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169A -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169A
KR20080094169A KR1020070038256A KR20070038256A KR20080094169A KR 20080094169 A KR20080094169 A KR 20080094169A KR 1020070038256 A KR1020070038256 A KR 1020070038256A KR 20070038256 A KR20070038256 A KR 20070038256A KR 20080094169 A KR20080094169 A KR 20080094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component
permanent
weight
permanent hydrophil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5438B1 (ko
Inventor
박서진
김동욱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4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yl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특히 잡초 성장 억제를 통한 제초를 목적으로 다층화된 고 중량의 스판본드 부직포 생산에 있어 잡초 성장 억제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도록 본 스판본드 부직포는 충분한 햇빛 차단을 위한 고중량 제품으로 될 뿐 아니라, 친수성 첨가제와 UV안정제를 일정성분 익스트르더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방사구금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 UV 안전 가공이 되어 UV안전성이 우수하고, 부직포의 원료의 소수성 특성을 영구적으로 개질하여 영구적인 친수성을 발현시킴으로 액비나 빗물은 영구적으로 양호하게 투과시켜 과수나무나 작물의 성장이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는 부직포 제품이 적용되는 환경에 적합한 습윤을 영구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으며, 특히 다년간 사용되는 잡초성장 억제용으로 장기간 자연 환경에 직접 노출되더라도 장기간의 유체접촉에 의해서 기존의 수성 계면활성제 표면 처리에 따른 것보다 영구적이고 지속적으로 친수성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고, 또한 태양광에 의해 부직포의 분자 사슬이 파괴되거나 하지 않아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부직포, 친수성, 영구성, 안정성.

Description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Nonwoven fabrics having permanent hydrophilicity and produc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농업용 특히 잡초 성장 억제를 통한 제초를 목적으로 다층화된 고 중량의 스판본드 부직포 생산에 있어 잡초 성장 억제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도록 본 스판본드 부직포는 충분한 햇빛 차단을 위한 고중량 제품으로 될 뿐 아니라, UV 안전 가공이 되어 UV안전성이 우수하고, 부직포의 원료의 소수성 특성을 영구적으로 개질하여 영구적인 친수성을 발현시킴으로 액비나 빗물은 영구적으로 양호하게 투과시켜 과수나무나 작물의 성장이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방초 및 제초방법으로서는 제초제를 살포하여 잡초를 고사시키거나 수작업에 의한 제초가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제초제를 사용할 경우 토양의 오염이나 토양에 생존하여 작물성장에 이로운 미생물까지 죽이게 되어 토양의 황폐화를 가져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따라서, 통상적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잡초 광합성을 억제함으로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부직포가 제안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부직포는 폴리올레핀계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원료로 하는 스판본드 부직포가 제안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그 특성상 소수성을 지니며 이로 인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제로 된 부직포로 제초를 위해 과수의 고랑을 덮어씌울 때, 이 부직포에 의해 햇빛뿐만 아니라 액비나 빗물의 투과도 차단하므로 과수에 원활한 영양분 및 수분의 공급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적인 가공의 시도가 있어 왔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97-00800784호는 "약 3 ± 0.2데니어 극미세합성사 수천가닥을 다소 큰 반경으로 회전시키면서 고른 두께로 펴준 다음 열압착하여 부직포를 구성함과 동시에 부직포상에 엠보싱 처리하되, 엠보싱의 폭은 약 0.5mm이고, 간격은 약 1mm정도로 한 통상의 부직포에 있어서, 부직포(2)에 처리되는 엠보싱(6)은 표면과 이면의 양측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게 하고, 부직포의 두께는 약 0.8∼1.5mm정도를 유지케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산성화 방지 및 잡초성장 억제용 부직포"를 개시하여, 태양광을 차단하면서 보온성 있는 부직포를 토양의 상부에 덮어 씌워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고자 하였으나, 상기 발명의 경우와 같이 폴리올레핀게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는 UV안정제가 함유되지 않아 태양광에 노출되었을 경우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 분자간 사슬이 파괴되어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친수성 처리를 하지 않아 액비나 빗 물의 투과가 원활하지 못하여 과수의 생육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0005930의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은 폴리올레핀칩을 주원료로 하고 UV 안정제가 함유된 마스터 배치 칩을 상기 주원료와 사출기에 넣어 용융혼합 후 이를 다수의 오리피스로 구성된 방사 구금을 통해 방사, 