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843A - 정보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08843A KR20080108843A KR1020070056910A KR20070056910A KR20080108843A KR 20080108843 A KR20080108843 A KR 20080108843A KR 1020070056910 A KR1020070056910 A KR 1020070056910A KR 20070056910 A KR20070056910 A KR 20070056910A KR 20080108843 A KR20080108843 A KR 200801088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input device
- center
- fixing member
- circuit bo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정보 입력장치가 개시된다.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지부 및 파지부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측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고정되며, 휠을 구비하는 회전식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회전식 입력장치의 휠의 회전으로 인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휠은 파지부를 통해 그 전면(全面)이 외부로 노출되는 정보 입력장치는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마우스, 회전식 입력장치, 파지부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정보 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의 측면도.
도 4는 회전식 입력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회전식 입력장치의 센터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는 회전식 입력장치의 센터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BB'선에 따른 센터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8a는 회전식 입력장치의 휠의 배면도.
도 8b는 도 8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회전식 입력장치의 휠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10: 정보 입력장치 11: 케이스
13: 파지부 21: 측면부
30: 회전식 입력장치 32: 센터키
52: 휠
본 발명은 정보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mouse)와 같은 정보 입력장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전자 기기 등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하드웨어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운영 체계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사의 윈도우(Window)를 OS(Operating System)로 사용하면서 키보드 이외의 입력 수단으로 마우스가 급속하게 보급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정보 입력장치의 일 예인 마우스(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마우스는 평탄한 바닥면을 갖는 본체 프레임(110)과, 본체 프레임(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 할 수 있게 형성된 파지부(120)와, 파지부(120)의 전방에 구비되어 손가락 등으로 누를 수 있게 형성된 버튼(130)과, 본체 프레임(110)의 하측에 형성되어 마우스(100)의 위치 변화를 인식하는 센서부와, 마우스(100)를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150)을 포함한다. 그리고 버튼(130)의 사이에는 휠(160)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100)를 마우스 패드 상에서 2차원적으로 이동시켜 커서 등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버튼(130)을 클릭하여 해당하는 아이콘 등을 실행한 다. 그리고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서 휠(160)을 사용자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정보 입력장치는 휠(160)의 일부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휠(160)을 계속해서 회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손가락을 잠시 뗀 후 다시 회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문서 또는 웹 페이지의 길이가 긴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정보 입력장치는 사용상 불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정보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지부 및 파지부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측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고정되며, 휠을 구비하는 회전식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회전식 입력장치의 휠의 회전으로 인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휠은 파지부를 통해 그 전면(全面)이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휠의 회전 축은 파지부의 접선 방향에 대해 수직일 수 있으며, 휠은 360°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회전식 입력장치는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고정부재, 휠 고정부재 를 지지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휠에는 마그네트가 고정되어 있으며, 회로기판에는 마그네트의 회전을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검출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휠은 원형의 삽입홈을 가지고, 휠 고정부재는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에는 고정부재돌기가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회로기판에는 고정부재돌기에 대향하는 사이드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휠의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홀에는 센터키가 위치하고 있으며, 센터키는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를 구비하고, 회로기판에는 센터돌기에 대향하는 센터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휠은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삽입홈에 삽입된 삽입부는 절곡된 걸림돌기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10)는 케이스(11) 및 케이스(11)에 고정된 회전식 입력장치(30)를 포함한다. 케이 스(11)는 단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의 파지부(13) 및 파지부(13)의 양 가장자리(19)에서 연장된 측면부(21)를 포함한다. 케이스(11)의 파지부(13)에는 회전식 입력장치(30)의 휠(52) 및 센터키(32)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케이스(11)에는 케이블(20)이 연결될 수 있는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1)는 파지부(13) 및 양 측면부(21)로 이루어진다. 파지부(13)에는 사용자의 손가락(도시하지 않음) 및/또는 손바닥(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한다. 그리고 양 측면부(21)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부(13)에 손바닥을 위치시킨 후 손가락으로 양 측면부(21)를 파지함으로써 케이스(11)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광학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으며, 광학 센서는 케이스(11)의 이동을 감지하여 케이스(11)의 이동에 따른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광학 센서는 일반적인 광 마우스(optical mouse)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파지부(13)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원호 형상을 갖는다. 도 3에서는 파지부(13)가 케이스(11)의 중앙(점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 되었지만, 파지부의 형상 및 곡률반경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파지부(13)는 점선을 기준으로 전면(15) 및 후면(17)으로 구분된다.
전면(15)에는 회전식 입력장치(30)의 휠(52)의 전면(全面)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휠(52)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지부(13)의 곡선면과 실질 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휠(52)은 360°회전 가능한데, 휠(52)의 회전축(일점 쇄선 표시)은 파지부(13)의 접선 방향에 대해 수직이다.
