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023A -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및 이를 고정하는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및 이를 고정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023A
KR20080095023A KR1020070039285A KR20070039285A KR20080095023A KR 20080095023 A KR20080095023 A KR 20080095023A KR 1020070039285 A KR1020070039285 A KR 1020070039285A KR 20070039285 A KR20070039285 A KR 20070039285A KR 20080095023 A KR20080095023 A KR 20080095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silicon
silicone foam
implant
pros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영
Original Assignee
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영 filed Critical 박재영
Priority to KR102007003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5023A/ko
Publication of KR20080095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및 이를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액형의 실리콘을 혼합하여 고체로 경화시키되, 실리콘에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medical grade) 발포제를 첨가하거나 경화과정 중에 질소를 직접 유입함으로써, 보형물이 부드러운 재질의 발포 스펀지가 되도록 한다.
또한, 발포 스펀지 재질의 보형물을 사용할 경우, 젖꼭지 리프팅 수술을 병행하더라도 실리콘백이 터지거나 실리콘젤 입자가 새어나와 혈관에 유입될 위험이 없으므로, 유방성형시에 보형물의 삽입과 젖꼭지 리프팅 수술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핵산등이 추출되지 않는 의료용(medical grade) 발포제를 사용하거나 직접 질소가스를 유입하여 실리콘 발포체를 형성함으로써, 인체에는 전혀 무해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 입자의 혈관 내 유입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실리콘, 발포, 스펀지, 슬링, 고어텍스, 유방

Description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및 이를 고정하는 방법{Silicone sponge medical implant made by using Gas-bubble and the method for fixing it}
도 1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을 유방 내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형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의 (a)는 유방내에 삽입하기 위한 보형물의 측면도,
도 3의 (b)는 도 3의 (a)가 유방에 적용된 상태의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는 보형물에 대한 도면,
도 5 내지 도 19는 각각 인체의 각 부에 삽입될 수 있는 보형물의 개략적인 구조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방 1b : 유방조직
10 : 보형물 11 : 실리콘 백
12 : 주입구 13 : 실리콘 발포체
30 : 고어 텍스 실
본 발명은,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및 이를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수술용도의 보형물을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되, 수술시에 고어텍스 실에 의한 슬링(sling)이 가능토록 액체가 아닌 고체 실리콘을 사용하고, 고체이면서도 부드러운 촉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발포 스펀지 타입으로 된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경화제로서는 백금촉매를 사용하고,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medical grade)발포제를 사용하여 발포하거나 질소가스를 실리콘 혼합물에 직접 주입하는 방식에 의해 발포함으로써, 인체에 전혀 해롭지않은 실리콘 보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성형 수술이란 주로 인체의 부분 손상이나 기형의 교정 또는 미용을 위하여 하는 외과적 수술의 총칭이지만, 최근 들어서는 미용을 위한 수술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성형수술을 받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자신의 신체에서 부족한 부분을 교정하여 자신감을 갖고 사회생활을 영위함으로서 보다 많은 것을 얻고 성취하려는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사람들인 것으로 조사에서 나타났으며, 비정상적인 모습을 정상적으로 고치려 하거나, 조화된 아름다움을 갖기 위한 노력은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들의 인지상정이다.
