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718A - 모드 휠 구비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드 휠 구비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718A
KR20080089718A KR1020070032235A KR20070032235A KR20080089718A KR 20080089718 A KR20080089718 A KR 20080089718A KR 1020070032235 A KR1020070032235 A KR 1020070032235A KR 20070032235 A KR20070032235 A KR 20070032235A KR 20080089718 A KR20080089718 A KR 20080089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wheel
key button
mode wheel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9718A/ko
Publication of KR2008008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함으로써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모드 선택이 가능한 고리형태의 모드 휠(wheel)과, 상기 모드 휠(wheel)의 내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1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특정 모드 선택 입력부와, 회전수단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모드 휠(wheel)과, 상기 특정 모드 선택 입력부에 의한 모드 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모드 휠(wheel)의 일 정점이 특정 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모드 휠(wheel), 내비게이션 키버튼, 스텝모터, 아이콘, 기어

Description

모드 휠 구비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A MODE WHEEL}
도1은 실시예1의 블록 구성도.
도2는 실시예1의 주요부의 개략적 평면도.
도3은 실시예1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실시예2의 블록 구성도.
도5는 실시예2의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
도6은 실시예2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7은 실시예2의 경로탐색부의 흐름도.
도8 및 도9는 실시예2의 작동도.
도10은 실시예3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이동통신 모듈 112:메모리부
114:오디오 처리부 116:입력부
118:표시부 120:스텝모터(step motor)
121:구동축 122:회전감지센서
124:경로탐색부 126:제어부
130:버스(bus)
140:숫자 키버튼 150:기능 키버튼
152:카메라 키버튼 151:메시지 키버튼
152:카메라 키버튼 154:삭제 키버튼
155:통화 키버튼 156:MP3 키버튼
157:기본메뉴 키버튼 158:내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
160:모드 휠(wheel) 162:지시 아이콘(icon)
170:회전판 172:연결축
180:돔 스위치
220:스텝모터(step motor) 221:구동축
260:모드 휠(wheel) 264:치형
270:회전판 274:치형
본 발명은 모드 휠(wheel)이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리형의 모드 휠(wheel) 내부 영역에 제1입력부가 구비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 또는 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단말기가 특정 모드에 진입한 경우 모드 휠(wheel)이 당해 특정 모드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 만큼 회전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단말기는 모드 휠(wheel)이 원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모드 휠(weel)의 내부에 별도의 내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을 형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단말기는 모드 휠(wheel)의 내부 영역에 키버튼을 형성할 수 없어 키버튼 형성에 공간적인 제한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동단말기는 모드 휠(wheel) 외의 입력부에 의하여 특정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모드 휠(wheel)이 회전하지 않아 사용감이 단조로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고리형의 모드 휠(wheel) 내부 영역에 별도의 입력부가 구비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모드 선택을 위한 특정 기능 키버튼 클릭시 모드 휠(wheel)이 당해 기능 키버튼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 회전함으써, 기능 키버튼 클릭에 따른 사용감이 좋은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회전함으로써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모드 선택이 가능한 고리형태의 모드 휠(wheel)과, 상기 모드 휠(wheel)의 내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1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부는 방향 선택을 위한 내비게이션(navigation) 입력부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부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접속 입력부 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휠(wheel)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특정 모드 선택 입력부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휠(wheel)의 둘레부의 일 정점이 상기 특정 모드 선택 입력부의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회전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모드 휠(wheel)의 둘레부의 일 정점이 향하는 특정 모드 선택 입력부에 대응하는 특정 모드로 진입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휠(wheel)의 둘레부의 일 정점에는 회전돌기가 돌출·형성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특정 모드 선택 입력부와, 회전수단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모드 휠(wheel)과, 상기 특정 모드 선택 입력부에 의한 모드 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모드 휠(wheel)의 일 정점이 특정 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휠(wheel)은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휠(wheel)의 일 정점이 최단 경로를 거쳐 상기 특정 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수단을 제어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스텝모터(step motor)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텝모터(step motor)에는 상기 스텝모터(step motor)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는 상기 모드 휠(wheel)의 배면이 연결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텝모터(step motor)에는 상기 스텝모터(step motor)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모드 휠(wheel)의 둘레면 하단부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휠(wheel)은 환테고리 형상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휠(wheel)의 내부 영역에는 방향 선택을 위한 내비게이션(navigation) 입력부가 구비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모드 휠(wheel)의 일 정점이 상기 특정 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기를 상기 특정 점에 대응하는 특정 모드로 진입시키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1은 실시예1의 블록 구성도를, 도2는 실시예1의 주요부의 개략적 평면도를, 도3은 실시예1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이동통신모듈(10), 메모리부(12), 오디오 처리부(14), 입력부(16), 표시부(18), 회전감지센서(22), 및 제어부(26)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는 버스(bus)(30)에 의해 연결된다.
