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253A -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253A
KR20210136253A KR1020200054237A KR20200054237A KR20210136253A KR 20210136253 A KR20210136253 A KR 20210136253A KR 1020200054237 A KR1020200054237 A KR 1020200054237A KR 20200054237 A KR20200054237 A KR 20200054237A KR 20210136253 A KR20210136253 A KR 20210136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output voltage
strain gauge
change
evalu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동완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54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253A/ko
Publication of KR2021013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2/00Methods or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7/00Measuring arrangements involv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e.g. bridge
    • G01R17/10AC or DC measuring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으로서, 전지 케이스의 팽창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출력 전압값이 달라지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가스 포켓부의 외면에 부착하고, 평가 조건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내부 가스 발생에 의한 부피 변화를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고, 부피 변화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Method for evaluating gas generation behavior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strain gauges}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의 내부 가스 발생 시점, 가스 발생에 의한 전지의 부피 변화량, 온도 및 충전상태에 따른 가스 발생 거동 등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내용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전압을 가지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질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지의 양/음극 탭(tab)에 연결된 전극 리드가 한쪽으로 나와 있는 단방향 전지 또는 보고 있는 방향으로 나와 있는 양방향 전지로 나뉜다. 그 중에서 양방향 전지는 도 1과 같은 구조를, 단방향 전지는 도 2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1,2에 도시한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10), 전극 리드(120, 130),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40)를 포함한다. 부호 번호 150은 열융착이 이루어진 실링부를 나타낸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가볍고 전해질의 누액(leakage) 가능성이 적으며, 형태에 융통성을 가질 수 있어 보다 작은 부피 및 질량으로 같은 용량의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한편, 고온에서의 노출, 외부에서의 충격 등을 포함해 사용에 따른 퇴화에 따라 전극이 팽창되고 전지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1,2에 도시한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실링부(150)와 전극 조립체(110) 사이에 빈 공간(dead space, 160)이 구성되어 있고, 다양한 이유로 전지 내부에서 가스 발생시 이 부위로 가스가 모인다.
그런데 빈 공간(160)은 가스를 가두어 두는 것이 아니므로 가스는 전극 조립체(110)와 같은 공간에 가스가 머무르게 되어 전극 조립체(110) 쪽으로도 가스가 차게 되면 전극 조립체(110)가 위치하는 바디 부분에서 일종의 부풀음 현상인 스웰링(swelling)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웰링에 의해 파우치형 이차전지 바디 부분 두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여러 개 모아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으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의 스웰링은 전체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사용상의 제한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에, 전지의 개발 단계에서, 전지의 온도, 충전 상태, 전압 등에 따른 전지의 스웰링 거동을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스웰링 거동을 평가하는 내용 중, 온도나 충전 상태에 따른 전지의 부피 변화량을 측정하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고, 이를 위해, 종래에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해 전지의 부피 변화량을 측정하기도 하였다. 상기 방법은, 공기 중에서 전지의 무게를 측정하고, 물이나 용매가 차 있는 수조 중에서 전지의 부피를 측정하여, 측정된 무게 차이와 용매의 밀도를 이용하여 전지의 부피 변화를 계산하는 것으로, 수조 중에 전지를 담그기 위해 평가를 중단해야 하고, 전지를 수조에 담그는 과정에서 전지의 온도가 변화하므로, 신뢰도에 있어서 문제가 있었다.
