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185A - 비주기적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의 방법 - Google Patents

비주기적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185A
KR20080100185A KR1020087019243A KR20087019243A KR20080100185A KR 20080100185 A KR20080100185 A KR 20080100185A KR 1020087019243 A KR1020087019243 A KR 1020087019243A KR 20087019243 A KR20087019243 A KR 20087019243A KR 20080100185 A KR20080100185 A KR 20080100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ondition
mobile station
sleep mode
network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3775B1 (ko
Inventor
라비 쿠치보틀라
라자 에스. 바추
로버트 티. 러브
라비키란 노리
케네스 에이. 스테와트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3339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10018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10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05Routing actions in the presence of nodes in sleep or doze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n unwanted signal, e.g. interference or idl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패킷 기반의 이동 시스템에서 전류 드레인을 줄이기 위한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의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로부터 채널 조건 임계값을 수신하는 단계(102), 다음에 휴면 모드에 있는 동안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104), 다음에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이 채널 조건 임계값 보다 크다는 판단(108)에 응답하여 휴면 모드에서 나오는 단계(110)를 포함한다.
휴면 모드, 채널 조건 임계값, 이동국, 패킷 전송, 프레임 수 카운트, 이동국 기상

Description

비주기적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의 방법{A METHOD FOR APERIODIC MOBILE ASSISTED SLEEP MOD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면 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히 비주기적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에 관한 것이다.
인핸스드 UMTS, 802.16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는 패킷 교환 (PS) 도메인만을 지원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전형적으로 이동국(mobile station or mobile)으로도 알려진 사용자 장치는 전용 접속 활성 상태이거나 페이징 또는 휴지 상태 (즉, 휴면 모드)에 있는다. 페이징 상태에서 이동국은 네트워크가 페이지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동국이 휴면하고 기상하는 불연속적 수신을 지원한다. 3GPP (UMTS)에서 이동국은 활성을 위해 다운링크 공통 제어 채널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추가의 CELL_FACH 상태를 갖는다.
페이징 상태는 평균 전류 드레인을 감소시켜 배터리 전하를 절약하도록 해주지만,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약간의 레이턴시를 감수해야 한다. 이동국은 업링크시 전송할 필요를 나타내는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어느 때나 보낼 수 있다. CELL_FACH 상태에서 이동국은 제어 채널의 연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인한 배터리 전하를 절약할 수 없다.
원치않는 페이징 상태의 효과 중 하나는 이동국과 교환되어야 하는 데이터가 있을 수 있지만, 이동국이 미리 결정된 시간이나 프레임에서 기상할 때, 무선 조건은 열악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이동국은 불연속적 수신 (DRX) 상태, 즉 페이징 상태에 있는 동안 양호한 조건에 있으며, 네트워크는 이동국과 통신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데이터가 비최적의 무선 조건에서 교환되어 이동국이 재전송의 결과 더 긴 시간 동안 기상하게 하여 사실상 가능한 배터리 절약이 무효화된다는 원치않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이동국이 가능할 땐 언제나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게 하면서 스케줄러에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하는 휴면 패턴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더구나, 이동국이 휴면 모드에 있는 동안, 기상 후 까지 그 채널 조건을 네트워크에 통신할 수 없다. 따라서 이동국은 바람직하지 않은 채널 조건 동안 기상하여 이동국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없거나 네트워크에 대한 다수의 재전송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국은 충분히 양호한 채널 조건의 결여로 인해 데이터 교환 없이 기상한 다음에 다시 휴면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 특성 및 장점은 이하 설명되는 첨부한 도면과 함께 다음 상세한 설명을 충분히 고려하게 되면 당업자에게는 더욱 완전히 명백하게 될 것이다.
개별의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말하며 이하 상세 설명과 함께 명세서에 결합되어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따라 여러 실시예로서 작용하거나 여러 원리와 장점 모두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비주기적 이동국 휴면 모드에 대한 제1 예시의 프로세스 흐름도.
도 2는 비주기적 이동국 휴면 모드에 대한 제2 예시의 프로세스 흐름도.
도 3은 비주기적 이동국 휴면 모드에 대한 제1 예시의 스케줄링 메커니즘 시순서도(time sequence).
도 4는 비주기적 이동국 휴면 모드에 대한 제2 예시의 스케줄링 메커니즘 시순서도.
도 5는 비주기적 이동국 휴면 모드에 대한 제3 예시의 스케줄링 메커니즘 시순서도.
