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419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419A
KR20080094419A KR1020070038854A KR20070038854A KR20080094419A KR 20080094419 A KR20080094419 A KR 20080094419A KR 1020070038854 A KR1020070038854 A KR 1020070038854A KR 20070038854 A KR20070038854 A KR 20070038854A KR 20080094419 A KR20080094419 A KR 20080094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bpixels
signal
driver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342B1 (ko
Inventor
김승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8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3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3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서브픽셀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상기 서브 픽셀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1개의 출력부와 2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 사이마다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하나의 프레임 동안 상기 1개의 출력부에 연결된 서브픽셀들에 순차적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스캔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픽셀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된 후에 상기 서브픽셀들에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표시장치, 데이터 신호, 시분할 구동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데이터 구동부와 서브 픽셀들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부의 회로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 파형도.
도 4는 제1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와 서브 픽셀들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부의 회로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데이터 구동부와 서브 픽셀들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부의 회로 구성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 파형도.
도 8은 제2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와 서브 픽셀들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부의 회로 구성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210: 기판 120,220: 단위 픽셀
130,230: 표시부 140,240: 신호배선들
150a,250a: 데이터 구동부 150b,250b: 스캔 구동부
160,260: 스위치부 170,270: 회로기판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 중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소비전력이 작고 해상도가 뛰어나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에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능동 매트릭스 방식이 있는데, 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부에 신호가 공급되면, 서브 픽셀 내부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발광부가 구동하게 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표시장치는 표시부에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각각 선택하고, 선택된 서브 픽셀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스캔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메모리에 저장된 다량의 데이터 신호를 각 서브 픽셀들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동하여 각 신호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고, 스캔 구동부를 구동하여 선택된 서브 픽셀들에 데이터 신호를 기입하는 식의 구동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구동방법은, 하나의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서브픽셀들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데 일정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지 못하거나, 앞서 공급된 데이터 신호의 일부가 신호배선들에 남아 있게 되어 다음 차순에 공급할 데이터 신호와 함께 혼합이 되거나 간섭을 주는 등의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표시품질을 저하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3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서브픽셀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상기 서브 픽셀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1개의 출력부와 2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 사이마다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하나의 프레임 동안 상기 1개의 출력부에 연결된 서브픽셀들에 순차적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스캔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픽셀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된 후에 상기 서브픽셀들에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표시장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기판(110) 상에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3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120R,120G,120B)을 포함하는 단위 픽셀들(120)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표시부(130)가 형성된다.
단위 픽셀들(120)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들(120R,120G,120B)을 각각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위 픽셀들(120)은 이 밖에 다른 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3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120R,120G,120B)은,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각각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함된 발광다이오드는 발광층이 유기물로 형성된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무기물로 형성된 무기 발광다이오드로도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층이 유기물로 형성된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일례로 설명하며 이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정공주입층(HIL), 정공수송층(HTL), 전자수송층(ETL) 또는 전자주입층(EIL) 등과 같은 층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고 이 밖에 전자 또는 전공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한 버퍼층(BL)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는 N-타입 또는 P-타입 모스 트랜지스터(MOS TRANSISTOR) 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참고로, 트랜지스터의 타입에 따라 각 서브 픽셀들(120R,120G,120B)의 회로 연결관계와 구동 파형은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단위 픽셀들(120)은 신호배선들(140)에 연결된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신호를 공급받는다.
구동장치는 단위 픽셀들(120)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150a)를 포함한다. 또한, 단위 픽셀들(120)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150b)를 포함한다. 또한, 단위 픽셀들(120), 데이터 구동부(150a) 및 스캔 구동부(150b)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50c)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150a), 스캔 구동부(150b), 전원 공급부(150c) 또는 스위치부(16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150d)를 포함한다.