후면(17)은 전면(15)에서 연장된 부분으로서, 후면(17)에는 주로 사용자의 손바닥(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면(17)에 손바닥을 위치시키고 엄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양 측면부(21)에 위치시킨 후 검지를 이용하여 휠(52)을 원하는 방향으로 360°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10)는 사용자가 가볍게 케이스(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떼지 않고 휠(52)을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특히, 컴퓨터의 모니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다량의 문서를 보거나 웹 페이지를 검색하는 경우, 문서 또는 웹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측면부(21)는 파지부(13)의 가장자리(19)에서 하향 연장된 부분으로서 파지부(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11)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10)에 적용되는 회전식 입력장치(3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회전식 입력장치(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식 입력장치(30)는 그 상면(36)이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키(32), 센터키(32)의 외주면에서 센터키(32)를 지지하는 센터 고정부재(42) 그리고 둘레면(54)이 외부로 노출되는 휠(52)을 포함한다. 또한, 회로기판(84)에는 센터버튼(92, 점선 표시) 및 사이드 버튼(88a, 88b, 88c, 88d, 점선 표시)이 실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센터키(32)를 눌러서 센터버튼(92)을 실행하거나 휠(52)의 특정 방향을 눌러서 사이드 버튼(88a, 88b, 88c, 88d)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휠(52)을 회전하면서 일정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전식 입력장치(30)는 휠(52)의 회전에 의한 정보 입력, 센터버튼(92)에 의한 정보 입력 및 사이드 버튼(88a, 88b, 88c, 88d)에 의한 정보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더욱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식 입력장치(30)는 휴대용 전화기,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휴대용 컴퓨터, MP3 플레이어, 게임기 등에서 정보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4개의 사이드 버튼(88a, 88b, 88c, 88d)을 도시하였지만, 사이드 버튼의 수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3개 또는 6개의 사이드 버튼을 회로기판(84)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3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식 입력장치(30)는 중앙에 센터키(32)가 위치하고, 센터키(32)는 센터 고정부재(42)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센터 고정부재(42)는 걸림부(48)에 의해 회로기판(84)에 고정된다. 센터 고정부재(42)의 외주면에는 휠(5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휠(52)은 휠 고정부재(72)에 의해 회로기판(84)에 대해 고정된다. 휠 고정부재(72)는 휠(52)의 삽입홈(5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회로기판(84)에 고정된다.
그리고 휠(52)의 이면에는 마그네트(99)가 고정되어 있으며, 회로기판(84)에 는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검출소자(86)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휠(52)이 회전하게 되면 마그네트(99)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에 변화가 생기게 되고, 이를 검출소자(86)가 감지함으로써 휠(52)의 회전에 따른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30)는 센터키(32)의 가압에 의한 정보 입력, 휠(52)의 가압에 의한 정보 입력 그리고 휠(52)의 회전에 의한 정보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센터키(32)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센터키(32)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센터키(32)는 원형의 상면(36)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센터키(32)의 외주면에는 외부단턱(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터키(32)의 하면에는 센터돌기(38)가 구비되어 있다.
상면(36)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등 센터버튼(92)을 가압하기 위한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외부단턱(36)은 센터키(3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외부단턱(36)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터 고정부재(42)의 내부단턱(46)에 걸림된다. 그리고 센터키(32)의 하면에 형성된 센터돌기(38)는 센터버튼(92)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단턱(36)은 내부단턱(46)을 일정한 압력으로 상향 가압하고, 이로 인해 센터키(32)가 센터 고정부재(42)에 대해 고정되는 것이다.
센터키(32)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38)는 센터버튼(92)과 접하고 있다. 따라서 외력이 센터키(32)의 상면(36)에 가해지는 경우 센터키(32)는 하향 이동하고, 이로 인해 센터돌기(38)가 센터버튼(92)을 눌러 일정한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센터키(32)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센터버튼(92)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센터키(32)가 상향 이동하면서 외부단턱(36)이 내부단턱(46)에 걸리게 되어 센터키(32)의 이동이 멈추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서 센터 고정부재(42)에 대해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는 센터 고정부재(42)의 배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센터 고정부재(42)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는 센터키(32)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44)의 내주면에는 내부단턱(46)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단턱(46)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터키(32)의 외부단턱(36)이 걸림된다. 삽입공(44)에 삽입된 센터키(32)는 삽입공(44)의 내부에서 상하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다.