당업자라면 도면의 요소들은 간단하고 명확하게 도시되었으며 반드시 비율에 따라 정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요소들 중 몇몇 치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다른 요소에 상대적으로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여러 형태의 실시예에 의해 성취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는 이하 후술되는 바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 포함된 특정 실시예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라는 이해하에서 몇 예시의 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더욱 본 발명의 비주기적 휴면 모드의 방법은 시그널링과 전류 드레인 감소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 어느 응용에 서나 더욱 일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동국(mobile station(mobile))은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결합된 원격 단말국(remote station)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동국, 원격 단말국, 사용자 장치, 사용자 단말기 등으로 언급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복수의 기지국과 네트워크 컨트롤러를 통해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된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배터리 전하를 절약하기 위해 휴면 모드에 들어간다. 이들은 예시의 실시예로 전류 드레인 감소 상태에 들어가기 위해 다른 표준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장치는 무선 전화와 같은 전자 장치이다. 여기 기재된 무선 전화는 본 발명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무선 통신 장치의 유형을 대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통신 능력 등을 갖는 무선 전화, 코드리스 전화, 페이징 장치,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 휴대용 컴퓨터, 펜 계통이나 키보드 계통의 핸드헬드 장치, 원격 제어 유닛, 휴대용 매체 플레이어 (MP3나 DVD 플레이어 등)를 포함하는 어느 유형의 핸드헬드 또는 휴대용 장치에나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무선 전화(100)로 언급한 것은 다른 휴대용 무선 전자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 전에 이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휴면 모드에 관련한 방법의 단계와 장치의 구성 요소의 조합에 주로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치의 구성 요소와 방법의 단계들은 도면에서 적합하게 종래의 부호로 나타내었으며, 여기 기재된 것에 의해 이익을 갖는 당업자에게는 쉽게 명확하게 되는 상세 사항으로 본 명세서를 불명확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특정 설명만을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각종 실시예를 이용하는 최상의 모드를 가능한 방식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명세서는 또한 본 발명을 어느 식으로든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원리와 장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1 타이머 및 제2 타이머와 같은 제1 및 제2 등과 같은 관련 용어의 이용은 개체나 동작을 이들 간의 실제적인 관계나 순서를 필요로 하거나 수반하지 않고 다른것과 구별하기 위해 이용될 뿐이다.
네트워크로부터 채널 조건 임계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주기적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의 방법이 개시된다. 장치는 휴면 모드에 들어가고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한다. 이동국은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이 채널 조건 임계값 보다 더 크다고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 휴면 모드에서 나온다.
도 1은 비주기적 이동국 휴면 모드에 대한 일 예시의 프로세스 흐름도를 나타낸다. 휴면 모드는 휴면 상태, 휴지 상태나 페이징 상태로 또한 알려진, 배터리 전하를 절약하기 위한 장치의 전류 드레인 감소 상태를 나타낸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채널 조건 임계값과 제1 타이머 값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다(102). 이동국이 기상하여 양호한 채널 조건을 네트워크에 나타내기 전에, 이동국은 얼마나 많은 프레임 "Y"이 마지막 패킷 전송 이후나 휴면 모드로의 변환 이후에 통과했는지를 나타내는 변수를 수신한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페이징 상태인 휴면 모드(104)에 들어갈 때, 이동국은 제1 타이머를 실행하고, 프레임을 카운팅하고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최소한의 임무를 실행한다. 이동국은 장치가 휴면 모드에 있는 시간 길이를 추적하기 위해 제1 타이머(104)를 기동하고, 이 시간 길이는 이 예시의 실시예에 대해서 휴면 모드에 있는 장치의 최대한의 시간 길이이다. 제1 타이머는 수신된 제1 타이머 값과 관련된다. 제1 타이머는 제1 타이머 값에 이를 때 만료한다(114).
동시에, 즉 휴면 모드에 있는 동안, 이동국은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통과한 프레임의 수를 카운트한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마지막 정보의 수신 이후 "Y" 프레임이 통과했는지를 판단한다(106). "Y" 프레임이 통과하지 않았다면, 이동국은 "Y" 프레임이 통과할 때까지 또는 제1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114) 계속 휴면 상태이다. "Y" 프레임이 통과하면, 이동국은 측정된 채널 조건이 수신된 채널 조건 임계값 보다 더 큰지를 판단한다(108). 이동국은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수신기를 턴온하고, 채널 조건을 측정한 다음에, 수신기를 턴오프함으로써 이를 판단하게 된다. 측정된 채널 조건이 임계값 이상이면, 이동국은 휴면 모드로부터 나오게 된다 (기상한다; 110). 이동국이 데이터를 교환하고 있지 않거나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중이고 휴면 모드에 들어가게 되면, 이동국은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프레임을 카운트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일단 기상하면, 이동국은 이것이 기상 상태이고 (즉, 기상 표시 메시지) 이동국이 (즉, 이동국으로나 이동국으로부터) 데이터 교환 준비가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보낸다(112).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는 채널 품질 값 (즉, 측정된 채널 조건)을 나타내거나 채널 품질이 임계치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채널 품질 정보 (CQI) 리포트를 포함한다. 다르게, 다른 예시의 실시예에서, 기상 표시 메시지는 버퍼 점유 정보 뿐만 아니라 버퍼 QoS 정보로 구성될 수 있는 버퍼 표시를 포함한다.
