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125A - 통신 시스템, 영상 신호 전송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영상 신호 전송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125A
KR20080100125A KR1020080039247A KR20080039247A KR20080100125A KR 20080100125 A KR20080100125 A KR 20080100125A KR 1020080039247 A KR1020080039247 A KR 1020080039247A KR 20080039247 A KR20080039247 A KR 20080039247A KR 20080100125 A KR20080100125 A KR 20080100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ent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사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02Special television systems not provided for by H04N7/007 - H04N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6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for domestic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로 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는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부와, 상기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발생하는 식별 정보 발생부와, 상기 영상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식별 정보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식별 정보를, 상기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보내 오는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39247
통신 시스템, 영상 신호 전송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수신 방법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영상 신호 전송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COMMUNICATION SYSTEM, VIDEO SIGNAL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ER, TRANSMITTING METHOD,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본 발명은 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영상 신호 전송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 레코더나, 셋톱박스, 그 밖의 AV 소스(Audio Visual source)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 프로젝터, 그 밖의 디스플레이에 대해, 디지털 영상 신호, 즉, 비압축(베이스밴드)의 영상 신호(이하, 「화상 데이터」라고 한다)와, 그 영상 신호에 부수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이하, 「음성 데이터」라고 한다)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가 보급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6-319503호 공보를 참조).
HDMI에 관해서는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고속으로, HDMI 소스(HDMI Source)로부터 HDMI 싱크(HDMI Sink)에 일방향으로 전송하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채널, HDMI 소스와 HDMI 싱크 사이에서 쌍방향 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CEC 라인(Consumer Electronics Control Line) 등이 규정되어 있다.
상술한 HDMI에서는 고속 전송을 실현하기 위해, HDMI 케이블의 특성에 대대 열화의 없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긴 케이블의 사용에는 맞지 않는다. 그 때문에, 소스 기기와 싱크 기기의 배치에 일정한 제한이 발생한다.
이러한 제한을 없애기 위해,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무선 전송이 되면, 케이블에 의한 전송과 달리, 무선의 전송 대역은 유한하여 다른 시스템과의 공존이 필요해지고, 항상 전송 대역을 점유할 수는 없다.
상술한 제안에서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기기 사이에서 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전송할 때, 정지화 컨텐츠의 영상 신호라도, 프레임 레이트에 의한 리프레시 주기에서, 해당 영상 신호(베이스밴드 화상 데이터)를 재발송하는 것이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정지화 컨텐츠의 영상 신호라면, 해당 영상 신호를 전송하여 버리면, 재발송을 행하지 않아도, 싱크 기기에서 해당 영상 신호를 보존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 없는 대역 점유를 회피하고, 유한한 전송 대역의 유효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부와, 상기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발생하는 식별 정보 발생부와, 상기 영상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식별 정보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식별 정보를,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영상 신호 출력부에 의해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베이스밴드 화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또한, 식별 정보 발생부에 의해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가 발생된다. 그리고, 송신부에 의해 상술한 영상 신호 및 식별 정보가 무선 전송로에 송출된다.
송신부에서는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영상 신호에 동기하여, 무선 전송로에 송출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식별 정보는 영상 신호의 블랭킹 기간에 삽입된 상태로 무선 전송로에 송출된다. 이와 같이 영상 신호의 블랭킹 기간에 식별 정보를 삽입할 때에는 예를 들면, CEA-861에 규정되어 있는 AVI(Auxiliary Video Information) InfoFrame이라는 패킷을 이용할 수 있다. 이 AVI InfoFrame는 본래, 영상에 관한 부대(supplemental) 정보를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패킷이다.
송신부에서는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영상 신호와는 비동기로, 무선 전송로에 송출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IEEE1394에 규정되어 있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무선 전송로에 송출할 때에, 해당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또한 송출함으로써,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영상 신호가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 상 신호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한 처리를, 해당 식별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출력부 및 식별 정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소스 기기와,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장치를 가지며, 소스 기기 및 무선 송신 장치는 유선으로 접속되도록 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소스 기기는 무선 송신 장치에, 식별 정보가 블랭킹 기간에 삽입된 영상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차동 신호에 의해 송신하도록 된다. 즉, 이 경우, 소스 기기와 무선 송신 장치는 HDMI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같이, 송신 장치가 소스 기기와 무선 송신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구조에서는 무선 전송 기능이 없는 소스 기기에, 어댑터 형식의 무선 송신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소스 기기에서 얻어지는 영상 신호 및 식별 정보를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송신부는 영상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일 때, 영상 신호 및 식별 정보를 소정 시간만큼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도록 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송신부는 영상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일 때, 수신측에서의 식별 정보의 확인 응답이 있는 경우에, 영상 신호 및 식별 정보를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는 것을 정지하도록 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측에서는 식별 정보에 의해 수신된 영상 신호가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인지의 여부가 식별 가능하고, 예를 들면, 식별 정보가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인 경우,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는 그 후의 프레임 의 영상 신호에 의한 받아들임(리프레시)이 정지되고, 보존되어 있는 영상 신호가 사용되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신호 및 식별 정보를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하여도, 문제는 없다.
이와 같이,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신호 및 식별 정보의 무선 전송로에의 송출을 정지함으로써, 필요 없는 대역 점유를 회피할 수 있고, 유한한 전송 대역의 유효 활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식별 정보 발생부는 영상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하나의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로부터 다른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로 변화할 때, 발생하는 식별 정보를, 우선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상태로 하고, 소정 시간 후에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로 바꾸도록 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측에서는 예를 들면, 식별 정보가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인 경우,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는 그 후의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의한 받아들임(리프레시)이 정지되고, 보존되어 있는 영상 신호가 사용되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하나의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로부터 다른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로 변화한 때, 그 영상 신호와 함께 송신되는 식별 정보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다고 하면, 수신측의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는 다른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부적합함이 생 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정보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식별 정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수신측의 영상 신호 처리부는 다른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되고, 그 후에 받아들임(리프레시)을 정지하고, 보존되어 있는 영상 신호를 이용하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무선 전송로로 보내 오는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 및 상기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신부에 의해, 무선 전송로로 보내 오는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 및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가 수신된다. 그리고, 영상 신호 처리부에 의해, 수신된 영상 신호가 처리된다.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는 예를 들면, 영상 신호에 의한 화상 표시 처리가 행하여진다. 제어부에 의해, 수신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 처리부의 동작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처리부는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식별 정보가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는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제어되고,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식별 정보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는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의 받아들임을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수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 장치와, 영상 신호 처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싱크 기기를 가지며, 무선 수신 장치 및 싱크 기기는 유선으로 접속되도록 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무선 수신 장치는 싱크 기기에, 식별 정보가 블랭킹 기간에 삽입된 상기 영상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차동 신호에 의해 송신하도록 된다. 즉, 이 경우, 무선 수신 장치와 싱크 기기는 HDMI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같이, 수신 장치가 무선 수신 장치와 싱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는 구조에서는 무선 전송 기능이 없는 싱크 기기에, 어댑터 형식의 무선 수신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무선 전송로로부터 영상 신호 및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싱크 기기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무선 송신할 때에, 해당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또한 보내는 것이고, 필요 없는 대역 점유를 회피하고, 유한한 전송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통신 시스템(100)은 소스 기기(110)와, 무선 송신 장치(120)와, 무선 수신 장치(140)와, 싱크 기기(150)를 갖고 있다.
