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161A - 비노출형 제방을 가진 고수부지 구조 - Google Patents

비노출형 제방을 가진 고수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161A
KR20080096161A KR1020070041260A KR20070041260A KR20080096161A KR 20080096161 A KR20080096161 A KR 20080096161A KR 1020070041260 A KR1020070041260 A KR 1020070041260A KR 20070041260 A KR20070041260 A KR 20070041260A KR 20080096161 A KR20080096161 A KR 20080096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layer
layer
riverside
media
si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4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6161A/ko
Publication of KR2008009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식방지와 수질정화 및 동식물에 대한 생태계를 확보가능하게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심을 흐르는 각종 하천에 대한 관리 방법으로 통상적인 방식이 홍수와 같은 재난에 대비하고자 폭우에 따른 다량의 우수가 쉽게 흘러 나가도록 하천을 직선화하고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안블록과 같은 재질로 포장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단순획일적인 하천변 처리로 도심의 오염원가 각종 생활용수에 의하여 가뜩이나 파괴되는 생태계가 결정적으로 파괴되면서 최근에는 이러한 하천변을 자연형으로 회귀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왔다.
본 발명자의 경우 특허 제125694호의 코코넛 섬유사에 의한 호안부재로 콘크리트재 호안블록을 대체하면서 생태계복원기능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어서 특허제 468813호의 자연식생형 유수천변 구조로 다양한 구조의 하천변에 목재, 돌 등과 코코넛 섬유사로 된 식생롤을 어울리게 하여 하천변에 대한 생태계복원과 호안침식 방지 그리고 수동적(소극적) 수질정화기능을 함께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수동적인 수질정화에 덧붙여 최근에는 하천변에 유입되는 각종 오염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수질 정화기능을 능동적(적극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하천변을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가해지면서 여러가지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기 혹은 무기질 계열의 다공층을 배치하고 이 다공층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구조화한 다음 그 상부는 본 발명자의 식생롤을 배치한 비노출형 제방구조를 고수부지에 설치한 하천변 구조이다.
본 발명의 하천변 구조는 하천의 유속에너지를 감소시켜, 제방의 안정화를 확립하며 하천주변에서 유입되는 각종 오수, 우수를 일차적으로 이곳에서 걸러 주는 동시에 동식물이 번식과 생장이 가능한 생태 통로를 형성하도록 한 새로운 고수부지로 개발하였다. 특히 생태통로에 여러 가지 식물의 자연적인 성장 유도는 하천변에 대한 미감을 주고, 이곳을 따라 이동하는 각종 동물(예, 수달, 족제비, 각종 양서류 )과 이곳을 배회하는 사람과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람과 동물이 함께 공존가능한 고수부지 구조를 조성한다.
고수부지, 제방, 생태

Description

비노출형 제방을 가진 고수부지 구조{Terrace land of a river with the hidden bank}
도 1에 고수부지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치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밀폐형 여재층 상면에 식생롤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밀폐형 여재층의 상면 개방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밀폐형 여재층의 상면에 식생롤이 설치되면서 내부에 여재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게비온형 여재층의 분해상태사시도,
도 6 은 게비온형 여재층의 사시도
도 7 은 개방형 여재층과 게비온형 여재층을 혼합하여 조립하는 사시도,
도 8 은 개방형 여재층에 의하여 실제 설치된 상태의 고수부지 단면도,
도 9는 밀폐형 여재층에 의하여 실제 설치된 상태의 고수부지 단면도,
도 10 은 밀폐형 여재층의 양측에 개방형 여재층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 은 개방형 여재층의 양측에 밀폐형 여재층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2 는 게비온형 여재층의 양측에 개방형 여재층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3 은 여재층이 측면과 상하에 다중으로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4 는 여재층이 다중으로 설치된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5 는 여재층이 경사진 측면을 갖는 경우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6 은 여재층이 하천흐름과 평행으로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17 은 여재층이 하천흐름과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18 은 여재층이 하천흐름과 교호로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19 는 실제 설치된 상태의 하천과 고수부지 단면구성도,
도 20 은 실제 설치된 상태의 하천과 고수부지 사시도임.