이동통신 모듈(10)은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 장치이다.
메모리부(12)는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26)에 의해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오디오 처리부(14)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를 입출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오디오처리부(114)는 이동 단말기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을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로 출력하거나, 각종 정보나 명령을 마이크(MIC)를 통해 오디오로 입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입력부(16)는 외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장치이며, 모드 휠(wheel)(60), 숫자 키버튼(40) 및 기능 키버튼(50)을 포함한다.
표시부(18)는 제어부(2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장치이다.
회전감지센서(22)는 모드 휠(wheel)(60,도2참조)에 부착되는 마그네틱(magnetic)(66,도3참조)의 자력의 세기 및 방향을 감지하여 모드 휠(wheel)(60,도2참조)의 지시 아이콘(indicating)(62,도3참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제어부(26)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실시예1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숫자 키버튼(40), 기능 키버튼(50), 제1입력 키버튼(58) 및 모드 휠(wheel)(60)을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숫자 키버튼(40)은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도2를 참조하면 기능 키버튼(50)은 모드 휠(wheel)(60)의 둘레부에 구비된다. 기능 키버튼(50)은 메시지 키버튼(51), 카메라 키버튼(52), 삭제 키버튼(54), 통화 키버튼(55), MP3 키버튼(56), 기본메뉴 키버튼(57) 등을 포함한다. 메시지 키버튼(51)은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고, 카메라 키버튼(52)은 카메라(도면 미도시)를 이용하여 촬상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고, 삭제 키버튼(54)은 표시부(18)에 디스플레이된 문자정보 또는 이미지정보 등을 삭제하는 삭제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고, 통화 키버튼(55)은 이동통신 모듈(10) 및 오디오 처리부(14) 등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무선통화를 수행하는 통화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고, MP3 키버튼(56)은 MP3(도면 미도시)를 이용하여 저장된 음악을 청취하기 위한 MP3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고, 기본메뉴 키버튼(57)은 실시예1의 기본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본메뉴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다.
도2를 참조하면 제1입력 키버튼(58)은 모드 휠(wheel)(60)의 내부 영역에 구비된다. 제1입력 키버튼(58)은 멀티 키버튼이다. 멀티 키버튼은 하나의 키버튼이 클릭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키버튼을 말한다. 제1입력 키버튼(58)은 클릭되는 위치에 따라 내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 기능과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접속 키버튼 기능을 수행한다. 내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 기능은 제1입력 키버튼(58)의 가장자리 상하좌우 부위가 클릭된 경우 수행되며, 인터넷 접속 키버튼 기능은 제1입력 키버튼(58)의 중앙부위가 클릭된 경우 수행된다. 네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 기능은 표시부(118)에 디스플레이되는 커서(도면 미도시) 또는 지시자(indicater)(도면 미도시) 등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이다. 따라서, 제1입력 키버튼(58)의 배면 밑에는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5 개의 돔 스위치(도면 미도시)가 구비된다.
도2를 참조하면 모드 휠(wheel)(60)은 내부 영역에 제1입력 키버튼(58)이 안치되도록 환테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모드 휠(wheel)(60)의 전면(front side)에는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62)이 형성되어 있다.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62)이 형성된 부위의 바깥 둘레면에는 회전돌기(64)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모드 휠(wheel)(60)의 배면(rear side) 소정 부위에는 자력을 발생하는 마그네틱(magnetic)(66)이 부착된다.
