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302A -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302A
KR20080106302A KR1020087023462A KR20087023462A KR20080106302A KR 20080106302 A KR20080106302 A KR 20080106302A KR 1020087023462 A KR1020087023462 A KR 1020087023462A KR 20087023462 A KR20087023462 A KR 20087023462A KR 20080106302 A KR20080106302 A KR 20080106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information
data
phone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524B1 (ko
Inventor
유우키 와다
노리유키 구로사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기기와, 상기 통신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망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망은, 상기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발생한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에 관한 제 1 통신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해진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 1 통신 정보를 상기 통신 기기에 송신하는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기기는, 상기 통지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1 통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예컨대, 휴대 전화 단말 등의 통신 기기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6년 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06-050008호, 및, 2007년 1월 26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07-016859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휴대 전화 단말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휴대할 수 있는 점에서, 고정 전화보다 편리한 반면, 분실이나 도난과 같은 일도 우연히 겪기 쉽다. 그 때문에, 종래, 분실이나 도난에 의해 사용자의 손에서 멀어진 휴대 전화 단말이 제삼자에 의해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전자메일에 의해 원격으로 휴대 전화 단말의 기능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는 록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 단말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의 기술에서는, 송신하는 전자메일에 록(lock) 코드와 암 증(暗證) 코드를 기재해 두고, 상기 전자메일을 수신한 휴대 전화 단말이, 수신한 전자메일을 해석하여, 록 코드나 암증 코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보에 합치할 때에 휴대 전화 단말의 기능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22488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의 기술에서는, 록 코드나 암증 코드를 사용자가 기억해 놓아야 하고, 또한, 휴대 전화 단말이 통신 불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는, 그와 같은 록 코드 등을 기재한 전자메일을 송신하더라도, 휴대 전화 단말은 상기 전자메일을 수신할 수 없어, 상술한 바와 같은 록 기능을 동작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 전화 단말 등의 통신 기기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또는 동작 가능 상태였다고 해도 내부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 기기와, 상기 통신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망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망은, 상기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발생한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에 관한 제 1 통신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해진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 1 통신 정보를 상기 통신 기기에 송신하는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기기는, 상기 통지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1 통신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기기와, 상기 통신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망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망은, 상기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이 발생한 경우, 상기 통신 기기의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명령 정보를 상기 통신 기기로 송신하는 제한 명령부를 갖고, 상기 통신 기기는, 상기 제한 명령부에서 송신되는 상기 제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한 명령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발생한 기기 자신으로의 통신에 관한 제 1 통신 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갖는 통신 기기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에 의해 접속되는 통신 기기가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 통신 기기로의 통신이 발생한 경우, 상기 통신의 정보가 기억되고, 통신 기기가 통신 가능 상태가 된 경우에, 기억한 상기 통신 기기로의 상기 통신의 정보가 상기 통신 기기에 송신되고, 송신된 상기 통신의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 기기의 기능이 제한되도록 구성했다. 이것에 의해, 통신 기기의 기능을 용이하게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내의 메모리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SMS 정보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메모리로의 정보 설정 처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통지 정보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내의 메모리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내의 데이터 메모리의 설정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실시예 3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5는 실시예 3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내의 메모리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실시예 3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7은 실시예 4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8은 실시예 4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내의 메모리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실시예 4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내의 데이터 메모리의 설정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실시예 4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내의 데이터 메모리의 데이터 파일기억 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실시예 4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2는 실시예 5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3은 실시예 5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내의 메모리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실시예 5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서버 장치 20 : 휴대 전화 단말
40 : 전화기 100 : 통신 시스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이들 실시예의 구성 요소끼리 적절히 조합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통신 시스템(100)은 통신망(1)과, 전화기(40)와, 휴대 전화 단말(20)(통신 기기)을 구비하고 있다. 통신망(1)은 교환기(30)와 기지국 장치(31)와 서버 장치(10)를 구비하고 있고, 교환기(30), 및 기지국 장치(31)에 의해 전화기(40)와 휴대 전화 단말(20)과의 사이에서 통화로의 확립, 또는 절단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휴대 전화 단말(20)과 통신을 행한다. 서버 장치(10)는, 휴대 전화 단말(20)이 착신하지 않는 경우, 즉, 기지국 장치(31)와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통신권 외에 존재하는 경우나, 휴대 전화 단말(20)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는 상태, 즉, 전원 OFF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나, 휴대 전화 단말(20)을 소지하는 사람의 조작에 의해 착신이 거부된 경우 등(이하, 이들의 경우를 통신 불가능 상태라고 기재)에, 휴대 전화 단말(20)로의 착신이 통신망에서 발생한 경우, 상기 착신 정보(제 1 통신 정보)를 내부의 기억부에 기억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 단말(20)이 착신할 수 있는 경우, 즉 통신 가능 상태가 된 경우, 서버 장치(10)는 상기 착신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20)에 SMS(Short Message Service)에 의해 송신한다.
여기서, SMS란 휴대 전화 단말끼리 짧은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푸시형 전송 서비스이며, 실시예 1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20)에 대하여 복수의 착신이 존재한 경우에, 서버 장치(10)가 복수의 착신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20)에 송신할 때에 적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휴대 전화 단말(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 단말(20)에 있어서, 무선 송수신부(22)(수신부)는, 안테나(21)를 갖고 있고, 상기 안테나(21)를 통하여 기지국 장치(31)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상기 통신은 통화, SMS, 전자메일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실시된다. 조작부(25)는, 키보드 등이 적용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조작에 의해 각종 입력이나 조작이 행하여진다. 표시부(24)는, 액정 화면 등이 적용되어, 다른 기능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판정부(23)는, 무선 송수신부(22)가 서버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착신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 전화 단말(20)의 각종 기능을 제한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록부(27)는, 판정부(23)가 휴 대 전화 단말(20)의 각종 기능을 제한한다고 판정한 경우, 판정부(23)로부터 지시 정보의 입력을 받아, 휴대 전화 단말(20)의 각종 기능을 제한한다. 예컨대, 전원의 ON, 또는 OFF의 조작 이외에 할 수 없도록 하는 등의 상태로 하여, 원격 록을 행하거나, 안테나(21)를 통하여 기지국 장치(31)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제한하거나, 메모리(26)의 데이터를 소거하거나, 또는, 사용을 금지하는 등하여 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능을 제한하거나 한다.
