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652A -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652A
KR20080092652A KR1020070036251A KR20070036251A KR20080092652A KR 20080092652 A KR20080092652 A KR 20080092652A KR 1020070036251 A KR1020070036251 A KR 1020070036251A KR 20070036251 A KR20070036251 A KR 20070036251A KR 20080092652 A KR20080092652 A KR 20080092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air conditioning
discharge electrode
generator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7899B1 (ko
Inventor
김재호
박하영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899B1/ko
Publication of KR20080092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4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양이온을 주로 발생하는 이온 발생부와 오존을 주로 발생하는 오존 발생부를 제어하여,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효율좋게 살균 및 탈취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와,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내부통로로 송풍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증발기에 음,양이온(Ion) 또는 오존(O3)을 방출하도록 증발기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이온발생기는, 공조케이스에 설치되는 본체와; 내부통로에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방출할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이온 발생부와; 내부통로에 오존을 방출할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오존 발생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온 발생부와 오존 발생부를 제어하여 음,양이온 및 오존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증발기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효율좋게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의 실내 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IONIZ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온발생기를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를 나타내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조케이스 12: 내부통로
20: 송풍기 30: 증발기
40: 이온발생기 42: 본체
50: 이온 발생부 52: 제 1방전전극
54: 제 2방전전극 60: 오존 발생부
62: 제 3방전전극 64: 제 4방전전극
70: 제어부 72: 타이머(Timer)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양이온을 주로 발생하는 이온 발생부와, 오존을 주로 발생하는 오존 발생부를 구비하되, 이들 발생부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효율좋게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이 설치된다. 공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에는 송풍기(20)가 설치된다.
송풍기(20)는, 송풍팬(22)과, 송풍팬(22)을 구동시키는 송풍모터(24)를 구비하며, 외기 또는 내기를 흡입한 다음, 흡입된 내, 외기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로 송풍한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에 설치되는 증발기(30)를 구비한다.
증발기(30)는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다수의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통로(12)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도입시켜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증발기(30)로 도입되는 공기에 음/양이온(Ion)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40)를 구비한다.
이온발생기(40)는, 증발기(30)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2)를 구비한다.
본체(42)는 사각의 박스체로서, 공조케이스(10)의 외면에 장착되며, 전원입력부(42a)와 고전압발생부(42b) 및,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 1방전전극(44)과 제 2방전전극(45)을 구비한다.
특히, 제 1 및 제 2방전전극(44, 45)은,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된 관통구멍(14)들을 통과하여 내부통로(12)를 향해 연장되며,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2)의 공기 중에 방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과 오존(O3)을 각각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이온발생기(40)는, 음,양이온과 오존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된 음,양이온과 오존 입자가 증발기(30)의 표면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온발생기(40)는, 증발기(30)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의 수와, 악취의 정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양의 음이온과 양이온과 오존을 발생하므로, 세균과 곰팡이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악취의 발생이 매우 심할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증발기(30)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는, 증발기(30)의 표면 습도에 따라 그 수가 급격하게 증가되고, 악취의 정도가 심화된다. 예컨대, 여름철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시킬 경우, 증발기(30)의 세균과 곰팡이는 표면에 남아 있 는 습기로 인해 급속하게 증가되고, 그로 인해 매우 심한 악취가 발생된다. 따라서, 항상 일정한 양의 음이온과 양이온과 오존을 발생하는 종래의 이온발생기(40)로는, 급격하게 증가된 세균과 곰팡이 살균하고, 매우 심한 악취를 탈취하기에는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온발생기(40)의 구조를 개선하여 살균 및 탈취능력이 우수한 오존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제 1방전전극(44)과 제 2방전전극(45)의 간격을 좁혀 오존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인체에 해로운 오존이 항상 지나치게 많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량의 실내 환경이 유해하게 조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오존을 주로 발생하는 오존 발생부와, 음,양이온을 주로 발생하는 이온발생부를 구비하되, 이들 오존 및 이온 발생부들을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의 증가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작동시킴으로써, 증가된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효율좋게 살균 및 탈취처리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내부통로로 송풍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음,양이온(Ion) 또는 오존(O3)을 방출하도록 상기 증 발기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는, 상기 공조케이스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내부통로에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이온 발생부와; 상기 내부통로에 오존을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오존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내부통로를 향해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 1방전전극과 제 2방전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존 발생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내부통로를 향해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 3방전전극과 제 4방전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방전전극은 상기 제 1 및 제 2방전전극의 간격보다 좁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존 발생부는, 상기 제 1 및 제 2방전전극 중 어느 하나의 방전전극 및, 이 방전전극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 3방전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방전전극과 제 3방전전극은 상기 제 1 및 제 2방전전극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 며,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이온발생기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이온발생기(40)는, 증발기(30)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본체(42)를 구비한다. 본체(42)는, 공조케이스(10)의 외면에 설치되며, 전원입력부(42a)와 고전압발생부(42b)를 갖추고 있다.