도 1의 예시의 실시예에 이어서, "Y" 프레임이 통과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통상 제1 타이머 값 보다 작다. 마지막 데이터 수신 이후 통과한 프레임의 수, "Y 프레임"을 추적하는 것은 보내질 데이터가 있을 때 양호한 채널 조건이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 전송 스케줄러에 의해 이용되는 것을 확실하게 해준다. 예를 들어, 스케줄러가 이동국으로의 마지막 전송 이후 곧 이동국을 스케줄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동국이 양호한 채널 조건 (임계치보다 더 큼)에 있는 것으로 인해 휴면 모드에 들어갈 때 즉시 기상하지 않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Y" 프레임이 카운트된다. 이동국으로의 마지막 전송을 스케줄하기 전에 유한 시간, 즉 "Y" 프레임을 정의하는 것은 셀 내의 서로 다른 이동국들 간의 데이터 전송과 수신을 위한 공평한 기회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특별하게 프레임을 카운트하는 것이 아니라 제2 타이머를 이용하는데 이 타이머는 이 실시예에서 프레임이 유한의 지속 시간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통과한 프레임의 수를 결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다른 예에서, 장치가 데이터 세트를 수신하고 있고 데이터 패킷이나 부분 사이에 수신시 충분히 긴 중간 휴식이 있다면, 이동국은 웹 브라우징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예를 들어, 웹 페이지)의 판독 시간의 필요성과 이로 인해 중간 주기에서 더 많은 데이터의 요청이 더 이상 없음으로 인해 휴면 모드에 들어가게 된다. "Y" 프레임 카운터, 예를 들어, 제2 타이머는 측정된 채널 조건이 임계값 이상인 한 이동국이 기상하게 한 다음에, 데이터 세트의 나머지를 수신하게 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제1 타이머가 만료하여 휴면 모드에서 기상한 후에 대기하게 된다.
이동국이 "Y" 프레임이 통과했다고 판단하고(106)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이 수신된 채널 조건 임계값 보다 크지 않거나 동일하다고 판단하면(108), 이동국은 채널 조건을 계속 모니터링하여 채널 조건이 임계값 보다 클 때 기상하거나 제1 타이머가 만료할 때 기상하게 된다(114).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완전히 기상하여 메시지 스케줄링을 위해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 보다 이동국의 전력 소비를 덜 필요로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임계값 이상으로 향상된 채널 조건에 응답하여, 이동국은 휴면 모드에서 나오게 된다(110). 이동국은 다음에 기상한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네트워크에게 보낸다(112). 이동국은 또한 메시지에 CQI 리포트, 채널 조건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채널 조건 식별 정보는 어느 채널 조건이 이 실시예에서 보내지고 있는지를 네트워크에 나타낸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타이머는 이동국이 휴면 모드에 들어갈 때 기동한다. 타이머가 만료하면, 이동국은 기상한다(120). 이 경우 네트워크가 이 실시예에서 제1 타이머에 의해 정의된 이들 간격으로 기상하도록 이동국을 구성했기 때문에 이동국이 기상한 것을 네트워크에게 표시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동국은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할 때 네트워크를 보조하기 위해서 기상시 그 채널 조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채널 조건이 원하는 바와 같지 않더라도 이동국은 네트워크와 통신하게 되어 원하지 않는 시간 길이 동안 휴면하지 않아 예를 들어 인입하는 호를 놓치지 않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해준다.
당업자라면 복수의 채널 조건들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채널 품질은 신호 대 잡음 비율, 비트 에러 비율, 프레임 에러 비율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채널 조건 임계값은 시스템의 효율성 및 그 외 복수의 속성에 근거할 수 있는 신호 품질에 관한 속성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데이터 스케줄링을 만족시키도록 네트워크 조작자에 의해 세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스케줄러는 다수의 요인에 근거하여 이동국으로의 전송을 목표로 하고 채널 조건 임계값과 제1 타이머 값을 서비스의 트래픽 품질 (QoS) 등급, 이동국의 채널 조건, 네트워크에서의 버퍼링 능력, 이동국이 서비스된 마지막 시간 (예를 들어, 공평성 기준) 등에 근거를 둘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 조건 임계값은 이동국에 의해 미리 설정된 허용 오차 또는 채널 조건 임계값 제한치 내의 레벨로 맞추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은 채널 조건 상한 임계값과 채널 조건 하한 임계값 사이의 채널 조건 임계값에 맞추어질 수 있다. 제한 임계값은 네트워크에 의해서 이동국에 특정될 수 있다. 이는 이동국이 공칭 채널 조건의 변경을 고려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이동국이 15dB 관통 손실로 빌딩에 진입하면 이동국은 기상 간의 원하는 평균 시간이 성취되도록 임계값을 적응시키거나 변경시키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네크워크로부터 채널 조건 상한 임계값과 채널 조건 하한 임계값을 수신한다. 이동국은 임 계값이 기상 간의 평균 시간을 성취하도록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 있는 한 임계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국이 일단 기상하면, 이동국은 네트워크에 보낼 데이터를 가지거나 네트워크가 이동국에 보낼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이동국이 보낼 데이터를 갖는 경우, 일단 기상하면, 이동국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데이터 교환 과정을 시작하고, 이동국은 보낼 데이터를 가진 것을 네트워크에 나타낸다. 이동국이 보낼 데이터를 갖지 않은 경우, 이동국은 네트워크가 보낼 데이터를 가졌는지 휴면 모드에 다시 들어가야 하는지를 판정해야 한다.