자연형 하천을 위한 기본적인 소재로 본 발명자는 특허 제125694호의 코코넛 섬유사에 의한 호안부재로 콘크리트재 호안블록을 대체하면서 생태계복원기능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어서 특허제 468813호의 자연식생형 유수천변 구조로 다양한 구조의 하천변에 목재, 돌 등과 코코넛 섬유사로 된 식생롤을 어울리게 하여 하천변에 대한 생태계복원과 호안침식 방지 그리고 수동적 수질정화기능을 함께 가능하게 하였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하천변을 자연형으로 개발하여 사람과 동식물이 공존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하천을 지나치게 자연형으로 조성하는 경우에는 침식을 통한 제방보호, 즉 치수적인 안전성 확보에 미약한 면이 존재하여 자연형이면서 인공적 치수 대처방법인 호안구조에 버금가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인구가 늘어나고 도심화가 확대되면서 하천변에 대한 오염도 그만큼 가속화되어 자연적인 수질 정화로는 한계가 있다. 하수나 우수를 분리하여 별도로 집중처리하는 시설이 있으나 그 처리시설과 하수분리 수거를 위한 도관설치 유지에 커다란 비용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하천변 고수부지에 비노출형 제방을 설치하여 제방의 보호와 함께 오염물질 제거 그리고 각종 동식물의 형태 등에 따라 최적의 동식물 서식환경이 조성되는 고수부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한, 본 발명은 고수부지의 일정 영역까지 자연스러운 하천 선형으로 자연현상에 의해 유도하는 것이 가능한 고수부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수 집중처리시설에 대한 처리능력이 최대화가능하도록 하천에 유입되는 오수를 자연정화형태로 분해제거가능한 고수부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후좌우상하면이 모두 개방된 개방형, 상면만 개방된 폐쇄형 그리고 모든 면이 망체로 쌓여진 망체형 그리고 이들을 적절히 조합한 복합형이 비노출형태로 설치된 고수부지를 제공하여 동식물의 생활 서식 공간의 제공, 오염물질제거기능이 겸비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노출이 되지 않으면서 제방의 기능을 갖고, 주변오염물질의 흡착제거 그리고 각종 동식물의 생활공간에 적합한 생태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고수부 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양서류 등 각종 수변 소동물의 생활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식물의 활착성장을 유도하도록 하고, 주변 생활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도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고수부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식물 식재에 머물던 고수부지에 대하여 일정한 형태의 기초부를 준설한 다음 이곳에 목재나 합성수지 혹은 콘크리트, 금속재로 구성된 여재층을 설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방과 같은 역활과 오염물 분해제거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을 도 1에 고수부지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2 는 본 발명의 밀폐형 여재층 상면에 식생롤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밀폐형 여재층의 상면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밀폐형 여재층의 상면에 식생롤이 설치되면서 내부에 여재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 와 6 은 본 발명의 게비온형 여재층의 분해상태와 조립상태 사시도이고, 도 7 은 개방형 여재층과 게비온형 여재층을 혼합하여 조립하는 사시도이며, 도 8 과 9 는 개방형 여재층과 밀폐형 여재층에 의하여 실제 설치된 상태의 고수부지 단면도이다 도 10 은 밀폐형 여재층의 양측에 개방형 여재층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1 은 개방형 여재층의 양측에 밀폐형 여재층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2 는 게비온형 여재층의 양측에 개방형 여재층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3 은 여재층이 측면과 상하에 다중으로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도 