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934A -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934A
KR20080093934A KR1020080083064A KR20080083064A KR20080093934A KR 20080093934 A KR20080093934 A KR 20080093934A KR 1020080083064 A KR1020080083064 A KR 1020080083064A KR 20080083064 A KR20080083064 A KR 20080083064A KR 20080093934 A KR20080093934 A KR 20080093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wave
wearable
pulse
press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9155B1 (ko
Inventor
이상석
김기왕
황도근
Original Assignee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3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155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CD 또는 CIS 등의 촬상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종래 압력센서를 이용한 맥진기로 측정할 수 없었던 맥의 공간적 특성을 완전히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전통 맥진법을 구현한 착용형 맥진기와 상기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원격 맥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GMR, MTJ, 촬상소자, 착용형, 맥진기, 원격, 맥진, 시스템, 방법

Description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WEARING PULSIMETER DEVICE, REMOTE PULSE DIAGNOSIS SYSTEM AND PULSE DIAGNO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맥파를 비침습적으로 공간적 특성도 측정 가능한 착용형 맥진기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원격 맥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의학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맥진기는 대부분 혈관 내에 튜브를 주입하여 혈액의 압력 변화를 직접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침습적 센서를 이용한 것이거나 압력 센서를 이용한 비침습적 맥진기이다.
특히, 압력 센서를 이용한 맥진기는 비침습적이라는 이유로 많은 연구가 되어져 왔고, 그 중에는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1-0028668호(의학용 맥진 센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2-0096224호(자동맥진기)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8195(맥파측정장치) 등이 있다.
상기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1-0028668호(의학용 맥진 센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요골동맥 상부 피부에 밀착되어 맥파 진동에 따른 공기층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공기층을 밀폐시키는 실리콘막(1), 상기 공기층의 압력변화를 전달하는 실리콘겔(2), 상기 실리콘겔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측정판(3)으로 이루어진 압력감지부를 포함하는 압력감지센서(4)와; 상기 압력감지부의 크기에 맞게 구멍이 뚫려 상기 압력감지부를 감싸고 상기 압력감지센서(4)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압력감지센서(4)가 피진단자의 피부에 고정되게 하는 실리콘고무(5)와; 상기 압력감지센서(4)의 후면에 부착되어 후면에서 가변하여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압력감지센서(4)를 통해 피진단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강화플라스틱판(6)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압력측정판(3) 앞에 상기 실리콘막(1)과 실리콘겔(2)를 두어 종전 맥 감지부위가 금속이어서 인체에 주는 차가운 느낌과 불필요한 자극을 제거한 효과는 있으나, 불필요하게 공기층을 밀폐시키고 밀폐된 공기층의 압력변화를 간접적으로 압력측정판에 전달하여 정확한 맥을 측정할 수 없었고 사람마다 다른 맥의 위치를 정확히 짚어내어 신속한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한의사가 맥진하는 방식을 그대로 기계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즉, 요골동맥 상의 관상돌기를 "관"으로, 상기 관에서 손바닥 쪽으로 1 ~ 1.3 cm 떨어진 곳을 "촌"으로, 상기 관에서 팔꿈치 쪽으로 1 ~ 1.3 cm 떨어진 곳을 "척"으로 분류하고, 검진자의 중지를 중심으로 3개의 손가락을 피검진자의 상기 "촌", "관", "척" 부위에 대고 손가락에 약간 힘을 가한 상태("부"라 함), 더 큰 힘을 가한 상태("중"라 함), 힘을 약간 푼 상태("침"이라 함)로 나누어 맥파를 측정하던 종래 방식을 하나의 압력 센서로 기계적으로 구현하거나(한국특허공개번 호 제2002-0096224호), 3개의 압력 센서로 상기 "촌", "관", "척" 부위를 동시에 측정하고자 하였다(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8195).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모두 압전소자 등 압력센서를 이용한 것이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어왔다.
첫째로, 상기 압력센서에 의한 맥압의 변화량(파형) 측정으로 맥의 시간적 특성은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으나, 전통적 맥진에서 보다 중요한 맥이 감지되는 깊이, 감지되는 너비(폭), 감지되는 길이 등 맥의 공간적 특성(맥의 3차원 형상)은 상기 기술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전통적 맥진에서 다루는 28종의 맥상 중에서 상기 기술로 파악할 수 있는 맥상은 시간적 특성에 관련된 7종(지맥, 삭맥, 활맥, 삽맥, 촉맥, 결맥, 대맥)에 불과하여 검진자가 직접 하는 전통적 맥진을 대체하는 것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어왔다.
