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563A -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563A
KR20170102563A KR1020177023265A KR20177023265A KR20170102563A KR 20170102563 A KR20170102563 A KR 20170102563A KR 1020177023265 A KR1020177023265 A KR 1020177023265A KR 20177023265 A KR20177023265 A KR 20177023265A KR 20170102563 A KR20170102563 A KR 20170102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rotocol
information
signaling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377B1 (ko
Inventor
배재현
박경모
소영완
양현구
황성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703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28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2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인터넷 TV (television)가 향후 폭넓게 사용될 전망이다. 당장 유무선 인터넷을 통한 AV (Audio Video) 신호의 전달이 기존 방송을 대체할 수는 없으나, 미래의 방송 서비스는 방송망과 인터넷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서비스 형태로 발전해 나갈 것이다. 또한, 스튜디오 간 콘텐츠 전달이나 2차 분배망으로의 콘텐츠 전달에 전용망을 사용하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IP (internet protocol) 망을 통해 콘텐츠를 전달함으로써, 별도의 전용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고, 특화된 인터페이스로 인한 고가의 장비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추세가 강해지고 있다.
현재의 디지털 방송은 스테레오 3D 비디오 방송, UHD (Ultra High Definition) 방송, 다시점 3D 비디오 방송, 홀로그램 방송 등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각 단계로 나아갈 때마다 보다 많은 전송량을 필요로 하게 되어, 현재의 MPEG-2 TS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Transport Stream)는 점차 비효율적이 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예를 들어, UHD 방송의 경우 기존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에 비해 4배(4K급) 또는 16배(8K급)의 해상도를 갖게 될 것이므로 고효율 압축 방식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6 MHz TV 프로그램을 하나의 채널로 전송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188 바이트의 고정길이 패킷을 갖는 MPEG-2 TS는 고전송률을 지원하기에 비효율적이다. 또한, 방송망을 제외한 다른 모든 망이 IP 망으로 바뀌는 환경에서 MPEG-2 TS는 IP와 상호 변환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당장은 아니더라도 UHD 방송을 상용화하게 될 시점에서는 IP 친화적이고 MPEG-2 TS에 비해 더 효율적인 새로운 AV 전달 포맷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IP 방송망 서비스에서 서비스 컴포넌트(service component) 별로 정의되어 있는 프로토콜 정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IP 방송망(100)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에서는 각각의 서비스 별로 프로토콜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으며, 해당 내용은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혹은 EPG (Electronic Program Guide)에 기술되어 있다.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기반 기술을 예로 들면, 참조 번호 102에서와 같이 AV 스트리밍(streaming)의 경우 RTP (Real time Transport Protocol)를 사용함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 104에서와 같이 File data 서비스의 경우 FLUTE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를 사용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각 서비스 별로 구별된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방송 시스템이 기존의 단순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에서 VOD (Video On Demand)등의 비 실시간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함으로써, 서비스 종류에 구분 없이 한 가지 프로토콜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기존 기술에서 다양한 수요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DVB-H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서비스의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RTP를 사용한다. 이때, RTP를 사용하여 전송한 데이터 패킷(이하, ‘RTP 패킷’이라 칭함)은 송신측이 실제로 전송한 순서대로 수신측에 도착할지 보장하기가 어렵다. 심지어 전송된 모든 RTP 패킷들이 수신측으로 제대로 도착하는지 역시 보장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RTP의 경우, 실시간 전송 성능은 뛰어날 수 있으나 서비스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해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전송 프로토콜 및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 구조가 요구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실시간/비실시간 서비스 특성에 맞춰 각 환경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전송을 수행하는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수신 장치에게 전송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 장치가 전송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구성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방법 및 상기 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방법은;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식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식별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식별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장치는,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IP 방송망 서비스에서 서비스 컴포넌트(service component) 별로 정의되어 있는 프로토콜 정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가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동안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2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가 채널을 전환하거나, 전원을 킴에 따라 채널 선택을 수행한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측이 L2 시그널링 정보를 통해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 장치에게 전달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측이 L2 시그널링 정보를 통해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 장치에게 전달하는 동작 흐름도의 다른 예,
도 5는 ATSC 3.0에서 L2 계층 시그널링 메시지의 헤더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의 분기 정보의 최초 획득을 위해 고정된 별도의 부스트랩 포트를 사용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분기 정보의 최초 획득을 위한 특정 프로토콜을 최초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도의 일 예,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동작의 일 예,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동작의 일 예,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동작의 일 예,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동작의 일 예,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동작의 일 예,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동작의 일 예,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MMT와 ROUTE 두 개의 트랜스포트 기술이 적용된 프로토콜 스택의 일 예,
도 16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도의 일 예,
도 16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다음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콘텐츠 전송용 프로토콜 및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 등과 같이 용도 별 프로토콜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한다. 일 예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3.0와 같은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전송 (Application Transport) 프로토콜로 MMT(MPEG media transport) 프로토콜 또는 ROUTE(Real 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와 같은 복수의 전송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ROUTE 프로토콜은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중 FLUTE와 유사하게 실시간 A/V 미디어 데이터보다는 파일 형태의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전송 프로토콜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상, ATSC 3.0 기반 방송 시스템을 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 예는 ATSC 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시스템들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방송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위해서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들로 구성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측에게 전달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는 방송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과 해당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들을 획득 및 디스커버리(discovery)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의 부스트랩(bootstrap)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해당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들을 수신하며, 상기 시그널링 정보들을 기반으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식별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방송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서비스 단위 혹은 서비스 컴포넌트(component) 단위로 적합한 프로토콜을 매핑하고, 해당 서비스 혹은 서비스 컴포넌트와 매핑된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관련 정보로 구성하여 수신 장치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 장치에 전달하는 방식에 대한 다수의 실시 예들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는, 방송망 외의 수단 예를 들어, 이메일, 인터넷, USB(universal serial bus),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형태를 이용하거나,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세션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UDP/IP 패킷 헤더에 실어서 전송되거나, 링크 계층(Link layer)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방송망으로 전달되는 상위 시그널링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의 프로토콜 스택은, 설명의 편의상 도 1을 참조하면, IP 패킷(Packet)을 처리해주는 네트워크 레이어(Network Layer, 110)와, 다양한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스택(stack)으로 구성된 트랜스포트 레이어(Transport layer, 112), 각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를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 예를 들어, 각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매핑된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 각 프로토콜에 처리된 패킷을 전달받아 해당 서비스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 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스포트 레이어(112)의 프로토콜 스택의 경우, 예를 들어, MMT 및 ROUTE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15의 수신측 프로토콜 스택을 살펴보면, 수신측에서 수신한 서비스에 대한 전송 계층이 MMT 및 ROUTE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방송 물리 계층(ATSC 3.0 Physical layer)을 통해서 멀티캐스트된 UDP(User data gram protocol)/IP 패킷이MMT 또는 ROUTE 프로토콜에 매핑됨을 나타내고 있다. 