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230B1 - 착용형 시스템의 원격 초기화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형 시스템의 원격 초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230B1
KR101064230B1 KR1020100014456A KR20100014456A KR101064230B1 KR 101064230 B1 KR101064230 B1 KR 101064230B1 KR 1020100014456 A KR1020100014456 A KR 1020100014456A KR 20100014456 A KR20100014456 A KR 20100014456A KR 101064230 B1 KR101064230 B1 KR 101064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itialization
data
wearable syst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819A (ko
Inventor
유회준
엄용
송기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1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2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초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장치로, 입력신호를 전송하고,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ID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ID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ID 신호 및 착용형 시스템의 고유 ID 신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초기화부를 포함하고, 수신된 ID 신호와 고유 ID 신호가 일치할 경우, 초기화부는 착용형 시스템과 전원을 연결하고, 제어부로부터 초기화 데이터를 전송 받아 착용형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제어부는 비동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한 후 ID 신호와 초기화 데이터를 전송하고, 초기화부는 수신된 ID 신호와 초기화 데이터를 비동기 방식으로 복조 및 복호화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용형 시스템의 원격 초기화 장치{APPARATUS FOR INITIALIZING WEARABLE SYSTEMS REMOTELY}
본 발명은 초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용형 시스템은 그 시스템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물리적인 스위치를 이용하여 시스템 초기화를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인 스위치는 착용형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이물감을 증가시키고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외부 요인에 의해 물리적인 스위치가 동작하여 시스템이 초기화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직비(ZigBee) 등의 무선 테이터 통신을 사용하여 착용형 시스템을 원격 초기화하는 장치가 있다. 이러한 초기화 장치를 이용할 경우, 시스템의 수신기의 전력 소모가 증가하게 되므로, 제한된 배터리 용량을 갖는 착용형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적외선 센서 혹은 안테나를 비롯한 고주파 수신기 등의 추가적인 하드웨어는 착용형 시스템의 착용감을 감소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착용형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초기화하기 위한 적외선 또는 무선 신호가 다른 시스템에 노이즈로 작용하게 되어 독립적으로 초기화를 수행하는데 있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착용형 시스템의 이물감,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고,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격 초기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장치로, 입력신호를 전송하고,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ID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ID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ID 신호 및 착용형 시스템의 고유 ID 신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초기화부를 포함하고, 수신된 ID 신호와 고유 ID 신호가 일치할 경우, 초기화부는 착용형 시스템과 전원을 연결하고, 제어부로부터 초기화 데이터를 전송 받아 착용형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제어부는 비동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한 후 ID 신호와 초기화 데이터를 전송하고, 초기화부는 수신된 ID 신호와 초기화 데이터를 비동기 방식으로 복조 및 복호화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인덕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ID 신호를 부호화하되 각각의 데이터 구간을 같게 하고 각각의 데이터 사이에 하강 엣지가 발생하도록 부호화하는 부호부, 부호화된 ID 신호에 대하여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부, 및 입력신호와 부호화된 ID 신호의 주파수를 발진하고, 증폭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제1 인덕터는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paste)로 인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화부는,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인덕터, 입력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직류전압신호과 기설정된 문턱전압을 비교하고, 직류전압신호가 문턱전압 이상인 경우 제2 인덕터를 통해 응답신호를 출력하는 응답부,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ID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복조된 ID 신호에서 하강 엣지를 감지하고, 복조된 ID 신호의 데이터 각각을 기울기를 갖는 ID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ID 전압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전압신호와 비교하여 수신된 ID 신호를 최종적으로 복호화하는 복호부, 및 복호화된 ID 신호 및 고유 ID 신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ID 판별부를 포함하고, 제2 인덕터는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paste)로 인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는 착용형 시스템의 초기화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paste)로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이용하여 초기화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인덕터, 인덕터를 통해 초기화장치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ID 신호를 부호화하되 각각의 데이터 구간을 같게 하고 각각의 데이터 사이에 하강 엣지가 발생하도록 부호화하는 부호부, 부호화된 ID 신호에 대하여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부, 및 입력신호와 부호화된 ID 신호의 주파수를 발진하고, 증폭하여 초기화장치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고, 초기화장치로 출력된 ID 신호에 대한 