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560A -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560A
KR20080097560A KR1020070042575A KR20070042575A KR20080097560A KR 20080097560 A KR20080097560 A KR 20080097560A KR 1020070042575 A KR1020070042575 A KR 1020070042575A KR 20070042575 A KR20070042575 A KR 20070042575A KR 20080097560 A KR20080097560 A KR 20080097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care
color
disease
unit
health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선
박경훈
김은구
박종국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2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7560A/ko
Publication of KR2008009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20Lighting for medic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감성 조명 기술과 홈 헬스케어 기술을 접목시켜서 홈네트워크 상에서 헬스케어 서비스에 기반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감성 상태를 파악하여 능동적으로 조명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최적화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며, 감성 조명을 단순히 감성 조절에 이용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색채 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홈네크워크, 홈 헬스케어, 감성 조명

Description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HEALTHCARE SENSIBILITY LIGH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감성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감성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헬스케어부 111 : 혈압 측정기
113 : 혈당 측정기 115 : 체성분 분석기
117 : 소변 분석기 120 : 입력부
130 : 홈네트워크 제어부 140 :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
150 : 감성 조명부 160 : 홈게이트웨이
170 : 통신망 180 : 헬스케어 서버
본 발명은 헬스케어(Healthcare) 감성 조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조명의 조도 및 색깔을 변화시켜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최적화된 감성 조명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250017호에는 "감성 조명오디오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동호에 개시된 감성 조명오디오시스템은, 음악 기록매체를 재생시키기 위한 오디오 재생장치와, 조명을 위한 조명장치와, 조명장치의 칼라를 조절하기 위한 칼라제어수단과, 입력되는 음악의 파라메타를 검출하여 인간의 시각적인 감성을 유발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둔 조명의 밝기 제어 및 칼라 제어를 하는 감성 조명제어 수단과, 조명램프 및 감성 조명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수동모드와 다수의 자동모드의 선택 및 전체 조작제어를 위한 조작수단과, 외부에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 및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감성 조명오디오시스템에서 주장하고 있는 효과는 학습을 할 때, 휴식을 취할 때, 수면을 유도할 때 등등에서 필요한 모드의 조명을 선택해서 인간의 감성을 자연스럽게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93758호에는 "지능형 감성 조명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동호에 개시된 지능형 감성 조명 시스템은 실내 천장에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면 조명기로 이루어진 직접 조명 유닛 및 실내 벽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보조 조명기로 이루어진 간접 조명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모드 지시 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의 면 조명기 및 간접 조명기를 미리 설정된 색상, 조도 상태로 구동하는 감성 조명부와,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였음을 판단하거나 조작부에서 출력된 온오프 신호 및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감성 조명부로 기본 모드 지시 신호, 지정 모드 지시 신호, 자연 모드 지시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능형 감성 조명 시스템에서 주장하고 있는 효과는 사용자의 감성에 알맞은 색상의 조명으로 적절한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단순한 조명 수단이 아닌 감성 조절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수동적으로 조명의 색상을 변화시켜서 감성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사용자의 현재 감성 상태를 파악하여 능동적으로 조명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최적화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등장에 따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유비쿼터스 환경을 의료분야에 접목시킨 연구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홈네트워크에 기반한 홈 헬스케어(Home Healthcare)가 등장하였다.