네트워크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은 복수의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이 기상 표시 메시지를 보낸 후, 이동국은 다음 프레임 내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계속 기상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기상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는 다음 바로 이용 가능한 전송 프레임 내에서 이동국에 데이터를 보내기 시작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계속 기상 상태로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이동국이 어느 데이터나 데이터 펜딩 표시자를 수신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휴면 모드에 다시 들어가 계속해서 상술된 방법이 이어진다.
일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이 기상 표시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이동국은 제3 타이머에 의해 판단될 수 있는 X 프레임의 주기 동안, 이동국에 보내지길 대기하고 있는 데이터가 있다는 네트워크로부터의 표시를 대기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국이 X 프레임 내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어느 것도 수신하지 않은 경우, 휴면 모드에 다시 들어간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X는 네트워크가 수신된 CQI 리포트를 처리하고 예를 들어 대기중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할 필요가 있는 프레임의 수와 관련된다. 프레임의 수, X는 네트워크 과잉, 데이터 크기, 데이터 유형 등으로 인한 스케줄링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변수에 관련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이동국이 휴면 모드에서 나온 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예시의 프로세스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기상 후, 펜딩 다운링크 (DL) 데이터 표시를 수신한다(202).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프레임 "Z"에서, 이동국의 채널 조건 지식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가지며 스케줄되게 된다고 표시한다(202). 이동국은 스케줄링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거나 네트워크는 이동국이 예를 들어, X 프레임 후에 스케줄링 메시지를 수신하게 될 때를 나타낼 수 있다. DL 데이터 표시를 수신한 후에, 이동국은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휴면하는데(204), 즉 Z+X 프레임 대기한 다음에, Z+X 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때맞추어 기상한다(206). 프레임의 수, Z+X는 데이터가 네트워크로부터 프레임 "Z"를 지나 "X" 프레임 전송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X"는 또한 제로와 동일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레임 "Z"에서 시작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주지되어야 한다.
도 3은 비주기적 이동국 휴면 모드에 대한 예시의 스케줄링 메커니즘 시순서(time sequence)를 나타낸다. 도 3은 데이터가 이동국에 의해 전송 또는 수신되도록 스케줄되는 순서의 프레임(300)을 나타낸다. 도 3은 이동국이 프레임 2(302)에서 기상하고 네트워크에 기상한 것을 나타내는 것을 도시한다. 프레임 3(304)에 서 이동국은 펜딩 다운링크 (DL) 데이터 표시를 수신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적어도 프레임 4 내지 8(306)에 걸쳐 기상 상태를 유지하여 연속적으로 네트워크로부터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
도 4는 비주기적 이동국 휴면 모드에 대한 다른 예시의 스케줄링 메커니즘 시순서를 나타낸다. 도 4는 데이터가 이동국에 의해 전송 또는 수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순서의 프레임(400)을 나타낸다. 도 2와 관련하여 도 4는 이동국이 프레임 2(402)에서 기상하여 기상한 것을 네트워크에게 나타내는 것을 도시한다. 프레임 3(404)에서 이동국은 펜딩 다운링크(DL) 데이터 표시를 수신하고 이동국은 이동국이 예를 들어, 프레임 "X"에서 스케줄링 메시지를 수신하게 될 때에 대한 표시를 수신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프레임 4(406)에서 휴면 모드에 들어가고 프레임 "X"에서 기상하며, 이 프레임은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프레임 8(408)이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프레임 Z와 X 사이에서 계속 휴면하며, 또한 채널 조건을 계속하여 모니터링하여 채널 조건이 임계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에 (예를 들어, 제1 타이머 만료) 기상하게 된다. 그러나, 제1 타이머가 채널 조건과 상관 없이, 임의의 시간에 만료하게 되면, 이동국은 기상하게 되고(120) 기상 상태이어서 트래픽 이동국 대기 (traffic-awaiting-for-mobile) 표시를 대기한다는 표시를 네트워크에 보낼 수 있다.
