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006A -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 및 난방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 및 난방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006A
KR20080100006A KR1020070046021A KR20070046021A KR20080100006A KR 20080100006 A KR20080100006 A KR 20080100006A KR 1020070046021 A KR1020070046021 A KR 1020070046021A KR 20070046021 A KR20070046021 A KR 20070046021A KR 20080100006 A KR20080100006 A KR 2008010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heating
pipe
control valve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8097B1 (ko
Inventor
조승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070046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09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계(유량을 측정하는 센서) 없이도 룸의 난방용 배관에 그 배관의 단위 길이당 동일한 유량이 흐르도록 각 룸의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를 설정하고, 각 룸의 온도 조건에 따라 초기 설정된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가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난방시스템(1)은 보일러(2)와,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는 환수측 배관(3) 및 공급측 배관(4)과, 상기 환수측 배관 및 공급측 배관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난방용 배관(5)(6)(7)과, 상기 복수의 난방용 배관의 일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15)(16)(17)와, 상기 복수의 난방용 배관 길이의 배설에 의하여 각각 구획되는 룸(8)(9)(10)에 설치되어 그 룸의 온도 설정 및 온도 측정을 하는 룸콘(20)(21)(22)과, 상기 각 룸콘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각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25)를 구비하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난방용 배관에 대한 길이 정보를 입력받아 각 난방용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각 난방용 배관의 최대 유량의 비율에 따라 각 룸마다 그 배관의 단위 길이당 동일한 유량이 공급되도록 각 룸의 유량조정밸브의 초기 개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 및 난방제어방법{A flow meterless heating system and the same hea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난방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난방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과 유량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난방시스템 2 - 보일러
3 - 환수측 배관 4 - 공급측 배관
5,6,7, - 난방용 배관 8,9,10 - 룸
15,16,17 - 유량조절밸브 20,21,22 - 룸콘
25 - 컨트롤러
본 발명은 복수의 룸에 각각 온도 설정 및 측정이 가능한 룸콘을 구비한 난 방시스템에 있어서, 각 룸의 면적 및 설정 온도가 다르더라도 편차 없이 균일한 조건에서 각 룸의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룸이 여러 개일 경우 보일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룸 또는 면적이 큰 룸일수록 난방 시간이 더 걸리게 되거나 각 룸마다 난방 조건의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각 룸의 난방 조건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정하여 주거나, 각 룸의 온도 조건을 감지하여 컨트롤러가 각 룸에 연결되는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독립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난방시스템은 각 룸의 온도 조건을 적용하여 독립적으로 난방수의 유량 공급이 컨트롤되기 때문에 각 룸의 온도 조건에 따른 난방 시간의 편차 및 강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동일한 온도 조건의 룸이라 하더라도 룸의 면적이 작을 경우에는 짧은 시간에 설정된 난방 온도에 도달하는 반면에 룸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설정된 난방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난방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대한 보상을 해주더라도 난방시간을 균일하게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룸의 온도 조건에 따라 난방 시간에 대한 보상이 균일한 조건에서 이루어지도록 각 룸의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실시간으로 갱신 제어할 수 있는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량계를 설치하지 않고도 각 룸의 난방 시간에 대한 보상이 균일한 조건에서 이루어지도록 각 룸의 목표 유량 비율을 설정할 수 있는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로 각 룸의 배관을 설치하고, 각 룸의 환수측 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로 이루어진 유량조절기를 설치하고, 각 룸의 온도 설정 및 온도 측정이 가능한 룸콘을 설치하고, 상기 유량조절기 및 룸콘은 컨트롤러에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특히, 본 발명은 유량계 없이도 각 룸의 배관 길이를 컨트롤러에 입력함으로써 각 룸의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의 비율을 연산하도록 하고, 상기 각 룸의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 및 각 룸의 배관 길이 정보를 연산하여 각 룸마다 배관의 단위 길이당 동일한 유량이 흐르도록 각 룸의 배관 길이의 비율에 따라 유량조정밸브의 초기 개도를 설정한 후, 각 룸의 설정 온도와 실재 측정 온도의 편차 등급에 연동하여 상기 설정된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를 기준으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가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는 환수측 배관 및 공급측 배관과, 상기 환수측 배관 및 공급측 배관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난방용 배관과, 상기 복수의 난방용 배관의 일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복수의 난방용 배관 길이의 배설에 의하여 각각 구획되는 룸에 설치되어 그 룸의 온도 설정 및 온도 측정을 하는 룸콘과, 상기 각 룸콘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각 유량 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난방용 배관에 대한 길이 정보를 입력받아 각 난방용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각 난방용 배관의 최대 유량의 비율에 따라 각 룸마다 그 배관의 단위 길이당 동일한 유량이 공급되도록 각 룸의 유량조정밸브의 초기 개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룸의 유량조정밸브의 초기 개도가 설정된 후에 상기 각 룸의 룸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온도와 그 룸의 실내 온도의 차이 등급에 따라 상기 설정된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가 실시간으로 갱신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난방용 배관의 직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난방시스템의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는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난방시스템(1)은 도 1과 같이 보일러(2)와,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는 환수측 배관(3) 및 공급측 배관(4)과, 상기 환수측 배관과 공급측 배관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난방용 배관(5),(6),(7)을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난방용 배관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이용하여 각각 크기가 다른 룸(8),(9),(10)의 바닥에 동일한 면적 비율로 난방용 배관의 길이가 설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환수측 배관과 룸(8)의 난방용 배관(5)의 단부 사이에는 유량조절기를 구성하는 유량조 절밸브(15)가 설치된다.