소스 기기(110) 및 무선 송신 장치(120)는 송신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송신 장치는 무선 전송 기능을 갖지 않는 소스 기기(110)에, 어댑터 형식의 무선 송신 장치(120)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 및 무선 송신 장치(120)는 유선, 이 실시예에서는 HDMI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 및 무선 송신 장치(120)는 HDMI 케이블(13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소스 기기(110) 및 무선 송신 장치(120)는 HDMI 케이블(130)을 통하지 않고, 커넥터끼리가 직접 접속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소스 기기(110)는 제어부(111)와, 재생부(112)와, HDMI 송신부(HDMI 소스)(113)를 갖고 있다. 제어부(111)는 재생부(112) 및 HDMI 송신부(113)의 동작을 제어한다. 재생부(112)는 도시하지 않은 기록 매체로부터, 동화 컨텐츠, 정지화 컨텐츠 등의 소정의 컨텐츠의, 베이스밴드의 화상 데이터(비압축의 영상 신호), 및 이 화상 데이터에 부수되는 음성 데이터(음성 신호)를 재생하고, HDMI 송신부(113)에 공급한다. 재생부(112)에서의 재생 컨텐츠의 선택은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된다.
HDMI 송신부(HDMI 소스)(113)는 HDMI에 준거한 통신에 의해, 재생부(112)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를, HDMI 케이블(130)을 통하여, 무선 송신 장치(120)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또한, HDMI 소스(113)는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영상 신호)의 블랭킹 기간에, 해당 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삽입한다. 상술한 제어부(111)는 이 식별 정보를 발생하고, HDMI 송신부(113)에 공급한다. 이 의미에서, 제어부(111)는 식별 정보 발생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식별 정보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무선 송신 장치(120)는 제어부(121)와, 기억부(122)와, HDMI 수신부(HDMI 싱크)(123)와, 무선 송수신부(124)를 갖고 있다. 제어부(121)는 HDMI 수신부(123) 및 무선 송수신부(124)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억부(122)는 제어부(121)에 접속되어 있다. 이 기억부(122)에는 제어부(121)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HDMI 수신부(HDMI 싱크)(123)는 HDMI에 준거한 통신에 의해, HDMI 케이블(13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110)의 HDMI 송신부(113)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선 송수신부(124)에 공급한다. 무선 송수신부(124)는 HDMI 수신부(HDMI 싱크)(123)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대, 예를 들면 60GHz(밀리파)대의 신호에 업 컨버트하여, 무선 전송로(170)에 송출한다.
무선 수신 장치(140) 및 싱크 기기(150)는 수신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수신 장치는 무선 전송 기능을 갖지 않는 싱크 기기(150)에, 어댑터 형식의 무선 수신 장치(140)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무선 수신 장치(140) 및 싱크 기기(150)는 유선, 이 실시예에서는 HDMI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무선 수신 장치(140) 및 싱크 기기(150)는 HDMI 케이블(16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무선 수신 장치(140) 및 싱크 기기(150)는 HDMI 케이블(160)을 통하지 않고, 커넥터끼리가 직접 접속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무선 수신 장치(140)는 제어부(141)와, 무선 송수신부(142)와, HDMI 송신부(HDMI 소스)(143)를 갖고 있다. 제어부(141)는 무선 송수신부(142) 및 HDMI 송신부(143)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송수신부(142)는 무선 전송로(170)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주파수대에 업 컨버트된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신호에 다운 컨버트가 처리를 시행하여, 상술한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이 무선 수신부(142)는 얻어진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를 HDMI 송신부(143)에 공급한다.
HDMI 송신부(HDMI 소스)(143)는 HDMI에 준거한 통신에 의해, 무선 송수신부(142)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를, HDMI 케이블(160)을 통하여, 싱크 기기(150)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싱크 기기(150)는 제어부(151)와, 기억부(152)와, HDMI 수신부(HDMI 싱크)(153)와, 표시부(154)를 갖고 있다. 여기서, 표시부(154)는 영상 신호 처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부(151)는 HDMI 수신부(153) 및 표시부(154)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억부(151)는 제어부(151)에 접속되어 있다. 이 기억부(152)에는 제어부(151)의 제어에 필요한, E-EDID(Enhance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등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HDMI 수신부(HDMI 싱크)(153)는 HDMI에 준거한 통신에 의해, HDMI 케이블(16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무선 수신 장치(140)의 HDMI 송신부(HDMI 소스)(143)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HDMI 수신부(153)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54)에 공급한다. 또한, HDMI 수신부(153)는 수신한 음성의 데이터를,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에 공급한다. 스피커로부터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의한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HDMI 수신부(153)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에 삽입되어 있 는 식별 정보(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제어부(151)에 공급한다. 제어부(151)는 해당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154)에서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부(154)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CRT(Cathode Ray Tube) 등의 표시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소스 기기(110)의 HDMI 송신부(HDMI 소스)(113)와, 무선 송신 장치(120)의 HDMI 수신부(HDMI 싱크)(123)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HDMI 송신부(113)는 어떤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다음의 수직 동기 신호까지의 구간(이하, 적절히, 「비디오 필드」라고 한다)으로부터, 수평 블랭킹 기간 및 수직 블랭킹 기간을 제외한 구간인 유효 화상 구간(이하, 적절히, 「액티브 비디오 구간」라고 한다)에서, 베이스밴드(비압축)의 1화면분의 화상 데이터의 차동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HDMI 수신부(123)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또한, HDMI 송신부(113)는 수평 블랭킹 기간 및 수직 블랭킹 기간에서, 화상 데이터에 부수되는 음성 데이터 및 제어 패킷(Control Packet), 또한 그 밖의 보조 데이터 등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HDMI 수신부(123)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HDMI 송신부(113)는 소스 신호 처리부(71) 및 HDMI 트랜스미터(72)를 갖는다. 소스 신호 처리부(71)에는 재생부(112)(도 1 참조)로부터, 베이스밴드의 비압축의 화상(Video) 및 음성(Audio)의 데이터가 공급된다. 소스 신호 처리부(71)는 공급되는 화상 및 음성의 데이터에 필요한 처리를 시행하고, HDMI 트랜스미터(72)에 공급한다. 또한, 소스 신호 처리부(71)는 HDMI 트랜스미터(72)와의 사이에서, 필요에 따라, 제어용의 정보나 스태터스를 알리는 정보(Control/Status) 등을 교환한다.
HDMI 트랜스미터(72)는 소스 신호 처리부(71)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복수의 채널인 3개의 TMDS 채널(#0, #1, #2)로, HDMI 케이블(13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HDMI 수신부(123)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또한, 트랜스미터(72), 소스 신호 처리부(71)로부터 공급되는 비압축의 화상 데이터에 부수되는 음성 데이터나 제어 패킷 그 밖의 보조 데이터(auxiliary data)와,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등의 제어 데이터(control data)를,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3개의 TMDS 채널(#0, #1, #2)로, HDMI 케이블(13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HDMI 수신부(123)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또한, 트랜스미터(72)는 3개의 TMDS 채널(#0, #1, #2)로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에 동기한 픽셀 클록을, TMDS 채널로, HDMI 케이블(13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HDMI 수신부(123)에 송신한다.
HDMI 수신부(123)는 액티브 비디오 구간에서, 복수 채널로, HDMI 송신부(113)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수평 블랭킹 기간 및 수직 블랭킹 기간에서, 복수의 채널로, HDMI 송신부(11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보조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 를 수신한다.
HDMI 수신부(123)는 HDMI 리시버(81) 및 싱크 신호 처리부(82)를 갖는다. HDMI 리시버(81)는 TMDS 채널(#0, #1, #2)로, HDMI 케이블(13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HDMI 송신부(113)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와, 보조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마찬가지로 HDMI 송신부(113)로부터 TMDS 클록 채널로 송신되어 오는 픽셀 클록에 동기하여 수신한다. 또한, HDMI 리시버(81)는 차동 신호를,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보조 데이터,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필요에 따라, 싱크 신호 처리부(82)에 공급한다.