스케줄링 메커니즘 시순서에 대한 프레임(500)의 또 다른 예시의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또한 펜딩 데이터 표시자로 이동국에 대한 리소스 할당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국은 프레임 2(502)에서 기상한 후에, 스케줄링 메시지를 프레임 3(504)에서 수신하고 이로 인해 더 빠른 데이터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데, 즉 상술된 바와 같이 펜딩 데이터 표시자를 보내는 대신에 고속의 네트워크로 가능한 한 즉시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채널 조건에 부가하여 다른 변수는 이동국이 휴면 모드에서 기상할 때를 결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기상하여 그 채널 조건 및 그 현재 속도나 예측되는 장치의 도플러에 결합되는 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가 고속에서 이동하고 있으면, 채널 조건이 빠르게 향상하게 될 가능성은 이동국이 저속에서 이동하고 있는 경우보다 더 크게 된다. 네트워크는 특정 채널 조건의 변경 때까지 또는 특정 제2 타이머가 수신된 속성에 따라 만료할 때까지 이동국에게 다시 휴면 상태로 돌아가도록 명령할 수 있다. 더 짧은 타이머는 이동국이 고속도로 상에서 주행중인 차량에서와 같이 비교적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정지 상태이고 채널 조건이 신속히 개선될 가능성은 적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이동국에 대한 약간의 데이터를 가지며 데이터가 배경 트래픽 QoS 클래스라고 판단할 때, 네트워크의 전류 부하가 주어지면 채널 조건의 향상이 발생할 때까지 이동국에게 휴면 상태가 되게 명령할 수 있다. 어느 조건에서나, 이동국은 서비스 제공 셀을 변경할 때 이들 변수를 리세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교환될 데이터가 배경 QoS 클래스에 속할 때, 네트워크는 이동국에게 펜딩 데이터가 있지만 이동국은 이동국 채널 조건이 향상될 때까지 수신을 예측해서는 안된다는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채널 조건이 채 널 조건 임계값 또는 이동국에 제공된 다른 임계값 이상으로 향상될 것을 요구한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또한 이동국에서 미리 결정되어 저장된 제3의 독립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이 값에 이르면 네트워크에게 기상 상태인 것을 보고한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제1 시간이 만료한 후 채널 조건이 채널 조건 임계값 이하인 동안 휴면 모드에서 나온다(120). 이동국은 펜딩 데이터 표시를 수신하지만 또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측정된 채널 조건이 채널 조건 임계값 보다 크거나 동일할 때까지 다시 휴면 상태로 돌아가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데이터가 낮은 우선 순위로 되어 있으며,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배경 QoS 클래스 데이터이며, 이동국이 데이터를 수신할 더 양호한 채널 조건이 있을 때까지 휴면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네트워크는 또한 데이터가 특정 레벨의 QoS를 요한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이동국에게 채널 조건이 필요한 QoS에 적정한 레벨로 향상될 때까지 휴면 모드를 재개하도록 명령한다.
이동국은 이동국이 휴면 모드에 있는 시간과 이동국이 기상 상태인 시간이 미리 정해진 불연속적 패턴으로부터 유도되는 일 예시의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적인 수신 (DRX) 모드로 알려진 복수의 휴면 및 기상 패턴 이후에 휴면 모드에 들어가고 나온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에너지 효율 (즉, 배터리 상의 전류 드레인)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페이징 상태에서 이용되는 복수의 DRX 패턴(또는 모드로도 불림)을 갖는다.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DRX 모드는 채널 조건의 이동국 전류 예측치 (즉, 측정치)에 따라 그리고 측정된 값이 채널 조건 임계값 이상이거나 이하인지에 따라서 좌우된다.
