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915A -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915A
KR20080091915A KR1020070034977A KR20070034977A KR20080091915A KR 20080091915 A KR20080091915 A KR 20080091915A KR 1020070034977 A KR1020070034977 A KR 1020070034977A KR 20070034977 A KR20070034977 A KR 20070034977A KR 20080091915 A KR20080091915 A KR 20080091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generator
evaporator
vehicle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박하영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4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1915A/ko
Publication of KR2008009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도 증발기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와,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내부통로로 송풍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증발기에 음,양이온(Ion)을 방출하여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증발기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꺼졌는지를 감지하여 시동 오프(OFF)신호를 출력하는 시동감지수단과; 송풍기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직진성을 갖는 음,양이온을 방출시켜 증발기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시동감지수단으로부터 시동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온발생기를 온(ON)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이온발생기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자동으로 온시키므로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도 이온발생기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면서 증발기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IONIZ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도 1은 일반적인 공조시스템 및 이온발생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조케이스 12: 내부통로
20: 송풍기 30: 증발기
40: 이온발생기 42: 본체
44: 고전압발생부 46: 음이온 방전전극
48: 양이온 방전전극 50: 시동감지수단
60: 제어부 70: 타이머(Timer)
80: 전원공급수단 90: 온,오프 스위치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도 증발기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이 설치된다. 공조시스템은 겨울철에는 온기를 발생시켜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여름철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시킨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에는 송풍기(20)가 설치된다. 송풍기(20)는, 송풍팬(22)과, 송풍팬(22)을 구동시키는 송풍모터(24)를 구비하며, 외기 또는 내기를 흡입한 다음, 흡입된 내, 외기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로 송풍한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에 설치되는 증발기(30)를 구비한다. 증발기(30)는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다수의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통로(12)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도입시켜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증발기(30)로 도입되는 공기에 음,양이온(Ion)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40)를 구비한다.
이온발생기(40)는, 다량의 음이온과 양이온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본체(42)를 구비한다. 본체(42)는 사각의 박스체로서,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고전압발생부(44)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온발생기(40)는, 본체(42)에 설치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 온 방전전극(48)을 구비한다.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은,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열되며, 공조케이스(10)를 통과하여 내부통로(12)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특히, 내부통로(12)의 내측을 향해 상,하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2)의 공기 중에 직접 방사하여 동일한 양의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온발생기(40)는, 고전압 펄스를 공기 중에 방사하여 음,양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된 음,양이온 입자가 내부통로(12)를 따라 흐르면서 증발기(30)로 유입될 수 있게 하며, 증발기(30)로 유입된 음,양이온 입자가 상기 증발기(30)의 표면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온발생기(40)는, 공조시스템이 작동할 경우에만 작동되는 구조이므로, 공조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증발기(30)를 살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공조시스템이 작동을 멈추고 난 후에는, 증발기(30)의 표면에 남아 있는 습기로 인해 세균과 곰팡이의 번식이 활발하고 매우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데, 이때, 이온발생기(40)도 작동을 멈추므로, 증발기(30)의 표면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 및 악취를 살균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증발기(30)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 및 악취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를 오염시킨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공조시스템의 작동여부에 관계없이 이온발생기(40)를 작동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이온발생기(40)도 동시에 작동을 멈추므로,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에는 증발기(30)를 살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공조시스템과 차량의 시동을 동시에 껐을 경우, 증발기(30)의 표면에 남아 있는 세균과 곰팡이 및 악취를 효과적으로 살균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주차된 차량을 다시 운행할 경우, 증발기(30)에서 유입된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로 인해 실내의 탑승자가 매우 심한 불쾌감을 갖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조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라도 증발기에서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 및 악취를 효율좋게 살균 처리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라도 증발기에서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효율좋게 살균 및 제거 처리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내부통로로 송풍된 공기를 냉각시 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음,양이온(Ion)을 방출하여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꺼졌는지를 감지하여 시동 오프(OFF)신호를 출력하는 시동감지수단과; 상기 송풍기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직진성을 갖는 음,양이온을 방출시켜 상기 증발기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시동감지수단으로부터 시동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이온발생기를 온(ON)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소거하도록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이온발생기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만 작동시키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이온발생기는, 본체(42)를 구비한다. 본체(42)는 사각의 박스체로서,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고전압발생부(44)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온발생기는, 본체(42)에 설치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구비한다.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은,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열되며,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특히, 내부통로(12)의 내측을 향해 상,하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2)의 공기 중에 직접 방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의 특징부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이온발생기는, 차량의 시동이 꺼졌는지를 감지하는 시동감지수단(50)을 구비한다.
