로벤질 4- 벤조일부티레이트 p - 토실히드라존 ( Pentafluorobenzyl 4-benzoylbutyrate p - tosylhydrazone )의 제조
펜타플루오로벤질 4-벤조일부티레이트 5.00 g (13.4 mmol), p-톨로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 2.75 g (14.8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펜타플루오로벤질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히드라존 (6.30 g, 90%)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8.99 (s, NH, 1H), 7.91 (d, HArSO2-, 2H, J= 8.5 Hz), 7.66-7.62 (m, orthoHPh, 2H), 7.36-7.33 (m, 3H), 7.28 (d, HAr SO2-, 2H, J = 8.5 Hz), 5.31 (s, -OCH2-, 2H), 2.67-2.61 (m, -N=CCH2-, 2H), 2.41 (s, ArCH3, 3H), 2.40-2.35 (t, -CH2CO2-, 2H, J = 6.0 Hz), 1.77-1.70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3.61, 153.62, 143.86, 136.07, 135.83, 133.14, 129.93, 129.54, 128.23, 126.17, 53.94, 32.08, 25.73, 21.57, 20.71.
19F-NMR (CFCl3) δ -142.27 (ArF, 2F), 152.48 (ArF, 1F), 161.75 (ArF, 2F).
FABMS m/z: 541 (M+H): calcd. (C25H21F5N2O4S), 540.5.
{6}-l-(3-(펜타플루오로벤족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6}-l-(3-(Pentafluorobenzoxycarbonyl)propyl)-{5}-l-phenyl[5.6]-C61)의 합성
질소 치환된 100 mL 3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펜타플루오로벤질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하이드라존 (Pentafluorobenzyl 4-benzoylbutyrate p-tosylhydrazone, 2.16 g, 4.00 mmol)을 10 mL의 건조된 피리딘에 용해시켜 교반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갈색 고체상의 {6}-l-(3-(펜타플루오로벤족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290 mg, 14%)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8.99 (s, NH, 1H), 7.91 (d, HArSO2-, 2H, J = 8.5 Hz), 7.66-7.62 (m, ortho HPh, 2H), 7.36-7.33 (m, 3H), 7.28 (d, HAr SO2-, 2H, J = 8.5 Hz), 5.31 (s, -OCH2-, 2H), 2.67-2.61 (m, -N=CCH2-, 2H), 2.41 (s, ArCH3, 3H), 2.40-2.35 (t, -CH2CO2-, 2H, J = 6.0 Hz), 1.77-1.70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3.61, 153.62, 143.86, 136.07, 135.83, 133.14, 129.93, 129.54, 128.23, 126.17, 53.94, 32.08, 25.73, 21.57, 20.71.
19F-NMR (CFCl3) δ -142.27 (ArF, 2F), 152.48 (ArF, 1F), 161.75 (ArF, 2F).
FABMS m/z: 541 (M+H): calcd. (C25H21F5N2O4S), 540.5.
{6}-l-(3-(펜타플루오로벤족시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6}-l-(3-(Pentafluorobenzoxycarbonyl)propyl)-{5}-l-phenyl[6.6]-C61) (화합물 PCBPFBZ [6,6]-이성질체)의 제조
질소대기하에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50 mg의 {6}-l-(3-(펜타플루오로벤족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을 1,2-디클로로벤젠 용매 (50 mL)에 녹인 진한 보라색의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하면 [5,6]이성질체가 이성질화반응을 통해 [6,6]이성질체로 변환시켰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15 mL 정도로 농축한 후 150 mL의 메탄올 용매를 부어 석출시키고 원심분리시켰다. 이렇게 분리된 고체를 10 mL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메탄올 100 mL를 주입하여 다시 석출하고 원심분리하면 순수한 {6}-l-(3-(펜타플루오로벤족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89%)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3 (d, 2H, arom, J = 7.5 Hz), 7.57-7.52 (m, 2H, arom), 7.49-7.44 (m, 1H, arom), 5.20 (s, 2H, OCH2), 2.18 (t, 2H, CH2CO2, J = 7 Hz), 1.62-1.61(m, 2H, CH2CH2CO2), 1.50-1.47 (m, 2H; PhCCH2).
