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848A -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848A
KR20080102848A KR1020070049833A KR20070049833A KR20080102848A KR 20080102848 A KR20080102848 A KR 20080102848A KR 1020070049833 A KR1020070049833 A KR 1020070049833A KR 20070049833 A KR20070049833 A KR 20070049833A KR 20080102848 A KR20080102848 A KR 20080102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reference signal
signals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819B1 (ko
Inventor
이상엽
양창수
양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819B1/ko
Priority to US12/124,881 priority patent/US7953184B2/en
Publication of KR20080102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44Control loops for 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46Open lo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용 수신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용 수신장치에 있어서 반송 주파수 직접 변환 방식을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의 낮은 샘플링율을 사용하고 멀티 포트 네트워크를 채용하여 비선형성 및 DC 옵셋을 개선한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폭에 비례하는 주파수를 갖는 제1 기준신호와, 상기 제1 기준 신호 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제2 기준 신호를 제공하는 기준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RF 신호를 샘플링하는 샘플링부와, 상기 샘플링부로부터의 샘플링된 신호를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복수의 신호로 분배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의 주기에 따라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반송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반송파 신호와 상기 복수의 신호를 각각 가산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위상 신호를 출력하는 다중 입출력부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70049833
다이렉트 샘플링, 멀티 포트 네트워크, SDR(sotfware defined radio)

Description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장치 및 방법{DIRECT SAMPLING TYPE WIRELESS RECIEVER AND METHOD USING THE SAM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수신장치의 구조.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3의 (a) 및 (b)는 무선 수신장치의 샘플링 그래프.
도 4의 (a) 및 (b)는 무선 수신장치의 I신호 및 Q신호의 분포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무선 수신장치 110...샘플링부
120...기준신호 생성부 121...발진기
122...주파수 체배기 130...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140...다중입출력부 141...분배기
142...정현파 발생기 143...위상변환기
144...가산기 그룹 150...연산부
151...제곱기 152...필터
160...I/Q 신호 생성기
본 발명은 무선 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용 수신장치에 있어서 반송 주파수 직접 변환 방식을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의 낮은 샘플링율을 사용하고 멀티 포트 네트워크를 채용하여 비선형성 및 DC 옵셋을 개선한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통신 분야의 기술 발달에 따라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 기술은 주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로 하향 변환(Down Conversion)하고 이를 다시 기저대역(baseband)신호로 변환하여 원 신호에 담긴 정보를 복원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주로 채용하고 있다.
상술한 무선 통신 기술은 IF 하향 변환과 다시 기저대역 변환에 따른 많은 RF 소자가 필요하고 시스템 변경 시 RF 소자 특성 및 구조를 모두 변환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IF 하향 변환을 사용하지 않은 반송주파수 직접 변환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반송 주파수 직접 변환 방식의 경우, 시스템 변경에는 용이하나, 직접 변환에 따른 DC 옵셋(offset)이나 I/Q 신호의 위상불일치(phase mismatch) 부분이 발생하여 성능 열화를 야기시키고, 반송 주파수 직접 변환 방식에 채용되는 회로 전체를 디지털 시스템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반송주파수의 2배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야 한다.