또, 같은 구조로 룸(9)의 난방용 배관(6)의 단부에는 유량조절밸브(16)가 설치되고, 룸(10)의 난방용 배관(7)의 단부에는 유량조절밸브(17)가 설치된다.
또, 각각의 룸에는 그 룸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거나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룸콘(20),(21),(22)이 설치되고, 상기 룸콘(20),(21),(22)과 유량조절밸브(15),(16),(17)는 컨트롤러(25)에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러(25)는 배관 직경 및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각 룸의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을 지승 연산하여 테이블화하여 비율을 구하고, 각 룸의 난방용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의 비율과 입력된 각 룸의 배관 길이를 연산함으로써, 각 룸의 난방용 배관에 흐르는 유량이 배관의 단위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유량이 되도록 각 룸의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를 제어하여 설정하고, 각 룸의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각 룸의 룸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각 룸의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가 갱신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난방용 배관(5),(6),(7)은 호칭경 15A의 엑셀 파이프를 사용하여 사면이 밀폐된 룸(8)의 바닥 면적에 150M, 룸(9)의 바닥 면적에 80M, 룸(10)의 바닥 면적에 50M를 각각 동일한 면적 비율로 구성하였다.
또, 유량조절밸브(15),(16),(17)는 15A규격의 글로브 밸브를 사용하였고, 공급측 배관에 흐르는 난방수의 온도가 55-60도를 유지하도록 보일러의 온도를 설정한 후, 각 환수측 난방용 배관의 최대 유량의 비율은 각 룸의 배관 길이 및 직경 정보를 입력하여 연산함으로써 테이블화 하고, 각 룸의 배관에 흐르는 최대유량의 비율 및 입력된 난방용 배관의 길이를 이용하여 각 룸의 배관에 대한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를 구하도록 한다.
먼저, 각 난방용 배관의 길이 정보를 컨트롤러에 입력하여 최대유량의 비율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유체가 흐르는 배관 공학에 있어서 ▽h=f L/DㆍV2/2g(▽h:압력손실,f: 손실계수, L:배관길이, D:배관직경, V:유속, g: 중력 가속도)ㆍㆍㆍ(식1)이 성립하므로 2개의 난방용 배관의 직경을 각각 D1, D2라 하고, 길이를 각각 L1, L2라하고, 유속을 각각 V1, V2라 하였을 때 D1=D2라 가정하면, 난방용 배관의 압력손실(▽h)이 등가를 이루기 위한 조건은 f L1/D1ㆍV12/2g = f L2/D2ㆍV22/2g ㆍㆍㆍ(식2)이 성립한다.
상기 (식2)에서 양변을 소거하여 정리하면 L1V12 = L2V22ㆍㆍㆍ(식3)이 된다.
한편, Q(유량)= A(배관의 단면적)ㆍV(유속)ㆍㆍㆍ(식4) 이므로
V1= Q1/A1ㆍㆍㆍ(식5)이 되고, V2=Q2/A2 ㆍㆍㆍ(식6)이 된다.
(식3)에 (식5) 및 (식6)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배관의 직경 D1, D2이 동일하다고 가정하였을 때 그 배관의 단면적 A1, A2은 동일하므로 L2=L1(Q1/Q2)2ㆍㆍㆍ(식7)이 성립한다.