메모리(26)는, 불휘발성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이 적용되어, 조작부(25)로부터 입력되는 휴대 전화 단말(20)의 각종 기능을 제한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소정 조건의 정보를 기억한다. 메모리(26)의 데이터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 록, 특정 전화번호, 착신 발생 회수, 착신 발생 시간 범위의 항목을 갖고 있고, 이들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를 조합시키는 것으로 소정 조건이 구성된다. 한편, 메모리(26)에, 원격 록, 특정 전화번호, 착신 발생 회수, 착신 발생 시간 범위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복수 기억시키더라도 좋다.
원격 록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는 록부(27)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20)의 원격 록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ON」, 또는 원격 록을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OFF」이다. 특정 전화번호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는, 원격 록을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전화기(40)의 전화번호의 정보이다. 착신 발생 회수(통신의 발생 회수)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는, 원격 록을 하는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착신 발생 회수에 관한 정보이다. 착신 발생 시간 범위(소정 시간)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는 시간의 값에 관한 정보이며, 이 시간의 값은, 원격 록을 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특 정 전화번호로부터의 착신 발생 회수분의 착신의 시간적 요건을 나타내는 값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서 서버 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 장치(10)에 있어서, 송수신 처리부(11)(통지부)는, 교환기(30) 및 기지국 장치(3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 처리부(11)는, 기지국 장치(31)에 요구하여, 휴대 전화 단말(20)이 통신 가능 상태인지 여부의 정보를 수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 처리부(11)는, 기지국 장치(31)에 요구하여 통신 불가능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전화기(40)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20)로의 착신이 발생한 경우, 교환기(30)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20)로의 상기 착신의 발생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착신의 발생 정보에는, 착신처로 되는 휴대 전화 단말(20)의 전화번호 정보와, 발신원의 전화기(40)의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 처리부(11)는, 기지국 장치(31)에 요구하여 휴대 전화 단말(20)이 통신 가능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후술하는 SMS 형식의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20)에 송신한다.
기록부(12)는, 통신 불가능 상태에 있어서 송수신 처리부(11)가 교환기(30)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20)로의 착신의 발생 정보를 수신한 경우, 그 시점에서의 시각을 계시부(13)에 요구하여, 그 시각(이하, 발생 시각이라고 기재)을 취득한다. 또한, 기록부(12)는, 착신의 발생 정보와, 계시부(13)로부터 취득한 발생 시각을 대응시킨 정보를 착신(통신)의 정보로서 착신 정보 DB(Data Base)(기억부)(14)에 기록한다.
그리고, 송수신부 처리부(11)는, 휴대 전화 단말(20)이 통신 가능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 장치(31)로부터 받으면, 상기 착신 정보를 착신 정보 DB(14)로부터 모두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를 SMS 형식으로서 휴대 전화 단말(20)에 송신한다.
도 5는 송수신 처리부(11)가 송신하는 SMS 형식의 착신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SMS의 정보는 최초에 SMS의 종별이나 송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20)의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갖고 있다. 또한, SMS의 정보는, 헤더 정보의 뒤에는, 도 5에서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하는 착신 정보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착신 정보는 발생 시각을 나타내는 일시의 항목과, 발신원의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휴대 전화 단말(20)에 있어서의 메모리(26)의 설정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조작부(25)를 조작하면, 조작부(25)는 조작된 키를 검출하고(단계 Sa1), 「원격 록」의 항목, 「특정 전화번호」의 항목, 「착신 발생 회수」의 항목, 「착신 발생 시간 범위」의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정보는 메모리(26)에 기입한다(단계 Sa2).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서 통신망(1)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화기(40)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20)로의 착신이 발생하면, 교환기(30)는 휴대 전화 단말(20)에의 착신의 요구의 발생을 검출한다(단계 Sb1). 그리고, 교환기(30)는 기지국 장치(31)를 통하여 휴대 전화 단말(20)의 호출을 시작한다(단계 Sb2). 교환기(30)는 휴대 전화 단말(20)이 착신했는지 여부를 기지국 장치(31)로 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판정한다(단계 Sb3). 휴대 전화 단말(20)이 착신한 경우에는, 전화기(40)와 휴대 전화 단말(20)과의 사이의 통신로를 확립하여, 통화를 시작한다(단계 Sb4).
한편, 휴대 전화 단말(20)이 착신하지 않는 경우, 즉 착신 불가능 상태인 경우에는, 교환기(30)는 착신의 발생 정보를 서버 장치(10)에 송신한다. 서버 장치(10)의 송수신 처리부(11)는, 교환기(30)로부터 착신의 발생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착신의 발생 정보를 기록부(12)에 입력한다. 기록부(12)는, 계시부(13)로부터 발생 시각의 정보를 취득하여, 착신의 발생 정보에 포함되는 착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20)과 발신원의 전화기(40)의 전화번호 정보와 발생 시각을 대응시킨 착신 정보를 착신 정보 DB(14)에 기록한다(단계 Sb5).
다음으로 송수신 처리부(11)는, 기지국 장치(31)에 요구하여 휴대 전화 단말(20)이 SMS에서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착신 정보 DB(14)로부터 착신 정보를 모두 판독하고, 판독된 착신 정보를 SMS 형식으로서 휴대 전화 단말(20)에 송신한다(단계 Sb6).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휴대 전화 단말(20)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휴대 전화 단말(20)의 무선 송수신부(22)는, 서버 장치(10)로부터 기지국 장치(31)를 통하여 SMS 형식의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c1). 무선 송수신부(22)는, 도 5에 나타낸 SMS의 정보의 헤더 정보에 포함되는 SMS 종별의 정보를 판독한다(단계 Sc2). 그리고, 무선 송수신부(22)는, 판독한 SMS 종별의 정보가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의 착신 정보의 SMS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c3). SMS 종별의 정보가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의 착신 정보가 아닌 경우, 예컨대, 전자메일 등의 정보의 경우에는, 해당하는 기능이 기동되어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c4).
한편, SMS 종별의 정보가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의 착신 정보인 경우, 무선 송수신부(22)는, 수신한 SMS의 정보로부터 그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 즉 착신 정보를 판정부(23)에 입력한다. 판정부(23)는, 그 착신 정보에 포함되는 가장 앞의 착신 정보를 지정하고(단계 Sc5), 지정한 착신 정보로부터 발신원의 전화번호 정보를 판독한다(단계 Sc6). 그리고, 판정부(23)는, 메모리(26)의 「특정 전화번호」의 항목으로부터 전화번호 정보를 판독하고, 착신 정보로부터 판독한 발신원의 전화번호, 즉 원격 록용으로 지정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c7).