도3을 참조하면 모드 휠(wheel)(60)의 배면(rear side)에는 원호형의 회전 프레임(70)이 연장·형성된다. 회전 프레임(70)의 외벽에는 탄성 스프링(도면 미도시)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 프레임(70)의 외벽 내측으로 인입 가능한 안내돌기(72)가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 프레임(70)의 내벽에는 회전 프레임(70)의 내벽 내측으로 인입 가능한 스톱돌기가 형성된다. 스톱돌기(도면 미도시)의 말단은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모드 휠(wheel)(60)의 배면 밑에는 안내 프레임(80)이 구비된다. 안내 프레임(80)에는 원형의 외통(82)과 내통(84)이 형성되는데, 안내 프레임(80)은 외통(82)과 내통(84) 사이에 회전 프레임(70)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안내 프레임(80)의 외통(82) 내벽에는 안내홈(82-1)이 형성된다. 안내 홈(82-1)은 안내 프레임(80)에 회전 프레임(70)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경우 안내돌기(72)가 삽입·안내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통(84) 외벽에는 스톱 홈이 형성된다. 스톱 홈(도면 미도시)은 안내 프레임(80)에 회전 프레임(70)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경우 스톱돌기(도면 미도시)가 삽입됨으로써, 일정한 외력 이하에서는 회전 프레임(70)의 회전을 저지시키도록 형성된다. 한편, 스톱 홈(도면 미도시)은 스톱돌기(도면 미도시)와 상호 체결되는 경우 회전돌기(64)가 각각의 기능 키버튼(50) 또는 적어도 각각의 기능 키버튼(50)의 경계면 중 어느 하나의 경계면을 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어부(26)는 모드 휠(wheel)(60)의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62) 또는 회전돌기(64)가 기능 키버튼(50) 중의 어느 하나를 향하게 된 경우 실시예1이 당해 기능 키버튼(50)의 입력신호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6)는 모드 휠(wheel)(60)의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62) 또는 회전돌기(64)가 대기모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기능 키버튼(50) 중의 어느 하나가 클릭되면 당해 기능 키버튼(50)에 대응하는 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6)는 회전감지센서(22)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모드 휠(wheel)(60)의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62) 또는 회전돌기(64)가 기능 키 버튼(50) 중의 어느 하나를 향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모드 휠(wheel)(60)은 대기모드에서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62)이 메시지버튼(51)과 기본메뉴버튼(57)의 경계면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도2를 참조하면 회전돌기(64)를 이용하여 모드 휠(wheel)(60)의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62)이 통화 키버튼(55)을 향하게 되면 실시예1은 제어부(26)의 제어하에 통화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또한,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62)이 메시지버튼(51)과 기본메뉴버튼(57)의 경계면을 향하도록 위치한 경우 통화 키버튼(55)을 클릭하게 되면 통화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6)는 모드 휠(wheel)(60)의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62)이 대기모드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외한 특정 모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기능 키버튼(50)의 클릭여부에 관계없이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62)이 지시하는 기능 키버튼(50)에 대응하는 모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모드 휠(wheel)(60)의 둘레부에 기능 키버튼(50)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모드 휠(wheel)(60)의 둘레부에 기능 키버튼(5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휠(wheel)(60)을 회전시킴에 의하여 특정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실시예2
도4는 실시예2의 블록 구성도를, 도5는 실시예2의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를, 도6은 실시예2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7은 실시예2의 경로탐색부의 흐름도를, 도8 및 도9는 실시예2의 작동도를 나타낸다.
도4를 참조하면 실시예2은 이동통신모듈(110), 메모리부(112), 오디오 처리부(114), 입력부(116), 표시부(118), 스텝모터(step motor)(120), 회전감지센서(122), 경로탐색부(124) 및 제어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는 버스(bus)(130)에 의해 연결된다.
이동통신 모듈(110)은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 장치이다.
메모리부(112)는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26)에 의해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12)는 특히, 후술하는 모드 휠(wheel)(160)의 일 정점의 현재 위치를 저장한다.