14 는 여재층이 다중으로 설치된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15 는 여재 층이 경사진 측면을 갖는 경우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6 , 17, 18은 여재층이 하천흐름과 평행으로 배치된 상태, 여재층이 하천흐름과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 여재층이 하천흐름과 교호로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9 는 실제 설치된 상태의 하천과 고수부지 단면구성도, 도 20 은 실제 설치된 상태의 하천과 고수부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물이 접하는 저수호안, 물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고수호안), 제방과 저수호안사이에 배치되는 고수부지로 구성되는 하천변 구조에 있어서,
고수부지(10)에 저수호안의 저수면(d)과 유사한 깊이를 갖는 박스 형태의 기초부(15)를 설치하고,
상기한 기초부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내에 불규칙한 형태의 석재(1)를 충진하고 상단에는 식물(35)을 식재한 식생롤(30)을 배치한 박스형태의 여재층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초부(15)는 설치될 여재층의 구조에 맞추어 적절히 깊이와 길이 그리고 넓이를 조정하면서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여재층을 단독으로 하천의 길이방향설치가 기본적인 구성이며(도 16), 이러한 구성이 적용이 어려운 곳, 예를 들면 모래가 대부분인 곳, 대부분이 뻘인 습지형태, 모래와 뻘이 혼재된 사질점토, 혹은 주변에서 침투되어 오는 침투수의 양, 유입되는 오수, 빗물 등이 오염도 등을 측정하여 기초부의 길이방향, 폭방향 치수를 정하며 깊이도 설치되어질 여재층의 수와 크기에 따라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게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수부지의 구조에 따라 여재층이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설치하거나 혹은 다른 여재층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이 되게 배치하여 다중 구조로 구성한다(도 10 내지 14도).
본 발명에서 여재층은 기본적으로 목재빔(21)에 의하여 구성하여 전후좌우상하가 개방되도록 구성한 개방형 여재층(50), 콘크리트 판넬(21a)에 의하여 밀폐된 박스형태로 구성된 밀폐형 여재층(60),그리고 금속 망체에 의하여 석재를 박스형태로 조립한 게비온 형 여재층(70)으로 구성된다.
기본적인 개방형 여재층(50)은 환경 친화적인 목재 혹은 봉상 콘크리트 혹은 금속 봉체에 의하여 박스형태로 구성하며, 그 내부에 석재를 충진하므로,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주변 토양에서부터 이동하여 온 침투수를 일차적으로 여과하여 주는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석재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게 되면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이 다른 생물의 이동경로 혹은 서식지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 공간은 먹이 피라미드 하부 생물들이 존재하므로, 상부 생물들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생태계 복원에 이바지한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판넬로 구성된 밀폐형 여재층은 외벽층을 밀폐형태로 구성하되, 일측 상부에는 입수공(21e)를 설치하고 타측면 하부에 통수공(21d)들을 연속반복적으로 설치한다. 입수공과 통수공의 수는 유입되는 침투수의 양과 기초부를 형성하는 토양성질(점토, 사질점토, 사양토 혹은 모래와 같은 투수성에 따라 선택)에 따라 결정하며 특별히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도 13에 설치된 것은 입수공이 통수공보다 하측에 배치하여 준 것으로 침투수의 흐름이 급속하게 진행되는 곳 에는 설치된 사례이다.
콘크리트 판넬로 구성되므로 일단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게 되면 유출이 억제되며, 이 억제된 침투수가 이곳에 일시 저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시적 저류에 의하여 침투수의 내부에 혼입(混入)된 여러가지 영양물질의 분해를 유도한다.