싱크 신호 처리부(82)는 HDMI 리시버(8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필요한 처리를 시행하고, 무선 송수신부(124)에 공급한다. 그 밖에, 싱크 신호 처리부(82)는 HDMI 리시버(81)와의 사이에서, 필요에 따라, 제어용의 정보나 스태터스를 알리는 정보(Control/Status) 등을 교환한다.
HDMI의 전송 채널에는 HDMI 송신부(113)로부터 HDMI 수신부(123)에 대해, 화상 데이터, 보조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픽셀 클록에 동기하여,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하기 위한 3개의 TMDS 채널(#0, #1, #2)과, 픽셀 클록을 전송하는 전송 채널로서의 TMDS 클록 채널 외에, DDC(Display Data Channel), 나아가서는 CEC 라인이라고 불리는 전송 채널이 있다.
도 3은 도 2의 HDMI 트랜스미터(72)와 HDMI 리시버(8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HDMI 트랜스미터(72)는 3개의 TMDS 채널(#0, #1, #2)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A, 72B, 72C)를 갖는다. 그리고,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A, 72B, 72C)의 각각은 그곳에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 보조 데이터, 제어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패럴렐 데이터로부터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차동 신호에 의해 송신한다. 여기서, 화상 데이터가, 예를 들면 R(적), G(녹), B(청)의 3성분을 갖는 경우, B성분(B component)은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A)에 공급되고, G성분(G component)은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B)에 공급되고, R성분(R component)은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C)에 공급된다.
또한, 보조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나 제어 패킷이 있고, 제어 패킷은 예를 들면,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A)에 공급되고, 음성 데이터는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B, 72C)에 공급된다.
또한, 제어 데이터로서는 1비트의 수직 동기 신호(VSYNC), 1비트의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각각 1비트의 제어 비트(CTL0, CTL1, CTL2, CTL3)가 있다.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는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A)에 공급된다. 제어 비트(CTL0, CTL1)는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B)에 공급되고, 제어 비트(CTL2, CTL3)는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C)에 공급된다.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A)는 그곳에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B성분,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 및 보조 데이터를, 시분할로 송신한다. 즉,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A)는 그곳에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B성분을, 고정의 비트 수인 8비트 단위의 패럴렐 데이터로 한다. 또한,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A)는 그 패럴렐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TMDS 채널(#0)로 송신한다.
또한,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A)는 그곳에 공급되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의 2비트의 패럴렐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TMDS 채널(#0)로 송신한다. 또한,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A)는 그곳에 공급되는 보조 데이터를 4비트 단위의 패럴렐 데이터로 한다. 그리고,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A)는 그 패럴렐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TMDS 채널(#0)로 송신한다.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B)는 그곳에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G성분, 제어 비트(CTL0, CTL1), 및 보조 데이터를, 시분할로 송신한다. 즉,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B)는 그곳에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G성분을, 고정의 비트 수인 8비트 단위의 패럴렐 데이터로 한다. 또한,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B)는 그 패럴렐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TMDS 채널(#1)로 송신한다.
또한,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B)는 그곳에 공급되는 제어 비트(CTL0, CTL1)의 2비트의 패럴렐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TMDS 채널(#1)로 송신한다. 또한,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B)는 그곳에 공급되는 보조 데이터를 4비트 단위의 패럴렐 데이터로 한다. 그리고,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B)는 그 패럴렐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TMDS 채널(#1)로 송신한다.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C)는 그곳에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R성분, 제어 비트(CTL2, CTL3), 및 보조 데이터를, 시분할로 송신한다. 즉,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C)는 그곳에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R성분을, 고정의 비트 수인 8비트 단위 의 패럴렐 데이터로 한다. 또한,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C)는 그 패럴렐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TMDS 채널(#2)로 송신한다.
또한,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C)는 그곳에 공급되는 제어 비트(CTL2, CTL3)의 2비트의 패럴렐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TMDS 채널(#2)로 송신한다. 또한,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C)는 그곳에 공급되는 보조 데이터를 4비트 단위의 패럴렐 데이터로 한다. 그리고, 인코더/시리얼라이저(72C)는 그 패럴렐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TMDS 채널(#2)로 송신한다.
HDMI 리시버(81)는 3개의 TMDS 채널(#0, #1, #2)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리커버리/디코더(81A, 81B, 81C)를 갖는다. 그리고, 리커버리/디코더(81A, 81B, 81C)의 각각은 TMDS 채널(#0, #1, #2)로 차동 신호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 보조 데이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리커버리/디코더(81A, 81B, 81C)의 각각은 화상 데이터, 보조 데이터, 제어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로부터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하고, 또한 디코드하여 출력한다.
즉, 리커버리/디코더(81A)는 TMDS 채널(#0)로 차동 신호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의 B성분,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리커버리/디코더(81A)는 그 화상 데이터의 B성분,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 보조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로부터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코드하여 출력한다.
리커버리/디코더(81B)는 TMDS 채널(#1)로 차동 신호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의 G성분, 제어 비트(CTL0, CTL1),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리커버리/디코더(81B)는 그 화상 데이터의 G성분, 제어 비트(CTL0, CTL1), 보조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로부터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코드하여 출력한다.
리커버리/디코더(81C)는 TMDS 채널(#2)로 차동 신호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의 R성분, 제어 비트(CTL2, CTL3),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리커버리/디코더(81C)는 그 화상 데이터의 R성분, 제어 비트(CTL2, CTL3), 보조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로부터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코드하여 출력한다.
도 4는 HDMI의 3개의 TMDS 채널(#0, #1, #2)로 각종의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전송 구간(기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는 TMDS 채널(#0, #1, #2)에서, 가로×세로가 720×480픽셀의 프로그레시브의 화상이 전송되는 경우의, 각종의 전송 데이터의 구간을 나타내고 있다.
HDMI의 3개의 TMDS 채널(#0, #1, #2)로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비디오 필드(Video Field)에는 전송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 구간(Video Data period),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Data Island period), 및 컨트롤 구간(Control period)의 3종류의 구간이 존재한다.
여기서, 비디오 필드 구간은 어떤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active edge)로부터 다음의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까지의 구간이고, 수평 블랭킹 기간(horizontal blanking), 수직 블랭킹 기간(vertical blanking), 및, 비디오 필드 구간에서, 수평 블랭킹 기간 및 수직 블랭킹 기간을 제외한 구간인 액티브 비디오 구간(Active Video)으로 나뉘어진다.
비디오 데이터 구간은 액티브 비디오 구간에 할당된다. 이 비디오 데이터 구간에서는 비압축의 1화면분의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720픽셀×480라인분의 유효 픽셀(Active pixel)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 및 컨트롤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 및 수직 블랭킹 기간에 할당된다. 이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 및 컨트롤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Auxiliary data)가 전송된다.
즉,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과 수직 블랭킹 기간의 일부분에 할당되어 있다. 이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중, 제어에 관계 없는 데이터인,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의 패킷 등이 전송된다.
컨트롤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과 수직 블랭킹 기간의 다른 부분에 할당되어 있다. 이 컨트롤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중의, 제어에 관게되는 데이터인, 예를 들면,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 제어 패킷 등이 전송된다.