인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부호부 및 변조부를 통해 부호화 및 변조 처리를 수행한 후 초기화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 장치는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기 위한 장치로,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paste)로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이용하여 착용형 시스템의 초기화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인덕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직류전압신호와 기설정된 문턱전압을 비교하고, 직류전압신호가 문턱전압 이상인 경우,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응답부, 응답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ID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복조된 ID 신호에서 하강 엣지를 감지하고, 복조된 ID 신호의 데이터 각각을 기울기를 갖는 ID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ID 전압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전압신호와 비교하여 수신된 ID 신호를 최종적으로 복호화하는 복호부, 및 복호화된 ID 신호 및 착용형 시스템의 고유 ID 신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ID 판별부를 포함하고, 복호화된 ID 신호 및 고유 ID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착용형 시스템과 전원을 연결하고, 제어장치로부터 초기화 데이터를 전송 받고, 복조부 및 복호부는 전송된 초기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화 처리를 수행한 후 착용형 시스템으로 전달하며, 수신된 ID 신호와 초기화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 구간이 같으며, 각각의 데이터 사이에 하강 엣지가 있는 비동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초기화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착용형 시스템이 전원과 연결되어 동작하고, 비동기식 데이터 부호/복호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착용형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각각은 고유의 ID를 갖게 함으로써, 초기화를 위한 수신 데이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착용형 시스템들 간의 초기화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통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로 인쇄되어 형성된 인덕터를 이용함으로써 착용형 시스템으로부터 느껴지는 이물감을 줄일 수 있으며, 제작에 필요한 하드웨어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의 복호부를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에서 사용하는 복조 및 복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원격 초기화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10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1000)는 제어부(100)와 초기화부(20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와 초기화부(200)는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으며, 초기화부(200)는 착용형 시스템과 전원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제어부(100)와 초기화부(2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제어부(1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제1 인덕터(110), 제1 출력부(120), 부호부(130), 변조부(140), 및 제2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제1 인덕터(110)는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이용하여 초기화부(200)의 제2 인덕터(210)와 접속할 수 있다. 상호 인덕턴스 유도가 일어날 수 있을 정도로 제어부(100)를 초기화부(200)의 제2 인덕터(210)에 가까이 가져가면, 제1 인덕터(110)와 제2 인덕터(210) 사이에서 상호 인덕턴스 유도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1 인덕터(110)와 제2 인덕터(210)를 통한 제어부(100)와 초기화부(200) 간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 인덕터(110)는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paste)로 인쇄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덕터(110)는 은 반죽으로 인쇄된 실버 패이스트 인덕터(silver paste inductor)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인덕터(110)는 직물 상에 은 반죽과 같은 물질로 인쇄되어 제작되었기 때문에 착용형 시스템의 이물감을 줄일 수 있으며 제작에 필요한 하드웨어 부담도 줄일 수 있다.
제1 출력부(120)는 제1 인덕터(120)와 제2 인덕터(210)를 통하여 초기화부(200)로 입력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입력신호는 연속적인 파형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ID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응답신호는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초기화부(2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제어부(100)는 ID에 대한 데이터를 비동기식 부호화 과정을 거친 후 전송한다. 제어부(100)는 ID 신호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초기화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초기화부(200)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비동기식으로 부호화한 후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부(130)는 초기화부(200)로 전송할 데이터를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부호화(encoding)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1”, “0”, “0”이라고 하면, 각각의 데이터 구간은 같게 하면서, 데이터 값에 상관없이 각 데이터 사이에 하강 엣지가 발생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1”의 데이터를 부호화할 경우 “0111”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0111”의 데이터 가운데 데이터 “0”에 의해 하강 엣지가 발생한다. 또한, “0”의 데이터를 부호화할 경우, “0001”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0001”의 데이터 가운데 데이터 “1”에 의해 하강 엣지가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1”의 데이터를 “0111”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0”의 데이터를 “0001”의 데이터로 변환할 필요는 없다. “1”과 “0” 데이터의 각 구간 길이는 서로 같게하면서,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다르게 한다. 즉, 각 구간에 하이 값(high value)을 유지하는 비율(rate)을 서로 다르게 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종류(“0” 또는 “1”)에 관계없이 각 데이터 사이에는 하강 엣지가 발생된다.
