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806A -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806A
KR20080097806A KR1020070043124A KR20070043124A KR20080097806A KR 20080097806 A KR20080097806 A KR 20080097806A KR 1020070043124 A KR1020070043124 A KR 1020070043124A KR 20070043124 A KR20070043124 A KR 20070043124A KR 20080097806 A KR20080097806 A KR 20080097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motional lighting
lighting
value
emo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7248B1 (ko
Inventor
배경원
박근배
박경훈
박종국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2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사용자별로 조명의 조도 및 색깔을 변화시켜서 감성 조명을 제공하거나 감성 조명 환경이 영향을 주는 전체 영역에 대해 부분 영역별로 차별화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사용자들에 대해 사용자별로 최적화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며, 헬스케어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별 질환을 판별한 후에 색채요법에 의해 해당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상으로 사용자별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각 맞춤형의 헬스케어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홈네크워크, 감성 조명, 헬스케어

Description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ENSIBILITY LIGHTING SYSTEM FOR EACH USER'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별 감성 조명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별 감성 조명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용자 식별기 120 : 식별정보 인식부
130 : 헬스케어 장치 140 : 입력부
150 : 홈네트워크 제어부 160 :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
170 : 감성 조명부
본 발명은 감성 조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용자별로 조 명의 조도 및 색깔을 변화시켜서 감성 조명을 제공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250017호에는 "감성 조명오디오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동호에 개시된 감성 조명오디오시스템은, 음악 기록매체를 재생시키기 위한 오디오 재생장치와, 조명을 위한 조명장치와, 조명장치의 칼라를 조절하기 위한 칼라제어수단과, 입력되는 음악의 파라메타를 검출하여 인간의 시각적인 감성을 유발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둔 조명의 밝기 제어 및 칼라 제어를 하는 감성 조명제어 수단과, 조명램프 및 감성 조명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수동모드와 다수의 자동모드의 선택 및 전체 조작제어를 위한 조작수단과, 외부에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 및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감성 조명오디오시스템에서 주장하고 있는 효과는 학습을 할 때, 휴식을 취할 때, 수면을 유도할 때 등등에서 필요한 모드의 조명을 선택해서 인간의 감성을 자연스럽게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93758호에는 "지능형 감성 조명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동호에 개시된 지능형 감성 조명 시스템은 실내 천장에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면 조명기로 이루어진 직접 조명 유닛 및 실내 벽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보조 조명기로 이루어진 간접 조명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모드 지시 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의 면 조명기 및 간접 조명기를 미리 설정된 색상, 조도 상태로 구동하는 감성 조명부와,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였음을 판단하거나 조작부에서 출력된 온오프 신호 및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감성 조명부로 기본 모드 지시 신호, 지정 모드 지시 신호, 자연 모드 지시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능형 감성 조명 시스템에서 주장하고 있는 효과는 사용자의 감성에 알맞은 색상의 조명으로 적절한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단순한 조명 수단이 아닌 감성 조절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조명의 색상을 변화시켜서 감성을 조절할 수 있지만 복수의 사용자에게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구분 없이 획일적인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감성 조명 환경이 영향을 주는 전체 영역에 대해 획일적인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에게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할 때에 일부의 사용자들에게는 유용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할지라도 다른 사용자들에게는 불필요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할 우려가 있었으며, 나아가 불쾌감을 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복수의 사용자별로 조명의 조도 및 색깔을 변화시켜서 감성 조명을 제공하거나 감성 조명 환경이 영향을 주는 전체 영역에 대해 부분 영역별로 차별화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사용자들에 대해 사용자별로 최적화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으로서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개별 할당된 개별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기와, 사용자 식별기에 저장된 개별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부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이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와, 식별정보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을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후에 추출한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에 따라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홈네트워크 제어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별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감성 조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으로서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개별 할당한 개별 식별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식별기로부터 개별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이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전 단계에서 인식한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이전 단계에서 추출한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별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 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감성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 식별기(110), 식별정보 인식부(120), 헬스케어 장치(130), 입력부(140), 홈네트워크 제어부(150),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160), 감성 조명부(1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식별기(11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개별 할당된 개별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예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로 구현할 수 있다.
식별정보 인식부(120)는 사용자 식별기(110)에 저장된 개별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홈네트워크 제어부(150)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로서 RFID 리더기로 구현할 수 있다.
헬스케어 장치(130)는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로서 혈압 측정기, 혈당 측정기, 체성분 분석기, 소변 분석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혈당, 혈압, 체성분, 소변 등을 측정 또는 분석하여 그 획득값을 홈네트워크 제어부(150)에게 제공한다.
입력부(140)는 사용자가 감성 조명 기능을 선택하거나 동작 환경을 설정하거나 헬스케어 장치(130)와의 연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160)에는 복수의 사용자별로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이 저장되며, 헬스케어 장치(130)에 의한 헬스케어 획득값과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할 수 있는 임상적인 정상범위값이 저장되고, 색채요법(Chromotherapy)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별 색채정보가 저장된다.
