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541A -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541A
KR20080108541A KR1020087025019A KR20087025019A KR20080108541A KR 20080108541 A KR20080108541 A KR 20080108541A KR 1020087025019 A KR1020087025019 A KR 1020087025019A KR 20087025019 A KR20087025019 A KR 20087025019A KR 20080108541 A KR20080108541 A KR 20080108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sensor
clutch
members
clutch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슬로 만
Original Assignee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filed Critical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10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클러치 부재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는,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마찰 라이닝 반부들과, 센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에 기인한 마찰 라이닝 반부들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마찰 라이닝 반부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클러치 부재가 마찰 라이닝 반부들의 마찰면에 닿을 때 상기 클러치 부재가 접촉되는 센서 마찰면들을 가진 센서 마찰 부재들이 센서 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 마찰면들은 스페이서 장치에 의해 축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다는 점이다.
Figure P1020087025019
클러치 부재, 마찰 라이닝 반부, 조정 장치, 센서 장치, 센서 마찰면

Description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CLUTCH DISK ASSEMBLY}
본 발명은 2개의 클러치 부재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는,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마찰 라이닝 반부들 및 센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에 기인한 마찰 라이닝 반부들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마찰 라이닝 반부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독일 공개 공보 DE 100 11 418 A1으로부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조정 장치 및 센서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모 조정의 관점에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2개의 클러치 부재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는,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마찰 라이닝 반부들과, 센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에 기인한 마찰 라이닝 반부들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마찰 라이닝 반부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에서, 클러치 부재가 마찰 라이닝 반부들의 마찰면에 닿을 때 상기 클러치 부재가 접촉되는 센서 마찰면들을 가진 센서 마찰 부재들이 센서 장치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 마찰면들은 스페이서 장치에 의해 축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장치는, 센서 마찰 부재들과 마찰 라이닝 반부들이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새로운 조건에 상응하는 전체 두께를 미리 결정하도록, 상기 센서 마찰 부재들 및 마찰 라이닝 반부들과 상호작용한다. 센서 마찰면들에서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작동시 상기 센서 마찰면들에 접하게 되는 클러치 부재들에 의해 마찰 라이닝 반부들의 마찰면들에서와 동일하게 마모가 발생한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마찰면들이 각각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의 마찰면들과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센서 마찰면들과 마찰 라이닝 반부들의 마찰면들은 각각 클러치 부재를 위한 공통 접촉 평면 내에 배치된다. 클러치 부재들로는 바람직하게 클러치 장치의 압력판 및 플라이휠이 제공된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마찰 부재들 및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이 축방향으로 각각 공통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특징이 있다. 지지 부재로는 바람직하게 라이닝 스프링 장치 또는 램프 장치(ramp device), 특히 대응 램프 링(counter ramp ring)이 제공된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마찰 부재들이 둥글게 또는 부분적으로 둥글게 설계되어,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 내에 제공된 리세스 내에 각각 고정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리세스는 바람직하게 관련 센서 마찰 부재들보다 약간 더 크고, 장공(long hole)의 형상을 갖는다. 그럼으로써 센서 마찰 부재들이 관련 리세스 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특히 회전할 수 있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마찰 부재들이 관련 리세스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고 안내됨에 따라, 클러치 부재들이 센서 부재들의 센서 마찰면들에 접촉될때 상기 센서 마찰 부재들이 관련 리세스 내에서 회전하는 특징이 있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가 장착된 클러치 장치의 트랙션 모드 및 오버런 모드에서는 센서 마찰 부재들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마찰 부재들의 센서 마찰면들이 마찰 라이닝 반부들 내에 제공된 관련 리세스들보다 큰 특징이 있다. 관련 리세스로부터 돌출되는, 센서 마찰 부재들의 영역은 스페이서 장치용 작업면으로 사용된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마찰 부재들의 센서 마찰면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찰 라이닝 반부들에 의해 한정되는 링 면 또는 마찰면 내에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링 면은 바람직하게 다수의 마찰 라이닝 부재를 포함한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마찰 부재들의 센서 마찰면들이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에 의해 한정되는 링 면들 또는 마찰면들로부터 연장되는 특징이 있다. 