냉각 및 연신 공정을 거쳐 필라멘트를 제조한 후 이를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웹을 형성하고 열접착을 시켜 부직포를 제작한 다음 부직포 표면에 친수제를 도포하는 단계로 구성된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발명의 경우에는 액비 및 빗물의 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직포의 표면에 단지 친수제를 도포 형태의 친수가공 처리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에 따라 친수제가 처리된 경우는 부직포 상에 도포된 친수제가 섬유와 화학적인 결합을 통한 내구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빗물이나 액비 부여시 친수제가 쉽게 탈락 되어 내구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부직포의 중량이 30g/㎡(GSM) 이상인 경우에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두께에 의해서 친수제가 이면까지 침투가 균일하게 달성되지 어려우며, 충분한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생산속도를 저감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로 제조되는 농업용 부직포는 물과 같은 유체에 습윤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며, 따라서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수성의 계면활성제를 부직포 표면에 도포함으로서 습윤성을 부여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었으나, 상기한 문제점이 제기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에 요원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영구적인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농업용 부직포에 있어서 습윤성이 영구히 지속될 수 있고 또한 UV 안정제를 적절하게 함유하여 태양광의 의해 파괴되지 않아 다년간 잡초성장 억제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특성을 갖는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조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소수성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제조시 친수제와 UV 안정제를 적절한 방법 및 비율에 의해 기본 원료와 혼합하여 복합 방사를 실시함으로서 섬유 내부에 친수제를 균일하게 함유하게 할 수 있어 생산된 부직포에 영구적인 친수성이 부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의 제 조 방법은;
용융가소성 수지를 용융시켜 다수개의 오리피스로 압출시켜 필라멘트를 형성시키고, 필라멘트를 고체화시키기 위해 냉각챔버로부터 부여되는 냉각공기로 냉각시키고 연신과정을 통하여 작은 섬유직경을 만든 후, 필라멘트를 무한의 컨베이어벨트에 적층하여 웹이 형성되도록 하고 열칼렌더에 의해 열접착(Point Bond)으로 형태안정성과 역학적 특성을 가지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융가소성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제1 성분으로 하고 친수성 첨가제를 제 2성분으로 하며 UV안정제를 제 3성분으로 하며, 상기 각 성분으로 된 수지를 익스트르더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방사구금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성분의 구성은 85 내지 96중량%, 제 2성분인 친수제 첨가제는 2 내지 5중량% 구성되고, 제 3성분인 UV안정제는 2 내지 10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상기 2성분인 친수제 첨가제는 2중량% 미만으로 되면 유체에 대한 습윤성이 저하되어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충분한 친수성을 얻을 수 없고 따라서 액비 또는 빗물을 투과를 저해하여 과수의 생육을 저해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5중량% 만으로도 과수의 생육에 충분한 유체 투과도를 얻을 수 있어 그 이상의 부가는 무의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부가되는 제 3성분인 UV안정제는 본 발명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이 2 내지 10중량%의 범위에서 충분히 강한 태양의 자외선에 대해서도 분자 간 사슬이 파괴되지 않고 형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범위인 것으로 실험 결과 밝혀졌지만, 본 발명의 의도에 따라 부가되는 제 3성분은 그 제조 공정 및 기타 비용상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그 범위 외의 것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1층 이상을 포함하는 스판본드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으며 1층 이상의 스판본드 내부에 1층 이상의 멜트블로운 층을 형성되면 특성이 다른 부직포가 복합화된 다층구조의 SMS계 부직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20 내지 150g/㎡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의 중량이 20g/㎡ 이하이며, 잡초에 대한 차단력과 햇볕에 대한 차단력이 약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150g/㎡을 초과하게 되면 경제성과 유체 투과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농업용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는;
상기에 기술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를 잡초생장 억제를 위한 농업용으로 사용하는 부직포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영구 친수성을 갖는 다층화된 잡초생장 억제용 부직포(이하' "멀칭용 부직포"라 칭함)는 스판본드 공법에 의해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는 용융가소성 수지를 용융시켜 다수개의 오리피스로 압출시켜 필라멘트를 형성시키고, 필라멘트를 고체화시키기 위해 냉각챔버로부터 부여되는 냉각공기로 냉각시키고 연신과정을 통하여 작은 섬유직경을 만든다.
