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233A -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는 복합기 - Google Patents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는 복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233A
KR20080103233A KR1020070050269A KR20070050269A KR20080103233A KR 20080103233 A KR20080103233 A KR 20080103233A KR 1020070050269 A KR1020070050269 A KR 1020070050269A KR 20070050269 A KR20070050269 A KR 20070050269A KR 20080103233 A KR20080103233 A KR 20080103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path
paper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구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0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3233A/ko
Priority to US11/876,973 priority patent/US20080291230A1/en
Priority to EP08100670A priority patent/EP1995072A3/en
Priority to CNA200810002191XA priority patent/CN101310984A/zh
Publication of KR2008010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4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concerning sheet refeed sections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e.g. intermediate stac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32Print quality control characterised by dot disposition, e.g. for reducing white stripes or banding
    • B41J2/2142Detection of malfunctio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는 복합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복합기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경로 상에 마련되며, 용지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으며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어레이 잉크젯 헤드를 구비하는 화상인쇄부, 화상인쇄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원고를 이송시키는 원고독취경로 상에 마련되어 원고를 독취하는 스캔유닛을 구비하는 화상독취부와, 인쇄경로와 원고독취경로를 연결하는 미싱노즐검지경로를 구비하며, 어레이 잉크젯헤드에 의하여 테스트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상기 미싱노즐검지경로를 통해 원고독취경로로 이송시켜 스캔부로 하여금 테스트화상을 스캔하는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여, 화상독취부와 미싱노즐검지부는 스캔부를 공유한다.

Description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는 복합기{Multi fuction peripheral having the missing nozzle det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롤러들의 구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미싱노즐검지부를 이용하여 테스트화상을 독취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화상인쇄부 115...어레이 잉크젯헤드
120...화상독취부 123...제1이송롤러
124...스캔유닛 127...제2이송롤러
130...미싱노즐검지부 131...제3이송롤러
132...제4이송롤러 S1...인쇄경로
S2...원고독취경로 S3...미싱노즐검지경로
본 발명은 복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레이 잉크젯 헤드의 불 량인쇄영역을 검지할 수 있는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는 복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용지의 폭 방향)으로 왕복 주행되는 프린팅헤드(셔틀방식 프린팅헤드)로부터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프린팅헤드에는 잉크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노즐부가 구비된다.
근래에는, 용지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프린팅헤드 대신에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어레이 잉크젯 헤드를 사용하여 고속 인쇄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어레이 잉크젯 헤드가 고정되어 있고 용지만이 이송되므로, 구동장치가 단순하고 고속 인쇄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어레이 잉크젯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어레이 잉크젯 헤드가 용지의 폭만큼 크기를 가지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의 일부분에 불량이 있으면, 불량노즐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용지에 화상이 형성되지 못한다.
이러한 불량노즐에 의한 화상손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방식 또는 불량노즐에 인접한 인접노즐로 보상해주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불량노즐에 의한 화상손상을 해결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전에, 어레이 잉크젯 헤드의 복수의 노즐 중 어느 노즐이 불량노즐인지를 검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어레이 잉크젯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불량노즐을 검지하기 위한 미싱노즐검지부(missing nozzle detection)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어레이 잉크젯헤드의 불량노즐을 검지할 수 있는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는 복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복합기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경로 상에 마련되며, 용지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으며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어레이 잉크젯 헤드를 구비하는 화상인쇄부;