만약, 사용 주파수 대역이 수 GHz에 이를 경우 이를 2배 이상 높은 주파수로 샘플링하기 위해서는 샘플링 처리 속도가 고속인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장치는 고성능의 연산 처리를 요구하여 가격의 높아지고 부피가 커져 경박단소화하고자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경향에 따라 적용하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샘플링 방식의 무선 통신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용 수신장치에 있어서 반송 주파수 직접 변환 방식을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의 낮은 샘플링율을 사용하고 낮은 샘플링율을 사용하고 멀티 포트 네트워크를 채용하여 비선형성 및 DC 옵셋을 개선한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선 수신장치는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제1 기준신호와, 상기 제1 기준 신호 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제2 기준 신호를 제공하는 기준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RF 신호를 샘플링하는 샘플링부와,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샘플링부로부터의 샘플링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복수의 신호로 분배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의 위상을 쉬프트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반송파 신호를 생성하여, 상 기 복수의 반송파 신호와 상기 복수의 신호를 각각 가산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위상 신호를 출력하는 다중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폭에 따라 설정되는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수식
Figure 112007037591118-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7037591118-PAT00002
, B는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폭,
Figure 112007037591118-PAT00003
는 주파수 대역 중 높은 주파수,
Figure 112007037591118-PAT00004
은 주파수 대역 중 낮은 주파수, n은
Figure 112007037591118-PAT00005
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Figure 112007037591118-PAT00006
는 상기 제1 기준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는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주파수 보다 2배 이상 높은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기로부터의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주파수 체 배하여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체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다중 입출력부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신호의 주기에 따라 정현파 신호를 발생하는 정현파 발생기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복수의 신호로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정현파 신호의 위상을 서로 다르게 쉬프트시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반송파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변환기와, 상기 분배기로부터의 복수의 신호와 상기 위상변환기로부터의 복수의 반송파 신호를 각각 가산하는 복수의 가산기를 갖는 가산기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다중 입출력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연산부로부터의 연산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I신호와 Q신호를 생성하는 I/Q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다중 입출력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크기를 각각 제곱하는 제곱기와, 상기 제곱기로부터의 제곱된 복수의 위상 신호의 노이즈를 각각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다중 입출력부, 연산부 및 I/Q 신호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에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SDR(Software Defined Radio)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선 수신 방법은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제1 기준신호에 따라 상기 RF 신호를 샘플링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준 신호 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제2 기준 신호에 따라 샘플링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복수의 신호로 분배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의 위상을 쉬프트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반송파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반송파 신호와 상기 복수의 신호를 각각 가산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폭에 따라 설정되는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수식
Figure 112007037591118-PAT00007
(여기서,
Figure 112007037591118-PAT00008
, B는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폭,
Figure 112007037591118-PAT00009
는 주파수 대역 중 높은 주파수,
Figure 112007037591118-PAT00010
은 주파수 대역 중 낮은 주파수, n은
Figure 112007037591118-PAT00011
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Figure 112007037591118-PAT00012
는 상기 제1 기준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는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주파수 보다 2배 이상 높은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크기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I신호 및 Q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크기를 제곱하는 단계와, 제곱된 복수의 위상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수신 장치(100)는 샘플링부(110)와 기준 신호 생성부(12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 및 다중 입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샘플링부(110)는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제1 기준 신호에 따라 RF 신호를 샘플링한다. 이때, 상기 RF 신호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어 대역 통과된 후 저잡음 증폭되어 샘플링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샘플링부(110)의 앞단에는 대역 통과 필터(F)와 저잡음 증폭기(P)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샘플링부(110)는 제1 기순 신호에 따라 상기 RF 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RF 신호를 샘플링하는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기준 신호 생성부(120)는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제1 기준신호와 상기 제1 기준 신호 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제2 기준 신호를 생성한다. 기준 신호 생성부(120)는 상기 제1 기준신호를 제공하는 발진기(121)와 발진기(121)로부터의 상기 제1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체배하는 주파수 체배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에 전달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는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따라 샘플링부(110)로 부터의 샘플링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다중 입출력부(140)로 전달된다.
다중 입출력부(14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아 복수의 신호로 분배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정현파의 위상을 쉬프트한 복수의 반송파 신호와 상기 복수의 신호를 가산한다.
이에 따라, 다중 입출력부(140)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복수의 신호로 분배하는 분배기(141), 상기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정현파를 발생하는 정현파 발생기(142), 정현파 발생기(142)로부터의 정현파의 위상을 쉬프트한 복수의 반송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상변환기(143) 및 상기 복수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반송파 신호를 각각 가산하는 복수의 가산기를 갖는 가산기 그룹(1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수신 장치(100)는 연산부(150) 및 I/Q 신호 생성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150)는 다중 입출력부(140)로부터의 복수의 위상 신호를 연산한다. 이에 따라, 연산부(150)는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크기를 제곱하는 제곱기(1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하여 제곱된 복수의 위상 신호의 노이즈를 각각 제거하는 필터(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152)로부터 노이즈 제거된 복수의 위상 신호는 I/Q 신호 생성부(160)에 전달된다. I/Q 신호 생성부(160)는 복수의 위상 신호의 위상 변화에 기초하여 I신 호 및 Q신호를 생성한다.
