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848A -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848A
KR20080101848A KR1020080107259A KR20080107259A KR20080101848A KR 20080101848 A KR20080101848 A KR 20080101848A KR 1020080107259 A KR1020080107259 A KR 1020080107259A KR 20080107259 A KR20080107259 A KR 20080107259A KR 20080101848 A KR20080101848 A KR 20080101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angover
licorice
o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양승희
Original Assignee
김광수
양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양승희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102008010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1848A/ko
Publication of KR2008010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참나무, 솔잎, 감초, 갈근, 측백, 쑥, 금은화, 모과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숙취를 효과적으로 예방 및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숙취, 생약 추출물, 기능성 식품, 알코올

Description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Herb Extracts and Functional Food using the same for Obviating and Curing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참나무, 솔잎, 감초, 갈근, 측백, 쑥, 금은화, 모과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음주를 통하여 흡수된 알코올의 약 10%는 호흡이나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위 점막이나 간에서 대사된다. 신체에서 에틸 알코올은 아세트 알데히드로 처음 분해된 뒤, 아세트산으로 다시 분해되는데, 분해과정의 중간물질인 아세트 알데히드는 발한, 피부발열, 오심, 구토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숙취의 주원인이 상기의 아세트 알데히드라고 추정되고 있다. 또한 현대인의 경우, 여러 가지 이유로 해서 음주가 잦은 편이며, 이러한 잦은 음주는 결국 신체에 무리를 주게 되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된다. 현재 숙취제거를 위하여 많은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들의 대부분은 과학적인 입증이 부족하거나, 원료가 희귀하여 가격면에서 상품화 되기 어렵다는 등의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상용화 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즉 부작용 없이 숙취해소를 할 수 있는 약제 및 식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숙취예방 및 해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참나무, 솔잎, 감초, 갈근, 측백, 쑥, 금은화, 모과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조성물은 각각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참나무 25 내지 75 중량부, 솔잎 30 내지 90 중량부, 감초 6 내지 18 중량부, 갈근 30 내지 90 중량부, 측백 6 내지 18 중량부, 쑥 6 내지 18 중량부, 금은화 1 내지 3 중량부, 모과 2 내지 6 중량부의 비로 조합하며, 바람직하게는 참나무 50 중량부, 솔잎 60 중량부, 감초 12 중량부, 갈근 60 중량부, 측백 12 중량부, 쑥 12 중량부, 금은화 2 중량부, 모과 4 중량부의 비로 조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생약제의 조성물은 오래전부터의 사용으로 인해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서, 독성 및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는 화학물질 사용시 수반되는 여러 가지 독성과 생리조절 기능의 부조화 등 부작용을 고려할 때 커다란 잇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은 추출의 대상이 되는 상기 참나무, 솔잎, 감초, 갈근, 측백, 쑥, 금은화, 모과의 전체 중량의 50 내지 150배의 정제수를 가한 후, 20 내지 40℃의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추출을 한 다음, 40 내지 80℃의 고온에서 24시간 이상 추출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100℃로 가열하여 기화하는 증기를 포집하여 냉각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경우,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숙취를 효과적으로 예방 및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참나무, 솔잎, 감초, 갈근, 측백, 쑥, 금은화, 모과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데, 우선 상기의 각 조성물이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에 관하여 살펴본다.
참나무(Quercus)는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식물로서,북반구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하며, 우리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예로부터 참나무는 목초액 등을 만드는데 활용되어져 왔으며, 목초액은 다양한 민간요법에 적용되고 있 다.