판정부(23)는, 메모리(26)의 「특정 전화번호」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로부터 판독한 전화번호와 착신 정보로부터 판독한 발신원의 전화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격 록하기 위한 착신 정보가 아니라고 판정하고, 상기 착신 정보를 표시부(24)에 표시한다(단계 Sc8). 다음으로 판정부(23)는 입력된 착신 정보에 가장 앞의 다음 착신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c11). 상기 다음 착신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가장 앞의 다음 착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판정부(23)는 가장 앞의 다음 착신 정보를 지정하고(단계 Sc12), 단계 Sc6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예컨대, 송신된 SMS의 정보가, 도 5의 SMS 형식의 착신 정보의 경우, 가장 앞의 다음 착신 정보로서(통지2)가 존재하기 때문에, (통지2)의 정보가 존재하는 선두 어드레스 등을 지정하게 된다.
한편, 단계 Sc7에서, 판정부(23)는, 메모리(26)의 「특정 전화번호」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로부터 판독한 전화번호와 착신 정보로부터 판독한 발신원의 전화번호가 일치한다고 판정한 경우, 착신 정보에 포함되는 발생 시각의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된 발생 시각의 해석 결과, 그 착신이 그 발신원의 전화번호로부터의 가장 앞의 착신인 경우에는, 판독된 착신의 발생 시각의 정보가 경과 시간의 초기값으로서 내부의 기억 영역에 기록되고, 가장 앞의 착신이 아닌 경우에는, 내부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경과 시간의 정보와, 판독한 발생 시각의 차이가, 새로운 경과 시간으로서 산출되고, 산출된 경과 시간이 내부의 기억 영역에 기록된다. 또한, 경과 시간의 산출이 행하여질 때에, 내부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착신 회수 카운터에 1을 더한다(단계 Sc9). 그리고, 판정부(23)는, 산출한 경과 시간과 착신 회수 카운터의 값과, 메모리(26)의 「착신 발생 회수」의 값과, 「착신 발생 시간 범위」의 값에 근거하여, 착신 발생 시간 범위 내에 착신 발생 회수분의 착신 회수에 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c10).
판정부(23)는, 발생 시간 범위 내에 착신 발생 회수분의 착신 회수에 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상술한 단계 Sc11로부터의 처리, 즉, 다음으로 착신한 착신 정보의 판독 처리를 더 행한다. 한편, 판정부(23)는, 착신 발생 시간 범위 내에 착신 발생 회수분의 착신 회수에 달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메모리(26)의 「원격 록」에 ON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c13), ON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록부(27)에 지시 정보를 입력하여 휴대 전화 단말(20)을 원격 록한 다(단계 Sc14). 한편, 「원격 록」이 OFF인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상기의 실시예 1의 구성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20)은, 분실, 또는 악의가 있는 사람에 의해 도난당한 경우에, 통신권 외에 존재하는 등의 착신 불가능 상태이더라도, 특정 전화기(40)로부터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시간 범위의 사이에,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회수의 회수분 발신됨으로써 통신 가능 상태에 복귀한 경우에 원격 록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착신 정보는 서버 장치(10)로부터 SMS에서 능동적으로 송신되는, 푸시형 전송에 의해 실시되기 때문에, 휴대 전화 단말(20)이 SMS에서 통신 가능하게 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20)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의 의사에 관계없이, 휴대 전화 단말(20)은 착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악의가 있는 제삼자가 소지하여, 고의로 착신을 거부하고 있었던 경우에도, 사용하고 있는 이상 그 중에 SMS에서 통신 가능 상태로 되기 때문에, 휴대 전화 단말(20)을 확실히 원격 록할 수 있다.
또한, SMS에서 복수의 착신 정보를 하나의 SMS로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가능 상태로 되는 시간이 짧더라도, 하나의 SMS만 수신하면 휴대 전화 단말(20)을 원격 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에서는, 착신 정보가 SMS 형식으로 송신되지만, 본 발명은 SMS의 형식에서의 송신에는 한정되지 않고, 도 9에 나타내는 것 같은 휴대 전화통신 사업자가 독자적으로 설정하는 통지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정보가 휴대 전화 단말(20)에 송신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는, 휴대 전화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서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 등을 소거함으로써, 악의가 있는 사람에게 휴대 전화 단말(20a)이 도난당했다고 해도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는 기능을 제한하여, 데이터 파일을 이용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구성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휴대 전화 단말(20a)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한편, 통신 시스템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20)이 휴대 전화 단말(20a)로 대체된 구성으로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 단말(20a)은,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의 휴대 전화 단말(20)의 구성에 있어서, 록부(27) 대신 데이터 소거부(29-1)가 배치되고, 메모리(26) 대신 메모리(26a)가 배치되고, 판정부(23) 대신 판정부(23a)가 배치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을 기억하는 데이터 메모리(28-1)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휴대 전화 단말(20)과 동일하며, 이하,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구성 이외에, 데이터 메모리(28-1)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는 어드레스북 등의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도 10에 있어서 메모리(26a)는, 도 3의 메모리(26)의 데이터 구성 중, 원격 록의 항목을, 원격 데이터 소거의 항목으로 대체한 도 11에 나타내는 데이터 구성을 갖고 있다. 「원격 데이터 소거」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로는, 데이터 소거 부(29-1)가 휴대 전화 단말(20a)의 데이터 메모리(28-1)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의 소거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ON」, 또는 소거를 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OFF」이다. 한편, 메모리(26a)로의 설정 조작은, 실시예 1의 도 6에서 나타낸 처리와 마찬가지로 실시된다.
데이터 메모리(28-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마다 소거를 행하는지 여부가 설정되는 설정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 영역을 갖고 있다. 설정 데이터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거 대상 플래그」와 「데이터 파일명」의 항목을 갖고 있다. 「소거 대상 플래그」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는, 데이터 소거부(29-1)에 의해 소거되는 소거 대상인 것을 나타내는 「1」이나, 또는, 소거 대상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0」이다. 한편, 상기 설정은 사용자의 키보드 조작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데이터 파일명」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는 상술한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파일명이다.