송신장치로부터 MM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된 패킷은 데이터와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시그널링 정보로 식별된다. 이때, 데이터는 MM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독립적 디코딩이 가능한 최소 단위를 포함하는 MPU(Media processing Unit)의 데이터 구조를 기반으로 해당 패킷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MPU의 데이터 구조는 MFU(Media Fragment Unit)일 수 있으며, MFU는,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비디오일 경우, 상기 비디오를 구성하는 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MPU는 동일 서비스를 구성하는 각 서비스 컴퍼넌트에 대응하는 패킷들에 포함되며, 상기 비디오는 MMT 기반 기술에서 에셋(asset)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동일 에셋을 전달하는 MMT 프로토콜 패킷은 동일한 패킷 식별자가 할당된다. 따라서, 해당 패킷을 구성하는 MPU들 역시 동일 패킷 식별자가 할당된다. 또는, 데이터가 MPU 모드의 페이로드 형태로 수신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ROUTE의 경우,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로 포맷된 스트리밍 컨텐트를 방송을 통해서 전달하도록 정의된다. 이에 따라, 송신 장치로부터 ROUTE를 사용하여 전송된 패킷 역시 데이터와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시그널링 정보로 구분되며, 이때, 데이터는 해당 미디어 컨텐츠를 미리 결정된 단위로 분할한 object 단위로, 해당 패킷에 포함되여 수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object는 미디어 세그먼트(segment)로 정의되는 DASH 세그먼트 형태로 해당 패킷에 포함되어 수신되며, 시그널링 정보는 DASH MPD(Medial presentation description) 형태로 해당 패킷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DASH MPD는, 예를 들어, DASH 세그먼트들의 타임라인 등을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 장치가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를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는, 해당 방송 서비스의 제공 전에 사업자 혹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점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채널 환경의 변화,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고, 업데이트된 서비스 관련 정보 역시 해당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기 전에 전송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송신 장치는, 해당 서비스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UDP/IP 패킷 각각을 해당 서비스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에 매핑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예를 들어, 각기 다른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있는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를 식별하기 위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토콜 정보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프로토콜 지시자(Protocol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관련 정보는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의 프로토콜이 변경 가능한 경우를 지시하는 프로토콜 변경 지시자(Protocol change indicator) 및 변경된 프로토콜 지시자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서비스 정보 별로 매핑되는 IP/포트(port) 정보, 각 UDP 패킷의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송신 장치는, 해당 서비스 정보 별로 프로토콜 변경 정보를 추가로 매핑하여 상기 관련 정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신 장치는동일 서비스를 구성하는 실시간 서비스 컴포넌트들 각각에 매핑되는 IP/포트 정보, 프로토콜 지시자 및 프로토콜 변경 정보를 포함하도록 서비스 관련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프로토콜 제어 모듈(protocol control module)은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통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지시자 혹은 프로토콜 변경 지시자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정보는 다양한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프로토콜 정보의 지정 범위를 예를 들어, 서비스 단위와, 서비스 컴포넌트 단위로 구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정보의 지정 범위는 서비스 단위/서비스 컴포넌트 단위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프로토콜 정보의 지정 범위를 서비스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설명의 편의상, 서비스 레벨에서 복수개의 서비스들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프로토콜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여기서, 서비스는 해당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영화, 뉴스, 드라마, 라디오, 및 파일 등의 독립적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장치는 각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송신 장치는 각 서비스에 매핑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의 패킷을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다른 방송사가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별로 구분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일 예로, 방송사가 KBS인 경우, MM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전송하고, 방송사가 MBC인 경우 ROUT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수신측이 각 방송사를 통해서 전송되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송신 장치가 각 방송사의 방송 서비스가 어떠한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구성하여 수신측에게 전송해야 한다. 이에 따라, 송신측은 각 방송사가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에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일 예로,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일 예로, TV 화면 상에 방송 편성표를 알려주는 기능에 대응하는 EPG에 포함시켜 구성할킬 수 있다.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 IP/포트 정보에 대응하는 IP 주소, 및 상기 프로토콜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지시자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서비스 식별 정보가 KBS인 경우, '111.111.111.111'인 IP 주소 및 MMT인 프로토콜 지시자가 매핑되어 있다. 즉, KBS가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는 '111.111.111.111'인 IP 주소를 통해서 MM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측으로 전송됨을 나타낸다. 한편, 서비스 식별 정보가 MBC인 경우, '222.222.222.222'인 IP 주소 및 ROUTE인 프로토콜 지시자가 매핑되어 있다. 즉, MBS가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는 '222.222.222.222'인 IP 주소를 통해서 ROUT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측으로 전송됨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수신측이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측의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프로토콜 스택으로 IP 패킷을 전달 시, 수신된 서비스의 IP 패킷 헤더의 IP 주소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된 IP 주소가 '111.111.111.111'인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수신측의 트랜스포트 계층은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IP 주소가 매핑된 MMT 프로토콜 스택으로 상기 수신된 서비스의 IP 패킷을 전달한다. 만약, 상기 확인된 IP 주소가 ‘222,222,222,222’인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수신측의 트랜스 포트 계층은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IP 주소가 매핑된 ROUTE 프로토콜 스택으로 상기 수신된 서비스의 IP 패킷을 전달한다.
Figure pct00001
하기 <표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가 포함하는 프로토콜 정보가 각 프로토콜의 종류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지시자 형태로 나타내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프로토콜 지시자는 해당 프로토콜을 지시하는 숫자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MMT의 경우 ‘0’으로 나타내어지고, ROUTE의 경우, ‘1’로 나타내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의 경우, KBS에 매핑되는 프로토콜 지시자가 MMT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0’으로 표기될 수 있고, MBS에 매핑되는 프로토콜 지시자가 ROUTE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1’로 매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지시자가 숫자 형태로 나타내어지는 것은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프로토콜 지시자가 숫자 형태로만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프로토콜 정보의 지정 범위를 서비스 컴포넌트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동일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들 각각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가 제공하는 특정 영화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상기 영화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들 각각은 상기 영화의 국가별 자막, 오디오 및 영상 콘텐츠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장치는 동일 서비스를 구성하는 각 서비스 컴포넌트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송신 장치는, 각 서비스 컴퍼넌트에 매핑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 컴퍼넌트의 패킷을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동일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AV 스트리밍 파일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 컴포넌트가 각각 MMT와 ROUTE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동일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서비스 컴포넌트들은 IP 주소가 동일한 반면, 각각 서로 다른 포트 정보를 가진다. 이를 기반으로, 송신 장치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각 서비스 컴포넌트 식별 정보와, IP/포트 정보에 대응하는 IP 주소 및 포트 정보, 및 프로토콜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지시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하기 <표 3>과 같이 구성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는 각 서비스 식별 정보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 별 IP 주소, 포트 주소 및 프로토콜 지시자를 매핑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서비스 식별 정보가 MBC인 경우, 상기 MBC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들 각각은 AV 스트리밍 및 파일 데이터에 대응하며, 상기 서비스 컴포넌트들의 IP 주소는 '222.222.222.222'로 동일한 반면, 상기 서비스 컴퍼넌트들 각각의 포트 주소 및 프로토콜 식별자는 상이하다. 즉, AV 스트리밍의 경우, 포트 주소가 3이고, MMT인 프로토콜 지시자가 매핑되는 반면, 파일 데이터의 경우, 포트 주소가 4이고, ROUTE인 프로토콜 지시자가 매핑된다.