오디오 처리부(114)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를 입출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오디오처리부(114)는 이동 단말기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을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로 출력하거나, 각종 정보나 명령을 마이크(MIC)를 통해 오디오로 입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입력부(116)는 외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장치이며, 모드 휠(wheel)(160), 숫자 키버튼(140) 및 기능 키버튼(150)을 포함한다.
표시부(118)는 제어부(12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장치이다.
스텝모터(step motor)(120)는 모드 휠(wheel)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으로서, 펄스 신호에 따라 고 정밀도로 정해진 각도까지 회전시켜 정지가 가능한 모터이다.
회전감지센서(122)는 모드 휠(wheel)(16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실시예2의 작동을 위한 각종 회로소자가 탑재되는 메인인쇄회로기판(도면 미도시)에 연결된다. 회전감지센서(122)는 모드 휠(wheel)(16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직접 감지하거나, 후술하는 연결축(172, 도3참조)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직접 감지함으로써, 모드 휠(wheel)(16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게 된다.
경로탐색부(124)는 모드 휠(wheel)(160)을 회전시켜 모드 휠(wheel)(160)의 일 정점을 특정 점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모드 휠(wheel)(160)의 최단 회전경로를 탐색한다.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할 것인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할 것인지를 탐색한다.
제어부(126)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실시예2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2은 숫자 키버튼(140), 기능 키버튼(150) 및 모드 휠(wheel)(160)을 포함한다.
도5를 참조하면 숫자 키버튼(140)은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기능 키버튼(150)은 메시지 키버튼(151), 카메라 키버튼(152), 삭제 키버 튼(154), 통화 키버튼(155), MP3 키버튼(156), 기본메뉴 키버튼(157), 내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158) 등을 포함한다. 메시지 키버튼(151)은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고, 카메라 키버튼(152)은 카메라(도면 미도시)를 이용하여 촬상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고, 삭제 키버튼(154)은 표시부(118)에 디스플레이된 문자정보 또는 이미지정보 등을 삭제하는 삭제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고, 통화 키버튼(155)은 이동통신 모듈(110) 및 오디오 처리부(114) 등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무선통화를 수행하는 통화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고, MP3 키버튼(156)은 MP3(도면 미도시)를 이용하여 저장된 음악을 청취하기 위한 MP3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고, 기본메뉴 키버튼(157)은 실시예2의 기본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본메뉴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다. 내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158)은 표시부(118)에 디스플레이되는 커서(도면 미도시) 또는 지시자(indicater)(도면 미도시) 등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키버튼이다.
도5를 참조하면 모드 휠(wheel)(160)은 환테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모드 휠(wheel)(160)의 전면(front side)에는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162)이 형성되어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2은 스텝모터(step motor)(120)를 갖는다. 스텝모터(step motor)(120)는 모드 휠(wheel)(16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이다.
스텝모터(step motor)란 "입력펄스 신호로 여자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일정한 각도만큼 나아가고, 여자상태가 변화하지 않으면 일정 위치를 유지하여 정지하는 모터" 를 말한다. 여기서 입력펄스는 단순히 전기적 신호가 아닌 전류가 고려되는 파워 펄스(power pulse)를 말한다. 따라서 스텝모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제어기의 전기적 신호인 입력 펄스로부터 비교적 고전류의 파워 펄스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것을 스텝모터 드라이버(step motor driver)라 한다.
