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758A - 조리면에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 - Google Patents

조리면에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758A
KR20080105758A KR1020070053765A KR20070053765A KR20080105758A KR 20080105758 A KR20080105758 A KR 20080105758A KR 1020070053765 A KR1020070053765 A KR 1020070053765A KR 20070053765 A KR20070053765 A KR 20070053765A KR 20080105758 A KR20080105758 A KR 20080105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oint pattern
cooker
cooking utensi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
Original Assignee
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 filed Critical 김영
Priority to KR102007005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5758A/ko
Publication of KR2008010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1/108Hydrocarbon re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면에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로서, 한층 이상의 표면보호층으로 코팅된 조리용구에 있어서, 상기 표면보호층 상면에 잉크안료를 도포하여 포인트 패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표면보호층 상면에 포인트 패턴이 형성되어, 팬시(fancy) 효과를 냄과 아울러 시장의 경쟁력을 확보하며, 조리면을 보호하여 조리용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리면에 음식물이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포인트 패턴, 무늬, 조리, 조리용구, 코팅, 도포, 잉크안료

Description

조리면에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The cooker which has point patten on cooking face}
도 1은 종래의 프라이팬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조리용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리용구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나비형상의 포인트 패턴 형성시에 사용한 전사판(또는 전사지)의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리용구 11: 조리용구 본체
11a: 조리면 12: 손잡이
20: 표면보호층 21: 프라이머코트
22: 미드코트 23: 탑코트
30: 포인트 패턴 50: 전사판(또는 전사지)
기술분야
본 발명은 조리면에 잉크안료로 포인트 패턴을 형성한 조리용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적어도 한층 이상의 표면보호층이 코팅된 조리용구의 조리면에, 잉크안료로 다양한 포인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요리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북돋우고, 포인트 패턴에 의한 조리면의 보호로 조리용구의 내구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조리면에 음식물이 눌어붙지 않도록 하며, 소비자의 구매욕구 자극을 통해 시장에서의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킨 조리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조리용구는 음식물을 담아 조리할 수 있는 용구로써, 볼(Bowl) 형상의 본체를 필수 구성요소로 갖고, 그 표면에는 표면을 보호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를 취급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거나 탈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 1은 대표적인 조리용구의 종래 예로서, 통상(通常), 주조(鑄造, casting)에 의해 제작되는 프라이팬(100)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주조에는 선철(銑鐵), 강(鋼), 동(銅)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이 주로 사용된다.
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이 프라이팬(100)은 음식물 조리(調理)가 이루어지는 본체(110)와 손잡이(120)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특히 본체의 경우에는 음식물의 눌어붙음을 방지하면서 세척 시에는 눌은 때가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조리 면(110a)에 한층(一層) 이상의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일이 많다.
그렇지만, 이러한 표면보호층은 조리면을 필요 이상으로 매끈하게 만들기 때문에, 음식물의 눌어붙음을 방지하는 효과는 미미하다.
한편, 이러한 종래 프라이팬은 모양이 투박하고, 조리면의 색상이 대체로 거무튀튀하기 때문에, 주요 구매자이면서 사용자인 여성에게, 제품을 구매하고 싶다는 욕구나 요리에 대한 흥미를 강하게 불러일으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사상의 창작으로서,조리면이 대체로 단색(單色)으로 되어 있거나 무채색으로 되어 있는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용구에 있어서, 그 조리면에, 예를 들면 조리면의 색상과 배색(配色)했을 때 잘 어울릴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의 잉크안료로 포인트 패턴을 형성하여, 사용자 또는 구매자의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팬시(fancy) 조리용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포인트 패턴을 통해, 요리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북돋우고, 조리용구의 내구성을 향상하며, 음식물의 눌어붙음을 방지하고, 시장에서의 제품경쟁력을 향상할 수 있는 조리용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리용구 본체에 적어도 한층 이상의 표면보호층이 코팅된 조리용구에 있어서, 상기 표면보호층의 상면에 잉크안료를 도포하여 포인트 패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패턴을 형성하는 상기 잉크안료는 PTFE분산액, 몰 방향족 탄화수소, 티리에틸아민, 올레인산, 계면활성제, 무기안료 분산액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패턴은 상기 표면보호층에 마지막으로 코팅되는 코팅액이 반건조 상태에서 잉크안료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패턴은 상기 표면보호층 상면에 형성시킬 무늬가 천공된 전사판을 놓고 도포수단으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하는 실시예에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리용구"라는 용어는 프라이팬, 압력솥, 각종 냄비 등,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생각할 