판정부(23a)는, 무선 송수신부(22)가 서버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착신 정보 및 메모리(26a)에 설정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 전화 단말(20a)의 데이터 메모리(28-1)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의 소거를 행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을 갖고 있고, 상기 구성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판정부(23)와 같은 구성, 즉 SMS의 종별 판정이나 착신 정보의 유무의 판정이나 착신 회수의 판정 등을 행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데이터 소거부(29-1)(제한부)는, 판정부(23a)가 휴대 전화 단말(20a)의 애플 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을 소거한다고 판정한 경우, 판정부(23a)에서 지시 정보의 입력을 받아, 데이터 메모리(28-1)의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설정 데이터에 있어서 소거 대상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의 소거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는 기능은 제한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서 실시예 2의 휴대 전화 단말(20a)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d1로부터 단계 Sd10까지의 처리는, 단계 Sd7에 있어서 판정부(23a)가, 착신 정보로부터 판독한 발신원의 전화번호가 메모리(26a)에 기억되는 특정 전화번호, 즉 원격 데이터 소거용으로 지정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이외의 처리에 관해서는 실시예 1의 단계 Sc1로부터 Sc10와 같은 처리 이며, 이하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d10에서, 판정부(23a)는, 착신 발생 시간 범위 내에 착신 발생 회수분의 착신 회수에 달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메모리(26a)의 「원격 데이터 소거」의 항목에 ON인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d13), ON인 경우에는, 데이터 소거부(29-1)에 지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을 받은 데이터 소거부(29-1)는, 휴대 전화 단말(20a)의 데이터 메모리(28-1)의 설정 데이터에 의해 소거 대상의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에 대하여 소거를 행한다(단계 Sd14). 한편, 「원격 데이터 소거」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가 OFF인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의 실시예 2의 구성에 의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록 설정을 행하는 순서와 동일한 순서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20a)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메모리(28-1)로부터 소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악의가 있는 사람에게 휴대 전화 단말(20a)이 도난당한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20a)이, 통신권 외에 존재하는 등의 착신 불가능하더라도, 특정 전화기(40)로부터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시간 범위의 사이에,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회수의 회수분 발신이 됨으로써 휴대 전화 단말(20a)이 통신 가능하게 복귀한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20a)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은 소거되어, 상기 데이터 파일이 부정하게 이용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 14로부터 도 1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은, 실시예 1의 휴대 전화 단말의 록 설정을 행하면서, 실시예 2의 데이터 소거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구성이다.
도 14는 실시예 3의 휴대 전화 단말(20b)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 통신 시스템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20)을 휴대 전화 단말(20b)로 대체한 구성으로 하는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 단말(20b)은,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의 휴대 전화 단말(20)의 구성에 부가하여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데이터 소거부(29-1), 데이터 메모리(28-1)가 배치되고, 메모리(26) 대신 메모리(26b)가 배치되고, 판정부(23) 대신 판정부(23b)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휴대 전화 단말(20)과 동일하며, 이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기능부와 다른 구성에 대 하여 설명한다. 또,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도 14에 나타낸 구성 이외에, 데이터 메모리(28-1)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는 어드레스북 등의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도 14에 있어서 메모리(26b)는, 도 3의 메모리(26)의 데이터 구성에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원격 데이터 소거」의 항목을 부가한 데이터 구성을 갖고 있다. 판정부(23b)는, 무선 송수신부(22)가 서버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착신 정보 및 메모리(26b)에 설정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 전화 단말(20b)의 록 설정을 행하는지 여부의 판정, 및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데이터 메모리(28-1)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의 소거를 행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을 갖고 있고, 상기 구성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예 1의 판정부(23)와 같은 구성, 즉 SMS의 종별 판정이나 착신 정보의 유무의 판정이나 착신 회수의 판정 등을 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면서, 실시예 3의 휴대 전화 단말(20b)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e1로부터 단계 Se14까지의 처리는, 실시예 1의 휴대 전화 단말(20)의 단계 Sc1로부터 단계 Sc14까지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단계 Se14에서, 판정부(23b)가 록부(27)에 지시 정보를 입력하여 휴대 전화 단말(20b)을 원격 록한 후, 다음으로 판정부(23b)는, 메모리(26b)의 「원격 데이터 소거」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가 ON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e15). 「원격 데이터 소거」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가 ON이라고 판정한 경우, 판정부(23b)는 데이터 소거부(29-1)에 지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을 받은 데이터 소거부(29-1)는, 휴대 전화 단말(20b)의 데이터 메모리(28-1)의 설정 데이터에서 소거 대상의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에 대하여 소거를 행한다(단계 Se16). 한편, 「원격 데이터 소거」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가 OFF인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의 실시예 3의 구성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20b)에 록 설정을 행하고,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메모리(28-1)로부터 소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악의가 있는 사람에게 휴대 전화 단말(20b)이 도난당한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20b)이, 통신권 외에 존재하는 등의 착신 불가능 상태이더라도, 특정 전화기(40)로부터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시간 범위의 사이에,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회수의 회수분 발신이 됨으로써 통신 가능하게 복귀한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20b)의 동작을 제한하는 록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또한, 패스워드의 브루트포스(Brute Force, 무차별대입)나 우연에 의해 록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 같은 경우에도, 록 설정이 되고, 또한 휴대 전화 단말(20b)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이 소거됨으로써 상기 데이터 파일이 부정하게 이용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의 실시예 3의 구성에서는, 록 설정이 행하여진 경우에만, 데이터 소거가 행하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록 설정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도, 판정부(23b)에 메모리(26b)의 「원격 데이터 소거」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를 참조시켜, 상기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가 「ON」의 경우에는 데이터 파일을 소거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도 17로부터 도 2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4는, 실시예 2의 데이터 소거를 행할 때에, 소거 대상의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메모리의 기억 영역 중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상기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는 구성을 액세스할 수 없는 등의 소정의 액세스 제한이 부과된 기억 영역으로 상기 데이터 파일을 미리 이관하는 처리, 즉 데이터 파일의 이관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는 기능을 제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구성이다.
도 17은 실시예 4의 휴대 전화 단말(20c)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 통신 시스템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20)을 휴대 전화 단말(20c)로 대체하는 구성으로 하는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하다.
도 17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 단말(20c)은,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 2의 휴대 전화 단말(20a)의 구성에 부가하여, 데이터 이관부(29-2)(제한부)가 배치되고, 메모리(26a) 대신 메모리(26c)가 배치되고, 판정부(23a) 대신 판정부(23c)가 배치되고, 데이터 메모리(28-1) 대신 데이터 메모리(28-2)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휴대 전화 단말(20a)와 동일하며, 이하,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17에 나타낸 구성 이외에, 데이터 메모리(28-2)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는 어드레스북 등의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도 17에 있어서 메모리(26c)는, 도 11의 메모리(26a)의 데이터 구성 중, 원 격 데이터 소거의 항목을, 원격 데이터 이관의 항목으로 대체한 도 18에 나타내는 데이터 구성을 갖고 있다. 「원격 데이터 이관」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에는, 데이터 소거부(29-1) 및 데이터 이관부(29-2)가, 휴대 전화 단말(20c)의 데이터 메모리(28-2)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메모리(28-2)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는 구성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없는 기억 영역에 이관한 처리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ON」, 또는 이관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OFF」이다. 또, 메모리(26c)로의 설정 조작은 실시예 1의 도 6에서 나타낸 처리와 마찬가지로 실시된다.
