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538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538B1
KR102573538B1 KR1020180144149A KR20180144149A KR102573538B1 KR 102573538 B1 KR102573538 B1 KR 102573538B1 KR 1020180144149 A KR1020180144149 A KR 1020180144149A KR 20180144149 A KR20180144149 A KR 20180144149A KR 102573538 B1 KR102573538 B1 KR 10257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discharge electrode
passages
ion
neg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211A (ko
Inventor
고재우
이종민
장용욱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선도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선도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146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07850A1/ko
Priority to US16/761,934 priority patent/US11613167B2/en
Publication of KR2019006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온발생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각 통로에 다량의 음이온을 편차없이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각 통로의 해당 증발기부분에 대한 제균 및 탈취 성능을 높여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통로들을 갖춘 공조케이스와, 복수의 통로 상에 음,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이온발생기는, 공조케이스의 통로를 향해 설치되어, 해당 통로상에 음,양이온을 방출하는 복수의 방전전극들을 포함하며; 공조케이스의 격벽은, 각 통로에 설치되는 각 방전전극들이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도록, 각 통로들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온발생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각 통로에 다량의 음이온을 편차없이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각 통로의 해당 증발기부분에 대한 제균 및 탈취 성능을 높여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기술들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다. 그 일례로서, 차실내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을 독립적으로 온도제어하는 이층류(2-Layer) 온도제어기술이 있다.
이층류 온도제어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격벽(12)을 설치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상측의 제 1통로(14)와 하측의 제 2통로(16)로 구획하고, 구획된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 각각에 템프도어(20, 30)를 설치한 다음, 양쪽의 템프도어(20, 30)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제 1 및 제 2통로(14, 16)의 냉,온기의 흐름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흐름량이 조절된 제 1통로(14)의 냉,온기는 공기토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차실내의 상측부분에 공급하고, 흐름량이 조절된 제 2통로(16)의 냉,온기는 공기토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차실내의 하측부분에 공급한다. 따라서, 차실내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하며, 그 결과, 차실내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을 항상 쾌적한 상태로 냉, 난방한다.
한편, 이러한 이층류 온도제어기술의 공조장치는, 증발기(4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50)를 구비한다.
이온발생기(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본체(52)와, 본체(52)로부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이온발생부(54)를 포함한다.
이온발생부(54)는, 음이온 방전전극(56)과 양이온 방전전극(58)을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56, 58)은, 본체(52)로부터 공조케이스(10)의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를 향해 각각 연장되고, 이렇게 연장되는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56, 58)은, 고전압 펄스를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 각각에 직접 방출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따라서, 발생된 음,양이온 입자가 증발기(40)에 도입되면서 상기 증발기(40) 표면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제균 및 탈취 처리한다. 이로써, 차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인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이온발생기(50)의 음이온 방전전극(56)과 양이온 방전전극(58)이 격벽(12)을 사이에 두고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에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음이온 방전전극(56)이 배치된 제 1통로(14)측에만 제균능력이 우수한 음이온이 집중적으로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음이온 방전전극(56)이 배치되지 않은 제 2통로(16)측에는 음이온의 발생이 매우 적거나 아예 발생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제 2통로(16)측 증발기(40)부분의 제균 및 탈취 성능이 저하되어,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이온발생기(50)의 음이온 방전전극(56)과 양이온 방전전극(58)이 격벽(1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차단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음이온 방전전극(56)과 양이온 방전전극(58)에서의 음,양이온 발생량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음이온은, 음이온 방전전극(56)과 양이온 방전전극(58)에서 방출되는 고전압 펄스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대량으로 발생되는데, 종래와 같이, 음이온 방전전극(56)과 양이온 방전전극(58)이 격벽(12)에 의해 서로 차단되어, 양자의 고전압 펄스가 상호 작용할 수 없는 구조에서는 음이온의 발생량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증발기(40)부분으로 도입되는 음이온 량이 줄어들어 증발기(40)부분의 제균 및 탈취 성능이 저하되고, 그 결과,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온발생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방전전극의 위치에 관계없이 공조케이스의 제 1 및 제 2통로측 모두에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조케이스의 제 1 및 제 2통로측 모두에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부분별 편차없이 각 통로의 해당 증발기부분에 대한 제균 및 탈취 성능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온발생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격벽에 관계없이 음,양이온 방전전극 간의 