구동장치 중 데이터 구동부(150a)와 스캔 구동부(15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0)의 외측 기판(110) 상에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장치에 데이터 구동부(150a)와 스캔 구동부(150b)를 배치하고 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 일례를 설명한 것일 뿐, 데이터 구동부(150a)와 스캔 구동부(150b)는 설계 방식에 따라 유연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전원 공급부(150c)와 제어부(150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회로기판(170)과 같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참고로, 기판(110)과 회로기판(170)의 전기적인 연결은 플렉서블한 케이블(예: FPC)(165)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플렉서블한 케이블(165)은 기판(110) 상에 위치한 패드부(155)에 접착되어 기판(110) 상에 배치된 데이터 구동부(150a)와 스캔 구동부(150b)를 통해 단위 픽셀(120)에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데이터 구동부(150a)의 1개의 출력단과 2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 사이마다 스위치부(160)를 위치시키고, 제어부(150d)를 이용하여 스위치부(160)를 시분할 제어하여 데이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150a)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는 스위치부(160)의 시분할 스위칭 동작에 의해 단위 픽셀(120)에 포함된 3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120R,120G,120B)에 각각 공급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150a)는 각 데이터 신호(예:Data R, Data B, Data G)를 따로 저장하고 순차 출력할 수 있는 라인 버퍼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160)의 출력단은, 단위 픽셀들(120)의 개수 또는 서브 픽셀들(120R,120G,120B)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스위치부(160)의 출력단은 2개, 3개 또는 4개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부(160)는, 데이터 구동부(150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부(150a)와 표시부(130) 사이인 기판(110)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데이터 구동부(150a)의 설계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면에서 좀더 유리하다.
이하,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스위치부의 출력단 개수와 서브 픽셀들의 개수에 따른 회로 구성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데이터 구동부와 서브 픽셀들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부의 회로 구성 예시도 이다.
도 2에서는 스위치부를 디 멀티플렉서(de-multiplexor)로 구성하였지만, 이는 실시예의 일환일 뿐 "Z1"영역과 같이 스위치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단, 디 멀티플렉서로 구성할 경우,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라인은 "S" 1개인 반면, "Z1"영역과 같이 스위치로 구성할 경우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라인은 S1,S2,S3와 같이 3개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스위치부(160)는 데이터 구동부(150a)의 1개의 출력단(ch1)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1개의 입력단과 3개의 서브 픽셀들(R1,G1,B1)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3개의 출력단을 갖는 디 멀티플렉서(DM1)를 다수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다수의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은 3개의 서브 픽셀들(R1,G1,B1..Rn,Gn,Bn)을 포함하는 단위 픽셀들(P1..Pn) 마다 1개씩 위치하게 된 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 의해, 다수의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이 구동하게 되면, 데이터 구동부(150a)의 다수의 출력단(ch1..chn)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는 각 단위 픽셀들(P1..Pn)에 포함된 3개의 서브 픽셀들(R1,G1,B1..Rn,Gn,Bn)에 각각 공급된다.
여기서, 다수의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은 이들의 신호라인(S)에 공급된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을 하게 되는데, 신호라인(S)에 공급된 제어신호는 도 1의 제어부(150d)로부터 공급받는다. 참고로, 제어부(150d)는 데이터 구동부(150a)의 1개 출력단(ch1)에서 출력된 데이터 신호가 상호 중첩되지 않고 3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R1,G1,B1)에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데이터 신호가 각 서브 픽셀들(R1,G1,B1)에 공급되는 것을 스캔 구동부(150b)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스캔 구동부(150b)는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의 제1 및 제2출력단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고 제3출력단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때, 각 서브 픽셀들(R1,G1,B1)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 파형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구동 파형은 도 2에 도시된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3개의 서브 픽셀들(R1,G1,B1)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Scan), 제어신호(S_01,S10,S11) 및 데이터 신호(Data R,Data G,Data B)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3개의 서브 픽셀들(R1,G1,B1)에 데이터 신호(Data R,Data G,Data B)가 공급되는 시점은 데이터 신호(Data R,Data G,Data B)와 스캔 신호(Scan)의 관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3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R1,G1,B1)을 포함하는 단위 픽셀(P1)을 구비하는 표시부에 연결된 데이터 구동부(150a)를 구동하여 데이터 신호(Data R,Data G,Data B)를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의 1개의 출력단과 3개의 서브 픽셀들(R1,G1,B1) 사이마다 위치하는 스위치부인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에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제어신호(S_01,S_10,S_11)는 스위치부인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의 신호라인(S)에 공급됨을 참조한다.
따라서, 데이터 구동부는 1 프레임동안 데이터 구동부의 1개의 출력단에 연결된 3개의 서브픽셀들(R1,G1,B1)에 데이터 신호(Data R,Data G,Data B)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즉 시분할적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표시부에 연결된 스캔 구동부를 구동하여 서브 픽셀들에 스캔 신호(Scan)를 공급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가 공급된 후 스캔 신호(Scan)를 공급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프레임(1 frame) 내에서 3개의 서브 픽셀들(R1,G1,B1)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Data R,Data G,Data B) 중 마지막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예: Data B)의 구간에 스캔 신호(Scan)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마지막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의 구간을 "Data B"을 일례로 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 실시예의 일환으로 선택된 것일 뿐이다.