둘째로, 상기 압력센서 기술을 이용하여 맥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제품들이 최근 만들어지고 있으나, 압력센서의 공간적 배치(집적도)에 한계가 있어 과도한 보간(interpolation)을 통해 맥의 최소한의 공간적 정보를 얻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로, 맥의 공간적 특성을 제대로 계측하기 위해서는 센서가 요골동맥 위치를 정확히 찾아야 하나, 단지 수개의 압력센서로 상기 동맥의 중심을 제대로 찾을 수 없어 맥진 부위 탐색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로, 압력센서의 특성상 움직임 잡음에 취약하여 착용한 채 맥상 측정이 불가능하여 착용형 맥진기에로의 응용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압력센서는 강체로 구성된 측정수단에 구비됨으로써, 측정시 인가압력에 의한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맥진기를 전통적 맥진에 가깝게 구현하고 이를 착용형으로 했을 경우, 도 3과 같이, 감시기간에 따라 현대 의학적 센싱으로는 진단할 수 없는 영역까지도 진단할 수 있음에도, 전통적 맥진에 가까운 맥진을 할 수 있는 맥진기는 물론 이를 착용형으로 개발한 예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도 3에서 "關↑"는 관맥의 세기 증가를, "寸關尺 强弱"은 촌관척 맥의 강약을 비교하여 체질을 진단한다는 것이고, 기타 한자어는 28종 맥상을 나타내는 것이며(도 2 참조), 현대 의학적 센싱 방법으로 "PWV"는 맥파전달속도(Pulse Wave Velocity)를, "RI"는 저항지수(Resistance Index)를 "HR"은 심박수(Heart Rate)를, "EEG"는 뇌전도(Electro Encephalo Gram)를, "HRV"는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를, "pre"는 임신진단(pregnancy)을, 그리고 "Flow"는 혈류를 각각 나타낸다.
나아가, 전통적 맥진에 가까운 맥진을 할 수 있는 착용형 맥진기의 개발 어려움에 따라, 최근 인터넷 및 통신기술이 발달해 있어도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원격 맥진 방법은 제대로 개발되지 못하여 맥진의 재택 진단 및 맥진 정보의 효율적 이용은 요원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맥진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전통적 맥진에 가까운 맥진을 할 수 있는 착용형 맥진기를 제공하고, 아울러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원격 맥진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맥진기는 소정의 착용수단과, 상기 착용수단 일측에 위치하여 맥파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맥파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맥진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맥파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피부에 접촉되는 투명한 공기주머니와; 상기 공기주머니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하여 구비된 촬상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은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와; 상기 착용형 맥진기의 신호송수신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중앙서버와; 상기 중앙서버와 인터넷에 의하여 연결된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로 맥파를 측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측정된 맥파를 신호처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된 맥파를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계속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와; 계속 측정할 경우 상기 압력조절 장치에 압력 조절 여부를 판단하여 압력을 조절할 경우 상기 압력조절 장치에 의하여 예정 압력 조절 후 상기 제 1 단계의 맥파 측정을 반복하게 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압력 조절 불요 시 또는 상기 제 4 단계에서의 계속 측정을 하지 않을 경우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 또는 출력할지 판단하는 제 6 단계와; 외부 전송 필요시 또는 외부 전송 요청 신호 수신시 중앙서버로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7 단계와; 중앙서버는 전송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연동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분석 및 관리하며 필요 시 클라이언트에 맥파신호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는 맥진 부위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 내지 제로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종래 압력센서를 이용한 맥진기로 측정할 수 없었던 부분도 측정하여 맥의 공간적 특성을 완전히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전통 맥진법에 의한 28종의 맥상을 용이하게 모두를 찾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은 착용형 맥진기의 신호처리부(122)에서 신호 처리되거나 저장부(124)에 임시 저장된 맥진 신호 데이터를 상기 신호송수신부(128)에 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중앙서버(300)에 전송하여, 중앙서버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의료기관이나 보험업체 등은 물론 수검자도 스스로 클라이언트(400)로 상기 중앙서버(300)에 접속하여 중앙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클라이언트(400)에 촉각 재현 기기(haptic device)를 더 구비함으 로써, 원격 진료도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방법은 착용형 맥진기의 제어부(125)에 프로그램된 시간 간격으로 맥파를 반복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매 측정시마다 