통상적인 멜트블로운 제조방식은 공지의 기술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Melt Index)가 800 내지 1200g/10분인 것을 용융하고 이것을 일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오리피스로 방사할 때 구금의 양쪽에서 강한 열풍으로 불어주어 극세사를 만든다. 통상적으로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섬도는 0.01 내지 0.1데니아의 섬도를 가진다.
필라멘트가 무한의 컨베이어벨트에 적층이 되어 웹이 형성되고 열칼렌더에 의해 열접착(Point Bond)으로 형태안정성과 역학적 특성을 가지는 부직포로 형성된다. 이때 1층 이상을 포함하는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으며 1층 이상의 스판본드 내부에 1층 이상의 멜트블로운 층을 형성되면 특성이 다른 부직포가 복합화된 다층구조의 SMS계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제1 성분으로 하고 친수성 첨가제를 제 2성분으로 하며 UV안정제를 제 3성분으로 한다. 제1 성분의 구성은 85 내지 96중량%, 제 2성분인 친수제 첨가제는 2 내지 5중량% 구성되고, 제 3성분인 UV안정제는 2 내지 10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상기 제 1성분은 폴리올레핀계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용융지수(MFR)25 내지 60g/10분인 것을 적용하였으나, 상기 수지는 이러한 용융지수를 갖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2성분인 친수제 첨가제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첨가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성분인 UV안정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함유되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원료를 계량하는 도싱(Dosing)에서 중량%에 따라 투입비율이 결정되어 익스트루더(Extruder)로 이송된다. 이송된 성분들은 익스트루더 내에서 용융 및 혼련이 된다. 부직포를 형성하는 필라멘트는 용융된 폴리머가 다수의 오리피스를 통해 방사되고 고화된 후 연신되어 형성된다. 이 때 폴리머 속에 함유된 제 2 친수성분이 섬유화되면서 섬유길이 방향으로 표면에 적어도 일부분을 이룬다. 무한벨트 위에 형성된 섬유는 형태안정성 및 역학적 특성을 위해서 열적 칼렌더로 열압착 된다. 열압착 공정은 통상의 방법으로 2개의 가열된 롤러에서 형성되며 적어도 제일 롤러는 열이 공급되며 적어도 다른 일 롤러 상에는 패턴화된 엠보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되는 섬유들을 다층화하기 위해서 원료 공급, 용융부 및 방사부가 일체화된 필라멘트 형성부가 1개 이상이어야 한다. 2개의 방사부로부터 형성시킬 경우 2층화된 SS부직포를 제공하며, 3층화된 방사부는 SSS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스판본드 내에 극세화 섬유인 멜트블로운이 복합화될 경우 SMS계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영구친수성을 갖는 다층화된 부직포는 상기의 어느 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층별로 구성되는 섬유 내의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조정하여 부직포의 수직 방향에 대한 흡수성을 임의 대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층으로 제공되는 부직포의 경우 외측에는 계면활성제 함량을 증가시켜 흡수성을 향상을 통하여 수분유입을 빠르게 전달 시키고 이면을 구성하는 섬유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외측 대비 적게 하여 수분이 서서히 투과시킴으로서 과도한 수분유입을 통한 토양의 유실을 막을 수 있게 설계된다.