전기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여, 음,양이온 방전전극에서의 음,양이온 발생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양이온 방전전극에서의 음,양이온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류측의 증발기부분에 많은 량의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증발기의 제균 및 탈취 성능을 높여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통로들을 갖춘 공조케이스와, 상기 복수의 통로 상에 음,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통로를 향해 설치되어, 해당 통로상에 음,양이온을 방출하는 복수의 방전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격벽은, 상기 각 통로에 설치되는 각 방전전극들이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각 통로들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조케이스는,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및 제 2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제 1통로와 제 2통로 중 어느 하나의 통로를 향해 연장되는 단일의 음이온 방전전극과, 나머지 다른 하나의 통로를 향해 연장되는 단일의 양이온 방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의 연통부는, 상기 제 1 및 제 2통로의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이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통로를 서로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온발생기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통로를 향해 설치되어, 해당 통로상에 음이온을 방출하는 복수의 음이온 방전전극들과;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들의 사이로부터 상기 공조케이스의 통로측을 향해 설치되어 양이온을 방출하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의 연통부는, 상기 각 통로에 설치되는 각 음이온 방전전극들이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과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통로들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는,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및 제 2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제 1 및 제 2통로를 향해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들의 사이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통로측을 향해 설치되는 단일의 양이온 방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의 연통부는, 상기 제 1 및 제 2통로의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이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과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및 제 2통로를 서로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양이온 방전전극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음이온 방전전극들을 설치한 다음, 양쪽의 음이온 방전전극들을 공조케이스의 제 1통로와 제 2통로에 각각 배치시키는 구조이므로, 제 1통로와 제 2통로 상에 음이온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통로와 제 2통로 상에 음이온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제 1통로와 제 2통로에 각각 대응되는 증발기의 해당부분을 편차없이 균일하게 제균 및 탈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의 제 1통로와 제 2통로 격벽에 연통부를 형성한 다음, 이 연통부를 통해 중앙의 양이온 방전전극과 양쪽의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들이 상호 전기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므로,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에서 발생되는 음이온 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의 해당 제 1 및 제 2통로 상에 보다 많은 량의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의 제 1 및 제 2통로 상에 많은 량의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통로의 해당 증발기부분에 많은 량의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증발기의 제균 및 탈취 성능을 높여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1실시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1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온발생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1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온발생기가 공조케이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온발생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온발생기가 공조케이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 제 1실시예 ]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이층류 온도제어구조의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이층류 온도제어구조의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격벽(12)을 설치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상측의 제 1통로(14)와 하측의 제 2통로(16)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하로 구획된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 각각에 템프도어(20, 30)를 설치하고, 설치된 양쪽의 템프도어(20, 30)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의 냉,온기의 흐름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이때, 흐름량이 조절된 제 1통로(14)의 냉,온기는 차실내의 상측부분에 공급하고, 흐름량이 조절된 제 2통로(16)의 냉,온기는 차실내의 하측부분에 공급한다. 따라서, 차실내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한다.
한편, 상측의 제 1통로(14)는 외기도입구(14a)와 연결되어 외기가 주로 도입되도록 구성되고, 하측의 제 2통로(16)는 내기도입구(14b)와 연결되어 내기가 주로도입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제 1통로(14)로 도입되는 외기 도입풍량은 제 2통로(16)로 도입되는 내기 도입풍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증발기(4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100)를 더 구비한다.
이온발생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설치되는 이온발생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전원입력부(도시하지 않음)와 고전압발생부(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있다.
이온발생부(120)는, 본체(110)로부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향해 나란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방전전극(122, 124)들을 포함한다.