여기서, 현행의 HDMI에서는 TMDS 클록 채널로 전송되는 픽셀 클록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165MHz이고, 이 경우,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의 전송 레이트는 약 500Mbps 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 및 컨트롤 구간에서는 어느것이나, 보조 데이터가 전송되지만, 그 구별은 제어 비트(CTL0, CTL1)에 의해 행하여진다. 즉, 도 5는 제어 비트(CTL0, CTL1)와,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 및 컨트롤 구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 비트(CTL0, CTL1)는 예를 들면, 도 5의 위로부터 1번째에 도시하는 바 와 같이, 디바이스 이네이블(device enable) 상태와, 디바이스 디세이블(device disable) 상태와의 2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5의 위로부터 1번째에서는 디바이스 이네이블 상태를 H(High) 레벨로 나타내고 있고, 디바이스 디세이블 상태를 L(Low) 레벨로 나타내고 있다. 제어 비트(CTL0, CTL1)는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에서는 디바이스 디세이블 상태가 되고, 컨트롤 구간에서는 디바이스 이네이블 상태가 되고, 이로써,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과 컨트롤 구간이 구별된다.
제어 비트(CTL0, CTL1)가 디바이스 디세이블 상태로서의 L레벨이 되는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에서는 도 5의 위로부터 2번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데이터중의, 제어에 관계되지 않는 데이터인,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 등이 전송된다. 한편, 제어 비트(CTL0, CTL1)가 디바이스 이네이블 상태로서의 H레벨이 되는 컨트롤 구간에서는 도 5의 위로부터 3번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데이터중의, 제어에 관계되는 데이터인, 예를 들면, 제어 패킷이나 프리앰블 등이 전송된다. 그 밖에, 컨트롤 구간에서는 도 5의 위로부터 4번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도 전송된다.
또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1의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무선 수신 장치(140)의 HDMI 송신부(HDMI 소스)(143)와, 싱크 기기(150)의 HDMI 수신부(HDMI 싱크)(153)도, 상술한 HDMI 송신부(113), HDMI 수신부(12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기기(110)의 HDMI 송신부(HDMI 소스)(113)에서, 화상 데이터(영상 신호)의 블랭킹 기간에 삽입되는 식별 정보(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SPF)(Still Picture Flag)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상술한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에 배치되는 AVI(Auxiliary Video Information) InfoFrame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HDMI에서는 해당 AVI InfoFrame 패킷에 의해, 화상에 관한 부대 정보를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에 전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AVI InfoFrame은 영상 프레임마다 1회 전송되기 때문에, 영상 신호의 포맷 등이 변경이 된 경우에는 이 AVI InfoFrame의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싱크 기기측에 통지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에서, 제 1 내지 제 3의 바이트는 헤더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바이트에는 패킷 타입이 기술되고, 여기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VI InfoFrame 패킷을 나타내는 「0x82(8216)」로 되어 있다. 제 2 바이트에는 버전 정보가 기술된다. 제 3 바이트에는 패킷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되고, 여기서는 「0xD(13)」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식별 정보(SPF)는 도 6의 데이터 구조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VI InfoFrame 패킷의 제 8 바이트(Data Byte5), 제 4 비트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SPF=「1」의 상태는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면, SPF=「0」의 상태는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가 아닌 것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소스 기기(110)의 재생부(112)에서, 유저의 선택 조작에 의거하여, 소정의 컨텐츠의 재생이 행하여진 다. 재생부(112)에서 얻어지는 소정의 컨텐츠에 관한 베이스밴드(비압축)의 화상 및 음성의 데이터는 HDMI 송신부(HDMI 소스)(113)에 공급된다. 또한, 제어부(111)로부터는 상술한 재생부(112)에서 재생되는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SPF)가 발생된다. 이 식별 정보(SPF)는 제어부(111)로부터 HDMI 송신부(HDMI 소스)(113)에 공급된다.
HDMI 송신부(113)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에, 식별 정보(SPF)가 삽입된다. 즉, 이 HDMI 송신부(113)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에 삽입되는 상술한 AVI InfoFrame 패킷의 제 8 바이트(Data Byte5), 제 4 비트에, 식별 정보(SPF)가 배치된다.
그리고, HDMI 송신부(113)에서는 HDMI에 준거한 통신에 의해, 블랭킹 기간에 식별 정보(SPF)가 삽입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HDMI 케이블(130)을 통하여, 무선 송신 장치(120)에 일방향으로 송신된다.
무선 송신 장치(120)의 HDMI 수신부(HDMI 싱크)(123)에서는 HDMI에 준거한 통신에 의해, 소스 기기(110)의 HDMI 송신부(113)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가 수신되고, 무선 송수신부(124)에 공급된다. 무선 송수신부(124)에서는 HDMI 수신부(HDMI 싱크)(123)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가, 소정의 주파수대, 예를 들면 60GHz(밀리파)대의 신호에 업 컨버트되어, 무선 전송로(170)에 송출된다.
또한, 무선 수신 장치(140)의 무선 송수신부(142)에서는 무선 전송로(170)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주파수대에 업 컨버트된 신호가 수신되고, 해당 신 호에 다운 컨버트의 처리가 시행되어, 상술한 베이스밴드(비압축)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무선 수신부(142)에서 얻어지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는 HDMI 송신부(143)에 공급된다. HDMI 송신부(143)에서는 HDMI에 준거한 통신에 의해, 무선 송수신부(142)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가, HDMI 케이블(160)을 통하여, 싱크 기기(150)에 일방향으로 송신된다.
싱크 기기(150)의 HDMI 수신부(HDMI 싱크)(153)에서는 HDMI에 준거한 통신에 의해, 무선 수신 장치(140)의 HDMI 송신부(HDMI 소스)(143)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가 수신된다. HDMI 수신부(153)에서 수신된 베이스밴드(비압축)의 화상 데이터는 표시부(154)에 공급된다. 이 표시부(154)에서는 HDMI 수신부(153)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가 처리되고, 해당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HDMI 수신부(153)에서 수신된 베이스밴드(비압축)의 음성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에 공급되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의한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HDMI 수신부(153)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에 삽입되어 있던 식별 정보(SPF)가 취득되고, 이 식별 정보(SPF)는 제어부(151)에 공급된다. 그리고, 표시부(154)에서의 동작이, 식별 정보(SPF)에 의거하여 제어된다. 즉, 식별 정보(SPF)가 「0」으로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 표시부(154)는 HDMI 수신부(153)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받아어들이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표시부(154)는 프레임 레이트마다, 표시가 리프레시되는 리프레시 제어 상태가 된다.
또한, 식별 정보(SPF)가 「1」로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 표시부(154)는 HDMI 수신부(153)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표시부(154)는 받아들임 정지 전에 보존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표시를 행하는 정지 제어 상태가 된다.
상술한 소스 기기(110)에서는 재생부(112)에서 정지화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해당 재생부(112)로부터는 프레임 레이트마다, 동일한 화상 데이터가 반복하여 얻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송신 장치(120)에 의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업 컨버트되어 무선 전송로(170)에 송출되지만, 이와 같은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화상 데이터의 송신은 소정 시간만큼 행하여지고, 그 후는 정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싱크 기기(150)에서는 HDMI 수신부(153)에서 수신된 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식별 정보(SPF)가 취득된 후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리프레시)이 정지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한 정지화 표시가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재생부(112)에서 정지화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로(170)에 송출하는 것을 소정 시간만에 정지하였다고 하여도 문제는 없다. 이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송출이 정지됨으로써, 필요 없는 대역 점유가 회피되고, 유한한 전송 대역의 유효 활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소스 기기(110)에서는 재생부(112)에서 재생되는 정지화 컨텐츠가 어떤 정지화 컨텐츠로부터 다른 정지화 컨텐츠로 체인지되는 경우, 제어 부(111)에서 발생되는 식별 정보(SPF)는 우선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상태가 되고, 소정 시간 후에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로 변하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싱크 기기(150)에서는 HDMI 수신부(153)에서 수신된 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식별 정보(SPF)가 취득된 후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리프레시)이 정지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한 정지화 표시가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어떤 정지화 컨텐츠로부터 다른 정지화 컨텐츠로 체인지되는 경우, 해당 다른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는 식별 정보(SPF)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다고 하면, 싱크 기기(150)의 제어부(151)는 식별 정보(SPF)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인 채에 있다고 인식하고, 이 제어부(151)에서 제어되는 표시부(154)는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정지한 상태인 채로 되고, 해당 표시부(154)에 HDMI 수신부(153)에서 수신된 다른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는 받아들여지지 않게 된다.
