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083A -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083A
KR20080088083A KR1020070030478A KR20070030478A KR20080088083A KR 20080088083 A KR20080088083 A KR 20080088083A KR 1020070030478 A KR1020070030478 A KR 1020070030478A KR 20070030478 A KR20070030478 A KR 20070030478A KR 20080088083 A KR20080088083 A KR 20080088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pacitor
region
sourc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886B1 (ko
Inventor
김종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886B1/ko
Priority to US12/079,720 priority patent/US7642587B2/en
Publication of KR2008008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6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bined with thin-film or thick-film passive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기발광소자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제1영역과 캐패시터(Cst)가 형성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에서 상기 제2영역 상의 캐패시터 제3전극의 면적을 감소시켜서 제 1 전원전압라인과 캐패시터 제3전극사이의 간격을 확보하고, 캐패시터 제1전극의 면적을 증가시켜서 상기 캐패시터 제3전극의 면적 감소에 따른 캐패시터(Cst)의 용량을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패시터(Cst)의 용량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도 캐패시터 제3전극의 면적은 감소시켜서 제 1 전원전압라인과의 쇼트발생에 따른 구동 시 발생하는 암점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캐패시터, 쇼트

Description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Flat panel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111: 반도체층
111a, 111b: 소스/드레인 영역 112: 게이트 절연막
113: 게이트 전극 114: 층간 절연막
115: 소스/드레인 전극 140: 제 1 전원전압라인
131: 캐패시터 제1전극 132: 캐패시터 제2전극
133: 캐패시터 제3전극 115a: 제1콘택 홀
115b: 제2콘택 홀 140a: 제3콘택 홀
133a: 제4콘택 홀
본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캐패시터와 제2캐패시터를 구비하는 캐패시터의 캐패시터 제1전극과 캐패시터 제3전극의 상이한 면적에 관한 것이다.
일적으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성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하게 하는 자발광 표시장치로써,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들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서, 수동 매트릭스 방식과 능동 매트릭스 방식으로 나눈다.
상기 능동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상기 수동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어 대면적 구현에 적합하다.
이러한, 능동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비되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의 개수는 반드시 일정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상회로를 추가하기 위하여 더 많은 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발광소자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제1영역(a)과 캐패시터가 형성되는 제2영역(b)을 구비하는 기판(10)상에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데,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은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형성한다.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결정화한 후에는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을 일정패턴으로 패터닝하여 제1영역(a)에 반도체층(11)을 형성하고, 제2영역(b)에 캐패시터 제1전극(31)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기판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12)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12) 상에 게이트 메탈층을 증착한다. 상기 게이트 메탈층을 패터닝하여 제1영역(a)에 상기 반도체층(11)의 일정영역에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13)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11)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2영역(b)의 게이트 절연막(12) 상에서도 상기 게이트 메탈층을 패터닝하여 캐패시터 제1전극(31)의 일정영역에 대응되는 캐패시터 제2전극(32)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반도체층(11)에 N형 또는 P형 불순물 중 어느 하나를 이온주입하여 소스/드레인 영역(11a, 11b)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반도체층(11)의 소스/드레인 영역(11a, 11b)의 사이에는 채널영역(11c)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14)을 형성한 후, 제1영역(a)에서는 상기 층간 절연막(14)과 게이트 절연막(12)을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층(11)의 소스/드레인 영역(11a, 11b)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콘택홀(15a)과 제2콘택홀(15b)을 각각 형성하고, 제2영역(b)에서는 캐패시터 제2전극(32)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콘택홀(40a)과 캐패시터 제1전극(31)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4콘택홀(33a)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14) 상에 소스/드레인 메탈층을 증착하고, 제1영역(a)의 상기 소스/드레인 메탈층을 일정패턴으로 패터닝하여 제1콘택홀(15a)과 제2콘택홀(15b)을 통해 반도체층(11)의 소스/드레인 영역(11a, 11b)과 각각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15)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제2영역(b)에서도 제3콘택홀(40a)를 통해 캐패시터 제2전극(32)과 연결되는 제 1 전원전압라인(40)과 제4콘택홀(33b)를 통해 캐패시터 제1전극(31)과 연결되는 캐패시터 제3전극(33)을 형성한다.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31)과 캐패시터 제2전극(32)은 제1캐패시터를 구성하는데,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은(31) 제1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이며,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32)은 제1캐패시터의 상부전극이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32)과 캐패시터 제3전극(33)으로 제2캐패시터를 구성하는데, 이 때,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32)이 제2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이 되고, 캐패시터 제3전극(33)이 제2캐패시터의 상부전극이 되어 캐패시터를 구성한다.