부가하여 이는 또한 채널 조건 임계값의 네트워크 설비에 기초할 수 있다. 이동국은 네트워크에게 기상 상태이며 데이터가 버퍼되었는지를 알도록 체크하여 펜딩 데이터나 데이터 자체의 표시를 수신하지 않을 때 휴면 상태가 된 것을 표시한다. 이동국은 네트워크에게 미리 결정된 시간에 기상 상태인 것과 반대로 (채널 조건 리포트를 포함하여) 기상 상태라고 표시한다. 불량한 채널 조건 동안 이동국은 특히 수신될 데이터가 배경 QoS 클래스 (이메일 다운로드 등)로 되어 있을 때, 다수의 재전송 시도로 데이터를 수신할 때 너무 많은 배터리가 낭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오히려 더 길게 휴면하게 된다. 양호한 채널 조건 동안 더욱 빈번한 기상을 확실히 함으로써, 네트워크에서 버퍼될 데이터가 덜 필요하며 또한 이렇게 비송신된 적은 양의 데이터가 서비스 제공 셀의 변경시 목표 기지국에게 전송될 필요가 있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음성에 대해 허용 가능한 최대 지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된 다른 중첩 DRX 사이클을 가질 수 있다. 다음에, 이동국이 비교적 불량인 채널 조건 상태에 있을 때에도, 이동국은 예를 들어 음성 호를 종료하기 위해 스케줄될 필요가 있다. 또한 트래픽 유형에 기초하여 다른 임계값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 임계값이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설정되고 저 임계값은 저속의 데이터 서비스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교환을 위해, 저속의 데이터 서비스는 가장 가능한 채널 조건 없이도 전달될 수 있다. 음성 서비스에서는 이동국을 스케줄해야 하는 관점에서 유연성이 적고 (즉, 사용자가 호를 종료할 때, 시그널링은 비교적 빠르게 발생해야 함); 그러나, 데이 터 응용시 이동국과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충분한 메커니즘이 주어지면 이용될 수 있는 충분한 유연성이 있다. 이 경우, 기상시, 이동국은 채널 품질 임계값 중 어느 것을 현재 만족하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국에 예를 들어 다른 QoS 요구 조건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채널 조건 임계값이 제공되는 경우, 이동국은 처음에 제2 채널 조건 임계값이 아닌 제1 채널 조건 임계값을 초과하는 채널 조건에 있을 수 있다. 다음에 이동국은 네트워크에게 그 채널 조건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표시하고 네트워크는 전송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이동국을 스케줄할 수 있다. 이동국의 채널 조건의 측정이 제2 채널 조건 임계값을 초과할 때, 이동국은 그 채널 조건이 제2 채널 조건 임계값을 초과했다는 다른 표시를 보내게 되고, 이에 이어 이동국은 네트워크에게 의해 스케줄 될 수 있다.
여기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종래의 프로세서 및 여기 기재된 비주기적 이동국 휴면 모드의 기능 중 약간, 대부분 또는 모두를 특정 비프로세서 회로와 관련하여 실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저장된 고유 프로그램 명령으로 이루어지거나 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비프로세서 회로는 무선 수신기, 무선 송신기, 신호 드라이버, 클럭 회로, 전원 회로, 및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이들 기능은 비주기적 휴면 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의 단계로 해석될 수 있다. 다르게, 약간이나 모든 기능은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갖지 않는 상태 머신에 의해서, 또는 하나 이상의 특정 용도의 집적 회로 (ASIC)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회로에 서 각 기능이나 특정 기능의 조합은 특별 주문 로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두 방법의 조합이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기능의 방법 및 수단이 여기 개시되었다. 또한, 당업자라면, 여기 기재된 개념과 원리를 알게 되면, 가능한 상당한 노력 및 예를 들어 이용 가능 시간, 현재 기술 및 경제적 고찰에 의해 동기화되는 많은 디자인 선택 사항에도 불구하고, 최소한의 경험으로 이런 소프트웨어 명령과 프로그램 및 IC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최상의 모드로 현재 고려되고 있는 것들이 발명자에 의해 그 소유를 설정하며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이루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기재되었지만, 여기 기재된 예시의 실시예에 대한 많은 등가물이 가능하며 예시의 실시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제한되게 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9)

  1. 비주기적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aperiodic mobile assisted sleep mode)의 방법으로서:
    채널 조건 임계값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휴면 모드에 있는 동안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이 상기 채널 조건 임계값 보다 더 크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휴면 모드에서 나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채널 조건 제한 임계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채널 조건 상한 임계값과 채널 조건 하한 임계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임계값 내의 상기 채널 조건 임계값을 기상(wake ups) 사이의 평균 시간을 얻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데이터 교환 준비가 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 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펜딩 데이터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될 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휴면 모드에 들어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마지막 정보의 수신 이후 Y 프레임이 통과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휴면 모드에서 나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마지막 정보의 수신 이후 Y 프레임이 통과했다는 판단; 및 상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이 상기 채널 조건 임계값 보다 작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휴면 모드에서 나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의 타이머 값을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이 상기 휴면 모드에 들어간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이머를 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모드는 페이징 모드인 방법.
