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208A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 Google Patents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208A
KR20080096208A KR1020070041366A KR20070041366A KR20080096208A KR 20080096208 A KR20080096208 A KR 20080096208A KR 1020070041366 A KR1020070041366 A KR 1020070041366A KR 20070041366 A KR20070041366 A KR 20070041366A KR 20080096208 A KR20080096208 A KR 20080096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lever
connector
locking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6208A/ko
Publication of KR2008009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6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조립체(PC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의 플립 커넥터에, 플립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부를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기 위하여 플립 커넥터 영역에 배치되는 장치본체; 장치본체에 마련되며, 연결단자부가 플립 커넥터에 로킹(locking)되거나 언로킹(unlocking)되도록 플립 커넥터에 결합된 플립(Flip)을 동작시키는 레버부; 및 장치본체의 일면에 누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립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레버부를 동작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에 결합된 플립(Flip)을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방법으로 플립 커넥터에 대해 로킹(locking) 및 언로킹(unlocking)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립 커넥터, 플립, 로킹, 언로킹, 레버부, 버튼부

Description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Locking/Unlocking Apparatus of Flip Connector of Hard Disk Drive}
도 1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커넥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를 일 방향으로 단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 플립 커넥터의 플립이 로킹 및 언로킹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7 :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10 : 디스크 팩 20 : 헤드 스택 어셈블리
30 : 보이스코일모터 40 : 커버
45 : 베이스 50 : 인쇄회로기판조립체
51 : 인쇄회로기판 52 : 플립 커넥터
53 : 플립 60 : 장치본체
65 : 복귀스프링 70 : 레버부
71 : 구동 레버 80 : 종동 레버
81 : 로킹 레버 85 : 언로킹 레버
90 : 버튼부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에 결합된 플립(Flip)을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방법으로 플립 커넥터에 대해 로킹(locking) 및 언로킹(unlocking)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는 전자장치와 기계장치로 이루어져 디지털 전자 펄스를 보다 영구적인 자기장으로 바꾸어서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해 주는 방식의 기억장치로서,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액세스(access)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 시스템의 보조 기억 장치 등으로써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최근 높은 TPI(Track Per Inch, 인치 당 트랙 수) 및 높은 BPI(Bits Per Inch, 인치 당 비트 수) 구현으로 고용량화되고 있으며, 그 적용 영역도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노트북, PDA, 휴대폰 등 휴대 가능한 전자제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소형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직경이 1.8인치 또는 2.5인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개발되어 노트북 등에 이미 적용되고 있으며, 이보다 더 소형인 0.85인치의 소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으로서 휴대폰이나 MP3 등에도 이미 일부 채택되었거나 채택될 예정이다.
이러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중 소형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예를 들면 1.8인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Disk)를 구비하는 디스크 팩(Disk Pack)과, 디스크 상의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그 선단부에 자기 헤드(Read/Write Head)가 장착된 헤드 스택 어셈블리(HSA, Head Stack Assembly)와, 헤드 스택 어셈블리를 회동시키는 보이스코일모터(VCM, Voice Coil Motor)와, 커버(Cover)와, 인쇄회로기판조립체(PC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와, 이들 요소를 지지하는 베이스(Base)를 구비한다.