전원입력부(42a)는, 차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에 설치된 컨트롤 스위치(Control Switch)(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컨트롤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고전압발생부(42b)에 전원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전압발생부(42b)는, 트랜스(Trans), 고압 다이오드(Diode), 콘덴서(Condens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원입력부(42a)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증폭 및 배압하여 고전압의 펄스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의 특징부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이온발생기(40)는, 고전압발생부(4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온 발생부(50)와 오존 발생부(60)를 구비한다.
이온 발생부(50)는, 본체(42)로부터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제 1방전전극(52)과 제 2방전전극(54)으로 구성되며, 이들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은 공조케이스(10)의 관통구멍(14)들을 통과하여 내부통로(12)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이온 발생부(50)의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은,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2)의 공기 중에 방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특히,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된 음이온과 양이온이 증발기(30)의 표면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이온 발생부(50)의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은, 각기 다른 형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 1방전전극(52)은 브러시(Brush) 타입이고, 제 2방전전극(54)은 니들(Needle) 타입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은, 음이온과 양이온은 발생시키되, 오존은 발생시키지 않는 간격(T)을 유지해야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의 간격(T)이, 대략 1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는 10㎜ 이하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은, 오존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오존 발생부(60)는, 이온 발생부(50)와 이격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제 3방전전극(62)과 제 4방전전극(64)으로 구성되며, 이들 제 3 및 제 4방전전극(62, 64)은 공조케이스(10)의 관통구멍(14)들을 통과하여 내부통로(12)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오존 발생부(60)의 제 3 및 제 4방전전극(62, 64)은,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2)의 공기 중에 방사함으로써, 살균 및 탈취능력이 우수한 다량의 오존을 발생시킨다. 특히, 살균 및 탈취능력이 우수한 다량의 오존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된 오존이 증발기(30)의 표면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효율좋게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오존 발생부(60)의 제 3 및 제 4방전전극(62, 64)은, 각기 다른 형 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 3방전전극(62)은 브러시(Brush) 타입이고, 제 4방전전극(64)은 니들(Needle) 타입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제 3 및 제 4방전전극(62, 64)은, 오존을 발생시키기에 알맞도록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t)을 유지해야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제 3 및 제 4방전전극(62, 64)의 간격(t)이,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의 간격(T)보다 좁게 유지되어야 하며, 대략 5∼10㎜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5㎜이하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 3 및 제 4방전전극(62, 64)은, 인체에 해로운 오존을 과도하게 발생시키고, 10㎜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 3 및 제 4방전전극(62, 64)은, 소량의 오존만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3 및 제 4방전전극(62, 64)의 간격(t)을 5∼10㎜ 범위 내에 유지시킴으로써, 인체에 해롭지 않을 정도의 오존을 다량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온발생기(40)는, 이온 발생부(50)와 오존 발생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제어부(7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거나 또는 송풍기(20)가 온(ON)되면, 이온 발생부(50)를 온(ON)시키고 오존 발생부(60)는 오프(OFF)시킨다. 그리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면, 이온 발생부(50)를 오프(OFF)시키고 오존 발생부(60)는 온(ON)시킨다.
따라서, 제어부(70)는,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거나 또는 송풍기(20)가 온(ON)된 상태에서는, 이온 발생부(50)만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오존 발생부(60)만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70)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이 온되거나 송풍기(20)가 온될 경우, 이온 발생부(50)를 작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시동이 켜지거나 송풍기(20)가 작동될 경우, 다량의 음,양이온이 발생될 수 있게 하고, 발생된 다량의 음,양이온이 증발기(30) 표면의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오존 발생부(60)를 작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시동이 꺼질 경우, 살균 및 탈취 능력이 우수한 다량의 오존이 발생될 수 있게 하고, 발생된 다량의 오존이 증발기(30) 표면의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다량의 오존이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도 증발기(30) 표면의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효율좋게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어부(70)는, 오존 발생부(60)의 작동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72)를 더 구비하고 있다.
타이머(72)는 제어부(70)에서 출력된 오존 발생부(60) 작동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소거(消去)하도록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러한 타이머(72)는, 오존 발생부(60)의 작동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소거하므로, 상기 오존 발생부(60)가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설정시간은 5분 내지 15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음,양이온을 주로 발생하는 이온 발생부(50)와, 오존을 주로 발생하는 오존 발생부(60)를 구비하되, 이들 발생부(50, 60)들의 작동시점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증발기(30)의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효율좋 게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가 증가할 시기, 예컨대, 여름철 차량의 시동이 꺼질 경우,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가 급격히 증가하는데, 이러한 증가시기에 맞춰서 살균 및 탈취능력이 우수한 오존을 대량으로 발생시킴으로써, 증가된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효율좋게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이온발생기는, 이온 발생부(50)와 오존 발생부(60)를 구비하되, 이온 발생부(50)는 본체(42)로부터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제 1방전전극(52)과 제 2방전전극(54)으로 구성되며, 오존 발생부(60)는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 중, 어느 하나의 방전전극(54)과, 이와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제 3방전전극(62)으로 구성된다.