예를 들어 공급측 배관(4)에 1kfg/cm2의 압력으로 난방수를 공급하였을 때 150M의 난방용 배관(5)의 환수측으로 부터 측정된 최대 유량이 Q1, 80M의 난방용배관(6)의 환수측으로 부터 측정된 최대 유량이 Q2, 50M의 난방용 배관(10)의 환수측으로 부터 측정된 최대 유량이 Q3라 하고, 식(7) (L2=L1(Q1/Q2)2)을 이용하여 Q1 = 100으로 할 때 Q2, Q3의 값을 계산하면 Q2 = 136.9, Q3 = 173.2가 된다.
이와 같이 식(7)을 이용하면 배관에 유량계를 설치하지 않고도 각 룸의 배설된 배관 길이 및 직경 정보 등을 이용하여 각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 비율을 연산 처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일한 직경을 갖는 각 배관의 길이 정보가 컨트롤러(25)에 입력되었을 때 정수연산을 위하여 한 예로 (식7)의 (L1/L2)를 (L1x64/L2)로 연산하여 정수를 취하고 255개의 표1의 지승연산 테이블을 구성하여 난방용 배관의 추정 길이의 비율을 얻을 수 있다.
지승연산 테이블
INDEX 최대유량비(%:난방용배관(5)기준)
0 · · 64 · · 120 · · 192 · · 255 0 · · 100 · · 136 · · 173 · · 200
상기 식(7)의 연산결과를 나타내는 지승연산 테이블(T1)로부터 각 난방용 배관(5),(6),(7)의 유량의 비율이 100: 136: 173이 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난방용 배관(5)의 유량 Q1(100)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난방용 배관(5),(6),(7)에 흐르는 유량이 동일하도록 목표 유량 Q1max, Q2max, Q3max의 비율을 구하면
Q1max=100이고, Q2max= 100ㆍ80/150 이므로 약 53 Q3max= 100ㆍ50/150 이므로 약 33가 된다.
즉, 상기 목표유량 Q1max, Q2max, Q3max는 100: 39: 19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난방용 배관에 단위 길이당 동일한 목표 유량이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난방용 배관(6),(7)의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율은 각 난방용 배관(5)의 최대 유량에 대하여 각각 39%, 19%의 유량이 흐르도록 초기개도가 제어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량조절밸브(15A의 글로브 밸브)의 개도율에 대한 유량비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 도3의 그래프 결과가 얻어졌다.
도3의 그래프 곡선 C1은 150M 길이 호칭경 15A의 엑셀 파이프의 일단에 15A규격의 글로브 밸브를 설치하고 타단에 1kfg/cm2의 압력을 가하여 글로브 밸브의 개도를 변경하면서 유량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고,
그래프 곡선 C2는 150M 길이 호칭경 15A의 엑셀 파이프의 일단에 15A규격의 글로브 밸브를 설치하고 타단에 0.6kfg/cm2의 압력을 가하여 글로브 밸브의 개도를 변경하면서 유량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고,
그래프 곡선 C3는 50M 길이 호칭경 15A의 엑셀 파이프의 일단에 15A규격의 글로브 밸브를 설치하고 타단에 1kfg/cm2의 압력을 가하여 글로브 밸브의 개도를 변경하면서 유량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고,
그래프 곡선 C4는 50M 길이 호칭경 15A의 엑셀 파이프의 일단에 15A규격의 글로브 밸브를 설치하고 타단에 0.6kfg/cm2의 압력을 가하여 글로브 밸브의 개도를 변경하면서 유량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C1,C2,C3,C4의 그래프 곡선들의 패턴을 최적화하여 나타낸 그래프 곡선 C를 기준으로 하여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에 대한 유량비의 관계를 표2로 나타냈다.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에 대한 유량비
유량비Qmax(%)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
0 · · · 19 · · · 39 · · · · 100 0 · · · 11 · · · 17 · · · · 100
상기 표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난방용 배관(5)(6)(7)의 각각의 목표 유량비(Q1max은 100%, Q2max는 39%, Q3max는 19%)에 대응하는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은 각각 100%, 17%, 11%가 되므로 컨트롤러(22)는 유량조절밸브(15)(16)(17)의 초기 개도율을 각각 100%, 17%, 11%로 자동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율이 자동설정된 후에는 각 룸(8)(9)(10)에 설치된 룸콘(20)(21)(22)으로 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컨트롤러(25)가 연산하여 각각의 룸에 연결된 유량조절밸브(15)(16)(17)의 초기 개도율을 기준으로 개도율이 다시 조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어느 룸의 실재 온도와 룸콘의 설정온도 차이에 따라 그 룸의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율을 기준으로 일정한 비율만큼 개도율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룸의 실재 온도와 룸콘의 설정온도 차이가 6도 이상이면 초기 개도율에 대한 보상비율은 입력된 길이에 대해 100%, 6도보다 작고 4도 이상이면 입력된 길이에 대하여 85%, 4도보다 작고 2도 이상이면 입력된 길이에 대하여 70%, 2도보다 작으면 입력된 길이에 대하여 50%에 상응하는 길이로 계산되도록 보상을 하였다.