데이터 메모리(28-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마다 이관을 행하는지 여부가 설정되는 설정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 영역을 갖고 있다. 설정 데이터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관 대상 플래그」와 「데이터 파일명」의 항목을 갖고 있다. 「이관 대상 플래그」의 항목에는, 데이터 소거부(29-1) 및 데이터 이관부(29-2)에 의해 이관되는 이관 대상인 것을 나타내는 「1」이나, 또는, 이관 대상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0」이 설정된다. 또, 상기 설정은, 사용자의 휴대 전화 단말(20c)의 키보드 조작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데이터 파일명」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는, 상술한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파일명이다. 또한, 데이터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 영역의 구성은, 도 20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되고 있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는 구성으로부터 액세스, 즉 데이터 파일로의 정보의 기입이나 판독이나 삭제를 할 수 있는 제 1 기억 영역(제 1 기억부)과, 상기 구성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없고, 제 1 기억부의 액세스 방식과는 다른 액세스 방식을 이용하지 않으면 액세스할 수 없는 제 2 기억 영역(제 2 기억부)을 갖고 있다.
데이터 이관부(29-2)는, 판정부(23c)가 휴대 전화 단말(20c)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을 이관한다고 판정한 경우, 판정부(23c)에서 지시 정보의 입력을 받아, 데이터 메모리(28-2)의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설정 데이터에 있어서 이관 대상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을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제 2 기억 영역으로 이관하고, 데이터 소거부(29-1)에 이관된 데이터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터 소거부(29-1)(제한부)에 제 1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 파일을 소거시킨다. 또, 이관시에는, 차차 이관을 행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판독하여 버퍼에 기억시키고, 버퍼에 기억된 데이터를 일괄해서 제 2 기억부에 이관하도록 해도 좋다.
판정부(23c)는, 무선 송수신부(22)가 서버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착신 정보 및 메모리(26c)에 설정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 전화 단말(20c)의 데이터 메모리(28-2)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의 이관을 행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을 갖고 있고, 상기 구성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판정부(23a)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면서 실시예 4의 휴대 전화 단말(20c)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f1로부터 단계 Sf10까지의 처리는, 단계 Sf7에 있어서 판정부(23c)가, 착신 정보로부터 판독한 발신원의 전화번호가 메모리(26c)에 기억되는 특정 전화번호, 즉 원격 데이터 이관용으로 지정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이외의 처리에 관해서는 실시예 2의 단계 Sd1로부터 Sd10과 동일하며, 이하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f10에서, 판정부(23c)는, 착신 발생 시간 범위 내에 착신 발생 회수분의 착신 회수에 달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메모리(26c)의 「원격 데이터 이관」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f13), 「원격 데이터 이관」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 이관부(29-2)에 지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을 받은 데이터 이관부(29-2)는, 휴대 전화 단말(20c)의 데이터 메모리(28-2)의 설정 데이터에 의해 이관 대상의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에 대하여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제 2 기억 영역으로의 이관을 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이관부(29-2)는,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데이터 소거부(29-1)에 입력하여, 데이터 소거부(29-1)에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의 소거를 행하게 한다. 즉, 데이터 소거부(29-1) 및 데이터 이관부(29-2)에 의해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제 2 기억 영역으로의 이관이 이루어지는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f14). 한편, 「원격 데이터 이관」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가 OFF인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상기의 실시예 4의 구성에 의해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데이터 소거를 행하는 순서와 동일한 순서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20c)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메모리(28-2)의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제 2 기억 영역으로 이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악의가 있는 사람에게 휴대 전화 단말(20c)이 도난당한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20c)이, 통신권 외에 존재하는 등의 착신 불가능 상태이더라도, 특정 전화기(40)로부터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시간 범위의 사이에,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회수의 회수분 발신해 둠으로써 통신 가능 상태에 복귀한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20c)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을 제 2 기억 영역에 이관시켜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소거시켜 놓음으로써 상기 데이터 파일이 부정하게 이용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20c)이 소유자에게 되돌아갔을 때에, 소유자에 의해 데이터 파일을 제 1 기억 영역에 되돌려 씀으로써 도난당하기 전의 상태로 휴대 전화 단말(20c)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5)
다음으로 도 22로부터 도 2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5에서는, 실시예 1의 휴대 전화 단말의 록 설정에 부가하여, 실시예 4의 데이터 이관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22는 실시예 5의 휴대 전화 단말(20d)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 통신 시스템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20)을 휴대 전화 단말(20d)로 대체하는 구성으로 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 단말(20d)은,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의 휴대 전화 단말(20)의 구성에 부가하여 실시예 4에서 설명한 데이터 소거부(29-1), 데이터 이관부(29-2), 데이터 메모리(28-2)가 배치되고, 메모리(26) 대신 메모리(26d) 가 배치되고, 판정부(23) 대신 판정부(23d)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휴대 전화 단말(20)과 동일하며, 이하,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기능부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도 22에 나타낸 구성 이외에, 데이터 메모리(28-2)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는 어드레스북 등의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도 22에 있어서 메모리(26d)는, 도 3의 메모리(26)의 데이터 구성에 실시예 4에서 설명한 「원격 데이터 이관」의 항목을 부가한 구성을 갖고 있다. 판정부(23d)는, 무선 송수신부(22)가 서버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착신 정보 및 메모리(26d)에 설정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 전화 단말(20d)의 록 설정을 행하는지 여부의 판정, 및 실시예 4에서 설명한 데이터 메모리(28-2)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의 이관을 행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을 갖고 있고, 상기 구성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예 1의 판정부(23)와 같은 구성, 즉 SMS의 종별 판정이나 착신 정보의 유무의 판정이나 착신 회수의 판정 등을 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도 24를 참조하면서, 실시예 5의 휴대 전화 단말(20d)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g1로부터 단계 Sg14까지의 처리는, 실시예 1의 휴대 전화 단말(20)의 단계 Sc1로부터 단계 Sc14까지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단계 Sg14에서, 판정부(23d)가 록부(27)에 지시 정보를 입력하여 휴대 전화 단말(20d)을 원격 록한 후, 다음으로 판정부(23d)는, 메모리(26d)의 「원격 데이터 이관」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가 「ON」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g15). 