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616A -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616A
KR20080100616A KR1020070046527A KR20070046527A KR20080100616A KR 20080100616 A KR20080100616 A KR 20080100616A KR 1020070046527 A KR1020070046527 A KR 1020070046527A KR 20070046527 A KR20070046527 A KR 20070046527A KR 20080100616 A KR20080100616 A KR 20080100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period
sleep mode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7424B1 (ko
Inventor
차재선
손대홍
노병희
윤철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4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424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는, 기 저장되어 있는 이전 통합 수면 모드 기간들-여기서, 통합 수면 모드 기간은 초기 수면 주기 기간부터 상기 기지국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청취 주기 동작 이전까지의 기간임.-에 대응하여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을 상기 기지국으로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면, 결정된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까지 수면 주기(Sleep Interval) 및 청취 주기(Listening Interval)를 반복 동작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면 모드 동작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이동 단말기의 전력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수면, 전력절약, 청취, 무선접속, 이동단말기

Description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METHOD SUPPORTING SLEEP MODE AND MOBILE ST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모드를 제공을 위한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수면 주기와 청취 주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모드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전력 절약 모드(Power saving mode) 또는 수면 모드(Sleep mode)(이하, 전력 절약 모드 또는 수면모드를 "수면 모드"로 통칭함)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은 종래의 무선 랜(LAN)과 같이 고정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이용하는 근거리 데이터 통신 방식에 이동성(Mobility)을 더 지원하는 차세대 통신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은 다양한 표준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현재 IEEE 802.16e 등에서 활발하게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국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무선 LAN 방식은 고정된 액세스포인트를 중심으로 근거리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통신 방식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이동 단말기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은 현재 기지국이 관장하는 셀에서 다른 기지국이 관장하는 다른 셀로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동성을 보장하여 끊기지 않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전력 공급 수단으로 주로 배터리를 이용하므로,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은 서비스 이용시간의 큰 제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하향 트래픽 발생이 없을 경우 단말 내 모든 디바이스가 전력 절약을 위해 동작을 멈추는 수면 모드를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은 하향 링크 데이터가 특정 시간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버스트(Burst)한 특성을 가지거나 상당히 긴 주기를 가지고 고정적으로 출현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수면 모드 내의 청취 주 기(Listening interval)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은 다음 시점에 데이터 전송이 없거나 또는 짧은 기간 동안 계속적인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취 주기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였다고 하여 바로 수면 모드를 종료시키는 것은 전력 관리 상에서 상당히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청취 주기 상에서 데이터가 발생하여도 이동 단말기가 수면 모드를 유지할 경우에, 상당히 긴 수면 주기를 갖고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면 다음 수면 주기가 현재 수면 주기의 2의 지수배로 증가하기 때문에 이후 하향 링크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전송 지연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수면 모드(Sleep mode)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 링크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하며,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수면 모드(Sleep Mode) 및 수면 모드 내의 수면 주기(Listening Interval)과 청취 주기(Listening Interval)를 관리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의 제1 데이터 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이전 통합 수면 모드 기간들-여기서, 상기 통합 수면 모드 기간은 초기 수면 주기 기간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한 청취 주기 동작 이전까지의 기간임.-에 대응되는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을 설정하는 수면 모드 관리부; 및 상기 수면 모드 관리부의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 링크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하며,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수면 모드 제공 방법은,
a) 기 저장되어 있는 이전 통합 수면 모드 기간들-여기서, 상기 통합 수면 모드 기간은 초기 수면 주기 기간부터 상기 기지국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청취 주기 동작 이전까지의 기간임.-에 대응하여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결정된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을 상기 기지국으로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응답 수신하면, 상기 결정된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까지 수면 주기(Sleep Interval) 및 청취 주기(Listening Interval)를 반복하여 수면 모드를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모드를 제공을 위한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110), 전원부(120), 수면모드 관리부(130) 및 데이터 송수신부(140)를 포함하며, 사용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최종적으로 제공하는 부분으로 액정 표시장치, 키패드 등과 같은 장치로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를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 탑재되며, 데이터 송수신부(14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며,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부(140)를 통해 기지국(200)으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수면 모드 관리부(130)와 연동하며, 이동 단말기(100)가 수면 모드로 들어가는 것을 수면 모드 관리부(130)로부터 통보받아 수면 윈도우 값에 대응하여 각종 절전 조치들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10)는 수면 모드 관리부(130)와 연동하여, 수면 모드(Sleep Mode) 및 기상 모드(Awake Mode) 그리고 수면 모드 내의 수면 주기(Sleep Interval)과 청취 주기(Listening Interval)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수면 모드 관리부(130)로부터 수면 모드를 통보받아 기지국(200)으로 알리고, 그에 따른 응답을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하면 수면 윈도우 값에 대응하여 각종 절전 조치들을 제어한다.