부호부(130)는 제어부(100)에서 초기화부(20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비동기식으로 부호화한다. 이는 초기화부(200)에서 비동기식으로 복호화하기 위해서이다. 초기화부(200)에서의 비동기식 복호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변조부(140)는 부호부(130)를 통해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제2 출력부(150)는 변조부(140)를 통해 변조된 데이터의 주파수를 발진하고 증폭하여, 제1 인덕터(110)를 통해 초기화부(200)로 출력한다.
제어부(100)는 ID 신호를 초기화부(200)로 전송한 후, 초기화부(200)로부터 인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초기화부(200)로 전송한다.
2. 초기화부(2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부(200)는 제1 인덕터(210), 정류부(220), 응답부(230), 복조부(240), 복호부(250), ID 판별부(260) 및 ID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제2 인덕터(210)는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이용하여 제어부(100)의 제1 인덕터(110)와 접속할 수 있다. 제어부(100)를 상호 인덕턴스 유도가 일어날 수 있을 정도로 초기화부(200)의 제2 인덕터(210)에 가까이 가져가면, 제1 인덕터(110)와 제2 인덕터(210) 사이에서 상호 인덕턴스 유도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1 인덕터(110)와 제2 인덕터(210)를 통한 제어부(100)와 초기화부(200) 간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 인덕터(210)는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paste)로 인쇄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덕터(210)는 은 반죽으로 인쇄된 실버 패이스트 인덕터(silver paste inductor)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인덕터(210)는 직물 상에 은 반죽과 같은 물질로 인쇄되어 제작되었기 때문에, 착용형 시스템의 이물감을 줄일 수 있으며, 제작에 필요한 하드웨어 부담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1000)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정류부(220)는 제어부(100)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10)를 정류한다. 여기서, 입력신호(10)는 연속적인 파형을 갖는다(이하 입력신호(10)는 연속 파형으로 표기함). 정류부(220)는 수신된 연속 파형(10)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신호를 생성한다.
정류부(220)에서 일정 전압 이상을 정류하게 되면 초기화부(200)에서는 부하 변조가 일어난다. 응답부(230)는 이러한 부하 변조를 이용하여 연속 파형(10)에 대한 응답신호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응답부(230)는 직류전압신호와 기설정된 문턱전압을 비교하고, 직류전압신호가 문턱전압 이상이 되면, 제2 인덕터(210)로 부하 변조를 가한다. 즉, 응답부(230)는 연속 파형(10)에 대한 응답신호를 출력한다. 응답부(230)로부터 출력된 응답신호는 제어부(100)로 수신되고, 제어부(100)는 응답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ID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ID 신호를 초기화부(200)에서 부하 변조가 완료된 후 전송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의 복호부(250)를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초기화 장치에서 사용하는 복조 및 복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복조부(240)와 복호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를 통하여 비동기식으로 부호 및 변조된 ID 신호를 비동기식 복조 및 복호 과정을 통해 복구한다.
복조부(240)는 제어부(100)를 통해 비동기식으로 부호 및 변조된 ID 데이터를 복조(demodulation)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호부(250)는 먼저 복조된 ID 데이터(21)의 데이터 사이마다 발생된 하강 엣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클록과 리셋 신호를 만들어낸다. 또한, ID 데이터(21)의 한 구간의 길이에 해당하는 기준 펄스를 만들어 낸다. ID 데이터(21)와 기준 펄스가 하이(high)인 구간에서 커패시터 C와 2C에 동일한 전류가 충전되도록 하여 기울기가 2배 차이나는 기준전압신호(23)와 ID 전압신호(25)를 만들어낸다. 이에 따라, ID 데이터(21)들은 커패시터 C를 통해 기울기를 갖는 ID 전압신호(25)로 변환된다. 이후 복호부(250)는 기준전압신호(23)와 ID 전압신호(25)를 비교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신호(27)로 복구한다.