「원격 데이터 이관」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가 「ON」인 경우에는, 데이터 이관 부(29-2)에 지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을 받은 데이터 이관부(29-2)는, 휴대 전화 단말(20d)의 데이터 메모리(28-2)의 설정 데이터에 의해 이관 대상의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에 대하여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제 2 기억 영역으로의 이관을 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이관부(29-2)는,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데이터 소거부(29-1)에 입력하여, 데이터 소거부(29-1)에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의 소거를 행하게 한다. 즉, 데이터 소거부(29-1) 및 데이터 이관부(29-2)에 의해 상기 데이터 파일을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제 2 기억 영역으로 이관시키는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g16). 한편, 「원격 데이터 이관」의 항목이 OFF인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의 실시예 5의 구성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20d)에 록 설정을 행하고,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메모리(28-2)의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제 2 기억 영역으로 이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악의가 있는 사람에게 휴대 전화 단말(20d)이 도난당한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20d)이, 통신권 외에 존재하는 등의 착신 불가능하더라도, 특정 전화기(40)로부터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시간 범위의 사이에,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회수의 회수분의 발신이 됨으로써 통신 가능하게 복귀한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20d)의 동작을 제한하는 록 설정이 될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의 브루트포스나 우연에 의하여 록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 같은 경우에도, 휴대 전화 단말(20)은, 록 설정이 되고, 또한 휴대 전화 단말(20d)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이 제 2 기억 영역에 이관되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 파일이 부정하게 이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20d)이 소유자에게 되돌아갔을 때에, 소유자에 의해 데이터 파일을 제 1 기억 영역에 되돌려 씀으로써, 도난당하기 전의 상태로 휴대 전화 단말(20d)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의 실시예 5의 구성에서는, 록 설정이 행하여진 경우에만, 데이터 이관이 행하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록 설정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도, 판정부(23d)에 메모리(26d)의 「원격 데이터 소거」의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를 참조시켜, 상기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가 「ON」인 경우에는 데이터 파일이 소거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동된 데이터 파일의 판독부)
여기서, 실시예 4와 실시예 5에 있어서 제 2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에 대하여 보안의 유지를 도모하면서, 판독하여 복원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생각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 전화 단말은, 실시예 4의 휴대 전화 단말(20c)과 실시예 5의 휴대 전화 단말(20d)에 대응한다.
즉, (1) 제 2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의 제 1 기억 영역으로의 복원은 휴대 전화 단말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서는 실행 불가능하게 하여 놓은 것.
(2) (1)의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제 2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을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예컨대, 이 (2)의 조건은, 제 2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데이터 파일이, 휴대 전화 단말에 접속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만 판독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3)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한 데이터 파일을 휴대 전화 단말의 제 1 기억 영역에 복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
(4)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의 복호화 및 복호화한 데이터 파일의 휴대 전화 단말로의 복원에는, 복원, 즉 복호와 되돌려 쓰기를 행하는 조작자가, 휴대 전화 단말의 정규의 소유자 본인의 의사에 근거하고 있는 것. 여기서, 상기 정규의 소유자란 휴대 전화 단말의 계약처의 통신 사업자에게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인 것이다.
(5)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판독한 데이터 파일은 원래의 휴대 전화 단말 이외의 휴대 전화 단말에는 기입할 수 없도록 하는 것.
(1)의 조건은, 휴대 전화 단말 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여 놓으면, 상기 복원의 구성이 알려져 버린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을 훔친 제삼자에 의해 복원되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만족시킬 필요가 있는 조건이다. (1)의 조건에 관해서는, 예컨대, 제 2 기억 영역으로의 액세스는 휴대 전화 단말에 구비되는 데이터 관리부를 통하여 실시되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 관리부가 액세스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휴대 전화 단말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 중의 액세스가 금지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인 경우에는 액세스가 거부된다고 하는 구성을 설치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2)의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에 접속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만이 판독 가능한 대상인 것으로 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실현되지만,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판독할 때에 암호화하는 구성이나, 특정인이 조작하는 퍼스널 컴퓨터로만 판독하게 하도록 하는 구성에 의해 보안의 유지를 도모하는 것 등도 생각된다. 그러나, 제 2 기억 영역에, 제 1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던 상태의 데이터 파일을 기억시켜 놓으면 기억 영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파일이 직접 전기적으로 판독될 가능성도 있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 파일이 그대로 이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 이관부(29-2)가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제 2 기억 영역으로 데이터 파일을 이관할 때에, 데이터 파일을 암호화하여 제 2 기억 영역에 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구성보다 고도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3)의 조건에 나타낸 제 1 기억 영역에 데이터 파일을 복원하는 구성이 제삼자에게 알려진 경우에도, 암호화되어 있으면, 복호화할 수 없는 한 단지 되돌려 썼다고 해도 이용할 수 없는 것으로부터도,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제 2 기억 영역으로 재기록할 때의 암호화에 의해, 보다 고도의 보안의 유지를 꾀할 수 있다.
(4)의 조건에 관해서는, 예컨대, 휴대 전화 단말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판독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장치를 통신 사업자가 창구 등으로 제공하여, 상기 장치가, 지문, 홍채, 성문(聲紋), 얼굴, 정맥, 그 밖의 결함, DNA, 망막 등의 생체 정보에 근거하여 개인 인증을 하는 것에 의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정규의 소유자인지 여부의 판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보안의 정도는 낮게 되지만, 생체 정 보를 이용하지 않고, 미리 등록하고 있는 패스워드 등에 의해 개인 인증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5)의 조건에 관해서는, 예컨대, 제 1 기억 영역으로부터 제 2 기억 영역으로 데이터 파일을 이관할 때에, 휴대 전화 단말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데이터 파일에 부여해 두고, 데이터 파일을 복원할 때에, 기입하는 데이터 파일에 부여된 식별번호와, 되돌려 쓸 곳의 휴대 전화 단말에 부여되는 식별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이 채용되는 것으로 실현된다.
이들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예컨대, 제삼자가,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복원을 꾀하려고 해도, 개인 인증에 의해 거부되기 때문에 복원이 방지된다. 또한, 제삼자가, 휴대 전화 단말에서 직접 전기적으로 제 2 기억 영역으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판독할 수 있었다고 해도, 데이터 파일은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기억 영역에 되돌려 쓰는 것만으로는 이용할 수 없어, 부정 이용을 막을 수 있다.
또, 실시예 4와 실시예 5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은, 어드레스북 데이터 파일이나, 이력 데이터 파일이나, 전자메일에 관한 수신 데이터 파일, 송신 데이터 파일, 휴대 전화 단말 내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성된 작성 데이터 파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한 다운로드 데이터 파일,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등을 기록한 북마크 데이터 파일 등이 있다.