상기 보상 비율은 온도 차이에 따라 더 세분화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 온도 보상 비율은 각 룸의 룸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설정 및 실측 온도의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난방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각 난방용 배관의 길이를 컨트롤러에 입력하여 각 난방용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의 비율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각 난방용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의 비율과 각 난방용 배관의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각 난방용 배관에 단위 길이당 동일한 목표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각 난방용 배관의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각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가 설정된 후 각 룸의 룸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된 각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가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난방시스템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보일러(2)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S10)하면 컨트롤러(25)는 보일러가 난방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S11)한다. 보일러가 난방모드로 설정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난방 모드를 설정할 때까지 컨트롤러는 대기한다. 난방 모드가 설정되면 컨트롤러는 난방 모드가 설정된 룸(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룸 모두 난방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함)에 한하여 난방시스템의 설치 기술자에 의하여 미리 입력된 각 룸의 난방용 배관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각 룸의 난방용 배관(5)(6)(7)에 흐르는 최대 유량의 비율을 내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산(S12)하고, 테이블화 한다.
이어서, 난방모드로 설정된 각 룸의 난방용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의 비율과, 난방모드로 설정된 각 난방용 배관의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길이당 동일한 목표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난방용 배관(5)(5)(7)의 목표 유량 비율을 연산(S13)하고, 그 목표 유량 비율에 따라 각 룸의 유량조절밸브(15)(16)(17)의 초기 개도를 설정(S15)하도록 컨트롤한다.
상기 초기 개도가 설정된 후에는 각 룸에 설치된 룸콘(20)(21)(22)을 통하여 입력되는 각 룸의 온도 정보에 따라 각 룸에 온도차 보상을 실행할 것이지 판단(S15)하고, 온도차 보상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각 룸의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를 기준으로 개도 조정을 실시하되 온도차 보상에 따른 개도 조정은 예를 들어 룸콘의 설정온도와 그 룸콘이 설치된 룸의 온도 차이가 6도 이상이면 초기 개도율에 대한 보상비율을 100%, 6도보다 작고 4도 이상이면 85%, 4도보다 작고 2도 이상이면 70%, 2도보다 작으면 50%의 보상이 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6).
온도차 보상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온도차 보상 정보가 컨트롤러에 입력될 때까지 유량조절밸브의 초개 개도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상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기술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목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방시스템은 난방 배관에 유량계(유량측정용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도 하지 않고도 난방모드로 설정된 각 난방용 배관을 흐르는 최대 유량 비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측정된 최대 유량 비율 및 난방용 배관의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각 룸마다 배관의 단위 길이당 동일한 목표 유량이 공급되도록 각 룸의 유량조정밸브의 초기 개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용 배관에 유량계를 설치하지 않고도 룸의 난방 조건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각 룸의 유량조정밸브의 초기 개도가 설정된 후에는 상기 각 룸의 룸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온도와 그 룸의 실내 온도의 차이 등급에 따라 상기 설정된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가 실시간으로 갱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룸의 면적이나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룸의 난방 조건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각 룸의 온도 조건에 따른 난방 시간의 편차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는 환수측 배관 및 공급측 배관과, 상기 환수측 배관 및 공급측 배관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난방용 배관과, 상기 복수의 난방용 배관의 일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복수의 난방용 배관 길이의 배설에 의하여 각각 구획되는 룸에 설치되어 그 룸의 온도 설정 및 온도 측정을 하는 룸콘과, 상기 각 룸콘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각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난방용 배관에 대한 길이 정보를 입력받아 각 난방용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각 난방용 배관의 최대 유량의 비율에 따라 각 룸마다 그 배관의 단위 길이당 동일한 유량이 공급되도록 각 룸의 유량조정밸브의 초기 개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룸의 유량조정밸브의 초기 개도가 설정된 후에 상기 각 룸의 룸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온도와 그 룸의 실내 온도의 차이 등급에 따라 상기 설정된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가 실시간으로 갱신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배관은 룸의 면적에 비례하는 길이를 갖도록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
  4.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는 환수측 배관 및 공급측 배관과, 상기 환 수측 배관 및 공급측 배관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난방용 배관과, 상기 복수의 난방용 배관의 일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복수의 난방용 배관 길이의 배설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 룸에 설치되어 그 룸의 온도 설정 및 온도 측정을 하는 룸콘과, 상기 각 룸콘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각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배관의 길이를 컨트롤러에 입력하여 각 난방용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의 비율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각 난방용 배관에 흐르는 최대 유량의 비율과 각 난방용 배관의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각 난방용 배관에 단위 길이당 동일한 목표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각 난방용 배관의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각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가 설정된 후 각 룸의 룸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된 각 유량조절밸브의 초기 개도가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제어방법.