솔잎은 예로부터 한방 및 민간에서 약용이나 건강식품으로 이용되어 왔고, 동의보감에 의하면 솔잎은 위장병, 중풍, 고혈압, 신경통, 천식 등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솔잎에는 채취한 지역과 계절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정유(Terpenetine Oil), 시네올(Cineol), 살리니그린(Salinigrin), 레텐(Retene), 코니페린(Coniferin), 피-사이멘(P-Cymen), 덴시피마릭산(Densipimaric Acid) 등과 엽록소, 다종의 아미노산, 조지방, 인, 철분, 효소, 미네랄, 비타민A, 비타민C, 비타민P 등이 함유되어 있다. 솔잎의 주요 성분인 정유(Terpenetine Oil)에는 알파-피넨(α-Pinene), 켐펜(Camphene), 베타-피넨(β-Pinene), 베타-미르신(β-Myrcene), 베타-펠라드렌(β-Phellandrene)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솔잎의 또다른 함유성분인 엽록소와 함께 여러 종류의 대장균, 포도상구균, 녹농균 등에 대하여 정도는 다르지만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정유에 포함되어 있는 불포화 지방산은 혈청 콜레스테롤치를 저하시켜 상당한 혈압 강하 작용을 하며, 피부에 발생하는 습진, 음을 일으키는 병원성 진균에 대하여 항균 및 살균 작용이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Glycyrrhiza glabra L.)는 콩과( 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그 뿌리와 줄기는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된다. 예로부터 감초는 한방 및 민간에서 해독제, 진해거담제, 완화제, 소화성 궤양 치료제 및 위 궤양 치료제로 사용어져 왔으며, 그 외에도 근육이나 조직의 급격한 긴장에 의하여 생기는 통증을 풀어주는 작용, 항염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감초 추출물은 글리시리진(Glycyrrhizin), 글리시레틱산(Glycyrrhetic Acid), 리코리시딘(Licoricidin), 히스파글라브리딘 A(Hispaglabridin A), 히스파글라브리딘 B(Hispaglabridin B), 글라브리딘(Glabridin), 4-O-메틸글라브리딘(4-O-methylglabridin), 이소프레닐챨콘 유도체(Isoprenylchalcone derivative),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 등을 포함하고 있다. 감초 추출물 중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은 항염 작용, 해독작용, 항궤양 작용, 수전해질 호르몬 작용을 행하며, 글라브리딘(Glabridin)은 체내에서 인체에 해로운 저 밀도 인지질(Low Density Lipoprotein)의 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갈근은 칡(Pueraria Radix)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로서, 한방에서는 발한(發汗), 해열(解熱), 진경(鎭痙), 해기(解肌), 수진(遂疹), 지갈(止渴), 지사(止瀉)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갈근은 이소플라보노이드 (Isoflavonoide)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갈근과 관련한 약리 작용으로는 항알코올중독(Antidipsotropic) 작용, 간 보호 작용 ,숙취 억제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평활근의 이완 작용, 심혈관계에서 관상동맥 확장 및 혈압 강하, 심박동 조절 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강혈당 작용, 해열 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측백엽은 측백나무과의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의 어린 가지와 잎을 말한다. 한방에서 측백엽은 혈열을 내려 코피, 토혈, 변혈, 소변출혈, 자궁출혈에 쓰고 해수, 천식, 가래, 탈모, 지루성피부염, 외상출혈 등에 사용한다. 즉, 측백 엽은 출혈시간단축, 진해, 거담작용이 있고 혈압강하, 항균작용, 해수, 천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쑥(mugwort)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지역과 유럽 등에 널리 분포하는 번식력이 강한 다년생 식물로서 분류학상으로 엉거시과(Carduaceae)에 속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 지역에서는 코피, 자궁출혈 등에 지혈제나 소화, 하복부 진통, 구충, 악취제거, 위장병, 변비, 신경통, 냉병, 부인병 및 천식 등에 약재로서 이용되어 왔고, 그 특유의 향과 맛으로 식품의 부재료로도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쑥은 다른 향신료와 같이 그 향기성분이나 정유성분에 살충, 항균, 항종양 등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주요 성분은 시네올(cineole), α-투존(α-thujon), 세스퀴터펜(sesquiterpene), 세스퀴터펜 알코올(sesquiterpene alcohol), 캄페르(camper), 테르피넨-4-올(terpinene-4-ol), 코우마린(coumarin), 카필린(capillin), 보르네올(borneol) 등이다.
금은화(Lonicerae flos)는 인동과(Caprifoliaceae) 식물인 덩굴성 관목 인동덩굴(Loncera japonica)의 꽃봉오리로 한방이나 민간에서는 이뇨, 건위, 관절염, 화농성 피부염, 기관지염에 사용하고 있다. 금은화의 주요 성분은 탄닌(tannin), 이노시톨(inositol), 스테롤(sterol),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 이소클로로제닉산(isochlorogenic acid), 아피게닌 (apigenin), 퀘르세틴(quercetin) 등이라고 알려져 있다.