이 중 인쇄회로기판조립체(PC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는, 판 상의 인쇄회로기판(PCB)과, 인쇄회로기판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 커넥터(PCB Connector)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조립체는 외부의 소정의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구동될 수 있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 커넥터에 전원 케이블, TCP 등의 연결단자부들이 접속되어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1.8인치 이하의 소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커넥터(이하에서는, 플립(Flip)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플립 커넥터(Flip Connector)"라 명칭함)는 2.5인치 또는 3.5인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커넥터와는 다른 형상을 갖고 있으며 접속 방식 또한 다르다. 2.5인치 또는 3.5인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인쇄회로기판 커넥터는 직접 사람이 손으로 TCP 등과 같은 연결단자부를 커넥터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연결단자부와 인쇄회로기판 커넥터 간을 연결할 수 있지만, 1.8인치 이하의 소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플립 커넥터에 연결단자부를 삽입한 후, 플립 커넥터에 결합된 플립을 플립 커넥터의 판면 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연결단자부와 플립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소형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플립의 크기가 매우 작아 사람이 손으로 동작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플립을 사람의 손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국부적인 가압력에 의해 플립이 플립 커넥터에 로킹(locking) 및 언로킹(unlocking)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크기가 작은 플립을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손으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플립이 파손되어 플립 커넥터에 연결단자부를 연결하는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에 결합된 플립(Flip)을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방법으로 플립 커넥터에 대해 로킹(locking) 및 언로킹(unlocking)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PC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의 플립 커넥터에, 상기 플립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부를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립 커넥터 영역에 배치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단자부가 상기 플립 커넥터에 로킹(locking)되거나 언로킹(unlocking)되도록 상기 플립 커넥터에 결합된 플립(Flip)을 동작시키는 레버부; 및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누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립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를 동작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장치본체 내에 마련되고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버튼부와 접촉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소정의 회전축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는 구동 레버; 및 일단부 영역은 상기 구동 레버와 접촉되고 타단부 영역은 상기 플립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레버의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플립을 동작시키는 종동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 레버는, 일단부는 상기 구동 레버와 접촉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로킹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른 상기 구동 레버의 회전 운동 시 직선 운동하면서 상기 플립을 상기 플립 커넥터에 로킹시키는 로킹 레버; 및 상기 로킹 레버의 주변에 위치하며, 일단부는 상기 구동 레버와 접촉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언로킹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른 상기 구동 레버의 회전 운동 시 상기 구동 레버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플립 커넥터로부터 상기 플립을 언로킹시키는 언로킹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로킹 레버의 타단부에는 적어도 상기 플립 커넥터의 일면에 접면하는 직선 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 구간의 단부에는 상기 직선 구간의 단부에 대해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 구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로킹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언로킹 레버의 타단부는, 상기 플립 커넥터와 상기 플립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선단이 첨예하고 일측으로 경사진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 방향에 가로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가로바아; 상기 가로바아와 연결되고 상기 가로바아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바아; 상기 경사바아의 단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 레버의 일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로킹 레버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와는 반대 방향에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언로킹 레버의 일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로킹 레버를 가압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바아의 단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축심으로 회전한 상기 구동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의 직경이 1.8인치 이하의 소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일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커넥터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 플립 커넥터의 플립이 로킹 및 언로킹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실시 예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가 사용되는 소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예를 들면 1.8인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는,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11, Disk)를 구비하는 디스크 팩(10, Disk Pack)과, 디스크(11) 상의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그 선단부에 자기 헤드(21, Read/Write Head)가 장착된 헤드 스택 어셈블리(20, HSA, Head Stack Assembly)와, 헤드 스택 어셈블리(20)를 회동시키는 보이스코일모터(30, VCM, Voice Coil Motor)와, 커버(40, Cover)와, 인쇄회로기판조립체(50, PC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와, 이들 요소를 지지하는 베이스(45, Base)를 구비한다.
먼저 디스크 팩(10, Disk Pack)은, 디스크(11)와, 디스크(11)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샤프트(12)와, 샤프트(12)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디스크(11)를 지지하는 스핀들 모터 허브(미도시, Spindle Motor Hub)와, 스핀들 모터 허브의 상부에 결합되는 클램프(13, Clamp)와, 클램프(13)를 가압하여 디스크(11)가 스핀들 모터 허브에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프 스크루(미도시, Clamp Screw)를 구비한다.