특히, 복수의 방전전극(122, 124)은, 단일의 음이온 방전전극(122)과, 단일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포함하는데, 이때, 음이온 방전전극(122)은 공조케이스(10)의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 중 어느 하나의 통로를 향해 연장되고, 양이온 방전전극(124)는, 다른 하나의 통로를 향해 연장된다. 예를 들면, 음이온 방전전극(122)은 공조케이스(10)의 제 1통로(14)를 향해 연장되어 있고, 양이온 방전전극(124)은 공조케이스(10)의 제 2통로(16)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122, 124)은, 고전압 펄스를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 각각에 직접 방출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따라서, 발생된 음,양이온 입자가 증발기(40)에 도입되면서 상기 증발기(40) 표면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제균 및 탈취 처리한다. 이로써, 차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인다.
한편, 이온발생기(100)의 음이온 방전전극(122)과 양이온 방전전극(124) 사이에 대응되는 공조케이스(10)의 격벽(12)에는, 연통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부(130)는, 격벽(12)을 절취하여 형성한 것으로,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 방전전극(122)과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동일 공간 상에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10)의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를 서로 연통시킨다.
이러한 연통부(130)는, 음이온 방전전극(122)과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동일 공간 상에서 마주보며 대응되게 하므로, 음이온 방전전극(122)에서 방출된 고전압 펄스와 양이온 방전전극(124)에서 방출된 고전압 펄스 간의 전기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음,양이온 방전전극(122, 124)들에서의 음,양이온 발생량이 현저하게 증가되고, 이로써, 하류측의 증발기(40)부분에 많은 량의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증발기(40)의 제균 및 탈취 성능을 높여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음이온 방전전극(122)은, 외기의 도입풍량이 많은 제 1통로(14) 상에 배치되므로, 제 1통로(14)의 외기 도입풍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풍량의 내기를 도입되는 제 2통로(16)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음이온을 방출한다.
아래의 [표 1]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음이온 방전전극(122)이 외기측의 제 1통로(14) 상에 배치되고,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내기측의 제 2통로(16)에 배치될 경우, 음이온 방전전극(122)에서의 음이온 발생량이 "127,645"개이고, 양이온 방전전극(124)에서의 양이온 발생량이 "56,841"개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이온 방전전극(122)이 외기측의 제 1통로(14) 상에 배치되고,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내기측의 제 2통로(16)에 배치될 시에,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음이온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음이온이 양이온에 비해 "2.25"배 더 많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음이온 방전전극(122)이 내기측의 제 2통로(16) 상에 배치되고,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외기측의 제 1통로(14)에 배치될 경우, 음이온 방전전극(122)에서의 음이온 발생량이 "68,104"개이고, 양이온 방전전극(124)에서의 양이온 발생량이 "113,425"개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이온 방전전극(122)이 내기측의 제 2통로(16) 상에 배치되고,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외기측의 제 1통로(14)에 배치될 시에,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음이온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음이온이 양이온에 비해 "0.60"배 더 적게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음이온 방전전극(122)이 외기측의 제 1통로(14) 상에 배치되고,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내기측의 제 2통로(16)에 배치되는 구조가, 인체에 유해한 양이온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하고 제균능력이 우수한 음이온의 발생량은 최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구분 제 1통로(외기측)와 제 2통로(내기측)에 대한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의 배열위치
구조 음이온 방전전극 제1통로(외기측)
양이온 방전전극 제2통로(내기측)
음이온 방전전극 제2통로(내기측)
양이온 방전전극 제1통로(외기측)
이온량 음이온 양이온 비율 음이온 양이온 비율
127,645 56,841 2.25 68,104 113,425 0.60
한편, 공조케이스(10)의 격벽(12)측 연통부(130)는,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122, 124)의 외면 형상과 적어도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기로는, 공조케이스(10)의 격벽(12)측 연통부(130)가,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122, 124)의 외면 형상과 동일한 크기인 것이 좋다. 특히, 연통부(130)의 높이와 너비가,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122, 124)의 높이 및 너비와 동일한 크기인 것이 좋다.