여기서, 어드레스북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이름, 전화번호, 전 자메일 어드레스, 주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등이 대응된 데이터이다. 또한, 이력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발신 이력 데이터, 착신 이력 데이터, 웹 액세스 이력 데이터 등이다. 또한, 수신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전자메일 프로그램에 의해 수신된 수신 메일 데이터 등이며, 송신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송신 메일 데이터나, 전자메일의 초안 데이터 등이다. 또한, 작성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휴대 전화 단말에 내장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나 동화상 데이터, 녹음된 소리 데이터, 가공된 사진이나 동화 데이터나 소리 데이터, 일기 데이터, 메모 데이터, 스케줄 데이터, 알람 설정에 관한 데이터 등이다. 또한, 다운로드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이나 소리 등의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데이터 등이다. 또한, 북마크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데이터로서는,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데이터나, 위치 데이터 등이 있다.
또, 실시예 2로부터 실시예 5의 메모리(26a, 26b, 26c, 26d)는, 상술한 각각의 메모리(26a, 26b, 26c, 26d)가 갖는 항목에 기억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가 복수 기억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5에서는, 전화기(40)로부터의 착신만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은 원격 록, 원격 데이터 소거, 원격 데이터 이관의 처리가 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종래, 실시되고 있는 전자메일에 록 등 시키기 위한 특별한 정보를 설정하는 순서는 필요로 되지 않고, 용이하게 원격 록, 원격 데이터 소거, 원격 데이터 이관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5에 있어서, SMS 형식으로 송신되는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의 착신 정보뿐만이 아니라, 통신 가능 상태에서의 보통의 착신에 관해서도, 상기 착신 정보(제 2 통신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 내의 기억 영역 또는 서버 장치(10)의 기억부(12)에 기억되어 록 하여두고, 상기 보통의 착신시에서의 착신의 발생 회수와, 통신 불가능 상태시에서의 착신의 발생 회수를 합계한 회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착신 발생 시간 범위 내의 착신 발생 회수분 있었던 경우에는, 원격 록, 데이터 소거 처리, 데이터 이관 처리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이 보통의 착신으로 원격 록, 원격 데이터 소거, 원격 데이터 이관되어 있는 도중에, 통신 불가능 상태가 된 경우에도, 계속하여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에 소정 회수가 될 때까지 발신이 됨으로써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은 원격 록, 원격 데이터 소거, 원격 데이터 이관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5에서는, 전화 착신에 근거하여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은 원격 록, 원격 데이터 소거, 원격 데이터 이관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전자메일의 수신 정보에 근거하여, 즉 전자메일의 송신 회수 등에 근거하여,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이 원격 록, 원격 데이터 소거, 원격 데이터 이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5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이 원격 록, 원격 데이터 소거, 원격 데이터 이관되기 위한 소정 조건을,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시간 범위의 사이에, 미리 설정한 착신 발생 회수분 의 착신이 발생하는지의 조건이라고 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조건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착신의 발생 간격이 일정 시간 이하의 경우에 원격 록, 원격 데이터 소거, 원격 데이터 이관되는 등의 조건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5에서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특정한 전화번호로부터의 착신에만 근거하여,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이 원격 록, 원격 데이터 소거, 원격 데이터 이관되어 록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발신원의 전화번호는 임의로 하거나, 특정한 전화번호를 복수, 메모리(26, 26a, 26b, 26c, 26d)에 기억시키거나 하여, 각각,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만에 근거하여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이 원격 록, 원격 데이터 소거, 원격 데이터 이관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그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의 착신 발생 시간 범위나 착신 발생 회수는 번호마다 다른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5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에서 착신이 소정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가 판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 장치(10)가, 착신 정보 DB(14)에 정보가 기록되었을 때에, 상술한 소정 조건에 따라서 판정을 행하고, 소정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에, 록부(27)를 기동시키는 동작 제한 명령(제한 명령 정보), 데이터 소거부(29-1), 데이터 이관부(29-2)를 기동시키는 데이터 소거 명령(제한 명령 정보)을 생성하여 휴대 전화 단말(20)에 송신하는 구성(제한 명령부)을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전화 단말(20, 20a, 20b, 20c, 20d)은 서버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동작 제한 명령, 데이터 소거 명령에 근거하여 원격 록, 원격 데이터 소거, 원격 데이터 이관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2로부터 실시예 5에서는, 착신 정보를 송신할 때에 SMS의 정보가 송신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9에 나타내는 것 같은 휴대전화통신 사업자가 독자적으로 설정하는 통지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정보가 휴대 전화 단말(20a, 20b, 20c, 20d)에 송신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통신 기기(휴대 전화 단말(20))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망(1)에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실시되더라도 좋다. 이 통신 방법에서는,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발생한 통신 기기로의 통신에 관한 제 1 통신 정보가 통신망(1)에서 기억되고,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해진 경우에, 기억된 제 1 통신 정보가 통신망(1)으로부터 통신 기기에 송신되고, 통신 기기에서는, 송신되는 제 1 통신 정보가 수신되고, 수신된 제 1 통신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자신의 기능이 제한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이, 통신 기기(휴대 전화 단말(20))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망(1)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실시된 경우,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통신 기기로의 통신이 발생한 경우, 통신 기기의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명령 정보가 통신망(1)으로부터 통신 기기로 송신되고, 통신 기기에서는, 송신되는 제한 명령 정보가 수신되고, 수신된 제한 명령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자신의 기능이 제한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통신 기기(휴대 전화 단말(20))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망(1)에 구 비되고, 통신 기기로의 통신에 따른 정보를 기억하는 서버 장치(10)로서 실행되더라도 좋다. 이 서버 장치(10)에서는,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발생한 통신 기기로의 통신에 따른 정보이며, 통신 기기가 수신한 경우에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정보인 제 1 통신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14)와,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해진 경우에, 기억부에 기억된 제 1 통신 정보를 통신 기기에 송신하는 통지부(송수신 처리부(11))가 구비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이 서버 장치(10)로서 실행되는 경우, 서버 장치(10)는,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통신 기기로의 통신이 발생한 경우, 통신 기기의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명령 정보를 통신 기기로 송신하는 제한 명령부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단말 등의 통신 기기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에 있어서 적용 가능하다.