한편, 신체의 특정부위가 상대적으로 왜소하거나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길 원할 경우에는 보형물을 신체내에 삽입하는 성형수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유방(Breast), 힙(Hip), 남성의 가슴(Chest), 이마(Forehead), 관자놀이(Temple), 광대뼈(Malar), 코(Nose), 턱(Chin), 여성의 질(Vagina), 남성의 음경(Penile), 종아리(Calf)등의 부위에 보형물을 삽입하는 수술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보형물은 인체내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인체에 조직 적합성(bio compatible)이 우수한 재질이어야 하며, 이물감이 적게 느껴지고 외관이 자연스러워야 하므로 피부와 같이 부드러운 재질이어야 하는데, 실리콘의 경우 위 2가지 조건을 대체로 만족하므로 과거에는 보형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들어서는 다우코닝에서 유방삽입용 실리콘을 판매한 후, 인체의 면역성을 떨어뜨린다는 보고가 있고, 실제 이로 인해 피해를 본 많은 여성들이 다우코닝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회사가 존폐의 위기에 까지 몰리게 됨으로써, 피부와 가장 유사한 느낌의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인체내에 삽입되는 보형물의 용도로는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실리콘은 유해성에 대해 정확히 입증되지 않았으며, 유해성분은 제조시의 첨가물에 의해 유입되는 것이지 그 자체만으로는 해가 없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실리콘 보형물은 제조시의 첨가물인 경화제(硬化劑)를 인체에 무해한 것을 사용하고, 젤(gel)상태의 실리콘이 혈관내로 유입되는 것만 방지할 수 있 다면, 인체 내 삽입되는 보형물로서 가장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소재임에 틀림없다.
특히, 과거에는 유방 삽입용 보형물로서 실리콘막 내부에 액체 실리콘이 저장되어 있는 실리콘 젤(gel)을 주로 사용하였었는데, 수술후에 실리콘막이 터지거나 봉합부가 이완되어 실리콘젤 입자가 외부로 새어나오기 쉬웠으며, 새어나온 실리콘젤 입자는 혈관에 유입되어 관절염등을 일으키게되므로 사용금지되고 있었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젤 타입의 실리콘 보형물을 사용하는대신에 고체타입의 실리콘 보형물을 사용하되 부드러운 느낌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발포 스펀지타입으로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특정 부위의 피부가 처지는 경우나 지방이 축척되어 있어 체형이 보기 좋지 않게 변화된 경우에는 최근들어 APTOS라는 주름제거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APTOS는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특수 처리된 실을 이용하여 겉으로 나타난 노화된 피부와 피부속에 노화된 연부조직(SMAS)을 함께 끌어올려 주름을 제거하고 팽팽하게 되살려주는 수술 방법으로 간단한 국소 마취를 통해 바늘을 사용함으로서 메스로 수술하는 방법의 최대 단점인 흉터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수술받은 부위의 자극이나 손상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그로 인한 부기도 적을 수 밖에 없고, 수술 후 자연스러운 긴장도를 주어 피부가 탄력있고 젊어 보이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APTOS는 피부를 바늘로 찔러 피하(皮下)를 통해 실을 연결하는 수술방법으로서, 유방의 경우에도 한줄은 처진 유방조직(glandular tissue)을 관통하고, 한줄은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을 관통한 후 유방조직을 감싸서 묶은 다음 흉근근막(胸筋 筋膜)(pectoralis fascia)에 고정해주면 간단하게 젖꼭지를 리프팅해줄 수 있는데, 유방에 실리콘 젤에 의한 보형물을 삽입한 경우에는 젖꼭지 리프팅 시술시에 실리콘백이 터지게될 것이므로, 젖꼭지 리프팅 수술은 보형물 삽입과 병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성형 수술에의 효과가 그리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성형수술용도의 보형물을 실리콘의 재질로 구성하되 젤(gel)이 아닌 고체의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체내 부작용이 최소화함과 동시에 젖꼭지 리프팅 수술도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성형수술용도의 보형물을 고체 실리콘의 재질을 사용하되 발포 스펀지의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젤 타입과 같은 부드러운 느낌을 그대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운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세 번째 목적으로는, 젤 타입의 실리콘 입자가 혈관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보형물에 첨가된 유해한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면역기능을 약화시키거나 관절염 등의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안전한 성형수술용 보형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해결방안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액형의 실리콘을 혼합하여 고체로 경화시키되, 실리콘에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medical grade) 발포제를 첨가하거나 경화과정 중에 질소를 직접 유입함으로써, 보형물이 부드러운 재질의 발포 스펀지 가 되도록 한다.