상기 화상인쇄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원고를 이송시키는 원고독취경로 상에 마련되어 원고를 독취하는 스캔유닛을 구비하는 화상독취부와;
상기 인쇄경로와 원고독취경로를 연결하는 미싱노즐검지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어레이 잉크젯헤드에 의하여 테스트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상기 미싱노즐검지경로를 통해 상기 원고독취경로로 이송시켜, 상기 스캔부로 하여금 테스트화상을 스캔하는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화상독취부와 미싱노즐검지부는 상기 스캔부를 공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상인쇄부는 상기 인쇄경로와 미싱노즐검지경로가 만나는 위치에 마련되어, 픽업된 용지를 상기 어레이 잉크젯헤드 쪽으로 안내하거나 또는 테스트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상기 미싱노즐검지경로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상인쇄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어레이 잉크젯헤드 사이에 마련되어,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지정렬기능을 갖는 이송롤 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고독취경로 상에는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일군의 이송롤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미싱노즐검지경로 상에도 테스트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이송시키는 다른 군의 이송롤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일군의 이송롤러와 다른 군의 이송롤러는 동일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기(100)는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인쇄부(110)와, 상기 화상인쇄부(1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원고를 독취하는 화상독취부(120)와, 상기 화상인쇄부(110)와 화상독취부(120)의 사이에 마련되어 테스트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스캔하는 미싱노즐검지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인쇄부(110)는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인쇄경로(S1)를 따라 카세트(111), 복수의 이송롤러(113)(114), 어레이 잉크젯 헤드(115), 정착기(117) 및 배지롤러(118)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111)는 다수의 용지(P)를 적재하며, 그 상측에는 용지(P)를 낱장 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113)(114)는 상기 픽업롤러(112)에 의하여 픽업된 용지(P)를 인쇄경로(S1)를 따라 이송시켜 상기 어레이 잉크젯 헤드(115)쪽으로 이송 시킨다. 상기 이송롤러(114)는 원고(P)를 정렬하는 레지스트레이션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테스트화상이 인쇄된 용지(P)를 상기 미싱노즐검지부(130)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이다.
상기 어레이 잉크젯 헤드(115)는 용지(P)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으며,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115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어레이 잉크젯 헤드(115)의 하측에는 이송되는 용지(P)를 지지하는 지지대(1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어레이 잉크젯 헤드(115)는 고정되어 있고, 용지(P)가 상기 어레이 잉크젯 헤드(115)의 아래를 통과하면서 상기 다수의 노즐(115a)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 의하여 화상이 용지(P)위에 형성된다.
상기 정착기(117)는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P)에 융착시키는 것으로, 히팅롤러와 이에 대접하는 가압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배지롤러(118)는 상기 정착기(117)를 통과한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외부로 배출시켜 배지대(118a)에 적재시킨다.
상기 화상독취부(110)는 용지(P)를 상기 어레이 잉크젯 헤드(115)쪽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테스트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상기 미싱노즐검지부(130)쪽으로 이송시키도록 경로를 변경시키는 가이드부(119)를 더 구비한다.
상기 화상독취부(120)는 원고(M)를 독취하는 것으로, 원고독취경로(S2)를 따라 원고적재대(121), 제1이송롤러(123), 스캔유닛(124), 제2이송롤러(127), 원고배지대(128)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원고적재대(121)는 다수의 원고(M)를 적재하는 것으로, 그 상측에는 원고(M)를 낱장 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이송롤러(123)는 한 쌍의 롤러가 대접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원고적재대(121)와 상기 스캔유닛(124)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픽업롤러(122)에 의하여 픽업된 원고(M)를 상기 스캔유닛(124)쪽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스캔유닛(124)은 상기 원고(M)를 독취하는 것으로, 그 상측에는 글래스(125)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글래스(125)의 상측에는 원고(M)를 상기 글래스(125)쪽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12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이송롤러(127)는 한 쌍의 롤러가 대접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캔유닛(124)과 원고배지대(128)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스캔유닛(124)에 의하여 독취된 원고(M)를 상기 원고배지대(128)에 배지시킨다.