한편, 스위치부인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에 제어신호(S_01,S_10,S_11)를 공급할 때 제어신호(S_01,S_10,S_11)는 스캔 신호(Scan)가 서브 픽셀들(R1,G1,B1)에 공급될 때,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Data R,Data G,Data B)가 서브 픽셀들(R1,G1,B1)에 각각 공급되도록 한다.
제어신호 공급단계에서는, 3개의 서브 픽셀들(R1,G1,B1)에 데이터 신호(Data R,Data G,Data B)를 각각 공급할 때, 데이터 신호(Data R,Data G,Data B)가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각 스위치부인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에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여기서, 서브픽셀들에 각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 중 적어도 두 구간은 그 구간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 중 마지막으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Data B), 즉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은 다른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Data R)보다 그 클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의 크기는 다른 데이터 신호 인가되는 구간의 크기의 1.5 내지 2.5배일 수 있다.
각 데이터 신호(Data R,Data G,Data B)가 인가되는 구간의 크기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서브픽셀들에 데이터 신호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시분할에 의하여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처음으로 서브픽셀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Data R)는 스캔 신호(scan)가 인가될 때까지 일정 시간의 간격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 라인에 충분히 공급될 수 있다. 반면, 청색 데이터 신호(Data B)의 경우, 스캔 신호(scan)와 동시에 인가되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서브픽셀들에 데이터 신호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다른 데이터 인가 구간보다 큰 데이터 인가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의 크기는 다른 데이터 신호 인가되는 구간의 크기의 1.2 내지 2.5배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의 크기가 다른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의 크기의 1.2배 이상일 경우, 마지막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라인에 충분히 공급될 수 있으며, 2.5배 이하인 경우, 다른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 후 데이터 라인에 공급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A1지점, A2지점 및 A3지점을 살펴보면 서브 픽셀들(R1,G1,B1)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Scan)와 제어 신호(S_01,S_10,S_11)는 다음과 같이 일정 시간 차를 두고 공급할 수도 있다.
먼저, A1지점을 살펴보면,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의 스위칭 시점에 일정 구간 시간차를 두어 2개의 데이터 신호(Data R, Data G)가 상호 겹치지 않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데이터 신호가 상호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시간차를 둘 수 있음을 뜻한다. 그러나, A1지점과 A2지점 사이에 공급되는 2개의 데이터 신호(Data G, Data B) 간의 시간 차는 도시된 바와 같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A2지점 및 A3지점을 살펴보면, 마지막 데이터 신호(Data B)를 공급할 때, 스캔 신호(Scan)를 마지막 데이터 신호(Data B)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으로부 터 ±ㅿt 만큼의 시간차를 두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스캔 신호(Scan)가 각 서브 픽셀들(R1,G1,B1)에 공급되고 신호가 라이징 업 되거나 폴링 다운되는 시점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도 4는 제1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와 서브 픽셀들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부의 회로 구성 예시도 이다.
도 4에서도 앞서 설명한 스위치부를 디 멀티플렉서(de-multiplexor)로 구성하였지만, 이는 실시예의 일환일 뿐 "Z2"영역과 같이 스위치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단, 디 멀티플렉서로 구성할 경우,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라인은 "S" 1개인 반면, "Z2"영역과 같이 스위치로 구성할 경우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라인은 S1,S2와 같이 2개가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스위치부인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은 출력단을 2개로 설계하여 데이터 구동부(150a)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3개의 서브 픽셀들(R1,G1,B1) 각각에 공급할 수도 있게 된다.
도 5는 제1실시에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구동 파형도 이다.
변형된 실시예의 경우, 스캔 구동부는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의 제1출력단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고 제2출력단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때, 서브 픽셀들(R1,G1,B1)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부인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의 출력단이 2개인 경우, 3개의 서브 픽셀들(R1,G1,B1) 중 하나는 n+1 또는 n-1에 위치하는 스위치부의 스위 칭에 의해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게 될 것이다.
한편, 도 5의 A1지점 및 A2지점을 살펴보면 서브 픽셀들(R1,G1,B1)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Scan)와 제어 신호(S_0,S_1)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 차를 두고 공급할 수도 있음을 참조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마지막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맞춰 각 서브 픽셀들에 각각 공급하게 되면, 신호배선들에 남아있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표시품질이 저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4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220R,220G,220B,220W)을 포함하는 단위 픽셀들(220)이 기판(210)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표시부(230)가 형성된다.