제어부(125)의 프로그램에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또는 클라이언트(원격 진료 한의사)에 의하여 인가되는 특정 압력 정보에 의하여 압력 조절이 될 수 있으며, 측정된 맥파 데이터는 착용형 맥진기의 제어부(125)에 미리 프로그램된 시간 간격 또는 일정 조건하에서 제어부(125)는 신호송수신부(128)로 하여금 통신단말기(200) 또는 중앙서버(300)으로 데이터 전송을 하게 하여, 한의사가 인터넷 검색을 통하거나 중앙서버로부터 받은 메시지로부터 수검자의 건강상태에 이상 신호가 있음을 알게 되었을 때 또는 인터넷 등으로 진료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인가 압력 정보를 전달하면서 실질적 원격 진료를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1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맥진기는 기본적으로, 도 4와 같이, 소정의 착용수단(140)과, 상기 착용수단 일측에 위치하여 맥파를 측정하는 센서부(110)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맥파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20)를 포함하는 착용형 맥진기(100)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10)는, 도 5a와 같이, 상기 맥파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피부에 접촉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피부접촉부(10)와; 상기 피부접 촉부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하여 GMR 소자 또는 MTJ 소자와 같은 자성소자를 단위 셀(22)로 하여 어레이 형태로 형성된 맥파감지센서부(20)와; 상기 피부접촉부(10)와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이격공간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핵심적인 특징은 상기 센서부(110)를 자성체로 형성된 피부접촉부(10)와, GMR 소자 또는 MTJ 소자와 같은 자성소자가 어레이 형태로 형성된 맥파감지센서부(20)와, 이들 사이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이격공간부(30)로 구성하여, 요골동맥에 의한 맥동을 피부접촉부(10)의 자성체가 전달받아 상기 자성소자에 가해주는 자계(자기장)에 변화를 주게 하고 상기 자성소자가 이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역으로 요골동맥의 맥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게 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기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먼저, 상기 피부접촉부(10)의 자성체는 맥의 진동에 따라 위치변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서브-마이크론(sub-micron) 크기의 자성 나노 비드(bead) 형태의 나노 자성입자이거나 소형 영구자석 또는 플랙시블한 리본형 자성 패드로 이루어진 초박형 자성체로 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 자성입자일 경우는 직경이 10~100 nm 인 것, 상기 소형 영구자석일 경우는 지름이 1~3 mm 이고 두께가 0.3~1 mm 인 원판형 자석인 것, 상기 리본형 자성 패드일 경우는 두께가 1 mm 이하인 것이 각각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노 자성입자, 원판형 자석 및 리본형 자성 패드는 Nd, Co, Fe3O4 및 Fe2O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회토류 금속인 Nd을 포함하는 네오듐자석(Nd-Fe-B Magnet)은 Nd와 B를 분말야금 성형 후 연마한 것으로 자석소재 중 자기특성이 가장 높아 작은 부피로도 뛰어난 자기특성을 발휘하므로, 이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피부접촉부(10)의 자성체를 리본형 자성 패드로 할 경우 3 mm 떨어진 곳에서도 200 ~ 300 Oe 정도의 자계 세기를 갖는 플라스틱 자석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크기는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에 따라 결정되나 일 예로 폭 1.0 mm, 길이 12 mm인 5줄의 줄무늬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성 패드의 줄무늬 홈으로 상기 피부접촉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피부접촉부(10)의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은 피부면 모양이 압박받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 어레이의 단위 셀(22)은, GMR 소자 또는 MTJ 소자와 같이, 외부 자계의 변화에 반응하는 자성소자라면 어떤 구조를 갖는 것이라도 본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다.
이들 소자에 대해서는 이미 반도체 메모리 제조 업체 등에 의하여 차세대 기억소자로 많은 연구가 되어왔다(미국특허번호 제5206590호, 미국특허번호 제5650958호 등). 따라서, 여기서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내용만 간단히 언급한다.
본 실시예의 단위 셀(22)로 사용되는 GMR 소자는 통상 스핀 밸브(Spin Valve: SV) 효과를 나타내는 SV 센서로 지칭되며, 도 5b와 같이, 비자성층(225)을 사이에 두고 통상 반강자성층(antiferromagnetic layer)에 의하여 특정 방향으로 자화된 고정강자성층(pinned layer; 226)과 외부 자계에 응답하여 자유로이 자화방향이 바뀌는 가변강자성층(free layer; 224)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층에 종방향 바이어스를 제공하기 위한 도전층이 상기 고정강자성층(226)과 가변강자성층(224)의 각 일단(222, 228)에 더 형성되고, 상기 양 도전층(222, 228)을 통하여 전류원(24)과 신호검출기(2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GMR 소자의 저항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GMR 소자의 동작은, 도 5c와 같이, 외부의 자계 변화에 따라 상기 가변강자성층의 자화방향(224')이 바뀌어 상기 고정강자성층의 자화방향(226')과 같게 되면 자기저항(MR)이 작게 되고, 상기 고정강자성층의 자화방향(226')과 달라지게 되면 자기저항(MR)이 커지게 된다.