또한, 발포 스펀지 재질의 보형물을 사용할 경우, 젖꼭지 리프팅 수술을 병행하더라도 실리콘백이 터지거나 실리콘젤 입자가 새어나와 혈관에 유입될 위험이 없으므로, 유방성형시에 보형물의 삽입과 젖꼭지 리프팅 수술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을 유방 내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형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의 (a)는 유방내에 삽입하기 위한 보형물의 측면도, 도 3의 (b)는 도 3의 (a)가 유방에 적용된 상태의 개략도이다.
첨부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원래 유방(1) 내의 유방조직(1b)은 처녀 때의 작고 단단한 유방(1)일 때를 제외하고는 누웠을 때는 마운드(mound)가 없이 퍼진 모양이고 섰을 때는 아래로 축 처진 모양이 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도 1 참조)
이에 대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기술에서도 유방형 임플란트(mammary implant)를 삽입한 예가 있다. 종래의 유방형 임플란트(mammary implant)는 실리콘 주머니 내에 염수(saline)나 실리콘 겔(silicone gel) 등의 액체가 들어 있다. 따 라서 이러한 유방형 임플란트(mammary implant)는 내부의 액체로 인해 바닥에 놓으면 펑퍼짐해지고 세우면 아래로 몰려 처진 모양이 될 수밖에 없다.
한편, 자연적인 유방(1)은 누워있을 때에는 납작하게 퍼져 있어 손으로 모아야 겨우 만질 수 있다. 바람직한 유방(1)은 누워있을 때에도 어느 정도 마운드(mound)가 있어서 그냥 손으로 만져도 볼륨(volume)을 느낄 수 있으면 좋다. 또한 서 있을 때에도 유방(1)이 아래로 처지지 않고 브래지어를 하지 않아도 앞으로 봉긋하게 솟아 있는 것이 바람직한 유방(1)라 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여성들은 이러한 상태로 성형 수술을 원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인해,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던, 즉 내부에 액체 상태의 실리콘 겔이 들어 있던 유방형 임플란트(mammary implant)를 사용하기 보다는 그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완전하게 단단한 고체 보형물보다는 마치 살처럼 부드러운 스펀지 형태의 보형물(10)이어야 하며, 또한 눌렀다가 놓았을 때 완벽한 복원력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보형물(10)은 아래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제조하고 있는 것이다.
먼저 도 2에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형물은, 액상 실리콘(41a)(41b)을 몰드(mold)(43)에서 경화시키되, 경화과정에서 실리콘에 포함된 발포제에 의해 발포하거나, 질소가스를 유입시켜 발포함으로써, 실리콘 스펀지에 의한 보형물이 몰드의 형태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은 액상 실리콘(41a)(41b)로 이루어진 이액형 실리콘으로서 따로 있을 경우엔 액체 상태이지만 둘이 혼합되면 경화되어지는 성질이 있는데, 경화과정은 대기중에 방치하거나 100~200℃ 의 열을 가해줌으로써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상기 액상 실리콘(41a)(41b)은 각각 혼합용기(40)내로 유입되어 혼합되어지는데, 핵산등이 추출되지 않으며 인체에 전혀 무해한 의료용(medical grade) 발포제가 상기 실리콘에 첨가되어진 경우에는, 혼합용기(40)내에서 경화(硬化)와 동시에 발포(發泡)되어진다.
한편, 발포제로는 질소가스를 유발하는 AIBN(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을 반응개시제로 사용할 수 있는데, 적절한 온도에서 저온 경화제가 분해되면 질소가스가 분출되어 실리콘 내부에 가스를 형성하게되므로, 발포 스폰지의 형태가 된다.
이 때 저온 경화제가 많이 배합되면 액상 실리콘이 일찍 경화되므로 발포 셀이 적게 형성되고, 반대의 경우 셀이 커지게 되는 성질이 있다.
또한, 경화제가 첨가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백금을 이용한 실리콘 제품은 인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백금촉매에 의한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백금촉매외에도 오가노하이드로겐실록산, 하이드록실화 오가노실록산을 혼합할 경우, 반응에 의해 수소가 발생하게되므로 스펀지 형태의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중합체가 가교결합되어 발포체가 경화되어진다.
