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795A -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795A
KR20080088795A KR1020070031544A KR20070031544A KR20080088795A KR 20080088795 A KR20080088795 A KR 20080088795A KR 1020070031544 A KR1020070031544 A KR 1020070031544A KR 20070031544 A KR20070031544 A KR 20070031544A KR 20080088795 A KR20080088795 A KR 20080088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nding
receiving
unit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363B1 (ko
Inventor
유회준
김용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03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363B1/ko
Publication of KR2008008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휴대 기기의 소형화와 다기능화, 전도성 섬유의 개발에 의해 웨어러블 컴퓨터가 보편화 되는 경우, 각각의 휴대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휴대 기기를 의복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외부로부터 유선으로 전선을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전력 송신부의 송신용 권선부를 전력 수신부의 수신용 권선 방향으로 가까이 가져가기만 하면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호, 유도 인덕턴스, 전력 전달, 웨어러블 컴퓨터, 권선, 전도성 섬유

Description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Apparatus for power transmission using inductive coupl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의 전력 수신부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장치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전력 송신부
11: 전원부
12: 신호 발생부
13: 전력 송신용 권선
20: 전력 수신부
21: 전력 수신용 권선
22: 정류 회로
30: 신체 착용형 휴대 기기
32: 의복
40: 전력 송신용 타 휴대기기
본 발명은 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일상 생활에 필요한 각종 디지털 장치와 기능을 의복 내에 통합시킨 입는 컴퓨터, 즉 웨어러블 컴퓨터 (Wearable Compute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는 컴퓨터의 각 부품들을 분산하여 의복 내에 배치하는 수준이지만, 휴대 기기의 소형화와 다기능화, 전도성 섬유의 개발 등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의복의 형태로 컴퓨터의 기능을 제공하는 진정한 의미의 웨어러블 컴퓨터가 실현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휴대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기존에는 각각의 휴대 기기마다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특정한 전력 충전 장치에 접근시키기 위해 의복으로부터 휴대 기기를 분리하거나, 외부로부터 유선으로 전선을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해야 했다. 하지만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정도의 초소형 기기나 아예 의복 내에 삽입된 기기의 경우에는 배터리의 연결이 쉽지 않고, 의복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에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유선으로 연결할 경우 사용자의 이동성에 제약이 생긴다.
한편, 휴대 기기 간의 배터리 장치는 그 규격과 인터페이스가 모두 다르므로 현재로서는 전원의 교환이 불가능하다. 한 기기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필요하지 않은데 전원량에 여유가 있고, 다른 기기의 기능은 반드시 필요한데 전원이 부족한 상황이라면 전원의 교환 및 전달이 절실히 요구되며, 웨어러블 컴퓨터가 보편화되어 휴대 기기의 개수가 늘어나는 현 상황에서, 한 기기에서 다른 기기로 전력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새로운 제안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복 내에 배치 또는 삽입된 휴대 기기에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전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 기기 간의 배터리 장치의 규격과 인터페이스가 달라도, 간편하게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전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 전달장치는, 의복 내에 구성된 휴대용 기기의 전력 공급을 위해 전도성 섬유에 유도되는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력 전달장치는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이루어진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변화되는 전류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의 전류신호에 의해 자기장을 유도하는 송신용 권선을 포함하는 전력송신부와;