소스 기기(110)의 제어부(111)에서 발생되는 식별 정보(SPF)의 상태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화하여 감으로써, 싱크 기기(150)의 표시부(154)에서는 다른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이 행하여지고, 그 후에, 재차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이 정지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는 상태가 된다.
도 7은 소스 기기(110)와 싱크 기기(150) 사이의 제어 시퀀스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a) 소스 기기(110)의 재생부(112)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유저 조작에 의 거하여, 동화 컨텐츠로부터 정지화 컨텐츠(SP1)로 변경되면, (b) 재생부(112)로부터, 해당 정지화 컨텐츠(SP1)의 화상 데이터가, 프레임 레이트에 의한 리프레시 주기로 반복 출력되고, 싱크 기기(150)에 송신된다. (c) 이 정지화 컨텐츠(SP1)의 화상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는 AVI InfoFrame 내의 식별 정보(SPF)는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 예를 들면 「1」로 되어 있다.
(d) 싱크 기기(150)의 표시부(154)는 최초에, 소스 기기(110)로부터 보내 오는 정지화 컨텐츠(SP1)의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행한다. 그러나, 해당 화상 데이터와 함께 보내 오는 식별 정보(SPF)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 「1」에 있기 때문에, 표시부(154)는 그 후,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정지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표시를 행한 정지 제어 상태로 이행한다.
(e) 소스 기기(110)는 소정 시간 후에, 재생부(112)로부터의 정지화 컨텐츠(SP1)의 재생을 정지하고, 해당 정지화 컨텐츠(SP1)의 화상 데이터를, 싱크 기기(150)에 송신하는 것을 정지한다.
(f) 그 후, 소스 기기(110)의 재생부(112)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정지화 컨텐츠(SP1)로부터 다른 정지화 컨텐츠(SP2)로 변경되면, (g) 소스 기기(110)의 재생부(112)로부터, 해당 정지화 컨텐츠(SP2)의 화상 데이터가, 프레임 레이트에 의한 리프레시 주기로 반복 출력되고, 싱크 기기(150)에 송신된다. (h) 이 정지화 컨텐츠(SP2)의 화상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는 AVI InfoFrame 내의 식별 정보(SPF)는 최초에,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상태 「0」으로 설정되어 있다. (i) 그 때문에, 싱크 기기(150)의 표시부(154)의 정지 제어 상 태는 해제되고, 해당 표시부(154)는 정지화 컨텐츠(SP2)의 화상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프레임 레이트마다 표시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시 제어 상태가 된다.
(j) 그 후, 소스 기기(110)의 제어부(111)에서 발생되는 정지화 컨텐츠(SP2)의 화상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는 AVI InfoFrame 내의 식별 정보(SPF)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 「1」로 변경된다. (k) 싱크 기기(150)의 표시부(154)는 정지화 컨텐츠(SP2)의 화상 데이터와 함께 보내 오는 식별 정보(SPF)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 「1」로 변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정지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표시를 행하는 정지 제어 상태로 이행한다.
(l) 소스 기기(110)는 소정 시간 후에, 재생부(112)로부터의 정지화 컨텐츠(SP2)의 재생을 정지하고, 해당 정지화 컨텐츠(SP2)의 화상 데이터를, 싱크 기기(150)에 송신하는 것을 정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소스 기기(110)로부터 싱크 기기(150)에 소정의 컨텐츠의 베이스밴드(비압축)의 화상 데이터가 송신될 때, 해당 화상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에 배치된 AVI InfoFrame 패킷에,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SPF)가 삽입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싱크 기기(150)에서, 제어부(151)는 식별 정보(SPF)에 의거하여, 보내 오는 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 표시부(154)는 제어부(151)의 제어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정지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표시를 행하는 정지 제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소스 기기(110)는 소정 시간 후에, 재생부(112)로부터의 정지화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하고, 해당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를 싱크 기기(150)에 송신하는 것을 정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의 재발송에 의한 필요 없는 대역 점유를 회피할 수 있고, 유한한 전송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통신 시스템(200)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통신 시스템(200)은 소스 기기(210)와, 싱크 기기(2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소스 기기(210) 및 싱크 기기(220)는 모두 무선 전송 기능을 갖고 있다.
소스 기기(210)는 제어부(211)와, 기억부(212)와, 재생부(213)와, 무선 송수신부(214)를 갖고 있다. 제어부(211)는 재생부(213) 및 무선 송수신부(214)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억부(212)는 제어부(211)에 접속되어 있다. 이 기억부(212)에는 제어부(211)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재생부(213)는 동화 컨텐츠, 정지화 컨텐츠 등의 소정의 컨텐츠의, 베이스밴드의 화상 데이터(비압축의 영상 신호), 및 이 화상 데이터에 부수되는 음성 데이터(음성 신호)를 재생하고, 무선 송수신부(214)에 공급한다. 재생부(213)에서의 재생 컨텐츠의 선택은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제어부(211)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2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부(213)로부터 무선 송수신부(214)에 공급되 는 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발생하고, 무선 송수신부(214)에 공급한다.
무선 송수신부(214)는 재생부(213)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대, 예를 들면 60GHz(밀리파)대의 신호에 업 컨버트하여, 무선 전송로(230)에 송출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214)는 제어부(211)로부터 공급되는 식별 정보를, 상술한 소정의 주파수대의 신호에 업 컨버트하여, 무선 전송로(230)에 송출한다. 이 경우, 식별 정보는 화상 데이터와는 비동기로, 무선 전송로(23)에 송출된다.
싱크 기기(220)는 제어부(221)와, 기억부(222)와, 무선 송수신부(223)와, 표시부(224)를 갖고 있다. 표시부(224)는 영상 신호 처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부(221)는 무선 송수신부(223) 및 표시부(224)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억부(222)는 제어부(221)에 접속되어 있다. 이 기억부(222)에는 제어부(221)의 제어에 필요한, E-EDID(Enhance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등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무선 송수신부(223)는 무선 전송로(230)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주파수대에 업 컨버트된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신호에 다운 컨버트의 처리를 시행하여, 상술한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 및 식별 정보(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얻는다.