센터 고정부재(42)의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의 걸림부(48)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걸림부(48)의 단부에는 걸림후크(48a)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걸림부(48)는 회로기판(84)에 형성된 제1 고정공(94)에 삽입되며, 이때 걸림부(48)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후크(48a)가 회로기판(84)의 이면에 걸림된다.
이와 같이 센터 고정부재(42)는 센터키(3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휠(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센터 고정부재(42)의 외주면에는 휠(52)이 삽입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회전식 입력장치(30)의 휠(52)을 도 5 및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는 휠(52)의 배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휠(52)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는 센터 고정부재(42)를 수용하는 관통홀(5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휠(52)의 이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삽입홈(58)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56)의 하단에는 걸림돌기(168)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휠(5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둘레면(54)이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둘레면(54)에 손가락 등을 접촉한 후 일정한 힘을 가하여 휠(52)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휠(52)은 휠 고정부재(72)에 의해서 360°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관통홀(56)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고정부재(42)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관통홀(56)을 통해서는 센터 고정부재(42)의 상면 및 센터키(32)의 상면(36)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휠(52)은 관통홀(5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이는 관통홀(56)에 삽입된 센터 고정부재(42)가 회로기판(84)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휠(52)의 이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삽입홈(58)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58) 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휠 고정부재(7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휠(52)의 관통홀(56)의 하단에는 걸림돌기(62)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걸림돌기(62)는 관통홀(56)의 하단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삽입홈(58)에 삽입된 휠 고정부재(72)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곡된 걸림돌기(62)에 의해 그 이탈이 방지된다. 걸림돌기(62)의 절곡은 삽입홈(58)에 휠 고정부재(72)를 삽입한 후 지그(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힘과 열을 가하면서 걸림돌기(62)가 외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휠(52)의 이면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둘레에 마그네트(99)가 고정된다. 마그네트(99)의 둘레에는 일정한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99)에 대향하게는 검출소자(86)가 회로기판(84)에 실장되어 있다. 휠(52)의 회전에 의해 마그네트(99)도 함께 회전 하면서 검출소자(86)에 대한 자기장의 변화를 야기한다. 이로 인해 검출소자(86)가 휠(52)의 회전을 검출하여 일정한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휠(5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이 하향 이동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이 상향 이동하도록 회전식 입력장치(30)를 구성할 수 있다.
검출소자(86)는 회로기판(84)에 복수 개가 실장되며 자기장의 변화를 통해 휠(52)의 회전을 검출한다. 검출소자는 자기장 내에서 전자가 로렌츠의 힘을 받아 운동방향이 굽어져 기전력이 발생하는 효과를 이용한 실리콘 반도체인 홀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홀센서는 휠(52)에 부착된 마그네트(99)의 회전에 비례하는 기전력을 발생하여 회로기판(84)을 통하여 외부의 제어장치(미도시)로 전달한다.
검출소자(86)는 물론 홀센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마그네트(99)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검출소자는 MR(Magneto Resistor) 센서 또는 GMR(Great Magneto Resistor) 센서일 수도 있다. MR 센서 또는 GMR 센서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저항 값이 변화하는 소자로서, 고체 속의 캐리어 진로가 전자력에 의해 휘어져 길어지기 때문에 저항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MR 센서 또는 GMR 센서는 크기가 작고 신호 레벨이 클 뿐만 아니라 민감도가 우수하여 저자계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온도 안정성(temperature stability) 또한 높다.