센서 마찰 부재들은 관련 링 면 또는 마찰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및/또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마찰 부재들의 센서 마찰면들이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에 의해 한정되는 링 면들 또는 마찰면들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특징이 있다. 그럼으로써 설치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부재들을 관련 리세스 내에 배치시키는 데 있어서 작동시 센서 마찰 부재들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효과가 이용될 수 있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에 의해 한정되는 링 면들 또는 마찰면들 또는 리세스들의 외부에 배치된, 센서 마찰 부재들의 센서 마찰면들의 영역이 스페이서 장치에 의해 둘러싸이는 특징이 있다. 그럼으로써 클러치 부재들이 스페이서 장치에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그 결과 스페이서 장치가 손상될 수 없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 장치가 철판 클램프(sheet metal clamp)로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철판 클램프로는 바람직하게 금속판으로 된 천공/휨 부품(punched/bent part)이 제공된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철판 클램프가 두 부분으로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조립이 간편해진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철판 클램프가 라이닝 스프링 장치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특징이 있다. 그럼으로써 철판 클램프는 반경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라이닝 스프링 장치는 바람직하게 구동 디스크에 고정된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조정 장치가 램프 장치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램프 장치의 램프들은, 마모 발생시 마찰 라이닝 반부들이 축방향으로 서로 가압되도록 형성된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램프 장치가 조정 램프 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램프 링은 스프링 장치를 이용하여 대응 램프 링에 대해 압축 응력을 받는다. 램프 링의 램프들은 바람직하게 자동 잠금(self-locking) 기능이 구현되도록 낮은 기울기를 갖는다. 조정 램프 링은 바람직하게 다수의 인장 스프링에 의해 구동 디스크에 대해 압축 응력을 받는다.
본 발명은 또한, 엔진과 변속기 사이의 토크 전달을 위한 클러치 장치와도 관련되며, 상기 클러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어셈블리, 특히 압력판을 포함하는 마찰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판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압력판과 대응 압력판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방향으로 축을 따라 제한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 특징 및 세부 사항은 도면과 관련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기술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제시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2는 도1의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한 반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한 반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우측 방향 측면도이다.
도5는 도1의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좌측 방향 측면도이다.
도6은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가 장착된 클러치 장치가 트랙션 모드에 있는 경우의 도4의 한 섹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가 장착된 클러치 장치가 오버런 모드에 있는 경우의 도4의 한 섹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원심력 작용 하에 있는, 도4의 한 섹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스페이서 장치를 구비한 라이닝 스프링 장치의 한 측면의 섹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도9의 스페이서 장치를 구비한 라이닝 스프링 장치의 또 다른 측면의 섹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라이닝 스프링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12는 커버가 없는 스페이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3은 커버가 구비된, 도12의 스페이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에 도시된 스페이서 장치의 조립된 모습의 사시 측면도이다.
도15는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도2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5의 한 섹션의 확대도이다.
도17은 센서 마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7의 센서 마찰 부재의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1)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클러치 디스크(1)는 압력판과 대응 압력판 사이 또는 압력판과 마찰 클러치의 플라이휠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다. 마찰 클러치는 자동차 파워 트레인 내에 배치된다. 파 워 트레인은 구동 유닛, 특히 내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연기관으로부터 크랭크샤프트가 시작되어 마찰 클러치를 통해 변속기 입력 샤프트와 연결될 수 있다. 자동차 파워 트레인 내에서의 마찰 클러치의 구성 및 기능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가정하여 여기서는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1 내지 도5에 다양한 모습으로 도시된 클러치 디스크(1)는 라이닝 스프링 디스크(3)가 리벳 연결 부재(4, 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구동 디스크(2)를 포함한다. 라이닝 스프링 디스크(3)에는 다수의 세그먼트형 라이닝 부재들을 포함하는 라이닝 반부(6)가 부착될 수 있다. 클러치 디스크(1)는 램프 장치(9)를 중간 부재로 하여 구동 디스크(2)에 고정될 수 있는 또 다른 라이닝 반부(7)를 포함한다. 램프 장치(9)는 대응 램프 링(11)과 상호작용하는 조정 램프 링(10)을 포함한다. 이 조정 램프 링(10)은 대응 램프 링(11)에 대해 상대 회전을 할 수 있고, 구동 디스크(2) 내부에 걸려 있는 3개의 인장 스프링(12, 13, 14)을 통해 구동 디스크(2)와 연결된다. 대응 램프 링(11)은 판 스프링(16, 17)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그러나 축방향으로는 제한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동 디스크(2)와 연결된다. 대응 램프 링(11)의 조정 램프 링(10) 반대편 측면에 라이닝 반부(7)가 부착된다.
