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391A -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391A
KR20080093391A KR1020080035166A KR20080035166A KR20080093391A KR 20080093391 A KR20080093391 A KR 20080093391A KR 1020080035166 A KR1020080035166 A KR 1020080035166A KR 20080035166 A KR20080035166 A KR 20080035166A KR 20080093391 A KR20080093391 A KR 20080093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ervice
service
service data
information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이링
송재연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9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7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processes or methods for th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4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where broadcast information is gener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은,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제공되는 범위를 나타내는 서비스 영역(area)을 알리는 플래그를 각 방송 서비스마다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플래그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정보와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 DVB-SH(Digital Video Broadcasting - Satellite services to Handheld), 핸드오버, National service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SERVICE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제공되는 범위에 따라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DVB-SH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DVB-SH 표준은 위성과 지상 송수신기를 결합하여 광대역 커버리지(Coverage)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및 네트워크 중계기(Service & network Head-end)(102)는 도시되지 않은 방송 컨텐트 공급자로부터 제공된 방송 컨텐츠(Content)(100)를 방송 분배 네트워크(Broadcast Distribution Network)(106)를 통해 분배한다. 이때 서비스 및 네트워크 중계기(Service and Network Head- end)(102)는 방송 컨텐츠(100)를 DVB-SH 방송 중계기(DVB-SH broadcast head-end)(104)를 통해 단말기(user terminal)(112) 또는 갭필러(gapfiller)(Tr(b))(108)로 직접 전파를 송신하는 DVB-SH 위성(107)으로 전송하거나 지상의 고정 송신기(Tr(a))(110) 또는 기차 또는 버스와 같은 이동 송신기(Tr(c))(114)로 전송하여 수신 셀(Reception cell)(120)에 위치한 단말기(112)가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신호 흐름들 중 참조번호 116은 DVB-SH 신호가 전송되는 경로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118은 방송 컨텐츠가 분배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DVB-SH 표준은 두 가지 형태의 모드가 있다. 즉,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위성 송신기 모드를 제공하는 DVB-SH-A 시스템과 OFDM 기반의 지상파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위성 송신기 모드를 제공하는 DVB-SH-B 시스템으로 나뉜다.
또한 DVB-SH-A 시스템과 DVB-SH-B 시스템 모두 위성에서는 전국 서비스(National Service)만을 제공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DVB-SH-A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전국 서비스와 지역 서비스(Local Service)의 TS(Transport Stream)을 다른 TS로 만들어 제공하는 방식이고, DVB-SH-B 시스템에서는 전국 서비스와 지역 서비스의 TS를 하나의 공통 TS로 만들고, 이를 각각 위성과 지상 송신기로 전송하기 직전에 각 송신기가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들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각 송신기별 서비스를 다르게 한다.
전국 서비스란 전국 공통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이고, 지역 서비스란 지 역마다 다르게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DVB-SH-B 시스템에서는 위성 모듈레이터에서 위성에서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들을 공통 TS에서 제거하고 지상파 송신기는 해당 지역에서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들을 단말로 송신하기 전에 제거한다.
이러한 DVB-SH 시스템의 문제는 동일한 전국 서비스가 위성과 지상으로 동시에 전송됨에 따른 핸드오버 기능을 지원해야 하는데 있다. 즉, DVB-SH-A와 DVB-SH-B 시스템 모두 위성에서는 전국 서비스만이 제공된다. 즉 SH 서비스를 어느 패쓰(Path)(위성, 지상)로 수신하느냐에 따라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달라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일한 TS가 위성과 지상(Terristrial)에 걸쳐 전송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TS가 위성으로 전송될 때, TS는 전국 서비스를 운반하며, TS가 지상으로 전송될 때, TS는 전국 서비스와 지역 서비스 모두를 운반한다.
그래서 DVB-SH 시스템에서는 어떻게 전국 서비스와 지역 서비스를 식별할 것인지가 문제가 된다. 그리고, 단말기는 언제 이동성을 고려할 것인지 요구되며, 이를 위해 단말기는 몇몇 지역에서 가용한 TS를 알아야 하고, 전국 서비스와 지역 서비스들 중 어떤 방송 서비스가 상기 TS로 운반되는지도 알아야 한다.
특히 전국 서비스의 경우에는 단말기가 위성 신호만이 수신되는 위성 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지상파 셀로 이동하는 경우 모두 수신되고 있는 전국 서비스를 끊김 없이 수신하기 위해서는 특정의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즉, 단말이 이동 중 현재의 셀을 벗어나서 위성 셀이나 다른 지상파 셀로 이동함에 따라 핸드오버를 고려하는 경우에 방송 서비스 정보인 프로그램 특정 정보/ 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 PSI/SI) 정보를 통해서 현재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가 단말이 이동하는 셀에도 제공되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SH 시스템 구성을 볼 때, 지금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미리 알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공통 TS를 생성한 후, 각 지역 서비스들을 제거하고 위성에서 전국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DVB-SH-A 시스템과 DVB-SH-B 시스템의 경우에는 각 서비스들을 제거하여 실제 TS의 내용이 달라진 경우에도 공통 TS의 TS_id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해당 TS내의 어느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에 대한 인지를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구별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시에 끊김 없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제공되는 범위에 따라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국 서비스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알리는 플래그에 따라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은,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제공되는 범위를 나타내는 서비스 영역(area)을 알리는 플래그를 각 방송 서비스마다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플래그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정보와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의 형식으로 제공하며, 상기 TS의 방송 서비스 정보는 각 방송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의 송신 방법은, 상기 TS 내에 포함되는 모든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지역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TS에 포함되는 상기 모든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지역에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TS의 방송 서비스 정보에 포함하여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와 