이 때,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31)과 캐패시터 제3전극(33)의 면적은 동일하여, 상기 캐패시터 제3전극(33)과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32)의 대응되는 면적 S2와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32)과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31)의 대응되는 면적 S1 의 면적도 동일하다.
따라서, 제1캐패시터와 제2캐패시터의 전극사이의 유전율과 거리가 동일하다면, 캐패시터 용량도 동일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기판 상부 전면에 보호막(16)을 형성하는데, 이 때, 상기 기판 상의 단차를 완화하기 위하여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평탄화막(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영역(a) 상에는 상기 보호막(16) 또는 평탄화막을 관통하는 비아 홀을 통해서,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15)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 전극(17)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화소 전극(17)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 정의막(18)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로 노출된 화소 전극(17)상에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19)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상부 전면에 대향 전극(20)을 형성하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캐패시터 제3전극(33)과 제 1 전원전압라인(40) 사이의 간격은 캐패시터의 용량을 증대하기 위하여 캐패시터 제3전극(33)의 면적을 크게 형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5um이내로 좁게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좁은 배선간격은 패터닝 공정 시 상기 캐패시터 제3전극(33)과 제 1
전원전압라인(40) 사이에서 쇼트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패시터가 쇼트되고, 결국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스전극 사이의 전압(Vgs)이 0이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유기 전계 발광표시 장치의 구동 시 암점불량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패시터(Cst)의 용량은 유지하면서도 캐패시터 제3전극의 면적을 감소시켜 제 1 전원전압라인과의 캐패시터 제3전극 사이의 쇼트 불량을 방지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유기발광소자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제1영역과 캐패시터가 형성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영역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며 형성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과 동일층상의 제2영역에 형성되는 캐패시터 제1전극;
상기 기판 전면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의 제1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층의 일정영역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층상의 제2영역에 형성되는 캐패시터 제2전극;
상기 기판 전면에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
상기 층간 절연막 상의 제1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층과 제1 및 제2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 층상의 제2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과 제3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원전압라인; 및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 층상의 제2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과 제4콘택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과 면적이 상이한 캐패시터 제3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유기 발광소자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제1영역과 캐패시터가 형성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기판을 위치하고;
상기 기판상의 제1영역에 반도체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기판상의 제2영역에 캐패시터 제1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의 제1영역에 상기 반도체층의 일정영역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의 제2영역에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의 일정영역과 대응되는 캐패시터 제2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층에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상에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콘택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 및 캐패시터 제2전극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3 및 제4콘택홀을 형성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상의 제1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콘택홀 통해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층간 절연막상의 제2영역에 상기 제3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원전압라인과 상기 제4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과 면적이 상이한 캐패시터 제3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 실시 예 1 >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유기발광소자와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제1영역(A)과 캐패시터(Cst)가 형성되는 제2영역(B)을 구비하는 기판(100) 상에 수분 또는 불순물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결정화 시 열전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버퍼층(미도시)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버퍼층상에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데,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은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형성한다.