[제조예 5] 화합물 PCBDDFH [6,6]-이성질체의 제조
3,3,4,4,5,5,6,6,7,7,7- 도데카플루오로헵틸 4- 벤조일부티레이트 (3,3,4,4,5,5, 6,6,7,7,7- Dodecafluoroheptyl 4- benzoylbutyrate )의 제조
3구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벤조일부티릴산 10.0 g (52.0 mmol), 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탄올 17.8 g (62.4 mmol) 및 진한 황산 1.27 g (13.0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19 g, 73%)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4 (d, ArH, 2H, J = 7.5 Hz), 7.55 (m, ArH, 1H), 7.47(m, ArH, 2H), 6.23 (t, CHF2, 1H, J = 5 Hz), 6.06 (t, CHF2, 1H, J= 5 Hz), 5.88 (t, CHF2, 1H, J = 5 Hz), 4.61 (t, -OCH2-, 2H, J = 13.5 Hz), 3.07 (t, -O=CH2-, 2H, J = 7 Hz), 2.57 (t, -CH2CO2-, 2H, J = 7.2 Hz), 2.14-2.09 (m, -CH2CH2CH2-, 2H).
13C-NMR500 MHz (CDCl3 = 77.00 ppm) δ 199.32, 171.75, 136.63, 133.20, 128.59, 127.93, 59.34, 37.02, 32.64, 18.90.
19F-NMR (CFCl3) δ -120.17 ~-120.31, -132.80 ~ -122.99, -124.12 ~ -124.31, -130.14 ~ -130.32, -137.73 ~ -137.98.
FABMS m/z: 508 (M+H): calcd. (C18H14F12O3), 506.28.
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p -토실히드라존 (3,3,4,4,5,5,6,6,7,7,7-Dodecafluoroheptyl 4-benzoylbutyrate p -tosyl hydrazone)의 제조
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10.0 g (19.8 mmol), p-톨로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toluenesulfonyl hydrazide) 4.41 g (23.7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 4-벤조일부티레이트 p-토실히드라존 (7.00 g, 54%)를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1H-NMR 300 MHz (CDCl3) δ 8.82 (s, NH, 1H), 7.91 (d, HArSO2-, 2H, J = 8.5 Hz), 7.66-7.62 (m, ortho HPh, 2H), 7.36-7.33 (m, 3H), 7.28 (d, HAr SO2-, 2H, J = 8.5 Hz), 6.07 (m, -CF2H, 1H), 4.68 (s, -OCH2-, 2H), 2.67-2.61 (m, -N=CCH2-, 2H), 2.50-2.46 (t, -CH2CO2-, 2H, J = 6.0 Hz), 2.41 (s, ArCH3, 3H), 1.78-1.73 (m, -CH2CH2CH2-, 2H).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3.51, 162.32, 141.64, 136.75, 134.10, 131.71, 129.43, 129.25, 128.90, 127.22, 122.58, 117.63, 115.34, 114.15, 114.51, 112.11, 62.72, 34.0 24.30, 22.66, 18.56.
FABMS m/z: 675 (M+H): calcd. (C25H21F5N2O4S), 674.5.