ID 판별부(260)는 최종 복구된 ID 신호와 착용형 시스템의 고유 ID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한다. 착용형 시스템의 고유 ID에 대한 데이터는 ID 저장부(270)에 저장되어 있다. ID 저장부(270)에 저장된 데이터는 응답부(230)가 동작할 경우 ID 판별부(260)로 전달된다.
초기화부(200)는 ID 판별부(260)의 판별 결과, ID 신호가 서로 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로 인증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초기화부(200)는 착용형 시스템과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스위치를 동작시켜, 착용형 스템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제어부(100)는 초기화부(200)에서 인증신호를 수신한 후,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초기화부(200)로 전송한다.
초기화부(200)는 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한 초기화 데이터(30)를 착용형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착용형 시스템이 초기화되도록 한다.
초기화 데이터는 ID 신호과 같이 제어부(100)를 통해 비동기식 부호 및 변조 처리를 거친 후, 초기화부(200)를 통해 비동기식으로 복조 및 복호 처리를 거친 후 착용형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이후, 착용형 시스템은 초기화되고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초기화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착용형 시스템이 전원과 연결되어 동작하게 된다.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 초기화부를 제외한 나머지 착용형 시스템은 전원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초기화부는 항상 전원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대한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원격 초기화 장치는 비동기식 데이터 부호/복호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착용형 시스템을 사용할 때에도 독립적인 초기화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착용형 시스템들이 고유의 ID를 갖고 있어, 초기화를 위한 수신 데이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다른 착용형 시스템의 초기화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인덕턴스를 사용하면 통신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통신 신뢰도가 높일 수 있다다.
또한,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로 인쇄되어 형성된 인덕터를 이용함으로써 착용형 시스템으로부터 느껴지는 이물감을 줄일 수 있으며, 제작에 필요한 하드웨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원격 초기화 장치
100: 제어부
110: 제1 인덕터
120: 제1 출력부
130: 부호부
140: 변조부
150: 제2 출력부
200: 초기화부
210: 제2 인덕터
220: 정류부
230: 응답부
240: 복조부
250: 복호부
260: ID 판별부
270: ID 저장부

Claims (5)

  1.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장치로,
    입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ID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ID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ID 신호 및 착용형 시스템의 고유 ID 신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초기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ID 신호와 상기 고유 ID 신호가 일치할 경우, 상기 초기화부는 상기 착용형 시스템과 전원을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초기화 데이터를 전송 받아 상기 착용형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비동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한 후 상기 ID 신호와 상기 초기화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초기화부는 상기 수신된 ID 신호와 상기 초기화 데이터를 비동기 방식으로 복조 및 복호화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초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인덕터;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ID 신호를 부호화하되 각각의 데이터 구간을 같게 하고 각각의 데이터 사이에 하강 엣지가 발생하도록 부호화하는 부호부;
    상기 부호화된 ID 신호에 대하여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부; 및
    상기 입력신호와 상기 부호화된 ID 신호의 주파수를 발진하고, 증폭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덕터는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paste)로 인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초기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부는,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인덕터;
    상기 입력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직류전압신호과 기설정된 문턱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직류전압신호가 상기 문턱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인덕터를 통해 상기 응답신호를 출력하는 응답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수신된 ID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된 ID 신호에서 상기 하강 엣지를 감지하고, 상기 복조된 ID 신호의 데이터 각각을 기울기를 갖는 ID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ID 전압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전압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ID 신호를 최종적으로 복호화하는 복호부; 및
    상기 복호화된 ID 신호 및 상기 고유 ID 신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ID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덕터는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paste)로 인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초기화 장치.