함께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단말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방법은,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에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수신중인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인지를 지시하는 플래그가 방송 서비스 정보에 설정되어있는지를 검사하고 핸드오버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전 수신 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 경우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에서 상기 핸드오버 전에 수신 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복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의 형식으로 제공하며, 상기 TS의 방송 서비스 정보는 각 방송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의 수신 방법은,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에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수신중인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모든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지역에 제공되는 서비스인지를 지시하는 정보가 설정되어있는지를 검사하고 핸드오버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전 수신 중이던 전송 스트림의 모든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 경우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에서 상기 핸드오버 전에 수신 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복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로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될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제공되는 서비스 지역(area)를 알리는 플래그를 각 방송 서비스마다 설정하는 플래그 생성기와, 상기 플래그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정보(PSI/SI)와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 장치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를 수신하여 상기 TS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 데이터와 방송 서비스 정보를 복조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조된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방송 서비스 정보와 사용자에게 제공될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역다중화기와, 상기 역다중화되어 출력된 방송 서비스 정보에 상기 수신된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인지를 지시하는 플래그가 삽입되었는지를 검사하는 플래그 검사기와,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플래그가 삽입되어 있다면,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수신한 TS에 상기 핸드오버 이전에 수신 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복조하게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 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플래그 또는 디스크립터의 형태로 PSI/SI 신호에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를 지속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핸드오버시 해당 서비스의 지속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및 파워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은 DVB-SH(Digital Video Broadcasting - Satellite services to Handheld)시스템에서 이동성(Mobility) 지원을 위한 전국 서비스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기술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DVB-SH 시스템의 두 가지 규격인 DVB-SH-A와 DVB-SH-B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DVB-SH-A 시스템에서는 전국 서비스는 위성과 지상파(지상 송신기)로 전송되며, 해당 지역의 고유한 지역 서비스는 지상파로 전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DVB-SH 시스템에서 서버에서 전국 서비스와 지역 서비스가 포함된 TS를 만들어 각각 지상파와 위성 송신기로 전송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10은 도시되지 않은 방송 서버에서 생성한 TS 이며, Service 1부터 Service 11까지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참조번호 210은 서버에서 생성한 모든 방송 서비스들이 담긴 프레임으로서 National TS(Transport Stream)에 담겨서 전송된다. Service 1부터 Service 10까지는 각 지역별 서비스이고, Service 11은 전국 서비스가 된다.
필터링부(220)와 OFDM 변조부(230)에서는 수신된 National TS에 대해 각각 필터링(Filtering)과 변조(Modulation)를 수행함으로써, National TS에서 각 지역별 서비스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수행 결과로서, 참조번호 240인 지역에서는 지역 서비스인 Service i(i는 1부터 10 중 하나의 수)와 전국 서비스인 Service 11만이 전송되고, 이는 참조번호 250인 지역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들은 각각 지상파 송신기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된다. 그리고 참조번호 260지역은 National TS가 필터링부(270)와 변조부(280)를 통하여 모든 지역 서비스들이 필터링되어 전국 서비스인 Service 11만이 전송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서비스 11은 위성을 통해 단말로 전송된다.
도 3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DVB-SH-A 시스템의 아키텍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DVB-SH-B 시스템의 아키텍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의 서비스 및 네트워크 중계기(302)는 생성된 컨텐츠(300)를 전국 서비 스망에 제공되는 TS인 TS_national(310)과 지역 서비스망에 제공되는 TS인 TS_local(320)로 각각 생성하여 방송 분배 네트워크(306)로 전송한다.
TS_national(310)은 전국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TS이고, 이는 도면에서와 같이 위성과 지상파로 전송된다. 또한 TS_local(320)는 지역 서비스가 포함된 TS로, DVB-SH-A 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국 서비스와 지역 서비스가 다른 TS에 담겨서 전송된다. TS_national(310)은 DVB-SH 방송 중계기(304)를 통해 DVB-SH 위성(307)으로 전송되고, DVB-SH 위성(307)은 수신된 TS를 단말기(309)로 송신한다. 반면 TS_local(320)을 수신한 지상의 고정 송신기(308)는 지역 서비스 영역(local service area)에 위치한 단말기(309)로 TS를 송신한다.
도 3b에서 서비스 및 네트워크 중계기(312)는 컨텐츠(311)를 방송 분배 네트워크(313)로 전송하고, 방송 분배 네트워크(313)는 지역 서비스와 전국 서비스가 하나의 공통 TS에 포함된 TS_(national+local)(330)과 TS_(national+local)(330)에 포함된 지역 서비스와는 다른 지역서비스로서 새로운 지역 서비스가 필요하여 생성된 TS인 TS_local(340)을 수신한다. 상기 TS_(national+local)(330)은 하나의 TS내에 전국 서비스와 지역 서비스가 포함된 것을 나타낸다.
TS_national+local(330)는 위성(315)으로 전송되기 전에 참조번호 317과 같이 각 지역서비스들이 필터링되어 위성(315)으로는 전국 서비스만이 전송되고, 위성(315)은 수신한 전국 서비스를 단말기(318)로 직접 송신한다. 그리고 지상의 고정 송신기(316)는 지역서비스인 TS_local(340)과 전국 서비스와 지역서비스가 포함된 공통 TS인 TS_(National+local)(350)을 지역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단말기(318) 로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단말기로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알리기 위해 소정 플래그(내셔널 플래그)를 방송 서비스 정보인 프로그램 특정 정보/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 이하 "PSI/SI"라 한다.)에 삽입하여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송신단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포함된 TS를 송신할 때 TS에 포함된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제공되는 범위가 전국인지 지역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소정 값으로 설정한 후 TS의 PSI/SI에 삽입하여 전송하고, 단말기는 핸드오버시 수신한 TS의 PSI/SI에 상기 플래그가 삽입되었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플래그가 미리 약속된 값으로 설정되었는지 검사함으로써,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 지역 서비스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절차를 수행한다.