{6}-l-(3-(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6}-l-(3-(3',3',4',4',5',5',6',6',7',7',7'-Dodecafluoro heptyloxycarbonyl)propyl)-{5}-l-phenyl[5.6]-C61)의 제조
질소 치환된 100 mL 3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 p-토실하이드라존 (3,3,4,4,5,5,6,6,7,7,7-dodecafluoroheptyl 4-benzoylbutyrate p-tosylhydrazone, 2.70 g, 4.00 mmol)을 10 mL의 건조된 피리딘에 용해시켜 교반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갈색 고체상의 {6}-l-(3-(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5.6]-C61 (290 mg, 14%)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3 (d, 2H, arom, J = 7.5 Hz), 7.59-7.56 (m, 2H, arom), 7.49-7.45 (m, 1H, arom), 5.89 (m, -CF2H, 1H), 4.86 (s, 2H, OCH2), 2.10 (t, 2H, CH2CO2, J = 7 Hz), 1.63-1.61 (m, 2H, CH2CH2CO2), 1.51-1.47 (m, 2H; PhCCH2).
{6}-l-(3-(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옥시카르보 닐)프로필)-{5}-l-페닐[6.6]-C61 ({6}-l-(3-(3',3',4',4',5',5',6',6',7',7',7'-Dodecafluoro heptyloxycarbonyl)propyl)-{5}-l-phenyl[6.6]-C61) (화합물 PCBDDFH [6,6]-이성질체)의 제조
질소대기하에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50 mg의 {6}-l-(3-(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을 1,2-디클로로벤젠 용매 (50 mL)에 녹인 진한 보라색의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하면 [5,6]이성질체가 이성질화반응을 통해 [6,6]이성질체로 변환시켰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15 mL 정도로 농축한 후 150 mL의 메탄올 용매를 부어 석출시키고 원심분리시켰다. 이렇게 분리된 고체를 10 mL의 1,2-디클로로벤젠에 녹여 메탄올 100 mL를 주입하여 다시 석출하고 원심분리하면 순수한 {6}-l-(3-(3',3',4',4',5',5',6',6',7',7',7'-도데카플루오로헵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5}-l-페닐[6.6]-C61 (91%)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93 (d, 2H, arom, J = 7.5 Hz), 7.59-7.56 (m, 2H, arom), 7.49-7.45 (m, 1H, arom), 5.99 (m, -CF2H, 1H), 4.49 (s, 2H, OCH2), 2.87-2.85 (m, 2H; PhCCH2), 2.56 (t, 2H, CH2CO2, J = 7 Hz), 2.20-2.17(m, 2H, CH2CH2CO2), 1.97-1.94 (m, 2H, -CH2CF2-).
13C-NMR 500 MHz (CDCl3 = 77.00 ppm) δ 173.16, 148.67, 147.32, 145.19, 145.78, 145.03, 144.88, 144.75, 144.60, 143.14, 143.13, 142.99, 142.92, 142.29, 142.25, 142.21, 142.20, 132.08, 128.40, 128.21, 79.85, 59.34, 59.12, 58.90, 51.59, 33.48, 33.61, 22.38.
19F-NMR (CFCl3) δ 84.24, -123.83, -123.88, -123.93.
FABMS m/z: 1211 (M+H): calcd. (C14H15F5O2), 1210.3.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의 광학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본 발명의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의 광학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UV/Vis 분광기와 PL 분광기를 이용하여 도 2 및 도 3에 UV 흡수 스펙트럼 및 PL 스펙트럼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Cyclovoltameter를 이용한 산화/환원 특성을 관찰하였다. CV 장비는 BAS 100 cyclovoltametry를 이용하였으며, 전해질로는 0.1M의 Bu4NBF4를 아세토니트릴 용매를 사용하였고, 시료는 10-3M의 농도로 1,2,-디클로로벤젠에 녹였다. 상온에서 Ar하에서 100 mW/s의 스캔속도로 측정하였고, 유리탄소전극 (직경 0.3mm)을 워킹 전극으로 사용하였으며, Pt과 Ag/AgCl 전극을 카운터 전극과 레퍼런스 전극으로 사용하 여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2의 UV 흡수 스펙트럼상에서 본 발명의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은 기존의 PCBM ([6,6] 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 methanofullerene의 일종)과 거의 동일한 흡수특성을 보여주었고, 도 3의 PL 스펙트럼상에서는 거의 동일한 파장에서 발광특성을 보여주었으나, 상대적으로 발광효율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은 PCBM 대비 보다 용이하게 흡수된 빛 또는 전기에너지를 전극 쪽으로 전달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들은 0V에서 -2.0V의 구간에서 PCBM과 유사한 3개의 quasireversible 환원 준위들을 보여주었는데, PCBM대비 다소 양의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도입된 불소기의 electron withdrawing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다 전자 친화도가 우수하여 전자를 받을 수 있는 특성이 우수하고, 이를 통해 보다 우수한 n-형 유기반도체 재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전자의 이송특성도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소자 제작 및 에너지 변환효율 측정