본 실시 예에서는 휠(52)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서 마그네트(99)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휠(52)의 회전을 감지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영상처리(imaging processing)을 이용하는 방법, 가변저항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서 휠(52)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영상처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휠(52)의 이면에 명암을 나타내는 마크(mark)를 교호적으로 부착하고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휠(52)의 이면을 조사(照射)한 상태에서, 휠(52)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크의 회전을 이미지 센서가 감지함으로써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가변저항을 이용하는 방식은, 휠(52)의 둘레에 도전체와 비전도체를 교호적으로 배치하여 휠(52)이 도전체를 접할 때와 비도전체를 접할 때 통하는 전류 세기의 변화량을 인식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정전용량에 의한 방식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필기도구 등이 휠(52)의 둘레면(54)에 접촉하면서 휠(52)을 따라 회전할 때 휠(52)의 이면에 구비되어 있는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정전용량을 이용할 경우에는 휠(52)이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휠 고정부재(72)의 구성 및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휠 고정부재(72)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휠 고정부재(72)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78), 휠(52)의 삽입홈(58)에 삽입되는 삽입부(76) 및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휠 고정돌기(74)를 구비한다. 휠 고정부재(72)는 휠(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휠(52)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휠 고정부재(7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78)을 통해서는 휠(52)의 일부, 센터 고정부재(42) 및 휠(32)이 관통한다. 그리고 휠 고정부재(72)의 삽입부(7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52)의 이면에 형성된 삽입홈(5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삽입부(76)의 단부에는 고정부재돌기(82)가 사이드 버튼(88a, 88b, 88c, 88d)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돌기(82)는 사이드 버튼(88a, 88b, 88c, 88d)과 접하고 있으며, 휠(52)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사이드 버튼(88a, 88b, 88c, 88d)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휠 고정부재(72)에서 하향 돌출된 휠 고정돌기(74)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84)의 제2 고정공(9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해 휠 고정부재(72)가 회로기판(84)에 고정되어서 휠(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회로기판(84) 상에는 센터버튼(92) 및 사이드 버튼(88a, 88b, 88c, 88d)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버튼(92)은 센터키(32)의 센터돌기(38)에 의해 가압되어 일정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선택한 메뉴의 실행 또는 무선 인터넷의 연결 등과 같은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버튼(88a, 88b, 88c, 88d)은 회로기판(84) 상에서 휠 고정부재(72)의 고정부재 돌기(82)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4개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사이드 버튼의 개수 및 배치 간격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다. 사이드 버튼은 고정부재 돌기(82)에 의해 가압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사이드 버튼(88a, 88b, 88c, 88d)은 상하좌우 이동 버튼으로 기능할 수 있고, MP3 플레이어 실행, 단문 메시지 기능 활성화, 무선 인터넷 연결 및 전화 번호 검색 등과 같은 단축 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터버튼(92) 및 사이드 버튼(88a, 88b, 88c, 88d)은 금속에 의해 형성된 돔 버튼(dome button)뿐만 아니라 압력센서 또는 접촉센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84)에는 제1 고정공(94) 및 제2 고정공(9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공(94)에는 센터 고정부재(42)의 걸림부(48)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2 고정공(96)에는 휠 고정부재(72)의 휠 고정돌기(74)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예와 수정 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정보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측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휠을 구비하는 회전식 입력장치 - 상기 휠의 회전으로 인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음 - 를 포함하고,상기 휠은 상기 파지부를 통해 그 전면(全面)이 외부로 노출되는 정보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휠의 회전 축은 상기 파지부의 접선 방향에 대해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휠은 360°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식 입력장치는 상기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고정부재, 상기 휠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상기 휠에는 마그네트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회전을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검출소자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휠은 원형의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휠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삽입부에는 고정부재돌기가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고정부재돌기에 대향하는 사이드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휠의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에는 센터키가 위 치하고 있으며,상기 센터키는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센터돌기에 대향하는 센터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휠은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걸림돌기를 구비하고,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는 절곡된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입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6910A KR20080108843A (ko) | 2007-06-11 | 2007-06-11 | 정보 입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6910A KR20080108843A (ko) | 2007-06-11 | 2007-06-11 | 정보 입력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8843A true KR20080108843A (ko) | 2008-12-16 |
Family
ID=4036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6910A KR20080108843A (ko) | 2007-06-11 | 2007-06-11 | 정보 입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108843A (ko) |
-
2007
- 2007-06-11 KR KR1020070056910A patent/KR2008010884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7336B1 (ko) |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자 식별 방법 및 휴대용 전자 장치 | |
US7843438B2 (en) | Notebook-sized computer and input system of notebook-sized computer | |
JP4222704B2 (ja) | 情報入力装置 | |
US20080309621A1 (en) | Proximity based stylus and display screen, and device incorporating same | |
US20090033620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ouch Pad Device for the Same | |
JP2003005903A (ja) | スクリーンポインタ位置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US20050219355A1 (en) | Information input device | |
JP2013073330A (ja) | 携帯型電子機器、タッチ領域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11216082B2 (en) | Active stylus | |
JP2019512136A (ja) | 感圧先端を有する無線位置決めペン | |
KR100792507B1 (ko) | 정보 입력장치 | |
US7948472B2 (en) | Personal computer mouse | |
KR20060017512A (ko) | 다기능 플로팅 버튼 | |
KR20080008217A (ko) | 정보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 |
US20080018622A1 (en) |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inputting method therefor | |
KR20080108843A (ko) | 정보 입력장치 | |
KR100872570B1 (ko) | 회전식 입력장치 | |
KR100857168B1 (ko) | 회전식 입력장치 | |
KR100857173B1 (ko) | 회전식 입력장치 | |
KR20100111139A (ko) | 입력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 |
KR100857171B1 (ko) | 회전식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 | |
KR100792512B1 (ko) | 정보 입력장치 | |
JPH11175243A (ja) | 携帯情報端末装置 | |
KR100792509B1 (ko) | 정보 입력장치 | |
KR100792511B1 (ko) | 정보 입력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