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을 결정화하는 것은 ELA(Excimer Laser Annealing), SLS(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 MIC(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또는 MILC(Metal Induced Later Crystallization)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을 일정패턴으로 패터닝하여 제1영역(A)에 반도체층(111)을 형성하고, 동시에 제2영역(B)에 캐패시터 제1전극(13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112)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 상에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몰리브덴(Mo), 몰리브덴 합금(Mo alloy) 중 어느 하나로 게이트 메탈층을 증착한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 메탈층을 패터닝하여 제1영역(A)에 반도체층(111)의 일정영역에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113)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113)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2영역(B)의 게이트 절연막(112) 상에서도 상기 게이트 메탈층을 패터닝하여 캐패시터 제1전극(131)의 일정영역에 대응되는 캐패시터 제2전극(132)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반도체층(111)에 상기 게이트 전극(113)을 마스크로 N형 또는 P형 불순물 중 어느 하나를 이온주입하여 소스/드레인 영역(111a, 111b)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반도체층(111)의 소스/드레인 영역(111a, 111b)의 사이에는 채널영역(111c)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114)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1영역(A)에서는 상기 층간 절연막(114)과 게이트 절연막(112)을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층(111)의 소스/드레인 영역(111a, 111b)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콘택홀(115a)과 제2콘택홀(115b)을 각각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제2영역(B)에서는 캐패시터 제2전극(132)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콘택홀(140a)과 캐패시터 제1전극(131)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4콘택홀(133a)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버퍼층(미도시), 게이트 절연막(120) 및 층간 절연막(140)은 SiO2 또는 SiNx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로 구성된 복수의 층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층간 절연막(114) 상에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몰리브덴(Mo), 몰리브덴 합금(Mo alloy) 중 어느 하나로 소스/드레인 메탈층을 증착한다.
이어서, 제1영역(A)에서는 상기 소스/드레인 메탈층을 일정패턴으로 패터닝하여 제1콘택홀(115a)과 제2콘택홀(115b)을 통해 반도체층(111)의 소스/드레인 영역(111a, 111b)과 각각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115)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제2영역(B)에서도 제3콘택홀(140a)를 통해 캐패시터 제2전극(132)과 연결되는 제 1 전원전압라인(140)과 제4콘택홀(133a)를 통해 캐패시터 제1전극(131)과 연결되는 캐패시터 제3전극(133)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131)과 캐패시터 제2전극(132)은 제1캐패시터(Cst1)를 구성하는데,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131)은 제1캐패시터(Cst1)의 하부전극이며,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132)은 제1캐패시터(Cst1)의 상부전극이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132)과 캐패시터 제3전극(133)으로 제2캐패시터(Cst2)를 구성하는데, 이 때,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132)이 제2캐패시터(Cst2)의 하부전극이 되고, 캐패시터 제3전극(133)이 제2캐패시터(Cst2)의 상부전극이 되어 캐패시터(Cst)를 구성한다.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131)과 캐패시터 제3전극(133)은 면적은 서로 상이한 형태로 구성되는데, 상기 캐패시터 제3전극(133)의 면적이 감소한 만큼 캐패시터 제1전극(131)의 면적이 증가하여 실질적인 캐패시터(Cst)의 용량은 일정하다.
여기서, 두 전극사이의 캐패시터 용량은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C= ε(S/d)
상기 ε은 두 전극사이의 유전율이고, S는 두 전극사이의 대응되는 면적, d는 두 전극간의 거리이다.
제2캐패시터(Cst2)의 상부전극인 캐패시터 제3전극(133)의 면적을 감소시키 면 캐패시터 제3전극(133)과 캐패시터 제2전극(132)의 대응되는 면적 S2를 캐패시터 면적 변화량인 W만큼 감소하게 되어, 결국, Cst2= ε2S2/d2 - ε2W/d2으로 용량이 ε2W/d2만큼 감소하게 된다.