전원부(12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이동 단말기(100)의 각 부분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데이터 송수신부(140)는 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무선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조하여 기지국(200)으로 전달하거나 기지국(200)으로부터 무선 RF 신호를 수신하여 RF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한 후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수면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송수신부(140)는 시스템 접속, 대역폭 할당 요청, 연결 설정, 연결 관리 등의 MAC 계층(Layer2)에서 수행하는 기능과 물리 계층(Layer1)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면 모드 관리부(130)는 기 설정된 수만큼 트래픽 도착(하향 링크 데이터 수신)에 따른 수면 모드 해제 시 통합 수면 모드의 수면 윈도우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제어부(110)와 연동하여 수면 모드를 관리한다.
여기서, 통합 수면 모드는 초기 수면 주기 기간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청취 주기(Listening Interval) 동작 이전까지 기간의 수면 윈도우 값을 갖는 모드를 말한다.
또한, 수면 모드 관리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수면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절전 클래스를 갖고, 기지국(200)으로부터 할당된 채널에 기초하여 절전 클래스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수면 모드 관리부(130)는 청취 주기 시에 데이터 송수신부(140)가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면 모드를 종료한다. 이후 수면 모드로 재 진입 시, 이전 통합 수면 모드의 수면 윈도우 값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여, 현재 이용할 초기 수면 윈도우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수면 윈도우 값을 구한다. 이때, 수면 모드 관리부(130)는 기 설정된 개수의 이전 통합 수면 모드의 수면 윈도우 값에 대한 평균을 구하여 초기 수면 윈도우값을 정한다.
여기서, 현재 이용할 초기 수면 윈도우 값은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다.
Figure 112007035393116-PAT00001
이때,
Figure 112007035393116-PAT00002
는 i번째 절전클래스의 초기 수면 윈도우 값이고,
Figure 112007035393116-PAT00003
는 i번째 절전클래스 내의 j번째 수면 모드의 수면 윈도우 값(수면 주기)이고, Last는 가장 최근의 수면 모드이다.
한편, 수면 모드 관리부(130)가 청취 주기 시에 데이터 송수신부(140)가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현재 이용할 수면 주기(현재 이용할 수면 윈도우 값)는 이전 수면 주기 값을 2의 지수승만큼 증가시킨 값이 된다. 예를 들어, 제1 수면 주기가 2ms, 제1 청취 주기가 2ms 인 경우, 제1 청취 주기 기간 중에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2 수면 주기 기간은 제1 수면 주기 기간인 2ms에 2의 지수승을 곱한 값인 4ms가 된다.