결국,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GMR 소자의 동작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피부접촉부(10)의 자성체가 요골동맥의 맥동에 따라 움직일 때 상기 자성체에 의한 자계 변화를 주게 되고, 이 자계의 변화는 상기 GMR 소자의 가변강자성층(224)에서 감지 응답하게 되고, 상기 가변강자성층(224)의 응답은 곧 외부 신호검출기(26)에서 자기저항의 변화로 인한 전기적 신호(전압 등)로 나타나, 상기 외부 신호검출기(26) 신호를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역으로 상기 동맥의 맥동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단위 셀(22)로 사용되는 MTJ 소자는 상기 GMR 소자에서 비자성층 대신에 절연성 터널 장벽층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는 2개의 강자성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터널 장벽층은 강자성층들 사이에서 전하 캐리어의 양자역학적 터 널링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얇아야 된다. 이때, 터널링은 2개 강자성층의 자화방향에 의존하게 되므로, 상기 2개의 강자성층 중의 하나는 자화방향이 외부 자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강자성층으로 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화방향이 외부 자계에 영향을 받는 가변강자성층으로 하여, 외부 자계(신호)가 상기 가변강자성층의 자화방향을 변화시키면 이는 상기 절연성 터널 장벽층에 대한 전하 캐리어의 터널링에 영향을 주어 결국 상기 MTJ 소자의 저항에 변화를 주게 되어 이를 전압 등의 신호로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MTJ 소자도 요골동맥의 맥동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피부접촉부(10)의 자성체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자성소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얼마든지 대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맥파감지센서부(20)는 상기 GMR 소자 또는 MTJ 소자와 같은 자성소자를 단위 셀(22)로 하여, 도 5d와 같이, 어레이 형태로 배열한다.
구체적 어레이 형태는 맥파의 측정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전통적 한의사의 맥진법에 따른 맥상을 모두 얻기 위하여 "촌", "관", "척" 부위에 대응되도록 3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위에 단위 셀을 M x N 형태(예 : 2 x 5 또는 3 x 6 등)로 배열하여 패키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의 단위 셀(22) 크기는 공정기술과 집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약 1.0 mm x 2.0 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의 미세 단위 셀(22)을 어레이 형태로 적절히 배열함으로써, 맥파 측정에 의한 맥의 시간적 특성은 물론이 고, 맥의 폭, 맥의 길이, 맥의 촉지 심도 등의 계측이 가능하여 맥의 공간적 특성도 완전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이격공간부(30)는 일정 압력을 유지하는 정압 체임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공간부(30)의 기능은 상기 피부접촉부(10)와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피부접촉부(10)의 자성체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그대로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에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소정의 이격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피부접촉부(10)의 자성체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그대로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에 전달할 수 있으면 어떤 수단도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정압 체임버의 이격거리(상기 피부접촉부와 상기 맥파감지센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피부접촉부(10)의 자성체의 자계 세기와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의 단위 셀(22)의 자기감응도에 따라 결정되나, 상기 피부접촉부(10)의 자성체를 200 ~ 300 Oe의 자계 세기를 갖는 리본형 자성 패드로 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이격거리를 1 ~ 3 mm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본 실시예의 센서부(110)에 관하여 기재되지 않은 부분은 2005. 10. 19.자로 선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98677호(자성박막을 이용한 맥진 센서)에 의한다.
다음은, 전통적 한의사의 맥진법에 따른 "부", "중", "침" 상태의 맥상도 쉽게 얻기 위하여 상기 착용수단(140), 센서부(110) 및 데이터 처리부(1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피부접촉부(10)가 피부에 인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조 절 장치(압력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상기 착용수단(140)은 상기 압력조절 장치(압력조절부)에 의한 동작 제어를 정확하게 하고 착용의 용이성을 위하여 손목 시계 줄과 같은 벨트형이거나 반지 등과 같은 고리(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용수단(140)에 압력조절 장치(압력조절부)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벨트의 길이 조절이나 고리(링)의 반경을 줄이는 수단(예컨대, 압력 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기어식 조절장치)을 통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에 압력조절 장치(압력조절부)를 구비할 경우에는 센서부의 이격공간부(30, 예컨대, 정압 체임버)에 공기압을 조절하는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에 압력조절 장치(압력조절부)를 구비할 경우에는 후에 설명할 촉각 재현 기기(haptic device)를 이용하여 전송된 압력 신호를 역으로 인가 압력으로 구현하여 상기 피부접촉부(10)에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도 7과 같이, 상기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맥파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2)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24)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맥파신호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 또는 출력하고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128)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내장된 각 기능 블록을 제어하는 제어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상기 제어부(125)의 제어 상태 또는 상 기 저장부(124)에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에 의한 진단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표시부(12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신호처리부(122)는 상기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맥파신호의 변화량을 검출하기 위한 미분회로, 잡음필터, 신호증폭기 및 출력감쇠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호변화량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각 구성요소와 관련된 기술은 이미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2 실시예 ]
본 실시예는 상기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10)의 구성요소 중 GMR 소자 또는 MTJ 소자와 같은 자성소자 대신 홀(hall) 소자만 대체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핵심적인 특징은 상기 센서부(110)를 자성체로 형성된 피부접촉부(10)와, 홀(hall) 소자가 어레이 형태로 형성된 맥파감지센서부(20)와, 이들 사이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이격공간부(30)로 구성하여, 요골동맥에 의한 맥동을 피부접촉부(10)의 자성체가 전달받아 상기 홀(hall) 소자에 가해주는 자계(자기장)에 변화를 주게 하고 상기 홀(hall) 소자가 이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역으로 요골동맥의 맥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게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도 하기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센서부(110)의 피부접촉부(10) 및 이격공간부(30)의 구성은 상기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 어레이의 단위 셀(22)은 홀소자를 이용하게 되는데, 홀소자에 대하여는 이미 자계 검출용으로 많은 연구가 되어왔다(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4-64263호 등). 따라서, 여기서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내용만 간단히 언급한다.