상술한 상기 다중 입출력부(140), 연산부(150) 및 I/Q 신호 생성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에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SDR(Software Defined Radio) 시스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무선 통신 수신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및 설계 변경이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수신 방법을 볼 수 있다.
도 3의 (a) 및 (b)는 무선 수신장치의 샘플링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 도 3의 (a)는 무선 수신 장치의 샘플링시 신호 간섭이 일어난 샘플링 그래프이고, 도 3의 (b)는 무선 수신 장치의 샘플링시 사전에 설정된 수식에 따라 샘플링 주파수를 설정하여 신호 간섭을 배제한 샘플링 그래프이다.
도 4의 (a) 및 (b)는 무선 수신장치의 I신호 및 Q신호의 분포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는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다중 입출력부만을 채용한 경우 I신호 및 Q신호의 분포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무선 수신 장치와 같이 샘플링부와 다중 입출력부를 채용하여 구분된 I신호 및 Q신호의 분포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RF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다. 상기 RF 신호는 대역 통과 및 저잡음 증폭될 수 있다. 상술한 전처리가 행해진 RF신호는 샘플링부(110)에 전달된다. 샘플링부(110)는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제1 기준신호에 따라 RF신호를 샘플링한다(S10).
여기서, 상기 제1 기준신호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수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식)
Figure 112007037591118-PAT00013
(여기서,
Figure 112007037591118-PAT00014
, B는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폭,
Figure 112007037591118-PAT00015
는 주파수 대역 중 높은 주파수,
Figure 112007037591118-PAT00016
은 주파수 대역 중 낮은 주파수, n은
Figure 112007037591118-PAT00017
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Figure 112007037591118-PAT00018
는 상기 제1 기준신호의 주파수)
상술한 바와 같은 수식을 적용하여 주파수를 결정하는 이유는 샘플링 주파수 대역을 설정시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는 도 3의 (a)와 같이 샘플링된 신호가 서로 겹쳐져 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수식에 따라 결정되는 주파수는 RF신호의 주파수의 2배가 아닌 RF 신호의 사용 주파수 대역폭의 2배로 설정하여, RF신호의 주파수의 2배로 샘플링할 때보다 낮은 샘플링속도로 RF 신호를 샘플링할 수 있다. 이는 회로 설계를 용이하게 하고 저전력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는 샘플링부(110)로부터의 샘플링된 신호를 제2 기준 신호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준신호의 주파수는 원신호의 정확한 복원을 위해 나이키스트 이론에 따라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주파수보다 2배 이상 높아야 한다(S20).
이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신호는 다중 입출력부(140)에 전달되고, 다중 입출력부(140)는 상기 디지털 신호에 따라 복수의 위상 신호를 생성한다.(S30)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는 분배기(141)를 통해 복수의 신호로 분배되고, 더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정현파 발생기(142)를 통해 위상을 갖는 정현파가 발생된다(S31, S32). 상기 정현파는 위상변환기(143)를 통해 위상이 쉬프트되어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반송파 신호로 변환되고, 가산기 그룹(144)의 각 가산기(ADD1, ADD2, ADD3)를 통해 상기 복수의 반송파 신호와 상기 복수의 신호는 복수의 위상 신호로 가산된다(S33).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는 연산부(150)에 전달되어 연산처리된다(S4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는 제곱기(151)에 전달되어 신호의 크기가 제곱되고(S41), 제곱된 복수의 위상 신호는 필터(152)를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다(S42).
마지막으로, 연산부(150)를 거친 복수의 위상 신호는 I/Q 신호 생성부(160)에 전달되어, I/Q 신호 생성부(160)는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위상에 기초하여 I 신호 및 Q 신호를 생성한다(S50).