Claims (13)

  1. 통신 기기와, 상기 통신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망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망은,
    상기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발생한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에 관한 제 1 통신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해진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 1 통신 정보를 상기 통신 기기에 송신하는 통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기기는, 상기 통지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1 통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정보는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의 발생 시각의 정보를 갖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통신의 발생 시각에 따라,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이 소정 시간내에 소정 회수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 우에,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통신 기기가 상기 통신망과 통신 가능 상태일 때 발생한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에 관한 제 2 통신 정보와, 상기 통신망의 상기 통지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정보 및 상기 제 2 통신 정보는 각각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의 발생 시각의 정보를 갖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 1 통신 정보 및 제 2 통신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통신의 발생 시각의 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이 소정 기간 내에 합계하여 소정 회수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푸시형 전송에 의해 상기 통신 기기에 상기 통신의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 기억부를 갖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통지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기억부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능을 제한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사용의 기능을 제한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액세스가 제한되는 제 2 기억부를 갖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기억부에서 상기 제 2 기억부에 이관하는
    통신 시스템.
  9. 통신 기기와, 상기 통신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망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망은, 상기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이 발생한 경우, 상기 통신 기기의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명령 정보를 상기 통신 기기로 송신하는 제한 명령부를 갖고,
    상기 통신 기기는, 상기 제한 명령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한 명령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
  10. 통신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발생한 기기 자신으로의 통신에 관한 제 1 통신 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갖는 통신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정보는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의 발생 시각의 정보를 갖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통신의 발생 시각에 따라,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이 소정 시간내에 소정 회수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통신 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통신망과의 통신이 가능할 때에 발생한 기기 자신으로의 통신에 관한 제 2 통신 정보와, 상기 제 1 통신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통신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정보 및 상기 제 2 통신 정보는 각각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의 발생 시각의 정보를 갖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 1 통신 정보 및 제 2 통신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통 신의 발생 시각의 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 기기로의 통신이 소정 기간 내에 합계하여 소정 회수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 기기 자신의 기능을 제한하는
    통신 기기.
KR1020087023462A 2006-02-27 2007-02-27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 KR101018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0008 2006-02-27
JPJP-P-2006-00050008 2006-02-27
JP2007016859 2007-01-26
JPJP-P-2007-00016859 2007-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302A true KR20080106302A (ko) 2008-12-04
KR101018524B1 KR101018524B1 (ko) 2011-03-08

Family

ID=3845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462A KR101018524B1 (ko) 2006-02-27 2007-02-27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095637B2 (ko)
JP (1) JP4750180B2 (ko)
KR (1) KR101018524B1 (ko)
WO (1) WO20070999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0180B2 (ja) * 2006-02-27 2011-08-1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機器
CN101415182B (zh) * 2007-10-17 2013-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对终端数据保护的方法、系统及装置
JP4877283B2 (ja) * 2008-06-17 2012-02-1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プログラム
JP5108662B2 (ja) * 2008-07-07 2012-12-26 株式会社森精機製作所 加工プログラム処理装置
JP6033607B2 (ja) * 2012-08-23 2016-11-3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55633B2 (en) * 2017-11-14 2019-10-22 Knowmadic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lerting a broken pair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1798A (ja) 1998-11-05 2000-05-30 Sharp Corp ダイヤル/データロック機能付き携帯電話
WO2001043412A1 (fr) * 1999-12-10 2001-06-14 Ntt Docomo, Inc. Procede destine a limiter l'utilisation d'un terminal de communication mobile dote d'une memoire ou sont stockees des informations de carte, reseau de communication mobile et terminal de communication mobile
JP2002077433A (ja) * 2000-08-24 2002-03-15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電話機
JP2002252875A (ja) * 2001-02-23 2002-09-0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端末とこれを用いる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3224886A (ja) 2002-01-31 2003-08-08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端末
US7054624B2 (en) * 2002-04-02 2006-05-30 X-Cyte, Inc. Safeguarding user data stored i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7015817B2 (en) * 2002-05-14 2006-03-21 Shuan Michael Copley Personal tracking device
JP2004274310A (ja) * 2003-03-07 2004-09-30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移動端末装置
JP2005020108A (ja) * 2003-06-23 2005-01-20 Nec Commun Syst Ltd メール受信システム
JP2005122576A (ja) * 2003-10-20 2005-05-12 Ricoh Co Ltd コンピュータ及びコンピュータの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US20050186954A1 (en) * 2004-02-20 2005-08-25 Tom Kenney Systems and methods that provide user and/or network personal data disabling commands for mobile devices
US7783281B1 (en) * 2004-04-22 2010-08-24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a mobile device
CN100471312C (zh) * 2005-11-11 2009-03-18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保护移动终端内信息的方法
JP4750180B2 (ja) * 2006-02-27 2011-08-1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099938A1 (ja) 2009-07-16
US20090150543A1 (en) 2009-06-11
US8788648B2 (en) 2014-07-22
KR101018524B1 (ko) 2011-03-08
US20130018980A1 (en) 2013-01-17
WO2007099938A1 (ja) 2007-09-07
US8095637B2 (en) 2012-01-10
JP4750180B2 (ja)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5668B2 (en) Privacy management for tracked devices
KR101018524B1 (ko)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
CA2787804A1 (en) Safeguarding user data stored i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JPH10111727A (ja) 電話機能を有する情報機器及び同情報機器のセキリュリティ実現方法
JP2000270376A (ja) 携帯電話保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保守サービス方法
KR20070090768A (ko) 휴대 전화, 및 상기 휴대 전화가 판독가능한 전자 메일송수신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05277764A (ja) 携帯電話端末装置及び遠隔操作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23681B2 (ja) 通信装置、電子決済機能付き通信装置及び電子決済方法
JP2003264631A (ja) Simカード情報のセキュリティ方法
JP4372034B2 (ja) 携帯電話端末システム、携帯電話端末不正使用防止方法、及び携帯電話端末不正使用防止プログラム
KR20070060657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JP2008011218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システム
JP5056481B2 (ja) データ管理方法及び装置
EP1473952B1 (en) Mobile apparatus with remote lock and control function
JP4695039B2 (ja) リモートロック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端末
KR20070090769A (ko) 휴대 전화, 및 상기 휴대 전화가 판독가능한 전자 메일송수신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60040613A (ko) 단말 장치
CN101433118A (zh) 通信系统及通信设备
JP4935120B2 (ja) 情報処理装置、装置利用機能制御システムおよび装置利用機能制御プログラム
CA2552480A1 (en) Cell phone feature for downloading information via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003250184A (ja) 携帯端末、メモリカード、管理端末、携帯端末制御システム、使用制限方法及び退避方法
KR100610352B1 (ko) 분실된 휴대전화기에 저장된 개인정보 보호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010044083A (ko) 분실된 휴대단말의 개인 정보보호 방법
JP2007258769A (ja) 個人情報保護方式及び方法
JP5475699B2 (ja) リモートロック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