본 실시예의 단위 셀(22)로 사용되는 홀소자는 도체에 전류를 흘리면서 전류의 방향과 수직하게 자기장을 걸면 전류와 자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전기장이 발생하는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두 개의 센싱단자(전류 입, 출력 단자)와 두 개의 측정단자(홀전압 측정단자)가 필요하게 된다.
홀소자로 측정되는 홀전압 VH는 아래 수학식 1에 의하여 표현된다(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4-64263호 참조요).
[수학식 1]
VH = (G·rH ·I·Bz)/(n·e·t)
여기서, G는 홀소자 크기와 관련된 기하학적 인자, rH 는 홀 산란 인자, I는 센싱전류, Bz 인가 자기장의 세기, n는 캐리어 농도, e는 단위 전하, 그리고 t는 홀소자에 있어 센싱전류가 흐르는 층의 두께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에 따르면, 같은 조건에서 자기장의 세기 Bz 만 변동될 때 그 변동되는 정도에 따라 홀전압 VH가 달라지므로, 홀전압 VH을 측정함으로써 자기장의 세기 Bz의 변동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피부접촉부(10)의 자성체 움직임 나아가 맥의 진동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도 상기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홀소자를 단위 셀(22)로 하여 다양한 어레이 형태로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를 패키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맥파감지센서부(20) 일측 또는 이격된 위치에 데이터 처리부(120)를 두어 상기 각 홀소자로부터 측정된 홀전압의 전압변화량검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전압변화량검출회로에는 각 홀소자로부터 측정된 홀전압의 변동 즉 자기장의 변화만 잡아내기 위한 미분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측정시 움직임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잡음필터, 신호증폭 수단 및 출력 감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신호)변화량검출회로의 일 실시예를 도 5e에 도시하였다.
도 5e에 의하면, 연산증폭기와 커패스터 C1 및 저항 R1은 미분회로로, 커패스터 C2와 저항 R1은 잡음필터로, 저항 R1은 신호증폭 수단으로, 저항 R2은 출력 감쇠 수단으로 각각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V1과 V2는 각 홀소자의 측정단자(홀전압 측정단자)와 연결되고, V3는 출력단자로 전압변화량검출회로의 다른 블록으로 연 결된다.
기타, 본 실시예의 센서부(110)에 관하여 기재되지 않은 부분은 2006. 9. 1.자로 선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84402호(홀소자를 이용한 맥진 센서)에 의하고, 나머지, 압력조절 장치(압력조절부), 착용수단(140) 및 데이터 처리부(120)의 구성은 상기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3 실시예 ]
본 실시예는 상기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10)의 구성요소를, 도 6a와 같이, 상기 맥파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피부에 접촉되는 투명한 공기주머니(40)와; 상기 공기주머니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하여 구비된 촬상소자(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머니(40)는 투명한 소재(예 : 얇은 고무 풍선 등)를 사용하여 피부 접촉시 피부가 투명하게 보이도록 하여야 하고, 상기 공기주머니(40) 바닥 내부에는, 도 6b와 같이, 격자 무늬(42)가 인쇄 등으로 형성하여 요골 동맥의 공간적 운동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촬상소자(50)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ntact Image Sensor)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소형 카메라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형 카메라 장치는 야간에도 촬영가능하기 위하여 조명장치도 함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구성으로, 상기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달리, 요골 동맥의 맥동 움직임에 관한 영상을 중간의 복잡한 신호 처리 없이 바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c는 본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공기주머니(40) 하부에서 관찰되는 요골 동맥의 박동을 약 1초 간격으로 얻은 영상이다. 도 6c에서 검은 점은 가장 큰 압력이 미치는 지점을 가리킨다.
기타, 본 실시예의 압력조절 장치(압력 조절부), 착용수단(140) 및 데이터 처리부(120)의 구성은 상기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신호처리부(122)는 맥파신호의 변화량검출회로 대신 상기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맥파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게 된다.