이는, 음이온 방전전극(122)에서 방출된 고전압 펄스와, 양이온 방전전극(124) 간의 전기적인 상호작용을 허용하면서, 동시에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 상호간의 공기 누출과 믹싱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이 밖에도, 음,양이온 방전전극(122, 124)들 중, 음이온 방전전극(122)은, 이온방출 첨단부가 다수인 브러시(Brush) 타입이고, 양이온 방전전극(124)은, 이온방출 첨단부가 하나인 니들(Needle)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니들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양이온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며, 음이온 방전전극(122)은 브러시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제균능력이 우수한 음이온의 발생을 최대화시키기 위함이다.
[ 제 2실시예 ]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 2실시예의 공조장치는, 이온발생기(100)의 이온발생부(120)를 구비하되, 상기 이온발생부(120)가,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방전전극(122, 124)들을 포함한다.
특히, 복수의 방전전극(122, 124)은, 단일의 양이온 방전전극(124)과, 2개의 음이온 방전전극(122)을 포함하는데, 이때, 양이온 방전전극(124)은 중앙에 배열되고, 2개의 음이온 방전전극(122)들은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중앙에 두고 상,하 양쪽에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여기서, 2개의 음이온 방전전극(122)들은,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 상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음이온 방전전극(122)들은, 양이온 방전전극(124)에 대해 등간격(L)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방전전극(122, 124)들은, 상기 본체(110)를 공조케이스(10)의 외면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공조케이스(10)를 관통하여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길게 연장된다.
특히, 중앙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12)에 대응되는 위치를 향해 연장되고, 상측의 음이온 방전전극(122)(이하, "제 1음이온 방전전극(122a)"이라 칭함)은, 공조케이스(10) 상측의 제 1통로(14)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하측의 음이온 방전전극(122)(이하,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b)"이라 칭함)은, 공조케이스(10) 하측의 제 2통로(16)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된다.
한편, 이온발생기(100)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에 대응되는 공조케이스(10)의 격벽(12)에는,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수용될 수 있는 연통부(1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통부(130)는, 양이온 방전전극(124)의 상,하 양쪽을 제 1 및 제 2통로(14, 16)측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제 1통로(14)의 제 1음이온 방전전극(122a) 및 제 2통로(16)의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b)과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 이온발생기(100)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격벽(12)의 연통부(130)에 수용되지 않고, 제 1 및 제 2통로(14, 16) 중, 어느 한쪽을 향해 연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격벽(12)의 연통부(130)는, 양이온 방전전극(124)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양이온 방전전극(124)의 양쪽부분이 제 1통로(14)의 제 1음이온 방전전극(122a) 및 제 2통로(16)의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b)과 서로 마주보며 동일 공간 상에 노출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격벽(12)의 연통부(130)에 수용되지 않고, 제 1 및 제 2통로(14, 16) 중, 어느 한쪽을 향해 연장될 경우,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외기를 주로 도입하는 제 1통로(14)를 향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양이온 방전전극(124)에서 발생된 양이온은, 격벽(12)의 연통부(130)를 통해, 제 2통로(16)측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이온발생기(100)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격벽(12)의 연통부(130)에 수용되고,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이 양이온 방전전극(124)과 마주보도록 공조케이스(10)의 제 1 및 제 2통로(14, 16)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전기가 인가되면,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과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에서 고전압의 펄스를 방출하면서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특히, 제 1통로(14)상에 배치되는 제 1음이온 방전전극(122a)은, 격벽(12)의 연통부(130)에 수용된 양이온 방전전극(124)과 함께 제 1통로(14)상에 고전압 펄스를 방출하면서 상기 제 1통로(14)상에 다량의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 2통로(16)상에 배치되는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b)은, 격벽(12)의 연통부(130)에 수용된 양이온 방전전극(124)과 함께 제 2통로(16)상에 고전압 펄스를 방출하면서 상기 제 2통로(16)상에 다량의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생시킨다.