이온 발생부(50)의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은,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2)의 공기 중에 방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이러한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은, 음,양이온을 발생시키기에 알맞은 간격(T)을 유지해야 하며, 각기 다른 형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 1방전전극(52)은 브러시 타입이고, 제 2방전전극(54)은 니들 타입으로 구성된다.
오존 발생부(60)의 제 2 및 제 3방전전극(54, 62)은,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2)의 공기 중에 방사하여 오존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제 2 및 제 3방전전극(54, 62)은, 각기 다른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제 2방전 전극(54)이 니들 타입이므로, 제 3방전전극(62)은 브러시 타입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제 2 및 제 3방전전극(54, 62)은, 오존을 발생시키기에 알맞도록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의 간격(T)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t)을 유지해야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제 2 및 제 3방전전극(54, 62)의 간격(t)이, 대략 5∼10㎜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이온발생기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온 발생부(50)와 오존 발생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70)와 타이머(72)를 구비하며, 이들 제어부(70)와 타이머(72)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갖는다.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온 발생부(50)와 오존 발생부(60)를 구비하되, 이들 발생부(50, 60)들의 각 방전전극(52, 54, 62)중 어느 하나(54)가 서로 공용으로 사용되는 구조이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내부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작비용 및 조립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의하면, 음,양이온을 주로 발생하는 이온 발생부와, 오존을 주로 발생하는 오존 발생부를 구비하되, 이들 발생부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음,양이온 및 오존의 수 를 조절함으로써 증발기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효율좋게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 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20)와, 상기 내부통로(12)로 송풍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30)와, 상기 증발기(30)에 음,양이온(Ion) 또는 오존(O3)을 방출하도록 상기 증발기(3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4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4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설치되는 본체(42)와;
    상기 내부통로(12)에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42)에 설치되는 이온 발생부(50)와;
    상기 내부통로(12)에 오존을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42)에 설치되는 오존 발생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50)는,
    상기 본체(42)로부터 상기 내부통로(12)를 향해 간격(T)을 두고 쌍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 1방전전극(52)과 제 2방전전극(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발생부(60)는,
    상기 본체(42)로부터 상기 내부통로(12)를 향해 간격(t)을 두고 쌍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 3방전전극(62)과 제 4방전전극(64)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방전전극(62, 64)의 간격(t)은 상기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의 간격(T)보다 좁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발생부(60)는,
    상기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 중 어느 하나의 방전전극(54) 및, 이 방전전극(54)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 3방전전극(62)을 포함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방전전극(54)과 제 3방전전극(62)은 상기 제 1 및 제 2방전전극(52, 54)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t)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50)와 오존 발생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70)는,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거나 또는 송풍기(20)가 온(ON)되면, 상기 이온 발생부(50)를 온(ON)시키고 상기 오존 발생부(60)는 오프(OFF)시키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면, 상기 이온 발생부(50)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오존 발생부(60)는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발생부(60)가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오프되도록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20070036251A 2007-04-13 2007-04-13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1307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251A KR101307899B1 (ko) 2007-04-13 2007-04-13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251A KR101307899B1 (ko) 2007-04-13 2007-04-13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652A true KR20080092652A (ko) 2008-10-16
KR101307899B1 KR101307899B1 (ko) 2013-09-13

Family

ID=4015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251A KR101307899B1 (ko) 2007-04-13 2007-04-13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8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776A (ko) * 2017-11-28 2019-06-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이온발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850A1 (ko) * 2017-11-28 2019-06-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73538B1 (ko) * 2017-11-28 2023-09-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2789B2 (ja) * 1996-09-05 2003-03-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4903942B2 (ja) * 2001-03-15 2012-03-28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イオン発生装置
US6991532B2 (en) 2003-12-09 2006-01-31 Valeo Climate Contro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ntamination for automotive HVAC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776A (ko) * 2017-11-28 2019-06-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이온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899B1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315B1 (ko)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JP2637693B2 (ja) 冷蔵庫の多機能付加装置
JP6100918B2 (ja) 車両用空気清浄装置
KR1017176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발생기
KR10130789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18622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오존발생기 및 그 이온,오존발생기의 제어방법
KR101297138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201500191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8884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1330105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189624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기청정장치
KR2011002330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07904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10146733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20070115037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공기청정장치
KR2011013200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034289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2047735B1 (ko) 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91915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1265523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WO2013008837A1 (ja) 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80038990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2012008409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67247A (ko) 차량공조기용 이온발생장치
KR10151747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