상기 송신용 권선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되는 교류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사용자의 의복에 형성된 수신용 권선과, 상기 수신용 권선에 발생한 유도 교류 전류를 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를 포함하는 전력수신부;
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력수신부에 연결되는 신체 착용형 휴대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수신용 권선이 사용자의 의복에 바느질된 전도성 섬유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송신부의 전원부로서, 전력에 여유가 있거나 그 기능의 필요가 적은 다른 휴대기기의 전원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한편,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의복(32) 내에 배치 또는 삽입되어 웨어러블 컴퓨터 (Wearable Computer) 등을 구성하는 신체 착용형 휴대 기기(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력 전달장치는, 전력 송신부(10)와 전력 수신부(20)를 구비한다. 전력 송신부(10)는 외부 전원이나 배터리에 의해서 동작하는 신호 발생부(12)와 신호 발생부(12)에서 발생된 특정 주파수의 전류가 흐름으로써 일정한 자기장을 형성하는 전력 송신용 권선(13)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1)로 구성된다. 전원부(11)는 신호 발생부(12)를 동작시키는 내장 배터리이거나 외부 전원을 공통적으로 이용하여도 좋다. 전력 수신부(20)는 전력 송신부(10)의 송신용 권선(13)이 가까이 접근할 때 상호 인덕턴스가 유도되는 수신용 권선(21)과 수신용 권선(21)에 흐르는 특정 주파수의 교류 신호를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22)를 구비한다. 수신용 권선(21)은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의복 위 또는 내부에 바느질된다. 정류 회로(22)는 공지의 일반적인 정류 회로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요약하자면, 도 1의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전력 송신부(10)의 송신용 권선(13)을 전력 수신부(20)의 수신용 권선(21)이 바느질되어 있는 의복(32) 가까이로 접근시키면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수신용 권선(21)에 상호 인덕턴스가 유도되고 정류 회로(22)에서 이를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의복 내부에 구성된 휴대용 기기(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력 송신부(10)의 전원부(11)로서, 전력에 여유가 있거나 그 기능의 필요가 적은 다른 휴대기기의 전원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의 전력 수신부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수신부(20)는 수신용 권선(21)과 정류 회로(2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정류 회로(22)를 포함하는 이유는, 수신용 권선(21)에 유도되는 전류가 교류 전류이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신체 착용형 휴대 기기(30)(도 1 참조)에 사용할 수 없어서, 이를 직류(DC)로 변환하여 출력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류 회로(22)로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다이오드와 캐퍼시터를 조합한 구조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장치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력 송신부(10)의 전원부(11)로서, 전력에 여유가 있거나 그 기능의 필요가 적은 다른 휴대기기(40), 예컨대 휴대폰의 전원을 사용하며, 전력을 전달받는 신체 착용형 휴대 기기(30)는 MP3 또는 소형 PMP임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의복 내에 구성된 휴대용 기기를 의복에서 분리할 필요 없이 전력 송신부를 의복에 가까이 대기만 해도 휴대용 기기에 전력이 전달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크게 높인다. 또한, 각 휴대 기기의 전원 장치의 규격과 인터페이스가 다르더라도 전력 송신부의 권선과 의복에 바느질된 권선을 통해 전력을 전달할 수 있어서 휴대 기기 간의 전력 교환 및 전달이 가능해진다.