이로써,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상에 다량의 음,양이온을 공급한다. 특히,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 상에 다량의 음,양이온을 편차없이 고르게 공급한다.
따라서,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에 각각 대응되는 증발기(40)의 해당부분을 편차없이 균일하게 제균 및 탈취할 수 있고, 그 결과, 차실내의 공기 정화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들이, 격벽(12)의 연통부(130)를 통해 중앙의 양이온 방전전극(124)과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는 구조이므로,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들에서 방출된 고전압 펄스와 양이온 방전전극(124)에서 방출된 고전압 펄스 간의 전기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음,양이온 방전전극(124)들에서의 음,양이온 발생량이 현저하게 증가되고, 이로써, 하류측의 증발기(40)부분에 많은 량의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증발기(40)의 제균 및 탈취 성능을 높여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음이온 방전전극(122a)은, 외기의 도입풍량이 많은 제 1통로(14) 상에 배치되므로, 제 1통로(14)의 외기 도입풍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풍량의 내기를 도입하는 제 2통로(16)의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b)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음이온을 방출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이온발생기(100)의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들은,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사이에 두고 상,하 양쪽에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되, 양이온 방전전극(124)에 대해 동일한 간격(L)을 두고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들이, 양이온 방전전극(124)에 대해 등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되, 양이온 방전전극(124)에 대해 12 ∼ 17㎜ 범위의 간격(L)을 두고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앙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수용하는 공조케이스(10)의 격벽(12)측 연통부(130)는,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의 외면 형상과 적어도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기로는, 공조케이스(10)의 격벽(12)측 연통부(130)가, 양이온 방전전극(124)의 외면 형상과 동일한 크기인 것이 좋다. 특히, 연통부(130)의 높이와 너비가, 양이온 방전전극(124)의 높이 및 너비와 동일한 크기인 것이 좋다.
이는, 양이온 방전전극(124)에서 방출된 고전압 펄스와, 양쪽의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 간의 전기적인 상호작용을 허용하면서, 동시에 제 1음이온 방전전극(122a)의 제 1통로(14)와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b)의 제 2통로(16) 상호간의 공기 누출과 믹싱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이 밖에도, 음,양이온 방전전극(124)들 중, 중앙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은, 이온방출 첨단부가 하나인 니들(Needle) 타입이고, 양쪽의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들은, 이온방출 첨단부가 다수인 브러시(Brush)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니들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양이온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며,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들을 브러시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제균능력이 우수한 음이온의 발생을 최대화시키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 중앙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은, 니들 타입으로 구성하고, 양쪽의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들 중, 어느 하나는 브러시 타입으로, 다른 하나는 니들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통로(14)에 배치되는 제 1음이온 방전전극(122a)이 브러시 타입으로 구성되고, 제 2통로(16)에 배치되는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b)이 니들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제 1통로(14)에는 다량의 외기가 주로 도입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제 1통로(14)의 브러시형 제 1음이온 방전전극(122a)이 보다 많은 음이온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중앙의 양이온 방전전극(124)과 양쪽의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 모두를 니들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이온발생기(100)의 구조를 개선하여,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음이온 방전전극(122)들을 설치한 다음, 양쪽의 음이온 방전전극(122)들을 공조케이스(10)의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에 각각 배치시키는 구조이므로,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 상에 음이온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 상에 음이온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에 각각 대응되는 증발기(40)의 해당부분을 편차없이 균일하게 제균 및 탈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10)의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 격벽(12)에 연통부(130)를 형성한 다음, 이 연통부(130)를 통해 중앙의 양이온 방전전극(124)과 양쪽의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들이 상호 전기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므로,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에서 발생되는 음이온 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의 해당 제 1 및 제 2통로(14, 16) 상에 보다 많은 량의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10)의 제 1 및 제 2통로(14, 16) 상에 많은 량의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통로(14, 16)의 해당 증발기(40)부분에 많은 량의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증발기(40)의 제균 및 탈취 성능을 높여 차실내의 공기 정화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케이스(Case) 12: 격벽
14: 제 1통로 16: 제 2통로
20, 30: 템프도어(Temp. Door) 40: 증발기
100: 이온발생기 110: 본체
120: 이온발생부 122: 음이온 방전전극
122a: 제 1음이온 방전전극 122b: 제 2음이온 방전전극