  14.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의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휴면 모드에 있는 동안 통신 채널의 채널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채널 조건이 제1 채널 조건일 때 휴면 주기를 제1 휴면 주기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채널 조건 값이 제2 채널 조건일 때 휴면 주기를 제2 휴면 주기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조건 임계값과 상기 제2 채널 조건 임계값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기상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메시지 및 제1 채널 조건을 나타내는 제1 채널 조건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채널 조건이 상기 제1 채널 조건으로부터 상기 제2 채널 조건으로 변경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휴면 주기로부터 상기 제2 휴면 주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제1 DRX 주기 표시자 및 제2 DRX 주기 표시자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류 드레인을 감소하는 방법으로서:
    채널 조건 임계값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펜딩 데이터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휴면 모드에 진입하여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채널 조건이 상기 채널 조건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조건이 상기 채널 조건 임계값 보다 클 때까지 휴면 모드를 나와 기상 표시자를 상기 네트워크에게 송신하기를 대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87019243A 2006-02-09 2007-01-04 비주기적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의 방법 KR101363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50,548 US7844265B2 (en) 2006-02-09 2006-02-09 Method for aperiodic mobile assisted sleep mode
US11/350,548 2006-02-09
PCT/US2007/060087 WO2007092650A2 (en) 2006-02-09 2007-01-04 A method for aperiodic mobile assisted sleep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185A true KR20080100185A (ko) 2008-11-14
KR101363775B1 KR101363775B1 (ko) 2014-02-14

Family

ID=3833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243A KR101363775B1 (ko) 2006-02-09 2007-01-04 비주기적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의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44265B2 (ko)
EP (1) EP1985036B1 (ko)
KR (1) KR101363775B1 (ko)
CN (1) CN101385255B (ko)
BR (1) BRPI0707895B1 (ko)
RU (1) RU2435306C2 (ko)
TW (1) TWI405484B (ko)
WO (1) WO200709265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047A2 (ko) * 2011-09-06 2013-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에너지 효율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중앙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2537B2 (en) * 2006-02-07 2016-01-0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84799B2 (en) * 2006-03-28 2010-03-23 Motorola, Inc. Method for data transfer with a mobile station while in discontinuous reception state
EP1841249B1 (en) 2006-03-28 2009-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of connected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7117120A1 (en) * 2006-04-11 2007-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ly receiving packe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95166B1 (ko) * 2006-04-21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품질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GB0609426D0 (en) * 2006-05-12 2006-06-21 Univ Edinburgh A low power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US20080009328A1 (en) * 2006-07-05 2008-01-10 Motorola, Inc. Sleep mode optimization for reducing battery lif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1424258B1 (ko) 2006-08-23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WO2008035905A1 (en) * 2006-09-19 200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by connected mode user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420030C2 (ru) * 2006-10-27 2011-05-27 Интердиджитал Текнолоджи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учшения прерывистого приема в системах радиосвязи
US7957360B2 (en) * 2007-01-09 2011-06-0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 support of a long DRX in an LTE—active state in a wireless network
US8169957B2 (en) * 2007-02-05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DTX and DR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84533A (ko) 2007-03-16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WO2008115029A2 (en) * 2007-03-21 2008-09-2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268863A1 (en) * 2007-04-30 2008-10-30 Klaus Peders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Quality
KR101325920B1 (ko) * 2007-05-02 201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101498022B1 (ko) * 2008-01-03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페이징메시지 수신 방법
MX2010008477A (es) 2008-02-01 2010-09-30 Research In Motion Ltd Sistema y metodo para sincronizacion de tiempo de enlace ascendente junto con recepcion discontinua.
GB2457653A (en) * 2008-02-04 2009-08-26 Nec Corp User communications device which maintains and provides idle state cell/tracking area history
US8606336B2 (en) 2008-03-20 2013-12-1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iming synchronization in conjunction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US8121045B2 (en) * 2008-03-21 2012-02-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Channel quality indicator transmission timing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US8179828B2 (en) 2008-03-28 2012-05-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Precoding matrix index feedback interaction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US8199725B2 (en) 2008-03-28 2012-06-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Rank indicator transmission d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US8427986B2 (en) * 2008-06-13 2013-04-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er equipment
US8135553B2 (en) * 2008-07-31 2012-03-13 Mediatek Inc. Method for clock calibration
US9195296B2 (en) * 2009-09-24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device
US8554163B2 (en) * 2009-12-07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ell searching
US8442570B1 (en) * 2010-03-24 2013-05-1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tune away based upon wireless device state
US8295184B2 (en) * 2010-04-01 2012-10-23 Apple Inc. Wireless connection control
US8626906B1 (en) 2010-08-10 2014-01-07 Google Inc. Scheduling data pushes to a mobile device based on usage and applications thereof
EP2547140A1 (en) * 2011-07-11 2013-01-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configuring a node
CN103828294B (zh) * 2011-09-30 2017-06-20 英特尔公司 基于信用的功率管理