스텝모터(step motor)의 특성에 대하여 기술하면, 스텝모터(step motor)의 총 회전각은 입력 펄스의 총 수에 비례하고, 스텝모터(step motor)의 회전속도는 입력 펄스의 주파수에 비례한다. 스텝모터(step motor)의 스텝각은 작게는 1˚보다 작게 할 수 있고, 크게는 130˚, 45˚, 90˚ 또는 11180˚ 등으로 할 수 있으며, 회전자의 위치 정밀도가 높고,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스텝모터(step motor)는 일반적으로 정지각도 오차는 모터마다 다르나 스텝각의 ±1/120∼±1/140 정도이며 회전각의 오차가 누적되지 않으며, 토크 대 질량비가 높아서 기동특성 및 정지 특성이 좋다. 즉, 스텝모터(step motor)는 정지 토크를 갖고 있어 입력 펄스가 가해지지 않으면 그 위치에 안정되게 정지하려 한다. 그러나, 정지 토그 이상의 토크가 가해진 경우에는 회전하게 된다. 스텝모터(step motor)는 스테퍼모터 또는 스테핑모터라고도 불리우며, 상기한 특성으로 인하여 OA기기, FA기기, 전자계산기의 단말기나 주변기기에 제어용 모터, 구동용 모터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스텝모터(step motor)(120)에는 구동축(122)이 연결된다. 구동축(122)은 스텝모터(step motor)(120)가 회전함에 따라, 스텝모터(step motor)(120)와 함께 회전한다.
도6을 참조하면 구동축(122)의 말단에는 회전판(170)이 연결된다. 회전판(170)은 구동축(122)이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122)과 일체로 회전한다.
도6을 참조하면 회전판(170)의 전면(front side)에는 회전판(170)에 수직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연결축(172)의 일측단이 고정, 연결된다.
도6을 참조하면 연결축(172)의 타측단은 모드 휠(wheel)(160)의 배면(rear side)에 고정, 연결된다. 모드 휠(wheel)(160)의 배면(rear side)은 연결축(172)에 의하여 회전판의 상면에 연결된다. 연결축(172)이 회전판(170)에 수직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므로, 내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158)이 클릭되는 경우에 회전판(170)은 연결축(172)을 통하여 모드 휠(wheel)(160)에 연결된 채 하부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6을 참조하면 스텝모터(step motor)(120)의 하단부에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158) 클릭시 작동하는 돔 스위치(dome switch)(180)가 구비된다.
한편, 경로탐색부(124)는 제어부(126)의 제어하에, 기능 키버튼(150) 중 특정 모드선택을 위한 키버튼이 클릭되면 모드 휠(wheel)(160)의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162)이 당해 키버튼을 지시하기 위하여 회전하여야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결정하게 된다.
도7을 참조하면 특정 모드선택을 위한 기능 키버튼(150)이 클릭되면, 경로탐색부(124)는 제어부(126)의 제어하에 당해 기능 키버튼(150)으로부터 특정 기능 키버튼(150)이 클릭되었다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게 된다(S110). 이어서, 메모리 부(112)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162)이 현재 지시하고 있는 키버튼이 어느 키버튼인지를 확인하게 된다(S112). 이어서 경로탐색부(124)는 당해 기능 기능 키버튼(150)으로부터 수신된 입력신호 및 메모리부(112)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드 휠(wheel)(160)의 시계방향의 회전각도인 θc 및 반 시계방향의 회전각도인 θc,c를 각각 산출하게 된다(S114). 이어서 시계방향의 회전각도인 θc가 반 시계방향의 회전각도인 θc,c보다 큰 각도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16). 이어서 시계방향의 회전각도인 θc가 반 시계방향의 회전각도인 θc,c보다 크면 반 시계 방향으로 θc,c만큼 회전한다는 신호를 발신하고(S118-1), 시계방향의 회전각도인 θc가 반 시계방향의 회전각도인 θc,c보다 작거나 같으면 시계방향으로 θc만큼 회전한다는 신호를 발신한다(S118-2).
한편, 제어부(126)는 경로탐색부(124)의 탐색결과 신호에 따라 스텝모터(step motor)(120)를 반 시계방향으로 θc,c만큼 회전시키거나, 시계방향으로 θc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126)는 스텝모터(step motor)(120)가 가하는 힘 외의 외력에 의해 모드 휠(wheel)(160)이 회전하여 지시 아이콘(indicating)(162)이 특정 모드 진입을 위한 기능 키버튼(150)을 지시하게 된 경우, 실시예2이 당해 특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2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을 참조하면 모드 휠(wheel)(160)은 대기모드에서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162)이 메시지버튼(151)과 기본메뉴버튼(157)의 경계면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도7을 참조하면 대기모드에서 기능 키버튼 중 통화 키버튼(155)이 클릭되면, 경로탐색부(124)는 제어부(126)의 제어하에 통화 키버튼(155)이 클릭되었다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게 된다(S110). 또한, 경로탐색부(124)는 현재 즉, 통화 키버튼(155) 클릭시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162)이 메시지버튼(151)과 기본메뉴버튼(157)의 경계면을 향하고 있다는 데이터를 메모리부(112)로부터 전송받는다(S112). 한편, 통화 키버튼(155)이 클릭되었으므로, 모드 휠(wheel)(160)의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162)이 통화 키버튼(155)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는 경우 시계방향의 회전각 θc값과 반 시계방향의 회전각도인 θc,c값을 계산하게 된다(S114). 이때, 메모리부(112)로부터 통화 키버튼(155)에 관한 위치정보를 전송받는다.