상기 미싱노즐검지부(130)는 화상을 형성하지 못하는 불량노즐을 검지하기 위하여 테스트화상을 스캔하는 것으로, 인쇄경로(S1)와 원고독취경로(S2)를 연결하는 미싱노즐검지경로(S3)상에 인쇄경로(S1)로부터 원고독취경로(S2)쪽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제3이송롤러(131)와 제4이송롤러(132)를 구비한다. 상기 제3이송롤러(131)와 제4이송롤러(132)는 각각 한 쌍의 롤러가 대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미싱노즐검지부(130)는 테스트화상을 스캔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독취부(120)의 스캔유닛(124)을 공유하고 있다. 이것은 본원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스캔유닛(124)이 테스트화상을 스캔하거나 또는 원고(M)를 독취할 수 있도록 상기 미싱노즐검지부(130)와 화상독취부(120)에 공유되어 있는 것이다. 따 라서, 상기 스캔유닛(124)은 원고(M)를 독취하며, 미싱노즐을 검지하기 위하여 테스트화상을 스캔할 수 도 있다. 이처럼, 상기 화상독취부(120)와 미싱노즐검지부(130)가 상기 스캔유닛(124)을 공유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 복합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롤러들의 구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이송롤러(123), 제2이송롤러(127), 제3이송롤러(131) 및 제4이송롤러(132)는 하나의 구동원(140)에 기어열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원(140)이 동작되면 모든 이송롤러들이 구동된다.
구동관계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1이송롤러(123)와 제2이송롤러(127)를 일군의 이송롤러라 하고, 상기 제3이송롤러(131)와 제4이송롤러(132)를 타군의 이송롤러라 할 때, 일군의 이송롤러는 상기 구동원(140)에 치합된 구동기어(141)에 중계기어(145)로 치합되어 되어 있으며, 타군의 이송롤러는 상기 구동원(140)에 치합된 구동기어(141)와 다른 중계기어(142)로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일군의 이송롤러의 직경은 동일하고 동일 중계기어(145)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동일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마찬가지로 타군의 이송롤러의 직경도 동일하고 동일 중계기어(142)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동일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원(140)이 동작하면, 상기 제1이송롤러(123)와 제2이송롤러(127)는 원고(M)를 원고독취경로(S2)를 따라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3이송롤러(131)와 제4이송롤러(132)는 테스트화상이 인쇄된 용지(P)를 미싱노즐검지경로(S3)를 따라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동력전달관계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구동관계에서 클러치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일군의 이송롤러에는 동력을 전달하고 타군의 이송롤러에는 동력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타군의 이송롤러에는 동력을 전달하고 일군의 이송롤러에는 동력을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작은 인쇄경로(S1)를 따라 이루어지고, 원고(M)를 독취하는 동작은 원고독취경로(S2)를 따라 이루어진다. 화상인쇄동작 및 원고독취동작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미싱노즐검지부를 이용하여 테스트화상을 독취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인쇄동작처럼 상기 픽업롤러(112)를 이용하여 상기 카세트(111)에 적재된 용지(P)를 픽업하여 상기 어레이 잉크젯 헤드(115)의 하측을 통과시키면서 테스트화상(T)을 용지(P)위에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테스트화상(T)이 인쇄된 용지(P)의 끝단은 상기 이송롤러(114)에 물려있어야 한다. 이는 테스트화상(T)이 인쇄된 용지(P)를 역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롤러(114)는 도 3에 도시된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테스트화상(T)이 인쇄된 용지(P)를 역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19)는 도면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테스트화상(T)이 인쇄된 용지(P)를 미싱노즐검지경로(S3)쪽으로 안내한다.