시동감지수단(50)은, 차량의 시동 스위치로 구성된다. 시동 스위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시동을 끄면, 시동 오프(OFF)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시동이 꺼졌음을 감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온발생기는,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제어부(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시동감지수단(50)으로부터 시동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온발생기(40)를 온(ON)시킨다.
이러한 제어부(60)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이온발생기(40)를 온시킴으로써,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도 이온발생기(40)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면서 증발기(30)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살균 처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온발생기(40)의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에서 발생된 음, 양이온 입자들은 직진성을 가지므로, 송풍 공기의 도움 없이도 증발 기(30)로 직접 도입된다. 따라서, 송풍기(20)를 작동시키지 않고서도 증발기(30)에 서식하는 곰팡이와 세균 및 악취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은, 발생된 음, 양이온 입자들이 직진성에 의해 증발기(30)에 도입될 수 있는 거리(L) 이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제어부(60)는, 타이머(70)를 더 구비하고 있다. 타이머(70)는 제어부(6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소거(消去)하도록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러한 타이머(70)는, 이온발생기(40)를 온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소거하므로, 상기 이온발생기(40)가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설정시간은 5분 내지 15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온발생기는, 전원공급수단(80)을 구비한다.
전원공급수단(80)은,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며, 이온발생기(40)의 작동시,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원공급수단(80)의 다른 예로서, 태양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태양열전지는 태양열을 집열한 후, 이를 충전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이온발생기(40)가 작동할 경우에,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이온발생기(40)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자동으로 온시키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도 이온발생기(40)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면서 증발기(30)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도 차량의 실내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차된 차량을 다시 운행할 경우, 차량의 탑승자가 쾌적한 분위기에서 주행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은, 온,오프 스위치(90)를 더 구비한다. 온,오프 스위치(90)는, 운전석 부근, 예를 들면 센터 페시아 패널(Center Facia Panel)에 설치되며, 차량의 운전자가 조작함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제어부(60)에 입력시킨다.
한편, 제어부(60)는, 온,오프 스위치(90)에서 입력된 온 또는 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이온발생기를 온시키거나 또는 오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온,오프 스위치(90)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온발생기(40)를 독립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이온발생기(40)를 공조시스템의 작동여부에 관계없이, 또는 차량 시동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무조건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조시스템이 온되지 않을 경우나, 차량의 시동이 온되지 않을 경우 라도, 증발기(30)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연속해서 살균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이온발생기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자동으로 온시키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도 이온발생기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면서 증발기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도 증발기의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를 제거 처리하므로, 차량의 실내 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온발생기만 독립적으로 연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공조시스템의 작동 여부에 관계없이 실내의 세균, 곰팡이, 악취를 효율좋게 연속해서 살균 및 제거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20)와, 상기 내부통로(12)로 송풍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30)와, 상기 증발기(30)에 음,양이온(Ion)을 방출하여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3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4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꺼졌는지를 감지하여 시동 오프(OFF)신호를 출력하는 시동감지수단(50)과;
    상기 송풍기(20)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직진성을 갖는 음,양이온을 방출시켜 상기 증발기(30)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시동감지수단(50)으로부터 시동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이온발생기(40)를 온(ON)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소거하도록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이온발생기(40)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만 작동시키는 타이머(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이온발생기(40)가 온될 경우, 상기 이온발생기(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80)은, 태양열을 집열 및 충전하여 전원을 제공하는 태양열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40)와 증발기(30)의 거리가 음, 양이온 입자들이 직진되어 도달될 수 있는 거리(L)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온,오프 스위치(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90)에서 입력된 온 또는 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이온발생기(40)를 독립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20070034977A 2007-04-10 2007-04-10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20080091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977A KR20080091915A (ko) 2007-04-10 2007-04-10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977A KR20080091915A (ko) 2007-04-10 2007-04-10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915A true KR20080091915A (ko) 2008-10-15

Family

ID=4015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977A KR20080091915A (ko) 2007-04-10 2007-04-10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19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885A (zh) * 2012-04-18 2012-09-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风道灭菌装置及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885A (zh) * 2012-04-18 2012-09-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风道灭菌装置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897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0903315B1 (ko)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24886B1 (ko) 차량 공조시스템의 증발기용 살균장치의 제어방법
JP201405496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80091915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1297138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10130789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18622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오존발생기 및 그 이온,오존발생기의 제어방법
KR101330105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5909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89624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기청정장치
KR10128884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1249766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101265523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JP200924871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6733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151747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2004182123A (ja) イオン発生装置付き車両用空調装置
KR20210023037A (ko) 차량 공조시스템의 증발기용 살균장치
KR20070115037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공기청정장치
KR101288850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0828394B1 (ko)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053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92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53263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