한편, 복수개의 서비스 컴포넌트들로 구성되는 동일 서비스에 대해, 동일 동일 서비스 컴포넌트가 지원하는 환경 및 서비스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하기 <표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동일 서비스 내의 동일 서비스 컴포넌트가 여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서비스 관련 정보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4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식별 정보 KBS에 대응하는 방송 서비스는 비디오, 오디오 및 파일 데이터 각각의 서비스 컴포넌트로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컴포넌트들 각각은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하면서, 프로토콜 지시자가 MMT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경우 및 Route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경우로 구분되어 있다. 이 경우, 수신측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주변 서비스 환경의 변화로 인해 상기 <표 4>와 같이 구성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KBS가 제공하는 해당 서비스 컴포넌트의 프로토콜을 변경하여 personal 또는 seamless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만약, 수신측에서 시청 중인 방송 서비스에 대해 Route 프로토콜로 구성된 오디오 또는 data 파일을 제공받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방송 서비스에 대해 다른 언어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송신 장치는, 상기 다른 언어에 대응하는 오디오 또는 데이터 파일을 상기 방송 서비스의 영상과 실시간 동기화하기 위해서 MMT 프로토콜로 변경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장치는 상기 방송 서비스의 프로토콜 변경 정보를 서비스 관련 정보에 포함시켜 구성하고, 구성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장치는 상기 프로토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예를 들어, EPG 정보 형태를 이용하여 수신측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좀 더 빠른 실시간 대응을 위한 L2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전달하거나, 혹은 IP 패킷 헤더(header)에 포함시켜 수신측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송신 장치는 동일 서비스에 대해 서비스되는 다른 언어로 전환된 오디오 또는 데이터 파일의 IP 패킷에 대응하는, 변경된 포트 번호를 서비스 관련 정보에 포함시켜 수신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수신측은 이전에 수신한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오디오 또는 데이터 파일의 변경된 포트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지시자를 확인함으로써, 변경된 해당 오디오 또는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식별 수 있게 한다.
하기 <표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프로토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방송사가 KBS인 경우 비디오 컴퍼넌트의 경우, 프로토콜 변경 지시자가, 프로토콜이 변경되었음을 지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컴퍼넌트의 이전 프로토콜 지시자가 ROUTE 프로토콜을 지시하는 '01'인데 반해, 변경된 프로토콜 지시자가 Protocol 4를 지시하는 '11'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KBS에서 제공하는 오디오 컴퍼넌트의 경우, 프로토콜 변경 지시자가, 프로토콜이 변경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컴퍼넌트의 이전 프로토콜 지시자와 변경된 프로토콜 지시자 모두 ‘ROUTE’ 프로토콜을 지시하는 '10'을 나타내고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EPG 등의 상위 신호를 통해 프로토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측으로 전송할 경우, EPG 전송 간격은 수 초에 불과하여, 수신측에게 제공되는 EPG에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송신 장치는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의 프로토콜 변경 정보를 L2 시그널링 정보 등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송신 장치가 실시간으로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로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수신측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의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L2 패킷의 헤더 또는 페이로드에 해당 서비스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의 프로토콜 지시자 혹은 변경된 프로토콜 지시자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해당 서비스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의 프로토콜 혹은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전용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a,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가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동안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들을 설명한다. 그리고, 도 2b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 장치가 채널을 전환하거나, 전원을 킴에 따라 채널 선택을 수행한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들을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송신 장치가 L2 시그널링 정보를 통해서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 장치에게 전달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수신 장치의 일 예로, TV의 전원이 켜진 경우, 200단계에서 초기 채널 스캔(Initial channel scan)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장치는 초기 채널 스캔을 통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202단계에서 수신 장치가 초기 채널 스캐닝을 통해서 프리엠블을 검출하고, 204단계에서 상기 획득한 서비스 관련 정보 및 검출한 프리엠블을 기반으로 PLP(Physical Layer Pipe) 디코딩을 수행한다. 그리고, 20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획득한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획득한 시그널링 정보들을 디코딩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RF(radio frequency) 채널, PLP 식별자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RF tune-in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PLP 선택을 수행하고, 206단계에서 L2 시그널링 처리(parsing)를 수행한다. L2 시그널링 처리 시 상기 수신 장치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서비스의 수신을 위해서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의 프로토콜 정보,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 등을 획득한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는 ESG, EPG, SPD 세션 정보 등에 대한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상, 수신 장치가 일 예로 TV에 대응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210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전원을 켜거나 채널 전환을 수행함으로써, 채널 선택 절차를 수행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상기 수신 장치는 초기 채널 스캔 과정을 통해서 서비스 관련 정보가 획득된 상태이며,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이미 수신되어 있는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 예를 들어, RF 채널 정보, PLP 식별자 등을 획득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212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채널 정보 등을 이용하여 RF Tune-in 을 수행한다. 그리고, 214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선택된 채널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고,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의 PLP를 선택하고, 선택한 PLP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21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정보 처리(parsing)를 수행한다. L2 시그널링 정보 처리 시, 상기 수신 장치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서비스의 수신을 위해서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의 프로토콜 정보,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 등을 획득한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는 ESG, EPG, SDP 등에 대한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 혹은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전송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방송 망 외의 OoB(Out of Band)로 전달되는 EPG 에 포함시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OoB에 대응하는, 별도의 제3의 전달 채널 즉, 이메일, USB 전달,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인터넷 채널 등을 통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EPG 데이터를 수신측 예를 들어, 방송 수신용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KBS, MBC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방송사 별로 구분되는 서비스 단위, 또는, 예를 들어, 비디오, 오디오, Generic File 등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 컴포넌트 단위의 전송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는, 방송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과는 별도인 제3의 채널을 통해서 전송됨으로써, 방송 신호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예를 들어, 전송 에러 등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이 경우, 송신 장치는 해당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기 이전에 EPG를 전송하므로, 실시간으로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반영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가 KBS 채널의 뉴스 방송의 비디오를 RTP로 전송하다가, 필요에 의해 중간에 MMT 등의 다른 대체 프로토콜로 바꾸어 상기 뉴스 방송의 비디오를 전송하는 경우,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EPG를 통해 업데이트하여 수신측에게 전송하기는 어렵다.
하기 <표6>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ESG에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로 프로토콜 지시자가 삽입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6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Channel 1' 서비스는 H.264 기반의 비디오와 오디오 각각의 서비스 컴포넌트로 구성되고, 비디오에 대응하는 서비스 컴포넌트의 rate 는 25 프레임이며, MMT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는 예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상기 오디오에 대응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는 ROUTE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가 OoB를 통해서 수신측으로 전달되는 경우 수신 장치의 동작들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의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가 OoB 또는 방송 채널을 통해서 송신되는 경우의 수신측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측이 L2 시그널링 정보를 통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 장치에게 전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는 해당 서비스의 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정보(이하, ‘시그널링 정보의 프로토콜 정보’라 칭함)와,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ESG, EPG, SDP 세션 정보 등의 전송될 수 있고, OoB를 통해서 수신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ESG, EPG, SDP 세션 정보 등에 대한 부스트랩 정보와, 예를 들어, 브로드 밴드와 같은 OoB를 통해서 수신측으로 전달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의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의 일 예로, TV의 전원을 켤 경우, 300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초기 채널 스캔을 수행한다. 상기 초기 채널 스캔 과정에서 수신 장치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302단계에서 프리앰블을 검출한다. 그리고, 30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검출된 프리엠블을 기반으로 L1 시그널링을 디코딩한다.