세척된 ITO 유리기판 상에 PEDOT-PSS (Bayer Baytron P, Al 4083)을 40 nm정도 스핀코팅한 후, 폴리(3-헥실티오펜) [Poly-3-(hexylthiophene)]과 본 발명에서 제조된 불소치환된 C60 유도체 (PCBTFE, PCBPFP, PCBPFB, PCBPFBZ 및 PCBDDFH) 중의 한 가지를 선택하여 1,2-디클로로벤젠이나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단독 혹은 이들의 혼합용매에 녹여 스핀코팅 등의 방법을 통해 유기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유기막 위에 LiF/Al을 전극으로 진공 하에서 증착한 후, 흡습제를 부착한 유리 캡으로 봉지하였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의 에너지 변화효율 (PCE, power conversion efficiency)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42530948-PAT00036
[상기 수학식 1에서,
Voc는 open circuit voltage (V)로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의 전압을 나타내며;
Jsc는 short circuit current (mA/cm2)로서 0 V에서의 전류밀도를 나타내며;
FF는 fill factor로서 최대 전력치를 VocJsc의 곱으로 나눈 값이며;
Pinc는 쪼여준 빛의 세기 (mW/cm2)를 나타낸다.]
[표 1] P3HT와의 혼합을 통해 제작된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특성 비교.
Figure 112007042530948-PAT00037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이용한 소자의 경우, 별도의 annealing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의 PCBM 대비 높은 효율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과 3의 전자받게 재료를 이용할 경우 3.2% 이상의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annealing 및 열적 안정성 비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작된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annealing을 통한 특성변화와 열적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150 ℃에서 각각 5분, 15분, 30분, 60분간 열처리한 후, 소자의 I-V 특성을 조사하였다. PCBM의 경우, 열처리전에 1.8%의 에너지변환효율을 보여주었으며, 150 ℃에서 열처리 시간을 늘려줌에 따라 각각 3.1%, 2.2%, 1.4%로 5분간 처리하였을때 가장 높은 효율을 보여준 후 점차 감소하는 특성 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의 경우 열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Voc는 다소 증가하였으며, 60분 처리후에도 거의 유사한 에너지 변환효율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중에서 PCBTFE (제조예 1)과 PCBPFB (제조예 3)의 재료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각각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annealing 전/후의 표면 변화 비교
실시예 2에서 제작된 유기태양전지 소자 중에서 제조예 3의 PCBPFB 화합물을 재료로 이용한 소자와 PCBM을 이용한 소자의 annealing 전/후의 표면을 AF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다. 상기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들의 경우, PCBM대비 보다 표면 거칠기가 적었으며, annealing시 30 분까지 미세한 변화만이 관측되었다. 하지만, PCBM을 이용한 경우, 동일조건에서의 열처리를 거친 경우, 표면의 거칠기 변화가 보다 급격하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15 분 이후의 열처리 후 소자특성이 나빠지는 현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불소화된 메타노플러렌 유도체는 플러렌에 불소화된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용해도를 개선하였으며, 불소치환기간의 자기 조립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전자이동도를 개선할 수 있었다. 이 러한 신규 화합물들은 유기발광소자의 전자수송층, 유기태양전지의 전자받게 (acceptor), 유기감광체 (OPC)의 전자수송층, 유기메모리 및 유기트랜지스터의 n-형 유기반도체 등으로서의 용도에 유용하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2530948-PAT00038