US8989035B2 (en) 2012-03-28 2015-03-24 Apple Inc. Method for power saving for wireless device in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US9143977B2 (en) * 2012-04-13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Background traffic handling in LTE
US20150071262A1 (en) * 2012-04-20 2015-03-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hat Stations are Awake and Ready to Receive Data
EP2665329A1 (en) * 2012-05-14 2013-11-20 Alcatel-Lucent Controll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s during DRX
CN103765946B (zh) * 2012-08-21 2017-08-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链路监测的方法和装置
KR20140041305A (ko) * 2012-09-27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2755428A1 (en) * 2013-01-09 2014-07-16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US20160105927A1 (en) * 2013-05-15 2016-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drx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9596650B2 (en) * 2013-09-11 2017-03-14 Microsemi Corporation Radio wake-up system with multi-mode operation
US9491522B1 (en) 2013-12-31 2016-11-08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supplemental content relating to media content on a content interface based on state information that indicates a subsequent visit to the content interface
JP6465555B2 (ja) 2014-03-25 2019-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電子機器、カメラ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40265B2 (en) 2014-05-12 2017-08-22 Qualcomm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 for extending battery life in mobile applications
US9374781B2 (en) * 2014-07-14 2016-06-21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in dual connectivity
JP6372788B2 (ja) * 2014-08-26 2018-08-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320856B (zh) * 2014-10-20 2017-12-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drx态的终端调度的方法及装置
US10284999B2 (en) * 2017-05-10 2019-05-07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compatible dedicated-frequency nodes and non-dedicated-frequency nodes
CN110368286A (zh) * 2018-04-12 2019-10-25 西安瑞新康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心肺复苏指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6366A (en) * 1994-11-30 1996-10-15 Motorola, Inc. Method of power conservation in a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6947408B1 (en) * 1998-04-17 2005-09-20 Telcordia Technologies, Inc. Wireless internet access system and method
US6212398B1 (en) * 1998-12-03 2001-04-03 Ericsson Inc. Wireless telephone that rapidly reacquires a timing reference from a wireless network after a sleep mode
US6895058B2 (en) 2000-01-17 2005-05-17 Qualcomm Incorporated Dual paging channel receiv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901276B1 (en) * 2001-05-01 2005-05-31 Palmone, Inc. Direct digital signal processor control of multi-channel scan for re-establishing connections in a wirelessly networked device
WO2003003672A2 (en) 2001-06-28 2003-01-09 King's College London Electronic data communication system
CN1720669B (zh) * 2002-11-04 2011-08-24 捷讯研究有限公司 无线设备电池节电方法和系统
US20040100940A1 (en) 2002-11-27 2004-05-27 Nokia Corporation Enhanced PDP context management using radio parameter information elements added to messages
JP3795868B2 (ja) * 2003-02-05 2006-07-12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装置とその制御モジュール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987286B1 (ko) 2003-07-31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접속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JP3832665B2 (ja) * 2004-01-23 2006-10-11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通信装置、端末装置、通信端末装置、受信方法、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GB2410654B (en) * 2004-01-28 2006-11-29 Motorola Inc A mobile station and a method of operation of the mobile station in which a receiver of the mobile station is selectively in a reduced activity state
KR101582431B1 (ko) * 2004-06-07 2016-01-04 애플 인크. 무선 접속망에서 핸드오프 및 핸드오프 선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047A2 (ko) * 2011-09-06 2013-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에너지 효율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중앙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3036047A3 (ko) * 2011-09-06 2013-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에너지 효율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중앙제어 장치 및 방법
US9462551B2 (en) 2011-09-06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efficiency of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5036A4 (en) 2012-09-26
EP1985036B1 (en) 2016-10-26
WO2007092650A2 (en) 2007-08-16
TW200737773A (en) 2007-10-01
US7844265B2 (en) 2010-11-30
RU2435306C2 (ru) 2011-11-27
BRPI0707895A2 (pt) 2011-05-10
US20070183355A1 (en) 2007-08-09
WO2007092650A3 (en) 2007-12-27
RU2008136211A (ru) 2010-03-20
KR101363775B1 (ko) 2014-02-14
TWI405484B (zh) 2013-08-11
CN101385255A (zh) 2009-03-11
BRPI0707895B1 (pt) 2019-08-20
EP1985036A2 (en) 2008-10-29
CN101385255B (zh)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775B1 (ko) 비주기적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의 방법
US7684799B2 (en) Method for data transfer with a mobile station while in discontinuous reception state
US1053689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5226771B2 (ja) ワイヤレスユーザ端末における節電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EP2127417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reports on channel quality of a communication system
KR101086842B1 (ko) 셀룰러 시스템의 수면 모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EP1973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ode timers
US20060252449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adaptive power save delivery mode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s)
JP2013051732A (ja) トラフィックプロファイルに基づく適合型電力節約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00194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 on duration in a discontinuous receive transmission mode
EP2594107B1 (en) Improved system for device state transition control
US2013032231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0611947B (zh) 非连续接收处理方法、用户终端及网络侧设备
CN110574444B (zh) 省电信号的参数动态变更方法、装置、终端和介质
CN112118590A (zh) 一种终端drx配置的方法、终端及基站
CN110945922B (zh) 省电信号的图案参数获取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118616A (zh) 一种终端盲解码的方法、终端及基站
MX2008010220A (en) A method for aperiodic mobile assisted sleep mode
CN112312428A (zh) 信息监听的方法、终端、基站
CN114071502A (zh) 配置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