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733A -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733A
KR20080100733A KR20070046783A KR20070046783A KR20080100733A KR 20080100733 A KR20080100733 A KR 20080100733A KR 20070046783 A KR20070046783 A KR 20070046783A KR 20070046783 A KR20070046783 A KR 20070046783A KR 20080100733 A KR20080100733 A KR 20080100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igh strength
low heat
strength concrete
concre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4584B1 (ko
Inventor
조윤구
최현국
변승호
김상윤
유동우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성신양회 주식회사
주식회사 윈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성신양회 주식회사, 주식회사 윈플로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4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584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068Mortar or concrete mixtures with an unusual water/cement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39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48Low heat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34Non-shrinking or non-cracking materials
    • C04B2111/343Crack resista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 C04B2201/52High compression strength concretes, i.e. with a compression strength higher than about 55 N/mm2, e.g. reactive powder concrete [RP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가 120㎫를 넘는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결합재로 시멘트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흄 및 무수석고가 적정비율로 혼합된 결합재를 사용하고 10~17중량%의 낮은 물-결합재비로 배합되도록 함으로써 일정의 시공성을 확보하면서 120㎫를 넘는 강도가 발현되는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위수량 100~130㎏/㎥, 단위결합재량 750~920㎏/㎥, 단위잔골재량 410~590㎏/㎥및 단위굵은 골재량 920~1170㎏/㎥를 포함하여 조성하되, 물-결합재비가 10~17중량%, 잔골재율이 30~35중량%이며, 결합재가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무수석고 및 실리카흄을 포함하도록 혼합되는 것이 특징이며;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결합재로 시멘트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흄 및 무수석고를 적정비율로 혼합된 결합재를 사용하고 10~17중량%의 낮은 물-결합재비로 배합되도록 함으로써 일정의 시공성을 가지면서 120㎫를 넘는 저발열 초고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급격한 수화열 발생에 따라 균열등의 결함이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시공할 수 있다.
콘크리트 조성물, 저발열, 초고강도

Description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Low heat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온도 상승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강도가 120㎫를 넘는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재로 시멘트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흄 및 무수석고를 적정비율로 혼합된 결합재를 사용하고 10~17중량%의 낮은물-결합재비로 배합되도록 함으로써 일정의 시공성을 확보하면서 120㎫를 넘는 강도가 발현되는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층 구조물의 증가에 따라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적용을 통해 기둥단면의 축소가 가능하게 되어 RC구조물은 물론 SRC구조물의 경우에 골조경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SRC구조물의 경우에는 철골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경제성에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초고강도 콘크리트 적용으로 기둥단면의 축소가 가능해지므로 이에 따라 넓은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활용에 유용하다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급격한 수화열 발생에 따라 결함이 발생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에 착안하여 인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재로 시멘트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흄 및 무수석고가 적정비율로 혼합된 결합재를 사용하고 10~17중량%의 낮은 물-결합재비로 배합한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배합시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양을 극대하고, 결합재에서 저발열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함으로 경화시 발생되는 수화열을 극소화한 배합으로, 120㎫를 넘는 강도가 발현되는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단위수량 100~130㎏/㎥과; 단위결합재량 750~920㎏/㎥과; 단위잔골재량 410~590㎏/㎥;및, 단위 굵은골재량 920~1170㎏/㎥를 포함하여 조성하되, 물-결합재비가 10~17중량%, 잔골재율이 30~35 중량%이며, 결합재가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무수석고 및 실리카흄을 포함하도록 혼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분말도는 3,000~6,000cm2/g 이며, 무수석고의 분말도는 3,000~6,000cm2/g 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잔골재는 조립율이 2.6~3.2 이며, 굵은골재는 그 최대치수가 15㎜이하이면서 강도가 120㎫이상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가 결합재의 2.0~3.8중량% 더 혼합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유동성 및 장기강도 개선을 목적으로 결합재로 시멘트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흄 및 무수석고를 적정비율로 개별 혼합하거나 프리믹스한 결합재를 사용하면서, 낮은 물-결합재비로 배합된다는데 특징이 있다. 구체적인 배합범위는 [표 1]과 같다.
초고강도 콘크리트 배합비
W/B(중량%) S/a(중량%) (a=S+G) 단위재료량(kg/m2)
W B S G
10~17 30.0~35.0 100~130 750~920 410~590 920~1170
① 물-결합재비(W/B)
120㎫ 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 발현을 위하여 10~17중량%를 사용한다. 물-결합재비가 10중량%이하이면 콘크리트의 유동성 확보 및 콘크리트의 비빔에 문제가 되어 시공성이 좋지 못하게 되고, 17중량%이상이면 초고강도 발현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달성에 문제가 있게 된다.