모과( Chaenomeles sinensis )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이 전에 들어와 재배되고 있는 장미과에 속한 과실이다. 모과의 주요 성분은 과육인 경우 수분 74∼85 %, 당질 13.4∼20.7 %, 섬유질 1.3∼4.4 %, 회분 0.3∼0.7 %이다. 과실에는 사포닌,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비타민C, 플라보노이드, 탄닌이 함유되어 있고, 종자에는 시안화수소산이 함유되어 있다. 예로부터 모과는 감기나 기관지염의 기침, 가래의 완화제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모과는 이질, 설사, 복통에 효능이 있고 소화 분비를 촉진시키며 위를 편안하게 하며, 보혈과 조혈작용을 해 빈혈로 인한 근육경련이나 관절통 등에 효과가 있으며, 각기병, 딸꾹질, 담, 숙취 해소작용, 더위 병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조성물은 각각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참나무 25 내지 75 중량부, 솔잎 30 내지 90 중량부, 감초 6 내지 18 중량부, 갈근 30 내지 90 중량부, 측백 6 내지 18 중량부, 쑥 6 내지 18 중량부, 금은화 1 내지 3 중량부, 모과 2 내지 6 중량부의 비로 조합하며, 바람직하게는 참나무 50 중량부, 솔잎 60 중량부, 감초 12 중량부, 갈근 60 중량부, 측백 12 중량부, 쑥 12 중량부, 금은화 2 중량부, 모과 4 중량부의 비로 조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생약제의 조성물은 오래전부터의 사용으로 인해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서, 독성 및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는 화학물질 사용시 수반되는 여러 가지 독성과 생리조절 기능의 부조화 등 부작용을 고려할 때 커다란 잇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은 추출의 대상이 되는 상기 참나무, 솔잎, 감초, 갈근, 측백, 쑥, 금은화, 모과의 전체 중량의 50 내지 150배의 정제수를 가한 후, 20 내지 40℃의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추출을 한 다음, 40 내지 80℃의 고온에서 24시간 이상 추출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100℃로 가열하여 기화하는 증기를 포집하여 냉각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20 내지 40℃의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40 내지 80℃의 고온에서 24시간 이상의 추출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은 추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다수의 반복실험을 하여 찾아낸 것이다.
본 발명,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경우 액상, 과립상, 분체상, 겔상 등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유제, 정제, 캅셀제, 과립제, 산제, 시럽제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은 숙취예방 및 해소뿐 아니라 다이옥신 등의 독성물질의 해독과 알코올 섭취에 따른 간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서 후술한다.
유제와 시럽제와 같은 액체 조성물은 물, 당류, 유류, 비타민, 색소, 무기질, 방부제 등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캅셀제, 정제, 산제, 과립제 등은 부형제, 붕괴제, 활택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등을 첨가제로 사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단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생약 추출물의 제조
밀폐된 용기에 참나무 250g, 솔잎 300g, 감초 60g, 갈근 300g, 측백 60g, 쑥 60g, 금은화 10g, 모과 20g을 혼합하여 넣고, 상기 혼합물에 100ℓ의 정제수를 가한 후, 30℃에서 24시간, 60℃에서 24시간 추출을 하였다. 그 후에 100℃로 가열하고 기화되는 증기를 포집하여 냉각함으로써 추출을 완료하였다.
실시예2 : 생약 추출물의 제조
상기의 실시예 1에 의한 생약 추출물에 있을지 모르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에탄올로 2회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생약 추출물 1ℓ를 취하고 여기에 100% 에탄올 1ℓ를 가하여 50% 에탄올 용액으로 만든 뒤,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에 여과하고 에탄올을 증발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얻어진 1ℓ의 액에 100% 에탄올 1ℓ를 다시 가하여 50% 에탄올 용액으로 만든 뒤, 0-4℃의 온도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에 여과하고, 에탄올을 증발시켜 1ℓ의 액을 얻었다.
시험예1 : 안정성 시험
실험동물은 체중 180-200g(평균체중 190g)스프라그-도울리(Sprague-Dawley)계 웅성 랫트를 1주일 순화시킨 뒤 사용했고, 각 군당 10마리를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 사육실 온도는 23±2℃, 습도 50±20%를 유지했으며, light/dark 주기를 12시간으로 하였다. 상기의 실험동물에 상기의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 및 상기의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 20mg/kg·day를 경구투여하고 생존여부(72hr)를 관찰한 결과, 주어진 기간 내에 모두 생존하였고, 10g/kg·day의 투여량에서도 LD50을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의 용량을 30일간 지속적으로 경구투여 하였을 경우에도 모두 생존하였으며, 상기의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 하였을 때, 체중과 활동성 면에서 유의할만한 변화를 감지할 수 없었다.