이는 발포제를 사용하는 예에 대한 설명이며,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질소가스(42)를 경화과정중에 액상 실리콘의 혼합액에 골고루 분사해줌으로써 발포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보면, 일정한 혼합용기(40) 내로 액상 실리콘(LSR : Liquid silicone)(41a)(41b)를 주입시키되, 실리콘 재료는 서로 다른 성분이 유입되어 혼합용기(40)내에서 합쳐지도록 상이한 주입부를 통해 주입된다.
이에 더하여 가스발생기(42)를 통해 주로 질소가스(N2)를 혼합용기(40) 내로 주입시켜, 실리콘 재료에 공기 방울(air bubble)이 생성되도록 한다. 그리고는 이들 혼합된 재료들이 몰드(43)로 제공됨으로써 몰드(43)를 통해 도 3의 (a)와 같은 고체형의 보형물(10)이 제조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혼합용기(40)에서는 상이한 액상 실리콘(41a)(41b)이 만나 경화되기 시작하는데, 이때 발포제 또는 질소가스에 의해 발포되어지므로 젤(gel)상태의 발포체가 되어지며, 이 상태에서 몰드(43)에 유입됨으로써 완전한 고체상태의 발포체가 되는 것이다.
한편, 실리콘 발포체는 표면에 미끄러운 막이 형성되므로 보형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발포체(13)가 실리콘 백(Silicon bag)(11) 또는 우레탄 코팅(Urethane coated) 내부에 주입되고, 실리콘 미립자가 외부에 새어나오지 않도록 주입구(12)는 밀봉되어진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기 위해서는, 먼저 주입구(12)가 구비된 실리콘 백(11)를 준비한 다음, 혼합용기(40)에 있던 젤 상태의 발포체를 상기 주입구(12)를 통해 실 리콘 백(11)내부에 주입하여 완전경화시키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된 발포체인 실리콘 막대(10e)를 상기 실리콘 백(10a)의 내부에 다수개 충전하여 외형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조된 고체형의 보형물(10)은 종래의 유방형 임플란트(mammary implant)와는 달리 그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마치 실리콘 스펀지(silicon sponge)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이처럼 제조된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소위, 에어 유방형 임플란트(10, air mammary implant)라 하여도 좋다.
참고로, 눈에 보이는 셀(cell)을 가진 실리콘 스펀지를 에어 실리콘(air silicon)이라 하기도 한다. 만졌을 때 부드럽고 눌렀다 놓았을 때 완전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생체 조직과 느낌이 거의 흡사하다. 또한 기존의 단단한 보형물보다 훨씬 가벼워 이물감이 전혀 없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실리콘 스펀지로서의 고체형의 보형물(10)을 도 1의 (a)와 같이, 유방조직(1b) 안쪽으로 단순하게 삽입시키는 것만으로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방조직(1b)과 고체형의 보형물(10)이 따로 놀기 때문에 유두(1a)가 계속 아래로 처질 수밖에 없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유방조직(1b) 안쪽으로 삽입시킨 후, 유방조직(1b)과 고체형의 보형물(10)이 하나의 덩어리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유방조직(1b)과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상호 묶어줄 필요가 있다.
이 때에는 별도의 실(20, thread)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1.2 mm ~ 1.7 mm의 굵기를 갖는 고어 텍스 실(Gore-tex thread) 또는 1.2 mm ~ 1.7 mm의 굵기를 갖는 실리콘 실(Silicon threa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20, thread)을 이용하여 유방조직(1b)과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상호 묶어주고 있다.
결국, 고어 텍스 실(20, Gore-tex thread)을 이용하여 유방조직(1b)과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상호 묶어주기 위해서는, 종래와 같이 액체형의 유방형 임플란트(mammary implant)로는 아니 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실리콘 스펀지로서의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다음은, 고체형의 보형물(10)에 대한 수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드랑이 쪽의 적당한 위치에 절개부(35, incision)를 형성한다. 절개부(35)는 고체형의 보형물(10)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 예를 들어 3~4 cm 정도면 족하다.