밀폐형 여재층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부에 고정부재(61)에 의하여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늘어지도록 구성한 끈형태의 유기물 분해여과가 가능한 여재부(42)를 배치하며, 고정부재(61)의 상측에는 식물(35)을 식재한 식생롤(30)을 배치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밀폐형의 내부에 침투한 물에 여재부에 의한 각종 미생물분해를 유도하여 일차적 분해제거 효과를 거두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 도 5와 6에 도시하듯이 여재층을 금속 망체(21b)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내에 불규칙한 형태의 석재(1)를 충진한 게비온형 여재층(70)으로 구성한다. 금속망체의 특성상 상기한 개방형 여재층(50)보다 개방도가 높으므로 필터 기능이 보강되며, 다른 여재층과 혼재하여 현장설치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 여재층을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연속반복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여재층을 단일층으로 구성하기 보다 여러 층이 중첩토록 하므로 고수부지 보호, 필터 기능, 동식물 서식 공간 등을 보다 확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7에 도시하듯이 개방형 여재층(50)의 내측에 게비온형 여재층(70)을 내장하여 개방형과 게비온형의 장점을 동시에 얻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10 내지 12 처럼 밀폐형 여재층(6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개방형 여재층(50)을 병설하여 주거나, 개방형 여재층(5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밀폐형 여재층(60)을 병설하여 주도록 한다. 개방형 여재층으로는 나무방틀이나 게비온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밀폐형 여재층(6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개방형 여재층(50)을 병설하여 주는 동시에 밀폐형 여재층의 하측으로 또 다른 여재층을 설치하여 주거나
개방형 여재층(5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밀폐형 여재층(60)을 병설하여 주는 동시에 개방형 여재층의 하측에 또 다른 여재층을 설치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밀폐형 여재층(6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개방형 여재층(50)을 병설하여 주는 동시에 밀폐형 여재층의 하측으로 또 다른 여재층을 설치하여 주되,
상하층에 설치된 여재층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깊이를 갖는 또 다른 여재층을 일측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개방형 여재층(5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밀폐형 여재층(60)을 병설하여 주는 동시에 개방형 여재층의 하측에 또 다른 여재층을 설치하여 주되,
상하층에 설치된 여재층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깊이를 갖는 또 다른 여재층을 일측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를 제공한다.
도 13에 도시하듯이 개방형 여재층(5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밀폐형여재층(60)을 배치하며, 상기한 개방형여재층을 모두 포괄하는 넓이를 갖으며 하부에 출수공(60a)가 형성된 밀폐형여재층(60-1)을 설치하고, 이 두 개의 층으로 된 여재층의 높이와 동일 높이를 갖으면서 출수공(60a)과 연통가능한 입수공(60b)가 형성된 밀폐형 여재층(60-2)을 연설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개방형 여재층에 의하여 침투된 물이 급속하게 하부로 거름과 분해 작용을 동시에 거치도록 하며 일단 하부의 밀폐형여재층(60-1)에 일단 침투수가 저류되며 하측의 출수공(60a)을 통하여 입수공(60b)으로 입수되어 이곳에서 배출공(60c)를 통하여 침투수가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다단 구조에 의한 침투수의 단계적 배출로 오염물의 필터, 미생물에 의한 분해, 침투수의 일차적 저류에 의한 수분조절효과 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다중 구조는 사질토가 아닌 점질토와 같은 투수성이 불량한 경우에는 상기한 경우와 반대, 즉, 밀폐형여재층과 개방형 여재층을 교체하여 설치하여 통수기능을 강화하면서 필터와 분해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설치상의 변화는 설치현장의 토양성질과 침투수의 정도, 주변 유수의 양과 강수량 등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변동설치가능하며 이러한 모든 변화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하듯이 개방형 여재층(50)을 상하로 배치하고 이것과 동일한 높이의 밀폐형 여재층(60)을 설치하되 그 입수공(60g)과 출수공(60f)을 동일한 높이로 하여 밀폐형 여재층의 하측으로 저류부를 구성하고 개방형 여재층에 의한 필터와 분해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여재층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하여 측면이 경사층을 갖도 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고수부지가 모래가 많아서 물이 하방으로 침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여과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는 설치현장의 상황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도 16 내지 19은 본 발명의 평면 배치의 예시이다.