이 때, 제1캐패시터(Cst1)의 하부전극인 캐패시터 제1전극(131)의 면적을 증가시켜서 캐패시터 제1전극(131)과 캐패시터 제2전극(132)의 대응되는 면적 S1을 상기 W만큼 증가시키면, Cst1= ε1S1/d1 + ε1W/d1으로 ε1W/d1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결국,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132)과 대응되는 캐패시터 제1전극(131)과 캐패시터 제3전극(133)은 W × 2만큼의 면적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기 캐패시터(Cst)의 용량은 제1캐패시터(Cst1)와 제2캐패시터(Cst2)의 전극사이의 유전율과 거리가 동일하다면, Cst = Cst1 + Cst2 = ε1S1/d1 + ε2S2/d2 으로 캐패시터 제3전극(133)과 캐패시터 제1전극(131)의 면적을 조절하기 전의 캐패시터 용량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 1 전원전압라인(140)과 캐패시터 제3전 극(133)과의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공정상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제 1 전원전압라인(140)과 캐패시터 제3전극(133)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e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 상부 전면에 SiO2 또는 SiNx와 그들의 복수 층으로 형성되는 보호막(116)을 형성하는데, 이 때, 상기 기판 상의 단차를 완화하기 위하여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평탄화막(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영역(A) 상에는 상기 보호막(116) 또는 평탄화막을 관통하는 비아 홀을 통해서,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115)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 전극(170)을 형성하는데, 상기 화소 전극(170)은 Pt, Au, Ir, Cr, Mg, Ag, Al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반사전극 상에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의 투명전극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기판전면에 상기 화소 전극(170)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 정의막(118)을 형성한다. 상기 화소 정의막(118)은 BCB (benzocyclobutene), 아크릴계 고분자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개구부로 노출된 화소 전극(170)상에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190)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상부 전면에 대향 전극(200)을 형성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지는 자가 아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쉽게 변형 또는 치환한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캐패시터(Cst)의 캐패시터 제3전극의 면적을 감소시켜서 제1전원전압라인과 캐패시터 제3전극사이의 간격을 확보하고, 캐패시터 제1전극의 면적을 증가시켜서 상기 캐패시터 제3전극의 면적 감소에 따른 캐패시터(Cst)의 용량을 보상할 수 있다.
결국, 캐패시터(Cst)의 용량은 유지하면서도 캐패시터 제3전극의 면적은 감소시켜서 쇼트발생에 따른 암점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유기 발광소자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제1영역과 캐패시터가 형성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영역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며 형성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과 동일층상의 제2영역에 형성되는 캐패시터 제1전극;
    상기 기판 전면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의 제1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층의 일정영역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층상의 제2영역에 형성되는 캐패시터 제2전극;
    상기 기판 전면에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
    상기 층간 절연막 상의 제1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층과 제1 및 제2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 층상의 제2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과 제3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원전압라인; 및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 층상의 제2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과 제4콘택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과 면적이 상이한 캐패시터 제3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은 상기 반도체층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전압라인은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제3전극은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과 대응되는 캐패시터 제1전극과 캐패시터 제3전극은 W × 2 만큼의 면적차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7. 유기 발광소자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제1영역과 캐패시터가 형성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기판을 위치하고;
    상기 기판상의 제1영역에 반도체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기판상의 제2영역에 캐패시터 제1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의 제1영역에 상기 반도체층의 일정영역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의 제2영역에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의 일정영역과 대응되는 캐패시터 제2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층에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상에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콘택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 및 캐패시터 제2전극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3 및 제4콘택홀을 형성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상의 제1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콘택홀 통해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층간 절연막상의 제2영역에 상기 제3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원전압라인과 상기 제4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과 면적이 상이한 캐패시터 제3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제1전극은 상기 반도체층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전압라인은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제3전극은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제2전극과 대응되는 캐패시터 제1전극과 캐패시터 제3전극은 W × 2 만큼의 면적차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070030478A 2007-03-28 2007-03-28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6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478A KR100864886B1 (ko) 2007-03-28 2007-03-28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2/079,720 US7642587B2 (en) 2007-03-28 2008-03-28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478A KR100864886B1 (ko) 2007-03-28 2007-03-28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083A true KR20080088083A (ko) 2008-10-02
KR100864886B1 KR100864886B1 (ko) 2008-10-22

Family

ID=3979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478A KR100864886B1 (ko) 2007-03-28 2007-03-28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42587B2 (ko)
KR (1) KR10086488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4285B2 (en) 2010-12-14 2014-04-22 Samsung Display Co., Ltd. Capacitor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754406B2 (en) 2010-10-22 2014-06-1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with a plurality of buffer lay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093572B2 (en) 2012-04-12 2015-07-28 Samsung Display Co., Ltd. Backplane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plan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backplane