② 잔골재율(S/a)
전체 골재(모래+자갈) 체적에 대한 모래의 체적비로서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결정하는 수치이며, 잔골재의 조립율을 고려하여 30.0~35.0 중량%수준에서 설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은 수화열 저감 및 초고강도 발현에 적합하며, 유동성에 문제가 되지 않는 최소의 잔골재율을 선정하였다.
③ 결합재(B)
일반 콘크리트에서 사용되는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흄 및 무수석고등의 혼화재를 일정 비율로 개별 혼합하거나 프리믹스하여 확보하게 되며, 혼화재는 시멘트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 증진 및 장기강도 발현과 저발열에 기여한다. 이와 같은 결합재의 단위량은 750~920㎏/㎥확보되도록 하여 초고강도 발현에 문제없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시멘트 수화열 저감, 수화생성물의 증대, 치밀한 조직의 형성 및 장기강도 증진의 목적으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채택하고, 잠재수경성 재료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자극제 역할과 함께 유효팽창에 따른 치밀한 조직형성을 목적으로 무수석고를 채택하며, 이미 초고강도 발현에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실리카흄을 채택하고 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무수석고는 각각 분말도가 3,000~6,000㎠/g 을 만족하는 고분말도의 것을 채택한다. 그리고 이들을 충분히 믹싱하여 잘 분산시킴으로써 유동성 및 강도개선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멘트와 혼화재의 혼합비율은 하기 [표 2]와 같은 비율로 설정하도록 하며, 이는 콘크리트의 유동성과 강도를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결합재의 혼합비율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무수석고 실리카흄
10~30중량% 50~70중량% 1~10중량% 5~15중량%
④ 잔골재(S)
잔골재(모래)는 일반 레미콘사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거나, 인조규사를 사용하며, 조립율이 2.6~3.2 수준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콘크리트의 유동성 확보 및 점성저하를 위해 바람직하다. 단위잔골재량은 410~590㎏/m3범위에서 선택하도록 한다.
⑤ 굵은골재(G)
콘크리트 강도를 고려하여 굵은골재(자갈) 최대치수는 15㎜이하로 하며 150㎫이상의 강도를 발현하는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굵은골재량은 920~1170㎏/㎥ 범위에서 선택하도록 한다.
⑥ 혼화제(AD)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
본 발명에 따른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은 낮은 물-결합재비를 가지므로 고성능 감수제를 더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고성능 감수제로는 분산력 및 감수력이 우수한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를 채택함이 좋다.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의 경우에는 결합재량의 2.0~3.8중량%로 혼합하도록 하는 것이 경제성과 성능발현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1]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실내 시험의 예
(a)실험방법
콘크리트를 40L 의 체적이 되도록 축소 배합을 작성하고 콘크리트를 실내에서 믹싱 시험을 실시하여, 시공성 및 재령별 공시체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목표강도 만족여부를 검토하였다.
(b)초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설계
본 실시예에서의 콘크리트 배합설계 및 사용 재료원은 [표 3]과 같다.
초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설계
구분 W/B(중량%) S/a(중량%) 단위재료량(㎏/㎥) AD (Bx중량%)
W B S G
배합 1 10.8 40.0 135 1250 451 682 2.4
배합 2 12.5 30.0 110 880 450 1057 3.4
※ 배합 1은 비교 배합임.
(c)실험결과
상기 배합설계에 따라 배합된 콘크리트를 물성 시험한 결과 [표 4] 및 [표 5]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 물성시험 결과
구분 슬럼프 플로우 (㎝) 50cm 도달시간 (sec) 공기량 (%) 온도 (℃)
배합 1 69 ㎝ 15.31 1.8 17.0
배합 2 65 ㎝ 16.42 1.6 16.0
경화콘크리트 시험결과
구분 압축강도(㎫)
3D 7D 14D 28D
배합 1 90.0 140.5 175.2 200.8
배합 2 81.0 125.5 150.3 185.4
상기와 같이 굳지않은 콘크리트 물성시험에서 40분 경과 후 슬럼프 플로우는 65㎝이상으로 충분한 시공성이 확보되었으며, 경화콘크리트 시험결과도 공시체의 경우 120 ㎫을 크게 상회하였다.