단위 픽셀들(220)은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픽셀들(220R,220G,220B,220W)을 각각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위 픽셀들(220)은 이 밖에 다른 색을 발광할 수도 있다.
여기서, 4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220R,220G,220B,220W)은,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각각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함된 발광다이오드는 발광층이 유기물로 형성된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무기물로 형성된 무기 발광다이오드로도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층이 유기물로 형성된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일례로 설명하며 이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정공주입층(HIL), 정공수송층(HTL), 전자수송층(ETL) 또는 전자주입층(EIL) 등과 같은 층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고 이 밖에 전자 또는 전공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한 버퍼층(BL)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는 N-타입 또는 P-타입 모스 트랜지스터(MOS TRANSISTOR) 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참고로, 트랜지스터의 타입에 따라 각 서브 픽셀들(220R,220G,220B,220W)의 회로 연결관계와 구동 파형은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단위 픽셀들(220)은 신호배선들(240)에 연결된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신호를 공급받는다.
구동장치는 단위 픽셀들(220)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250a)를 포함한다. 또한, 단위 픽셀들(220)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250b)를 포함한다. 또한, 단위 픽셀들(220), 데이터 구동부(250a) 및 스캔 구동부(250b)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50c)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250a), 스캔 구동부(250b), 전원 공급부(250c) 또는 스위치부(26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250d)를 포함한다.
구동장치 중 데이터 구동부(250a)와 스캔 구동부(25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30)의 외측 기판(210) 상에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장치에 데이터 구동부(250a)와 스캔 구동부(250b)를 배치하고 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 일례를 설명한 것일 뿐, 데이터 구동부(250a)와 스캔 구동부(250b)는 설계 방식에 따라 유연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전원 공급부(250c)와 제어부(250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회로기판(270)과 같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참고로, 기판(210)과 회로기판(270)의 전기적인 연결은 플렉서블한 케이블(예: FPC)(265)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플렉서블한 케이블(265)은 기판(210) 상에 위치한 패드부(255)에 접착되어 기판(210) 상에 배치된 데이터 구동부(250a)와 스캔 구동부(250b)를 통해 단위 픽셀(220)에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데이터 구동부(250a)의 1개의 출력단과 2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 사이마다 스위치부(260)를 위치시키고, 제어부(250d)를 이용하여 스위치부(260)를 시분할 제어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250a)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는 스위치부(260)의 시분할 스위칭 동작에 의해 단위 픽셀(220)에 포함된 4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220R,220G,220B,220W)에 각각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250a)는 각 데이터 신호(예:Data R, Data B, Data G, Data W)를 따로 저장하고 순차 출력할 수 있는 라인 버퍼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260)의 출력단은, 단위 픽셀들(22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220R,220G,220B,220W)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스위치부(260)의 출력단은 2개, 3개 또는 4개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부(260)는, 데이터 구동부(250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부(250a)와 표시부(230) 사이인 기판(210)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데이터 구동부(250a)의 설계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면에서 좀더 유리하다.
이하,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스위치부의 출력단 개수와 서브 픽셀들의 개수에 따른 회로 구성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데이터 구동부와 서브 픽셀들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부의 회로 구성 예시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스위치부(260)는 데이터 구동부(250a)의 1개의 출력단(ch1)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1개의 입력단과 4개의 서브 픽셀들(R1,G1,B1,W1)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4개의 출력단을 갖는 디 멀티플렉서(de-multiplexor)(DM1)를 다수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다수의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은 4개의 서브 픽셀 들(R1,G1,B1,W1..Rn,Gn,Bn,Wn)을 포함하는 단위 픽셀들(P1..Pn) 마다 1개씩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 의해, 다수의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이 구동하게 되면, 데이터 구동부(250a)에 형성된 다수의 출력단(ch1..chn)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는 각 단위 픽셀들(P1..Pn)에 포함된 4개의 서브 픽셀들(R1,G1,B1,W1..Rn,Gn,Bn,Wn)에 공급된다.
여기서, 다수의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은 신호라인(S)에 공급된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하게 된다. 제어신호는 도 6의 제어부(250d)로부터 공급받는다.
여기서, 제어부(250d)는 데이터 구동부(250a)의 1개 출력단(ch1)에서 출력된 데이터 신호가 상호 중첩되지 않고 4개의 서브 픽셀들(R1,G1,B1,W1)에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에 제어신호(S)를 공급한다.