124: 양이온 방전전극 130: 연통부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격벽(12)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통로(14, 16)들을 갖춘 공조케이스(10)와, 상기 복수의 통로(14, 16) 상에 음,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100)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0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통로(14, 16)를 향해 설치되어, 해당 통로(14, 16)상에 음,양이온을 방출하는 복수의 방전전극(122, 124)들을 포함하며;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격벽(12)은,
    상기 각 통로(14, 16)에 설치되는 각 방전전극(122, 124)들이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각 통로(14, 16)들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케이스(10)는,
    상기 격벽(12)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및 제 2통로(14, 16)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10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제 1통로(14)와 제 2통로(16) 중 어느 하나의 통로를 향해 연장되는 단일의 음이온 방전전극(122)과, 나머지 다른 하나의 통로를 향해 연장되는 단일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12)의 연통부(130)는,
    상기 제 1 및 제 2통로(14, 16)의 음이온 방전전극(122)과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통로(14, 16)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제 1통로(14)는, 외기를 주로 도입하며, 상기 제 2통로(16)의 상측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통로(16)는, 내기를 주로 도입하고, 상기 제 1통로(14)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이온발생기(100)의 음이온 방전전극(122)은, 외기를 주로 도입하는 상기 제 1통로(14) 상에 배치되고,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은, 내기를 주로 도입하는 상기 제 2통로(16) 상에 배치되며,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122)은, 외기의 도입풍량이 많은 제 1통로(14)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통로(14)의 외기 도입풍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풍량의 내기를 도입되는 제 2통로(16)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130)는, 그 높이와 너비가, 상기 방전전극(122, 124)의 높이 및 너비와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00)의 음이온 방전전극(122)은, 이온방출 첨단부가 다수인 브러시(Brush) 타입이고,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은, 이온방출 첨단부가 하나인 니들(Needle)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격벽(12)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통로(14, 16)들을 갖춘 공조케이스(10)와, 상기 복수의 통로(14, 16) 상에 음,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100)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0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통로(14, 16)를 향해 설치되어, 해당 통로(14, 16)상에 음,양이온을 방출하는 복수의 방전전극(122, 124)들을 포함하며;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격벽(12)은,
    상기 각 통로(14, 16)에 설치되는 각 방전전극(122, 124)들이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각 통로(14, 16)들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발생기(10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통로(14, 16)를 향해 설치되어, 해당 통로(14, 16)상에 음이온을 방출하는 복수의 음이온 방전전극(122)들과;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122)들의 사이로부터 상기 공조케이스(10)의 통로(14, 16)측을 향해 설치되어 양이온을 방출하는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12)의 연통부(130)는,
    상기 각 통로(14, 16)에 설치되는 각 음이온 방전전극(122)들이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과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통로(14, 16)들을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공조케이스(10)는,
    상기 격벽(12)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및 제 2통로(14, 16)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10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제 1 및 제 2통로(14, 16)를 향해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과;
    상기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들의 사이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통로(14, 16)측을 향해 설치되는 단일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12)의 연통부(130)는,
    상기 제 1 및 제 2통로(14, 16)의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이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과 동일 공간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및 제 2통로(14, 16)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제 1통로(14)는, 외기를 주로 도입하며, 상기 제 2통로(16)의 상측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통로(16)는, 내기를 주로 도입하고, 상기 제 1통로(14)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 1통로(14)측의 제 1음이온 방전전극(122a)은, 상기 제 1통로(14)의 외기 도입풍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풍량의 내기를 도입되는 상기 제 2통로(16)의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b)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음이온을 방출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00)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은, 상기 제 1 및 제 2통로(14, 16) 사이의 격벽(12)을 향해 설치되며,