이후, 30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디코딩한 L1 시그널링으로부터 획득한 PLP를 선택하고, 선택한 PLP를 디코딩하고, 308단계에서 L2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한다. L2 시그널링 처리 시, 상기 수신 장치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의 위치와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전송 프로토콜의 종류 등을 획득한다. 상기 시그널링 위치는,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가 방송 채널을 통해서 수신되는 경우 예를 들어, ESG, EPG, SDP 등에 대한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가 OoB 정보를 통해서 수신되는 경우에 대한 상위단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 위치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 전송하는 IP 주소, 또는 포트 넘버 및 프로토콜 지시자 등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310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상기 획득한 시그널링 위치가 OoB인지 아니면, 방송 채널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OoB 예를 들어, 브로드밴드(broadband)를 통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가 수신될 경우, 수신 장치는 314단계로 진행한다. 31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시그널링 위치에 대응하는 부스트랩 정보 예를 들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의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처리한다. 그리고, 31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한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31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해당 서비스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지시자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지시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프로토콜 지시자를 기반으로 수신한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를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달한다.
상기 310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해당 시그널링 정보가 방송 채널을 통해서 수신될 경우, 수신 장치는 312단계로 진행한다. 312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시그널링 위치로부터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서 수신되는 경우에 대한 ESG, EPG, SDP 등에 대한 부스트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부스트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달하여 처리한다. 이 경우, 해당 시그널링 정보의 프로토콜은 MMT 또는 ROUTE 프로토콜 중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31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프로토콜 정보를 기반으로 318단계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측이 L2 시그널링 정보를 통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 장치에게 전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는 시그널링 정보의 프로토콜 정보와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ESG, EPG, SDP 세션 정보 등의 전송될 수 있고, OoB를 통해서 수신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ESG, EPG, SDP 세션 정보 등에 대한 부스트랩 정보와, 예를 들어, 브로드 밴드와 같은 OoB를 통해서 수신측으로 전달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의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400단계에서 수신 장치의 일 예로, TV의 전원을 켜거나 채널 전환을 통해서 채널 선택이 수행된 경우를 가정하자. 수신 장치의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수행되는 초기 채널 스캔을 과정을 통해서 선택된 채널에 이미 수신된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예를 들어, RF 채널 정보, PLP 식별자 등을 획득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402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채널 정보 등을 이용하여 RF Tune-in 을 수행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신한다.
이후, 40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L1 시그널링을 디코딩한다. 그리고, 40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디코딩한 L1 시그널링으로부터 획득한, 해당 서비스의 PLP를 선택하고, 선택한 PLP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40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한다. L2 시그널링 처리 시, 수신 장치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의 위치와 상기 시그널링 정보이 전송 프로토콜 종류 등을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그널링 위치는,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가 방송 채널을 통해서 수신되는 경우 예를 들어, ESG, EPG, SDP 등에 대한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해당 시그널링 정보가 OoB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대한 상위단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 위치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 전송하는 IP 주소, 또는 포트 넘버 및 프로토콜 지시자 등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41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시그널링 위치가 OoB인지, 아니면 방송 채널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OoB 일 예로, 브로드 밴드를 통해서 해당 시그널링 정보가 수신될 경우, 41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시그널링 위치에 대응하는 부스트랩 정보 일 예로, URL을 이용하여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이를 처리한다. 그리고, 41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41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해당 서비스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지시자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지시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프로토콜 지시자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를 수신한다.
상기 410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해당 시그널링 정보가 방송 채널을 통해서 수신될 경우, 412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시그널링 위치로부터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서 수신되는 경우에 대한 ESG, EPG, SDP 등에 대한 부스트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부스트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달한다. 이 경우, 해당 시그널링 정보의 프로토콜은 MMT 또는 ROUTE 프로토콜 중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416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장치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구분 정보를 획득하고, 418단계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SDP 세션 정보를 통해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장치가 서비스 관련 정보를 SDP 세션 정보를 통해서 전달하는 실시 예의 경우, 다양한 프로토콜 각각의 송신단 및 수신단 사이의 세션 체결에 사용되는 SDP 세션 정보 안에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삽입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 단위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 단위의 전송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신 장치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SDP 세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SDP 세션 정보를 통해서 서비스 별/서비스 컴포넌트 내 프로토콜 정보의 실시간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SDP 세션 정보 내에 삽입하여 송신하는 실시 예는, EPG, IP 패킷 헤더, L2 시그널링 등의 Reserved 영역에 추가적인 비트의 사용이 불가할 때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표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SDP 세션 정보에 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시킨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하기 <표 7>을 참조하면, 기존 SDP에서 정의된 Media Descriptions ("m=") 의 Protocol 필드를 통해 해당 엘리먼트가 MMT인 경우를 지시한다. SDP의 m 필드는 "m=<media> <port> <proto> <fmt> ..." 의 포맷을 기반으로 미디어의 전송 프로토콜을 지정 가능하며, 상기 포맷에 포함된 필드들 중 <proto> 필드를 통해서 미디어의 전송 프로토콜을 지정할 수 있다. 하기 <표 7>의 예에서는 SDP 세션의 Video 엘리먼트의 경우, 4002 포트를 통해 전송되며, MMT 프로토콜을 사용함을 나타낸다. 또한, attribute 속성을 나타내는 "a=" 필드를 확장하여 Proprietary하게 protocol change indicator를 추가하여 해당 전송 프로토콜의 변경 가능성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protocol change indicator를 ‘0’으로 표기하여 전송 프로토콜이 변경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SDP 세션의 Audio 엘리먼트의 경우, 4004 포트를 통해서 전송되며, RTP를 사용함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a=" 필드를 확장하여 Proprietary하게 protocol change indicator를 추가하여 해당 전송 프로토콜의 변경 가능성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protocol change indicator를 ‘1’로 표기하여 전송 프로토콜이 변경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7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송신 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UDP/IP 패킷 헤더를 통해서 수신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 장치가, IP 패킷 헤더 혹은 UDP 패킷 헤더 내에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 단위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 단위의 프로토콜 정보와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P 패킷 헤더 혹은 UDP 패킷 헤더를 통해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전송할 경우, EPG를 통해서 전송하는 실시 예와 비교하여 비교적 유연하게 실시간으로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반면, IP 패킷 내에서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의 프로토콜 변경 시, 실제 프로토콜의 변경 시점과 상기 프로토콜의 변경을 지시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의 전달 시점의 불일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P 패킷의 페이로드가 다른 상위 프로토콜로 전달됨에 따라 서비스의 재생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하기 <표8>은 일반적인 IPv4 패킷 헤더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하기 <표 8>의 헤더에서 Protocol 필드는 IP의 바로 상위 레이어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정보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Protocol 필드가 “17번”으로 지정된 경우, 해당 프로토콜이 UDP임을 의미하고, 상기 Protocol 필드가 “6번”으로 지정된 경우, 해당 프로토콜이 TCP (Transmitssion Control Protocol)임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Protocol 필드는 주어진 조건에 따라, 보다 상위 레이어에 어떤 전송 프로토콜이 사용되었는지를 지정하기 위하여 확장하여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8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 장치가 서비스 관련 정보를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장치는 별도의 전용 L2 시그널링 메시지 또는 L2 패킷의 헤더 내에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단위의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측으로 전송할 경우, 예를 들어, ESG, EPG, SDP 세션 정보, 또는 IP 헤더를 통해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교적 보다 빠르고 유연하게 수신측으로 프로토콜을 변경에 대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반면, 전체적인 전송 시그널링 비트의 오버헤드가 증가할 수 있다.
도 5는 ATSC 3.0에서 L2 계층 시그널링 메시지의 헤더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L2 패킷 헤더의 Packet Type Field(3b) 값이 '100'인 경우, 해당 L2 패킷의 페이로드가 시그널링 메시지를 포함함을 의미하며,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에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포함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앞서 설명한 <표 1> 내지 <표 5>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포함될 수 있다.