무선 송수신부(223)는 얻어진 베이스밴드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224)에 공급한다. 또한, 무선 수신부(223)는 얻어진 음성의 데이터를,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에 공급한다. 스피커로부터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의한 음성이 출력 된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223)는 얻어진 식별 정보를 제어부(221)에 공급한다. 제어부(221)는 해당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24)에서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부(224)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CRT(Cathode Ray Tube) 등의 표시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기기(210)의 제어부(211)에서 발생되는 식별 정보(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9에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을 이용한다. 즉, 소스 기기(210)의 제어부(211)는 식별 정보를 송신할 때, 해당 AVC Control/Message 패킷을 발생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에서, 제 0 바이트에는 버전(version)이 기술되고, 여기서는 디바이스 제어의 「0x01」이 기술된다. 제 1 바이트에는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가 기술된다. 이 시퀀스 넘버는 패킷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필요가 없기 때문에, 「0x00」이 기술된다. 제 2 바이트에는 오페코드(Opcode) 및 오페랜드(Operand)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되고, 여기서는 「0x04」가 기술된다. 제 3 내지 제 4 바이트에는 출력 포맷의 통지를 나타내는 오페코드가 기술되고, 여기서는 「0x0012」가 된다. 그리고, 제 5 내지 제 6 바이트에는 상술한 식별 정보(SPF)로서의 오페랜드가 기술된다. 예를 들면, 정지 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0x8000」이 되고,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0x0000」이 된다.
또한, 싱크 기기(220)로부터 소스 기기(210)에의 리스폰스에도, 도 9에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의 AVC Control/Message 패킷이 사용된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오페코드는 「0x0013」이 되고, 오페랜드는 「0x0000」(접수) 또는 「0x0100」(미(未))가 된다.
도 8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소스 기기(210)의 재생부(213)에서, 유저의 선택 조작에 의거하여, 소정의 컨텐츠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재생부(213)에서 얻어지는 소정의 컨텐츠에 관한 베이스밴드(비압축)의 화상 및 음성의 데이터는 무선 송수신부(214)에 공급된다. 무선 송수신부(214)에서는 재생부(213)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밴드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가, 소정의 주파수대, 예를 들면 60GHz(밀리파)대의 신호에 업 컨버트되어, 무선 전송로(230)에 송출된다.
또한, 제어부(211)에서는 재생부(213)에서 재생되는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SPF)를 포함하는 상술한 AVC Control/Message 패킷(도 9 참조)이 발생된다. 이 AVC Control/Message 패킷은 무선 송수신부(214)에 공급된다. 무선 송수신부(214)에서는 제어부(211)로부터 공급되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이, 소정의 주파수대, 예를 들면 60GHz(밀리파)대의 신호에 업 컨버트되고, 무선 전송로(230)에 송출된다.
또한, 싱크 기기(220)의 무선 송수신부(223)에서는 무선 전송로(230)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주파수대에 업 컨버트된 신호가 수신되고, 해당 신호에 다운 컨버트의 처리가 시행되어, 상술한 베이스밴드(비압축)의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 및 식별 정보(SPF)를 포함하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이 얻어진다.
무선 송수신부(223)에서 얻어진 베이스밴드(비압축)의 화상 데이터는 표시부(224)에 공급된다. 이 표시부(224)에서는 무선 송수신부(223)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가 처리되고, 해당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223)에서 얻어진 베이스밴드(비압축)의 음성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에 공급되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의한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223)에서 얻어진, 식별 정보(SPF)를 포함하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은 제어부(221)에 공급된다. 그리고, 표시부(224)에서의 동작이, 식별 정보(SPF)에 의거하여 제어된다. 즉, 식별 정보(SPF), 즉 오페랜드가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reset SPF), 표시부(224)는 무선 송수신부(223)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받아들이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표시부(224)는 프레임 레이트마다, 표시가 리프레시되는 리프레시 제어 상태가 된다.
또한, 식별 정보(SPF), 즉 오페랜드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때(set SPF), 표시부(224)는 무선 송수신부(223)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표시부(224)에서는 받아들임 정지 전에 보존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표시를 행하는 정지 제어 상태가 된다.
상술한 소스 기기(210)에서는 재생부(213)에서 정지화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해당 재생부(213)로부터는 프레임 레이트마다, 동일한 화상 데이터가 반복하여 얻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214)로부터 무선 전송로(230)에 송출되지만, 이와 같은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화상 데이터의 송신은 싱크 기기(220)로부터,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SPF)의 확인 응답(리스폰스)이 있는 경우, 그 후는 정지된다. 또한, 이 확인 응답은 상술한 바와 같이, AVC Control/Message 패킷을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싱크 기기(220)에서는 무선 송수신부(223)에서 수신된 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식별 정보(SPF)가 취득된 후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리프레시)이 정지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한 정지화 표시가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재생부(213)에서 정지화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로(230)에 송출하는 것을, 식별 정보(SPF)의 확인 응답(리스폰스)이 있은 후에 정지하였다고 하여도 문제는 없다. 이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송출이 정지됨으로써, 필요 없는 대역 점유가 회피되고, 유한한 전송 대역의 유효 활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소스 기기(210)에서는 재생부(213)에서 재생되는 정지화 컨텐츠가 어떤 정지화 컨텐츠로부터 다른 정지화 컨텐츠로 체인지되는 경우, 제어부(211)에서 발생되는 식별 정보(SPF)는 우선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상태(reset SPF)가 되고, 소정 시간 후에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set SPF)로 바뀐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싱크 기기(220)에서는 무선 송수신부(223)에서 얻어진 화 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식별 정보(SPF)가 취득된 후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리프레시)이 정지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한 정지화 표시가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어떤 정지화 컨텐츠로부터 다른 정지화 컨텐츠로 체인지되는 경우, 해당 다른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는 식별 정보(SPF)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다고 하면, 싱크 기기(220)의 제어부(221)는 식별 정보(SPF)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인 채로 있다고 인식하고, 이 제어부(221)에서 제어되는 표시부(224)는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정지한 상태인 채로 되어, 해당 표시부(224)에 무선 송수신부(223)에서 얻어진 다른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는 받아들여지지 않게 된다.
소스 기기(210)의 제어부(211)에서 발생되는 식별 정보(SPF)의 상태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화하여 감으로써, 싱크 기기(220)의 표시부(224)에서는 다른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이 행하여지고, 그 후에, 재차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이 정지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는 상태가 된다.
도 10은 소스 기기(210)와 싱크 기기(220) 사이의 제어 시퀀스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a) 소스 기기(210)의 재생부(213)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동화 컨텐츠로부터 정지화 컨텐츠(SP1)로 변경되면, (b) 재생부(213)로부터, 해당 정지화 컨텐츠(SP1)의 화상 데이터가, 프레임 레이트에 의한 리프레시 주기로 반복 출력되고, 싱크 기기(220)에 송신된다. (c) 정지화 컨텐츠(SP1)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에 대응하여, 제어부(211)에서,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set SRF)에 있는 식별 정보(SRF)를 포함하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이 발생되고, 이 AVC Control/Message 패킷이 싱크 기기(220)에 송신된다.
(d) 싱크 기기(220)의 표시부(224)는 최초에, 소스 기기(210)로부터 보내 오는 정지화 컨텐츠(SP1)의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행한다. 그러나, 소스 기기(210)로부터 보내 오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SRF)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set SRF)에 있기 때문에, 표시부(224)는 그 후,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정지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표시를 행하는 정지 제어 상태로 이행한다. (e) 또한, 싱크 기기(220)는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set SRF)에 있는 식별 정보(SRF)를 접수한 경우, 그것에 대한 확인 응답(리스폰스)을 나타내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을 소스 기기(210)에 송신한다.
(f) 소스 기기(210)는 싱크 기기(220)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취한 후에, 재생부(213)로부터의 정지화 컨텐츠(SP1)의 재생을 정지하고, 해당 정지화 컨텐츠(SP1)의 화상 데이터를, 싱크 기기(220)에 송신하는 것을 정지한다.
