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121A -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 Google Patents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121A
KR20080109121A KR1020070057024A KR20070057024A KR20080109121A KR 20080109121 A KR20080109121 A KR 20080109121A KR 1020070057024 A KR1020070057024 A KR 1020070057024A KR 20070057024 A KR20070057024 A KR 20070057024A KR 20080109121 A KR20080109121 A KR 2008010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battery cartridge
cartridge module
detection
prote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206B1 (ko
Inventor
강주현
정도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57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206B1/ko
Publication of KR2008010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8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specially adapted for the type of battery or accumul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이상의 2차전지로 구성된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은, 2 이상의 2차전지 카트리지가 조립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을 검출하고 보호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력센서가 부착된 결속부재; 상기 응력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유무를 전기적 신호로 나타내는 검출수단;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외부출력 경로상에 설치된 스위칭 소자; 및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에 장착된 단위전지에 발생되는 부풀림을 모듈 또는 카트리지 단위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복잡하지 않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부풀림 감지 시 2차전지와 부하 (또는 충전장치)의 연결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2차전지의 폭발 등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2차전지, 카트리지, 카트리지 모듈, 스트레인 게이지, 휘스톤 브릿지

Description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Swelling detection/protection system of battery cartridge module and Methods thereof and Battery cartridge module protected thereb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2차전지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트리지 프레임에 형성된 결속부재 결착 홈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이 적용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에 적용되는 응력센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에 적용되는 검출수단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을 이용해 부풀림을 검출하고 보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2차전지 카트리지
200 :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10 :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 11 : 홈
12 : 결착 홈 20 : 단위전지
30 : 결속부재 40 : 응력센서
50 : 검출수단 60 : 제어부
70 : 스위칭 소자 80 : 2차전지 전원부
90 : 외부 출력단 95 : 충전장치
본 발명은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차전지의 부풀림(Swelling)현상을 카트리지 또는 모듈 단위로 부풀림을 검출하고 보호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는 휴대 전화나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2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 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동력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휴대형 전자기기들의 경우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서너 개의 단위전지 들이 사용되지만, 자동차 등과 같이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단위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 시스템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 시스템에 단위전지로서 많이 사용되는 파우치형 2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과 폴리머 수지의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 케이스로 포장되어 있으므로 기계적 강성이 크지 않다. 때문에, 다수의 단위전지 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카트리지에 내장하고 이러한 카트리지 다수 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 가운데 하나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과충전으로 인한 단위전지의 부풀림 현상을 들 수 있다. 부풀림 현상은 단위전지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부풀림 현상이 과도하게 일어나면 폭발의 위험까지 놓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과충전으로 인한 2차전지의 부풀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원시스템에서 사용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에 장착된 단위전지의 부풀림 현상을 모듈 또는 카트리지 단위로 검출하고 부풀림 현상이 검출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은, 2 이상의 2차전지 카트리지가 조립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을 검출하고 보호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력센서가 부착된 결속부재; 상기 응력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유무를 전기적 신호로 나타내는 검출수단;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외부출력 경로상에 설치된 스위칭 소자; 및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는 하나 이상의 단위전지가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다수의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속부재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상면과 하면에 십자형 교차 형태가 마련되도록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에 결속된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에는 응력 변화를 감지하는 응력센서가 결속부재의 십자형태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하거나, 십자형태 중심점에 위치하거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일렬로 위치하거나, 랜덤하게 선택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의 재질은 알루미늄, 탄소섬유, 유리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응력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응력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저항 성분으로 포함하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전계효과 트렌지스터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하고 보호하는 방법은,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을 이용하여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을 검출하고 보호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응력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저항 성분으로 포함하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된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결과에 따라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에 