도 16 은 여재층이 유수의 흐름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연속 반복되게 배치하는 것이며, 고수부지에 함께 설치된 차집관로 등과 본 발명의 여재층이 저수면(d)와의 사이에서 완충역활을 하게 되어 배관을 보호하게 된다.
도 17 은 여재층이 유수의 흐름방향과 경사각을 갖도록 연속반복되게 배치한 것으로, 유수의 흐름이 강한 급류지 혹은 굴곡이 심한 유수에 의한 침식을 직접 방지하여 유수에 의한 과잉 침식방지효과와 함께 침식이 이루어지더라도 본 발명의 여재층에 의한 퇴적작용으로 물결형의 자연스러운 하천 선형 구조를 유도한다.
도 18 은 여재층이 유수의 흐름방향과 평행이 되게 배치하되, 교호로 엇갈리게 배치한 구조로 완도(shallow bay)나 모래톱의 형성을 유도하여 경관과 하천변과 하천사이에 생태계 연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고수 부지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보인다.
공학적 특성 제방보호 : 고수부지에 설치하여 자연스럽게 침식 한계선을 확보하여 줌. 수질정화 : 비점오염원 차단 및 오수의 필터링 자연하도 유지 : 저수호안을 개선하지 않아 자연스러운 하천 선형을 유지함.
생태적 효과 자연스러운 하도를 유지함. 작은 동물들의 하천변 이동통로(코리더) 역할 하천주변의 다양한 곤충류들의 서식공간 창출 (습지 및 비오톱 기능)
경관 및 수질정화효과 식생 활착이 유리하여 주변 경관과 잘 어울림. 접촉 산화에 의한 수질 정화 효과
시공/유지관리 부분적으로 보수가 가능함. 별도의 유지관리를 요하지 않음.
식생 은제의 대표적인 설치예로서 이와같은 하천의 단면은 강우나 홍수등에 의해 수변에 계속적인 침식과 퇴적이 발생되어 하도의 변화가 심한 곳으로 비노출형 제방에 의하여 자연환경에 따라 안전하면서도 자연스러운 하천의 변화를 유도할 수있다.
Figure 112007031996942-PAT00001
위 그림과 같이 수충부와 만곡부에서 자연스러운 하도(河道)를 유지할 수 있어 가장 자연에 가까운 하천 형성과 자연 보호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한다.

Claims (13)

  1. 물이 흐르는 저수호안, 물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 제방과 저수호안사이에 배치되는 고수부지로 구성되는 하천변 구조에 있어서,
    고수부지(10)에 저수호안의 저수면(d)과 유사한 깊이를 갖는 박스 형태의 기초부(15)를 설치하고,
    상기한 기초부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내에 불규칙한 형태의 석재(1)를 충진하고 상단에는 식물(35)을 식재한 식생롤(30)을 배치한 박스형태의 여재층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여재층을 목재빔(21)에 의하여 구성하여 전후좌우상하가 개방되도록 구성한 개방형 여재층(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여재층을 일측 상부에는 입수공(21e)을 설치하고 타측면 하부에 통수공(21d)들을 연속반복적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판넬(21a)에 의하여 밀폐된 박스형태로 구성된 밀폐형 여재층(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여재층을 금속 망체(21b)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내에 불규칙한 형태의 석재(1)를 충진한 게비온형 여재층(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개방형 여재층(50)의 내측에 게비온형 여재층(70)을 내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부지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여재층(60)을 입상 활성탄, 다공성 여재, 세라믹 여재, 끈상여재로 충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개방형 여재층(5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밀폐형 여재층(60)을 병설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게비온형 여재층의 양측에 개방형 여재층을 병설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여재층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하여 측면이 경사층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여재층이 유수의 흐름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연속반복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여재층이 유수의 흐름방향과 경사각을 갖도록 연속반복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12. 제 1 항에 있어서,
    여재층이 유수의 흐름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하되, 교호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13. 제 1 항에 있어서,
    개방형 여재층(5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밀폐형여재층(60)을 배치하며, 상기한 개방형여재층을 모두 포괄하는 넓이를 갖으며 하부에 출수공(60a)가 형성된 밀폐형여재층(60-1)을 설치하고, 이 두 개의 층으로 된 여재층의 높이와 동일 높이를 갖으면서 출수공(60a)과 연통가능한 입수공(60b)가 형성된 밀폐형 여재층(60-2)을 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 고수 부지 구조.