(g) 그 후, 소스 기기(210)의 재생부(213)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정지화 컨텐츠(SP1)로부터 다른 정지화 컨텐츠(SP2)로 변경되면, (h) 소스 기기(210)의 재생부(213)로부터, 해당 정지화 컨텐츠(SP2)의 화상 데이터가, 프레임 레이트에 의한 리프레시 주기로 반복 출력되고, 싱크 기기(220)에 송신된다. (i) 이 정지화 컨텐츠(SP2)에 대응하여, 최초에, 제어부(211)로부터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상태(reset SRF)에 있는 식별 정보(SRF)를 포함하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이 발생되고, 이 AVC Control/Message 패킷이 싱크 기기(220)에 송신된다. (j) 그 때문에, 싱크 기기(220)의 표시부(224)의 정지 제어 상태는 해제되고, 해당 표시부(224)는 정지화 컨텐츠(SP2)의 화상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프레임 레이트마다 표시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시 제어 상태가 된다.
(k) 또한, 싱크 기기(220)는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상태(reset SRF)에 있는 식별 정보(SRF)를 접수한 경우, 그것에 대한 확인 응답(리스폰스)을 나타내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을 소스 기기(210)에 송신한다. (l) 소스 기기(210)에서는 싱크 기기(220)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취한 후에, 제어부(211)에서 발생되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이,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set SRF)에 있는 식별 정보(SRF)를 포함하는 것으로 되고, 이 AVC Control/Message 패킷이 싱크 기기(220)에 송신된다.
(m) 싱크 기기(220)의 표시부(224)는 소스 기기(210)로부터 보내 오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SRF)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set SRF)에 있기 때문에, 그 후,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정지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표시를 행하는 정지 제어 상태로 이행한다.
(n) 또한, 싱크 기기(220)는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set SRF)에 있는 식별 정보(SRF)를 접수한 경우, 그것에 대한 확인 응답(리스폰스)을 나타내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을 소스 기기(210)에 송신한다. (o) 소스 기기(210)는 싱크 기기(220)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취한 후에, 재생부(213)로부터의 정지화 컨텐츠(SP2)의 재생을 정지하고, 해당 정지화 컨텐츠(SP2)의 화상 데이터를, 싱크 기기(220)에 송신하는 것을 정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200)에서는 소스 기기(210)로부터 싱크 기기(220)에 소정의 컨텐츠의 베이스밴드(비압축)의 화상 데이터가 송신될 때, 해당 화상 데이터의 송신에 대응하여, 소스 기기(210)로부터 싱크 기기(220)에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set SRF)에 있는 식별 정보(SRF)를 포함하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이 송신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싱크 기기(220)에서, 제어부(221)는 식별 정보(SPF)에 의거하여, 보내 오는 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 표시부(224)는 제어부(221)의 제어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받아들임을 정지하고,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표시를 행하는 정지 제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소스 기기(210)는 싱크 기기(220)로부터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SPF)의 확인 응답(리스폰스)이 있는 경우에, 재생부(213)로부터의 정지화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하고, 해당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를 싱크 기기(220)에 송신하는 것을 정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정지화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의 재발송에 의한 필요 없는 대역 점유를 회피할 수 있고, 유한한 전송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신 장치의 영상 신호 처리부가 표시부(154, 224)(도 1, 도 8 참조)인 것을 나타냈지만, 수신한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부 등, 그 밖의 처리를 행하는 것인 경우에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베이스밴드(비압축)의 영상 신호(화상 데이터)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SPF)를, 영상 신호의 블랭킹 기간에 배치되는 AVI InfoFrame 패킷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 또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식별 정보(SPF)를 송신한 수단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무선 송신할 때에, 해당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또한 보내는 것이고, 필요 없는 대역 점유를 회피하고, 유한한 전송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요 없는 대역 점유를 회피하고, 유한한 전송 대역의 유효 활용이 가능해지는 것이고,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소정의 컨텐츠의 베이스밴드(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알맞는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상도할 수 있음은 분명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도 1은 실시예로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HDMI 소스와 HDMI 싱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HDMI 트랜스미터와 HDMI 리시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TMDS 전송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어 비트(CTL0, CTL1)와,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 및 컨트롤 구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6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SPF)를 송신할 때에 사용하는 AVI InfoFrame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소스 기기와 싱크 기기 사이의 제어 시퀀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제어 시퀀스도.
도 8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SPF)를 송신할 때에 사용하는 AVC Control/Message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소스 기기와 싱크 기기 사이의 제어 시퀀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제어 시퀀스도.

Claims (17)

  1.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로 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부와,
    상기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발생하는 식별 정보 발생부와,
    상기 영상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식별 정보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식별 정보를, 상기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보내 오는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영상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장치에, 상기 영상 신호와 동기하여, 또는 상기 영상 신호와는 비동기로, 상기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또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전송 방법.
  3.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부와,
    상기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발생하는 식별 정보 발생부와,
    상기 영상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식별 정보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식별 정보를,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영상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영상 신호의 블랭킹 기간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영상 신호와는 비동기로, 상기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식별 정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소스 기기와, 상기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장치를 가지며,
    상기 소스 기기 및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유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기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
    상기 식별 정보가 블랭킹 기간에 삽입된 상기 영상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차동 신호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영상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소정 시간만큼 상기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영상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일 때, 수신측으로부터의 상기 식별 정보의 확인 응답이 있는 경우에,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는 것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발생부는 상기 영상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하나의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로부터 다른 정지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신호로 변화할 때,
    발생하는 상기 식별 정보를, 우선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상태로 하고, 소정 시간 후에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2.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 스텝과,
    상기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발생하는 식별 정보 발생 스텝과,
    상기 영상 신호 출력 스텝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식별 정보 발생 스텝에서 발생되는 식별 정보를, 무선 전송로에 송출하는 송신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3. 무선 전송로로 보내 오는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 및 상기 소정 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 장치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싱크 기기를 가지며,
    상기 무선 수신 장치 및 상기 싱크 기기는 유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싱크 기기에,
    상기 식별 정보가 블랭킹 기간에 삽입된 상기 영상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차동 신호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식별 정보가 정지화 컨텐츠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받아들이 도록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식별 정보가 정지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의 받아들임을 정지하도록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7. 무선 전송로로 보내 오는 소정의 컨텐츠의 비압축의 영상 신호 및 상기 소정의 컨텐츠가 정지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 신호 처리 스텝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KR1020080039247A 2007-05-11 2008-04-28 통신 시스템, 영상 신호 전송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KR200801001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27159 2007-05-11
JP2007127159A JP2008283561A (ja) 2007-05-11 2007-05-11 通信システム、映像信号伝送方法、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125A true KR20080100125A (ko) 2008-11-14

Family

ID=3953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247A KR20080100125A (ko) 2007-05-11 2008-04-28 통신 시스템, 영상 신호 전송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856840B2 (ko)
EP (1) EP1990992B1 (ko)
JP (1) JP2008283561A (ko)
KR (1) KR20080100125A (ko)
CN (1) CN101304510B (ko)
AT (1) ATE549858T1 (ko)
BR (1) BRPI0801370A2 (ko)
ES (1) ES2384354T3 (ko)
IL (1) IL190981A (ko)
RU (1) RU2389140C2 (ko)
TW (1) TW2009109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570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와이젯 고속 무선전송 기능을 갖는 무선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hmd 장치
WO2020130195A1 (en) * 2018-12-20 2020-06-25 Lg Electronics Inc. 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video receiv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8679B2 (en) * 2006-09-05 2015-12-0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WO2016126609A2 (en) * 2015-02-04 2016-08-11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US9088663B2 (en) 2008-04-18 2015-07-21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for appliance control via a network