여기서, 수면 모드 관리부(130)는 수면 주기(수면 윈도우 값)가 기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100ms)을 초과하는 경우에, 수면 주기를 기 설정된 값(예를 들어, 2ms)으로 초기화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특정 시간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버스트(Burst)한 특성을 갖거나, 상당히 긴 주기를 가지고 고정적으로 출 현하는 버스트한 특성을 갖는 하향 링크 트래픽(Traffic)을 서비스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수면 모드(수면 주기와 청취 주기) 동작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전력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수면 모드와 청취 모드의 주기에 대하여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수면 주기와 청취 주기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수면 모드(306, 316)와 기상 모드(310)를 가지며, 각 수면 모드는 수면 주기 및 청취 주기를 갖는다.
수면 주기(Sleep Interval)(301, 303, 311, 313, 321)는 수면 윈도우값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때, 초기 수면 주기의 수면 윈도우값은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된다. 즉, 초기 수면 윈도우 값은 이전 통합 수면 모드(306, 316)의 수면 윈도우값들에 대한 평균값이 된다.
청취 주기(302, 304, 312, 314, 322)는 기 설정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대기 기간이며, 수면 주기 후에 동작하여 상기 도1에 도시한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준비하는 상태의 모드이다.
기상 모드(310)는 청취 주기 시에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면 주기를 해제하는 경우에 동작하는 모드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수면 주기 및 청취 주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초기 수면 윈도우값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제1 수면 주기(301)를 갖고, 제1 수면 주기(301) 동작 후에 제1 청취 주기(302)를 갖는다. 이때, 제1 초기 수면 윈도우 값은 상기 수학식1에 의해 계산되며, 기 저장되어 있는 이전 수면 윈도우 값(통합 수면 모드 기간)의 평균을 기초로 계산된다.
그리고, 제1 청취 주기(302) 동작 시에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1 초기 수면 윈도우 값에 2의 지수승을 곱한 값에 해당하는 수면 윈도우값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의 제2 수면 주기(303)를 갖는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수면 주기(303) 동작 후에 제2 청취 주기(304)를 갖고, 제2 청취 주기(304) 동작 시에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수면 주기, 제1 청취 주기 및 제 2 수면 주기를 수면 윈도우값(305)로 저장하고 현재의 수면 모드(306)를 종료하고 기상 모드(310)을 수행한다. 이후 다음 수면 모드(316)을 수행하기 전에 제3 수면 주기(311)로 동작하기 위하여 제2 초기 수면 윈도우 값을 계산한다.
이때, 제2 초기 수면 윈도우 값은 상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계산되며, 이전 통합 수면 모드들의 수면 윈도우값의 평균을 기초로 계산된다. 예를 들어, 제1 수면주기가 2ms, 제1 청취 주기가 2ms, 제2 수면주기가 4ms, 제1 수면 주기 이전의 수면 윈도우(4개)값의 평균이 6ms 인 경우에 제3 수면주기는 8ms가 된다.
다음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동적인 초기 수면 윈도우값 을 결정하여 효율적인 수면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수면 모드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모드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모드 제공 방법에 따르면,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기 저장되어 있는 이전 통합 수면 모드들의 수면 윈도우 값의 평균값을 기초로 초기 수면 윈도우 값을 결정한다(S10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개수만큼 특정 번째 이전의 값부터 바로 전의 통합 수면 모드들의 수면 윈도우 값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값을 기초로 초기 수면 윈도우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결정된 초기 수면 윈도우 값을 수면 요청 메시지(MOB_SLP_REQ)를 이용하여 기지국(200)으로 초기 수면 윈도우값이 변경되었음을 알린다(S102).
여기서, 수면 요청 메시지(MOB_SLP_REQ)는 수면 모드 동작을 위해 기지국(200)과 이동단말기(100)간에 미리 정의된 메시지이다.