헤드 스택 어셈블리(20, HSA, Head Stack Assembly)는, 디스크(11)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운반체로서, 디스크(11) 상에 데이터를 쓰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액세스(access)할 수 있도록 피봇축(22)을 축심으로 디스크(11) 상을 선회하는 액추에이터 아암(23, Actuator Arm)과, 액추에이터 아암(23)의 단부에 결합된 서스펜션(미도시, Suspension)과, 피봇축(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액추에이터 아암(23)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피봇축 홀더(24)와, 피봇축 홀더(24)에서 액추에이터 아암(23)의 반대 방향에 마련되어 보이스코일모터(30, VCM) 의 마그네트(미도시, Magnet) 사이에 위치하는 보빈(미도시, Bobbin)을 구비한다.
자기 헤드(21, Read/Write Head)는, 디스크(11)의 표면에 형성된 자계를 감 지하거나 디스크(11)의 표면을 자화시킴으로써 회전하는 디스크(11)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기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자기 헤드(21)는, 디스크(11)의 자계를 감지하기 위한 읽기 헤드와, 디스크(11)를 자화시키기 위한 쓰기 헤드를 구비한다.
보이스코일모터(30, VCM, Voice Coil Motor)는, 자기 헤드(21)를 디스크(11)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액추에이터 아암(23)을 회동시키는 일종의 구동모터로서, 플레밍의 왼손법칙 즉, 자계 속에 있는 도체에 전류를 흘렸을 때 힘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인데, 마그네트 사이에 위치하는 VCM 코일(미도시)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보빈에 힘을 가하여 보빈을 회동시키게 된다. 이로써, 피봇축 홀더(24)에서 보빈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액추에이터 아암(23)이 회동되어 그 끝단에 지지된 자기 헤드(21)가, 회전하는 디스크(11)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트랙(Track)을 검색하여 액세스하고, 액세스된 정보를 신호처리하게 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조립체(50, PC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는, 도 1 및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상의 인쇄회로기판(51, PCB)과, 인쇄회로기판(51)의 일측에 마련되는 플립 커넥터(52, Flip Connector)를 구비한다. 인쇄회로기판(51)에는 디스크(11) 및 자기 헤드(21)를 제어하도록 다수의 칩(미도시)과 회로가 구비되어 있으며, 플립 커넥터(52)에 TCP(3)와 같은 연결단자(3)가 접속되어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소형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 가령 1.8인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와 2.5인치 또는 3.5인치 등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미도 시)는 커넥터의 형상이 다를 뿐만 아니라 구조 또한 차이가 있다. 즉,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넥터(52)의 일면에는, 플립 커넥터(52)의 일면에 대해 로킹(locking) 및 언로킹(unlocking)됨으로써 플립 커넥터(52)와 TCP(3)와 같은 연결단자부(3) 간을 견고히 연결시키는 플립(53, Flip)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플립(53)은 플립 커넥터(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마련되어 플립 커넥터(52)의 일면(52a)에 대해 회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플립 커넥터(52)의 삽입부(54)에 TCP(3) 등과 같은 연결단자부(3)를 삽입 연결하기 위해서는 플립(53)이 플립 커넥터(52)의 일면에 대해 언로킹(unlocking)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플립 커넥터(52)의 삽입부(54)에 연결단자부(7)를 삽입한 후 플립(53)의 일면이 플립 커넥터(52)의 일면(52a)에 접면되도록 회동시킴으로써 플립 커넥터(52)와 연결단자부(3) 간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데이터의 송수신 및 전원 공급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플립(53)은 그 사이즈(size)가 작기 때문에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는 경우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플립 커넥터(52)에 대한 플립(53)의 로킹(locking)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아 TCP(3) 등과 같은 연결단자부(3)와 플립 커넥터(52) 간을 정확히 연결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플립 커넥터(52)의 플립(53)을 정확하면서 간단한 방법에 의해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립 커 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는, 기본 틀을 형성하는 장치본체(60)와, 장치본체(60)에 마련되며 연결단자부(7)가 플립 커넥터(52)에 로킹(locking) 및 언로킹(unlocking)되도록 플립 커넥터(52)에 결합된 플립(53)을 동작시키는 레버부(70)와, 장치본체(60)의 일면에 누름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부(70)를 동작시키는 버튼부(90)를 구비한다.