홈네트워크 제어부(150)는 식별정보 인식부(12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 식별기(110)의 개별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160)를 검색하여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을 추출하며, 추출한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에 따라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헬스케어 장치(130)에 의한 헬스케어 획득값과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160)에 기 저장된 정상범위값을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하고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정보를 추출한 후에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을 반영해 해당 색채의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감성 조명부(170)로 제공한다.
감성 조명부(170)는 홈네트워크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홈네트워크 제어부(150)에서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의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거나 사용자별로 설정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별 감성 조명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화 상태(S201)에서 복수의 사용자 중 임의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감성 조명 설정 모드를 선택(S203)하면 식별 정보 인식부(120)는 사용자 식별기(110)에 저장된 개별 식별정보를 인식(S205)하여 홈네트워크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자신이 희망하는 감성 조명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감성 조명 환경이 미치는 전체 영역 중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부분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헬스케어 장치(130)와의 연동을 통한 감성 조명 환경을 희망할 경우에는 연동 기능을 통한 감성 조명 환경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감성 조명 모드를 선택하거나 희망하는 부분 영역을 설정한 경우(S207)에 홈네트워크 제어부(150)는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을 획득하여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한다(S209).
그리고,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헬스케어 장치(130)와의 연동을 선택할 경우(S211)에는 사용자는 헬스케어 장치(130)를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그러면 헬스케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즉 사용자의 혈당, 혈압, 체성분, 소변 등을 측정 또는 분석한 헬스케어 획득값을 홈네트워크 제어부(150)에게 제공하며, 홈네트워크 제어부(150)는 헬스케어 획득값을 수집하여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한다(S213).
이와 같은 사용자 설정 과정이 완료되면 홈네트워크 제어부(150)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헬스케어 장치(130)와의 연동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감성 조명 모드 및 부분 영역에 대한 설정값, 즉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만을 고려하여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을 결정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헬스케어 장치(130)와의 연동을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과 헬스케어 획득값을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을 결정하는데, 먼저 단계 S213에서 저장한 혈당 측정값, 혈압 측정값, 체성분 분석값, 소변 분석값 등의 헬스케어 획득값과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된 임상적인 정상범위값을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한 후에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위한 질환별 색채정보를 추출한 후에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을 반영하여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을 결정하는 것이다(S215).
여기서, 질환별 색채정보라 함은 조명과 감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라 각종 질환별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상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색채요법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모든 종류의 색채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병을 치유하는 대체의학의 한 분야"이며, 빨간색은 심장, 파란색은 비장, 녹색은 간, 흑색은 신장, 백색은 폐, 노란색은 위장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색채요법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 가능한 질환을 대비시켜 보면, 빨간색은 혈액순환 촉진대사에 도움이 되며, 청색은 염증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이 되고, 노란색은 운동신경 활성화에 도움을 줌과 아울러 코감기에 도움이 되며, 보라색은 식욕을 억제하 여 비만 치료에 도움이 되고, 녹색은 항암효과와 담석증에 도움이 되며, 주황색은 인슐린 분비를 증대시켜 당뇨병에 효과가 있고, 파란색은 혈압강하 효과가 있으며, 주광색은 우울증 환자에 도움이 되고, 남색은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과 헬스케어 획득값에 기초한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이 결정되면 홈네트워크 제어부(150)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을 단계 S205에서 식별한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한다(S217).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별 동작 환경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별 감성 조명의 제어 과정을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화 상태(S301)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감성 조명 모드를 선택(S303)하면 식별 정보 인식부(120)는 사용자 식별기(110)에 저장된 개별 식별정보를 인식(S305)하여 홈네트워크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그러면, 홈네트워크 제어부(150)는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160)를 검색(S307)하여 단계 S305에서 인식된 개별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을 추출한다(S309).
그리고, 홈네트워크 제어부(150)는 추출한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에 따라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대해 해당 색채로 조명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감성 조명부(170)로 제공한다.
그러면, 감성 조명부(170)는 홈네트워크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대한 제어를 통해 사용자별로 차별화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한다(S311).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별로 조명의 조도 및 색깔을 변화시켜서 감성 조명을 제공하거나 감성 조명 환경이 영향을 주는 전체 영역에 대해 부분 영역별로 차별화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사용자들에 대해 사용자별로 최적화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헬스케어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별 질환을 판별한 후에 색채요법에 의해 해당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상으로 사용자별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각 맞춤형의 헬스케어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개별 할당된 개별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기와,
    상기 사용자 식별기에 저장된 상기 개별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부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이 상기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식별정보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을 상기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후에 추출한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에 따라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홈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별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감성 조명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에 해당하는 헬스케어 획득값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헬스케어 획득값과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할 수 있는 임상적인 범위값과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별 색채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홈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헬스케어 획득값과 상기 범위값을 비교해 각종 질환을 판별하여 판별된 질환에 대응하는 상기 질환별 색채정보를 추출한 후에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을 반영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에 따라 상기 감성 조명 환경이 영향을 주는 전체 영역에 대해 부분 영역별로 차별화된 감성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4. (a)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개별 할당한 개별 식별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식별기로부터 상기 개별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b)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이 상기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a) 단계에서 인식한 상기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한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별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에 따라 상기 감성 조명 환경이 영향을 주는 전체 영역에 대해 부분 영역별로 차별화된 감성 조명을 제공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d) 감성 조명 설정 모드에서 상기 감성 조명 환경을 위해 감성 조명 모드가 선택되거나 상기 부분 영역이 설정되면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에서 획득한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을 결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f) 상기 감성 조명 설정 모드에서 헬스케어 장치와의 연동을 통한 감성 조 명 환경이 선택되면 상기 헬스케어 장치로부터 헬스케어 획득값을 수집하는 단계와,
    (g) 상기 헬스케어 획득값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범위값을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한 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위한 질환별 색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h) 상기 추출한 질환별 색채정보에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을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제어 방법.