[원격 맥진 시스템에 관한 제 1 실시예 ]
이는, 도 7과 같이, 상기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100)와; 상기 착용형 맥진기의 신호송수신부(128)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중앙서버(300)와; 상기 중앙서버와 인터넷에 의하여 연결된 클라이언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신호송수신부(128)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중앙서버(300) 및 클라이언트(400)에 대한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통신 및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착용형 맥진기의 신호처리부(122)에서 신호 처리되거나 저장부(124)에 임시 저장된 맥진 신호 데이터를 상기 신호송수신부(128)에 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중앙서버(300)에 전송하여, 중앙서버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의료기관이나 보험업체 등은 물론 수검자도 스스로 클라이언트(400)로 상기 중앙서버(300)에 접속하여 중앙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원격 맥진 시스템에 관한 제 2 실시예 ]
이는 상기 원격 맥진 시스템에 관한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착용형 맥진기의 신호송수신부(128)와 상기 중앙서버(300) 사이에 상기 신호송수신부와 근거리 통신하는 통신단말기(200)가 더 구비되어 이들 신호전달을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단말기(200)는 휴대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이 휴대용 통신기기뿐만 아니라 일정 거리 내에서 상기 신호송수신부(128)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일체의 기기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송수신부(128)와 통신단말기(200)의 근거리 통신은, 공지의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통신(IrDA), 초광대역통신(UWB) 및 소출력무선송수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신호송수신부(128)의 기능을 단순화시켜 상기 착용형 맥진기(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격 맥진 시스템에 관한 제 3 실시예 ]
이는 상기 원격 맥진 시스템에 관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클라이언트(400)는 촉각 재현 기기(haptic device)로 촉각 재현부(41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촉각 재현 기기로 구현된 인가 압력 정보를 상기 착용형 맥진기의 신호송수신부(128) 또는 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촉각 재현 기기(haptic device)라 함은 한의사가 실제 진맥하는 것과 동일하게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발생하는 압력을 디지털 수치로 변환시키는 기기를 말하나, 역으로 디지털 인가 압력 정보를 받고 한의사가 직접 누르는 것과 같은 압력을 가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촉각 재현 기기(haptic device)를 이용하여 한의사가 상기 클라이언트(400)로 인가 압력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거나 기타 유,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맥진기의 신호송수신부(128) 또는 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착용형 맥진기(100)는 내장된 압력조절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전송된 압력 정보만큼 피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한 후 맥파를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격 맥진 진료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착용형 맥진기(100)에 내장된 압력조절 장치는 물론 상기 촉각 재현 기기(haptic device)를 역으로 이용한 기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원격 맥진 방법에 관한 실시예 ]
이는, 도 8과 같이,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100)로 맥파를 측정하는 제 1 단계(S100)와; 상기 측정된 맥파를 신호처리하는 제 2 단계(S110)와; 상기 신호처리된 맥파를 저장하는 제 3 단계(S120)와; 계속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S130)와; 계속 측정할 경우 상기 압력조절 장치에 압력 조절 여부를 판단하여(S140) 압력을 조절할 경우 상기 압력조절 장치에 의하여 예정 압력 조절 후 상기 제 1 단계의 맥파 측정을 반복하게 하는 제 5 단계(S150)와; 상기 압력 조절 불요 시 또는 상기 제 4 단계에서의 계속 측정을 하지 않을 경우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 또는 출력할지 판단하는 제 6 단계(S160)와; 외부 전송 필요시 또는 외부 전송 요청 신호 수신시 중앙서버로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7 단계(S180)와; 중앙서버는 전송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연동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분석 및 관리하며 필요 시 클라이언트에 맥파신호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제 8 단계(S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 상기 제 8 단계(S190) 이후에는 상기 제 8 단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중앙서버에 저장된 맥파정보 검색 요청이 있을 경우 일정한 조건하에 맥파신호 데이터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제 9 단계(S200)와;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받은 맥파신호 데이터 정보가 클라이언트의 설정한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로 맥파신호 재측정 여부를 판단하여(S210) 기준 만족시 종료하는 제 10 단계와; 기준 미달로 재측정시 인가 압력 조절 여부를 물어(S220) 압력 조절을 하지 않을 경우 다시 상기 제 1 단계의 맥파 측정을 하게 하는 제 11 단계와; 압력 조절을 할 경우 인가 압력 을 상기 착용형 맥진기의 압력조절 장치에 전송하여(S230) 인가된 만큼 압력을 조절 후(S150) 상기 제 1 단계의 맥파 측정을 하게 하는 제 12 단계를 더 포함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 7 단계의 중앙서버로의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 전송은 상기 착용형 맥진기(100)와 중앙서버(300) 사이에 근거리 통신 단말기(200)를 거쳐 전송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제 4 단계에서 착용형 맥진기의 제어부(125)에 프로그램된 시간 간격으로 맥파를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 5 단계에서 매 측정시마다 착용형 맥진기에 내장된 압력조절 장치에 의하여 압력조절은 물론, 동일 압력으로 반복 측정도 가능하다. 