도 1은 단열온도 상승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열온도 상승 시험은 출발 온도 20℃를 기준으로 시험하였다. 배합 1번은 약 44시간에 최고 온도 89℃에 도달하여 온도 변화 △T는 69℃이고, 배합 2번은 약 45시간에 55℃에 도달하여 온도 변화 △T는 35℃로 기존에 알려진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수화열과 비교하여 50% 정도의 수화열 저감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균열 제어 효과가 탁월한 콘크리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결합재로 시멘트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흄 및 무수석고를 적정비율로 혼합된 결합재를 사용하고 10~17중량%의 낮은 물-결합재비로 배합되도록 함으로써 일정의 시공성을 가지면서 120 ㎫를 넘는 저발열 초고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급격한 수화열 발생에 따라 균열등의 결함이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4)

  1. 단위수량 100~130㎏/㎥;
    단위결합재량 750~920㎏/㎥;
    단위잔골재량 410~590㎏/㎥; 및
    단위굵은골재량 920~1170㎏/㎥을 포함하여 조성되고,
    물-결합재비가 10~17중량%, 잔골재율이 30~35중량%이며,
    상기 결합재는 시멘트 10~30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50~70중량%, 무수석고 1~10중량% 및 실리카흄 5~15중량%를 포함하여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분말도는 3,000~6,000㎠/g 이며, 상기 무수석고의 분말도는 3,000~6,000㎠/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잔골재는 조립율이 2.6~3.2 이며,
    상기 굵은골재는 그 최대치수가 15㎜이하이면서 강도가 12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가 상기 결합재의 2.0~3.8중량% 더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20070046783A 2007-05-14 2007-05-14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0874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6783A KR100874584B1 (ko) 2007-05-14 2007-05-14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6783A KR100874584B1 (ko) 2007-05-14 2007-05-14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733A true KR20080100733A (ko) 2008-11-19
KR100874584B1 KR100874584B1 (ko) 2008-12-16

Family

ID=4028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46783A KR100874584B1 (ko) 2007-05-14 2007-05-14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835B1 (ko) 2010-12-14 2013-03-04 삼성물산 주식회사 1종 시멘트를 사용한 초고강도 저점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140561B1 (ko) 2011-07-29 2012-05-02 아세아시멘트주식회사 이산화탄소 저감형 고유동 초저발열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14799B1 (ko) * 2011-12-15 2013-10-14 삼성물산 주식회사 강도발현의 극대화를 위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관리방법
KR101656853B1 (ko) * 2013-10-30 2016-09-12 대림산업 주식회사 저점성 수화 균열 저감형 매스콘크리트 조성물
WO2019003572A1 (ja) * 2017-06-29 2019-01-03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36118B1 (ko) 2019-10-25 2021-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속경 고강도-고인성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584B1 (ko)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rahan Transport properties of high volume fly ash or slag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KR100893495B1 (ko) 자기충전용 저발열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73514B1 (ko) 초고강도 콘크리트용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제조방법
KR101989505B1 (ko) 콘크리트 조강 촉진형 혼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KR100874584B1 (ko)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948627B1 (ko) 인공경량골재를 포함하는 고강도 경량콘크리트 조성물
KR101654568B1 (ko) 조강형 숏크리트 조성물
KR100867250B1 (ko) 비소성 결합재를 포함하는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JP2008120611A (ja) グラウト組成物、グラウトモルタル及びグラウト工法
KR100686353B1 (ko) 고내화성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0686350B1 (ko)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JP2015124136A (ja) 初期及び長期高強度発現性及び高ひび割れ抵抗性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体
JP2016030707A (ja) 高強度コンクリートおよ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KR101243523B1 (ko) 초고층 건축용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JP5136829B2 (ja) 水硬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KR101390132B1 (ko) 1종 조강형 시멘트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KR101252962B1 (ko) 급결성 고분말 시멘트를 포함한 숏크리트 조성물
KR20100132129A (ko) 고강도 경량콘크리트
KR100908675B1 (ko) 저온 조기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0928402B1 (ko) 초고강도 콘크리트용 시멘트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제조방법
Kazempour et al. Masonry mortar with nanoparticles at a low temperature
JP3267895B2 (ja) セメントクリンカー及びセメント組成物
KR100947899B1 (ko) 고성능 하이볼륨 플라이애쉬 콘크리트 조성물
JP6735068B2 (ja) セメント組成物及びセメント硬化体の製造方法
JP4877892B2 (ja) セメント混和材、セメン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高流動コンクリ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