구성되는 섬유의 섬도는 2 내지 6데니아이고 우수하기로는 3 내지 4데니아 이다. 데니아가 과도하게 크게 되면 섬유의 적층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잡초가 뚫고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산되는 부직포의 중량은 20 내지 150g/㎡이다. 우수하기로는 40 내지 80g/㎡이며 더욱더 우수하기로는 50 내지 70g/㎡이다. 중량이 낮게 되면 잡초에 대한 차단력과 광투과성이 커지게 되어 효과적으로 잡초성장을 억제할 수 없다. 중량이 과도하게 높게 되면 광불투과성은 우수하지만 경제성과 유체 투과성이 우수하지 못한 특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에 계면활성제를 일정 성분으로 투입 용융하여 사용함으로 섬유 내의 길이 방향으로 계면활성제를 포함시켜 습윤의 내구성을 지니도록 함으로써 부직포 제품이 적용되는 환경에 적합한 습윤에 대한 지속적으로 요청되는 요구를 영구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으며, 특히 다년간 사용되는 잡초성장 억제용으로 장기간 자연 환경에 직접 노출되더라도 장기간의 유체접촉에 의해서 기존의 수성 계면활성제 표면 처리에 따른 것보다 영구적이고 지속적으로 친수성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고, 또한 일정 성분의 UV 안정제를 포함하므로 태양광에 의해 부직포의 분자 사슬이 파괴되가나 하지 않아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고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한편, 다음 각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각종 특성의 측정 및 평가값은 다음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1) 단위면적당 무게(중량:g/㎡) : ASTM D 3776-1985의 방법에 준해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 인스트론(Instron)사의 인장 강신도 측정 설비를 사용하여 ASTM D 1682-64법에 의하여 시료폭 5cm, 시료장 7.5cm의 시료편을 인장 속도 300mm/min의 조건으로 측정한다.
3) 인장신도 : 상기 2)의 방법으로 측정한 최대 인장강력시의 신도를 측정한다.
4) 흡수도: 리스터(Lister) 시험기를 이용하여 Edana 150.4-99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5) 내구흡수도: Edana 150.4-99법에 준하여 측정하고 동일시료에 3회에 걸쳐 부여된 용액의 각 회에서 흡수되어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초)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3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의 생산에 있어서의 주원료인 제1 성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공급업체는 폴리미래 HP562T 수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제2 성분으로 계면활성제인 폴리디메틸실록산계가 함유된 것으로 Ciba의 Irgasurf HL560을 적용하 였으며, 각 실시예에 따른 그 사용량은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UV안정제는 Hals계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제3 성분으로 8중량%을 투입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 성분의 함량으로 구성된 수지는 익스투르더에 공급되고 용융되어 방사구금에서 필라멘트로 형성된다. 필라멘트는 무한 벨트 상에 적층되고 수지의 토출량과 벨트 속도에 의해서 단위 면적당 중량이 결정된다. 본 각 실시예에서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하게 60g/㎡(gsm)으로 생산하였다. 형성된 웹은 열이 부여된 칼렌더 롤에 의해서 열접착이 이루어진다. 각 실시예에서 제2 성분이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느 하나 방사부에서는 3중량% 이상이 함유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의 생산방식은 방사부가 2개인 SS부직포로 생산하였다.
상기와 각 실시예에 의해 같이 생산된 부직포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방법에 따른 각종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실시예 1-2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성분과 제3의 성분은 동일하게 하고 제2 성분이 다음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느 한 방사부에 투입하지 않는 외에는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생산하여 상기 기술된 방법에 따른 각종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생산 조건 및 물성
항 목 친수제 투입율 중량 강도 신도 흡수도 내구 흡수도
1층 2층 MD MD 1차 2차 6차 10차
단위 WT% gsm kg/cm % s s
실시예 1 3 3 60 12 60 3 2 3 4 4
실시예 2 4 2 60 12 60 4 2 4 4 5
실시예 3 5 2 60 12 60 5 3 5 5 5
비교실시예 1 0 6 60 12 60 60 40 50 60 60
비교실시예 2 6 0 60 12 60 50 50 60 60 8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에 계면활성제를 일정 성분으로 투입 용융하여 사용함으로 섬유 내의 길이 방향으로 계면활성제를 포함시켜 습윤의 내구성을 지니도록 함으로써 부직포 제품이 적용되는 환경에 적합한 습윤을 영구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으며, 특히 다년간 사용되는 잡초성장 억제용으로 장기간 자연 환경에 직접 노출되더라도 장기간의 유체접촉에 의해서 기존의 수성 계면활성제 표면 처리에 따른 것보다 영구적이고 지속적으로 친수성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고, 또한 일정 성분의 UV 안정제를 포함하므로 태양광에 의해 부직포의 분자 사슬이 파괴되거나 하지 않아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영구성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용융가소성 수지를 용융시켜 다수개의 오리피스로 압출시켜 필라멘트를 형성시키고, 필라멘트를 고체화시키기 위해 냉각챔버로부터 부여되는 냉각공기로 냉각시키고 연신과정을 통하여 작은 섬유직경을 만든 후, 필라멘트를 무한의 컨베이어벨트에 적층하여 웹이 형성되도록 하고 열칼렌더에 의해 열접착(Point Bond)으로 형태안정성과 역학적 특성을 가지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융가소성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제1 