기지국(200)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면 요청 메시지(MOB_SLP_REQ)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면 요청 메시지(MOB_SLP_REQ)에 포함된 초기 수면 윈도우 값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의 수면 주기 및 청취 주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기지국(200)은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수면 응답 메시지(MOB_SLP_RSP)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수면 응답 메시지(MOB_SLP_RSP) 를 수신하면(S104), 결정된 초기 수면 윈도우값에 대응되는 수면 주기로 수면 모드를 동작한다(S106).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수면 주기가 경과되면, 수면 주기에서 청취 주기로 변경하여 동작하고(S108),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청취 주기 중에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전 수면 주기에 2의 지수승을 곱한 값에 기초하여 현재 수면 주기를 동작한 후에 상기 S108 단계를 수행한다(S112).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이전 수면 주기에 2의 지수승을 곱한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기 설정된 초기화값으로 수면 주기를 동작하고,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이전 수면 주기에 2의 지수승을 곱한 값만큼 수면 주기를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제1 수면 주기가 2ms, 제1 청취 주기인 경우,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제1 청취 주기일 때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동 단말기는 이전 수면 주기 기간인 제1 수면 주기(2ms)에 2의 지수승을 곱한 값(4ms)만큼 증가시켜 제2 수면 주기를 동작한다.
상기 S11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이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 이트를 수신하면, 통합 수면 모드 기간의 수면 윈도우값을 저장한다(S114). 이때, 저장되는 수면 윈도우값은 초기 수면 주기 기간부터 해당 청취 주기로 변경하기 전까지의 모든 주기의 합이다.
예를 들어, 제1 수면 주기가 2ms, 제1 청취 주기가 2ms, 제2 수면 주기가 4ms, 제2 청취 주기가 2ms 인 경우,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제2 청취 주기일 때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가 저장하는 통합 수면 모드 기간의 수면 윈도우값은 청취 모드로 변경하기 전까지의 8ms(제1 수면 주기+ 제1 청취 주기+ 제2 수면 주기의 합)가 된다.
상기 S114 단계에서 수면 윈도우 값을 저장한 후에, 이동 단말기(100)는 기지국(2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기상 모드(Awake Mode)로 동작한다. 이후 다시 수면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S100 단계를 동작한다.
이러한, 수면 모드 제공 방법을 통해, 특정 시간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버스트(Burst)한 특성을 갖거나, 상당히 긴 주기를 가지고 고정적으로 출현하는 버스트한 특성을 갖는 하향 링크 트래픽(Traffic)을 서비스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수면 모드 동작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이동 단말기의 전력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수면 모드 관리부를 포함하여 유동적인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기지국이 수면 모드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의 유동적인 수면 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을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특정 시간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버스트(Burst)한 특성을 갖거나, 상당히 긴 주기를 가지고 고정적으로 출현하는 버스트한 특성을 갖는 하향 링크 트래픽(Traffic)을 서비스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수면 모드 동작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이동 단말기의 전력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0)

  1.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 링크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하며,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수면 모드(Sleep Mode) 및 수면 모드 내의 수면 주기(Sleep Interval)과 청취 주기(Listening Interval)를 관리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이전 통합 수면 모드 기간들-여기서, 상기 통합 수면 모드 기간은 초기 수면 주기 기간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한 청취 주기 동작 이전까지의 기간임.-에 대응되는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을 설정하는 수면 모드 관리부; 및
    상기 수면 모드 관리부의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모드 관리부는,
    상기 청취 주기 동안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저장되어 있는 이전 통합 수면 모드 기간들의 수면 윈도우 값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에 대응되는 초기 수면 윈도우 값으로 상기 제1 초기 수면 주 기 기간을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모드 관리부는,
    기 설정된 수만큼의 상기 통합 수면 모드 기간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수신에 기초하여 현 상태의 통합 수면 모드 기간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모드 관리부는,
    상기 청취 주기 동안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청취 주기 이전의 수면 주기 기간을 기 설정된 값만큼 증가하여 다음 수면 주기 기간을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면 모드 내의 수면 주기 및 청취 주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6.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 링크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하며,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수면 모드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기 저장되어 있는 이전 통합 수면 모드 기간들-여기서, 상기 통합 수면 모드 기간은 초기 수면 주기 기간부터 상기 기지국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청취 주기 동작 이전까지의 기간임.-에 대응하여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결정된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을 상기 기지국으로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결정된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까지 수면 주기(Sleep Interval) 및 청취 주기(Listening Interval)를 반복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면 모드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통합 수면 모드 기간들의 수면 윈도우 값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평균을 기초로 상기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면 모드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제1 청취 주기 동안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초기 수면 주기 기간부터 상기 제1 청취 주기 이전까지의 통합 수면 모드 기간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면 모드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청취 주기 동안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청취 주기 이전의 수면 주기 기간을 기 설정된 값만큼 증가하여 다음 수면 주기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면 모드 제공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알리는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 간에 기 설정된 수면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 간 에 기 설정된 수면 응답 메시지인 특징을 갖는 수면 모드 제공 방법.