라이닝 반부들(6, 7)은 각각 1개의 마찰면(19, 20)을 가지고, 상기 마찰면은 링 면이라고도 하며 각각 1개의 리세스(21, 22) 내에 제공된다. 이 리세스들(21, 22)은 부분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부분원으로부터 원 세그먼트가 절단된다. 상기 리세스들(21, 22) 내에 각각 원의 형상을 갖는 센서 마찰 부재(24, 25)가 수용되고, 상기 원의 한 세그먼트는 관련 리세스(21, 22)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 출된다.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은 각각 1개 금속 디스크(27, 29)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디스크로 센서 라이닝 패드(28, 30)가 부착된다. 관련 리세스(21, 22)로부터 돌출하는 센서 마찰 부재(24, 25)의 원 세그먼트는 부분적으로 스페이서 장치(33)에 의해 둘러싸인다.
스페이서 장치(33)는 철판 클램프 커버(35)로 폐쇄되는 철판 클램프(34)로 형성된다. 균형추(38)는 센서 마찰 부재들(24 및 25)과 스페이서 장치(33)의 중량이 평형을 이루도록 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불균형 상태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도2와 도3에서는 구동 디스크(2)가 허브부(40)를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 허브부는 변속기의 입력 샤프트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2에서는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의 외측이 스페이서 장치(33)로 둘러싸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럼으로써 센서 라이닝 패드(28, 30)의 센서 마찰면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다. 센서 마찰 부재(24)의 금속 디스크(27) 역시 라이닝 반부(6)와 마찬가지로 라이닝 스프링 부재(3)에 접한다. 라이닝 스프링 부재를 라이닝 스프링 디스크라고도 한다. 센서 마찰 부재(25)의 금속 디스크(29) 역시 라이닝 반부(7)와 마찬가지로 대응 램프 링(11)에 접한다.
조정 램프 링(10)은, 라이닝 반부들(6, 7)이 센서 마찰 부재들(24, 25)과 함께 서로에 대해 압착되도록, 대응 램프 링(11)에 대해 압축 응력을 받는다. 스페이서 장치(33)에 의해, 센서 마찰 부재들(24와 25) 및 라이닝 반부들(6, 7)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도4와 도5에서는, 센서 라이닝 패드(28, 30)의 센서 마 찰면들이 부분적으로 라이닝 반부(6, 7)의 마찰면(19, 20) 내부에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마찰면들(19, 20)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는, 라이닝 패드(28, 30)의 센서 마찰면들의 영역은 스페이서 장치(33)로 둘러싸여 있다. 라이닝 반부들(6, 7)의 마찰면들(19, 20) 내부에 배치된 센서 마찰면 영역들은 (도시되지 않은) 클러치 장치의 압력판들을 위한 공통 접촉 평면을 갖는다. 클러치 장치가 작동되면 라아닝 반부들(6, 7)뿐 아니라 센서 라이닝 패드들(28, 30)도 마모된다. 더 정확히 말하면, 클러치 장치의 압력판들과의 접촉 영역에서도 동일한 정도의 마모가 발생한다.