미싱노즐검지경로(S3)상에 마련된 제3이송롤러(131) 및 제4이송롤러(132)는 회전되므로, 도 2에 도시된 구동관계로부터 상기 제1이송롤러(123)와 제2이송롤러(127)도 동시에 회전된다. 따라서, 테스트화상(T)이 인쇄된 용지(P)는 미싱노즐검지경로(S3)를 따라 이송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테스트화상(T)이 인쇄된 용지(P)는 원고독취경로(S2)로 진입하여 상기 스캔유닛(124)을 통과하면서 테스트화상(T)이 독취된다. 테스트화상(T)이 독취된 용지(P)는 제2이송롤러(127)에 의하여 상기 원고배지대(128)에 적재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스캔유닛(124)에 의하여 독취된 테스트화상(T)중 독취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이 부분을 불량노즐로 파악하며, 보정동작을 통하여 불량노즐을 보상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화상이 불량을 해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는
첫째,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여 화상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둘째, 미싱노즐검지부와 화상독취부가 스캔유닛을 공유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셋째, 원고독취경로와 미싱노즐검지경로 상의 이송롤러들을 동일 구동원에 연결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동력전달관계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경로 상에 마련되며, 용지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으며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어레이 잉크젯 헤드를 구비하는 화상인쇄부;
    상기 화상인쇄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원고를 이송시키는 원고독취경로 상에 마련되어 원고를 독취하는 스캔유닛을 구비하는 화상독취부와;
    상기 인쇄경로와 원고독취경로를 연결하는 미싱노즐검지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어레이 잉크젯헤드에 의하여 테스트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상기 미싱노즐검지경로를 통해 상기 원고독취경로로 이송시켜, 상기 스캔유닛을 이용하여 테스트화상을 스캔하는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화상독취부와 미싱노즐검지부는 상기 스캔유닛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인쇄부는
    상기 인쇄경로와 미싱노즐검지경로가 만나는 위치에 마련되어, 픽업된 용지를 상기 어레이 잉크젯헤드 쪽으로 안내하거나 또는 테스트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상기 미싱노즐검지경로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인쇄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어레이 잉크젯헤드 사이에 마련되어,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지정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복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독취경로 상에는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일군의 이송롤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미싱노즐검지경로 상에도 테스트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이송시키는 다른 군의 이송롤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일군의 이송롤러와 다른 군의 이송롤러는 동일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KR1020070050269A 2007-05-23 2007-05-23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는 복합기 KR20080103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269A KR20080103233A (ko) 2007-05-23 2007-05-23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는 복합기
US11/876,973 US20080291230A1 (en) 2007-05-23 2007-10-23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issing nozzle detection unit
EP08100670A EP1995072A3 (en) 2007-05-23 2008-01-18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issing nozzle detection unit
CNA200810002191XA CN101310984A (zh) 2007-05-23 2008-01-18 具有缺失喷嘴检测单元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269A KR20080103233A (ko) 2007-05-23 2007-05-23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는 복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233A true KR20080103233A (ko) 2008-11-27

Family

ID=3949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269A KR20080103233A (ko) 2007-05-23 2007-05-23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는 복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91230A1 (ko)
EP (1) EP1995072A3 (ko)
KR (1) KR20080103233A (ko)
CN (1) CN1013109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524A (ko) * 2012-12-28 2015-10-02 올리베티 에스.피.에이. 다-용도 프린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2807B2 (ja) * 2007-11-30 2012-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5942568B2 (ja) * 2012-04-23 2016-06-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5732022B2 (ja) * 2012-10-26 2015-06-10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CN108682018B (zh) * 2018-05-26 2019-05-07 上海尚雍电子技术工程有限公司 设备缺失状况即时检测平台
JP2023151829A (ja) * 2022-04-01 2023-10-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2902B2 (en) * 2000-06-26 2002-07-02 Fuji Photo Film Co., Ltd. Printing head inspecting device and method for printer
GB2384931B (en) * 2002-01-30 2005-06-29 Hewlett Packard Co Printer device and method
US20060284905A1 (en) * 2005-06-21 2006-12-21 Xerox Corporation Dual mode printer output spectrophotometer and input document scann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524A (ko) * 2012-12-28 2015-10-02 올리베티 에스.피.에이. 다-용도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5072A2 (en) 2008-11-26
CN101310984A (zh) 2008-11-26
US20080291230A1 (en) 2008-11-27
EP1995072A3 (en)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3233A (ko) 미싱노즐검지부를 구비하는 복합기
JP662403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1366257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EP1978723B1 (en)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of scanning both sides of a printable medium using the same
KR20080076278A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원고공급장치
US8218158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CN110549738B (zh) 图像打印设备及其控制方法和打印介质排出设备
JP2004277055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201307913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浮き上がり検知装置、記録ユニット
WO2023054371A1 (ja) 画像形成装置
WO2023054360A1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48314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4649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46492A (ja) 画像形成装置
JP741556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46488A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002179A1 (en) Sheet path intersection device
JP2023064222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483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48316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4648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11470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23064223A (ja) 画像形成装置
JP201620410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30032A (ja) 原稿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