하기 <표 9>는 L2 패킷의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관련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표이다. 하기 <표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L2 패킷의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관련 정보는, 각 IP 세션을 식별하는 IP 주소와 포트 넘버, 및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지시하는 프로토콜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하기 <표10>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에 매핑되는 서비스를 전송하는 PLP들 중 하나의 PLP를 통해서 L2 시그널링을 전송할 경우, L2 패킷의 시그널링 정보가 해당 PLP의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의 실시 예이다. 이 경우, L2 시그널링이 Audio, Video와 같은 미디어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PLP와 구분된 별도의 PLP로 전송되는 경우, 논리 채널의 개수 정보 및 개별 Logical Channel ID에 맵핑되는 Transport ID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ransport ID는 논리 채널 전송에 사용된 프로토콜을 지시한다. 그리고, 주어진 논리 채널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IP 세션들의 정보 즉, 논리 채널 대 IP 세션들의 매핑 정보는 하기 <표 10>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수신 장치는 해당 논리 채널 위한 IP 세션들과, 상기 IP 세션들 각각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식별하고, 식별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Figure pct00010
하기 <표11>은 L2 패킷의 시그널링 메시지에 해당 L2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PLP의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한 경우의 실시 예이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물리계층의 L1 시그널링을 통해 PLP 별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실시 예에 따라 주어진 PLP에 포함되는 IP 세션들의 정보 즉, 해당 PLP와 IP 세션들의 매핑 정보는 하기 <표 11>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Figure pct00011
하기 <표 12>는 L2 패킷의 시그널링 메시지에 물리적인 RF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의 실시 예이다. 여기서, RF 채널은 일 예로, Center frequency = 1000MHz, 6MHz인 경우를 가정하면, 물리 계층의 L1 시그널링 통해 현재 접속하고 있는 RF 채널에 사용된 프로토콜 정보를 알려주는 것 역시 가능하다.
Figure pct00012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송신 장치가 서비스 관련 정보를 In-Band를 통해서 전달하는 상위 시그널링 정보 예를 들어, ESG, EPG, SDP 등과 같이 구성하여, 수신측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In-Band로 전달되는 상위 시그널링 정보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간에 정의된 In-band 전송 프로토콜 예를 들어, FLUTE, MMT, ROUTE, MMT, RTP 등을 통해서 전달된다. 따라서, In-Band로 전달되는 상위 시그널링 정보 역시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단위의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신 장치는 상기 상위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는 특정 서비스 또는 서비스 컴퍼넌트를 어느 프로토콜 레이어로 분기해 처리해야 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수신 동작을 할 수 없다. 이 경우, 수신 장치는 상기 상위 시그널링 정보 조차도 In-band를 통해서 수신해야 하므로, 상기 상위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의 분기(branch) 정보를 미수신한 상태에서도 수신해야 할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의 정보를 최초 획득하여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의 수신 동작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 동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 장치가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의 분기 정보 획득을 위한 별도의 부스트랩 포트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의 분기 정보의 최초 획득을 위해 고정된 별도의 부스트랩 포트를 사용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여기서, 분기 정보는 세션의 별도 전용 번호를 할당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송신측으로부터 in band를 통해서 전송된 분기 정보를 우선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미리 결정된 특정 포트 예를 들어, 포트 넘버 0을 선택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포트 넘버 0을 통해서 수신되는 패킷은 미리 약속된 특정 프로토콜 예를 들어, ‘ROUTE’ 프로토콜로 수신하기로 결정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600단계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방송 세션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상기 ROUTE 프로토콜로 수신하고, 602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수신된 패킷을 ROUTE 프로토콜 스택으로 분기한다. 그리고, 60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분기 정보를 우선적으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ROUTE나 FLUTE와 같이 ALC((Asynchronous Layerd Coding) (RFC 5775)) 규격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미리 약속된 TSI(Transport Session Identifier)나 TOI(Transport Object Identifier)를 통해 상기 분기 정보를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신된 패킷이 MMT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미리 약속된 패킷 식별자를 통해 상기 분기 정보를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606단계에서 상기 ROUTE 프로토콜 스택은 추출된 분기 정보를 상기 분기 정보 부스트랩 세션에게 전달한다. 이후, 상기 분기 정보 부스트랩 세션을 통해서 수신되는 패킷들은 상기 분기 정보를 통해서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분기된다.
또한, 상기 상위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의 분기 정보를 미수신한 상태에서도 수신해야 할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의 정보를 최초 획득하여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의 수신 동작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 동작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수신 장치는, in-band로 전송되는 분기 정보의 최초 획득을 위한 최초 프로토콜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분기 정보의 최초 획득을 위한 특정 프로토콜을 최초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분기용 정보의 최초 획득을 위한 최초 프로토콜을 일 예로, MMT 프로토콜로 설정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모든 포트를 모니터링하다가, 최초 수신되는 패킷들을 MM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702단계에서 수신된 패킷들로부터 분기 정보를 우선적으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초 프로토콜을 ROUTE나 FLUTE 프로토콜과 같이 ALC (RFC 5775) 규격을 사용하는 경우, 미리 약속된 TSI나 TOI를 통해 수신된 패킷들로부터 상기 분기 정보를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최초 프로토콜로 MMT를 사용하는 경우, 수신 장치는 미리 약속된 패킷 식별자를 통해서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상기 분기 정보를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704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이후 수신되는 패킷들 각각에 대해 상기 추출한 분기 정보를 통해서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분기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In-Band를 통해서 전달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는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 장치에게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상위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는 아이피 주소나 포트 넘버 및 사용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송신 장치는 In-Band를 통해서 전달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In-band로 송신하되, 상기 상위 시그널링 정보의 프로토콜 정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L2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장치는 상위 레이어까지 확인할 필요 없이 L2 레이어에서 상기 상위 시그널링 정보의 프로토콜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포트 별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하기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IANA에서 제안한 동적 포트(49152~65535)의 일부 범위를 특정 프로토콜을 위해 고정 할당할 수 있다.