라이닝 반부들(6, 7) 내에 제공된,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용 리세스들(21, 22)은, 클러치 장치의 작동시 상기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이 이리 저리 미끄러지도록 그리고 이때 그들 고유의 축을 중심으로, 도6에 화살표(45)로 표시된 것처럼, 회전하도록 설계된다. 그럼으로써 센서 라이닝 패드들(28, 30)이 전체 접촉면에 걸쳐서 균일하게 마모되도록, 더 정확히 말하면 리세스들(21, 22)로부터 돌출되는 영역에서도 마모가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한 중요한 양상은,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의 회전시 발생하는 마모가 관련 리세스(21, 22)의 영역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되는 데 있다. 이 경우, 마찰 라이닝 패드들(28, 30)과 스페이서 장치(33)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스페이서 장치(33)의 축방향 치수들은 일정하기 때문에, 라이닝 반부들(6, 7)이 압축 응력을 받은 램프 장치(9)에 의해 서로 가압된다. 상기 가압은, 마모로 인한 갭이 다시 센서 마찰 부재들(24, 25)로 채워지고, 상기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이 센서 라이닝 패드 들(28, 30)의 센서 마찰면들과 함께 스페이서 장치(33)에 다시 접할 때까지 실시된다. 그렇게 하여 작동시 발생하는 마모가 본 발명에 따라 지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6 내지 도8에는, 클러치 디스크(1)가 장착된, 자동차 파워 트레인 내 클러치 장치의 다양한 작동 상태들에서 나타나는, 도4의 한 섹션의 모습들이 도시되어 있다. 기어단 변경시 센서 마찰 부재들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제공된다. 도6에는, 트랙션 모드에서 클러치가 닫힐때 센서 마찰 부재(24)가 우측으로 종동하는 운동이 화살표 "45"로 표시되어 있다. 리세스(21)의 영역은 반경방향 안쪽으로 평평한 각을 가진 (도시되지 않은) 램프를 포함하기 때문에, 센서 마찰 부재(24)가 램프면으로 가압되어 마찰에 의해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센서 마찰 부재(24)는 램프 위를 굴러서 도시된 위치로부터 우측 단부 위치에 도달하며, 그곳에서는 더 이상 회전 운동이 구현될 수 없다. 우측 단부 위치는 도7에 도시되어 있다. 도7에는, 오버런 모드에서 클러치가 열릴때 센서 마찰 부재(24)가 좌측으로 종동하는 운동이 화살표 "46"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외측 램프와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음에 따라 뚜렷한 회전도 구현되지 않는다. 센서 마찰 부재(24)의 좌측 단부 위치는 도8에 도시되어 있다. 도8에는 센서 마찰 부재(24)가 작동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다시 초기 위치로 이동하는 운동이 화살표 "47"로 표시되어 있다.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센서 마찰 부재(24)의 운동들은 규칙적이지 않으며, 회전 운동 역시 랜덤하게 일어난다.
도9는 라이닝 스프링 디스크(3)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라이닝 스프링 디스크(3)는 다수의 스프링 섀클(51 내지 54)을 포함하며, 이 스프링 섀클들은 라이닝 반부들 및 센서 마찰 부재들이 축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멀리 가압되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도10에서는, 스페이서 장치(33)의 철판 클램프(34)가 3개의 고정 암(56, 57, 58)을 포함하고, 이 고정 암들은 라이닝 스프링 디스크(3)를 관통하여 연장됨을 볼 수 있다. 또한, 고정 암(56 내지 58)의 자유 단부들은 (도10에는 도시되지 않은) 철판 클램프 커버를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도11에는, 라이닝 스프링 디스크(3) 내에 고정 암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3개의 슬롯(56', 57', 58')이 제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12에는 고정 아암들(56 내지 58) 및 구부러진 단부들(61 내지 63)을 가진 철판 클램프(34)의 사시도가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3에는 철판 클램프 커버(35)가 고정된 철판 클램프(34)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14는 철판 클램프(34)가 라이닝 스프링 디스크(3) 및 대응 램프 링(11)과 조립된 모습의 한 섹션의 사시도이다.