즉, 전국 서비스인 경우, 단말기는 별도의 절차 없이 핸드오버가 되어 이동 후에도 동일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지역 서비스인 경우, 단말기는 핸드오버 이전에 제공되던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지속하여 수신하기 위하여 서버에 request하는 등의 별도의 절차를 수행해야 함을 미리 알 수 있다. 지역 서비스인 경우의 서비스 지속을 위한 별도의 절차 자체는 본 발명의 scope에서 벗어나므로 다루지 않는다. 단말기가 지역서비스를 받고 있는 경우, 상기 플래그의 정보 없이는 해당 지역 셀에서 벗어나게 될 때 해당 서비스가 끊기므로 상기 플래그를 삽입함으로써 단말기가 해당 서비스를 받기위한 절차를 수행할 기회를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방송 서비스 정보 내에 상기 내 셔널 플래그를 삽입하는 방법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실시 예로서 사용되고, "시나리오"는 각 실시 예와는 상관없이 단말기의 핸드오버 동작을 기술한 것으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에서 실시 예들은 TS 내에 전국 서비스가 포함됨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PSI/SI에 어떠한 방식으로 삽입할 것인지에 따라 구분된다.
1. 제1 실시 예 : 전국 서비스를 지시하는 플래그를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함
제1-1 실시 예 : NIT 테이블에 방송 서비스별로 내셔널 플래그 삽입
내셔널 플래그는 1 비트 지시자이고, "1"혹은 "0"값 중 전국 서비스를 지시하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될 경우, 상기 내셔널 플래그에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나타낸다. 또한 내셔널 플래그가 전국 서비스임을 지시하는 소정 값으로 설정될 경우, TS에 포함된 서비스들 중 특정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나타낼 수도 있고(제1-1 실시 예), 플래그의 위치에 따라 해당 TS가 모두 전국 서비스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제1-2 실시 예). 예를 들어 DVB-SH-A 시스템에서는 TS 전체가 전국 서비스임을 타나내는 방안이 더 적절할 수 있고, DVB-SH-B 시스템에서는 TS에 포함된 각각의 방송 서비스마다 전국 서비스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 더 적절할 수도 있다. 예컨대 내셔널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방송 서비스 정 보가 포함된 TS가 전국 서비스용이라는 의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내셔널 플래그를 소정 값으로 설정함에 따라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범위 즉, 방송 서비스가 전국적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인지 지역마다 별도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라 NIT 테이블에 삽입되는 내셔널 플래그의 예를 보여준다. 아래 <표 1>에서 "national flag"가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라 NIT 테이블에 삽입된 것을 볼 수 있다. 아래 <표 1> 내지 <표 3>에서 상기 "national flag"를 제외한 나머지 element들은 ETSI EN 300468(DVB : Specification for service information in DVB systems)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Figure 112008027070750-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TS 송신측에서는 National_flag를 소정 값으로 설정함으로서, 상기 Service_id에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적으로 제공되는 전국 서비스인지 지역마다 제공되는 지역 서비스인지를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TS를 수신하는 단말은 상기 National_flag가 어떤 값으로 설정되었는지에 따라 상기 Service_id에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 지역 서비스인지를 알 수 있다.
상기 National_flag를 사용하여 TS에 포함되는 방송 서비스들이 전국 서비스인지 지역 서비스인지 나타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전국 서비스인 방송 서비스인 경우에만 TS의 PSI/SI에 상기 플래그를 삽입하는 경우이고, 두번째는 전국 서비스인 방송 서비스와 지역 서비스인 방송 서비스를 구별하기 위해 상기 플래그를 "0" 또는 "1"의 값으로 설정하여 PSI/SI에 삽입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서는 위 두 가지 경우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제1-2 실시 예 : NIT 테이블에 글로벌 디스크립터를 삽입하여 전국 서비스임을 알림
상기 제1-2 실시 예는 제1-1 실시 예와는 달리 글로벌 디스크립터를 사용하여 해당 TS에 포함되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알린다. 즉, 제1-2 실시 예는 해당 TS내의 전체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라는 것을 알리는 것이고, 제1-1 실시 예는 NIT 테이블내의 각 서비스별로 플래그를 붙이는 것이 다르다. 즉, 제1-1 실시 예에서는 어느 서비스는 내셔널 플래그가 포함되고, 어느 서비스는 플래그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TS 내에 포함되는 모든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지시하는 글로벌 디스크립터와는 다르게 된다.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는 다음은 단말기로 전송되는 TS의 모든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글로벌 디스크립터(Global_descriptor())를 NIT 테이블에 삽입하는 방안이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Global_descriptor()의 일 예를 보여준다.
Figure 112008027070750-PAT00002
상기 <표 2>에서 Descriptor_tag는 해당 Descriptor를 인지할 수 있도록 부여된 특정 넘버 값이다. 예를 들면 Service_list_descriptor의 경우 tag 값이 "0x41"의 값을 가져 각각의 descriptor를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or_length는 해당 Descriptor의 데이터부분의 길이를 표시하는 필드이다. Global_flag는 해당 TS가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아래의 <표 3>은 본 발명에서 제안된 글로벌 디스크립터(Global descriptor)가 삽입된 NIT 테이블의 일 예를 보여준다.
Figure 112008027070750-PAT00003
2. 제2 실시 예 :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를 지시하는 플래그를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테이블에 삽입
각 방송 서비스별로 내셔널 플래그를 삽입하는 경우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제2 실시 예는 내셔널 플래그를 SDT 테이블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는 아래의 <표 4>와 같다. <표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방송 서비스별 내셔널 플래그가 삽입된 SDT 테이블의 일 예를 보여준다. 아래 <표 4>에서 TS내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별로 해당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내셔널 플래그"를 제외한 나머지 element들은 ETSI EN 300468(DVB:specification for service information in DVB systems)에 정의되어 있다.
Figure 112008027070750-PAT00004
상기 <표 4>와 같이 National_flag를 소정 값으로 설정함으로서, TS 송신측에서는 상기 Service_id에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TS를 수신하는 단말은 상기 Service_id에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알 수 있다.
3. 제3 실시 예 : 내셔널 플래그를 INT(IP(Internet Protocol)/MAC(Media Access Control) Notification Table) 테이블에 삽입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각 방송 서비스별로 내셔널 플래그를 INT 테이블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3 실시 예를 아래의 <표 5>에 도시하였다. 아래 <표 5>에서 "national flag"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TS내에 포함된 서비스 별로 전국 서비스인지를 지시하며, 아래 <표 5>에서"national flag"를 제외한 나머지 element들은 ETSI EN 300468(DVB : specification for service information in DVB systems)에 정의되어 있다.