수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구를 모두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조리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의 조리용구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나비형상의 포인트 패턴 형성시에 사용한 전사판(또는 전사지)의 예이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용구(10)는 조리용구 본체(11)의 표면에 한층 이상의 표면보호층(20)이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보호층(20) 상면에는 포인트 패턴(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리용구 본체(11)는, 알루미늄을 가공하거나 또는 선철(銑鐵), 강(鋼), 동(銅)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주조하여 제작되며, 음식을 담아 조리할 수 있는 조리면(11a)이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리용구 본체(11)는 일측이나 양측에는 상기 조리용구(10)를 들기 쉽도록 손잡이(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보호층(20)은, 상기 조리면(11a) 또는 조리용구 본체(11) 전체에 한층 이상으로 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한다. 상기 표면보호층(20)은 프라이머코트(21, primer coat)와, 미드코트(22, mid coat) 및 탑코트(23, top coat)의 코팅액이 차례로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코팅액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하고 예컨대, 프라이어코드(21)와 미드코트(22), 프라이머코트(21)와 탑코트(23)만의 구성 등으로 표면보호층(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어느 한가지 만으로도 코팅하여 표면보호층(2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트 패턴(30)은, 상기 표면보호층(20) 상면에 포인트(국소) 패턴 예컨데, 도 2에 도시된 나비무늬와 같이 조리면(11a)에 잉크안료를 도포하여 형성한다. 상기 포인트 패턴은 조리용구가 소비자의 눈에 확연히 뜨이는 포인트를 주도록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무늬 예컨데, 물체를 형상화한 무늬, 꽃무늬, 한국전통무늬 등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리면(11a)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조리면(11a)의 군데군데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패턴(30)을 형성하는 잉크안료는 PTFE분산액, 몰 방향족 탄화수소, 트리에틸아민, 올레인산, 계면활성제, 무기안료 분산액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며, 무기안료 분산액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포인트 패턴(30)은 상기 표면보호층(20)의 마지막으로 코팅되는 코팅액이 반건조 상태에서 도포 되는 것이, 상기 표면보호층(20)과의 결합력이 증대되며, 코팅액이 반건조 상태이기 때문에 유동성이 있어 잉크안료의 응집력으로 인해, 상기 포인트 패턴(30)의 가장자리가 깨끗하게 형성된다.
상기 포인트 패턴(30)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보호층에 형성시킬 무늬로 천공된 전사판(50, 또는 전사지)을 상기 표면보호층(20)의 상면에 올려놓고 도포수단 예컨대, 스프레이나 롤러 등으로 상기 잉크안료를 도포하여 전사판(50, 또는 전사지)에 천공된 무늬가 전사되도록 도포하거나, 일명 날염이라고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사판(50, 또는 전사지)을 무늬대로 개공(開孔)된 스크린으로 형성하여 잉크안료를 상기 도포수단으로 도포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리용구 본체(10)의 조리면(11a)에 한층 이상으로 코팅을 하여 표면보호층(20)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보호층(20)의 마지막으로 코팅되는 코팅액이 반건 조 상태에서 다양한 무늬로 천공된 상기 전사판(50, 또는 전사지)을 코팅액 상부에 얹고 도포수단으로 상기 잉크안료를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조리용기(10)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구(10)는 잉크안료를 도포하여 포인트 패턴(30)을 형성함으로써, 단색으로 형성된 종래의 조리용구와는 달리 다양한 색상으로 포인트 패턴을 형성하여 팬시(fancy)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포인트 패턴(30)이 표면보호층(20) 상면에 도포 되기 때문에 상기 표면보호층(20)보다 국소적으로 돌출형성되므로 조리면(11a)에 음식물 전체가 조리면에 대면(對面) 되지 않아 눌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포인트 패턴(30)이 조리면을 보호하여 조리용구(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용기의 표면보호층 상면에 잉크안료를 도포하여 포인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요리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북돋우며, 포인트 패턴으로 인한 조리면의 보호하여 조리용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조리면에 음식이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며, 다양한 색상과 포인트 패턴으로 인하여 인테리어 소품의 효과를 내고,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조리용구 본체(11)에 적어도 한층 이상의 표면보호층(20)이 코팅된 조리용구에 있어서,
    상기 표면보호층(20)의 상면에 잉크안료를 도포하여 포인트 패턴(3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패턴(30)을 형성하는 상기 잉크안료는 PTFE분산액, 몰 방향족 탄화수소, 티리에틸아민, 올레인산, 계면활성제, 무기안료 분산액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패턴(30)은 상기 표면보호층(20)에 마지막으로 코팅되는 코팅액이 반건조 상태에서 잉크안료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
  4. 제3항 있어서,
    상기 포인트 패턴(30)은 상기 표면보호층(20) 상면에 형성시킬 무늬가 천공된 전사판(50)을 놓고 도포수단으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
KR1020070053765A 2007-06-01 2007-06-01 조리면에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 KR20080105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765A KR20080105758A (ko) 2007-06-01 2007-06-01 조리면에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765A KR20080105758A (ko) 2007-06-01 2007-06-01 조리면에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758A true KR20080105758A (ko) 2008-12-04