Claims (4)

  1. 의복 내에 구성된 휴대용 기기의 전력 공급을 위해 전도성 섬유에 유도되는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하는 전력 전달장치.
  2.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이루어진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변화되는 전류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의 전류신호에 의해 자기장을 유도하는 송신용 권선을 포함하는 전력송신부와;
    상기 송신용 권선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되는 교류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사용자의 의복에 형성된 수신용 권선과, 상기 수신용 권선에 발생한 유도 교류 전류를 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를 포함하는 전력수신부;
    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력수신부에 연결되는 신체 착용형 휴대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용 권선이 사용자의 의복에 바느질된 전도성 섬유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송신부의 전원부가, 전력에 여유가 있거나 그 기능의 필요가 적은 다른 휴대기기의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KR1020070031544A 2007-03-30 2007-03-30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KR100892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544A KR100892363B1 (ko) 2007-03-30 2007-03-30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544A KR100892363B1 (ko) 2007-03-30 2007-03-30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795A true KR20080088795A (ko) 2008-10-06
KR100892363B1 KR100892363B1 (ko) 2009-04-08

Family

ID=4015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544A KR100892363B1 (ko) 2007-03-30 2007-03-30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36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230B1 (ko) * 2010-02-18 2011-09-14 한국과학기술원 착용형 시스템의 원격 초기화 장치
KR101249736B1 (ko) * 2009-09-07 2013-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복형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직물기반 자기장 인터페이스 의복 및 휴대 단말
WO2014109460A1 (ko) * 2013-01-09 2014-07-17 한국전기연구원 다중기기의 자유 위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WO2015152590A1 (ko) * 2014-03-31 2015-10-08 이재용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을 이용한 전기전자기기 구동 방법
US9711278B2 (en) 2013-01-09 2017-07-18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free-position wireless charging of multiple devices
KR20170126430A (ko) * 2017-11-09 2017-11-17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US9859747B2 (en) 2015-09-08 2018-01-02 Futureplay, Inc. Garment device and system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12517D0 (en) * 2003-05-31 2003-07-0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mbroidered electrode
US6924619B2 (en) * 2003-06-11 2005-08-02 Motorola, Inc.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s in garments
JP4426796B2 (ja) 2003-08-26 2010-03-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
DE102004047650B3 (de) * 2004-09-30 2006-04-13 W.L. Gore & Associates Gmbh Kleidungsstück mit induktivem Koppler und induktive Bekleidungsstückschnittstell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36B1 (ko) * 2009-09-07 2013-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복형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직물기반 자기장 인터페이스 의복 및 휴대 단말
US8509470B2 (en) 2009-09-07 2013-08-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xtile-based magnetic field interface clothes and mobile terminal in wearable computing system
KR101064230B1 (ko) * 2010-02-18 2011-09-14 한국과학기술원 착용형 시스템의 원격 초기화 장치
WO2014109460A1 (ko) * 2013-01-09 2014-07-17 한국전기연구원 다중기기의 자유 위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US9711278B2 (en) 2013-01-09 2017-07-18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free-position wireless charging of multiple devices
US10141105B2 (en) 2013-01-09 2018-11-27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free-position wireless charging of multiple devices
WO2015152590A1 (ko) * 2014-03-31 2015-10-08 이재용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을 이용한 전기전자기기 구동 방법
US9859747B2 (en) 2015-09-08 2018-01-02 Futureplay, Inc. Garment device and system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US10148118B2 (en) 2015-09-08 2018-12-04 Futureplay, Inc. Garment device and system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126430A (ko) * 2017-11-09 2017-11-17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363B1 (ko)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363B1 (ko)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US7076206B2 (en) System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electrical power, a garment, a system of garments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s and/or electrical energy
US20180366971A1 (en) Portable power charger kit for wirelessly recharging electronic devices
US20140015470A1 (en) Wearab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EP2994972B1 (en) Non-contact power supply circuit
US20170256990A1 (en) Receiver Coil Arrangements for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Devices
US11056918B2 (en) System for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devices
US20070222426A1 (en) Wireless Powering Device, an Energiable Load, a Wireless System and a Method For a Wireless Energy Transfer
KR101322764B1 (ko) 무선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26283A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와치
WO2017035999A1 (zh) 穿戴式发电装置、穿戴式可发电衣服及发电的方法
CN107003514A (zh) 头戴式可穿戴设备电源系统
US20220006327A1 (en) Wireless Power Mode Switching
KR20130113738A (ko)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N106160136A (zh) 电力发送设备和电力收发设备
KR100707234B1 (ko)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
CN203691071U (zh)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可穿戴设备
CN108684208A (zh) 具有调谐金属体的电子设备中的无线功率传输
CN202050273U (zh) 无线充电的发射器和接收器以及手机套
KR20110067398A (ko) 태양 전지를 이용한 전원 공급 기능을 갖는 의복
KR101932225B1 (ko) 무선충전형 배터리 내장 밴드와 이에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KR20100120057A (ko) 휴대단말기기 비접촉식 데이터통신 및 배터리충전 접속장치
CN105186638A (zh) 腕戴式电子设备
CN117175719A (zh) 一种无线充电装置、电子设备及无线充电控制方法
JPH11341690A (ja) 非接触コンパクト給電方法及びシステ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