홈 헬스케어는 BT(Bio Technology), IT(Information Technology), NT(Nano Technology)의 융합기술을 이용해 건강이나 질병을 검진하고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원격 네트워킹 장비를 통해 혈압, 혈당, 체지방 성분 등 환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성 조명 기술과 홈 헬스케어 기술을 접목시켜서 홈네트워크 상 에서 헬스케어 서비스에 기반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감성 상태를 파악하여 능동적으로 조명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최적화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며, 감성 조명을 단순히 감성 조절에 이용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색채 요법(Chromotherapy)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으로서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응하는 헬스케어 획득값을 제공하는 헬스케어부와, 헬스케어 획득값과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할 수 있는 임상적인 범위값이 저장됨과 아울러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별 색채정보가 저장된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와, 헬스케어 획득값과 범위값을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한 후에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색채의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제어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홈네트워크 제어부에서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의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감성 조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으로서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응하는 헬스케어 획득값을 제공하는 헬스케어부와, 헬스케어부로부터 제공된 헬스케어 획득값을 홈게이트웨이 및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 후에 색채요 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색채의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제어부와, 홈네트워크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헬스케어 획득값에 의거하여 각종 질환이 판별되면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정보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와,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헬스케어 서버에서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의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감성 조명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은, 헬스케어부(110), 입력부(120), 홈네트워크 제어부(130),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140), 감성 조명부(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헬스케어부(110)는 혈압 측정기(111), 혈당 측정기(113), 체성분 분석기(115), 소변 분석기(117)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혈당, 혈압, 체성분, 소변 등을 측정 또는 분석하여 그 결과값을 홈네트워크 제어부(130)에게 제공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헬스케어 서비스에 기반한 감성 조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140)에는 혈당 측정값, 혈압 측정값, 체성분 분석값, 소변 분석값 등의 헬스케어 획득값과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할 수 있는 임상적인 정상범위값이 저장되며,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별 색채정보가 저장된다.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는 헬스케어부(110)로부터 제공된 헬스케어 획득값과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140)에 기 저장된 정상범위값을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하며,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색채의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감성 조명부(150)로 제공한다.
감성 조명부(150)는 홈네트워크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홈네트워크 제어부(130)에서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의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헬스케어 시스템인 헬스케어부(110)의 각종 헬스케어기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한다. 즉 혈압 측정기(111)를 이용하여 자신의 혈압을 측정하며, 혈당 측정기(113)를 이용하여 자신의 혈당치를 측정하고, 체성분 분석기(115)를 이용하여 자신의 체지방을 측정하 며, 소변 분석기(117)를 이용하여 단백뇨 등을 측정한다. 그러면, 헬스케어부(110)의 각종 헬스케어기기들은 각각의 획득값을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는 초기화 상태(S201)에서 헬스케어기기들이 동작(S203)함에 따라 제공하는 각종 획득값들을 내부 메모리 또는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S205).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에 기반한 감성 조명 기능을 선택(S207)하면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는 단계 S205에서 저장한 혈당 측정값, 혈압 측정값, 체성분 분석값, 소변 분석값 등의 헬스케어 획득값과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임상적인 정상범위값을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한다(S209).
그리고,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질환이 판별되면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위한 색채정보를 추출한다(S211).
여기서,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140)에 기 저장된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별 색채정보라 함은 조명과 감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라 각종 질환별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상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그 예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93758호의 "지능형 감성 조명 시스템"에는 아래의 표 1이 개시되어 있다.
색상 감성
빨강 정열, 피, 힘, 위험, 잔인, 야만
주황 원기, 약동, 활력, 만족, 적극, 가을, 식욕
노랑 희망, 광명, 유쾌, 명랑, 접근, 황금, 천박
연두 위안, 친애, 신선, 성장, 초여름, 야외, 어린이
녹색 안식, 평화, 평정, 중성, 신선함, 여름
청록 이지, 냉지, 심미, 바다, 산림, 찬바람
파랑 냉정, 심원, 명상, 영원, 바다, 성실
남색 숭고, 천사, 심원, 무한, 신비, 정화
보라 창조, 우미, 신비, 우아, 고귀, 예술, 신앙
자주 순수, 청결, 소박, 순결
흰색 신성, 고독, 순수, 청결
회색 평범, 우울, 음울, 겸손
검정 허무, 절망, 정지, 침묵, 엄숙, 부정, 죽음
이와 같이 각 색상은 고유의 감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색상의 노출 시간, 노출 빈도, 노출 순서 조절을 통해 특정 감성을 나타내는 조명 연출이 가능하고, 이러한 감성 조명을 이용하여 각종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이 색채요법이다. 색채요법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모든 종류의 색채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병을 치유하는 대체의학의 한 분야"이며, 빨간색은 심장, 파란색은 비장, 녹색은 간, 흑색은 신장, 백색은 폐, 노란색은 위장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색채요법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 가능한 질환을 대비시켜 보면, 빨간색은 혈액순환 촉진대사에 도움이 되며, 청색은 염증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이 되고, 노란색은 운동신경 활성화에 도움을 줌과 아울러 코감기에 도움이 되며, 보라색은 식욕을 억제하여 비만 치료에 도움이 되고, 녹색은 항암효과와 담석증에 도움이 되며, 주황색은 인슐린 분비를 증대시켜 당뇨병에 효과가 있고, 파란색은 혈압강하 효과가 있으며, 주광색은 우울증 환자에 도움이 되고, 남색은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색채요법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색채정보가 추출되면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는 해당 색채의 조명 조절을 위한 감성 조명 제어값을 추출하여 제어신호를 감성 조명부(150)로 제공한다(S213).