먼저, 장치본체(6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되, 각 구성요소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도록 다수의 홀들(61, 62, 63)이 형성되어 있다. 장치본체(60)의 일면(60a)에는 버튼부(90)가 누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버튼홀(61)이 형성되어 있고, 일면(60a)에 대향되는 타면(60b)에는 후술할 레버부(70)의 로킹 레버(81)가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로킹홀(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60a)과 타면(60b)을 잇는 또 다른 타면(60c)에는 언로킹 레버(85)가 회동할 수 있는 언로킹홀(6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본체(60)는 플립 커넥터(52) 및 인쇄회로기판(51)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버튼부(90)의 누름 동작에 따라 레버부(70)가 로킹 및 언로킹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정확히 할 수 있도록 장치본체(60)의 외면은 플립 커넥터(52) 및 인쇄회로기판(51)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레버부(70)는, 도 3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60) 내에 마련되며 일단부의 일 영역이 버튼부(90)의 하면과 접촉되어 버튼부(90)의 누름 동작에 따라 회전축(7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레버(71)와, 일단부는 구동 레 버(71)의 타단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전술한 로킹홀(62) 및 언로킹홀(63)로 노출되어 플립(53)을 로킹 및 언로킹하는 종동 레버(80)를 구비한다. 여기서 종동 레버(80)는, 로킹홀(62)로 일부 노출되어 플립(53)을 로킹하는 로킹 레버(81)와, 언로킹홀(63)로 일부 노출되어 플립(53)을 언로킹하는 언로킹 레버(85)를 구비한다.
구동 레버(71)는, 도 3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72)을 중심으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버튼부(90)의 하단면과 접촉되는 가로바아(73)와, 회전축(72)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가로바아(73)에 연장 형성되는 경사바아(74)와, 경사바아(74)의 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로킹 레버(81)를 가압하는 로킹 레버 가압부(75)와, 경사바아(74)를 기준으로 로킹 레버 가압부(75)와 반대 방향에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언로킹 레버(85)를 가압하는 언로킹 레버 가압부(76)를 구비한다.
또한 가로바아(73)의 일단부의 하단 영역에는 버튼부(90)의 누름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77)가 마련되어 있으며, 장치본체(60)의 내부 공간에는 연장부(77)를 탄력적으로 수용하는 복귀스프링(65)이 장착되어 버튼부(90)를 누르지 않거나 버튼부(90)의 누름 동작 해제 시 구동 레버(71) 및 종동 레버(8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로바아(73)의 상부 영역에는 돌출부(78)가 형성되고 버튼부(90)에는 이를 수용하는 수용홈(91)이 형성되어 가로바아(73)가 버튼부(9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종동 레버(80) 중 로킹 레버(81)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구동 레버(71)의 로킹 레버 가압부(75)에 인접하도록 장치본체(60) 내에 마 련되고, 타단은 로킹홀(62)에 일부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로킹 레버(81)는 버튼부(90)의 누름 동작 시 회전축(7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레버(71)의 로킹 레버 가압부(75)에 의해 가압을 받아 가로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또한 로킹 레버(81)의 타단부(82)는, 플립 커넥터(52)의 편평한 상면(52b)과 접면하도록 직선 구간(83)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립(53)의 전 부분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플립(53)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길이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버튼부(90)의 누름 동작 시 로킹 레버(81)는 플립 커넥터(52)의 판면(52b)을 따라 플립(53)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다가 언로킹 상태에 있는 플립(53)을 일측부터 균일하게 푸쉬하여 플립 커넥터(52)에 플립(53)이 정확히 로킹되도록 한다. 이 때 플립(53)을 향한 로킹 레버(81)의 타단부(82)에는, 로킹 레버(81)로부터 플립(53)에 갑작스런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직선 구간(83)의 단부에 대해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 구간(84)이 더 형성되어 있다.