시험예 2 : 해독 시험
실험동물은 체중 180-200g(평균체중 190g)스프라그-도울리(Sprague-Dawley)계 웅성 랫트를 1주일 순화시킨 뒤 사용했고, 각 군당 10마리를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 사육실 온도는 23±2℃, 습도 50±20%를 유지했으며, light/dark 주기를 12시간으로 하였다. 상기의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생약 추출물의 다이옥신 해독효과를 시험하였다. 다이옥신으로는 TCDD가 이용되었다. 일군(제1처치군)에는 다이옥신 1㎍/KG·day를 30일간 복강투여 하였고, 다른 일군(제2처치군)에는 다이옥신 1㎍/kg·day와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생약 추출물 20mg/kg·day을 30일간 복강투여 하였다. 다이옥신과 생약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실험동물이 대조군으로 활용되었다.
(1) 체중 측정
대조군, 제1처치군, 제2처치군에 대하여 각각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 투여후의 체중을 측정하여 아래의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1] 체중 측정 결과
Figure 112008075595216-PAT00001
상기의 표 1에서 보여 지듯이 제1처치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성장이 둔화됨을 알 수 있고, 특히, 다이옥신을 20일간 주입하였을 때에는 체중이 오히려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제2처치군의 경우에는 비록 대조군에 비하여 성장이 다소 둔화되기는 하나, 제1처치군과 비교하였을 때에는 그 둔화세가 상당히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생약 추출물의 경우 다이옥신에 의한 성장둔화 및 체중감소를 방지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장기의 중량 측정
실험개시 30일 후에 대조군, 제1처치군, 제2처치군에 대하여 간, 신장, 고환의 중량을 측정하여 아래의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2] 장기 중량 측정 결과
Figure 112008075595216-PAT00002
상기의 표 2에서 보여 지듯이 다이옥신만을 처치한 제1처치군의 경우는 간, 신장, 고환 모두 중량이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간의 경우는 약 62%, 신장의 경우는 약 70%, 고환의 경우는 약 50%의 중량에 불과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이옥신과 생약 추출물을 동시에 투여한 제2처치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중량감소가 있었으나, 그 감소정도가 다이옥신만을 처치한 제1처치군에 비하여 현저히 줄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2처치군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간의 경우는 약 91%, 신장의 경우는 약 88%, 고환의 경우는 약 94%의 중량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생약 추출물의 경우 다이옥신에 의한 장기의 중량 감소 및 기능저하를 방지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 알코올 섭취에 따른 간 손상 방지 및 알코올 분해 효능 시험
(1) 알코올 분해 효과
실험동물은 체중 180-200g(평균체중 190g) 스프라그-도울리(Sprague-Dawley)계 웅성 랫트를 1주일 순화시킨 뒤 사용했고, 각 군당 10마리를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 사육실 온도는 23±2℃, 습도 50±20%를 유지했으며, light/dark 주기를 12시간으로 하였다. 상기의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하여 알코올 분해에 대한 본 발명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일군(제1처치군)에는 생수 20mg/kg을 경구투여 한 후, 1시간 후에 25% 에틸 알코올 2mg/kg을 경구투여 하였고, 다른 일군(제2처치군)에는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생약 추출물 20mg/kg을 경구 투여 한 후, 1시간 후에 25% 에틸알코올 2mg/kg을 경구투여 하였다. 에틸 알코올 투여 후 2시간 후에 안와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상등액을 분리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를 에탄올 정량 키트(Sigma 332-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제1처치군의 알코올 농도(mg/ml)는 0.07±0.007, 제2처치군의 알코올 농도는 0.02±0.002 이었다. 상기의 측정 결과에서 보여 지듯이 알코올만을 투여한 제1처치군에 비하여, 알코올과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을 동시에 투여한 제2처치군의 경우가 혈중 알코올 농도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의 경우 알코올에 분해를 촉진하는 데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간 보호 효과
실험동물은 체중 180-200g(평균체중 190g)스프라그-도울리(Sprague-Dawley)계 웅성 랫트를 1주일 순화시킨 뒤 사용했고, 각 군당 10마리를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 사육실 온도는 23±2℃, 습도 50±20%를 유지했으며, light/dark 주기를 12시간으로 하였다. 상기의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하여 알코올 섭취에 의해 유발되는 간 손상에 대한 본 발명의 보호 효과를 시험하였다. 일군 (제1처치군)에는 25% 에틸알코올 2mg/kg·day을 30일간 경구투여 하였고, 다른 일군(제2처치군)에는 25% 에틸알코올 2mg/kg·day과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생약 추출물 20mg/kg·day을 30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알코올과 생약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실험동물이 대조군으로 활용되었다.