그러면, 감성 조명부(150)는 홈네트워크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홈네트워크 제어부(130)에서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의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한다. 즉 특정 색상의 노출 시간, 노출 빈도, 노출 순서 조절을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에 기반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한다(S215).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은, 헬스케어부(110), 입력부(120), 홈네트워크 제어부(130), 감성 조명부(150), 홈게이트웨이(160), 통신망(170), 헬스케어 서버(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보면, 제 1 실시 예의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140)가 제거되고, 홈게이트웨이(160)와 통신망(170) 및 헬스케어 서버(180)가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헬스케어부(110)는 혈압 측정기(111), 혈당 측정기(113), 체성분 분석기(115), 소변 분석기(117)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혈당, 혈압, 체성분, 소변 등을 측정 또는 분석하여 그 결과값을 홈네트워크 제어부(130)에게 제공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헬스케어 서비스에 기반한 감성 조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는 헬스케어부(110)로부터 헬스케어 획득값이 제공되면 홈게이트웨이(160) 및 통신망(170)을 통해 헬스케어 서버(180)에 접속하여 헬스케어부(110)로부터 제공된 헬스케어 획득값을 전달하며, 헬스케어 서버(180)로부터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색채의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감성 조명부(150)로 제공한다.
헬스케어 서버(180)는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로부터 제공되는 헬스케어 획득값에 의거하여 각종 질환이 판별되면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서, 의료기간의 원격 진료시스템에 연결된다.
감성 조명부(150)는 홈네트워크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홈네트워크 제어부(130)에서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의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헬스케어 시스템인 헬스케어부(110)의 각종 헬스케어기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한다. 즉 혈압 측정기(111)를 이용하여 자신의 혈압을 측정하며, 혈당 측정기(113)를 이용하여 자신의 혈당치를 측정하고, 체성분 분석기(115)를 이용하여 자신의 체지방을 측정하며, 소변 분석기(117)를 이용하여 단백뇨 등을 측정한다. 그러면, 헬스케어부(110)의 각종 헬스케어기기들은 각각의 획득값을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는 초기화 상태(S301)에서 헬스케어기기들이 동작(S303)함에 따라 제공하는 각종 획득값들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S305).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에 기반한 감성 조명 기능을 선택(S307)하면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는 홈게이트웨이(160) 및 통신망(170)을 통해 헬스케어 서버(180)에 접속(S309)한 후에 단계 S305에서 저장한 혈당 측정값, 혈압 측정값, 체성분 분석값, 소변 분석값 등의 헬스케어 획득값을 전송한다(S311).
이때, 헬스케어 서버(180)는 의료기간의 원격 진료시스템에 접속된 상태이므로, 담당의사는 원격 진료시스템을 통해 헬스케어 서버(180)에 접속할 수 있으며, 헬스케어 획득값과 임상적인 정상범위값을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한 후에 판별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위한 색채정보를 결정하여 헬스케어 서버(180)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헬스케어 서버(180)는 원격 진료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색채정보를 통신망(170) 및 홈게이트웨이(160)를 통해 홈네트워크 제어부(130)에게 제공하며, 홈네트워크 제어부(130)는 해당 색채의 조명 조절을 위한 감성 조명 제어값을 추출하여 제어신호를 감성 조명부(150)로 제공한다(S313).