언로킹 레버(85)는, 도 3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구동 레버(71)의 언로킹 레버 가압부(76)에 인접하도록 장치본체(60) 내에 마련되고, 타단은 언로킹홀(63)에 일부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언로킹 레버(85)는 버튼부(90)의 누름 동작 시 회전축(7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레버(71)의 언로킹 레버 가압부(76)에 의해 가압을 받아 회전축(86)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언로킹 레버(85)의 타단부(87)는, 플립 커넥터(52)와 플립(53) 사이 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선단(88)이 첨예하고 일측으로 경사진 후크 형상을 가지며, 전술한 로킹 레버(81)의 타단부(82)와 마찬가지로 플립(53)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길이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버튼부(90)의 누름 동작 시 언로킹 레버(85)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다가 로킹 상태에 있는 플립(53)과 플립 커넥터(52) 사이로 도달하게 되고, 그 선단(88)이 플립(53)과 플립 커넥터(52) 사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확히 삽입된 후 플립(53)이 언로킹되는 방향으로 더 회전함으로써 플립 커넥터(52)로부터 플립(53)이 언로킹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플립 커넥터(52)에 TCP(3)와 같은 연결단자부(3)를 삽입 연결한 후 언로킹 상태에 있는 플립(53)을 로킹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홀(62)이 플립 커넥터(52)의 상부 영역에 오도록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를 배치한다. 이 때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의 일면(60b) 즉 로킹홀(62)이 형성된 면(60b)은 플립 커넥터(52) 및 인쇄회로기판(5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플립 커넥터(52) 및 인쇄회로기판(51)에 대한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의 얼라인(align)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의 버튼부(90)를 가압하여 언로킹 상태에 있는 플립(53)을 플립 커넥터(52)에 로킹되도록 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버튼부(90)를 가압하면 버튼부(90)의 하단에 접촉 배치되는 구동 레버(71)의 가로바아(73)가 가압되며, 이와 동시에 가로바 아(73)에 연장된 경사바아(74)가 회전축(7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경사바아(74)의 단부에 형성된 로킹 레버 가압부(75)는 로킹 레버(81)를 가압하게 되고, 로킹 레버(81)는 장치본체(60) 내에 형성된 경로(67)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로킹 레버(81)의 타단부(82)에 형성된 직선 구간(83) 및 경사 구간(84)은 플립 커넥터(52)의 판면(52b)을 따라 플립(53)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플립(53)의 전 길이를 균일하게 가압하게 되고, 플립(53)은 플립 커넥터(52)에 정확히 로킹(locking)되게 된다.
한편, 플립 커넥터(52)로부터 TCP(3)와 같은 연결단자부(3)를 분리하기 위해 로킹 상태에 있는 플립(53)을 플립 커넥터(52)로부터 언로킹시키는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킹홀(63)이 플립 커넥터(52)의 상부 영역에 오도록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를 배치한다. 이 때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의 일면(60c) 즉 언로킹홀(63)이 형성된 면(60c)은, 로킹홀(62)이 형성된 면(60b)과 마찬가지로, 플립 커넥터(52) 및 인쇄회로기판(5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플립 커넥터(52) 및 인쇄회로기판(51)에 대한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의 얼라인(align)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7)의 버튼부(90)를 가압하여 로킹 상태에 있는 플립(53)을 플립 커넥터(52)로부터 언로킹되도록 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버튼부(90)를 가압하는 경우, 버튼부(90)의 하단에 접촉 배치되는 구동 레버(71)의 가로바아(73)가 가압되며, 이와 동시에 가로바아(73)에 연장된 경사바아(74)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경사바아(74)의 단부에 형성된 언로킹 레버 가압부(76)는 언로킹 레버(8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언로킹 레버(85)의 타단부(87)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선단(88)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다가 로킹되어 있는 플립(53)과 플립 커넥터(52) 사이로 삽입된 후 회전력에 의해 플립(53)을 플립 커넥터(52)에 대해 회전시켜 플립(53)이 플립 커넥터(52)로부터 언로킹(unlocking)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소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의 플립 커넥터(52)에 플립(53)을 정확하면서 간단한 방법에 의해 로킹(locking) 또는 언로킹(unlocking)시킬 수 있어 종래에 플립(53)을 손가락 등으로 인해 누름으로써 발생했던 플립(53) 및 플립 커넥터(52) 간의 부정확한 결합 또는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장치본체 내에 플립을 로킹하는 로킹 레버와 플립을 언로킹하는 언로킹 레버가 모두 마련되어 있다고 상술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장치본체 내에 로킹 레버 및 언로킹 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만 마련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에 결합된 플립(Flip)을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방법으로 플립 커넥터에 대해 로킹(locking) 및 언로킹(unlocking)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PC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의 플립 커넥터에, 상기 플립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부를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립 커넥터 영역에 배치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단자부가 상기 플립 커넥터에 로킹(locking)되거나 언로킹(unlocking)되도록 상기 플립 커넥터에 결합된 플립(Flip)을 동작시키는 레버부; 및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누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립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를 동작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장치본체 내에 마련되고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버튼부와 접촉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소정의 회전축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는 구동 레버; 및