다음, 절개부(35)를 통해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유방조직(1b)의 안쪽으로 삽입한다. 그리고는 예컨대 1.3 mm 굵기의 고어 텍스 실(20, Gore-tex thread)을 이용하여 유방조직(1b)과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상호 묶어주면 된다.
고어 텍스 실(20, Gore-tex thread)을 이용하여 유방조직(1b)과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상호 묶어줄 때는, 예컨대 고어 텍스 실(20, Gore-tex thread)의 양 단부를 미리 앵커를 박아 고어 텍스 실(20, Gore-tex thread)이 앵커를 상호 연결하도록 하면 된다.
그러면, 도 1의 (b)와 같이, 유두(1a)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유방(1)이 도 1의 (a)보다 상측으로 H 만큼 높게 당겨질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보다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유방(1)의 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만약에 도 3의 (a)와 같은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라면 도 4와 같은 형상으로 수술해도 무방하다.
즉, 우선, 도 4의 (a)와 같이 실리콘 백(10a)을 준비하고, 이를 유방 하부의 절개부(infra mammary line)(35)를 통해 유방조직(1b)의 안쪽으로 삽입한다. 그리고는 (b)와 같이, 실리콘 백(10a)의 입구(10b)에 삽입부재(10c)를 끼운 후, 이 삽입부재(10c)를 통해 예컨대, 도 18과 같은 막대(rod) 형의 실리콘 막대(10e, silicon rod)를 실리콘 백(10a) 내로 충전시킨다.
실리콘 막대(10e)의 충전이 완료되면 삽입부재(10c)를 빼고, (c)와 같이 실리콘 백(10a)의 입구(10b)를 별도의 차폐부재(10d)를 통해 막으면 된다. 그리고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1.2 mm ~ 1.7 mm 굵기의 고어 텍스 실(20, Gore-tex thread)을 이용하여 유방조직(1b)과 고체형의 보형물(10)을 상호 묶어주면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19는 각각 인체의 각 부에 삽입될 수 있는 성형 수술용 보형물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에는 예컨대, 인체의 각 부에 삽입될 수 있는 성형 수술용 보형물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편의를 위해 도 5 내지 도 19에 대해서는 별도의 참조부호를 부여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도 5 내지 도 19의 성형 수술용 보형물 역시 전술한 방법대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b)는 힙(hip)에, 도 6의 (a) 및 (b)는 가슴(chest)에, 도 7의 (a) 및 (b)는 이마(forehead)에, 도 8의 (a) 및 (b)는 관자놀이(temple)에, 도 9의 (a) 및 (b)는 뺨(malar)에, 도 10의 (a) 및 (b)는 코(nose)에, 도 11의 (a) 및 (b)는 아래턱(chin)에, 도 12의 (a) 및 (b)는 질(vagina)에, 도 13의 (a) 및 (b)는 음경(penile)에, 도 14의 (a) 및 (b)는 종아리(calf)에 각각 삽입되는 성형 수술용 보형물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인체의 각 부 외에 적당한 곳에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5의 (a) 및 (b)는 블럭(block)에 대해, 도 16의 (a) 및 (b)는 시트(sheet)에 대해, 도 17은 볼(ball)에 대해, 도 18은 막대(rod)에 대해, 그리고 도 19는 웜(worm)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도 5 내지 도 14와는 달리, 도 15 내지 도 19는 도시된 그 자체로 인체의 각 부에 삽입될 수도 있고, 혹은 부분적으로 재단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7의 (a) 내지 (c)는 각각 그 직경이 10 mm, 8 mm, 6mm 의 볼(ball)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도 19의 (a)는 단면이 반원 상태, 그리고 (b)는 완전한 원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액형의 실리콘을 혼합하여 고체로 경화시키되, 실리콘에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medical grade) 발포제를 첨가하거나 경화과정 중에 질소를 직접 유입함으로써, 보형물이 부드러운 재질의 발포 스펀지가 되도록 한다.