도8을 참조하면 경로탐색부(124)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통화 키버튼(155)이 클릭된 경우 모드 휠(wheel)(160)이 회전하여야 할 시계방향의 회전각 θc값이 반 시계방향의 회전각도 θc,c 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다(S116).
도8을 참조하면 경로탐색부(124)는 모드 휠(wheel)(160)이 반 시계방향으로 θc,c 값 만큼 회전해야 한다는 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126)는 경로탐색부(124)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모드 휠(wheel)(160)을 반 시계방향으로 θc,c 값 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도8을 참조하면 제어부(126)의 제어하에 스텝모터(step motor)가 반 시계방향으로 θc,c 값 만큼 회전하고, 이에 따라 구동축(21)이 반 시계방향으로 θc,c 값 만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판(170)이 반 시계방향으로 θc,c 값 만큼 회전하고, 연결축(172)에 연결된 모드 휠(wheel)(160)이 반 시계방향으로 θc,c 값 만큼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26)는 통화버튼(155)이 클릭되는 경우 입력신호에 따라 실시예2을 통화모드로 진입시킨다.
또한, 제어부(126)는 통화버튼(155)이 클릭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외력에 의하여 모드 휠(wheel)(160)을 회전시켜, 지시 아이콘(icon)(162)이 통화 키버튼(160)을 향하게 되면 실시예2을 통화모드로 진입시킨다.
한편, 도9를 참조하면 통화모드에서 MP3 키버튼(156)이 클릭되면, 제어부(126)는 상기한 바에 준하는 경로탐색부(124)의 검색결과 신호에 따라 모드 휠(wheel)을 시계 방향으로 θc만큼 회전시켜 지시 아이콘(icon)(162)이 MP3 키버튼(156)을 향하도록 한다.
한편, 실시예2은 모드 휠(wheel)(160)의 지시 아이콘(icon)(162)이 특정 기능 키버튼(150)을 향하도록 고정시켜 놓음으로써, 단말기가 온(on)이 되면 직접 당해 특정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모드 휠(wheel)(160)의 내부에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158)이 구비되므로, 내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158)을 이용하여 커서나 지시자(indicater) 등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판(170)은 신축성 있는 연결축(172)에 의하여 모드 휠(wheel)(16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158)이 클릭되는 경우에도 모드 휠(wheel)(160)과의 연결이 유지된다.
상기한 실시예2의 경우 θc와 θc,c가 같으면 시계방향으로 θc만큼 회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θc,c만큼 회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2의 경우 회전감지센서(122)는 모드 휠(wheel)(16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모드 휠(wheel)(160)의 배면(rear side) 중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162)이 형성된 부위에 대응하는 곳에는 마그네틱(magnetic)(도면 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마그네틱(magnetic)(도면 미도시)은 모드 휠(wheel)(160) 회전시 모드 휠(wheel)(160)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며, 회전감지센서(122)는 마그네틱(magnetic)(도면 미도시)으로 발생된 자력의 세기 및 방향을 감지하여 모드 휠(wheel)(160)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한 실시예2의 경우 회전수단이 스텝모터(step motor)(120)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통상의 모터(motor)일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휠(wheel)(160)이 특정 기능 키버튼을 향하는 경우 모드 휠(wheel)(160), 구동 축(121), 회전판(170) 중의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모드 휠(wheel)(160)을 정지시키는 스토퍼(stopper)가 필요하다.