실험개시 30일 후 실험동물의 간을 절제하여 SF/IC(CH-16, Texas Intern社)를 사용하여 GOP 및 GTP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 GOP/GTP 측정 결과
Figure 112008075595216-PAT00003
상기의 표 3에서 보여지듯이 알코올만을 투여한 제1처치군에 비하여, 알코올과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동시에 투여한 제2처치군의 경우가 GOP와 GPT 모두 수치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의 경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방지하는 데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 알코올 분해 및 숙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생약 추출물에 각종 첨가물을 더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 하였다. 각각의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의 표 4와 같다.
[표 4] 기능성 음료의 조성비
Figure 112008075595216-PAT00004
시험예 3 : 알코올 분해 및 숙취 제거 효능의 시험
(1) 알코올 분해 효능 시험
20세 내지 40세의 신체건강한 남녀 각 5명(남자 체중 평균 : 72kg, 여자 체중 평균 : 56kg)에게 알코올 함량 21%의 소주 360ml를 1시간 동안 음용케 한 후, 알코올 농도 측정기(CA-2000)를 이용하여 1시간 간격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비교예로 하였다.
이틀 경과 후, 상기의 남녀에게 상기 실시예 3의 제조예 1의 음료 100ml를 먼저 음용케 한 후에, 알코올 함량 21%의 소주 360ml를 1시간 동안 음용케 한 후, 알코올 농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1시간 간격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측정예 1).
다시 이틀이 지난 후에, 상기의 남녀에게 알코올 함량 21%의 소주 360ml를 1시간 동안 음용케 한 후, 상기 실시예 3의 제조예 1의 음료 100ml를 음용케 하여, 알코올 농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1시간 간격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측정예 1′).
상기 실시예 3의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4에 대해서도 제조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테스트를 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측정예 2 내지 4′). 측정결과의 평균값을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
Figure 112008075595216-PAT00005
상기의 표 5에서 보여 지듯이 알코올만 섭취한 비교예에 비하여 알코올과 기능성 음료를 같이 섭취한 경우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낮아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기능성 음료에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의 함량이 50wt%인 경우가 조성물의 함량이 25wt% 인 경우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를 보다 낮게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표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조성물의 함량이 동일하다면, 실시예 1의 추출물을 첨가한 음료인지 실시예 2의 추출물을 첨가한 음료인지는 알코올 농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또한 3시간 후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 하였을 때, 상기의 음료를 알코올 섭취 전에 음용하는 것이 혈중 알코올 농도를 보다 낮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음료의 기능이 체내에서 발현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숙취제거 효능 시험
상기의 “(1) 알코올 분해 효능 시험”완료 후 9시간 후에, 즉 알코올 섭취 후, 12시간 후에 참여인원에게 숙취와 두통의 정도를 평가하게 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숙취 및 두통의 평가는 상기의 “(1) 알코올 분해 효능 시험”의 “측정예 1, 2, 3, 4”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숙취 및 두통의 정도는 전혀없음(5), 없음(4), 보통(3), 약간 있음(2), 매우 심함(1)으로 구분하였고, 결과는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표 6] 숙취 및 두통 평가 결과
Figure 112008075595216-PAT00006
상기의 표 6에서 보여지듯이 알코올만 섭취한 비교예에 비하여 알코올과 기능성 음료를 같이 섭취한 경우에 숙취 및 두통의 정도가 현저히 완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과 다이옥신을 투여한 경우에 있어서, 스프라그-도울리(Sprague-Dawley)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과 다이옥신을 투여한 경우에 있어서, 스프라그-도울리(Sprague-Dawley) 장기의 중량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4)

  1. 참나무, 솔잎, 감초, 갈근, 측백, 쑥, 금은화 및 모과로 이루어지는 생약제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각 성분의 조성 비율이 각 성분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참나무 25 내지 75 중량부, 솔잎 30 내지 90 중량부, 감초 6 내지 18 중량부, 갈근 30 내지 90 중량부, 측백 6 내지 18 중량부, 쑥 6 내지 18 중량부, 금은화 1 내지 3 중량부, 모과 2 내지 6 중량부 임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3. 건조중량 기준으로 참나무 25 내지 75 중량부, 솔잎 30 내지 90 중량부, 감초 6 내지 18 중량부, 갈근 30 내지 90 중량부, 측백 6 내지 18 중량부, 쑥 6 내지 18 중량부, 금은화 1 내지 3 중량부, 모과 2 내지 6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지는 생약제에, 상기 생약제 전체 중량의 50 내지 150배의 정제수를 가하고, 20 내지 40℃의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추출을 한 다음, 40 내지 80℃의 고온에서 24시간 이상 추출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100℃로 가열하여 기화하는 증기를 포집함으로써 제조되는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기능성 식품