Figure 112008027070750-PAT00005
상기 <표 5>와 같이 TS 송신측에서는 National_flag를 소정 값으로 설정하여 전송함으로써 Service_id에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제3 실시 예에서의 INT 및 SDT 테이블의 기존 필드 값의 정의는 ETSI EN 300 468 및 관련된 스펙들의 정의를 그대로 따르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존 필드값들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는 PSI/SI 정보에 내셔널 플래그를 삽입하여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는 TS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방송 서비스들 중 어떤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단말기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면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필수적인 정보가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가 핸드오버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참조번호 1200은 전국 서비스가 위성을 통해 제공되는 위성 셀인 전국 서비스 영역으로 전국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범위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1202a와 1202b는 지역 서비스 또는 전국 서비스가 지상파 송신기를 통해 제공되는 지상파 셀들인 지역 서비스 영역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가 지상파 셀 A(1202a)에서 참조번호 1204와 같이 위성 셀(1200)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참조번호 1206과 같이 지상파 셀 A(1202a)에서 지상파 셀 B(1202b)로 이동하는 경우의 핸드오버 상황을 가정한다.
본 발명은 TS에 포함되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지시하는 플래그 또는 글로벌 디스크립터를 PSI/SI에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기가 수신한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를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는 수신하던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라면, 핸드오버 수행 이후에도 이전에 수신하던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단말기는 전국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을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가 다른 셀로 이동하더라도 핸드오버 이후에 수신한 TS에 핸드오버 이전에 수신한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PSI/SI를 검색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 지연 없이 끊김없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가 수신하던 서비스가 지역 서비스라면, 단말기는 다른 셀로 이동하기 전에 서버에 요청(request)하여 해당 지역서비스를 다른 지역에서도 통신망등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셀에서 어떤 서비스 아이디를 가진 서비스가 현재 받고 있는 서비스와 동일하다는 등의 부가 정보를 제공받지 않으면, 단말기는 해당 지역 서비스를 다른 셀에서 지속하여 제공받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한 내셔널 플래그 내지는 글로벌 디스크린터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가 지역 서비스임을 단말에게 알려 상기 설명한 부가적인 절차를 핸드오버이전에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설명한 지역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한 부가적인 절차는 본 발명에서 다루지 않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시나리오 1과 2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는 구별없이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들은 실제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 아래의 핸드오버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아래의 시나리오 1은 위성셀의 PSI/SI와 지상파 셀의 PSI/SI가 다른 경우로, 단말기가 지상파의 셀 영역에서 위성 셀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PSI/SI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이고, 시나리오 2는 위성셀의 PSI/SI와 지상파 셀의 PSI/SI가 같은 경우로,단말기가 지상파의 셀 영역에서 위성 셀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PSI/SI 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상파 셀"은 "지상파 송신기를 통해 TS가 전송되는 지역"이고, "위성 셀"은 "위성을 통해 TS가 전송되는 지역"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위성 셀 영역이 지상파 셀 영역보다 넓은 커버리지(Coverage)를 갖는다.
시나리오 1 : 단말기가 지상파 송신기를 통해 DVB-SH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다. 단말기가 계속 이동하여 지상파 셀의 영역을 벗어나 위성 셀로 진입함으로 인해 위성 서비스만을 수신 가능하게 된다. 이는 단말기가 지역 서비스 지역(local service area)을 벗어나서 더 이상 지역 서비스를 받지 못하지만, 위성 서비스만 가능한 지역인 전국 서비스 지역(national service area)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는 위성 서비스란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의미하며, 지상파 서비스란 지상파 송신기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시나리오 1의 경우, 지상파 셀과 위성 셀에서 전송되는 PSI/SI 신호는 서로 다르다고 가정한다.
이에 반해 시나리오 2는 단말기가 지상파 셀의 영역에서 위성 셀의 영역으로 이동할 시 PSI/SI 신호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이다. 즉, 시나리오 2에서는 지상파 셀과 위성 셀에서 사용되는 PSI/SI가 동일한 경우이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PSI/SI 갱신 여부에 따라 시나리오를 구분한 이유는 현재 DVB-CBMS(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워크그룹(Workgroup)에서 정의한 핸드오버의 정의가 IP 플랫폼내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으로 기술되어있기 때문이다. 즉, 하나의 IP 플랫폼내에서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서 단말기의 셀 간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PSI/SI 갱신이 필요하지 않고, 셀 간 이동이 네트워크의 이동을 의미하는 경우에는 PSI/SI 갱신이 필요하다. 즉, 구현에 따라 PSI/SI를 갱신하거나 또는 PSI/SI를 갱신하지 않는 두 가지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각 시나리오 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내셔널 플래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핸드오버 시 단말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내셔널 플래그를 사용할 경우에 시나리오 1에 따른 단말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단말이 핸드오버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 처음 접속하여 방송 서비스를 수신받을 때도 적용될 수 있다.
410단계에서 단말기는 현재 위치한 지역 셀의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며, 415단계에서 단말기가 상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셀 영역인 지역 서비스 영역에서 밖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 품질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위성 또는 다른 지상파 송신기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 420단계에서 단말기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NIT, SDT 또는 INT 테이블을 검색하고, 425단계에서 내셔널 플래그 또는 글로벌 디스크립터를 검사한다. 상기 425단계에서 단말기는 PSI/SI 내에 내셔널 플래그가 미리 정해진 어떤 값(O 또는 1)으로 설정되었거나 글로벌 디스크립터가 존재하는지의 검사결과에 따라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425단계에서 단말기는 현재 제공받는 방송 서비스가 지역 서비스인지 전국 서비스인지를 내셔널 플래그를 이용하여 미리 알 수 있다. 상기 425단계의 검사결과 현재 제공받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 경우, 단말기는 핸드오버 이후에 위성 또는 다른 지상파 송신기로 방송 서비스가 수신되는 경로를 변경함으로서 이전의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제공받던 방송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계속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425단계의 검사결과 내셔널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거나 글로벌 디스크립터가 PSI/SI에 존재한다면, 수신된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알 수 있고, 이에 단말기는 430단계에서 PSI/SI중 NIT의 Cell_list descriptor와 Cell_frequency_link descriptor나 또는 스캐닝을 통하여 핸드오버 이후에 수신할 방송 서비스의 주파수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430단계는 단말이 지역 서비스에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받다가 이동하여 전국 서비스 망에 접속할 경우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국 서비스용 방송 서비스를 수신받거나 다른 지역 서비스 영역으로 핸드오버 할 경우에 전국 서비스용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동작이다.