도15 및 도16에는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한 섹션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였다. 유사한 부분들에는 프라임 부호(')를 추가로 붙인 동일한 숫자로 표시하였다. 선행하는 실시예와 달리, 금속 디스크들(27', 29')은 관련 센서 라이닝 패드(28', 30')를 지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된 에지 영역(66, 67)을 포함한다. 이 돌출된 에지 영역들(66, 67)은 관련 라이닝 반부들(6', 7') 내에 형성된 리세스들(68, 69) 뒤로 맞물린다. 그럼으로써 경우에 따른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의 축방향 이탈이 방 지된다.
도17은 돌출된 에지 영역(66)을 가진 센서 마찰 부재(24')의 사시도이다. 도18에는 센서 마찰 부재(24')가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18에서는, 센서 마찰 부재(24')가 그의 돌출된 에지 영역(66)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라이닝 반부(6') 내측에 걸려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부호 리스트>
1: 클러치 디스크
2: 구동 디스크
3: 라이닝 스프링 디스크
4: 리벳 연결 부재
5: 리벳 연결 부재
7: 라이닝 반부
9: 램프 장치
10: 조정 램프 링
11: 대응 램프 링
12: 인장 스프링
13: 인장 스프링
14: 인장 스프링
16: 판 스프링
17: 판 스프링
19: 마찰면
20: 마찰면
21: 리세스
22: 리세스
24: 센서 마찰 부재
25: 센서 마찰 부재
27: 금속 디스크
28: 센서 라이닝 패드
29: 금속 디스크
30: 센서 라이닝 패드
33: 스페이서 장치
34: 철판 클램프
35: 철판 클램프 커버
38: 균형추
40: 허브부
45: 화살표
46: 화살표
47: 화살표
51: 스프링 섀클
52: 스프링 섀클
53: 스프링 섀클
54: 스프링 섀클
56: 고정 암
57: 고정 암
58: 고정 암
56': 슬롯
57': 슬롯
58': 슬롯
61: 단부
62: 단부
63: 단부
66: 돌출된 에지 영역
67: 돌출된 에지 영역
68: 리세스
69: 리세스

Claims (16)

  1. 2개의 클러치 부재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는,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마찰 라이닝 반부들(6, 7)과, 센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에 기인한 마찰 라이닝 반부들(6, 7)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마찰 라이닝 반부들(6, 7) 사이에서 작용하는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클러치 부재들이 마찰 라이닝 반부들(6, 7)의 마찰면(19, 20)에 닿을 때 상기 클러치 부재가 접촉되는 센서 마찰면들을 가진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이 센서 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 마찰면들은 스페이서 장치(33)에 의해 축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마찰면들은 각각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의 마찰면들과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 마찰 부재들(24, 25) 및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6, 7)이 축방향으로 각각 공통 지지 부재(3, 1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이 둥글게 또는 부분적으로 둥글게 설계되어,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6, 7) 내에 제공 된 리세스(21, 22) 내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이 관련 리세스(21, 22)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고 안내됨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가 장착된 클러치 장치의 작동시 클러치 부재들이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의 센서 마찰면들에 접촉될때 상기 센서 마찰 부재들이 관련 리세스(21, 22)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의 센서 마찰면들이 마찰 라이닝 반부들(6, 7) 내에 제공된 관련 리세스들(21, 2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의 센서 마찰면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찰 라이닝 반부들(6, 7)에 의해 한정되는 링 면 또는 마찰면(19, 2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의 센서 마찰면들이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6, 7)에 의해 한정되는 링 면들 또는 마찰면들(19, 20)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의 센서 마찰면들이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6, 7)에 의해 한정되는 링 면들 또는 마찰면들(19, 20)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관련 마찰 라이닝 반부들(6, 7)에 의해 한정되는 링 면들 또는 마찰면들(19, 20) 또는 리세스들(21, 22)의 외부에 배치된, 센서 마찰 부재들(24, 25)의 센서 마찰면들의 영역이 스페이서 장치(33)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장치(33)가 철판 클램프(sheet metal clamp)(3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철판 클램프(34)가 두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철판 클램프(34)가 라이닝 스프링 장치(3)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가 램프 장치(ramp device)(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램프 장치(9)가 조정 램프 링(10)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램프 링은 스프링 장치(12-14)를 이용하여 대응 램프 링(11)에 대해 압축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16. 엔진과 변속기 사이의 토크 전달을 위한 클러치 장치이며,
    상기 클러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어셈블리, 특히 압력판을 포함하는 마찰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판은 압력판과 대응 압력판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의 방향으로 축을 따라 제한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의 토크 전달을 위한 클러치 장치.