    일단부 영역은 상기 구동 레버와 접촉되고 타단부 영역은 상기 플립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레버의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플립을 동작시키는 종동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레버는,
    일단부는 상기 구동 레버와 접촉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로킹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른 상기 구동 레버의 회전 운동 시 직선 운동하면서 상기 플립을 상기 플립 커넥터에 로킹시키는 로킹 레버; 및
    상기 로킹 레버의 주변에 위치하며, 일단부는 상기 구동 레버와 접촉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언로킹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른 상기 구동 레버의 회전 운동 시 상기 구동 레버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플립 커넥터로부터 상기 플립을 언로킹시키는 언로킹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로킹 레버의 타단부에는 적어도 상기 플립 커넥터의 일면에 접면하는 직선 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구간의 단부에는 상기 직선 구간의 단부에 대해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 구간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킹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언로킹 레버의 타단부는, 상기 플립 커넥터와 상기 플립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선단이 첨예하고 일측으로 경사진 후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 방향에 가로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가로바아;
    상기 가로바아와 연결되고 상기 가로바아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바아;
    상기 경사바아의 단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 레버의 일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로킹 레버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와는 반대 방향에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언로킹 레버의 일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로킹 레버를 가압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아의 단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축심으로 회전한 상기 구동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의 직경이 1.8인치 이하의 소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KR1020070041366A 2007-04-27 2007-04-27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KR20080096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366A KR20080096208A (ko) 2007-04-27 2007-04-27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366A KR20080096208A (ko) 2007-04-27 2007-04-27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208A true KR20080096208A (ko) 2008-10-30

Family

ID=4015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366A KR20080096208A (ko) 2007-04-27 2007-04-27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62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772B1 (ko) 자기디스크장치
JP3087756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842521B2 (ja) 交換型記憶装置並びに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並びにカード型装置用スロットの利用方法
KR100818644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추에이터 래치장치 및 그를구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US20090181569A1 (en) Hard disk drive apparatus
US8018689B2 (en) Hard disk drive with thermal deformation prevention plate
KR20080096208A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립 커넥터 로킹/언로킹 장치
US7336447B2 (en) Disk device with inertia arm retaining portion stepped up from top yoke
US6934098B2 (en) Data card with a full circular track for alignment and amplitude calibration
US6906891B2 (en) Flexible disk drive having a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main frame and a sub-frame of a lower cover
JP3648312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3375479B2 (ja) ディスク保持装置
KR20090080826A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US7391588B2 (en) Hard disk drive connector having connector pins that deform away from a central shorting post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CN100550181C (zh) 数据存储装置和设置在其中的连接器
JP2922047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3711861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情報機器
JPH04121888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US8144433B2 (en) Hard disk drive
KR20010034911A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 카트리지
JP2010027196A (ja)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のアクチュエータラッ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7179690A5 (ko)
JPH1097776A (ja) カード型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ドライブ装置
JP2001143411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ボイスコイルモータ
WO2005027112A1 (ja) 記録媒体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