이에, 평가 진행 중 실시간으로 가스 발생에 따른 부피 변화를 측정하고, 가스 발생 조건 및 가스 발생 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방법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2932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의 평가 진행 중, 실시간으로 가스 발생에 따른 부피 변화를 측정하고, 가스 발생의 시점을 보다 잘 검출할 수 있으면서, 부피 변화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전지 케이스의 팽창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출력 전압값이 달라지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가스 포켓부의 외면에 부착하고, 평가 조건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가 조건은, 전지의 온도, 시간, 전지의 충전률(SOC) 및 전지의 전압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고, 상기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출력 전압으로부터 전지 케이스의 길이 변화량을 연산하는 과정; 및 상기 길이 변화량으로부터 전지의 부피 변화량을 도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피 변화량을 도출하는 과정은, 길이 변화량과 이에 대응하는 부피 변화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데이터로부터 길이 변화량과 이에 대응하는 부피 변화량의 상관관계 식을 도출하는 과정; 및 상기 상관관계 식에 길이 변화량을 대입하여 부피 변화량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양극 / 분리막 / 음극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수납부에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수납하고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해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1 내지 10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휘스톤 브릿지(wheatstone Bridge) 회로가 적용되고, 출력 전압이 증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출력 전압의 변화 시점을 가스 발생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전압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검출 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가방법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가스 포켓부에 대응하는 전지 케이스의 외면에 부착함으로써, 부피 변화에 대한 검출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해 측정되는 출력 전압의 변화를 통해, 부피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고, 부피 팽창에 따른 응력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함에 있어서, 보다 민감성이 좋은 위치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므로, 부피 변화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 양방향 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 단방향 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는 방법의 다양한 실시양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트레인 게이지 적용된 휘스톤 브릿지의 회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예 따른 출력 전압의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출력 전압의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으로서, 전지 케이스의 팽창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출력 전압값이 달라지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가스 포켓부의 외면에 부착하고, 평가 조건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 전압값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평가방법이 적용되는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 분리막 / 음극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수납부에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수납하고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110), 전극 탭(미도시), 전극 리드(120, 130),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4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편의상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이고,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하나 이상의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며, 전지 케이스(140)에 수납된다. 이 때, 전극 조립체(110)는 다수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된 상태로 전지 케이스(140)에 수납되거나, 하나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권취된 상태로 전지 케이스(140)에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과 음극 및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딩형,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를 들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평가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200)들이 전지 케이스(14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가스 포켓부에 대응하는 전지 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링부(150)와 전극 조립체(110) 사이의 빈 공간(dead space, 160)이 형성되어 있고, 전지 내부에서 가스 발생 시 이 부위로 가스가 모이게 된다. 상기 빈 공간(160)이 가스 포켓부이다. 한편, 상기 가스 포켓부는, 전지셀의 테라스 부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양방향 전지가 도시되어 있고, 양방향 전지는 2개의 가스 포켓부(160)를 가지고 있으며, 각 가스 포켓부(160)의 외면에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양방향 전지가 도시되어 있고, 양방향 전지는 2개의 가스 포켓부(160)를 가지고 있으며, 각 가스 포켓부(160)의 외면에 1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방향 전지가 도시되어 있고, 단방향 전지는 1개의 가스 포켓부(160)를 가지고 있으며, 가스 포켓부(1600의 외면에 1개의 스트레인 게이지(200)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스 포켓부에 대응하는 전지 케이스 외면에 부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20개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1 내지 10개일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기계적인 미세한 응력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는 수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트레인 게이지(200))는 여러 가닥의 가는 선을 한 방향으로 배열하여 직렬 연결함으로써 응력을 감지하는 응력감지 저항체(210)와, 응력감지 저항체(210)와 피측정물 사이를 절연 시키는 절연시트(220)와,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도선(230)으로 구성되어 있고, 응력감지 저항체(210)를 외부의 손상으로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포켓부에 대응하는 전지 케이스 외면에서 1곳 또는 2곳 이상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레인 게이지(200)는 한 축 방향으로 발생되는 응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본 발명의 스트레인 게이지는, 전기저항 변화로써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휘스톤 브릿지(Wheatstone bridge) 회로로 구성된다. 