부풀림이 검출되면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과 부하 (또는 충전장치) 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과 결합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에는 상기 결속부재가 결속되는 지점에 결속부재 결착 홈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2차전지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트리지 프레임에 형성된 결속부재 결착 홈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2차전지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10)와,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10) 내에 장착되는 단위전지(20)와,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10)의 외면에 다수 형성된 홈(11)과,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10)의 가로세로 중심부에 형성된 결속부재(30) 결착 홈(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100)는 기계적 강성이 떨어지는 단위전지(20)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10)는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 외장 프레임, 하부 외장 프레임 및 내장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2차전지 카트리지(100)는 전체적으로 단위전지(20)의 형상에 상응하는 장방형으로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격자 구조물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2차전지 카트리지(100)의 구조 및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100)는 단위전지(20)가 내장된 상태에서 2차전지 카트리지(100)를 다수 개 연속적으로 중첩시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로 구성할 수 있다. 이경우 2차전지 카트리지(100) 사이에 폐쇄 공간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폐쇄 공간은 상호 접해있는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10)들과 단위전지(20)들로 인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단위전지(20)들의 효과적인 방열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10)에는 인접한 2차전지 카트리지(100)의 중첩 시 공기통로가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중 가로세로 중심부에 형성된 홈은 이후 설명될 결속부재(30)가 결착되는 결착 홈(11)으로써의 기능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이 적용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은 도 1의 2차전지 카트리지(100)를 다수 개 연속적으로 중첩시켜 구성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의 가로세로 중심부에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을 감싸도록 결속부재(30)가 십자형태의 띠로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30)에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력센서(40)가 부착된다. 응력센서(40)는 결속부재(30)의 십자형태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하거나, 십자형태 중심점에 위치하거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일렬로 위치하거나, 랜덤하게 선택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결속부재(3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탄성이 강한 탄소섬유나 유리섬유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본 발명이 결속부재(30)의 재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결속부재(30)가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 전체를 감싸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각각의 2차전지 카트리지(100)에 응력센서(40)가 부착된 결속부재(30)가 결착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에 적용되는 응력센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응력센서(40)로는 기계적인 미세한 응력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해서 검출할 수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력센서(40)는 여러 가닥의 가는 선을 한 방향으로 배열하여 직렬연결함으로써 응력을 감지하는 응력감지 저항체(41)와, 응력감지 저항체(41)와 피측정물 사이를 절연 시키는 절연시트(42)와,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도선(43)으로 구성되어 있고, 응력감지 저항체(41)를 외부의 손상으로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미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응력센서(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재(30)의 상면의 a, b, c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a 및 b 지점에 위치하게 될 응력센서(40)는 도 4a에 도시된 응력센서(40)가 사용되어 한 축 방향으로 발생되는 응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결속부재(30)의 십자형의 중심 지점인 c 지점에 위치하게 될 응력센서(40)는 도 4b에 도시된 응력센서(40)가 사용되는데 이는 십자방향으로 발생되는 응력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2축 스트레인 게이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십자형의 중심 지점인 c 지점에 2축 스트레인 게이지가 사용될 경우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응력을 모두 감지할 수 있으므로 a 및 b 지점에는 응력센서(40)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응력센서(40)의 부착 지점과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실시예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에 적용되는 검출수단의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출수단(50)은 상술된 응력센서(4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감도가 아주 미약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이 응력센서(4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감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수단(50)은 상기 응력센서(40)에서 전기저항 변화로써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휘스톤 브릿지(Wheatstone Bridge) 회로로 구성된다. 휘스톤 브릿지 회로는 R1=R2=R3=Rs 이거 나 R1*R3=R2*Rs 인 조건이 성립되면, 입력 측에서 소정의 입력전압(E)을 입력하더라도 출력전압(e)은 0이 된다. 이러한 상태를 발란스(Balance) 되어 있다고 한다. 만약 회로에 포함된 저항들 간에 발란스가 맞지 않으면 저항 변화에 따라 출력전압(e)이 발생한다.
즉 응력센서(40)가 부착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 내에 장착된 단위전지(20)가 부풀어 오르게 되면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을 감싸고 있는 결속부재(30)에 응력 변화가 가해지고 이 결속부재(30) 상에 부착된 응력센서(40)는 이를 감지하여 응력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저항 변화)를 발생한다. 이 전기적 신호는 응력센서(40)를 저항성분으로 포함하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된 검출수단(50)으로 전달되어 전기적 신호 즉, 전기 저항의 변화에 따라 출력전압(e)이 발생되고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증폭기(51)에 의해서 출력전압(e)를 증폭하여 증폭된 전압(e ')으로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을 이용해 부풀림을 검출하고 보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은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을 감싸고 있는 결속부재(30) 상에 부착된 응력센서(40)와, 응력센서(4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전압으로 출력하는 검출수단(50)과, 검출수단(50)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제어부(60)와, 제어부(60)의 제어를 받아 2차전지 전원부(80)와 외부 출력단(90) 또는 충전 장치(95) 간의 연결을 차단하는 스위칭 소자(70)로 구성된다.