435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430단계에서 획득한 주파수 정보를 사용하여 위성 또는 다른 지상파 네트워크로부터의 신호 품질을 체크한다. 440단계에서 단말기는 상기 435단계에서 체크한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수신 경로를 위성 또는 상기 지상파 송신기로 경로를 변경하고, 445단계에서 방송 서비스를 지속해서 수신하고, 새로운 수신 경로를 통해 수신한 TS의 PSI/SI로 이전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인 PSI/SI를 갱신한다. 그리고, 445단계에서 단말기는 위성 또는 다른 지상파 송신기로 핸드오버하여 상기 갱신한 PSI/SI를 이용하여 이전에 제공받던 전국 서비스를 계속하여 수신한다. 그러나, 단말기는 핸드오버 이전에 수신하던 방송 서비스가 새로 수신한 TS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상기 새로 수신한 TS의 PSI/SI를 검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국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을 경우에는 끊김없이 방송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425단계의 검사결과 만약 해당 서비스가 지역 서비스인 경우, 단말기는 450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핸드오버 절차를 시도하거나, 이전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작을 종료한다. 즉, 지역 서비스임을 알리는 정보를 이용하여, 셀간 이동이 이루어져 해당 지역 서비스의 수신이 끊기기 전에 단말이 다른 핸드오버 절차를 시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내셔널 플래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시나리오 1에 따른 일반적인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510단계에서 현재 위치한 지역 셀의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받고 있고, 515단계에서 단말기가 상기 지역 셀 영역을 벗어나서, 지상파 송신기로부터의 수신 신호가 일정 기준보다 낮아지면 단말기는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는 현재 제공받는 서비스가 위성 셀 지역 또는 다른 지상파 셀로 진입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제공가능한지 알 수가 없다. 왜냐하면 현재 제공받는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 지역 서비스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단말기는 520단계에서 PSI/SI에 포함된 NIT의 Cell_list descriptor와 Cell_frequency_link descriptor로부터 또는 스캐닝을 통하여 위성 신호 또는 다른 지상파 송신기 신호의 주파수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525단계에서 단말기는 상기 위성 신호 또는 상기 다른 지상파 송신기 신호의 품질을 검사하고, 530단계에서 단말기는 상기 위성 신호 또는 상기 다른 지상파 송신기 신호의 품질이 일정 값 이상이면, 상기 위성 신호 또는 상기 다른 지상파 송신기 신호로 서비스의 수신 경로를 변경한 후, 535단계에서 위성 또는 다른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PSI/SI를 수신한다.
540단계에서 단말기는 상기 535단계에서 새로 수신한 PSI/SI에서 NIT테이블의 서비스 리스트 디스크립터(Service list descriptor) INT 테이블의 서비스 IP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로부터 방송 서비스가 수신 가능한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545단계에서 상기 위성 또는 상기 다른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TS에 원하는 방송 서비스(핸드오버 이전에 수신하던 방송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원하는 방송 서비스가 있다면, 550단계에서 상기 위성 또는 상기 다른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해당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반면, 상기 545단계에서 원하는 서비스가 없는 경우 단말기는 555단계로 진행하여 핸드오버를 종료하거나 다른 프로시져를 수생한다. 상기 555단계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므로 간단하게 묘사하였다.
DVB-H implementation quideline(ETSI TR 102 377)에 의하면 NIT 테이블과 INT 테이블의 최소한의 전송 주기는 매 10초 혹은 매 30초가 요구된다. 이는 최악의 경우, 단말기가 핸드오버 이전에 수신하던 방송 서비스가 핸드오버한 셀에서 전송되는 TS에 존재하는지를 알기 위해 30초 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 경우, 핸드오버가 가능함으로 상기 PSI/SI의 갱신 시간 이후 서비스 지속이 가능하나, 지역 서비스인 경우, 단말기는 서비스 지속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간을 낭비하게 되고, 셀 간 이동후 이미 해당 지역서비스는 수신이 불가하게 된다. 즉, 지역서비스의 수신의 지속을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가 지역 서비스라는 정보를 셀 간이동이 이루어지기 전에 단말에게 고지되어야 한다.
상술한 도 4와 도 5의 흐름도를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4에서는 내셔널 플래그를 삽입함으로써, 단말기는 위성 또는 다른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방송 서비스 수신시에도 해당 서비스가 단말기의 핸드오버 이후에도 지속하여 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 및 이에 관련된 억세스 정보들을 미리 알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는 핸드오버 시에 요구되는 시간 및 단말기 파워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도 4에서는 도 5의 540단계와 같이 새로 수신한 TS에 핸드오버 이전에 제공받던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없게 되어 핸드오버 이후에도 방송 서비스를 끊김없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시나리오 1에 따른 TS를 생성하는 송신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상기 송신 시스템은 도 3a에서 참조번호 302, 306을 포함하며, 도 3b에서 참조번호 312, 3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송신 시스템은 DVB-SH 시스템에서 PSI/SI 생성시 전국 서비스임을 알리는 내셔널 플래그를 삽입하는 동작을 추가한다.