도 7은 휘스톤 브릿지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휘스톤 브릿지 회로는 R1=R2=R3=Rs 이거나 R1*R3=R2*Rs 인 조건이 성립되면, 입력 측에서 소정의 입력전압(E)을 입력하더라도 출력전압(e)은 0이 된다. 이러한 상태를 발란스(Balance) 되어 있다고 한다. 만약 회로에 포함된 저항들 간에 발란스가 맞지 않으면 저항 변화에 따라 출력전압(e)이 발생한다.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된 가스 포켓부가 내부 가스에 의해 부풀어 오르게 되면 가스 포켓부를 감싸는 전지 케이스 외면에 응력 변화가 가해지고, 스트레인 게이지는 이를 감지하여 응력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저항 변화)를 발생한다. 이 전기적 신호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저항성분으로 포함하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된 검출수단(미도시)으로 전달되어 전기적 신호 즉, 전기 저항의 변화에 따라 출력전압(e)이 발생되고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증폭기(미도시)에 의해서 출력전압(e)를 증폭하여 증폭된 전압(e ')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평가 조건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평가 조건이란 구체적으로 전지의 온도, 시간, 전지의 충전률(SOC; State of Charge) 및 전지의 전압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즉, 전지의 온도 별로 발생하는 내부 가스의 부피, 시간에 따른 전지의 발생 시점, 과충전 등 전지의 충전률(충전상태)에 따른 내부 가스의 부피, 전지의 전압 수치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내부 가스 부피의 양을 평가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평가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상기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의 인자를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평가방법은,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출력 전압으로부터 전지 케이스의 길이 변화량을 연산하는 과정; 및 상기 길이 변화량으로부터 전지의 부피 변화량을 도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된 스트레인 게이지는 응력에 따른 길이의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므로,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출력 전압으로부터, 전지 케이스의 팽창 전/후의 길이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전압은,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검출 수단에 의해 출력된다. 상기 검출 수단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저항성분으로 포함하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되어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발생된 전기적 신호 즉, 전기 저항 변화에 따라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출력 전압을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길이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전지의 내부 가스에 의해 전지의 팽창이 일어남에 따라, 팽창 전/후 전지 케이스의 길이 변화량(dL= 팽창 후 길이 - 팽창 전 길이)은,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것이다.
[식 1]
dL= 4L0·Vm/k·Vs
(식 1에서, L0는 팽창 전 길이를, Vm은 출력전압을, Vs는 입력전압을, k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가지는 고유 상수로써, 길이 변화량과 측정값의 변화량인 저항과의 상관계수이다)
상기 식 1에 따라 팽창 전/후의 길이 변화량을 계산한 후에는, 전지의 부피 변화량을 도출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상기 전지의 부피 변화량을 도출하는 과정은, 길이 변화량과 이에 대응하는 부피 변화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데이터로부터 길이 변화량과 이에 대응하는 부피 변화량의 상관관계 식을 도출하는 과정; 및 상기 상관관계 식에 길이 변화량을 대입하여 부피 변화량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 변화량과 이에 대응하는 부피 변화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은, 길이 변화량(L1)을 측정하여 저장하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부피 변화량(Vol1)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피 변화량의 측정 방법은, 신뢰성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같이 측정된 부피 변화량(Vol1)을, 길이 변화량에 대응하는 부피 변화량으로 테이블화하여 저장한다. 이 같은 과정을 수회 반복하면, 길이 변화량과 이에 대응하는 부피 변화량에 대한 상관관계 대량의 데이터가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같은 데이터를 회귀분석과 같은 통계적 방법을 이용해, 길이 변화량으로부터 부피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는 상관관계 수학식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같은 상관관계 수학식을 이용하면, 길이 변화량(dL)을 상관관계 수학식에 대입함으로써, 부피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방법에 사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는, 휘스톤 브리지 회로가 적용되어, 출력전압이 증폭되므로, 미세한 응력 변화에도 전기적 신호로 검출되고, 부피 변화량을 전술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출력 전압의 변화 시점을 가스 발생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가스 발생에 따라 전지 케이스가 팽창하고, 스트레인 게이지는 팽창 응력에 따른 길이의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므로, 출력 전압이 변화되는 시점은, 전지 케이스의 팽창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전지의 상부 가스 포켓부에, 2 개의 휘스톤 브릿지 회로가 적용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를 부착하였다. 그리고 상기 전지를 충전하면서 시간에 따른 출력 전압을 측정해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트레인 게이지를 가스 포켓부에 부착한 경우, 출력 전압의 최대값이 4.5V이다.