실시예3
도10은 실시예3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0을 참조하면 실시예3는 스텝모터(step motor)(220)를 갖는다. 스텝모터(step motor)(220)에는 구동축(221)이 연결되며, 구동축(221)의 말단에는 회전판(270)이 고정 연결된다. 회전판(270)의 둘레면에는 치형(274)이 형성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실시예3는 모드 휠(wheel)(260)을 갖는다. 모드 휠(wheel)(260)의 둘레면 하반부에는 치형(264)이 형성된다. 모드 휠(wheel)(260)의 치형(264)은 회전판(270)의 치형(274)과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도10을 참조하면 회전판(270)은 그 치형(274)이 모드 휠(wheel)(260)의 치형(264)과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스텝모터(step motor)(220)에 의해 회전판(270)이 회전하는 경우 모드 휠(wheel)(260)이 회전하게 된다.
실시예3은 모드 휠(wheel)(260)과 스텝모터(step motor)의 연결관계를 제외하고는 실시예2과 동일하다.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고리형의 모드 휠(wheel) 내부 영역에 제1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입력부 구현에 따른 공간적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모드 휠(wheel)의 지시 아이콘(icon)이 특정 기능 키버튼을 향하 도록 고정시켜 놓음으로써, 단말기가 온(on)이 되면 별도의 조작 없이 직접 당해 특정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한 기능 키버튼 클릭시 모드 휠(wheel)이 회전하여 모드 휠(wheel)의 지시 아이콘(indicating icon)이 당해 기능 키버튼을 지시하게 되므로 기능 키버튼 클릭에 따른 사용감이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모드 휠(wheel)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손쉽게 특정 모드에 진입할 수 있어, 모드선택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회전함으로써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모드 선택이 가능한 고리형태의 모드 휠(wheel)과,
    상기 모드 휠(wheel)의 내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1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부는 방향 선택을 위한 내비게이션(navigation)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부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접속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휠(wheel)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모드 로 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특정 모드 선택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휠(wheel)의 둘레부의 일 정점이 상기 특정 모드 선택 입력부의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회전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모드 휠(wheel)의 둘레부의 일 정점이 향하는 특정 모드 선택 입력부에 대응하는 특정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휠(wheel)의 둘레부의 일 정점에는 회전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휠(wheel) 구비 이동단말기.
KR1020070032235A 2007-04-02 2007-04-02 모드 휠 구비 이동단말기 KR20080089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235A KR20080089718A (ko) 2007-04-02 2007-04-02 모드 휠 구비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235A KR20080089718A (ko) 2007-04-02 2007-04-02 모드 휠 구비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718A true KR20080089718A (ko) 2008-10-08

Family

ID=4015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235A KR20080089718A (ko) 2007-04-02 2007-04-02 모드 휠 구비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97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8646B2 (ja) 車両用操作装置
KR101019285B1 (ko) 회전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50169080A1 (en) Electronic device using auxiliary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078959B1 (ko) 이동 단말기용 용량성 공간 절약형 조그 다이얼
KR101064078B1 (ko) 적응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가입자 디바이스및 그 방법
EP2595367B1 (en) User interface with enlarged icon display of key function
JP2010257051A (ja) 回転式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50124387A1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WO2014208691A1 (ja) 携帯機器、携帯機器の制御方法
EP2352076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4847029B2 (ja) 入力装置
JP2011503933A (ja) 基部に対して可動の表示部を有する電子装置
JP2009059599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211181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携帯型通信装置
JP2006293601A (ja) 情報操作装置
CN107182963B (zh) 电动渔线轮
KR20080089718A (ko) 모드 휠 구비 이동단말기
JP4996548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装置
JP6046562B2 (ja) 携帯機器、携帯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616538B2 (ja) 入力装置
JP2011192413A (ja) 操作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JP2004260749A (ja) 重ね型携帯端末装置
US20040046794A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adapting a sensor signal to actuate multiple dimensions
US20080211770A1 (en) Pointing device, portable terminal, point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strap
KR101258494B1 (ko)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