또한, 발포 스펀지 재질의 보형물을 사용할 경우, 젖꼭지 리프팅 수술을 병행하더라도 실리콘백이 터지거나 실리콘젤 입자가 새어나와 혈관에 유입될 위험이 없으므로, 유방성형시에 보형물의 삽입과 젖꼭지 리프팅 수술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핵산등이 추출되지 않는 의료용(medical grade) 발포제를 사용하거나 직접 질소가스를 유입하여 실리콘 발포체를 형성함으로써, 인체에는 전혀 무해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 입자의 혈관 내 유입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2액형의 액상 실리콘(41a)(41b)이 몰드(43) 내에서 경화되어 상기 몰드의 형태대로 만들어지는 보형물에 있어서,
    경화과정 중에 상기 액상실리콘에 첨가된 발포제에 의하여 질소가스가 발생하거나 질소가스가 직접 주입됨으로써 다수의 기공이 내부에 균일하게 형성되어진 실리콘 발포체(13)와,
    상기 실리콘 발포체의 표면을 에워싸도록 밀착 결합되며 상기 실리콘 발포체(13)가 내부에 주입된 후에 이를 밀봉하기 위한 주입구(12)가 후미에 구비되어진 실리콘 백(Silicon bag)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백은 주입구에 삽입부재(10c)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를 통과할 정도의 크기의 실리콘 발포체를 상기 실리콘백 내부에 다수 충전하고, 충전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로 부터 삽입부재(10c)를 분리하고, 별도의 차폐부재(10d)를 사용하여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3. 2액형의 액상 실리콘(41a)(41b)을 혼합한 다음 몰드(43)에 주입하여 상기 몰 드의 형태대로 실리콘을 경화시키는 실리콘 보형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액상 실리콘(41a)(41b)이 혼합용기(40)내로 각각 주입되는 과정,
    (2) 상기 혼합용기(40)내에 주입된 실리콘은 젤(gel)타입으로서 반건조 상태가 되며, 이때 상기 액상실리콘에 첨가된 발포제에 의하여 질소가스가 발생하거나 가스발생기(42)를 통해 질소가스가 직접 주입됨으로써 다수의 기공이 내부에 균일하게 형성되어지는 과정,
    (3) 반건조 상태의 실리콘이 몰드(43)에 주입된 후 완전 경화됨으로써 실리콘 발포체가 되는 과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43)로서 실리콘 백(11)을 사용하고 후미에 구비된 주입구(12)를 통해서 반 건조상태의 실리콘이 실리콘 백(11) 내부로 주입되며,
    실리콘이 경화되어 실리콘 발포체(13)가 되어지면 실리콘 입자가 그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주입구(12)를 완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의 제조방법.
  5. 수술 대상의 적당한 위치에 절개부(incision)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절개부를 통해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실리콘 발포 보형물을 삽입하는 단계; 및
    1.2 mm ~ 1.7 mm의 굵기를 갖는 고어 텍스(Gore-tex) 또는 실리콘 재질의 실thread)을 이용하여 상기 성형 수술용 보형물을 상기 성형 수술용 보형물에 인접한 조직에 대해 당겨 묶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수술용 보형물을 고정하는 방법.