비교예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전지의 셀 바디부 중앙에 1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를 부착하였다. 그리고 상기 전지에 대해 충방전을 반복하면서, 시간에 따른 출력 전압을 측정해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트레인 게이지를 셀 바디부에 부착한 경우, 출력 전압이 -200mV 내지 100mV였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를 가스 포켓부에 부착하는 경우, 스트레인 게이지를 셀 바디부에 부착하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출력 전압의 변화량이 훨씬 커서, 내부 가스 발생 조건에 따른 부피 변화를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고, 부피 변화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전지셀
110: 전극 조립체
120, 130: 전극 리드
140: 전지 케이스
150: 실링부
160: 가스 포켓부
200: 스트레인 게이지

Claims (9)

  1.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으로서,
    전지 케이스의 팽창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출력 전압값이 달라지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가스 포켓부의 외면에 부착하고,
    평가 조건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평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조건은, 전지의 온도, 시간, 전지의 충전률(SOC) 및 전지의 전압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고,
    상기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평가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출력 전압으로부터 전지 케이스의 길이 변화량을 연산하는 과정; 및
    상기 길이 변화량으로부터 전지의 부피 변화량을 도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평가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 변화량을 도출하는 과정은,
    길이 변화량과 이에 대응하는 부피 변화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데이터로부터 길이 변화량과 이에 대응하는 부피 변화량의 상관관계 식을 도출하는 과정; 및
    상기 상관관계 식에 길이 변화량을 대입하여 부피 변화량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평가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 분리막 / 음극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수납부에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수납하고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인 평가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1 내지 10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휘스톤 브릿지(wheatstone Bridge) 회로가 적용되고, 출력 전압이 증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 전압값의 변화 시점을 가스 발생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평가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검출 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방법.
KR1020200054237A 2020-05-07 2020-05-07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 KR20210136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237A KR20210136253A (ko) 2020-05-07 2020-05-07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237A KR20210136253A (ko) 2020-05-07 2020-05-07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253A true KR20210136253A (ko) 2021-11-17

Family

ID=7870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237A KR20210136253A (ko) 2020-05-07 2020-05-07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62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3485A (zh) * 2021-12-04 2022-04-12 湖南泰和美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电解液泄露的检测装置和方法
WO2023128472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의 조기 검출이 가능한 전지 모듈, 전지 팩 및 가스 벤팅의 조기 검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06B1 (ko) 2007-06-12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06B1 (ko) 2007-06-12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의 부풀림 검출/보호 시스템 및 그방법, 이에 보호받는 2차전지 카트리지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3485A (zh) * 2021-12-04 2022-04-12 湖南泰和美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电解液泄露的检测装置和方法
WO2023128472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의 조기 검출이 가능한 전지 모듈, 전지 팩 및 가스 벤팅의 조기 검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9328B2 (en) Abnormality detector
JP5444762B2 (ja) 圧力測定装置及び厚み測定装置
JP6151577B2 (ja) 感圧フィルムセンサを備えたバッテリセル
US20170324122A1 (en) Sensitive strain-based soc and soh monitoring of battery cells
US9793581B2 (en) Encasing film for a galvanic element, electrochemical store, electrochemical storage system, flexible film for an encasing of a galvanic el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variable of an electrochemical store
US5438249A (en) Method of state-of-charge indication by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battery
JP2006269345A (ja) 過電圧検出方法、装置及びバッテリパック
US201603803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battery cell health
KR20210136253A (ko)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가스 발생 거동 평가방법
CN112946509A (zh) 一种基于电极应变的锂离子电池老化状态估计方法
US10020546B2 (en) Device for managing an accumulator
CN114696048A (zh) 一种锂离子电池组件及电池管理系统
JP3913385B2 (ja) 二次電池
KR20220018832A (ko) 전기 차량용 배터리의 열폭주 감지 장치
JPH08194037A (ja) アルカリ電池の残存容量測定方法および装置
US1151558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unit, corresponding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corresponding electrical energy storage unit
JP7346789B2 (ja) バッテリースウェリング検査装置及び方法
CN114597337A (zh) 一种电池极片以及动力电池
KR20220147253A (ko) 파우치형 전지 셀의 압력측정장치 및 압력측정방법
KR20180067140A (ko) 쇼트 감지방법 및 장치
KR20220015551A (ko) 필름형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 셀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전지 셀의 스웰링 측정 방법
KR20210081611A (ko) 배터리 셀의 스웰링 특성 분석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스웰링 특성 분석 방법
KR20220013101A (ko)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 셀의 스웰링 측정용 셀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전지 셀의 스웰링 측정 방법
WO2024065261A1 (zh) 电芯组件、电池单体、电池及用电装置
US20220412911A1 (en) Welding failure insp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