  4. 착용형 시스템의 초기화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paste)로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이용하여 상기 초기화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인덕터;
    상기 인덕터를 통해 상기 초기화장치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ID 신호를 부호화하되 각각의 데이터 구간을 같게 하고 각각의 데이터 사이에 하강 엣지가 발생하도록 부호화하는 부호부;
    상기 부호화된 ID 신호에 대하여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부; 및
    상기 입력신호와 상기 부호화된 ID 신호의 주파수를 발진하고, 증폭하여 상기 초기화장치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화장치로 출력된 ID 신호에 대한 인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부호부 및 상기 변조부를 통해 부호화 및 변조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초기화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5. 착용형 시스템을 초기화하기 위한 장치로,
    직물 상에 전도성 패이스트(paste)로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호 인덕턴스 유도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시스템의 초기화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인덕터;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직류전압신호와 기설정된 문턱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직류전압신호가 상기 문턱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응답부;
    상기 응답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ID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된 ID 신호에서 하강 엣지를 감지하고, 상기 복조된 ID 신호의 데이터 각각을 기울기를 갖는 ID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ID 전압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전압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ID 신호를 최종적으로 복호화하는 복호부; 및
    상기 복호화된 ID 신호 및 상기 착용형 시스템의 고유 ID 신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ID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호화된 ID 신호 및 상기 고유 ID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착용형 시스템과 전원을 연결하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초기화 데이터를 전송 받고,
    상기 복조부 및 상기 복호부는 상기 전송된 초기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화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착용형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된 ID 신호와 상기 초기화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 구간이 같으며, 각각의 데이터 사이에 하강 엣지가 있는 비동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화 장치.
KR1020100014456A 2010-02-18 2010-02-18 착용형 시스템의 원격 초기화 장치 KR101064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456A KR101064230B1 (ko) 2010-02-18 2010-02-18 착용형 시스템의 원격 초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456A KR101064230B1 (ko) 2010-02-18 2010-02-18 착용형 시스템의 원격 초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819A KR20110094819A (ko) 2011-08-24
KR101064230B1 true KR101064230B1 (ko) 2011-09-14

Family

ID=4493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456A KR101064230B1 (ko) 2010-02-18 2010-02-18 착용형 시스템의 원격 초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2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795A (ko) * 2007-03-30 2008-10-06 한국과학기술원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KR20090089011A (ko) * 2008-02-18 2009-08-21 한국과학기술원 웨어러블 컴퓨터 및 디바이스의 착용인식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795A (ko) * 2007-03-30 2008-10-06 한국과학기술원 상호 유도 인덕턴스를 이용한 전력 전달장치
KR20090089011A (ko) * 2008-02-18 2009-08-21 한국과학기술원 웨어러블 컴퓨터 및 디바이스의 착용인식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819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00576B (zh) 用于无线充电系统的双向通信解调方法
EP3761156B1 (en) Sensor controller, position indicator, and position detecting system
JP5613866B1 (ja) ワイヤレス誘導電力伝送
US11004330B2 (en) Method carried out in system including active stylus and sensor controller, sensor controller, and active stylus
CA2538502C (en) Telemetry system employing dc balanced encoding
TW201710838A (zh) 主動式觸控筆
JP3808312B2 (ja) 無接触データ伝送システムおよび無接触データ伝送方式
KR20190080728A (ko)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9064396B2 (en)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lessly receiving data from a power infrastructure
JP6174291B1 (ja) アナログ回路、位置指示器、及びシステム
KR101064230B1 (ko) 착용형 시스템의 원격 초기화 장치
KR100616660B1 (ko) 저전력 무선 송수신기
JP2005505976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方法並びにrf送信及び受信システムを有す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WO2015080209A1 (ja) 携帯端末
US7676003B2 (en) Carrier frequency-independent receiver
CN112930712B (zh) 用于驱动照明装置的转换器的通信适配器
JP6234700B2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送受信方法
JP2009271775A (ja) 受信装置
KR20200125144A (ko) 리모콘 분실방지 시스템
CN203773728U (zh) 一种基于Zigbee传输协议的射频遥控器
WO2022176550A1 (ja) 無線タグ及び無線タグシステム
Riehl et al. Discrete Low-Cost Implementation of Inductive Energy and Data Transmission for Deeply Integrated Sensor Systems
US20240195665A1 (en) Asynchronous bit detection mechanism for ask demodulators
CN114051741A (zh) 使用睡眠状态调制的无线系统
JPS59163921A (ja) 情報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