보다 상세하게는 I/Q 신호 생성부(160)는 복수의 위상 신호의 위상 변화에 기초하여 I/Q 신호의 재생에 사용되는 초기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계산된 초기 I/Q 재생 파라미터의 위상을 보정하여 보정 I/Q 재생 파라미터를 정규화하여 최종적으로 I 신호 및 Q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I 신호 및 Q 신호의 분포도는 도 4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샘플링부를 적용하지 않은 무선 수신 장치의 I 신호 및 Q 신호의 분포도를 볼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샘플링부를 적용하지 않은 무선 수신 장치의 경우 반송파 신호의 주파수가 RF 신호의 주파수 보다 높게 설정이 되기 때문에 이를 다시 복조하기가 어려움으로 I 신호 및 Q 신호의 분리가 어려워지며, 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높은 차수의 필터가 필요하게 된다.
반면에,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수신 장치의 I 신호 및 Q 신호의 분포도를 볼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샘플링부는 RF 신호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 비례한 기준 신호에 따라 샘플링을 수행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반송파 신호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조가 용이하여 I 신호 및 Q 신호의 분리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에 비례하는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샘플링함으로써 샘플링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다중 입출력부를 채용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고 광대역 특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수신 장치의 대부분을 소프트웨어화 함으로써 RF신호 특성의 변화에 따른 대처 및 회로설계가 용이하며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제1 기준신호와, 상기 제1 기준 신호 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제2 기준 신호를 제공하는 기준 신호 생성부;
    상기 제1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RF 신호를 샘플링하는 샘플링부;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샘플링부로부터의 샘플링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복수의 디지털 신호로 분배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의 위상을 쉬프트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반송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반송파 신호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신호를 각각 가산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위상 신호를 출력하는 다중 입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신호는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폭에 따라 설정되는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수식
    Figure 112007037591118-PAT00019
    (여기서,
    Figure 112007037591118-PAT00020
    , B는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폭,
    Figure 112007037591118-PAT00021
    는 주파수 대역 중 높은 주파수,
    Figure 112007037591118-PAT00022
    은 주파수 대역 중 낮은 주파수, n은
    Figure 112007037591118-PAT00023
    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Figure 112007037591118-PAT00024
    는 상기 제1 기준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는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주파수 보다 2배 이상 높은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 및
    상기 발진기로부터의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주파수 체배하여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체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입출력부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신호의 위상에 따라 정현 파 신호를 발생하는 정현파 발생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복수의 신호로 분배하는 분배기;
    상기 정현파 신호의 위상을 쉬프트시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반송파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변환기; 및
    상기 분배기로부터의 복수의 신호와 상기 위상변환기로부터의 복수의 반송파 신호를 각각 가산하는 복수의 가산기를 갖는 가산기 그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입출력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로부터의 연산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I신호와 Q신호를 생성하는 I/Q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다중 입출력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크기를 각각 제곱하는 제곱기; 및
    상기 제곱기로부터의 제곱된 복수의 위상 신호의 노이즈를 각각 제거하는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입출력부, 연산부 및 I/Q 신호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에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SDR(Software Defined Radio)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장치.
  11.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제1 기준신호에 따라 상기 RF 신호를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준 신호 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제2 기준 신호에 따라 샘플링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복수의 디지털 신호로 분배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의 위상을 쉬프트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반송파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반송파 신호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신호를 각각 가산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폭에 따라 설정되는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수식
    Figure 112007037591118-PAT00025
    (여기서,
    Figure 112007037591118-PAT00026
    , B는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폭,
    Figure 112007037591118-PAT00027
    는 주파수 대역 중 높은 주파수,
    Figure 112007037591118-PAT00028
    은 주파수 대역 중 낮은 주파수, n은
    Figure 112007037591118-PAT00029
    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Figure 112007037591118-PAT00030
    는 상기 제1 기준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는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주파수 보다 2배 이상 높은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크기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I신호 및 Q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위상 신호의 크기를 제곱하는 단계; 및
    제곱된 복수의 위상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 방법.