KR1020087025019A 2006-04-15 2007-03-22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KR20080108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7690.1 2006-04-15
DE102006017690 2006-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541A true KR20080108541A (ko) 2008-12-15

Family

ID=3827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019A KR20080108541A (ko) 2006-04-15 2007-03-22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080108541A (ko)
CN (1) CN101421530B (ko)
BR (1) BRPI0710279A2 (ko)
DE (1) DE112007000744A5 (ko)
WO (1) WO20071184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92431B1 (de) * 2006-08-26 2013-03-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scheibeneinrichtung
DE112011102848A5 (de) * 2010-08-30 2013-06-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scheib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1641A1 (de) * 1994-04-02 1995-10-05 Krebsoege Gmbh Sintermetall Kupplung
FR2790805B1 (fr) * 1999-03-12 2002-12-27 Luk Lamellen & Kupplungsbau Ensemble d'accouplement
DE10238403A1 (de) * 2001-10-09 2003-04-17 Zf Sachs Ag Mehrfach-Kupplungsanordnung
CN2744882Y (zh) * 2004-08-30 2005-12-07 张坤 一种摩擦离合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21530A (zh) 2009-04-29
DE112007000744A5 (de) 2008-12-24
CN101421530B (zh) 2011-04-13
BRPI0710279A2 (pt) 2011-08-09
WO2007118442A1 (de)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6851A (en) Drive hub with curved springs and drive keys for electro-magnetic clutch
JP6840483B2 (ja) 自動車のトルク伝達装置
US6892870B2 (en) Friction clutch
US5147246A (en) Device with torsion damping by resilient plates, especially for an automotive vehicle
US20030079953A1 (en) Multi-clutch arrangement
KR102073315B1 (ko) 원심력 진자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RU2714632C2 (ru) Фрикционное сцепление
JP2008528880A (ja) 特にデュアルマス・フライホイールのための制動装置
US10018230B2 (en) Permanently engaged starter with dry friction clutch
KR20140035347A (ko) 댐핑 스프링을 구비한 마찰 클러치 플레이트
JP2019518919A (ja) 摩擦が最小化された連結ピンを備える遠心クラッチおよびパワートレーン
KR20120001521A (ko) 다이어프램 지지부재를 구비한 건식 더블 클러치
KR102639407B1 (ko) 토크 전달 유닛 및 구동 트레인
US5779017A (en) Friction clutch for a motor vehicle
KR20080108541A (ko)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JP4054712B2 (ja) クラッチ装置
JPH10132028A (ja) 動力伝達機構
KR20060052156A (ko) 다판 클러치용 클러치 디스크 장치
US6223625B1 (en) Torque transmitting and torsion damping apparatus for use in motor vehicles
US20160025183A1 (en) Damper assebmly sealing arrangement
US5857548A (en) Clutch assembly having a clutch cover attachable to a flywheel via an intermediate member to provide radially reduced dimensions
JP2020509320A (ja) 車両のパワートレーン用のクラッチ装置
KR100872978B1 (ko) 프릭션 부싱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클러치 디스크어셈블리
CN112166260B (zh) 具有以特定方式引入的轴向柔韧性的离合器组件
EP1427947A1 (en) Clutch driven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