KR1020070046527A 2007-05-14 2007-05-14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089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527A KR100897424B1 (ko) 2007-05-14 2007-05-14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527A KR100897424B1 (ko) 2007-05-14 2007-05-14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616A true KR20080100616A (ko) 2008-11-19
KR100897424B1 KR100897424B1 (ko) 2009-05-14

Family

ID=4028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527A KR100897424B1 (ko) 2007-05-14 2007-05-14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4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347A2 (en) * 2008-12-15 2010-06-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aving power of a femto base station using sleep period synchronization
KR101117906B1 (ko) * 2009-08-14 2012-02-24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및 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7882A (en) 1993-06-02 1997-05-06 U.S. Philips Corporation Enhanced power saving method for hand-held communications system and a hand-held communications system therefor
JP2003258705A (ja) 2002-03-06 2003-09-12 Sharp Corp 移動端末機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移動通信方法
KR100594009B1 (ko) * 2003-09-2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구간 설정 방법
KR20060047692A (ko) * 2004-05-07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면모드 수행 및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347A2 (en) * 2008-12-15 2010-06-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aving power of a femto base station using sleep period synchronization
WO2010071347A3 (en) * 2008-12-15 2010-09-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aving power of a femto base station using sleep period synchronization
US9264993B2 (en) 2008-12-15 2016-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aving power of a femto base station using sleep period synchronization
KR101117906B1 (ko) * 2009-08-14 2012-02-24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및 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424B1 (ko)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16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signal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4970273B2 (ja) 節電方法、基地局及び加入者端末装置
US20190253968A1 (en) Managing target wake time scheduling using congestion metrics
KR101642998B1 (ko) 이동국에서의 배터리 수명 보존 장치 및 그에 따른 시스템
US8837509B2 (en) Wireless access point methods and apparatus using dynamically-activated service intervals
US839116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mobile device in a sleep mode
US20060252449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adaptive power save delivery mode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s)
US11930381B2 (en) Backup link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
US20190364503A1 (en) Power-save mode for wireless device
US20190253967A1 (en) Managing target wake time scheduling using congestion metrics
JP2008517515A5 (ko)
KR2008007469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소모방지 모드 제어 방법
CN103327579A (zh) 休眠方法及装置
CN109314895B (zh) 在蜂窝移动通信网络中操作终端装置的方法和终端装置
KR20210013354A (ko) 상태 스위칭 방법 및 장치
CN111417135A (zh) Bwp的调整方法和装置
WO2021063265A1 (zh) 一种确定生效时间的方法及装置
TWI484854B (zh) 無線裝置中之天線切換技術
JP2004282756A (ja) 無線lanシステムでの無線接続ノードの電力制御方法
KR20130073835A (ko) 단말기의 전력 소비 감소방법 및 장치
KR100897424B1 (ko) 수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20230379817A1 (en) Terminal State Control Method, Terminal, and Non-transitory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50026443A (ko) 전자장치의 송신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9136586A1 (zh) 一种工作模式的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JP5997661B2 (ja) 中継器装置及び中継器のスリープ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