JP5262546B2 (ja) * 2008-10-08 2013-08-14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システム、再生装置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映像信号処理方法
US8429440B2 (en) 2009-05-13 2013-04-23 Stmicroelectronics, Inc. Flat panel display driver method and system
US8156238B2 (en) 2009-05-13 2012-04-10 Stmicroelectronics, Inc. Wireless multimedia transport method and apparatus
JP4592806B1 (ja) * 2009-06-18 2010-12-08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JP4564574B1 (ja) * 2009-06-24 2010-10-20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
US8345681B2 (en) * 2009-09-23 2013-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audio in wireless networks
JP2015039051A (ja) * 2009-12-21 2015-02-26 株式会社東芝 情報送信装置、情報受信装置および情報伝送方法
US8671234B2 (en) 2010-05-27 2014-03-11 Stmicroelectronics, Inc. Level shifting cable adaptor and chip system for use with dual-mode multi-media device
JP5571465B2 (ja) * 2010-06-08 2014-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8803940B2 (en) * 2010-07-28 2014-08-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rging content
US10135900B2 (en) 2011-01-21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9787725B2 (en) * 2011-01-21 2017-10-1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8224894B1 (en) * 2011-05-09 2012-07-17 Google Inc. Zero-click sharing of application context across devices
US8171137B1 (en) 2011-05-09 2012-05-01 Google Inc. Transferring application state across devices
US8812601B2 (en) 2011-05-09 2014-08-19 Google Inc. Transferring application state across devices with checkpoints
JP5762854B2 (ja) * 2011-06-30 2015-08-12 Dxアンテナ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9449500B2 (en) 2012-08-08 2016-09-20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US10593195B2 (en) 2011-10-28 2020-03-17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US9215394B2 (en) 2011-10-28 2015-12-1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US11295603B2 (en) 2011-10-28 2022-04-0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US10937308B2 (en) 2011-10-28 2021-03-0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EP2785052B1 (en) * 2011-11-25 2019-03-13 Panasonic Corporation Baseband video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receiving device, and transceiver system
KR20130128266A (ko) * 2012-05-16 2013-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수신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9184800B2 (en) 2012-07-16 2015-11-10 Google Inc. Automated sharing of application data over a near field communication link
DK2894861T3 (da) * 2012-09-07 2020-02-10 Saturn Licensing Llc Overførselsindretning, overførselsfremgangsmåde, modtageindretning og modtagefremgangsmåde
US9351128B2 (en) * 2013-01-04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adjusting a rate or delivery format of media being delivered to one or more 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s for transmission
JP2014200076A (ja) 2013-03-15 2014-10-23 株式会社リコー 配信制御システム、配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25180B1 (en) 2013-03-15 2015-09-01 Google Inc.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long-lasting connection across computing devices configure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N103731646A (zh) * 2014-01-23 2014-04-16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一种视频信号实时截取处理显示方法和装置
CN107408331B (zh) * 2014-04-04 2021-06-18 通用电子有限公司 用于配置便携式设备的遥控功能的系统和方法
WO2016148935A1 (en) * 2015-03-13 2016-09-22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dia stick for controlling wireless speakers
CN109905751B (zh) * 2019-03-01 2020-12-1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画框的控制方法及系统
US11620251B2 (en) * 2021-05-24 2023-04-04 Cadence Design Systems, Inc. Partitioned UFP for displayport repeater
US11412177B1 (en) * 2021-07-12 2022-08-09 Techpoi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over analog video transmission over a single coaxial cabl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9517A4 (en) * 1997-08-04 2006-0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WER CONTROL SYSTEM
US6570606B1 (en) * 1998-05-29 2003-05-27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media signals over a data network in response to triggering events at participating stations
JP4040826B2 (ja) * 2000-06-23 2008-01-30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3573724B2 (ja) * 2000-07-21 2004-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伝送方法、送信方法、受信方法
US20020099800A1 (en) * 2000-11-27 2002-07-25 Robert Brainard Data mark and recall system and method for a data stream
JP3788260B2 (ja) * 2001-04-09 2006-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配信システムとその配信方法、及び配信プログラム
JP3620521B2 (ja) * 2001-09-14 2005-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伝送装置、画像受信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516280B2 (ja) * 2003-03-10 2010-08-0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回路
US8995536B2 (en) * 2003-07-23 2015-03-31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dio/video synchronization
JP2005142709A (ja) 2003-11-05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5151150A (ja) 2003-11-14 2005-06-09 Marantz Japan Inc 画像伝送システム
JP4347724B2 (ja) * 2004-03-05 2009-10-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画像ファイル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7499462B2 (en) * 2005-03-15 2009-03-03 Radiospire Network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livery of content from a generalized content source to a generalized content sink
JP2006319503A (ja) 2005-05-11 2006-11-24 Sony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7023437A2 (en) * 2005-08-23 2007-03-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tates in a multimedia system
JP2007240741A (ja) * 2006-03-07 2007-09-20 Canon Inc 画像制御装置及び画像制御方法
US8363675B2 (en) * 2006-03-24 2013-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uncompressed video ove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US8432938B2 (en) * 2006-03-29 2013-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video stream transmission over wireless channels
US20070288980A1 (en) * 2006-06-08 2007-12-13 Huaning Niu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 having a frame format and parsing scheme with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s
EP2025171A1 (en) * 2006-06-08 2009-02-18 Thomson Licensing Scene change detection for video
US8826348B2 (en) * 2006-12-04 2014-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a relay device for power saving
WO2008086057A1 (en) * 2007-01-05 2008-07-17 Radiospire Network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multiple audio/video sources to an audio/video sink
JP4829806B2 (ja) * 2007-01-30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570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와이젯 고속 무선전송 기능을 갖는 무선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hmd 장치
WO2020130195A1 (en) * 2018-12-20 2020-06-25 Lg Electronics Inc. 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video receiving device
US11818490B2 (en) 2018-12-20 2023-11-14 Lg Electronics Inc. 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video recei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78567A1 (en) 2008-11-13
EP1990992A3 (en) 2011-01-05
RU2389140C2 (ru) 2010-05-10
EP1990992B1 (en) 2012-03-14
TW200910947A (en) 2009-03-01
BRPI0801370A2 (pt) 2009-01-06
RU2008118280A (ru) 2009-11-20
ES2384354T3 (es) 2012-07-04
IL190981A (en) 2013-11-28
JP2008283561A (ja) 2008-11-20
CN101304510A (zh) 2008-11-12
EP1990992A2 (en) 2008-11-12
ATE549858T1 (de) 2012-03-15
US8856840B2 (en) 2014-10-07
IL190981A0 (en) 2009-02-11
CN101304510B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0125A (ko) 통신 시스템, 영상 신호 전송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EP2091253B1 (en) Transmitting device, video signal transmitting method in transmitting device, recieving device and video signal recieving method in recieving device
US9185385B2 (en) Transmitting apparatus, stereo image data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and stereo image data receiving method
JP4844230B2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11811B1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방법, 송신 장치, 송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 방법
US20110072473A1 (en) Adapter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video signal from source device to adapter device for sink device
US20100026790A1 (en) Transmission device,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of reception device
US7839896B2 (en) Video transmission system
KR20080058740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시간 동기화 방법
JP2010088092A (ja) 立体映像伝送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出力装置
KR20100094458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 신호 송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영상 신호의 송신 방법
EP2785052B1 (en) Baseband video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receiving device, and transceiver system
US9160959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JP2011087162A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JP5606638B1 (ja) 映像送信装置、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送信方法
US20130100247A1 (en) Imag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image data reception apparatus
EP2413611B1 (en) Image data transmitting device, image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image data receiving device
JP2013062839A (ja) 映像伝送システム、映像入力装置および映像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