한편, 도 8은 제2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와 서브 픽셀들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부의 회로 구성 예시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각 스위치부인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은 출력단을 2개로 설계하여, 도 6의 데이터 구동부(250a)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4개의 서브 픽셀들(R1,G1,B1,W1) 각각에 공급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부인 디 멀티플렉서들(DM1..DMn)의 출력단이 2개인 경우, 4개의 서브 픽셀들(R1,G1,B1,W1) 중 2개는 n+1 또는 n-1에 위치하는 스위치부의 스위칭에 의해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게 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시분할 스위칭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데이터 신호를 각 서브 픽셀들에 각각 공급하면, 신호배선들에 남아있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표시품질이 저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3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서브픽셀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상기 서브 픽셀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1개의 출력부와 2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 사이마다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하나의 프레임 동안 상기 1개의 출력부에 연결된 서브픽셀들에 순차적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스캔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픽셀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된 후에 상기 서브픽셀들에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프레임동안 상기 스위치부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서브 픽셀들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픽셀들에 각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 중 적어도 두 구간은 그 구간의 크기가 서로 다른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 중 마지막으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은 다른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보다 그 크기가 큰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신호는 상기 마지막으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 내에 인가되는 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으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의 크기는 다른 데이터 신호 인가되는 구간의 크기보다 1.5 내지 2.5배인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하나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2개, 3개 또는 4개의 서브픽셀에 각각 출력단이 연결된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1개의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1 개의 입력단과 2개 이상의 서브 픽셀들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2개 이상의 출력단을 갖는 디 멀티플렉서(de-multiplexor)인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이 2개인 경우,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제1출력단에 상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고 제2출력단에 상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서브 픽셀들에 상기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이 3개인 경우,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제1 및 제2출력단에 상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고 제3출력단에 상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서브 픽셀들에 상기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이 4개인 경우,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제1, 제2 및 제3출력단에 상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고 제4출력단에 상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서브 픽셀들에 상기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이 4개인 경우,
    상기 표시부는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4개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표시부 사이인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픽셀들이 3개인 경우, 서브 픽셀들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픽셀들이 4개인 경우, 서브 픽셀들은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픽셀은,
    각각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070038854A 2007-04-20 2007-04-20 표시장치 KR101446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854A KR101446342B1 (ko) 2007-04-20 2007-04-20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854A KR101446342B1 (ko) 2007-04-20 2007-04-20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419A true KR20080094419A (ko) 2008-10-23
KR101446342B1 KR101446342B1 (ko) 2014-10-02

Family

ID=4015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854A KR101446342B1 (ko) 2007-04-20 2007-04-20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3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884A (ko) * 2011-12-02 2013-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9865218B2 (en) 2014-09-15 2018-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190182A1 (zh) * 2020-03-23 2021-09-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显示面板的驱动电路以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800B1 (ko) * 2004-11-17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100681023B1 (ko) * 2005-07-22 200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884A (ko) * 2011-12-02 2013-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9865218B2 (en) 2014-09-15 2018-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190182A1 (zh) * 2020-03-23 2021-09-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显示面板的驱动电路以及显示装置
CN113506536A (zh) * 2020-03-23 2021-10-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显示面板的驱动电路以及显示装置
CN113506536B (zh) * 2020-03-23 2022-12-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显示面板的驱动电路以及显示装置
US11727861B2 (en) 2020-03-23 2023-08-15 BOE MLED Technology Co., Ltd. Pixel drive circuit, drive circuit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342B1 (ko)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9057B (zh) 双面显示器
KR100896045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87366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649246B1 (ko) 역다중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패널
KR100570781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와 그 표시 패널 및 구동 방법
KR20080095810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2015125366A (ja) 表示装置
KR20090105027A (ko) 평판표시장치, 이의 에이징 방법 및 점등 테스트 방법
JP2005338766A (ja) 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988690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US10614756B2 (en) Display apparatus with improved hysteresis characteristics, and display method
JP6999382B2 (ja) 表示装置
KR102293456B1 (ko) 표시 패널
EP3163565B1 (en)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140065937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WO2017215029A1 (zh) Amoled显示装置的数据驱动电路
JP2007241232A (ja) 電界発光素子の駆動方法
KR20070101023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005550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578806B1 (ko) 역다중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패널
KR101446342B1 (ko) 표시장치
KR100649249B1 (ko) 역다중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표시패널
KR101362022B1 (ko) 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848955B1 (ko) 전계발광표시장치
US20230316999A1 (en) Method for image display in a display apparatus, display apparatus, peripheral sensing circuit, and pixel driv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