상기 응력센서(40)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을 감싸고 있는 결속부재(30) 상에 부착되어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 내에 장착된 단위전지(20)의 부풀림의 유무를 감지한다. 만약, 단위전지(20)가 과충전이나 단위전지(20) 내부의 이상으로 부풀림이 발생하게 되면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을 감싸고 있는 결속부재(30)에 응력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응력 변화는 응력센서(40)에 의해 감지되고 응력센서(40)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력센서(40)로 사용된 스트레인 게이지는 이 전기적 신호를 전기 저항의 변화로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검출수단(50)은 응력센서(40)를 저항성분으로 포함하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되어 응력센서(40)로부터 발생된 전기적 신호 즉, 전기 저항 변화에 따라 출력전압을 출력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60)는 검출수단(50)으로부터 출력된 출력전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제어부(60)는 미리 테스트 및 계산작업을 통해 설정된 기준전압과 검출수단(50)에서 출력된 출력전압을 비교한다. 만약, 단위전지(20)가 부풀어 올라 출력전압이 기준전압을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60)는 스위칭 소자(70), 예컨대 전계효과 트렌지스터(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를 제어하여 2차전지 전원부(80)와 외부 출력단(90) 또는 충전 장치(95)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200)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에 장착된 단위전지에 발생되는 부풀림을 모듈 또는 카트리지 단위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복잡하지 않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부풀림 감지 시 2차전지와 부하 (또는 충전장치)의 연결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2차전지의 폭발 등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2 이상의 2차전지 카트리지가 조립된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을 검출하고 보호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력센서가 부착된 결속부재;
    상기 응력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유무를 전기적 신호로 나타내는 검출수단;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외부출력 경로상에 설치된 스위칭 소자; 및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는 하나 이상의 단위전지가 내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다수의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상면과 하면에 십자형 교차 형태가 마련되도록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에는 응력 변화를 감지하는 응력센서가 결속부재의 십자형태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하거나, 십자형태 중심점에 위치하거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일렬로 위치하거나, 랜덤하게 선택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의 재질은 알루미늄,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응력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저항 성분으로 포함하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전계효과 트렌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10. 제1항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을 이용하여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을 검출하고 보호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응력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저항 성분으로 포함하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된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결과에 따라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에 부풀림이 검출되면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과 부하 (또는 충전장치) 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하고 보호하는 방법.
  11. 제1항에 따른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이 결합된 2 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에는 상기 결속부재가 결속되는 지점에 결속부재 결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KR1020070057024A 2007-06-12 2007-06-12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KR101293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024A KR101293206B1 (ko) 2007-06-12 2007-06-12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024A KR101293206B1 (ko) 2007-06-12 2007-06-12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607A Division KR101384309B1 (ko) 2013-06-19 2013-06-19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121A true KR20080109121A (ko) 2008-12-17
KR101293206B1 KR101293206B1 (ko) 2013-08-05

Family

ID=4036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024A KR101293206B1 (ko) 2007-06-12 2007-06-12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20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8857A2 (ko) * 2010-03-05 2011-09-09 (주)브이이엔에스 전지 카트리지
FR3004856A1 (fr) * 2013-04-23 2014-10-2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gestion d'un accumulateur