즉, 610단계에서 송신 시스템은 단말기들로 제공되는 각각의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 지역 서비스인지를 검사하고, 그 검사결과 전국 서비스라면 615단계에서 각 전국 서비스에 대하여 NIT 혹은 SDT 혹은 INT에 내셔널 플래그를 소정 값으로 설정하여 삽입하거나 NIT 테이블에 글로벌 디스크립터(Global Descriptor)를 삽입한다. 그리고 620단계에서 송신 시스템은 각 송신기에 해당하는 그외 PSI/SI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데, 각각의 송신기에 해당하는 PSI/SI는 동일하지 않다. 그리고, 625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내셔널 플래그 또는 글로벌 디스크립터가 삽입된 PSI/SI를 포함하는 TS를 전송한다.
시나리오 2 : 시나리오 2는 단말이 위성 셀의 영역으로 진입할 때 PSI/SI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들을 각 시나리오에 적용가능하다.
위성으로 전송되는 TS와 지상으로 전송되는 TS가 동일한 PSI/SI를 갖는다. 따라서 지역 서비스와 전국 서비스가 같이 포함된 공통 TS에서 지역 서비스가 제거되는 시점에서 새로운 TS_id를 부여받지 않는 한, 지역 서비스들은 위성에서 제공되지 않더라도, INT와 NIT 테이블은 TS 내의 모든 서비스들의 리스트와 관련된 정보들을 갖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역시 각각의 서비스 중 어느 것이 전국 서비스임을 알 수는 없으며, 이로 인해 전국 서비스 영역에서 어떤 서비스가 가용한지를 알 수 없고 단지 일부 지역 서비스 영역내에서 가용한 서비스만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위성 TS와 지상파 TS가 서로 다른 TS_id를 갖게 되는 경우에는 위성 TS와 지상파 TS에서 동일한 service_id를 갖는 서비스들을 확인하게 되더라도 service_id가 하나의 TS에서만 유니크(unique)하므로 동일한 서비스라고 인지할 수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따라 내셔널 플래그를 사용할 경우에 시나리오 2에 따른 단말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705단계에서 단말기는 현재 위치한 지역 셀의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며, 710단계에서 단말기가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 셀 영역에서 밖으로 이동할 때,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품질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715단계에서 단말기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와 같이 NIT, SDT 또는 INT 테이블에 포함된 내셔널 플래그를 검사함으로써, 현재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720단계에서 단말기는 상기 715단계의 검사결과, 현재 수신받고 있는 서비스의 내셔널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수신받고 있는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725단계에서 단말기는 PSI/SI의 Cell_list_descriptor와 Cell_frequency_link_descriptor나 또는 스케닝을 통하여 핸드오버 이후에도 연속해서 수신해야할 방송 서비스가 전송되는 경로의 주파수 정보를 획득한다. 730단계에서 단말기는 상기 725단계에서 획득한 주파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전국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또는 다른 지상파 송신기의 신호 품질을 측정한다.
735단계에서 단말기는 상기 730단계에서 측정한 신호 품질이 양호하다면, 상기 위성 또는 상기 다른 지상파 송신기로 방송 서비스의 수신 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740단계에서 전국 서비스를 계속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는 핸드오버 이후에도 방송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하기 위해 핸드오버할 셀에서 전송되는 TS의 PSI/SI에 원하는 방송 서비스 식별자가 있는지를 검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반면, 상기 720단계의 검사결과 "내셔널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현재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가 지역 서비스임으로 단말기는 745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거나 해당 서비스를 종료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내셔널 플래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시나리오 2에 따른 일반적인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805단계에서 단말기는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고, 810단계에서 단말기가 상기 지상파 송신기의 영역(Coverage)을 벗어나서, 상기 지상파 송신기로부터의 수신 신호가 일정 기준보다 낮아지면,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815단계에서 단말기는 NIT 테이블의 Cell_list_descriptor와 cell_frequency_link_descriptor 또는 스캐닝을 통해 주파수 정보를 획득한다. 820단계에서 단말기는 상기 획득한 주파수 정보를 통해 위성 또는 다른 지상파 송신기로부터의 신호 품질을 측정한다.
그리고, 825단계에서 상기 위성 또는 상기 다른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품질이 양호하다면, 단말기는 방송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할 경로를 상기 위성의 경로 또는 상기 다른 지상파 송신기의 경로로 변경한다. 830단계에서 단말기는 현재 수신된 TS의 PSI/SI에서 이전에 제공받던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가 존재하는지를 찾는다. 그러나 단말기는 현재 수신된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 지역 서비스인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하기 전에 수신하던 방송 서비스를 계속 서비스 받을수 있는지 확신할 수 없다. 그리고, PSI/SI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PSI/SI를 검사함으로써 이동전에 수신한 방송 서비스와 이동후에 수신한 방송 서비스가 지역 서비스인지 전국 서비스인지도 알 수 없다. 835단계에서 단말기는 이동 후 수신한 TS에 수신하길 원하는 방송 서비스가 존재한다면, 840단계에서 위성 또는 다른 지상파 송신기로부터 상기 원하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한다. 반면, 상기 수신하길 원하는 방송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845단계에서 단말기는 다른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거나, 이동전에 수신한 방송 서비스를 종료한다. 이러한 경우, 수신 서비스가 지역 서비스인 경우, 이미 셀 간 이동후 에는 해당 서비스는 수신이 중단된다. 따라서, 수신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셀 간 이동 전에 해당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시나리오 2에 따른 TS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 시스템에서의 흐름도이다.
905단계에서 송신 시스템은 단말기들로 제공되는 각각의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 지역 서비스인지를 검사하고, 그 검사결과에 따라 910단계에서 각 방송 서비스에 대하여 NIT 혹은 SDT 혹은 INT에 내셔널 플래그를 소정 값으로 설정하여 삽입한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라면 상기 내셔널 플래그를 "1"로 설정하여 전송하고, 지역 서비스라면 상기 내셔널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915단계에서 송신 시스템은 각 송신기에 해당하는 그외 PSI/SI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고, 각 송신기마다 동일한 TS에 대해 동일한 PSI/SI 정보를 할당하고, 920단계에서 상기 TS를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송신 시스템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 10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IP 서비스는 단말기로 전송될 방송 서비스 데이터들을 의미하고, IP 서비스 저장부(1010)에 저장된다. 내셔널 플래그 생성기(1020)는 상기 IP 서비스 저장부(1010)에 저장된 IP 서비스로부터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인지 또는 지역 서비스인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근거로 내셔널 플래그의 값을 결정하여 PSI/SI 저장부(1030)에 저장된 PSI/SI에 삽입한다.