Figure pct00013
구체적인 예로, 수신 장치는 51000 내지 52000에 대응하는 포트 넘버를 통해서 수신되는 패킷의 경우 MM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패킷의 분기 정보를 미리 약속된 패킷 식별자를 사용하여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 장치는 54000 내지 55000에 대응하는 포트 넘버를 통해서 수신되는 패킷의 경우 ROUTE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패킷의 분기 정보는 미리 약속된 TSI나 TOI를 통해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 따라 송신 장치는 포트 별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지정 시, 일 예로, 상기 <표 13>과 같이 포트 넘버와, 해당 포트 넘버에 매핑되는 프로토콜 정보를,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측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는 크게 어플리케이션 레이어(802), 트랜스포트 레이어(804), 네트워크 레이어(806), 데이터 링크 레이어(808) 및 물리 레이어(8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포트 레이어(80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의 프로토콜 정보를 분석하는 프로토콜 정보 분석부(814)와,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패킷을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분기하는 프롤토콜 제어 모듈(812)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토콜 제어 분석부(814)는 수신한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엘리멘트 미디어 (A/V/File 등)들 중 특정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프로토콜 제어 모듈(812)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토콜 정보는 예를 들어, IP/포트 정보와 해당 엘리멘트 미디어가 전송되어야 할 프로토콜의 간의 매핑 리스트 정보(A) 형태로 기술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제어 모듈(812)은 UDP/IP 스택에서 전달되는 UDP/IP 패킷의 헤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IP/Port 정보(B)와 상기 매핑 리스트 정보(A)를 비교하고, 해당 UDP/IP 패킷을 어느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달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정보 분석부(812)는 송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라 EPG, SDP 세션정보, L2 시그널링, IP 패킷의 헤더 등을 통해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정보 분석부(812)는 상기 추출한 정보를 수집/판단하여 상기 프로토콜 제어 모듈(814)에게 전달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 정보 분석부(814)는 EPG로부터 전달된 엘리먼트 미디어의 IP/Port 정보와 해당 엘리먼트 미디어가 전송되어야 할 프로토콜의 간의 매핑 리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 정보 분석부(814)는 L2 시그널링 메시지로부터 엘리먼트 미디어의 포트 넘버 및 상기 엘리먼트 미디어가 전송되어야 할 프로토콜 간의 맵핑 리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 정보 분석부(814)는 SDP 세션 정보로부터 획득한 Media Descriptions ("m=")로부터 해당 엘리먼트 미디어의 포트 정보 및 상기 엘리먼트 미디어가 전송되어야 할 프로토콜 간의 매핑 리스트 정보(ex. m=audio 49170 RTP/AVP 0)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 정보 분석부(814)는 IP 패킷 헤더의 확장 헤더 영역에 지정된 지시자로부터 해당 IP 패킷이 어느 프로토콜로 전달되어 처리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 장치가 OoB를 통해서 전달되는 EPG를 통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900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초기 채널 스캔을 통해서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초기 스캔은 수신 장치가 일 예로, OoB를 통해서 전달되는 EPG로부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초기 채널 스캔 후, 902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채널 선택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IP까지의 경로 예를 들어, RF 채널, PLP 식별자 등의 물리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해당 서비스 전송에 사용된 프로토콜 예를 들어, MMT 또는 ROUTE (EPG 정보 활용 시)를 획득한다.
이후, 90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RF tune-in하고, 906단계에서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PLP 선택을 수행한다. 그리고, 90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한다. L2 시그널링 처리 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링크 계층 패킷을 처리하여 페이로드에 포함된 L2 시그널링을 추출하고,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는,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의 전송 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프로토콜의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경된 프로토콜의 지시 정보는 일 예로,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경된 프로토콜의 지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2 시그널링 처리 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910단계에서 UDP/IP 세션을 통해서 UDP/IP 패킷을 획득한다. 그리고, 912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UDP/IP 패킷의 헤더에서 IP 포트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914단계에서 상기 초기 스캔 시 획득한 EPG에 포함된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별 프로토콜 정보를 추출한다. 이 경우,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별 프로토콜 정보는 일 예로,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IP 포트와 매핑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상기 추출한 IP 포트 정보와 상기 UDP/IP 패킷에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의 비교 전, 91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EPG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새로운 EPG가 존재하면, 91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새로운 EPG로부터 새로운 프로토콜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92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추출한 IP 포트 정보와 상기 새로운 EPG로부터 추출한 프로토콜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922단계에서 상기 <표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IP 포트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으로 상기 UDP/IP 패킷을 분기한다. 상기 916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새로운 EPG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초기 채널 스캔을 통해서 수신한 EPG로부터 획득한 프로토콜 정보와 상기 추출된 IP 포트 정보를 비교하고, 922단계에서 비교 결과에 따라 UDP/IP 패킷을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분기한다.
이후, 92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해당 패킷을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처리한 후, 926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재생한다.
도 10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 장치가 SDP 세션 정보를 통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0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초기 채널 스캔을 통해서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스캔은 수신 장치가 일 예로, OoB로 전달되는 SDP 세션 정보로부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초기 채널 스캔 후, 1002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채널 선택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IP까지의 경로 예를 들어, RF 채널, PLP 식별자 등의 물리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100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RF tune-in하고, 1006단계에서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PLP 선택을 수행한다. 그리고, 100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한다. L2 시그널링 처리 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링크 계층 패킷을 처리하여 페이로드에 포함된 L2 시그널링을 추출하고,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는,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의 전송 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프로토콜의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경된 프로토콜의 지시 정보는 일 예로,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경된 프로토콜의 지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SDP 세션의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2 시그널링 처리 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1010단계에서 UDP/IP 세션을 통해서 UDP/IP 패킷을 획득한다. 그리고, 1012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UDP/IP 세션을 획득하고,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UDP/IP 패킷의 헤더에서 IP 포트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101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초기 스캔 시 획득한 SDP 세션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별 프로토콜 정보를 추출한다. 이 경우,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별 프로토콜 정보는 일 예로,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IP 포트와 매핑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상기 추출한 IP 포트 정보와 상기 UDP/IP 패킷에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의 비교 전, 101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SDP 세션 정보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새로운 SDP 세션 정보가 존재하면, 101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새로운 SDP 세션 정보로부터 새로운 프로토콜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102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추출한 IP 포트 정보와 상기 새로운 EPG로부터 추출한 프로토콜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1022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표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추출한 IP 포트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으로 UDP/IP 패킷을 분기한다. 상기 1016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새로운 SDP 세션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초기 채널 스캔을 통해서 수신한 SDP 세션 정보로부터 획득한 프로토콜 정보와 상기 추출된 IP 포트 정보를 비교하고, 1022단계에서 비교 결과에 따라 UDP/IP 패킷을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분기한다.
이후, 102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해당 패킷을 프로토콜로 처리한 후, 1026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재생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 장치가 UDP/IP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0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초기 채널 스캔을 수행한 후, 1102단계에서 채널 선택을 수행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x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 장치는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IP까지의 경로 예를 들어, RF 채널, PLP 식별자 등의 물리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110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RF tune-in을 수행하고, 1106단계에서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PLP 선택을 수행한다. 그리고, 110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한다. L2 시그널링 처리 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링크 계층 패킷을 처리하여 페이로드에 포함된 L2 시그널링을 추출하고, 그리고, 111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UDP/IP 패킷을 획득한다. 그리고, 1112단계에서 해당 UDP/IP 패킷의 헤더를 통해서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IP 포트 정보를 추출하고, 1114단계에서 초기 스캔 시 UDP/IP 패킷의 헤더로부터 획득한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를 추출한다. 이 경우,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별 프로토콜 정보는 일 예로,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IP 포트와 매핑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111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추출한 IP 포트 정보와 프로토콜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1118단계에서 상기 <표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IP 포트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으로 상기 UDP/IP 패킷을 분기한다. 이후, 112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해당 패킷을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처리한 후, 1122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재생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실시 예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가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측에게 전달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1200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초기 채널 스캔을 통해서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1202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채널 선택을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IP까지의 경로 예를 들어, RF 채널, PLP 식별자등의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120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RF tune-in을 수행하고, 1206단계에서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PLP 선택을 수행한다. 그리고, 120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L2 시그널링 처리 시, 링크 계층 패킷을 처리하여 페이로드에 포함된 L2 시그널링을 추출하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수신 장치는 해당 IP 패킷의 헤더를 통해서 IP 패킷을 추출하고, 1210단계에서 상기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 및 프로토콜 정보,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1212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UDP/IP 패킷을 획득하고, 1214단계에서 상기 획득한 UDP/IP 패킷의 헤더로부터 IP 포트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121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UDP/IP 패킷의 헤더로부터 추출한 IP 포트 정보와, 상기 L2 시그널링으로부터 추출한 프로토콜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1218단계에서 상기 <표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IP 포트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으로 상기 UDP/IP 패킷을 분기한다. 이후, 122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해당 패킷을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처리한 후, 1222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재생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 장치가 In-Band로 전달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한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In-Band로 전달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는 일 예로, ESG, EPG, SDP 세션 정보 등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는 해당 서비스의 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의 위치와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전송 프로토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의 위치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포트 넘버 및 프로토콜 지시자의 매핑 정보 형태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기 매핑 정보는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측으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1300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초기 채널 스캔을 통해서 In-Band로 전달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1302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채널 선택을 수행하여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IP까지의 경로 예를 들어, RF 채널, PLP 식별자 등의 물리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130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RF tune-in하고, 1306단계에서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PLP 선택을 수행한다. 그리고, 130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한다. L2 시그널링 처리 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링크 계층 패킷을 처리하여 페이로드에 포함된 L2 시그널링을 추출하고,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상위 단의 프로토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위단의 프로토콜 정보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가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획득할 경우 사용된다. 그리고, 131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UDP/IP 패킷을 획득한다.