KR1020070046021A 2007-05-11 2007-05-11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 및 난방제어방법 KR100898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021A KR100898097B1 (ko) 2007-05-11 2007-05-11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 및 난방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021A KR100898097B1 (ko) 2007-05-11 2007-05-11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 및 난방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006A true KR20080100006A (ko) 2008-11-14
KR100898097B1 KR100898097B1 (ko) 2009-05-15

Family

ID=4028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021A KR100898097B1 (ko) 2007-05-11 2007-05-11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 및 난방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0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10B1 (ko) * 2009-04-29 2009-12-01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정유량 자동제어장치
KR100945143B1 (ko) * 2008-03-28 2010-03-0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 시운전시 각방의 배관정보 측정방법
KR101977313B1 (ko) * 2019-01-07 2019-05-21 (주)에쎈테크 공급수온도 기반 비례 제어 온수 난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158B1 (ko) 2001-11-19 2003-12-12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유량센서에 의한 보일러 난방제어방법
JP2005201540A (ja) * 2004-01-15 2005-07-28 Osaka Gas Co Ltd 温水循環式暖房システム
KR100701756B1 (ko) * 2004-09-13 2007-03-29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난방온수 분배 시스템 및 난방온수 분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143B1 (ko) * 2008-03-28 2010-03-0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 시운전시 각방의 배관정보 측정방법
KR100929210B1 (ko) * 2009-04-29 2009-12-01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정유량 자동제어장치
WO2010126267A3 (ko) * 2009-04-29 2011-03-10 (주)샘시스템 난방부하를 고려한 정유량 자동제어장치
CN102460023A (zh) * 2009-04-29 2012-05-16 献能系统有限公司 考虑热负荷而自动地控制恒流量的装置
KR101977313B1 (ko) * 2019-01-07 2019-05-21 (주)에쎈테크 공급수온도 기반 비례 제어 온수 난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097B1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219B1 (ko) 난방시스템 및 난방제어방법
US10394257B2 (en) Flow control system
TWI406119B (zh) 用以在一區域內遠端控制壓力的系統及一化學機械研磨機系統
US9715237B2 (en) Flow-control valve system and method
EP3483690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fluid flow through a valve
US8788105B2 (en) Method of automatic hydraulic equalization in a fluid-flow system
US201001473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entralized balancing of hydronic networks
JP5430007B2 (ja) 圧力式流量制御装置を用いた流体の非連続式流量切替制御方法
KR101045510B1 (ko) 유량 온도 자동 조절 시스템 및 유량 온도 자동 조절방법
KR20070110499A (ko)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
WO20120652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of a valve in an hvac system
US9702569B2 (en) Method for the temperature control of components
KR100898097B1 (ko) 유량계 없는 난방시스템 및 난방제어방법
CN103838274B (zh) 一种多路水冷温度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50106831A (ko) 열원 기기 제어 장치 및 공조 시스템
US11047582B2 (en) Method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 fluid transportation network
KR20070114145A (ko) 패널 난방 온도조절 시스템
US202201962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balancing a hydronic network
KR101916357B1 (ko) 온수난방 시스템
EP3495912B1 (en) Parallel valve control
JP2014098954A (ja) 流量制御システム
KR101726436B1 (ko) 복합 개별 유량 제어 시스템
CN101737554A (zh) 一种线性温控阀的控制方法及实现该方法的阀门
KR100945267B1 (ko) 계량정보를 이용한 난방구획 별 균등 열공급방법
CN203642418U (zh) 空调水系统智能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