성분으로 하고 친수성 첨가제를 제 2성분으로 하며 UV안정제를 제 3성분으로 하며, 상기 각 성분으로 된 수지를 익스트르더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방사구금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의 구성은 85 내지 96중량%, 제 2성분인 친수제 첨가제는 2 내지 5중량% 구성되고, 제 3성분인 UV안정제는 2 내지 10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1층 이상을 포함하는 스판본드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으며 1층 이상의 스판본드 내부에 1층 이상 의 멜트블로운 층을 형성되어 특성이 다른 부직포가 복합화된 다층구조의 SMS계 부직포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20 내지 150g/㎡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40 내지 80g/㎡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로 잡초생장 억제를 위한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KR1020070038256A 2007-04-19 2007-04-19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0865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256A KR100865438B1 (ko) 2007-04-19 2007-04-19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256A KR100865438B1 (ko) 2007-04-19 2007-04-19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169A true KR20080094169A (ko) 2008-10-23
KR100865438B1 KR100865438B1 (ko) 2008-10-28

Family

ID=4015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256A KR100865438B1 (ko) 2007-04-19 2007-04-19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7091A1 (ko) * 2018-01-26 2019-08-0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흡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205B1 (ko) 2008-11-21 2011-10-1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복합부직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7468A (en) * 1994-12-22 1998-0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action-free method of increasing the integrity of a nonwoven web
JPH108367A (ja) 1996-06-24 1998-01-13 Teijin Ltd 親水性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94192B1 (ko) * 2001-07-11 2007-03-1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KR20030091205A (ko) * 2002-05-25 2003-12-0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잔디보호용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JP4561103B2 (ja) * 2004-01-16 2010-10-13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7091A1 (ko) * 2018-01-26 2019-08-0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흡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438B1 (ko) 200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4496C (en) Soft and strong thermoplastic polymer fibers and nonwoven fabric made therefrom
DE60012281T3 (de) Laminate aus blends aus elastomerischen und nichtelastomerischen polyolefinen
US20060089067A1 (en) Composite fabric with controlled release of functional chemicals
EP2197952B1 (de) Polypropylenmischung
EP0754796B1 (en) Nonwoven laminate fabrics and processes of making same
EP2319970B1 (en) Fiber, nonwoven fabric, and use thereof
KR101606296B1 (ko) 농업용 피복재
MXPA02011281A (es) Laminado elastico de objetivo.
EP3860845B1 (de) Verbundfolie
WO2020088851A1 (de) Verbundfolie
JP2006299425A (ja) 吸水性不織布積層体
CA2298600A1 (en) Soft nonwoven fabric made by melt extrusion
KR100742962B1 (ko) 멀칭용 다층 구조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 방법
KR100865438B1 (ko)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3708B1 (ko) 비닐하우스 습기제거용 보온재
KR101778415B1 (ko) 농업용 피복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94192B1 (ko)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KR102178812B1 (ko) 강도와 공기 투과성이 개선된 이성분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09986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유동 제어하여 방사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EP3710250A1 (de) Bauverbundfolie
KR200256067Y1 (ko)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KR102622696B1 (ko) 비장탄이 포함된 부직포 시트
KR20030057787A (ko) 다층스판본드 부직포
KR101833495B1 (ko) 폴리올레핀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30052132A1 (en) Nonwoven Fabric Suitable as a Crop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