KR20160024091A (ko) * 2014-08-22 2016-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349979B2 (en) 2012-07-30 2016-05-2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378326A (zh) * 2018-09-21 2019-02-2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0459572A (zh) * 2019-08-19 2019-1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KR20200117051A (ko) * 2016-07-19 2020-10-1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 활용되는 지르코늄 산화물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하이-k 유전체 재료 막 스택들
KR20220101055A (ko) * 2013-09-05 2022-07-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737B1 (ko) 2010-03-02 2012-02-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01109B1 (ko) * 2010-06-01 2012-01-0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1884737B1 (ko) * 2011-08-09 2018-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1590B1 (ko) 2011-09-01 2018-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이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 및 표시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938760B1 (ko) * 2012-07-26 2019-0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2382B1 (ko) * 2013-01-31 2019-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124025B1 (ko) 2013-12-23 2020-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60155849A1 (en) * 2014-12-02 2016-06-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490881B1 (ko) * 2014-12-26 2023-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461529A (zh) 2018-03-29 2018-08-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11256379B2 (en) * 2019-09-26 2022-02-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1430383B (zh) * 2020-05-20 2023-04-28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2278A (en) 1986-10-22 1987-12-15 Hans Oetiker Earless clamp structure
KR100306811B1 (ko) 1999-06-29 2001-11-01 박종섭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소자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KR100600848B1 (ko) * 2001-12-26 2006-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01931B1 (ko) 2003-03-13 2003-10-17 주식회사 테스트이엔지 커패시터의 작동원리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용 tft 셀 어레이의 비접촉식 양부 테스트방법
KR20050051140A (ko) * 2003-11-27 2005-06-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커패시터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100600878B1 (ko) * 2004-06-29 2006-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107981B1 (ko) 2004-09-03 201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기판,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9316B1 (ko) * 2004-10-29 2007-03-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7188936A (ja) * 2006-01-11 2007-07-26 Epson Imaging Devices Corp 表示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4406B2 (en) 2010-10-22 2014-06-1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with a plurality of buffer lay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704285B2 (en) 2010-12-14 2014-04-22 Samsung Display Co., Ltd. Capacitor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093572B2 (en) 2012-04-12 2015-07-28 Samsung Display Co., Ltd. Backplane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plan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backplane
US9502604B2 (en) 2012-04-12 2016-11-22 Samsung Display Co., Ltd. Backplane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plan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backplane
US9349979B2 (en) 2012-07-30 2016-05-2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01055A (ko) * 2013-09-05 2022-07-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160024091A (ko) * 2014-08-22 2016-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145683B2 (en) 2016-07-19 2021-10-12 Applied Materials, Inc. Hybrid high-k dielectric material film stacks comprising zirconium oxide utilized in display devices
KR20200117051A (ko) * 2016-07-19 2020-10-1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 활용되는 지르코늄 산화물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하이-k 유전체 재료 막 스택들
KR20210132217A (ko) * 2016-07-19 2021-11-0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 활용되는 지르코늄 산화물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하이-k 유전체 재료 막 스택들
US11742362B2 (en) 2016-07-19 2023-08-29 Applied Material, Inc. Hybrid high-k dielectric material film stacks comprising zirconium oxide utilized in display devices
CN109378326A (zh) * 2018-09-21 2019-02-2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09378326B (zh) * 2018-09-21 2023-05-3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0459572A (zh) * 2019-08-19 2019-1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886B1 (ko) 2008-10-22
US7642587B2 (en) 2010-01-05
US20080237585A1 (en)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886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67233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101961190B1 (ko) 유기전압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84591B1 (ko) 능동행렬 유기전기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1043047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EP1587154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73565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6935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894600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in film transitor arr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140113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2816627B1 (en) Display device
US10937813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ctive matrix substrate
KR101799034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9099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58150A (ko) 능동행렬 유기전기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01994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37889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09026171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3740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402950B2 (e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4009741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4491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104875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60013341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13002402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