도 13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는, In-Band를 통해서 수신됨에 따라 예를 들어,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포트 넘버 또는 프르토콜로 처음 UDP/IP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획득한 UDP/IP 패킷들 중 1312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미리 설정된 IP 포트 넘버로 수신되는 UDP/IP 패킷을 필터링한다. 그리고, 131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필터링된 UDP/IP 패킷에 대해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으로 분기한다. 그리고, 1316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131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UDP/IP 패킷의 헤더로부터 IP 포트 정보를 추출한다. 132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추출한 IP 포트 정보와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로부터 획득한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1322단계에서 상기 <표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IP 포트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으로 상기 UDP/IP 패킷을 분기한다. 이후, 132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해당 패킷을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처리한 후, 1326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재생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실시 예는 특정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IP 포트의 범위를 고정하여 사용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특정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포트의 범위 정보를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측으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1400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초기 채널을 수행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1402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채널 선택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IP까지의 경로 예를 들어, RF 채널, PLP 식별자 등의 물리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1404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RF tune-in하고, 1406단계에서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PLP 선택을 수행한다. 그리고, 140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한다. L2 시그널링 처리 시, 1410단계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링크 계층 패킷을 처리하여 페이로드에 포함된 L2 시그널링을 추출하고,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서비스 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상위 단의 프로토콜 정보 등을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서비스의 전송 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프로토콜의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경된 프로토콜의 지시 정보는 일 예로,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경된 프로토콜의 지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141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UDP/IP 패킷을 획득한다. 도 14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토콜 정보 및 <표 14>에 예시한 바와 같은, 포트 범위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로 구성된 프로토콜 매핑 테이블(프로토콜 별 포트 넘버가 매핑됨)을 수신한 상태임을 가정하자.
이후, 1412단계 내지 1416단계 각각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한 프로토콜 정보 및 상기 프로토콜 맵핑 테이블을 사용하여 해당 포트를 통해서 수신되는 UDP/IP 패킷들을 미리 결정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으로 분기한다. 그리고, 1418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해당 패킷을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처리한 후, 1420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재생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MMT와 ROUTE 두 개의 트랜스포트 기술이 적용된 프로토콜 스택의 일 예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L2 레이어는 UDP/ IP 레이어와와 ATSC3.0 물리 레이어 사이에 존재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은,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 별 프토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앞서 설명한 표들 중 하나의 형태로 구성하여 수신측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수신측은 도 9 내지 도 14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 또는 상기 실시 예들의 조합에 따라 해당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이후 수신되는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각 UDP/IP 패킷의 프로토콜을 식별한다. 그리고, 식별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으로 분기하여, 해당 패킷의 해당 프로토콜에서 처리되어 서비스된다. 도 15의 경우,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각 UDP/IP 패킷은 MMT 또는 ROUTE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신된다, 그리고, 수신된 해당 패킷은 MMT 프로토콜을 사용할 경우,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시그널링 정보와 데이터로 분류된다. 이때, 데이터는 MM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독립적 디코딩이 가능한 최소 단위를 포함하는 MPU를 기반으로 해당 패킷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가, MPU 모드의 페이로드 형태로 수신된다. 한편, 해당 패킷이 ROUTE를 사용할 경우, DASH로 포맷된 스트리밍 컨텐트를 방송을 통해서 전달하도록 정의된다. 이에 따라, 송신 장치로부터 ROUTE를 사용하여 전송된 패킷 역시 데이터와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시그널링 정보로 구분되며, 이때, 데이터는 미디어 세그먼트 정의되는 DASH 세그먼트 형태로 해당 패킷에 포함되어 수신되며, 시그널링 정보는 DASH MPD 형태로 해당 패킷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DASH MPD는, 예를 들어, DASH 세그먼트들의 타임라인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6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1600)는 일 예로, 제어부(1602), 송수신부(1604), 및 서비스 관련 생성부(160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6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6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생성부(1606)는 상기 제어부(1602)의 지시에 따라, 1600단계에서 서비스 관련 정보를 구성한다. 여기서, 서비스 관련 정보는 방송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 별 프로토콜 정보 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여 <표 1> 내지 <표 5>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수신측이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의 위치 정보와 프로토콜 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그널링 정보의 위치 정보는 수신측이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부스트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토콜 정보는 송신 시 사용되는 프로토콜 지시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토콜 정보는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IP 주소, 포트 넘버 등과 해당 프로토콜 지시자를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160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64)의 지시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1064)는 수신측으로 방송 서비스의 제공 전에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측에게 전달한다. 이때, 서비스 관련 정보의 전송 시점은, 해당 방송 서비스의 제공 전에 사업자 혹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점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160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602)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가 채널 환경의 변화,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업데이트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송신 장치는 다음 업데이트를 대기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업데이트가 요구될 경우, 16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602)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서비스 관련 생성부(1606)를 제어한다. 여기서, 업데이트된 서비스 관련 정보는 앞서 설명한 변경된 프로토콜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1606단계에서 상기 송수신부(1604)는 상기 제어부(1602)의 지시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측에게 전송한다. 이때, 상기 업데이트된 서비스 관련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라 1600단계에서 전송한 서비스 관련 정보와 다른 형태로 전송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전 서비스 관련 정보가 in-band를 통해서 ESG, EPG, SPD 세션 정보로 전송된 경우, L2 시그널링을 통해서 별도로 수신측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전 서비스 관련 정보가 OoB를 통해서 수신측에게 전달된 경우, 다른 시점에서 OoB를 통해서 상기 업데이트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측으로도 전송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실시간/비실시간 서비스 및 다양한 기기의 특성에 맞춰 각 환경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제공하고, 서로 다른 프로토콜이 가지는 장점 및 특성을 고려하여 송신측에서 해당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전송하고, 수신측에게 해당 서비스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에 대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전달함에 따라, 수신 측에서 상기 프로토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서비스 컴퍼넌트에 대응하는 효율적인 서비스 수신이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수신측에서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지시 정보와, 해당 서비스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위치 정보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는 포트 넘버와 소스 아이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는,
    해당 프로토콜을 지시하는 숫자 형태로 나타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는,
    해당 컨텐츠를 미리 결정된 길이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제1프로토콜과, 해당 컨텐츠를 상기 수신측에서 독립적으로 디코딩이 가능한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제2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지시 정보와, 해당 서비스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위치 정보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는 포트 넘버와 소스 아이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는,
    해당 프로토콜을 지시하는 숫자 형태로 나타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는,