    [상기 식에서,
    R1은 (C6-C30)아릴 또는 (C4-C30)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C30)알킬, (C1-C30)알콕시, (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킬, (C1-C30)알킬(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콕시, (C4-C30)헤테로아릴, (C3-C30)시클로알킬, 산소, 질소 또는 황을 헤테로고리 안에 포함하는 3원 내지 7원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시클로알킬,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아미노, 모노 또는 디 (C1-C30)알킬아미노, (C1-C30)알킬카보닐, (C1-C30)알콕시카보닐, 벤조일, 페녹시, 시아노, 니트로 또는 불소기로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 알콕시, 아릴, 아르알킬, 아르알콕시,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알킬카보닐 또는 알콕시카보닐은 하나 이상의 불소 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릴,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C30)알킬(C6-C30)아릴,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르(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4-C30)헤테로아릴 또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4-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며;
    A는 플러렌 (fullerene) 유도체로서 C60, C72, C76, C78 또는 C84 이며;
    n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R1은 하기 구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Figure 112007042530948-PAT00039
    [상기 식에서,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C30)알킬, (C6-C30)아르(C1-C30)알킬 또는 (C1-C30)알킬(C6-C30)아릴이고; 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p는 1 내지 4의 정수이고; q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1 또는 2의 정수이고; s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R2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C30)알킬,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릴 또는 하나 이상의 불소기로 치환된 (C6-C30)아르(C1-C30)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4. 제 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Figure 112007042530948-PAT00040
    Figure 112007042530948-PAT00041
    Figure 112007042530948-PAT00042
    Figure 112007042530948-PAT00043
    Figure 112007042530948-PAT00044
    Figure 112007042530948-PAT00045
    Figure 112007042530948-PAT00046
    Figure 112007042530948-PAT00047
    Figure 112007042530948-PAT00048
    Figure 112007042530948-PAT00049
    Figure 112007042530948-PAT00050
    Figure 112007042530948-PAT00051
    Figure 112007042530948-PAT00052
    Figure 112007042530948-PAT00053
    Figure 112007042530948-PAT00054
  5. 제 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Figure 112007042530948-PAT00055
    Figure 112007042530948-PAT00056
    Figure 112007042530948-PAT00057
    Figure 112007042530948-PAT00058
    Figure 112007042530948-PAT00059
    Figure 112007042530948-PAT00060
    Figure 112007042530948-PAT00061
    Figure 112007042530948-PAT00062
    Figure 112007042530948-PAT00063
    Figure 112007042530948-PAT00064
    Figure 112007042530948-PAT00065
    Figure 112007042530948-PAT00066
    Figure 112007042530948-PAT00067
    Figure 112007042530948-PAT00068
    Figure 112007042530948-PAT00069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메타노플러렌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자소자는 유기발광소자, 유기태양전지, 유기감광체 (OPC), 유기메모리 및 유기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자소자.