PSI/SI 저장부(1030)는 상기 내셔널 플래그 값과 이와 다른 정보들을 포함하는 PSI/SI를 저장한다. 그리고, 다중화기(1040)는 상기 IP 서비스 저장부(1010)와 PSI/SI 저장부(1030)로부터 읽은 방송 서비스 데이터와 PSI/SI를 다중화하고, 변조기 및 전송기(1050)가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부호화하고 변조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기 내셔널 플래그 생성기(10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내셔널 플래그를 PSI/SI의 NIT 또는 SDT 또는 INT에 삽입하거나 또는 NIT 테이블에 글로벌 디스크립터을 삽입하여 전송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내셔널 플래그 생성기(1020)는 상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지역에 따라 내셔널 플래그를 미리 약속된 값으로 설정하여 PSI/SI에 삽입한다. 즉, 내셔널 플래그 생성기(1020)는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상기 내셔널 플래그를 미리 약속된 소정 값으로 설정하여 PSI/SI 저장부(1030)에 저장된 PSI/SI에 삽입한다.
반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SI/SI 생성기가 내셔널 플래그 생성기(1020)로부터 출력된 내셔널 플래그와 PSI/SI를 조합하여 다중화기(1040)로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중화기(1040)와 변조기 및 전송기(1050)를 송신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IP 서비스는 도시되지 않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로부터 제공되며, 상기 다중화기(1040)는 방송 서비스 데이터, 내셔널 플래그, PSI/SI를 다중화하며, 서비스 및 네트워크 중계기(302, 312)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다중화된 방송 서비스, 내셔널 플래그, PSI/SI는 변조기 및 전송기(1050)에서 변조되어 전송되며, 상기 변조기 및 전송기(1050)는 방송 분배 네트워크(306, 313) DVB-SH 방송 중계기(304, 314)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조기 및 수신기(1110)는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인 방송 서비스 데이터와 방송 서비스 정보를 복조 및 복호한다. 역다중화기(1115)는 복호된 신호를 역다중화한 후, 방송 서비스 데이터인 IP 서비스와 단말기가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정보인 PSI/SI로 분리하여 IP 서비스 저장부(1130)와 PSI/SI 저장부(1120)에 각각 저장한다. 그리고 내셔널 플래그 검사기(1125)는 상기 수신된 PSI/SI로부터 내셔널 플래그 또는 글로벌 디스크립터를 검사한다. 상기 내셔널 플래그 검사기(1125)는 수신된 TS에 포함된 PSI/SI의 NIT 또는 SDT 또는 INT에 내셔널 플래그가 어떤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또는 NIT 테이블에 글로벌 디스크립터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사함으로써, 수신된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영역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된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또는 지역 서비스 용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셔널 플래그 검사기(1125)는 상기 내셔널 플래그가 미리 약속된 값들 중 어떤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에 따라 해당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 알게되며, 이와 같이 알게된 정보를 제어부(1140)로 제공한다.
그리고, 내셔널 플래그 검사기(1125)는 상기 내셔널 플래그 또는 글로벌 디스크립터로부터 수신하는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임을 알게 되는 경우, 이를 제어부(1140)로 알리게 되고, 상기 제어부(1140)는 이 정보를 복조부 및 수신기(1110)로 알려서 새로운 셀에서도 핸드오버 이전 셀에서 제공받던 방송 서비스와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파라미터등을 조절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1140)는 복조기 및 수신기(1110)가 수신한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세기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낮다면, 다른 셀로 핸드오버 할 것을 결정하며 이러한 과정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140)는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에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수신중인 전송 스트림의 PSI/SI에 포함된 내셔널 플래그가 전국 서비스를 지시하는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제어부(1140)는 핸드오버 전에 수신 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인 경우, 핸드오버 이후에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TS을 수신하고, 핸드오버 이후에 수신된 TS에서 상기 핸드오버 전에 수신 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복조하게 복조기 및 수신기(1110)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에는 상기 복조부 및 수신기(1110)를 수신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11에는 제어기(1140)와 내셔널 플래그 검사기(1125)를 분리하여 도시하였지만, 참조번호 1150과 같이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내셔널 플래그 검사기(1125)가 제어기(1140)에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DVB-SH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DVB-SH 시스템에서 서버에서 전국 서비스와 지역 서비스가 포함된 TS를 만들어 각각 지상파와 위성 송신기로 전송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DVB-SH-A 시스템의 아키텍쳐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DVB-SH-B 시스템의 아키텍쳐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내셔널 플래그를 사용할 경우에 시나리오 1에 따른 단말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내셔널 플래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시나리오 1에 따른 일반적인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시나리오 1에 따른 TS를 생성하는 송신 시스템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따라 내셔널 플래그를 사용할 경우에 시나리오 2에 따른 단말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내셔널 플래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시나리오 2에 따른 일반적인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시나리오 2에 따른 TS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 시스템에서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핸드오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29)

  1.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제공되는 범위를 나타내는 서비스 영역(area)을 알리는 플래그를 각 방송 서비스마다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플래그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정보와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 PSI/SI)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PSI/SI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PSI/SI의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PSI/SI의 INT(IP(Internet Protocol)/MAC(Media Access Control) Notification Table)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6. 방송 서비스를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의 형식으로 제공하며, 상기 TS의 방송 서비스 정보는 각 방송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TS 내에 포함되는 모든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지역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TS에 포함되는 상기 모든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지역에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TS의 방송 서비스 정보에 포함하여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와 함께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 PSI/SI)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상기 PSI/SI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삽입되는 글로벌 디스크립터(Global descriptor)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9.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단말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에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수신중인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인지를 지시하는 플래그가 방송 서비스 정보에 설정되어있는지를 검사하고 핸드오버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전 수신 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 경우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에서 상기 핸드오버 전에 수신 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복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가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임을 지시하지 않는다면,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수신된 전송 스트림의 방송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전에 수신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전에 수신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에서 상기 핸드오버 전에 수신 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복조하 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ivce Information : PSI/SI)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PSI/SI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PSI/SI의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PSI/SI의 INT(IP(Internet Protocol)/MAC(Media Access Control) Notification Table) 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방법.