상기 압력 조절은 착용형 맥진기의 제어부(125)의 프로그램에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도 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원격 진료 한의사)에 의하여 인가되는 특정 압력 정보에 의하여 압력 조절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측정된 맥파 데이터는 착용형 맥진기의 제어부(125)에 미리 프로그램된 시간 간격 또는 일정 조건하에서, 예컨대 맥파의 데이터 수치가 일정 값 이상일 경우에만, 제어부(125)는 신호송수신부(128)로 하여금 통신단말기(200) 또는 중앙서버(300)으로 데이터 전송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의료기관 또는 보험업체 등 정보 이용 요청 기관은 수검자 본인도 인터넷등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로 중앙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용이하게 중앙서버가 저장/분석/관리하고 있는 맥진 데이터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물론, 중앙서버의 운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착용형 맥진기로부터 전송받은 맥 진 데이터를 분석한 후 질병 유무 등 수검자의 건강상태를 수검자나 의료기관 등 미리 설정된 곳의 통신단말기로 통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의료기관의 한의사가 인터넷 검색을 통하거나 중앙서버로부터 받은 메시지로부터 수검자의 건강상태에 이상 신호가 있음을 알게 되었을 때 또는 인터넷 등으로 진료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인가 압력 정보를 전달하면서 보다 상세한 원격 진료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 맥진 센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전통 맥진법에 의하여 진단되는 맥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와 현대 의학적 방법으로 각각 진단 가능한 것을 대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에 관한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의 센서부에 관한 일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의 센서부 단위 셀에 대한 전기적 접속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부 단위 셀을 GMR 소자로 할 경우 외부 자계 변화에 대한 전기적 동작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의 맥파감지센서부 어레이 형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e는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의 신호처리부의 전압(신호)변화량검출회로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의 센서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센서부 공기주머니 하부에 일실시예로 격자 무늬가 인쇄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c는 도 6a의 센서부 촬상소자로 요골동맥의 박동을 약 1초 간격으로 찍은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일실시예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방법을 일실시예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착용형 맥진기 110 : 센서부
120 : 데이터처리부 132, 134 : 전극
140 : 착용수단 200 : 통신단말기
300 : 중앙서버 400 : 클라이언트

Claims (14)

  1. 벨트형 또는 링형인 착용수단과, 상기 착용수단 일측에 위치하여 맥파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맥파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맥진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맥파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피부에 접촉되는 투명한 공기주머니와;
    상기 공기주머니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하여 구비된 촬상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머니는 바닥 내부에 격자 무늬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ntact Image Sensor)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소형 카메라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 센서부 및 데이터 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는 압력조절 장치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머니가 피부에 인가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맥파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맥파신호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 또는 출력하고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내장된 각 기능 블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상태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에 의한 진단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신호처리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맥파신호의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
  8. 제 5 항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와;
    상기 착용형 맥진기의 신호송수신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중앙서버와;
    상기 중앙서버와 인터넷에 의하여 연결된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맥진기의 신호송수신부와 상기 중앙서버 사이에 상기 신호송수신부와 근거리 통신하는 통신단말기가 더 구비되어 이들 신호전달을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송수신부와 통신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통신(IrDA), 초광대역통신(UWB) 및 소출력무선송수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촉각 재현 기기(haptic device)를 구비하여, 상기 촉각 재현 기기로 구현된 인가 압력 정보를 상기 착용형 맥진기의 신호송수신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12. 제 5 항에 의한 착용형 맥진기로 맥파를 측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측정된 맥파를 신호처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된 맥파를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계속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와;
    계속 측정할 경우 상기 압력조절 장치에 압력 조절 여부를 판단하여 압력을 조절할 경우 상기 압력조절 장치에 의하여 예정 압력 조절 후 상기 제 1 단계의 맥파 측정을 반복하게 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압력 조절 불요 시 또는 상기 제 4 단계에서의 계속 측정을 하지 않을 경우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 또는 출력할지 판단하는 제 6 단계와;
    외부 전송 필요시 또는 외부 전송 요청 신호 수신시 중앙서버로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7 단계와;
    중앙서버는 전송된 맥파신호 데이터를 연동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분석 및 관리하며 필요 시 클라이언트에 맥파신호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중앙서버에 저장된 맥파정보 검색 요청이 있을 경우 일정한 조건하에 맥파신호 데이터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제 9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받은 맥파신호 데이터 정보가 클라이언트의 설정한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로 맥파신호 재측정 여부를 판단하여 기준 만족시 종료하는 제 10 단계와;
    기준 미달로 재측정시 인가 압력 조절 여부를 물어 압력 조절을 하지 않을 경우 다시 상기 제 1 단계의 맥파 측정을 하게 하는 제 11 단계와;
    압력 조절을 할 경우 인가 압력을 상기 착용형 압력조절 장치에 전송하여 인가된 만큼 압력을 조절 후 상기 제 1 단계의 맥파 측정을 하게 하는 제 1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의 중앙서버로의 저장된 맥파신호 데이터 전송은 상기 착용형 맥진기와 중앙서버 사이에 근거리 통신 단말기를 거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맥진기를 이용한 원격 맥진 방법.