KR1020070057423A 2007-06-12 2007-06-12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자소자 KR10090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423A KR100907753B1 (ko) 2007-06-12 2007-06-12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자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423A KR100907753B1 (ko) 2007-06-12 2007-06-12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자소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300A Division KR20090061613A (ko) 2009-05-14 2009-05-14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288A true KR20080109288A (ko) 2008-12-17
KR100907753B1 KR100907753B1 (ko) 2009-07-14

Family

ID=4036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423A KR100907753B1 (ko) 2007-06-12 2007-06-12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자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7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655A3 (ko) * 2009-01-29 2010-11-04 한국화학연구원 플러렌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유기 전자 소자
CN102875377A (zh) * 2012-10-12 2013-01-16 西南科技大学 一种富勒烯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4181986A1 (ko) * 2013-05-07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
EP4266854A4 (en) * 2022-03-03 2024-04-10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td FULLERENINE DERIVATIVE AND PEROVSKITE SOLAR CE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92B1 (ko) 2008-12-01 2012-03-19 광주과학기술원 플러렌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박막트랜지스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833B2 (ja) 1997-09-22 2000-04-17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バーミンガム 電子線レジスト
US6890676B2 (en) * 2002-02-05 2005-05-10 Sony Corporation Fullerene based proton conductive materials
JP2005266798A (ja) * 2004-02-19 2005-09-29 Tokyo Ohka Kogyo Co Ltd 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655A3 (ko) * 2009-01-29 2010-11-04 한국화학연구원 플러렌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유기 전자 소자
CN102875377A (zh) * 2012-10-12 2013-01-16 西南科技大学 一种富勒烯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4181986A1 (ko) * 2013-05-07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
US9711729B2 (en) 2013-05-07 2017-07-18 Lg Chem, Ltd. Organic electronic element comprising fullerene derivative
TWI602777B (zh) * 2013-05-07 2017-10-21 Lg化學股份有限公司 含富勒烯(fullerene)衍生物之有機電子裝置
EP4266854A4 (en) * 2022-03-03 2024-04-10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td FULLERENINE DERIVATIVE AND PEROVSKITE SOLAR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753B1 (ko)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Stable organic diradicals based on fused quinoidal oligothiophene imides with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Min et al. Quadruply B← N-fused dibenzo-azaacene with high electron affinity and high electron mobility
Cai et al. New donor–acceptor–donor molecules with pechmann dye as the core moiety for solution-processed good-performance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Bucher et al. BODIPY–diketopyrrolopyrrole–porphyrin conjugate small molecules for use in bulk heterojunction solar cells
Lee et al. High-performance perovskite solar cells based on dopant-free hole-transporting material fabricated by a thermal-assisted blade-coating method with efficiency exceeding 21%
Liao et al. Novel D–A–D type dyes based on BODIPY platform for solution processed organic solar cells
Mirloup et al. A deep-purple-grey thiophene–benzothiadiazole–thiophene BODIPY dye for solution-processed solar cells
Yang et al. A solution-processable D–A–D small molecule based on isoindigo for organic solar cells
Zhang et al. Star-shaped carbazole-based BODIPY derivatives with improved hole transportation and near-infrared absorption for small-molecule organic solar cells with high open-circuit voltages
JP5416282B2 (ja) 硫黄含有複素環が縮合したナフタレンテトラカルボン酸ジイミド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と応用
Hong et al. Linear fused dithieno [2, 3-b: 3′ 2′-d] thiophene diimides
Nowak-Król et al. Modulation of band gap and p-versus n-semiconductor character of ADA dyes by core and acceptor group variation
JP2007091714A (ja) 新規な窒素系半導体化合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有機太陽光電池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El-Khouly et al. Annulation of tetrathiafulvalene to the bay region of perylenediimide: fast electron-transfer processes in polar and nonpolar solvents
Kumar et al. Fine-tuning the optoelectronic chattels of fluoreno-thiophene centred molecular semiconductors through symmetric and asymmetric push–pull switch
KR100907753B1 (ko)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자소자
Ke et al. Substituents on the end group subtle tuning the energy levels and absorptions of small-molecule nonfullerene acceptors
Yu et al. Synthesis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PP-based small molecules with tunable energy levels by altering the molecular terminals
KR101043639B1 (ko) 에틸렌옥시기를 포함하는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이용한 유기전자소자
KR20090061613A (ko) 불소기로 치환된 메타노플러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Naqvi et al. Electron transport and ultrafast spectroscopic studies of new methanofullerenes bearing a heteroatom in the exohedral chain
KR100907752B1 (ko) 신규 플러렌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소자
Yan et al. Design, synthesis and photophysical properties of ADADA small molecules for photovoltaic application
Yuan et al.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multi) branched truxene compounds: Structure and photophysical properties
Gupta et al. Comparative charge transfer studies of porphyrin-fullerene dyads: substituents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