    해당 컨텐츠를 미리 결정된 길이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제1프로토콜과, 해당 컨텐츠를 상기 수신측에서 독립적으로 디코딩이 가능한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제2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식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식별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식별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수신측에서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지시 정보와, 해당 서비스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위치 정보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는 포트 넘버와 소스 아이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는,
    해당 프로토콜을 지시하는 숫자 형태로 나타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는,
    해당 컨텐츠를 미리 결정된 길이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제1프로토콜과, 해당 컨텐츠를 상기 수신측에서 독립적으로 디코딩이 가능한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제2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6.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지시 정보와, 해당 서비스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위치 정보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는 포트 넘버와 소스 아이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는,
    해당 프로토콜을 지시하는 숫자 형태로 나타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서비스 별로 매핑된 프로토콜 정보는,
    해당 컨텐츠를 미리 결정된 길이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제1프로토콜과, 해당 컨텐츠를 상기 수신측에서 독립적으로 디코딩이 가능한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제2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KR1020177023265A 2015-01-19 2016-01-19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62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7907A KR102617287B1 (ko) 2015-01-19 2016-01-19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46 2015-01-19
KR20150008946 2015-01-19
KR20150015547 2015-01-30
KR1020150015547 2015-01-30
PCT/KR2016/000552 WO2016117908A1 (ko) 2015-01-19 2016-01-19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907A Division KR102617287B1 (ko) 2015-01-19 2016-01-19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563A true KR20170102563A (ko) 2017-09-11
KR102462377B1 KR102462377B1 (ko) 2022-11-04

Family

ID=564173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907A KR102617287B1 (ko) 2015-01-19 2016-01-19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77023265A KR102462377B1 (ko) 2015-01-19 2016-01-19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907A KR102617287B1 (ko) 2015-01-19 2016-01-19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448068B2 (ko)
EP (1) EP3249932B1 (ko)
KR (2) KR102617287B1 (ko)
CN (1) CN107211175B (ko)
CA (2) CA2974341C (ko)
MX (2) MX2017009429A (ko)
WO (1) WO20161179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698A1 (ko) * 2018-03-09 2019-09-12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100A1 (ko) 2014-12-22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A2974341C (en) * 2015-01-19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content
WO2016117904A1 (ko) * 2015-01-21 201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WO2016129904A1 (ko) * 2015-02-10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2111572B1 (ko) * 2015-02-13 2020-05-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저지연 생방송 컨텐츠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장치
US10721538B2 (en) 2015-03-08 2020-07-2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1310094B2 (en) 2015-09-08 2022-04-1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305722B2 (en) 2015-09-08 2019-05-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as amended)
WO2018182313A1 (ko) * 2017-03-29 2018-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7148258B2 (ja) * 2018-04-05 2022-10-05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連携システム、連携方法、連携プログラム
CN113543205B (zh) * 2020-04-17 2024-01-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业务提供方法、通信系统、装置及介质
CN112601042B (zh) * 2020-11-23 2022-12-09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服务器及视频通话兼容不同协议信令的方法
CN112769832A (zh) * 2021-01-12 2021-05-07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多协议兼容的数据发送、数据接收方法及装置
CN113132386B (zh) * 2021-04-20 2023-07-25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多协议兼容的引导传输发送、接收方法及装置
CN113141358B (zh) * 2021-04-20 2023-09-01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多协议兼容的服务引导发现传输接收、发送方法及装置
CN115002081B (zh) * 2022-05-30 2023-12-26 重庆紫光华山智安科技有限公司 媒体流传输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1120A (ko) * 2007-08-24 200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034849B1 (ko) * 2005-11-04 2011-05-17 노키아 코포레이션 서비스 가이드에서 서비스 타입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20140126827A (ko) * 2013-04-22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Dvb 시스템에서 mmt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19027C (en) * 2005-08-22 2014-08-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mcp extension metadata, data stream generating device, digital data broadcasting emission system and digital data broadcasting emission method thereof
KR101328929B1 (ko) * 2006-11-22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77952B1 (ko) * 2007-06-05 201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전송 방법,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100925243B1 (ko) * 2008-04-17 2009-11-0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서비스 제공 장치, 셋탑 박스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0021526A2 (en) 2008-08-22 2010-02-25 Lg Electronics Inc. A method for proc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n announced service or content in an nrt service and a broadcast receiver
CN103081530A (zh) * 2010-07-27 2013-05-01 数码士有限公司 多媒体传送系统中的跨层优化方法及其抽象层组件
KR101216392B1 (ko) * 2011-01-06 2012-12-28 주식회사 씨앤앰강남케이블티브이 오픈 플랫폼에서의 vod 시스템 및 vod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20137198A (ko) * 2011-06-11 2012-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S2972427T3 (es) 2011-10-13 2024-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ato y procedimiento de configuración de un mensaje de control en un sistema de difusión
KR101995314B1 (ko) * 2013-04-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Dvb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서 mpeg mmt를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23459B1 (ko) 2014-08-20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1853669B1 (ko) * 2014-09-25 201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EP3232668A4 (en) * 2014-12-10 2018-06-13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CA2974341C (en) * 2015-01-19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cont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849B1 (ko) * 2005-11-04 2011-05-17 노키아 코포레이션 서비스 가이드에서 서비스 타입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20090021120A (ko) * 2007-08-24 200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40126827A (ko) * 2013-04-22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Dvb 시스템에서 mmt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698A1 (ko) * 2018-03-09 2019-09-12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6580A (ko) * 2018-03-09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134313B2 (en) 2018-03-09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9932B1 (en) 2020-11-04
CN107211175B (zh) 2020-07-07
CA3161483A1 (en) 2016-07-28
MX2017009429A (es) 2017-10-12
WO2016117908A1 (ko) 2016-07-28
US10448068B2 (en) 2019-10-15
US20170347134A1 (en) 2017-11-30
KR20220151223A (ko) 2022-11-14
EP3249932A1 (en) 2017-11-29
US20210360297A1 (en) 2021-11-18
KR102617287B1 (ko) 2023-12-27
EP3249932A4 (en) 2018-01-10
US11082729B2 (en) 2021-08-03
US20200037006A1 (en) 2020-01-30
CA2974341C (en) 2022-08-23
CA2974341A1 (en) 2016-07-28
KR102462377B1 (ko) 2022-11-04
MX2020004511A (es) 2020-08-13
US11528519B2 (en) 2022-12-13
CN107211175A (zh)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377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74993B2 (e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CA291751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signal in hybrid broadcasting system
JP5111858B2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デジタルサービスの送信方法及び当該方法を実現する装置
CA292147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KR20160123942A (ko)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4508448A (ja) 放送通信融合型サービスのための送信方法及び装置
US10623691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JP2013504912A (ja) Mpeg−2ts多重化マルチメディアストリームのエレメンタリパケットの選択による、mpeg−2ts多重化マルチメディアストリームの配信
KR100703340B1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채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601057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ndering broadcast service
JP2020010199A (ja) Ip再送信装置、siサーバ、エッジルータ、受信機、ip再送信方法、および送信設備
Diniz et al. Development of MMT Analyzer for ATSC 3.0
KR20160041833A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20997A (ko) 하이브리드 방송 및 브로드밴드 환경에서의 전송 방법 및 구성
KR20190067385A (ko) 하이브리드 방송 및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