KR1020070039285A 2007-04-23 2007-04-23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및 이를 고정하는방법 KR20080095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285A KR20080095023A (ko) 2007-04-23 2007-04-23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및 이를 고정하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285A KR20080095023A (ko) 2007-04-23 2007-04-23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및 이를 고정하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023A true KR20080095023A (ko) 2008-10-28

Family

ID=4015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285A KR20080095023A (ko) 2007-04-23 2007-04-23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및 이를 고정하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02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776B1 (ko) * 2009-06-02 2011-05-06 유원석 저분자 실리콘 유출을 방지하는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
KR101067483B1 (ko) * 2009-06-02 2011-09-27 유원석 2중 미세 기공 구조의 실리콘 스폰지 비드 및 그 제조방법
CN107280810A (zh) * 2017-05-18 2017-10-24 西安交通大学 一种可降解乳腺支架
KR20180067163A (ko) * 2016-12-12 2018-06-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주입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4864A (ko) * 2018-04-27 2019-12-0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를 이용한 유방 보형물 제작 시스템
KR20210067598A (ko) * 2019-11-29 2021-06-08 서울대학교병원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체내 삽입물
US11123903B2 (en) * 2018-10-25 2021-09-21 Biosense Webster (Israel) Ltd. Controlling bubble formation in silicone foam filler of breast implants
KR102358961B1 (ko) * 2021-06-28 2022-02-10 (주)메젠 일체형의 방사형 실리콘 충진 셀 구조를 구비하는 인체 주입용 성형 보형물및 이의 제조방법
US11452593B2 (en) * 2020-08-17 2022-09-27 Amoena Medizin-Orthopädie-Technik GmbH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breast prosthesi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776B1 (ko) * 2009-06-02 2011-05-06 유원석 저분자 실리콘 유출을 방지하는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
KR101067483B1 (ko) * 2009-06-02 2011-09-27 유원석 2중 미세 기공 구조의 실리콘 스폰지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7163A (ko) * 2016-12-12 2018-06-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주입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0951A1 (ko) * 2016-12-12 2018-06-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주입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US11772304B2 (en) 2016-12-12 2023-10-03 University Of Ulsan Foundation For Industry Cooperation Implant for implantation into human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280810A (zh) * 2017-05-18 2017-10-24 西安交通大学 一种可降解乳腺支架
KR20190134864A (ko) * 2018-04-27 2019-12-0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를 이용한 유방 보형물 제작 시스템
US11123903B2 (en) * 2018-10-25 2021-09-21 Biosense Webster (Israel) Ltd. Controlling bubble formation in silicone foam filler of breast implants
KR20210067598A (ko) * 2019-11-29 2021-06-08 서울대학교병원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체내 삽입물
US11452593B2 (en) * 2020-08-17 2022-09-27 Amoena Medizin-Orthopädie-Technik GmbH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breast prosthesis
KR102358961B1 (ko) * 2021-06-28 2022-02-10 (주)메젠 일체형의 방사형 실리콘 충진 셀 구조를 구비하는 인체 주입용 성형 보형물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5023A (ko) 실리콘 발포 스펀지를 이용한 보형물 및 이를 고정하는방법
US20220039937A1 (en) Method and devices for tissue expansion
CN104661695B (zh) 用于皮肤改善的递送装置和方法
AU2018311972B2 (en) Hair implants comprising enhanced anchoring and medical safety features
US8821573B2 (en) Method and devices for tissue expansion
KR101966979B1 (ko) 인체 주입 필러를 이용한 가슴보형물의 제조방법
Stampos et al. Fat transplantation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in the lower limbs
RU2135122C1 (ru) Способ омолаживания кожи
CN113924061A (zh) 包括加强锚定及医药安全特征之植发物
KR102240412B1 (ko)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AU2017204616B2 (en) Method and devices for tissue expansion
KR101399346B1 (ko) 생체적합성 유방 성형 보형물 주입장치
CN104269091B (zh) 一种用于头皮扩张移植的模拟装置
US20220061981A1 (en) Hair implants comprising enhanced anchoring and medical safety features
RU2812035C2 (ru) Волосяные импланты, обеспечивающие улучшенное крепление и усиленные меры медицинск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Passy PMMA implants: a new way to correct body defects without surgery
EP3566726B1 (en) Biomaterial inner condo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Hong et al. Basic Technique for Filler Procedure
CN113580692A (zh) 一种脂肪组织仿体及其制备方法
CN113171141A (zh) 一种高选择自体脂肪填充方法
TW201545733A (zh) 人工乳頭植入方法及其結構
UA44016U (uk) Спосіб відновлення еластичності шкіри людини, а також запобігання птозу
UA44015U (uk) Спосіб косметичної корекції природжених і набутих дефектів і деформацій обличчя і тіла, а також вікових інволюційних змін обличчя і ті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