CN112946494A (zh) * 2021-01-22 2021-06-11 广东以诺通讯有限公司 一种电池盒自动测试机
WO2021182792A1 (ko) * 2020-03-12 2021-09-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의 스웰링 검사 장치
EP3826100A4 (en) * 2019-01-18 2021-12-22 LG Chem, Ltd.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PROCEDURE
CN114175357A (zh) * 2019-11-20 2022-03-11 株式会社Lg新能源 用于感测电池模块的膨胀的设备及方法
EP4135095A1 (en) * 2021-08-10 2023-02-15 Volvo Car Corporation A monitoring system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WO2023207819A1 (zh) * 2022-04-29 2023-11-02 华为技术有限公司 电池模组、电池包和用电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476A1 (en) * 2019-05-30 2020-12-03 Google Llc Methods to continuously monitor battery cell physical health and swell
KR20210136253A (ko) 2020-05-07 2021-11-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911A (ja) 2000-10-06 2002-04-19 Nec Mobile Energy Kk 電池搭載機器
GB0119530D0 (en) 2001-08-10 2001-10-03 Nec Technologies Uk Ltd Electrical cell protection
KR100881641B1 (ko) * 2005-05-10 2009-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중대형 전지팩
KR100696638B1 (ko) * 2005-09-05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8857A2 (ko) * 2010-03-05 2011-09-09 (주)브이이엔에스 전지 카트리지
WO2011108857A3 (ko) * 2010-03-05 2011-12-15 (주)브이이엔에스 전지 카트리지
CN102782901A (zh) * 2010-03-05 2012-11-14 株式会社V-Ens 电池盒
CN102782901B (zh) * 2010-03-05 2015-04-29 Lg电子株式会社 电池盒
FR3004856A1 (fr) * 2013-04-23 2014-10-2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gestion d'un accumulateur
WO2014173956A1 (fr) * 2013-04-23 2014-10-30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 Dispositif de gestion d'un accumulateur
US10020546B2 (en) 2013-04-23 2018-07-10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 Device for managing an accumulator
US11598814B2 (en) 2019-01-18 2023-03-07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EP3826100A4 (en) * 2019-01-18 2021-12-22 LG Chem, Ltd.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PROCEDURE
CN114175357A (zh) * 2019-11-20 2022-03-11 株式会社Lg新能源 用于感测电池模块的膨胀的设备及方法
CN114175357B (zh) * 2019-11-20 2023-09-12 株式会社Lg新能源 用于检测电池模块的膨胀的设备及方法
WO2021182792A1 (ko) * 2020-03-12 2021-09-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의 스웰링 검사 장치
CN112946494A (zh) * 2021-01-22 2021-06-11 广东以诺通讯有限公司 一种电池盒自动测试机
CN112946494B (zh) * 2021-01-22 2023-11-14 广东以诺通讯有限公司 一种电池盒自动测试机
EP4135095A1 (en) * 2021-08-10 2023-02-15 Volvo Car Corporation A monitoring system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WO2023207819A1 (zh) * 2022-04-29 2023-11-02 华为技术有限公司 电池模组、电池包和用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206B1 (ko)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206B1 (ko)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KR100899284B1 (ko) 간단한 구조의 안전수단을 구비한 전지모듈
US76835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disconnecting short-circuited battery cells within a battery pack
JP5952418B2 (ja)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US201903193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within a Battery Assembly
EP1946404B1 (en) Battery system with temperature sensors
EP2736092B1 (en) Battery pack
US8922959B2 (en) Safety component by fuse at high voltage battery sensing line
CN103682503A (zh) 电池包
KR101262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CN210224157U (zh) 电池模组、动力电池包和车辆
EP3840083B1 (en) Thermal runaway detection system and battery system
WO2011154856A2 (en) A battery connection failure detection system
CN113767028B (zh) 车辆电池火灾感测设备和方法
KR20140012264A (ko) Cid 구조를 갖는 배터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487577B1 (ko) 배터리 팩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 릴레이 어셈블리
KR101750488B1 (ko) 직렬 연결된 ptc 서미스터들을 포함하는 이상온도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384309B1 (ko)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KR20220018832A (ko) 전기 차량용 배터리의 열폭주 감지 장치
CA2706503C (en) A battery connection failure detection system
JP2014147187A (ja) 電池監視装置
JP2006164826A (ja) パック電池
US11424082B2 (en) Storage unit for electrical energy, method for monitoring a storage unit of this kind and vehicle
KR101826863B1 (ko) 직접 충전이 가능한 중대형 전지팩 및 상기 중대형 전지팩이 접속되는 충전 스테이션
JP2023551995A (ja) 熱暴走感知用の圧力センサーを備え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