KR1020070041260A 2007-04-27 2007-04-27 비노출형 제방을 가진 고수부지 구조 KR20080096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260A KR20080096161A (ko) 2007-04-27 2007-04-27 비노출형 제방을 가진 고수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260A KR20080096161A (ko) 2007-04-27 2007-04-27 비노출형 제방을 가진 고수부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161A true KR20080096161A (ko) 2008-10-30

Family

ID=4015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260A KR20080096161A (ko) 2007-04-27 2007-04-27 비노출형 제방을 가진 고수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616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704B1 (ko) * 2013-11-18 2014-06-24 박재희 비점오염원의 유입방지를 위한 생태방틀
CN105926551A (zh) * 2016-04-27 2016-09-07 崔延松 适于农业灌溉混凝土防渗渠道生态改造的方法
CN106592511A (zh) * 2017-01-04 2017-04-26 无锡金利达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城市河道自然景观的快速恢复方法
CN112144345A (zh) * 2020-09-18 2020-12-29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一种生态砌块导排水边沟及其参数确定方法
CN112726505A (zh) * 2020-12-30 2021-04-30 广东百年基业水利水电建设有限公司 一种河道地基就地固化的施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704B1 (ko) * 2013-11-18 2014-06-24 박재희 비점오염원의 유입방지를 위한 생태방틀
CN105926551A (zh) * 2016-04-27 2016-09-07 崔延松 适于农业灌溉混凝土防渗渠道生态改造的方法
CN106592511A (zh) * 2017-01-04 2017-04-26 无锡金利达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城市河道自然景观的快速恢复方法
CN112144345A (zh) * 2020-09-18 2020-12-29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一种生态砌块导排水边沟及其参数确定方法
CN112726505A (zh) * 2020-12-30 2021-04-30 广东百年基业水利水电建设有限公司 一种河道地基就地固化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095B1 (ko) 멀티셀 및 멀티레인의 습지와 연못 및 침전지 구조를 활용한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 시스템
CN108640409B (zh) 一种组合式生态护岸及其施工方法
CN109399800B (zh) 一种河流湖泊径流污染梯级控制系统
CN109469001B (zh) 一种河道生态系统重建结构及其构建运行方法
JP2006336404A (ja) 魚巣マングローブ護岸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護岸工法
CN108442320B (zh) 一种含生态栖息地的组合式护岸及其施工方法
KR20140124555A (ko)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20080096161A (ko) 비노출형 제방을 가진 고수부지 구조
Douglas Urban hydrology
KR100444972B1 (ko) 생태공원으로 활용가능한 점.비점 오염원 처리용 다단계셀인공습지 시스템 및 오염원 처리 방법
KR101404215B1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JP2007144265A (ja) 雨水濾過調整システム
JP2003232024A (ja) 護岸および河床用構築材
Harihar et al. Application of bamboo in mangrove rehabilitation projects
KR101080088B1 (ko) 생태환경을 고려한 저류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N213358503U (zh) 一种基于海绵城市理念的自然型岸坡防护结构
CN211142967U (zh) 一种生态化河道挡墙
KR200268853Y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KR20040075806A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Lee Green infrastructure as a solution to hydrological problems: bioswales and created wetlands
KR20150068885A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US11795646B2 (en) System for reducing contaminants in a body of water
KR100451983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CN113045138B (zh) 针对泸沽湖大草海退化湿地设计的多级斑块过滤湿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