KR1020070049833A 2007-05-22 2007-05-22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장치 및 방법 KR10089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833A KR100891819B1 (ko) 2007-05-22 2007-05-22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장치 및 방법
US12/124,881 US7953184B2 (en) 2007-05-22 2008-05-21 Direct sampling type wireless receiver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833A KR100891819B1 (ko) 2007-05-22 2007-05-22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848A true KR20080102848A (ko) 2008-11-26
KR100891819B1 KR100891819B1 (ko) 2009-04-07

Family

ID=4007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833A KR100891819B1 (ko) 2007-05-22 2007-05-22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53184B2 (ko)
KR (1) KR100891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802B1 (ko) * 2019-01-23 2019-07-0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다상필터뱅크 기반 다중채널 협대역 도약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521221T3 (da) 2011-05-06 2014-07-21 Oticon As Modtager og fremgangsmåde til at hente et informationssignal fra et magnetisk induktionssignal
US9024815B2 (en) * 2011-05-27 2015-05-05 Brooks Engineering International, Llc Direct-to-digital software-defined radar
WO2014047796A1 (en) * 2012-09-26 2014-04-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band receiver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1544A (en) * 1987-05-14 1989-06-20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Digital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receiver
US5692014A (en) * 1995-02-03 1997-11-25 Trw Inc. Subsampled carrier recovery for high data rate demodulators
US5937013A (en) * 1997-01-03 1999-08-10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ubharmonic quadrature sampling receiver and design
GB0126067D0 (en) * 2001-10-31 2001-12-19 Zarlink Semiconductor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mpulsive noise method of operating a demodulator demodulator and radio receiver
US7187735B2 (en) * 2003-01-28 2007-03-06 Raytheon Company Mixed technology MEMS/SiGe BiCMOS digitalized analog front end with direct RF sampling
JP5019313B2 (ja) * 2006-03-07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離散時間ダイレクトサンプリング回路及び受信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802B1 (ko) * 2019-01-23 2019-07-0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다상필터뱅크 기반 다중채널 협대역 도약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53184B2 (en) 2011-05-31
KR100891819B1 (ko) 2009-04-07
US20080292023A1 (en)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17084B (zh) 用于收发器中的局部振荡器的相位同步的装置和方法
JP6666015B2 (ja) 干渉位相推定システム、送受信機、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KR101452395B1 (ko) I/q 불평형 보상
CA2479684C (en)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signal zero crossings in single and multiple channel communication systems
KR20110102740A (ko) 신호 수신 장치 및 그것의 위상 부정합 보상 방법
WO2018116943A1 (ja) ノイズ抑圧装置、ノイズ抑圧方法、及びこれらを用いた受信装置、受信方法
KR100891819B1 (ko)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 무선 수신장치 및 방법
JP2006217401A (ja) 通信装置
JP2010041470A (ja) 送信機及び送受信装置
WO2011086640A1 (ja) 送信装置、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9912357B1 (en) Digital polar transmitter having a digital front end
JP2019057878A (ja) 直交変調器におけるキャリアリーク補正方法
JP5696622B2 (ja) 無線送信装置
JP2017513362A (ja) 圧縮センシングに基づく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960022B1 (ko) 디지털 중간주파수 무선송신기, 고주파 변조 장치 및 방법
WO2017110657A1 (ja) 位相同期回路、rfフロントエンド回路、無線送受信回路、携帯型無線通信端末装置
KR101980862B1 (ko) 트랜시버 내 국부 발진기의 위상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60066019A (ko) Ofdm 시스템의 단말의 수신기용 dc 오프셋 제거 장치및 그 방법
JP4214635B2 (ja) ディジタル無線装置
JP2017098708A (ja) 位相同期回路、rfフロントエンド回路、無線送受信回路、携帯型無線通信端末装置
CN101795252A (zh) 直接变频调制方法及其调制装置
KR20050042753A (ko) 타이밍추출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타이밍추출장치를구비한 복조장치
JP4829096B2 (ja) 送信装置
EP3163826B1 (en) Receiver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6264149B2 (ja) 無線装置及び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