    상기 격벽(12)의 연통부(130)는,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수용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2)의 연통부(130)는, 그 높이와 너비가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의 높이 및 너비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00)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상기 제 1 및 제 2통로(14, 16) 중, 어느 한쪽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격벽(12)의 연통부(130)는,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에서 발생된 양이온을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타측통로측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00)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이, 상기 제 1 및 제 2통로(14, 16) 중, 외기를 주로 도입하는 상기 제 1통로(14)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격벽(12)의 연통부(130)는, 상기 제 1통로(14)측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에서 발생된 양이온을 상기 제 2통로(16)측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 8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00)의 음이온 방전전극(122)들은,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 상에 설치되며,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24)에 대해 동일한 간격(L)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00)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은, 이온방출 첨단부가 하나인 니들(Needle) 타입이고,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122)들은, 이온방출 첨단부가 다수인 브러시(Brush)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00)의 양이온 방전전극(124)은, 이온방출 첨단부가 하나인 니들 타입이고, 상기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들 중, 어느 하나는 이온방출 첨단부가 다수인 브러시 타입이며, 다른 하나는 니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a, 122b)들 중, 외기가 도입되는 상기 제 1통로(14)측의 제 1음이온 방전전극(122a)이 브러시 타입이고, 내기가 도입되는 제 2통로(16)측의 제 2음이온 방전전극(122b)이 니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80144149A 2017-11-28 2018-11-21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7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4625 WO2019107850A1 (ko) 2017-11-28 2018-11-26 차량용 공조장치
US16/761,934 US11613167B2 (en) 2017-11-28 2018-11-26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497 2017-11-28
KR20170160497 2017-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211A KR20190062211A (ko) 2019-06-05
KR102573538B1 true KR102573538B1 (ko) 2023-09-01

Family

ID=6684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149A KR102573538B1 (ko) 2017-11-28 2018-11-21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13167B2 (ko)
KR (1) KR102573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90985A1 (en) * 2020-05-15 2023-06-22 Knorr-Bremse Espana Sa Positive and negative oxygen io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for rail transport
KR20220094833A (ko) * 2020-12-29 2022-07-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광촉매 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
WO2024039854A1 (en) * 2022-08-19 2024-02-22 Ecoviox International Llc Device for medical room disinf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99B1 (ko) * 2007-04-13 2013-09-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2789B2 (ja) 1996-09-05 2003-03-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903315B1 (ko) * 2006-10-31 2009-06-16 한라공조주식회사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JP4743446B2 (ja) * 2007-04-12 2011-08-10 漢拏空調株式会社 車両用空調システム
DE102008049278A1 (de) * 2008-09-26 2010-04-01 Behr Gmbh & Co. Kg Mehrzonenklimaanlage
KR101391154B1 (ko) 2010-06-24 2014-05-0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이온발생장치
KR101717612B1 (ko) 2011-01-21 2017-03-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발생기
KR101315801B1 (ko) * 2011-10-20 2013-10-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WO2015049933A1 (ja) * 2013-10-02 2015-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99B1 (ko) * 2007-04-13 2013-09-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24626A1 (en) 2020-10-15
US11613167B2 (en) 2023-03-28
KR20190062211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53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03315B1 (ko)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EP1348923B1 (en) Storage unit and refrigerator
KR20080092530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2002333265A (ja) 貯蔵庫及び冷蔵庫
KR101214771B1 (ko) 음/양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7176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발생기
KR102429330B1 (ko) 이온발생기
KR1013158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74520B1 (ko) 음/양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1495838B1 (ko)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JP2020062334A (ja) 空気清浄機
KR10091441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130789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CN110833657B (zh) 等离子体源及等离子体治疗装置
KR1015909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9107850A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690590B2 (ja) 冷蔵庫
KR101297138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20070115037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공기청정장치
KR101307904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10128884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JPH01164702A (ja) 冷蔵庫用オゾナイザ
CN113616840A (zh) 一种空气消毒机
KR2007005250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