  15. 방송 서비스를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형식으로 제공하며, 상기 TS의 방송 서비스 정보는 각 방송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에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수신중인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모든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지역에 제공되는 서비스인지를 지시하는 정보가 설정되어있는지를 검사하고 핸드오버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전 수신 중이던 전송 스트림의 모든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 경우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에서 상기 핸드오버 전에 수신 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 를 복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 PSI/SI)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상기 PSI/SI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삽입되는 글로벌 디스크립터(Global descriptor)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방법.
  18.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로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될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제공되는 서비스 지역(area)를 알리는 플래그를 각 방송 서비스마다 설정하는 플래그 생성기와,
    상기 플래그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정보와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 PSI/SI)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PSI/SI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장치.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 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PSI/SI의 SDT(Service Descriptiron Table)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장치.
  22.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방송 서비스 정보(PSI/SI)의 INT(IP(Internet Protocol)/MAC(Media Access Control) Notification Table)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신 장치.
  23.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생성기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모든 방송 서비스들이 전국 서비스일 경우, 상기 TS에 포함되는 모든 방송 서비스들이 전국 서비스임을 지시하는 글로벌 디스크립터를 상기 PSI/SI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송신 장치.
  24.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 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를 수신하여 상기 TS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 데이터와 방송 서비스 정보를 복조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조된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방송 서비스 정보와 사용자에게 제공될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역다중화기와,
    상기 역다중화되어 출력된 방송 서비스 정보에 상기 수신된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인지를 지시하는 플래그가 삽입되었는지를 검사하는 플래그 검사기와,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플래그가 삽입되어 있다면,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수신한 TS에 상기 핸드오버 이전에 수신 중이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복조하게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그 검사기의 검사결과, 상기 수신된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가 아니라면,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수신한 TS의 방송 서비스 정보에 상기 핸드오버 이전에 수신하던 방송 서비스 데이터와 동일한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장치.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 PSI/SI)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장치.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PSI/SI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장치.
  28.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PSI/SI의 SDT(Service Descriptiron Table)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 신 장치.
  29.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플래그는 상기 TS에 포함되는 각 방송 서비스가 전국 서비스용인지 지역 서비스용인지에 따라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PSI/SI의 INT(IP(Internet Protocol)/MAC(Media Access Control) Notification Table)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수신 장치.
KR1020080035166A 2007-04-16 2008-04-16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및 장치 KR200800933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7170 2007-04-16
KR1020070037170 2007-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391A true KR20080093391A (ko) 2008-10-21

Family

ID=3986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166A KR20080093391A (ko) 2007-04-16 2008-04-16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63614A1 (ko)
EP (1) EP2135447A1 (ko)
KR (1) KR20080093391A (ko)
CN (1) CN101658030A (ko)
WO (1) WO2008127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9934A1 (en) 2008-12-26 2010-07-01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user position via wireless signal characteristics
CN104836976B (zh) * 2014-02-10 2018-05-04 上海数字电视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在广播发射装置和本地发射装置间协调广播的方法及系统
WO2018052744A2 (en) * 2016-09-13 2018-03-22 Qualcomm Incorporated Neighbor cell list
WO2018109535A1 (en) * 2016-12-16 2018-06-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availability for dth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 using iptv signal source as fall back mechanism for delivery
JP7347007B2 (ja) * 2019-08-28 2023-09-2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678296B1 (en) * 2021-06-22 2023-06-13 Synapse Wireles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nodes of a wireless network in response to sensed ev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7914B2 (en) * 2002-12-23 2005-12-20 Nokia Corporation Broadcast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KR100810320B1 (ko) * 2005-06-16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재생기가 방송 중에 제공되는 전화번호를이용하여 발신하는 방법 및 그 디지털 방송 시스템
KR100698277B1 (ko) * 2005-07-15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신호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8030A (zh) 2010-02-24
EP2135447A1 (en) 2009-12-23
WO2008127071A1 (en) 2008-10-23
US20080263614A1 (en)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598B1 (ko) 전송 파라미터 정보
US7626960B2 (en) Use of signaling for auto-configuration of modulators and repeaters
US8155115B2 (en) Method, system and network entity for indicating hierarchical mode for transport streams carried in broadband transmission
US7486640B2 (en) Signaling mechanism for handover in digital broadcasting
US20070002723A1 (en) Signaling network ID in TPS bits
KR20080093391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및 장치
KR20170102563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5130460A (ja) 地域特化付加情報放送のための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及びその放送サービス方法
KR100636216B1 (ko)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송 수신 장치
JP200923211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Vare et al. Soft handover in terrestrial broadcast networks
JP2002057998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EP1116347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th broadcasting transmitter
JP2001103384A (ja) テレビジョン信号伝送方式及び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US9294208B2 (en) Method and system to signal network information in TPS bits
KR100790194B1 (ko) Ip/mac 플랫폼의 재배열 알림 방법 및 그 dvb시스템
JP2010114720A (ja)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
KR20080043038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JP4595241B2 (ja) 放送システム、放送装置、受信装置
KR20130003299A (ko) 자율 지역관리 방식의 디지털 방송 이동수신에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의 방송국명 정보를 이용한 채널스캔 핸드오버 방법
KR20080100062A (ko) 지역별 dmb 채널로 자동 변환하는 dmb 채널 자동변환 시스템 및 그 dmb 채널 자동 변환 방법
KR20080044748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JP200803493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2057643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