그러면, 감성 조명부(150)는 홈네트워크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헬스케어 서버(180)에서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의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한다. 즉 특정 색상의 노출 시간, 노출 빈도, 노출 순서 조절을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에 기반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한다(S315).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성 조명 기술과 홈 헬스케어 기술을 접목시켜서 홈네트워크 상에서 헬스케어 서비스에 기반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감성 상태를 파악하여 능동적으로 조명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최적화된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감성 조명을 단순히 감성 조절에 이용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색채 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응하는 헬스케어 획득값을 제공하는 헬스케어부와,
    상기 헬스케어 획득값과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할 수 있는 임상적인 범위값이 저장됨과 아울러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별 색채정보가 저장된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헬스케어 획득값과 상기 범위값을 비교하여 각종 질환을 판별한 후에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상기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상기 색채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색채의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제어부에서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상기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의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감성 조명부
    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2.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응하는 헬스케어 획득값을 제공하는 헬스케어부와,
    상기 헬스케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헬스케어 획득값을 홈게이트웨이 및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 후에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색채의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홈네트워크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헬스케어 획득값에 의거하여 각종 질환이 판별되면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상기 색채정보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헬스케어 서버에서 판별된 질환에 대해 상기 색채요법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색채의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감성 조명부
    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부는, 혈압 측정기, 혈당 측정기, 체성분 분석기, 소변 분석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헬스케어기기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헬스케어 서비스에 기반한 감성 조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감성 조명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KR1020070042575A 2007-05-02 2007-05-02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KR20080097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575A KR20080097560A (ko) 2007-05-02 2007-05-02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575A KR20080097560A (ko) 2007-05-02 2007-05-02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560A true KR20080097560A (ko) 2008-11-06

Family

ID=4028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575A KR20080097560A (ko) 2007-05-02 2007-05-02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75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390B1 (ko) 2021-04-28 2022-05-18 (주)에이아이딥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성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390B1 (ko) 2021-04-28 2022-05-18 (주)에이아이딥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성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2860B2 (ja) 特に集中治療室における譫妄低減のための照明システム
Vetter et al. A review of human physiological responses to ligh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ive lighting solutions
Figueiro et al. Non-visual effects of light: How to use light to promote circadian entrainment and elicit alertness
US104712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illumination
CN105431851B (zh) 健康护理决策支持系统和方法以及患者护理系统
KR100877248B1 (ko)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060064144A1 (en) Programmable multifunction table lamp for light therapy
Dickerman et al. Does current scientific evidence support a link between light at night and breast cancer among female night-shift nurses? Review of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nurses
Figueiro et al. Does architectural lighting contribute to breast cancer?
Ellis et al. Chronobioengineering indoor lighting to enhance facilities for ageing and Alzheimer's disorder
KR100693758B1 (ko) 지능형 감성 조명 시스템
Rea et al. The NICU lighted environment
US10646685B2 (en) Luminous roof for NICU incubators for regulating circadian rhythms in infants and for providing high visibility of infant anatomy for healthcare staff
KR20080097560A (ko) 헬스케어 감성 조명 시스템
EP4356959A1 (en) Lighting system establishing multispectral rhythm lighting scenario-psychological stress index relationship database, and method
CN110471534A (zh) 基于情绪识别的信息处理方法及远程医疗管理系统
JP6152734B2 (ja) 照明システム
JP2016178018A (ja) 健康照明付き建物
Figueiro Future directions for lighting environments
Balabanoff Color, light, and birth space design: An integrative review
CN106572574A (zh) 一种智能心理咨询室
Dalke et al. Colour design schemes for long-term healthcare environments
Rossi et al. Evaluation of artificial light with respect to human health
TW201928691A (zh) 用於調整環境的行動app及以行動app調整環境的系統、方法
Kempter et al. Guiding light for the mobility support of seni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