Family

ID=4036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765A KR20080105758A (ko) 2007-06-01 2007-06-01 조리면에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57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40B1 (ko) * 2009-09-24 2010-09-06 주식회사 이룸쿡 이미지피막층이 형성된 조리기구의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40B1 (ko) * 2009-09-24 2010-09-06 주식회사 이룸쿡 이미지피막층이 형성된 조리기구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122B1 (ko) 요철 코팅층이 형성된 조리용기
CN102407638A (zh) 包括具有功能性设计的溶胶-凝胶涂层的器具以及制造这种器具的方法
US20130108761A1 (en) Fuzzy diamond grill frying pan
KR102354638B1 (ko)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결이 형성된 외부 면을 구비한 취사도구의 제품
JP2016002455A (ja) ドット方式にコーティングされた厨房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466126A (zh) 用于煮饭器的内锅、煮饭器和制造内锅的方法
KR101067297B1 (ko)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189466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20080105758A (ko) 조리면에 포인트 패턴이 형성된 조리용구
KR20170102248A (ko) 기계적 처리에 의해 주방 용품을 장식하는 방법
KR200410606Y1 (ko) 컬러 마블코팅 조리기구
JP2010063765A (ja) 調理面にポイント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調理用具
KR100702490B1 (ko) 알루미늄제 착색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1587593B1 (ko) 점묘화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430749Y1 (ko) 전사지 코팅 프라이팬
KR101185774B1 (ko) 주방용기 코팅방법
JPH07116049A (ja) 箸及び箸の製造方法、並びに、飲食用の器
KR100475558B1 (ko) 금속제 용기의 표면 코팅 방법
KR101170667B1 (ko) 표면단차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도장층이 형성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0811302B1 (ko) 조리용 가열용기
KR100687404B1 (ko) 주방용기의 색상 코팅방법
EP4099877B1 (en) Container for cooking foods comprising a non-stick coating
KR101264145B1 (ko) 주방용기 코팅방법
JP2012005627A (ja) 調理用鍋
JP6606266B1 (ja) 台所用器具及びその装飾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