KR1020070043124A 2007-05-03 2007-05-03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877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124A KR100877248B1 (ko) 2007-05-03 2007-05-03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124A KR100877248B1 (ko) 2007-05-03 2007-05-03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806A true KR20080097806A (ko) 2008-11-06
KR100877248B1 KR100877248B1 (ko) 2009-01-09

Family

ID=4028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124A KR100877248B1 (ko) 2007-05-03 2007-05-03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2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516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작 기반 개인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256748B1 (ko) * 2011-10-13 2013-04-19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감성 치유 시스템 및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518393B1 (ko) * 2014-04-14 2015-05-08 (주)다비치안경체인 개인 맞춤형 빛을 발산하는 탁상램프
WO2016064155A3 (ko) * 2014-10-21 2017-04-27 주식회사 정감 Sns를 이용한 감성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7120A (zh) * 2013-06-20 2013-10-09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手机的外壳色彩调节方法及手机
KR101603573B1 (ko) 2014-10-24 2016-03-16 박형배 사용자 맞춤형 색상 결정 장치 및 방법, 조명기기 및 조명 시스템
KR20200079602A (ko) 2018-12-26 2020-07-06 삼성물산 주식회사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632Y1 (ko) * 1999-12-21 2000-06-15 주식회사우리들 음성인식을 이용한 조명용스위치
KR200301535Y1 (ko) * 2002-10-08 2003-01-29 주식회사 보스텍 음성 인식 조명 장치
KR100693758B1 (ko) * 2006-03-22 2007-03-12 건국정보통신 주식회사 지능형 감성 조명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516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작 기반 개인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256748B1 (ko) * 2011-10-13 2013-04-19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감성 치유 시스템 및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518393B1 (ko) * 2014-04-14 2015-05-08 (주)다비치안경체인 개인 맞춤형 빛을 발산하는 탁상램프
WO2015160061A1 (ko) * 2014-04-14 2015-10-22 (주)다비치안경체인 개인 맞춤형 빛을 발산하는 탁상램프
WO2016064155A3 (ko) * 2014-10-21 2017-04-27 주식회사 정감 Sns를 이용한 감성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248B1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248B1 (ko)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4661705B (zh) 包括光疗、美术治疗、音乐治疗、认知治疗的健康管理装置
CN105814419A (zh) 用于生物学评估的方法和设备
US9185781B2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complex sensor and interworking type lighting system
WO2008110959A1 (en) Lighting system for energy stimulation
CN105877709A (zh) 一种健康状态数据的采集装置、采集分析系统及方法
KR20010074696A (ko) 측온장치 및 측온방법
DE60326214D1 (de) Assays zur überwachung von krebspatienten auf grundlage der spiegel von analytenkomponenten des plasminogen-aktivator-systems in proben von körperflüssigkeiten
WO2006112009A1 (ja) 雰囲気制御装置
ATE432041T1 (de) Einstellbare koeffizienten zur personalisierung von prädiktiven instrumenten
CN110681029A (zh) 一种阿尔茨海默病预防与治疗装置及其实现方法
KR20170133238A (ko) 시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스트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CN106361285A (zh) 智能足生物健康信息管理与保健决策系统人体亚健康状态检测及治疗方法
KR101712878B1 (ko) 뇌파모니터링을 통한 숙면 유도 시스템
JP2007014765A (ja) 衝撃波設備及び衝撃波設備の操作方法
CN106389107A (zh) 足底反射区自适应识别的智能足疗设备及方法
KR20180078956A (ko) 멜라토닌 량 분석에 기초한 수면 유도 조명 장치 및 방법
KR20030074107A (ko) 자연스런 기상과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일출/일몰의모사장치 및 그 방법
KR101973115B1 (ko) 백반증 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471534B (zh) 基于情绪识别的信息处理方法及远程医疗管理系统
CN110910877B (zh) 家电设备的控制方法、装置和家电设备
JP5273668B2 (ja) 光治療器
KR20080097560A (ko)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KR102573959B1 (ko) 디지털 자극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18021627A1 (ko) 사용자의 질병 및 건강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헬스케어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