KR1020080083064A 2008-08-25 2008-08-25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9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64A KR100899155B1 (ko) 2008-08-25 2008-08-25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64A KR100899155B1 (ko) 2008-08-25 2008-08-25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972A Division KR100888560B1 (ko) 2007-04-18 2007-04-18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934A true KR20080093934A (ko) 2008-10-22
KR100899155B1 KR100899155B1 (ko) 2009-05-27

Family

ID=4015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064A KR100899155B1 (ko) 2008-08-25 2008-08-25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1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444B1 (ko) * 2009-12-14 2011-07-29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맥동영상을 이용한 맥진장치
CN107495938A (zh) * 2017-07-31 2017-12-22 张秀珍 石墨烯探测把脉腕带及其实现方法
CN108714023A (zh) * 2018-05-16 2018-10-30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可穿戴式脉搏波检测系统
CN114869234A (zh) * 2022-04-29 2022-08-09 无锡市华焯光电科技有限公司 脉搏数据检测装置及具有其的检测系统
WO2022177058A1 (ko) * 2020-02-21 2022-08-25 주식회사 피에스디엘 원격 촉감 제공장치, 원격 촉감 데이터베이스 및 그 생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2533B (zh) * 2016-06-06 2018-06-08 厦门精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的穿戴式心脏保护器
KR101829541B1 (ko) * 2016-07-19 2018-02-14 (주)비에이에너지랩 마찰전기를 이용한 압력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40A (ko) * 2001-04-11 2002-10-23 (주)몬텍 원격 맥진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19438A (ko) * 2002-08-26 2004-03-06 조창호 개인휴대단말기 기반의 모바일맥진기를 이용한원격진료시스템
KR100715375B1 (ko) * 2005-11-07 2007-05-07 정의선 비틀림 스프링 구조
KR20080020798A (ko) * 2006-09-01 200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쉬 튜닝이 용이해지는 암의 부쉬 마운팅 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444B1 (ko) * 2009-12-14 2011-07-29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맥동영상을 이용한 맥진장치
CN107495938A (zh) * 2017-07-31 2017-12-22 张秀珍 石墨烯探测把脉腕带及其实现方法
CN108714023A (zh) * 2018-05-16 2018-10-30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可穿戴式脉搏波检测系统
WO2022177058A1 (ko) * 2020-02-21 2022-08-25 주식회사 피에스디엘 원격 촉감 제공장치, 원격 촉감 데이터베이스 및 그 생성방법
CN114869234A (zh) * 2022-04-29 2022-08-09 无锡市华焯光电科技有限公司 脉搏数据检测装置及具有其的检测系统
CN114869234B (zh) * 2022-04-29 2024-01-02 无锡市华焯光电科技有限公司 脉搏数据检测装置及具有其的检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155B1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155B1 (ko)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9383B1 (ko) 홀소자를 이용한 맥진 센서
KR100730385B1 (ko) 자성박막을 이용한 맥진 센서
JP4355439B2 (ja) 微小圧力検知素子、この素子を用いた装置及び健康監視システム
US20110133931A1 (en) Electric field sensing device
CN105228512A (zh) 胎动监测器
CN101378695A (zh) 无创传感脉率和血流异常的装置和方法
KR101382707B1 (ko) 비정상적인 맥박수 및 혈류를 비침습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장치의 패키지
KR100888560B1 (ko)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4710B1 (ko) 착용형 맥진기
Neuman Biomedical sensors
KR100455998B1 (ko) 생체 지수 측정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EP4181779A1 (en) Electrode harness for use in carrying out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a system and a method
JP2017185237A (ja) Tmr素子を有するウエアラブル端末
KR20180028861A (ko) 맥진 센서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35395A (ko) 자기적 방법에 의한 맥박 측정기 및 그 측정 방법
CN213588251U (zh) 一种术后病人睡眠状况监测装置
JP5487385B2 (ja) 生体信号検出装置
JP5083880B2 (ja) 生体信号検出装置
JPH0737104U (ja) 脈波検出装置
Harland et al. Non-Invasive Human Body Electrophysiological Measurements Using Displacement Current Sensors
JP2005185300A (ja) ベッドパッド
JPH0217475A (ja) 磁気測定装置
JPH05111471A (ja) 脈波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