KR1020080107259A 2008-10-30 2008-10-30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20080101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259A KR20080101848A (ko) 2008-10-30 2008-10-30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259A KR20080101848A (ko) 2008-10-30 2008-10-30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815A Division KR100915893B1 (ko) 2006-10-13 2006-10-13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848A true KR20080101848A (ko) 2008-11-21

Family

ID=4028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259A KR20080101848A (ko) 2008-10-30 2008-10-30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18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4076A (zh) * 2012-08-14 2014-02-19 广西玉林制药集团巨安保健品有限公司 一种保健食品的组合物
CN104783165A (zh) * 2015-04-28 2015-07-22 安徽广生堂生物科技有限公司 利用天然植物制备解酒精炼物的方法
CN106947676A (zh) * 2017-05-25 2017-07-14 陕西西凤酒股份有限公司 一种低度葡萄味配制酒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4076A (zh) * 2012-08-14 2014-02-19 广西玉林制药集团巨安保健品有限公司 一种保健食品的组合物
CN104783165A (zh) * 2015-04-28 2015-07-22 安徽广生堂生物科技有限公司 利用天然植物制备解酒精炼物的方法
CN106947676A (zh) * 2017-05-25 2017-07-14 陕西西凤酒股份有限公司 一种低度葡萄味配制酒及其制备方法
CN106947676B (zh) * 2017-05-25 2020-09-22 陕西西凤酒股份有限公司 一种低度葡萄味配制酒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kov et al. Medicinal plants of the Russian Pharmacopoeia; their history and applications
Khare Indian herbal remedies: rational Western therapy, ayurvedic, and other traditional usage, Botany
Khare Indian medicinal plants: an illustrated dictionary
Khan et al. Olea europaea: a phyto-pharmacological review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00042337A (ko)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생약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제조방법
Eze et al. Phytochemical and nutrient evaluation of the leaves and fruits of Nauclea latifolia (Uvuru-ilu)
KR20090078662A (ko)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Akintola et al. Nutritional and medicinal importance of Tetrapleura tetraptera fruits (Aridan)
KR101751211B1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Okwu Nigerian medicinal plants I
KR20080101848A (ko)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100915893B1 (ko)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101987554B1 (ko) 새싹보리의 풋내와 누에가루 및 꾸지뽕의 불쾌취를 제거한 항산화 또는 혈당강하 활성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누에가루 및 꾸지뽕잎 혼합차 제조방법
Rimple et al. Poly pharmacological effects of green blood therapy: An update
Grace et al. Ethno-medicinal assessment of wild edible plants in Ijesa region, Osun State, Nigeria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RU2435450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origitea® очищение вечер
Kamaei et al. Comparison of Antidiabetic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the Leaves and Fruits of Avicennia Marin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ale Rats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0160402B1 (ko) 항스트레스 조성물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Sonawane A Review on the Medicinal Plant-Psidium Guajava Linn.
Thoudam et al. Chapter-3 A Review Study on Nutraceutical and Nutritional Efficacy of Crassocephalum crepidio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